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테오글리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테오글리칸은 핵심 단백질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이 결합된 거대 분자로, 동물의 세포외기질을 구성하고 식물의 분화 및 성장에 관여하는 중요한 생체 물질이다. 동물 프로테오글리칸은 연골을 형성하고, 이온과 물을 결합하며, 신호 분자 조절에 기여한다. 식물 프로테오글리칸은 꽃가루관 유도 등 다양한 생리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테오글리칸은 리보솜에서 단백질이 합성되고 골지체에서 당화 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뮤코다당증과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단백질 - 인터페론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세포 방어에 중요한 단백질로, 1형, 2형, 3형으로 나뉘어 면역 수용체에 따라 항바이러스, 항암 효과, 면역 체계 활성화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며, 유전자 조작을 통해 대량 생산되어 바이러스성 간염, 일부 종양 및 백혈병 치료에 활용된다.
  • 당단백질 - 항체
    항체는 Y자 형태의 단백질인 면역글로불린으로, 특정 항원에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며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으로 구성되어 유전자 재조합 등을 통해 특이성을 확보하고 IgG, IgA, IgM, IgD, IgE 등의 종류로 나뉘어 체액성 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의학적으로 널리 활용된다.
  • 생화학 - 부패
    부패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체의 사후 분해 과정으로, 악취 물질 생성, 시신 외형 변화를 동반하며 환경적·내적 요인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고 법의학 등에서 연구된다.
  • 생화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프로테오글리칸
개요
프로테오글리칸 구조
프로테오글리칸의 일반적인 구조. 코어 단백질(core protein)은 여러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 사슬이 부착된 탄수화물 중합체이다.
설명프로테오글리칸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사슬이 공유 결합된 당단백질이다.
구조
구성 요소코어 단백질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AG) 사슬
특징글리코사미노글리칸 함량이 높음 (최대 95%)
역할세포 표면 및 세포외기질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기능
세포 신호 전달세포 성장, 분화, 이동 조절
세포외기질 구조 유지조직의 형태와 강도 유지
수분 보유조직의 탄력성 유지
상호 작용다른 단백질 (예: 콜라겐, 피브로넥틴)과 상호 작용
종류
아그레칸 (Aggrecan)연골에 존재하며, 연골의 압축 저항에 기여
데코린 (Decorin)세포외기질에 존재하며, 콜라겐 섬유 형성에 관여
펄레칸 (Perlecan)기저막에 존재하며, 세포 부착 및 성장 인자 결합에 관여
시데칸 (Syndecan)세포 표면에 존재하며, 세포-세포, 세포-기질 상호 작용에 관여
임상적 중요성
질병 관련암, 관절염, 섬유증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됨
치료 표적질병 치료를 위한 표적으로 연구됨

2. 구조

동물과 식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은 핵심 단백질에 결합하는 당사슬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다. 동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AG) 사슬이, 식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은 아라비노갈락탄(AG) 당사슬이 결합되어 있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과 아라비노갈락탄은 모두 산성 다당류이지만, 전자는 직쇄형, 후자는 가지형 다당류라는 구조적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로 동물과 식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 및 단백질 함량을 기준으로 다당류와 프로테오글리칸을 구별할 수 있다. 프로테오글리칸은 구조를 유지한 채 추출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12]

2. 1. 핵심 단백질

동물 프로테오글리칸의 핵심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세린 잔기에 자일로스-갈락토스-갈락토스-글루쿠론산으로 이어지는 당 사슬이 결합하고, 여기에 콘드로이틴 황산 등의 이당류 단위체가 연속되는 다당체가 여러 개 결합된 화합물이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신경계, 면역계 등과 함께 고등 다세포동물에만 존재한다. 콘드로이틴 황산의 분자량은 10만 달톤 이하인데 반해, 프로테오글리칸의 분자량은 수십만 달톤 이상이다.[12]

식물 프로테오글리칸은 핵심 단백질의 히드록시프롤린(Hyp)에 갈락토스(Gal), L-아라비노스(L-Ara), 글루쿠론산이 풍부한 아라비노갈락탄(AG) 당사슬이 결합된 구조이다. 히드록시프롤린(Hyp)은 동물 세포에서는 콜라겐에만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이지만, 아라비노갈락탄-프로테인(AGP)의 핵심 단백질에는 15% 이상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테오글리칸은 고히드록시프롤린당단백질이라고도 불린다.[12] AGP의 분자 종류에 따라서는 지질 성분(GPI 앵커의 세라마이드)도 포함된다. 아라비노갈락탄의 분자량은 보통 수십만 달톤이지만, 프로테오글리칸의 분자량은 백만 달톤 이상으로 매우 크다.[12]

