맨위로가기

프랑수아 제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 제니는 프랑스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1878년부터 1931년까지 법학을 가르쳤으며, 1919년부터 1925년까지 낭시 대학교 법학부 학장을 역임했다. 그는 민법전 해석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해석 방법론인 '자유 과학적 연구'를 제시했으며, 자유법 운동을 이끌었다. 또한 토마스주의 법철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1930년 프랑스 학술원 회원, 1934년 레지옹 도뇌르를 수여받았고, 여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뫼르트에모젤주 출신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뫼르트에모젤주 출신 - 미셸 플라티니
    프랑스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 미셸 플라티니는 AS 낭시, AS 생테티엔, 유벤투스 FC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고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을 이끌었으며, 3년 연속 발롱도르를 수상하는 등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으나, 은퇴 후 UEFA 회장직을 수행하던 중 FIFA 부패 스캔들로 활동이 정지되었다.
  • 1861년 출생 - 손병희
    손병희는 조선 말 동학의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종교인, 독립운동가로서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3·1 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인내천 사상을 강조했다.
  • 1861년 출생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959년 사망 - 호세 라우렐
    호세 라우렐은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변호사, 상원의원, 대법원 판사를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 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전후 전범으로 기소되었고, 사면 후 상원의원과 경제 사절 단장을 지내다 1959년 사망했다.
  • 1959년 사망 - 존 포스터 덜레스
    존 포스터 덜레스는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국무장관을 지낸 미국의 변호사이자 외교관으로, 반공 정책을 추진하고 NATO 등 반공 동맹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강경한 외교 정책은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국제 협력에도 기여했다.
프랑수아 제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94년의 프랑수아 제니
이름프랑수아 제니
로마자 표기Peulangsua Jeni
출생1861년 12월 17일
출생지바카라, 프랑스
사망1959년 12월 26일
사망지낭시, 프랑스
국적프랑스
직업법학자

2. 생애

프랑수아 제니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사레이유, 에를리히, 칸토로비치 등과 함께 자유법 운동을 이끌며 주석학파의 법실증주의적 사고를 비판하고 자연법의 부활을 제창했다.[5] 모리스 오리우와 함께 토마스주의 법철학의 창시자이며, 공법학의 오리우에 비해 사법학에서 토미즘을 개척했고,[6] 이는 장 다방에게 계승되었다.[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프랑수아 제니는 12명의 자녀를 둔 대가족의 넷째였다. 그의 아버지 알프레드 제니는 프랑스 북동부의 바카라에서 산림 감시원이었다. 그의 어머니 마리-외제니 윈은 필경사의 딸이었다. 그의 형제 중 두 명은 사제가 되었고, 다른 형제는 로마 대학교의 교사가 되었다.

프랑수아 제니는 1878년부터 1887년까지 프랑스 낭시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그는 졸업장을 받고 대학 교수가 되어 알제에서 로마법을 가르쳤다(1888–1889). 그는 또한 디종 대학교에서 민법국제법을 가르쳤다(1890–1900). 그곳에서 그는 또 다른 유명한 법학 교수인 Raymond Saleilles|레몽 살레유프랑스어를 만났다. 그 후 1901년부터 1931년까지 프랑스 낭시에서 민법을 가르쳤고, 법학부 학장이 되었다(1919–1925). 그는 "법학 연구의 철학적 입문"이라는 자연법 수업을 다시 도입했다.

2. 2. 학문 경력

프랑수아 제니는 1878년부터 1887년까지 프랑스 낭시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졸업 후 대학 교수가 되어 알제에서 로마법을 가르쳤다(1888–1889). 디종 대학교에서 민법국제법을 가르쳤으며(1890–1900), 그곳에서 Raymond Saleilles|레이몽 살레유프랑스어 교수를 만났다. 1901년부터 1931년까지 프랑스 낭시에서 민법을 가르쳤고, 1919년부터 1925년까지 법학부 학장을 역임했다. 그는 "법학 연구의 철학적 입문"이라는 자연법 수업을 다시 도입했다.

1930년 프랑스 학술원 회원이 되었고, 1934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다음은 그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한 대학교 목록이다.

대학교수여 년도
흐로닝언1914년
루뱅1927년
바르샤바1929년
브뤼셀1929년
제네바1930년
야시1934년
로잔1935년
바젤1936년
아테네1937년



1933년 보스턴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사레이유, 에를리히, 칸토로비치 등과 함께 자유법 운동을 이끌며 주석학파의 법실증주의적 사고를 비판하고 자연법의 부활을 제창했다.[5] 모리스 오리우와 함께 토마스주의 법철학의 창시자로, 공법학의 오리우에 비해 사법학에서 토미즘을 개척했으며,[6] 이는 장 다방에게 계승되었다.[7]

2. 3. 학문적 업적 및 수상

프랑수아 제니는 1930년에 프랑스 학술원의 회원이 되었고, 1934년에는 레지옹 도뇌르를 받았다.[1] 그는 다음의 9개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대학교년도
흐로닝언1914년
루뱅1927년
바르샤바1929년
브뤼셀1929년
제네바1930년
야시1934년
로잔1935년
바젤1936년
아테네1937년



1933년에는 보스턴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1]

3. 법 사상

프랑수아 제니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사레이유, 에를리히, 칸토로비치 등과 함께 자유법 운동을 이끌며, 주석학파의 법실증주의적 사고를 비판하고 자연법의 부활을 제창했다.[5] 모리스 오리우와 함께 토마스주의 법철학의 창시자로 평가받으며, 공법학의 오리우에 비해 사법학 분야에서 토미즘을 개척했고,[6] 이는 장 다방에게 계승되었다.[7]

