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파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파린은 1916년 발견된 항응고제이다. 혈액 응고를 억제하여 혈전 생성을 예방하고,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심방세동, 심부정맥 혈전증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헤파린은 항트롬빈 III를 활성화하여 트롬빈과 Xa 인자를 억제하며, 저분자량 헤파린과 같은 유도체도 개발되었다. 부작용으로는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 혈청 아미노기전이효소 수치 상승, 고칼륨혈증 등이 있으며, 과다 복용 시 치명적일 수 있다. 헤파린은 출혈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는 금기이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파린 - 저분자량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은 미분획 헤파린보다 분자량이 작아 피하 투여가 용이하고 약동학적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항응고제로서, 정맥혈전색전증 치료 및 예방,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시술 시 항응고 요법, 암 환자의 혈전색전증 위험 감소 등에 사용되며, 과다 투여 시 프로타민으로 해독하고, 신부전 환자나 특정 알레르기 환자에게는 금지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고 규제 기관에 따라 제네릭 또는 바이오시밀러로 분류된다.
  • 헤파린 - 폰다파리눅스
    폰다파리눅스는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등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합성 오당류 Xa인자 억제 항응고제로서, 안티트롬빈 III에 결합하여 Xa인자를 중화시키고 헤파린과 유사한 효과를 내지만 트롬빈은 억제하지 않으며, 에녹사파린 대비 허혈성 사건 위험 감소에 효과적이고 출혈 위험이 낮지만 중증 신장 장애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 항응고제 - 옥살산염
    옥살산염은 옥살산의 음이온 형태로, 화학식은 C₂O₄²⁻이며, 수용액 pH에 따라 존재 형태가 달라지고, 평면형과 비틀림형 구조를 가지며, 금속 이온에 대한 리간드로 작용하고, 식물에 존재하며 과다 섭취 시 신장 결석을 유발할 수 있다.
  • 항응고제 - 나파모스타트
    나파모스타트는 일본에서 개발된 혈액 항응고제로, 급성 췌장염과 범발성 혈관 내 응고증 치료에 사용되며,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효능으로 주목받았으나 흡입 제형 개발은 중단되었다.
  • 글리코사미노글리칸 - 콘드로이틴 황화염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연골, 피부 등 다양한 조직에서 프로테오글리칸 형태로 존재하며 연골 보호, 콜라겐 섬유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골관절염 치료에 사용되지만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는 물질이다.
  • 글리코사미노글리칸 -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은 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반복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진 세포 외 기질의 주요 성분으로, 관절 윤활, 피부 수분 유지, 조직 복구 등 다양한 생체 역할 수행하며, 의학 및 미용 분야에 활용된다.
헤파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헤파린 일반 구조
Drugs.comheparin-sodium
DailyMedIDHeparin
임신 분류 (호주)C
임신 분류 (호주) 주석Heparin Interpharma APMDS
투여 경로정맥 주사
피하 주사
ATC 코드 (주요)B01AB01
ATC 코드 (보조)C05BA03
S01XA14
법적 지위 (호주)S4
법적 지위 (호주) 주석Heparin Interpharma APMDS
법적 지위 (미국)전문의약품
법적 지위전문의약품
생체 이용률불규칙함
대사
제거 반감기1.5 시간
배설소변
인덱스2 라벨나트륨
IUPHAR 리간드4214
CAS 등록 번호9005-49-6
CAS 등록 번호 (2)9041-08-1
PubChem CID22833565
DrugBank IDDB01109
ChemSpider ID17216115
UNIIT2410KM04A
KEGGD02956
KEGG (2)D02112
ChEMBL ID526514
IUPAC 이름헤파린 구조 참고
원소 조성C: 12
H: 19
N: 1
O: 20
S: 3
StdInChI1S/C26H41NO34S4/c1-4(28)27-7-9(30)8(29)6(2-52-63(43,44)45)53-24(7)56-15-10(31)11(32)25(58-19(15)21(36)37)55-13-5(3-62(40,41)42)14(60-64(46,47)48)26(59-22(13)38)57-16-12(33)17(61-65(49,50)51)23(39)54-18(16)20(34)35/h5-19,22-26,29-33,38-39H,2-3H2,1H3,(H,27,28)(H,34,35)(H,36,37)(H,40,41,42)(H,43,44,45)(H,46,47,48)(H,49,50,51)/t5-,6+,7+,8+,9+,10+,11+,12-,13-,14+,15-,16-,17+,18+,19-,22-,23?,24+,25+,26-/m0/s1
StdInChIKeyZFGMDIBRIDKWMY-PASTXAENSA-N
기본 정보 (일본어)
약물 이름 (일본어)헤파린
CAS 등록 번호 (일본어)9005-49-6
KEGG (일본어)D07510
PubChem Substance (일본어)96024437
ChEBI (일본어)28304
화학식 (일본어)(C26H40N2O36S5)n
캡션 (일본어)헤파린의 기본 단위 (예)
분자량 (일본어)1116.91×n
분자량 주석 (일본어)약 3,000 - 35,000Da
일화사전 번호 (일본어)J293.322E
기본 정보 (헤파린 나트륨, 일본어)
약물 이름 (일본어)헤파린나트륨
CAS 등록 번호 (일본어)9041-08-1
PubChem Substance (일본어)7849173
KEGG (일본어)D02112
일화사전 번호 (일본어)J209.198D
기본 정보 (2)
Drugs.com (2)heparin-sodium
임신 분류 (미국)C
임신 분류 주석 (미국)Heparin Sodium injection
법적 지위 (미국) (2)전문의약품
법적 지위 (2)전문의약품
투여 경로 (2)IV
SQ
생체 이용률 (2)불규칙함
대사 (2)
제거 반감기 (2)1.5 시간
배설 (2)소변
IUPHAR 리간드 (2)4214
CAS 등록 번호 (2)9005-49-6
ATC 코드 (주요) (2)B01AB01
ATC 코드 (보조) (2)C05BA03
S01XA14
PubChem (2)22833565
DrugBank ID (2)DB01109
ChemSpider ID (2)17216115
UNII (2)T2410KM04A
ChEMBL ID (2)526514
원소 조성 (2)C: 12
H: 19
N: 1
O: 20
S: 3
분자량 (2)12000–15000
분자량 단위 (2)g/mol
StdInChI (2)1S/C26H41NO34S4/c1-4(28)27-7-9(30)8(29)6(2-52-63(43,44)45)53-24(7)56-15-10(31)11(32)25(58-19(15)21(36)37)55-13-5(3-62(40,41)42)14(60-64(46,47)48)26(59-22(13)38)57-16-12(33)17(61-65(49,50)51)23(39)54-18(16)20(34)35/h5-19,22-26,29-33,38-39H,2-3H2,1H3,(H,27,28)(H,34,35)(H,36,37)(H,40,41,42)(H,43,44,45)(H,46,47,48)(H,49,50,51)/t5-,6+,7+,8+,9+,10+,11+,12-,13-,14+,15-,16-,17+,18+,19-,22-,23?,24+,25+,26-/m0/s1
StdInChIKey (2)ZFGMDIBRIDKWMY-PASTXAENSA-N