2. 2.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AG) 사슬

동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은 핵심 단백질의 아미노산세린과 당류 (자일로스-갈락토스-갈락토스-글루쿠론산)이 결합하여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이당류 단위가 연속되는 다당체가 여러 개 결합한 화합물이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은 신경계와 면역계 등과 함께 고등 다세포동물에만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콘드로이틴황산의 분자량은 10만 달톤 이하이지만, 프로테오글리칸의 분자량은 수십만 달톤 이상이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과 아라비노갈락탄은 모두 산성 다당류이지만,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은 직쇄의 다당류이고 아라비노갈락탄은 가지를 가진 다당류이기 때문에 동물과 식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다당류가 프로테오글리칸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분자량 및 단백질 함량으로 구별할 수 있다. 어느 프로테오글리칸도 구조를 유지한 채 추출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12]

2. 2. 1.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종류

프로테오글리칸은 상대적인 크기(큰 것과 작은 것)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사슬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3]

종류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소형 프로테오글리칸대형 프로테오글리칸
콘드로이틴 황산/데르마탄 황산데코린, 36 kDa
빅리칸, 38 kDa
아글리칸, 220 kDa, 연골의 주요 프로테오글리칸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HSPGs)헤파란 황산/콘드로이틴 황산테스티칸, 44 kDa퍼르레칸, 400–470 kDa
베타글리칸, >300 kDa
아그린, >500 kDa
콘드로이틴 황산 프로테오글리칸(CSPGs)콘드로이틴 황산비쿠닌, 25 kDa뉴로칸, 136 kDa
버시칸, 260–370 kDa, 혈관과 피부를 포함한 많은 성체 조직에 존재
브레비칸, 145kDa
케라탄 황산 프로테오글리칸케라탄 황산피브로모듈린, 42 kDa
루미칸, 38 kDa



일부 구성원은 "소형 류신이 풍부한 프로테오글리칸 패밀리"(SLRP)의 구성원으로 간주된다.[4] 여기에는 데코린, 빅리칸, 피브로모듈린, 루미칸이 포함된다.

동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은 여러 종류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으로 구성되며, 아글리칸, 버시칸, 뉴로칸, 브레비칸, 데코린, 빅리칸, 세르글리신, 퍼얼칸, 세르글리신, 신데칸, 글리피칸, 루미칸, 케라토칸, 아글리칸, 데르마탄 황산 등이 그 예이다.

2. 3. 식물 프로테오글리칸

식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은 핵심 단백질의 히드록시프롤린(Hyp)에 갈락토스(Gal), L-아라비노스(L-Ara), 글루쿠론산이 풍부한 아라비노갈락탄(AG) 당쇄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히드록시프롤린(Hyp)은 동물 세포에서는 콜라겐만이 특징적으로 갖는 아미노산이지만, 아라비노갈락탄-프로테인(AGP)의 핵심 단백질에 15% 이상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로테오글리칸은 고히드록시프롤린당단백질이라고도 불린다.[12] AGP의 분자종에 따라서는 지질 성분(GPI 앵커의 세라마이드)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아라비노갈락탄의 분자량은 수십만 달톤이지만, 프로테오글리칸의 분자량은 백만 달톤 이상으로 거대하다.

3. 종류

프로테오글리칸은 상대적인 크기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사슬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3]

일부 프로테오글리칸은 "소형 류신이 풍부한 프로테오글리칸 패밀리"(SLRP)에 속한다.[4] 여기에는 데코린, 빅리칸, 피브로모듈린, 루미칸이 포함된다.

프로테오글리칸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콘드로이틴황산/데르마탄황산 계열: 아그레칸, 버시칸, 뉴로칸, 브레비칸, 데코린, 비글리칸, 세르글리신
  • 헤파란황산(헤파린 포함) 계열: 퍼얼칸, 세르글리신, 신데칸, 글리피칸
  • 케라탄황산 계열: 루미칸, 케라토칸, 아그레칸
  • 데르마탄황산 계열: 데코린

3. 1. 크기에 따른 분류

프로테오글리칸은 상대적인 크기(큰 것과 작은 것)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사슬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3]

종류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소형 프로테오글리칸대형 프로테오글리칸
콘드로이틴 황산/데르마탄 황산데코린 (36kDa)
빅리칸 (38kDa)
아글리칸 (220kDa), 연골의 주요 프로테오글리칸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HSPGs)헤파란 황산/콘드로이틴 황산테스티칸 (44kDa)퍼르레칸 (400kDa–470kDa)
베타글리칸 (300kDa 초과)
아그린 (500kDa 초과)
콘드로이틴 황산 프로테오글리칸(CSPGs)콘드로이틴 황산비쿠닌 (25kDa)뉴로칸 (136kDa)
버시칸 (260kDa–370kDa, 혈관과 피부를 포함한 많은 성체 조직에 존재)
브레비칸 (145kDa)
케라탄 황산 프로테오글리칸케라탄 황산피브로모듈린 (42kDa)
루미칸 (38kDa)