3. 1. 민법전 해석 비판과 새로운 해석 방법론 제시

19세기 말, 1804년 민법전은 여전히 프랑스 법의 주요 기준이었다. 민법전은 프랑스 혁명의 원칙에서 영감을 받았는데, 제니에 따르면 판사는 법의 "입"으로 간주되어 어떠한 해석 없이 법을 적용해야 했다. 이는 몽테스키외에 대한 제니 자신의 해석이었으며, 최근 법률 문헌에서는 신뢰를 잃은 견해이다.[1][2][3]

그러나 프랑수아 제니는 입법자의 의지에 기반한 독립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1899년 출판된 그의 저서 ''해석 방법과 실정 사법의 근원: 비판적 에세이''에서 프랑수아 제니는 법이 다양한 함의를 가진다고 선언했다. 그는 관습, 전통 및 과학적 연구를 사용하여 법에 기록된 내용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식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1914년부터 1924년까지 출판된 ''실정 사법에서의 과학과 기술''에서 프랑수아 제니는 원칙과 규칙의 기원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유 과학적 연구'라는 새로운 해석 방법을 설명했다. 이 '자유 과학적 연구'를 통해 그는 이전의 법학자들이 사용하지 않았던 사회학, 경제학, 언어학, 철학 및 신학과 같은 다양한 "과학"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3. 2. 자유 과학적 연구 (Libre Recherche Scientifique)

프랑수아 제니는 1899년에 출판된 자신의 저서 ''해석 방법과 실정 사법의 근원: 비판적 에세이''에서 법이 다양한 함의를 가진다고 선언했다. 그는 관습, 전통 및 과학적 연구를 사용하여 법에 기록된 내용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식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2][3]

1914년부터 1924년까지 출판된 ''실정 사법에서의 과학과 기술''에서 제니는 원칙과 규칙의 기원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유 과학적 연구''라는 새로운 해석 방법을 설명했다. 이 ''자유 과학적 연구''를 통해 그는 사회학, 경제학, 언어학, 철학 및 신학과 같은 다양한 "과학"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3. 3. 자유법 운동

사레이유, 에를리히, 칸토로비치 등과 함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자유법 운동을 이끌었다. 이들은 주석학파의 법실증주의적 사고를 비판하고 자연법의 부활을 주장했다.[5]

3. 4. 토마스주의 법철학

사레이유, 에를리히, 칸토로비치 등과 함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자유법 운동을 이끌며, 주석학파의 법실증주의적 사고를 비판하고 자연법의 부활을 제창했다.[5] 모리스 오리우와 함께 토마스주의 법철학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공법학의 오리우에 비해 사법학의 세계에서 토미즘을 개척했고[6], 이는 장 다방에게 계승되었다.[7]

4. 정치 활동

프랑수아 제니는 1936년 로렌 국가 집회라는 지역 정치 단체에 참여했는데, 이 단체는 1936년에 선출된 프랑스 사회주의 정부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쳤다.[1]

5. 주요 저서


  • 《법적 해석 방법에 대한 비판적 에세이, 사법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위한 연구》 ("사법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위한 법적 해석 방법에 대한 비판적 에세이")
  • 《디종 대학교, 부르고뉴 고등 교육 저널》, 1897년 제7권 및 1898년 제8권
  • 《해석 방법과 실정 사법의 자료: 비판적 에세이》 ("해석 방법과 실정 사법의 자료 - 비판적 에세이"), 1899년, 레이몽 살레이유의 서문.
  • 〈민법전에서의 현대 민법전 입안 기술.〉 《100주년 기념 서적》, 1904년, 989-1038쪽.
  • 《법적 방법론에서의 민법 발전 과정》, 1910년, 173-196쪽.
  • 《주로 프랑스 실정법 체계를 염두에 둔 서신에 대한 권리; 비판적 해석 방법의 적용 시도》, 1911년, 2권.
  • 《해석 방법과 실정 사법의 자료》, 제2판, 1919년, 2권.
  • 《실정 사법에서의 과학과 기술: 법적 방법론 비판에 대한 새로운 기여》, 1914년부터 1924년까지 발행된 4권.
  • 〈프랑스에서의 권리 개념〉 ("프랑스에서의 권리 개념"), 철학적 법 사회학 아카이브, 1931년.
  • 〈자연법의 세속성〉, 철학적 법 사회학 아카이브, 1933년.
  • 〈정의와 힘: 법에 힘의 통합을 위하여〉, H. 카피탕 기념 연구, 1938년, 241-257쪽.
  • 〈프랑스 학설에서의 현대 법적 사상의 진화〉, G. 리퍼트에게 바치는 연구, 1950년, 제1권, 3-8쪽.
  • 《Ultima verba》, 1951년.
  • 《실체 사법의 해석 방법과 법원》 2권

참조

[1] 논문 Rex, Lex et Judex: Montesquieu and la bouche de la loi revisited https://www.cambridg[...] 2008-06
[2] 논문 Montesquieu and Judicial Review of Proportionality in Administrative Law: Rethinking the Separation of Powers in the Neoliberal Era https://heinonline.o[...] 2017
[3] 학위논문 Montesquieu en « la bouche de la loi » New Rhine 1979
[4]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5] 서적 現代法理学 有斐閣 2011
[6] 서적 トマス主義の法哲学 九州大学出版会 1987
[7] 서적 トマス主義の法哲学 九州大学出版会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