2. 역사

헤파린은 1916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의대생 제이 맥클린(Jay McLean)과 교수 윌리엄 헨리 하웰(William Henry Howell)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나, 실제 임상 시험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35년부터였다.[15] 헤파린이라는 이름은 처음 개의 ( ἧπαρ|hēpargrc) 세포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처음에는 지방 용해성 물질로 발견되었고,[16] 이후 1920년대 초 하웰에 의해 수용성 다당류 형태의 항응고제가 추가로 분리되어 이 역시 '헤파린'으로 명명되었다.[17][18]

1930년대에는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에릭 요르페스(Erik Jorpes)가 헤파린의 구조를 밝히고,[20] 캐나다 코노트 의학 연구소가 안전한 정제 기술을 개발하는 등[21]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1936년에는 최초의 정맥 주사용 헤파린 제품이 출시되었고, 1937년에는 임상적으로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되었다.[21]

헤파린 생산 방식은 1990년대 BSE(광우병) 확산으로 인해 큰 변화를 맞았다. 기존의 주요 원료였던 소 조직 사용이 줄어들면서, 돼지 조직을 이용한 생산이 늘어났고, 이로 인해 생산이 중국에 점차 집중되었다. COVID-19 범유행 시기에는 헤파린이 중증 환자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수요가 증가했지만,[22] 동시에 돼지 인플루엔자 유행과 도축장 폐쇄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인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특히 저소득 국가의 의료 서비스에 영향을 미쳤다.[22]

2. 1. 발견

헤파린은 1916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 2학년생이었던 제이 맥클린(Jay McLean)과 생리학 교수 윌리엄 헨리 하웰(William Henry Howell)에 의해 발견되었다.[15] 맥클린은 하웰의 지도 아래 프로응고제 연구를 하던 중, 개의 조직에서 지방에 녹는 성질을 가진 항응고제를 분리해냈다.[16] 이 물질이 개의 간 세포에서 처음 분리되었기 때문에, 그리스어로 '간'을 의미하는 ἧπαρ|hēpargrc에 접미사 '-in'을 붙여 '헤파린'(heparin)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918년 하웰은 맥클린이 발견한 지방 용해성 항응고제에 '헤파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1920년대 초, 하웰은 물에 녹는 다당류 형태의 항응고제를 추가로 분리했고, 이 역시 '헤파린'이라고 명명했다. 이는 처음에 발견된 인지질 형태의 헤파린과는 다른 물질이었다.[17][18] 외과의사였던 맥클린의 배경은 하웰 연구팀이 항응고제 연구에 집중하게 만들었고, 이는 다당류 형태 헤파린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초기에는 하웰이 헤파린의 주된 발견자로 여겨졌으나, 1940년대에 맥클린은 자신의 기여가 충분히 인정받지 못했다고 생각하며 이의를 제기하기 시작했다. 그는 전임 상관이었던 하웰과의 관계를 고려해 비교적 신중하게 접근했지만, 강연과 서신을 통해 자신이 발견자임을 꾸준히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점차 받아들여졌고, 1959년 맥클린이 사망했을 때, 그의 부고 기사에서는 그를 헤파린의 진정한 발견자로 명시했다. 1963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는 1916년 하웰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헤파린 발견에 기여한 맥클린의 공헌을 기리는 기념 명판을 설치하며 이를 공식화했다.[19]

1930년대에는 여러 연구자들이 헤파린 정제 및 개발에 힘썼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에릭 요르페스(Erik Jorpes)는 1935년 헤파린의 구조를 밝혀냈고,[20] 이를 바탕으로 스웨덴 회사 비트럼 AB(Vitrum AB)는 1936년 최초의 정맥 주사용 헤파린 제품을 출시했다. 한편,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소속이었던 코노트 의학 연구소(Connaught Medical Research Laboratories)는 1933년부터 1936년까지 연구를 통해 환자에게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무독성 헤파린 정제 기술을 개발했다. 최초의 인체 대상 임상 시험은 1935년 5월에 시작되었으며, 1937년에는 코노트 연구소의 헤파린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혈액 항응고제임이 입증되었다. 1933년 이전까지 헤파린은 소량만 구할 수 있었고 가격이 매우 비쌌으며 독성이 강해 의학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21]

2. 2. 헤파린 생산과 변화

헤파린은 1916년 제이 맥클린(Jay McLean)과 윌리엄 헨리 하웰(William Henry Howell)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나, 실제 임상 시험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35년부터였다.[15] 헤파린이라는 이름은 처음 개의 세포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이는 그리스어로 간을 의미하는 ἧπαρ|헤파르grc(''hēpar'')에 접미사 '-in'을 결합한 것이다.

