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법전은 사법의 기본 원리를 담은 법전으로, 개인 간의 권리 의무 관계를 규율한다. 고대 바빌로니아의 우르-남무 법전에서 시작하여 로마법, 샤리아 법, 마누 법전 등 다양한 역사적 기원을 가지며, 대륙법계의 기초를 형성하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국법대전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근대 유럽에서는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 나폴레옹 법전, 독일 민법전 등이 제정되었으며, 이는 전 세계 민법 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재는 오스트리아, 독일, 스위스, 일본, 대한민국,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각국의 민법전을 시행하고 있으며, 민법은 계약법, 불법행위법, 재산법, 가족법, 상속법 등을 포괄하며, 기관 제도와 판덱트 제도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법 - 유언
    유언은 사망 후 재산 상속 및 개인적 의사를 반영하는 법률 행위로, 다양한 방식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유언자의 사망 시 효력이 발생하고 생전에는 철회 가능하며, 유언의 무효 또는 취소 사유가 존재한다.
  • 민법 - 사실혼
    사실혼은 혼인신고 없이 부부로서 생활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재산분할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지만, 법률혼과 비교하여 자녀의 친권, 상속, 세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민법전

2. 역사

법전의 역사는 고대 바빌로니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가장 오래된 민법전은 기원전 2100년~2050년경에 쓰여진 우르-남무 법전이다. 529년에서 534년 사이에 비잔티움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제정한 로마법의 성문화인 국부법전은 대륙법계 민법 체계의 기초를 형성했다.

힌두법마누 법전, 이슬람 샤리아 법, 유대교 할라카 법의 미슈나, 기독교 교회법의 사도 규칙 등 다양한 종교법 관련 문서들도 고대부터 사용된 성문법이다.

2. 1. 고대 및 중세

고대에는 우르-남무 법전(기원전 2100년~2050년경), 함무라비 법전(기원전 1780년경) 등이 있었다.[1] 이 외에도 마누 법전(힌두법), 샤리아(이슬람), 미슈나(유대교), 사도 규칙(기독교 교회법) 등 다양한 종교법 관련 문서들도 있었다.[1] 비잔티움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제정한 국부법전(529년~534년)은 로마법을 집대성하여 대륙법계 민법의 기초를 놓았다.[1]

2. 2. 근대 유럽의 민법 성문화

18세기 후반 계몽주의 시대에는 인간의 합리성에 기반한 법률 체계화 시도가 나타났다. 독일 지역에서는 바이에른의 ''Codex Maximilianeus bavaricus civilis''(1756년), 프로이센의 Allgemeines Landrecht für die Preussischen Staaten(1792년), 오스트리아의 오스트리아 민법전(1811년) 등이 제정되었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은 나폴레옹 법전(1804년)이 제정되어 이탈리아, 베네룩스, 스페인, 포르투갈, 라틴 아메리카 등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독일에서는 판덱트학파의 영향으로 독일 민법전(BGB, 1900년)이 제정되었고, 스위스에서도 스위스 민법전(1907년)이 제정되어 일본, 대한민국 등 여러 국가의 민법에 영향을 미쳤다.[1]

2. 3. 아메리카 대륙의 민법

캐나다에서는 1804년 뉴브런즈윅 민법전, 1865년 하부 캐나다 민법전(1994년 퀘벡 민법전으로 대체) 등이 제정되었다. 미국에서는 루이지애나주가 1825년 민법전을 제정했으며, 캘리포니아주 민법전(1872년)은 관습법 원칙을 성문화한 것이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아이티(1825년), 볼리비아(1830년), 칠레(1855년), 아르헨티나(1869년), 브라질(1916년, 2002년 개정) 등 여러 국가에서 민법전을 제정했다.