데코린, 빅리칸, 피브로모듈린, 루미칸은 "소형 류신이 풍부한 프로테오글리칸 패밀리"(SLRP)의 구성원으로 간주된다.[4]

3. 2. GAG 사슬에 따른 분류

프로테오글리칸은 상대적인 크기(큰 것과 작은 것)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 사슬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3]

종류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소형 프로테오글리칸대형 프로테오글리칸
콘드로이틴 황산/데르마탄 황산데코린 (36 kDa)
빅리칸 (38 kDa)
아그레칸 (220 kDa), 연골의 주요 프로테오글리칸
헤파란황산 프로테오글리칸(HSPGs)헤파란 황산/콘드로이틴 황산테스티칸 (44 kDa)퍼르레칸 (400 kDa~470 kDa)
베타글리칸 (300 kDa 초과)
아그린 (500 kDa 초과)
콘드로이틴황산 프로테오글리칸(CSPGs)콘드로이틴 황산비쿠닌 (25 kDa)뉴로칸 (136 kDa)
버시칸 (260 kDa~370 kDa), 혈관과 피부를 포함한 많은 성체 조직에 존재
브레비칸 (145 kDa)
케라탄황산 프로테오글리칸케라탄 황산피브로모듈린 (42 kDa)
루미칸 (38 kDa)



일부 구성원은 "소형 류신이 풍부한 프로테오글리칸 패밀리"(SLRP)의 구성원으로 간주된다.[4] 여기에는 데코린, 빅리칸, 피브로모듈린, 루미칸이 포함된다.

동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은 아그리칸(aggrecan), 버시칸(versican), 뉴로칸(neurocan), 브레비칸(brevican), 데코린, 비글리칸, 세르글리신(serglycin) 등과 같이 여러 종류의 콘드로이틴황산 (관련된 데르마탄황산 포함)으로 구성되거나, 퍼얼칸(perlecan), 세르글리신, 신데칸(syndecan), 글리피칸(glypican) 등과 같이 헤파란황산 (헤파린 포함)으로 구성되거나, 루미칸, 케라토칸(keratocan), 아그레칸 등과 같이 케라탄황산으로 구성되거나, 데코린과 같이 데르마탄황산으로 구성된다.

4. 기능

프로테오글리칸은 동물의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충전재" 물질이다. 히알루론산, 콜라겐 등과 함께 큰 복합체를 형성한다. 양이온과 물을 결합하고, 기질을 통한 분자의 이동을 조절하며, 신호 분자의 활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기능은 단백질 코어 또는 부착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 사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높은 압력을 견디는 수화젤을 생성하여 윤활제 역할도 수행한다.[5][6][7]

동물은 콜라겐, 히알루론산과 함께 세포외기질을 형성하여 신체 조직 및 피부 조직을 유지한다. 조직 형성 및 신호 전달 물질로서의 역할 등 조직 유지 및 재생에 관여한다. 골지체에서 생합성되며, 세포 밖으로 방출된 콜라겐, 히알루론산, 프로테오글리칸은 복합체 구조를 이루어 조직을 유지한다. 거대 프로테오글리칸이 분자 단독으로 존재하기는 어렵다.[10]

식물은 분화 및 성장에 관여하는 다양한 생리 기능을 가진 정보 인자로 주목받고 있으며, 당쇄 구조와 생리 기능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11]

4. 1. 세포외기질 구성 및 조직 안정화

프로테오글리칸은 동물의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생물체 내 세포들 사이에 존재하는 "충전재" 물질이다. 여기서 프로테오글리칸은 다른 프로테오글리칸, 히알루론산, 콜라겐과 같은 섬유상 기질 단백질에 이르기까지 큰 복합체를 형성한다. 프로테오글리칸과 콜라겐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수분 함량이 높은(대부분 프로테오글리칸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사슬에 있는 음전하를 띤 황산기 때문) 튼튼한 조직인 연골을 형성한다.[5] 또한 양이온(예: 나트륨, 칼륨, 칼슘)과 을 결합하고, 기질을 통한 분자의 이동을 조절하는 데에도 관여한다. 기질 내 단백질과 신호 분자의 활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6][7] 프로테오글리칸의 개별 기능은 단백질 코어 또는 부착된 GAG 사슬 중 하나에 기인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압력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되는 수화젤을 생성하여 윤활제 역할을 할 수 있다.

4. 2. 신호 전달 조절

프로테오글리칸은 나트륨, 칼륨, 칼슘과 같은 양이온 및 과 결합하고, 기질을 통한 분자의 이동을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6] 또한 기질 내 단백질과 신호 분자의 활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7] 프로테오글리칸의 개별 기능은 단백질 코어 또는 부착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 사슬 중 하나에 기인할 수 있다.