당시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 2학년생이었던 맥클린은 하웰 교수의 지도 아래 연구하던 중, 개 간 조직에서 지방에 녹는 성질을 가진 항응고제를 분리해냈다.[16] 1918년 하웰은 이 물질에 '헤파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1920년대 초, 하웰은 물에 녹는 다당류 형태의 항응고제를 추가로 분리했으며, 이 역시 '헤파린'이라고 명명했다. 이는 이전에 발견된 인지질 기반의 헤파린과는 다른 물질이었다.[17][18] 외과의사였던 맥클린의 경력은 하웰 연구팀이 항응고제 연구에 집중하게 만들었고, 이는 다당류 헤파린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초기에는 하웰이 헤파린의 발견자로 여겨졌지만, 1940년대 맥클린은 자신의 발견에 대한 정당한 인정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강연과 서신을 통해 자신의 기여를 알렸고, 점차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1959년 맥클린이 사망했을 때, 부고 기사에서는 그를 헤파린의 진정한 발견자로 인정했다. 1963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는 맥클린의 공헌을 기리는 명판을 제막하여 그의 역할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9]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헤파린 연구는 더욱 활발해졌다. 스웨덴카롤린스카 연구소 소속 에릭 요르페스(Erik Jorpes)는 1935년 헤파린의 구조를 밝혀냈으며,[20] 이를 바탕으로 스웨덴 기업 비트럼 AB는 1936년 최초의 정맥 주사용 헤파린 제품을 출시했다. 같은 시기(1933년-1936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산하 코노트 의학 연구소는 인체에 안전하고 독성이 없는 헤파린을 식염수 용액 형태로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최초의 인체 대상 임상 시험은 1935년 5월에 시작되었으며, 1937년에는 코노트 연구소의 헤파린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응고제임이 입증되었다. 이전까지 헤파린은 생산량이 적고 가격이 비쌌으며 독성 문제로 인해 의학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어려웠다.[21]

헤파린 생산 방식은 1990년대에 큰 변화를 맞았다. 이전까지 헤파린은 주로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소의 조직에서 추출되었다. 그러나 광우병(BSE)이 확산되면서 많은 제조업체들이 소 유래 헤파린 생산을 중단했으며, 이로 인해 헤파린 생산은 돼지 사육 및 도축 산업이 발달한 중국으로 점차 집중되었다. 의료 시스템의 축산업 의존성은 COVID-19 범유행 시기에 심각한 문제로 드러났다. 2020년 여러 연구에서 헤파린이 항응고 효과를 통해 면역혈전증 형성을 억제하여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상태를 완화하는 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하지만 동시에 중국에서 새로운 돼지 인플루엔자가 유행함에 따라 돼지 개체 수가 급감했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헤파린 공급 부족으로 이어졌다. 더욱이 전 세계 주요 도축장들이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일시 폐쇄되면서 공급망 문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이러한 헤파린 부족 사태는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심장 수술 취소 등 코로나19 치료 외적인 부분까지 의료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22]

3. 작용 기전

헤파린은 항트롬빈 III(AT)라는 효소 억제제에 결합하여 그 구조를 변화시키고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52] 활성화된 AT는 혈액 응고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트롬빈, Xa 인자(X 인자의 활성형) 및 다른 프로테아제들을 비활성화시키며, 헤파린이 존재할 경우 이 비활성화 속도는 최대 100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53] 헤파린은 분자 내에 포함된 특정 펜타사카라이드(5개의 당 분자) 서열을 통해 AT에 결합한다.

헤파린의 항응고 작용은 억제 대상 효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Xa 인자의 억제는 헤파린과 AT의 결합만으로도 충분하지만, 트롬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헤파린 분자가 AT뿐만 아니라 트롬빈과도 동시에 결합하여 삼원 복합체를 형성해야 한다. 이 복합체 형성은 헤파린 분자의 길이에 영향을 받으며, 효율적인 형성을 위해 최소 18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필요하다.[54] 이러한 크기 의존성의 차이는 저분자량 헤파린(LMWH)과 같이 특정 응고 인자를 보다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물 개발의 기초가 되었다.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헤파린에는 크게 비분획 헤파린(UFH)과 저분자량 헤파린(LMWH)이 있다. UFH는 자연 상태의 다양한 길이의 헤파린 분자를 포함하는 반면, LMWH는 특정 분자량 범위의 헤파린만을 분리하여 약력학적 반응을 더 예측 가능하게 만든 것이다.[51] 헤파린의 효과는 주로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검사를 통해 모니터링한다.

3. 1. 안티트롬빈 III 활성화

안티트롬빈과 헤파린(우측면)의 복합체


헤파린은 효소 억제제인 항트롬빈 III(AT)에 결합하여 그 구조를 변화시키고 활성화시킨다. 이 활성화는 AT의 활성 부위 루프의 유연성을 증가시켜 이루어진다.[52] 활성화된 AT는 트롬빈, X인자의 활성형인 Xa 인자, 그리고 다른 프로테아제들을 비활성화시킨다. 헤파린이 결합하면 AT에 의한 이러한 프로테아제들의 비활성화 속도가 최대 100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53]

헤파린은 헤파린 중합체 내의 특정 펜타사카라이드 설페이션 서열을 통해 AT에 결합한다. 이 서열은 다음과 같다.

: GlcNAc/NS(6S)-GlcA-GlcNS(3S,6S)-IdoA(2S)-GlcNS(6S)

헤파린이 AT에 결합하여 구조를 변화시키면 Xa 인자의 억제가 매개된다. 그러나 트롬빈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트롬빈 역시 펜타사카라이드 근처의 다른 부위에서 헤파린 중합체에 결합해야 한다. 헤파린 분자의 높은 음전하 밀도는 트롬빈과의 강한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유발한다.[37] AT, 트롬빈, 헤파린 세 분자가 결합하는 삼원 복합체가 형성되어야 트롬빈이 효과적으로 비활성화된다. 이 때문에 헤파린의 트롬빈 억제 활성은 헤파린 분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효율적인 삼원 복합체 형성을 위해서는 최소 18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필요하다.[54] 반면, AT를 통한 항-Xa 인자 활성은 펜타사카라이드 결합 부위만 있으면 충분하다. 즉, Xa 인자의 억제에는 헤파린과 Xa 인자의 직접적인 결합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크기 차이는 저분자량 헤파린(LMWH)과 폰다파리눅스 개발의 배경이 되었다. 폰다파리눅스는 합성 펜타사카라이드로, 헤파린 중합체나 헤파란 황산염에서 발견되는 AT 결합 펜타사카라이드 서열과 거의 동일한 화학 구조를 가진다. 폰다파리눅스는 트롬빈 활성 억제보다는 항-Xa 인자 활성을 표적으로 하여, 응고 조절을 더 정밀하게 하고 치료 효과를 높이며 부작용 위험을 줄인다. LMWH는 당쇄가 짧아 AT와는 결합하지만 트롬빈과는 직접 결합하기 어려워, 주로 Xa 인자의 작용을 억제한다.