국가/지역명칭공포 연도현황참고
뉴브런즈윅주뉴브런즈윅 민법전1804폐지됨
퀘벡주하부 캐나다 민법전1865폐지됨1994년 퀘벡 민법전으로 대체
퀘벡주퀘벡 민법전1994현재 시행 중
루이지애나주루이지애나 민법전1825현재 시행 중
캘리포니아주캘리포니아 민법전1872현재 시행 중
아이티민법전1825현재 시행 중
볼리비아민법전1830현재 시행 중
칠레칠레 민법전1855현재 시행 중
아르헨티나민법전1869현재 시행 중
브라질민법전 (1916)1916폐지됨
브라질민법전 (2002)2002현재 시행 중


2. 4. 아시아의 민법

일본은 일본 민법전(1896년, 1898년)을 제정하여 대한민국 등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15] 대한민국은 1958년 대한민국 민법전을 제정하여 1960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중국은 2020년 중화인민공화국 민법전을 제정하여 2021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태국은 태국 민상법전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필리핀은 1950년 필리핀 민법전을 제정하여 스페인 민법전을 대체했다. 인도는 인도 헌법 제44조에 따라 통일 민법 제정을 권고받고 있지만, 아직 관련 법률은 통과되지 않았다.[7]

국가/지역명칭공포 연도현황
인도네시아Burgerlijk Wetboek (1838년 민법전)1848현재 시행 중1848년부터 인도네시아에서 인도네시아 민법전으로 시행 중이며, 네덜란드에서는 Nieuw Burgerlijk Wetboek으로 대체됨.
일본民法, Minpō (민법전)현재 시행 중
대한민국민법, Minbeop (민법전)1958현재 시행 중
중국民法典, Minfadian (민법전)2020현재 시행 중
태국Civil and Commercial Code현재 시행 중


3.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민법전은 1958년 2월 22일에 공포되어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현행 민법전이 시행되기 전에는 일본 민법이 의용(依用)되었다.[15] 현행 민법은 일본 민법을 기초로 하였으나, 독일 민법의 영향도 받아 구민법의 결함을 개선하였다.[15] 프랑스 민법에서 유래한 구민법의 제도를 폐지하고 독일 민법의 제도와 규정을 도입하여 독일 민법에 더 가까워졌다.[15] 이는 독일 법학의 영향을 받은 일본 법학의 영향으로 보인다.[15] 그 후 여러 차례 부분 개정이 있었다.

3. 1. 대한민국 민법의 제정 과정

1948년 7월 17일 헌법이 제정·공포되고 정부가 수립되자 곧 법전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민법 제정 작업에 착수하여 우선 <민법적 편찬요강>과 <민법 친족·상속편 편찬요강>을 작성하였다.[15] 이 민법전은 1954년 10월 26일 국회에 제출되었으나 처리를 보지 못하였으며, 많은 수정을 거쳐 3년 후인 1957년 12월 17일에 국회의 승인을 얻어 1958년 2월 22일에 공포되었고,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되었다.[15]

3. 2. 대한민국 민법의 특징과 영향

대한민국의 민법전은 1958년 2월 22일에 공포되어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현행 민법전이 시행되기 전에는 일본 민법전이 의용(依用)되었다.[15] 현행 민법전은 1948년 7월 17일 헌법 제정 및 정부 수립 후 법전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제정 작업에 착수하였고, 1954년 국회에 제출되었으나 처리가 지연되다가 1957년 12월 17일에 국회 승인을 얻었다.[15]

현행 민법은 일본 민법을 기초로 하였으나, 친족·상속법과 물권법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독일 민법의 영향을 받아 구민법의 결함을 개선하였다.[15] 프랑스 민법에서 유래한 구민법의 제도를 폐지하고 독일 민법의 제도와 규정을 도입하여 독일 민법에 더 가까워졌다.[15] 이는 독일 법학의 영향을 받은 일본 법학의 영향으로, 독일 민법의 요소가 강하게 반영된 결과이다.[15]