4. 3. 식물의 성장 및 분화 조절

식물의 프로테오글리칸은 식물의 분화 및 성장에 관여하는 다양한 생리 기능을 가진 정보 인자로 주목받고 있으며, 당쇄 구조와 생리 기능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11] 어떤 아라비노갈락탄-프로테인(AGP) 당쇄에는 암술 측 인자 activation molecule for response capability|아모레la(AMOR, amor|사랑la) 구조가 있으며, 이것이 꽃가루관 유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아라비노갈락탄-프로테인(AGP)의 합성 과정은 기본적으로 동물의 프로테오글리칸 합성 과정과 거의 동일하며, 코어 단백질은 식물에서도 소포체에서 합성된 후 골지체로 이동한다.[11]

5. 합성

프로테오글리칸의 단백질 성분은 리보솜에서 합성되고 소포체의 내강으로 이동된다. 프로테오글리칸의 당화는 골지체에서 여러 단계의 효소적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먼저, 특수한 연결 테트라사카라이드가 코어 단백질의 세린 측쇄에 부착되어 다당류 성장의 프라이머 역할을 한다. 그런 다음, 글리코실 전이효소에 의해 한 번에 하나씩 당이 추가된다. 완성된 프로테오글리칸은 분비 소포를 통해 조직의 세포외 기질로 수송된다.

6. 임상적 중요성

프로테오글리칸 분해 능력의 결핍은 뮤코다당증과 같은 유전 질환의 특징이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분해하는 특정 리소좀 효소의 비활성화는 세포 내 프로테오글리칸 축적을 유발하며, 이는 분해되지 않는 프로테오글리칸 종류에 따라 다양한 질병 증상을 일으킨다. 갈락토실전이효소 B4GALT7 유전자 돌연변이는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척추이형성 형태를 유발한다.[8]

6. 1. 뮤코다당증 (Mucopolysaccharidoses, MPS)

뮤코다당증은 유전 질환의 한 종류로, 프로테오글리칸을 분해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인다. 리소좀 효소의 비활성화로 인해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 제대로 분해되지 않아 세포 내에 프로테오글리칸이 축적된다. 축적되는 프로테오글리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질병 증상이 나타난다. B4GALT7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데코린과 빅리칸 같은 프로테오글리칸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사슬 치환을 감소시켜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척추이형성 형태를 유발한다.[8]

6. 2.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Ehlers-Danlos Syndrome, EDS)

B4GALT7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프로테오글리칸 데코린과 빅리칸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사슬 치환을 감소시켜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의 척추이형성 형태를 유발한다.[8]

6. 3. 기타 질환

프로테오글리칸을 분해할 수 없는 능력은 유전 질환의 한 종류인 뮤코다당증의 특징이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일반적으로 분해하는 특정 리소좀 효소의 비활성화는 세포 내 프로테오글리칸의 축적을 초래한다. 이는 분해되지 않는 프로테오글리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질병 증상을 유발한다. 갈락토실전이효소 B4GALT7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프로테오글리칸 데코린과 빅리칸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사슬 치환을 감소시켜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의 척추이형성 형태를 유발한다.[8]

참조

[1] MeshName Proteoglycans
[2] 서적 Principles of medical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1-02-06
[3] 학술지 Proteoglycan form and function: A comprehensive nomenclature of proteoglycans. 2015-03-01
[4] 서적 Glycosciences: Statu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11-02-06
[5]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Life at the Molecular Level John Wiley & Sons
[6] 학술지 Syndecan-1 is a novel molecular marker for triple negative inflammatory breast cancer and modulates the cancer stem cell phenotype via the IL-6/STAT3, Notch and EGFR signaling pathways. 2017-01-01
[7] 학술지 Syndecan-1 (CD138) modulates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stem cell properties via regulation of LRP-6 and IL-6-mediated STAT3 signaling. 2013-12-01
[8] 학술지 Defective glycosylation of decorin and biglycan, altered collagen structure, and abnormal phenotype of the skin fibroblasts of an Ehlers-Danlos syndrome patient carrying the novel Arg270Cys substitution in galactosyltransferase I (beta4GalT-7). 2006-01-01
[9] 웹사이트 Nomenclature of glycoproteins, glycopeptides and peptidoglycans, Recommendations 1985 https://www.qmul.ac.[...] 2021-03-16
[10] 웹사이트 プロテオグリカンとは-弘前大学プロテオグリカン応用研究プロジェクト http://www1.cjr.hiro[...]
[11] 학술지 植物のプロテオグリカン,アラビノガラクタン-プロテインの構造と機能 https://seikagaku.jb[...] 2017-08-25
[12] 학술지 今日の話題 https://doi.org/10.1[...] 1983-01-01
[13] MeshName Proteoglycans
[14] 서적 Principles of medical biochemistry http://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1-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