LMWH와 폰다파리눅스를 사용하면 골다공증 및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HIT)의 위험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모니터링이 필요하지 않은데, 이는 aPTT가 Xa 인자 변화에는 민감하지 않아 이들 약물의 항응고 효과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나파로이드는 헤파란 황산염, 데르마탄 황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의 혼합물로, 헤파린을 포함하지 않아 HIT가 발생한 환자에게 항응고제로 사용될 수 있다. 헤파린 유도 항체와의 교차 반응성은 10% 미만으로 보고된다.[55]

일반적인 헤파린(비분획 헤파린, UFH)의 효과는 주로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검사를 통해 실험실에서 측정한다. aPTT는 혈장이 응고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내인성 경로와 공통 경로의 혈액 응고 인자 활성을 반영한다. 이는 외인성 경로를 평가하는 프로트롬빈 시간(PT)과는 다른 검사이다. 헤파린은 AT를 활성화하여 응고 과정을 억제하므로 aPTT 시간을 연장시킨다.

3. 2. 트롬빈 및 Xa 인자 억제

헤파린은 효소 억제제인 항트롬빈 III(AT)에 결합하여 그 구조를 변화시키고 활성화한다.[52] 활성화된 AT는 혈액 응고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트롬빈과 Xa 인자(활성화된 X 인자) 및 기타 프로테아제들을 비활성화시킨다. 헤파린이 AT에 결합하면 이러한 프로테아제들의 비활성화 속도가 최대 100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53] 헤파린은 분자 내 특정 펜타사카라이드(5개의 당 분자로 이루어진 단위) 서열을 통해 AT에 결합한다.

: GlcNAc/NS(6S)-GlcA-GlcNS(3S,6S)-IdoA(2S)-GlcNS(6S)

AT가 헤파린에 결합하여 구조가 변하면 Xa 인자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트롬빈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트롬빈 자체도 헤파린 분자에 결합해야 한다. 헤파린의 강한 음전하가 트롬빈과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유도한다.[37] 즉, 트롬빈 억제는 AT, 트롬빈, 헤파린 세 분자가 함께 결합하는 삼원 복합체 형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복합체가 효율적으로 형성되려면 헤파린 분자가 최소 18개의 사카라이드 단위 길이를 가져야 하므로[54], 헤파린의 트롬빈 억제 효과는 그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반면, Xa 인자 억제는 헤파린과 AT의 결합만으로 충분하며, 헤파린의 크기에 상대적으로 덜 의존적이다.

이러한 크기에 따른 작용 기전의 차이는 저분자량 헤파린(LMWH)과 폰다파리눅스 개발의 배경이 되었다. LMWH는 비분획 헤파린(UFH)보다 분자량이 작아, 트롬빈보다는 Xa 인자를 더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폰다파리눅스는 헤파린의 AT 결합 부위인 펜타사카라이드 서열만을 합성한 약물로, Xa 인자만 특이적으로 억제하고 트롬빈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응고 조절을 더 정밀하게 하고 치료 지수를 개선할 수 있다. LMWH와 폰다파리눅스는 UFH에 비해 골다공증이나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HIT)과 같은 부작용 발생 위험이 낮고, 약효 예측이 더 용이하여 일반적으로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모니터링이 필요하지 않다.[51] aPTT는 Xa 인자 변화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LMWH나 폰다파리눅스의 항응고 효과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

다나파로이드는 헤파란 황산염, 데르마탄 황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의 혼합물로 구성된 항응고제이다. 헤파린이나 그 조각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헤파린 사용으로 인해 HIT가 발생한 환자에게 대체 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 헤파린 유도 항체와의 교차 반응성은 10% 미만으로 보고된다.[55]

헤파린(특히 UFH)의 효과는 주로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검사를 통해 측정한다. aPTT는 혈장이 응고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응고 계단의 다른 경로를 측정하는 프로트롬빈 시간(PT)과는 구별된다.

3. 3. 저분자량 헤파린(LMWH)

자연 상태의 헤파린은 다양한 길이의 폴리머 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비분획 헤파린(UFH)은 분자량이 낮은 부분을 제거하는 분획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이다. 반면, 저분자량 헤파린(LMWH, Low Molecular Weight Heparin)은 약력학적 특성을 더 예측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분획화 과정을 거친 헤파린이다.[51]

저분자량 헤파린은 안티트롬빈 III와 결합하여 Xa 인자(X 인자의 활성형)의 작용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항응고 효과를 나타낸다. 비분획 헤파린(UFH)은 트롬빈과 Xa 인자 모두를 억제하기 위해 헤파린 분자가 안티트롬빈 III 및 트롬빈과 모두 결합해야 하지만, 저분자량 헤파린은 당쇄가 짧아 안티트롬빈 III와는 결합할 수 있지만 트롬빈과는 직접 결합하기 어렵다. 따라서 트롬빈의 작용은 거의 억제하지 않고, 안티트롬빈 III와의 결합만으로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Xa 인자의 작용을 주로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 기전의 차이로 인해 저분자량 헤파린은 비분획 헤파린에 비해 출혈과 같은 부작용 발생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임상에서 더 자주 사용되고 있다.

4. 약물동태

헤파린은 분자량이 크고 음전하를 띠기 때문에 위장관에서 흡수되지 않아 비경구적 투여가 필요하다.[51] 주로 정맥 주사 또는 피하주사로 투여하며, 혈종 발생 위험으로 인해 근육 주사는 피한다.[51]

헤파린은 투여 경로와 제형(예: 미분획 헤파린(UFH) 또는 저분자량 헤파린(LMWH))에 따라 체내 동태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정맥 투여 시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며, 피하 투여 시에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반감기는 제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LMWH는 UFH보다 반감기가 길어 투여 빈도를 줄일 수 있다.[56][57] 이는 주로 체내 제거 방식의 차이 때문이다. UFH는 내피세포 및 대식세포 결합과 신장 배설 등 복합적인 경로로 제거되지만,[59] LMWH는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

헤파린의 항응고 작용은 항트롬빈 III(AT)를 활성화하여 트롬빈과 X인자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52][53] 헤파린 분자의 크기는 트롬빈과 X인자에 대한 억제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트롬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긴 사슬(최소 18개 사카라이드 단위)이 필요하지만,[54] X인자 억제는 더 짧은 특정 펜타사카라이드 서열만으로도 가능하다. 이러한 크기에 따른 활성 차이는 LMWH와 폰다파리눅스 같은 약물 개발의 배경이 되었다.