4. 주요 민법전

국가/지역명칭공포 연도현황참고
오스트리아Allgemeines bürgerliches Gesetzbuch1812년현재 시행 중
프랑스Code civil des Français (프랑스 민법전)1804년현재 시행 중나폴레옹 법전(Code Napoléon)으로도 불렸으며, 현재는 Code civil로 불린다. 6세기 유스티니아누스의 로마법 성문화에서 영감을 받았다. 종교적 내용보다는 이성적인 구조로 이전 규칙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정과 차이가 있다. 이로써 법률이 더 명확하고 접근하기 쉬워졌으며, 왕실과 판사의 입법권 간의 갈등을 해소했다. 판사가 일반 규칙을 도입하여 사건을 결정하는 것을 금지하므로, 프랑스 법에는 구속력 있는 판례(stare decisis) 규칙이 없지만, 법을 해석하기 위한 일부 판례(jurisprudence constante)는 존재한다.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독일Bürgerliches Gesetzbuch (민법전)1900년현재 시행 중
스위스Zivilgesetzbuch (민법전)1907년현재 시행 중
일본民法, Minpō (민법전)현재 시행 중
대한민국민법, Minbeop (민법전)1958년현재 시행 중대한민국 민법전은 기초(起草)에 착수한 지 10년 만인 1958년 2월 22일에 공포되었으며,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현행 민법전이 시행되기 전에는 일본 민법전이 의용(依用)되었다. 현행 민법전은 1948년 7월 17일 헌법이 제정·공포되고 정부가 수립되자 곧 법전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사업에 착수하여 우선 <민법적 편찬요강>과 <민법 친족·상속편 편찬요강>을 작성하였다. 이 민법전은 1954년 10월 26일 국회에 제출되었으나 처리를 보지 못하였으며, 많은 수정을 거쳐 1957년 12월 17일에 이르러서야 국회의 승인을 얻어 공포되었고, 여러 차례 부분 개정을 하였다.[15]
중화인민공화국民法典, Minfadian (민법전)2020년현재 시행 중


5. 민법의 구성

일반적으로 민법은 계약, 불법행위, 재산권, 가족법, 상속법 등을 다룬다. 상법, 회사법, 민사소송법 등은 별도로 성문화되는 경우가 많다.[1]

5. 1. 기관 제도 (Institutions System)

프랑스, 이집트,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 구 민법은 기관 제도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1]

  • 인격법 (''personae'')
  • 물권법 (''res'')
  • 두 부분에 공통적인 문제 (''actiones'')


루이지애나주의 민법은 기관 제도를 따르며 다음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1]

  • 예비편
  • 인격법
  • 물건 및 소유권의 다양한 변경
  • 물건 소유권 취득의 다양한 방식
  • 사법 충돌

5. 2. 판덱트 제도 (Pandectist System)

독일, 스위스, 그리스, 포르투갈, 루마니아, 카탈루냐 등 새로운 민법은 판덱트 제도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다. 판덱트 제도는 다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판덱트주의는 초기 민법 및 해석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 민법은 (오스트리아 민법과 독일 민법 제정 사이에 독일 학자들에 의해 고안된) 판덱트 제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가르치지만, 이는 민법의 구조와 일치하지 않는다.

참조

[1] 뉴스 Quand la Suisse inspire la modernisation du droit chinois https://www.letemps.[...] Le temps 2016-09-14
[2] 논문 The Major Periods of Louisiana Legal History Lov. L. REV. 1996
[3] 논문 A "Civil Law" Lawyer: Louis Casimir Elisabeth Moreau Lislet https://digitalcommo[...] Journal Articles 1996
[4] 논문 The Major Periods of Louisiana Legal History Lov. L. REV. 1996
[5] 웹사이트 Guide to Legal Research in the Dominican Republic - GlobaLex https://www.nyulawgl[...] 2022-09-17
[6] 웹사이트 Macau Civil Code https://ssrn.com/abs[...]
[7] 뉴스 WHAT IS UNIFORM CIVIL CODE https://www.business[...] Business Standard India 2022-09-17
[8] 웹사이트 Dret civil català. Departament de Justícia. http://www20.gencat.[...] Departament de Justícia de la Generalitat de Catalunya 2013-11-26
[9] 웹사이트 Projecte Norma Civil http://civil.udg.es/[...] Civil.udg.es 1997-03-14
[10] 웹사이트 The Civil Code of Catalonia https://web.archive.[...] 2019-03-28
[11] 웹사이트 A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Hellenic Republic, the Greek Legal System, and Legal Research http://www.nyulawglo[...] GlobaLex 2006-04
[12] 서적 The Evolution of the Greek Civi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3] 웹사이트 Il Codice Civile Italiano https://web.archive.[...] Jus.unitn.it 2013-11-26
[14] 웹사이트 Código Civil Português https://web.archive.[...] Portolegal.com 2013-11-26
[15] 웹사이트 민법전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