  • 폰다파리눅스: 헤파린의 AT 결합 부위인 펜타사카라이드를 합성한 약물이다. X인자만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예측 가능한 효과를 보이며, 골다공증 및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HIT) 위험이 낮고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모니터링이 필요 없다.
  • 다나파로이드: 헤파란 황산염, 데르마탄 황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의 혼합물로, HIT 발생 시 헤파린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다. 헤파린 구조를 포함하지 않아 교차 반응성이 낮다.[55]


헤파린(특히 UFH)의 치료 효과는 주로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으로 모니터링한다. aPTT는 혈액 응고 시간 측정 검사 중 하나이다. 반면, LMWH와 폰다파리눅스는 X인자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 aPTT 변화에 덜 민감하므로 일반적으로 aPTT 모니터링이 필요하지 않다.

4. 1. 미분획 헤파린

자연 상태의 헤파린은 다양한 사슬 길이를 가진 폴리머이다. 의약품으로서 미분획 헤파린(Unfractionated Heparin, UFH)은 분자량이 낮은 분획을 제거하기 위한 분획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헤파린을 의미한다. 이는 약력학적 특성을 더 예측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분획화 과정을 거친 저분자량 헤파린(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과 구분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UFH나 LMWH 중 하나가 다른 것보다 더 적합할 수 있다.[51]

피하주사용 헤파린 바이알


헤파린은 분자 크기가 크고 음전하를 많이 띠고 있어 위장관에서 흡수되지 않으므로, 비경구적으로 투여해야 한다.[51] 주로 정맥 주사나 피하 주사(피부 아래 주사) 방식으로 투여하며, 혈종 형성 위험 때문에 근육 주사는 피한다.[51]

미분획 헤파린은 생물학적 반감기가 약 1~2시간으로 짧기 때문에,[56]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자주 투여하거나 지속적인 정맥 주입이 필요하다.[51] 저분자량 헤파린(LMWH)의 반감기는 4~5시간으로 더 길어,[57] 하루 한 번 투여가 가능하여 지속적인 주입이 필요 없다.

미분획 헤파린의 약동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투여 경로별 작용 발현: 정맥 투여 시 작용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피하 투여 시 약 60분이 소요된다.
  • 혈중 반감기: 일반적으로 약 40~90분이다. 이는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고용량일수록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59]
  • 제거 과정: 혈액 내에서 빠르게 제거되는 단계(주로 상피세포와 대식세포에 결합)와 느리게 제거되는 단계(주로 신장을 통한 배설)를 거친다.[59] 대식세포에 의해 흡수되어 분해되기도 한다.[59]


장기간 항응고 치료가 필요한 경우, 미분획 헤파린은 종종 와파린과 같은 경구용 항응고제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초기 치료제로 사용된다.[51] 미국흉부외과의사회는 헤파린 투여에 대한 임상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58]

4. 2. 저분자량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LMWH)은 자연 상태의 다양한 사슬 길이를 가진 헤파린 폴리머를 분획화하여 분자량이 낮은 부분을 얻은 것이다.[51] 이는 비분획 헤파린(UFH)과 달리 약력학적 특성을 더 예측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51] UFH 또는 LMWH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LMWH가 더 적합할 수 있다.[51]

LMWH는 헤파린 분자가 크고 음전하를 띠어 에서 흡수되지 않으므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된다.[51] 주로 피하주사(피부 아래 주사) 방식으로 투여하며, 혈종 형성 위험 때문에 근육 주사는 피한다.[51]

LMWH는 UFH보다 반감기가 상당히 길다. UFH의 반감기는 약 1~2시간[56]인 반면, LMWH의 반감기는 약 4~5시간으로 4배 정도 길다.[57][56] 이는 LMWH가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며(단상 소실), UFH처럼 내피세포나 대식세포에 결합하여 빠르게 제거되는 과정이 적기 때문이다. 긴 반감기 덕분에 LMWH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하는 것이 가능해져, 지속적인 주입이 필요했던 UFH에 비해 투여 편의성이 높다.[57] 또한, LMWH는 혈중 농도를 예측하기가 UFH보다 용이하다.

LMWH는 UFH와 달리 APTT를 연장시키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장기간 항응고 치료가 필요할 때, 와파린과 같은 경구용 항응고제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초기 치료로 헤파린(UFH 또는 LMWH)이 사용되기도 한다.

5. 용도

헤파린은 항응고제로 작용하여 혈액 내에서 혈전 형성을 예방하고 기존 혈전의 확장을 막는다. 헤파린 자체는 이미 형성된 혈전을 분해하지는 않지만, 트롬빈 및 기타 혈전 형성 촉진 세린 프로테아제를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예방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23] 주로 다양한 혈전색전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심장수술이나 혈액투석과 같은 의료 시술 중 혈액 응고 방지, 그리고 카테터 관리 등에 사용된다.

5. 1. 혈전색전증 치료 및 예방

주사용 헤파린나트륨 바이알


헤파린은 항응고제로 작용하여 혈액 내에서 혈전 형성을 예방하고 기존 혈전의 확장을 막는다. 헤파린 자체는 이미 형성된 혈전을 분해하지는 않지만, 트롬빈 및 기타 혈전 형성 촉진 세린 프로테아제를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예방한다. 헤파린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환 및 상태에 대한 항응고제로 사용된다.[23]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예: 비ST분절상승심근경색증
  • 심방세동
  • 심부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 (예방 및 치료 모두)
  • 기타 혈전증 상태 및 질환
  • 심장수술을 위한 심폐바이패스
  • 체외생명유지장치를 위한 ECMO 회로
  • 혈액여과
  • 중심 또는 말초 정맥 카테터의 체내 삽입


헤파린과 저분자량 헤파린 유도체(예: 에녹사파린, 달테파린, 틴자파린)는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심부 정맥 혈전증과 폐색전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24][25] 그러나 사망률 예방에 있어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나타내는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26]

혈관조영술에서는 2~5 단위/mL의 비분획 헤파린 생리식염수 세척액을 잠금 용액으로 사용하여 가이드 와이어, 시스 및 카테터 내 혈액 응고를 방지한다. 이는 이러한 기구에서 순환계로 혈전이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27][28]

비분획 헤파린은 혈액투석에도 사용된다. 저분자량 헤파린과 비교했을 때, 비분획 헤파린은 투석 후 장시간 항응고 작용을 하지 않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헤파린의 작용 시간이 짧기 때문에 효과를 유지하려면 지속적인 주입이 필요하며,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의 위험이 더 높다는 단점이 있다.[29]

이 외에도 혈전색전증과 파종성혈관내응고증후군(DIC) 치료, 인공투석, 인공심폐에서의 응고 방지 등에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채혈한 혈액의 응고 방지에도 사용된다.

5. 2. 파종성혈관내응고증후군(DIC) 치료

헤파린은 파종성혈관내응고증후군(DIC) 치료에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5. 3. 인공투석 및 체외순환

헤파린은 인공투석이나 체외순환(인공심폐) 시 혈액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심장수술을 위한 심폐바이패스, 체외생명유지장치(ECMO) 회로, 혈액여과 등 다양한 체외순환 상황에서 응고 방지 목적으로 활용된다.[23]

특히 혈액투석에는 비분획 헤파린이 주로 사용된다. 저분자량 헤파린과 비교했을 때, 비분획 헤파린은 비용이 저렴하고 투석이 끝난 후 항응고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작용 시간이 짧아 효과를 유지하려면 계속 주입해야 하며,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 발생 위험이 더 높다는 단점도 있다.[29]

이 외에도 채혈한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도 쓰인다.

5. 4. 기타



헤파린은 항응고제로 작용하여 혈액 내에서 혈전 형성을 예방하고 기존 혈전의 확장을 막는다. 헤파린 자체는 이미 형성된 혈전을 분해하지는 않으며, 트롬빈 및 다른 혈전 형성 촉진 세린 프로테아제를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예방한다. 헤파린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환이나 상황에서 항응고제로 사용된다.[23]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예: 비ST분절상승심근경색증
  • 심방세동
  • 심부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 (예방 및 치료 모두)
  • 기타 혈전증 상태 및 질환
  • 심장수술을 위한 심폐바이패스
  • 체외생명유지장치를 위한 ECMO 회로
  • 혈액여과
  • 중심 또는 말초 정맥 카테터의 체내 삽입


헤파린과 저분자량 헤파린 유도체(예: 에녹사파린, 달테파린, 틴자파린)는 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에게 심부정맥혈전증과 폐색전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지만,[24][25] 사망률 예방 측면에서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인지를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26]

혈관조영술에서는 2~5 단위/mL 농도의 비분획 헤파린 생리식염수 세척액을 잠금 용액으로 사용하여 가이드 와이어, 시스, 카테터 내 혈액 응고를 방지한다. 이를 통해 이러한 기구에서 순환계로 혈전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막는다.[27][28]

비분획 헤파린은 혈액투석에도 사용된다. 저분자량 헤파린과 비교할 때, 비분획 헤파린은 투석 후 장시간 항응고 작용을 하지 않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헤파린의 작용 시간이 짧기 때문에 효과를 유지하려면 지속적인 주입이 필요하며,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의 위험이 더 높다는 단점도 있다.[29]

이 외에도 혈전색전증과 파종성혈관내응고증후군(DIC) 치료, 인공투석, 인공심폐에서의 응고 방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채혈한 혈액의 응고 방지에도 사용된다.

5. 5. 헤파린 교체 (헤파린 브리지)

'''헤파린 교체'''란, 항혈소판제 또는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환자가 외과 수술이나 내시경적 치료를 받을 때, 이러한 약물을 '''헤파린'''으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헤파린 브리지'''라고도 한다. 수술 전에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혈액 응고 기능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외과 수술이나 내시경적 치료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면 지혈이 어렵다고 여겨져 왔다. 와파린 등의 약물이 해당되지만, 반감기가 길기 때문에 수술 며칠 전부터 복용을 중단하지 않으면 수술 전후 기간의 출혈 위험이 높아진다.

항응고제의 휴약이 가능한 경우에는 휴약하도록 하지만, 혈전색전증의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에는 오히려 수술 전후 기간의 혈전색전증 위험이 높아진다. 그래서, 경구 복용 중인 항응고제 대신 헤파린을 정맥 주사함으로써 그 위험을 줄여야 한다고 여겨져 왔다.

6. 부작용

(내용 없음)

6. 1.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HIT)

헤파린의 심각한 부작용 중 하나로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HIT)이 있다.[30] 이는 면역 반응에 의해 혈소판이 표적이 되어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이다. HIT는 무증상의 혈소판 감소와 증상성 혈전증(동맥 및 정맥 혈전의 발생, 증가, 확대)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헤파린 투여를 중단하면 회복되며, 합성 헤파린을 사용하면 예방할 수 있다. 모든 헤파린 항체 보유 환자에게서 혈소판 감소증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진단된 HIT 환자 중 약 1/3은 최종적으로 혈전증 합병증을 겪게 된다.[31]

한편, 헤파린 사용 초기에 나타나는 양성의 혈소판 감소증도 있다. 이는 HIT와 달리 헤파린 투여를 중단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사라진다.

6. 2. 기타 부작용

헤파린의 주요 부작용 중 하나는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HIT)이다.[30] 이는 면역 반응으로 인해 혈소판이 공격받아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이다. 일반적으로 헤파린 투여를 중단하면 회복되며, 합성 헤파린을 사용하면 예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모든 헤파린 항체 환자에게서 혈소판 감소증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헤파린 사용 초기에 나타나는 경미한 혈소판 감소증은 투여를 중단하지 않아도 저절로 사라지기도 한다. 하지만 진단된 HIT 환자의 약 3분의 1은 혈전증과 같은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31]

출혈 외의 다른 부작용도 알려져 있다. 첫째, 헤파린 투여 환자의 최대 80%에서 혈청 아미노기전이효소 수치가 상승하는 경우가 보고되었다. 이는 간 기능 장애와는 관련이 없으며, 약물 투여를 중단하면 정상으로 돌아온다. 둘째, 헤파린 투여 환자의 5~10%에서 고칼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헤파린이 알도스테론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고칼륨혈증은 보통 헤파린 치료 시작 후 며칠 이내에 나타날 수 있다. 드물지만, 장기간 헤파린을 사용할 경우 탈모나 골다공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23]

다른 많은 약물처럼 헤파린도 과다 복용 시 치명적일 수 있다. 2006년 9월,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의 한 병원에서 조산아 3명이 실수로 헤파린 과다 복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도 했다.[32][114]

동물 조직에서 추출하는 헤파린의 특성상, 합성 의약품에 비해 불순물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는 바이러스, 세균성 내독소, 전염성 해면상뇌증 유발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조 과정에서 용매나 중금속 등이 유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오염 물질을 최소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잘 확립되어 있다.[87] 2007년 12월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세균(''Serratia marcescens'')에 오염된 헤파린 주사기 제품을 회수하는 일도 있었다. 이 세균은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88]

7. 금기

헤파린은 출혈 위험이 있는 사람, 특히 혈압이 조절되지 않거나 간 질환이 있는 사람, 뇌졸중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중증 간 질환이나 중증 고혈압 환자에게도 금기이다.[33]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환자에게는 헤파린 사용이 금지된다.


  • 현재 출혈이 있는 환자:
  •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혈관 장애로 인한 출혈 경향, 혈우병 등 혈액 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 단,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는 제외한다.
  • 월경 기간 중인 경우.
  • 수술 중이거나 수술 직후인 경우.
  • 소화성 궤양, 요로 출혈, 객혈 등 활동성 출혈이 있는 경우.
  • 조산이나 분만 직후와 같이 생식기 출혈을 동반하는 임산부 및 산욕부.
  • 두개내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
  • 출혈 가능성이 높은 환자:
  • 내장 종양, 소화기 게실염, 대장염 등 출혈 위험이 있는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 환자.
  • 중증 고혈압 환자.
  • 중증 당뇨병 환자.
  • 중증의 간 장애가 있는 환자.
  • 중증의 신 장애가 있는 환자.
  • 중추신경계 수술 또는 외상 후 회복 초기 단계에 있는 환자.
  • 과거 헤파린 성분에 대해 과민증 반응을 보였던 환자.
  • 과거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HIT: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을 겪었던 환자.

8. 화학적 특징

헤파린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계열에 속하는 복잡한 탄수화물이다.[61] 구조적으로는 다양하게 황산화된 반복 이당류 단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헤파린의 고유한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61] 천연 헤파린은 분자량이 3~30 kDa(킬로달톤) 범위로 다양하지만,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헤파린 제제는 평균 분자량이 12~15 kDa 정도이다.[60] 헤파린과 밀접하게 관련된 분자로는 헤파란 황산이 있다.[61] 헤파린의 구체적인 분자 구조와 3차원 구조, 그리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분해 기술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8. 1. 분자 구조

헤파린의 구슬막대기 모델


천연 헤파린은 분자량이 3~30 kDa(킬로달톤) 범위의 중합체이지만, 대부분의 상업용 헤파린 제제의 평균 분자량은 12~15 kDa이다.[60][115] 헤파린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계열의 탄수화물(밀접하게 관련된 분자인 헤파란 황산 포함)에 속하며, 다양하게 황산화된 반복 이당류 단위로 구성된다.[61][116]

헤파린에서 발견되는 주요 이당류 단위는 아래와 같다. 가장 흔한 이당류 단위는 2-''O''-황산화된 이두론산(IdoA)과 6-''O''-황산화되고 ''N''-황산화된 글루코사민(GlcN), 즉 IdoA(2S)-GlcNS(6S)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소 폐에서 추출한 헤파린의 85%와 돼지 장점막에서 추출한 헤파린의 약 75%를 차지한다.[62][117]

3-''O''-황산화된 글루코사민(GlcNS(3S,6S)) 또는 유리 아민기(GlcNH3+)를 포함하는 희귀 이당류도 존재한다. 생리적 조건 하에서, 에스터아마이드 황산기는 탈양성자화되고 양전하를 띤 반대이온을 끌어들여 헤파린 염을 형성한다. 헤파린은 일반적으로 항응고제로 이 형태로 투여된다.

IdoA(2S)-GlcNS(6S)


IdoA(2S)-GlcNS


IdoA-GlcNS(6S)


GlcA-GlcNAc


GlcA-GlcNS


IdoA-GlcNS

  • GlcA = β-D-글루쿠론산
  • IdoA = α-L-이두론산
  • IdoA(2S) = 2-''O''-술포-α-L-이두론산
  • GlcNAc = 2-데옥시-2-아세타미도-α-D-글루코피라노실
  • GlcNS = 2-데옥시-2-술파미도-α-D-글루코피라노실
  • GlcNS(6S) = 2-데옥시-2-술파미도-α-D-글루코피라노실-6-''O''-황산염


헤파린 한 단위(하웰 단위)는 약 0.002mg의 순수 헤파린에 해당하는 양이며, 이는 0°C에서 24시간 동안 1ml의 고양이 혈액을 유동 상태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양이다.[63][118]

8. 2. 3차원 구조

헤파린의 3차원 구조는 올리고당 내부에 위치한 이두론산이 두 가지 낮은 에너지의 입체 배좌 중 하나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하다. 이 입체 배좌 평형은 인접한 글루코사민 당의 황산화(sulfation)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64][119]

6개의 GlcNS(6S)-IdoA(2S) 반복 단위로 구성된 헤파린 도데카사카라이드(12당)의 용액 구조는 NMR 분광법분자 모델링 기술을 결합하여 결정되었다.[65][120] 이 연구를 통해 두 가지 모델이 구축되었는데, 하나는 모든 이두론산(IdoA(2S)) 잔기가 2S0 입체 배좌를 가지는 모델이고(그림의 A 및 B), 다른 하나는 1C4 입체 배좌를 가지는 모델이다(그림의 C 및 D).[65] 그러나 이러한 입체 배좌 간의 변화가 협동적으로 일어난다는 증거는 없다.[65] 이 모델들은 단백질 데이터 뱅크 코드 1HPN에 해당한다.[66][121]

헤파린의 두 가지 다른 입체 구조. A와 C는 막대 모형, B와 D는 반데르발스 반지름 공간 채우기 모형이다. A와 B는 모든 이두론산(IdoA(2S)) 잔기가 2S0 배열을, C와 D는 1C4 배열을 가진다.


이러한 모델에서 헤파린은 나선형 배열을 취하며, 이 나선의 회전은 황산기 클러스터를 나선축의 양쪽에 약 17 Å (1.7 nm)의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한다.[65]

8. 3. 분해 기술

헤파린과 헤파란 황산염(HS)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대부분의 분석은 화학적 또는 효소적 해중합 기술, 또는 두 가지의 조합을 기반으로 한다.

8. 3. 1. 효소적 분해

헤파린과 헤파란 황산염(HS)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는 데에는 주로 화학적 또는 효소적 해중합 기술, 혹은 이 두 가지를 조합한 방법이 사용된다.

헤파린 또는 HS를 분해하는 데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효소는 토양 박테리아인 ''Pedobacter heparinus''(이전 명칭 ''Flavobacterium heparinum'')가 자연적으로 생성한다.[67] 이 박테리아는 헤파린 또는 HS를 유일한 탄소 및 질소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아제, 글루쿠로니다제, 설포에스테라제, 설파미다제와 같은 다양한 효소를 만들어낸다.[68] 이 중 리아제는 헤파린/HS 연구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Pedobacter heparinus''는 세 가지 종류의 리아제, 즉 헤파리나제 I (EC 4.2.2.7), 헤파리나제 II (EC 번호 할당되지 않음), 헤파리나제 III (EC 4.2.2.8)를 생성하며, 각각은 아래 표와 같이 고유한 기질 특이성을 가진다.[69][70]

헤파리나제 효소기질 특이성
헤파리나제 IGlcNS(±6S)-IdoA(2S)
헤파리나제 IIGlcNS/Ac(±6S)-IdoA(±2S)
GlcNS/Ac(±6S)-GlcA
헤파리나제 IIIGlcNS/Ac(±6S)-GlcA/IdoA (GlcA 선호)



UA(2S)-GlcNS(6S)


리아제는 베타 제거 메커니즘을 통해 헤파린/HS 사슬을 절단한다. 이 과정에서 우론산 잔기의 C4와 C5 사이에 불포화 이중 결합이 생성된다.[71][72] 이렇게 생성된 C4-C5 불포화 우론산(ΔUA 또는 UA로 표기)은 232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이는 민감한 UV 발색단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효소 분해 속도를 추적하고, 분해 결과 생성된 단편들을 검출하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8. 3. 2. 화학적 분해

헤파린과 헤파란 황산염(HS)의 구조와 기능 분석은 주로 화학적 또는 효소적 해중합 기술, 혹은 두 가지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헤파린 또는 HS 분해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효소는 토양 박테리아인 ''Pedobacter heparinus''(이전 명칭 ''Flavobacterium heparinum'')가 자연적으로 생성한다.[67] 이 박테리아는 헤파린 또는 HS를 유일한 탄소 및 질소원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해 리아제, 글루쿠로니다제, 설포에스테라제, 설파미다제 등 다양한 효소를 만든다.[68] 이 중 리아제는 헤파린/HS 연구에 주로 사용된다. 이 박테리아는 헤파리나제 I (EC 4.2.2.7), 헤파리나제 II (EC 번호 할당 없음), 헤파리나제 III (EC 4.2.2.8) 세 가지 리아제를 생성하며, 각각 아래 표와 같이 고유한 기질 특이성을 가진다.[69][70]

헤파리나제 효소기질 특이성
헤파리나제 IGlcNS(±6S)-IdoA(2S)
헤파리나제 IIGlcNS/Ac(±6S)-IdoA(±2S)
GlcNS/Ac(±6S)-GlcA
헤파리나제 IIIGlcNS/Ac(±6S)-GlcA/IdoA (GlcA 선호)



리아제는 베타 제거 메커니즘을 통해 헤파린/HS 사슬을 절단한다. 이 과정에서 우론산 잔기의 C4와 C5 사이에 불포화 이중 결합이 생성된다.[71][72] C4-C5 불포화 우론산(ΔUA 또는 UA)은 232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이는 민감한 UV 발색단으로 작용하여, 효소 분해 속도를 추적하거나 분해 생성물을 검출하는 데 유용하다.

아질산을 이용한 화학적 탈중합 방법도 있다. 아질산은 pH 1.5 또는 더 높은 pH 4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두 조건 모두에서 사슬의 탈아미노 분해를 일으킨다.[73]

IdoA(2S)-aMan: 무수만노스는 무수만니톨로 환원될 수 있다
GlcNS-GlcA와 GlcNS-IdoA 결합 모두에서 탈아미노 분해가 일어나지만, 높은 pH(4)에서는 반응 속도가 느리다. 탈아미노 반응과 그에 따른 사슬 절단은 단당류 단위의 O-황산화 여부와는 무관하다.

낮은 pH(1.5) 조건에서의 탈아미노 분해는 무기 황산염(SO4) 방출과 함께 GlcNS가 무수만노스(aMan)로 전환되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낮은 pH의 아질산 처리는 헤파린 및 HS와 같은 N-황산화 다당류를 콘드로이틴 황산이나 데르마탄 황산과 같이 N-황산화되지 않은 다당류와 구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콘드로이틴 황산과 데르마탄 황산은 아질산 분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9. 기타 기능


  • 헤파린의 리튬염(리튬 헤파린)은 항응고제로 혈액 검체 시험관, 진공채혈관, 모세관 등에 사용된다. 이 시험관들은 일반적으로 녹색 스티커와 녹색 뚜껑으로 표시된다. 헤파린은 대부분의 이온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EDTA보다 유리한 점이 있지만, 혈액 검체 내 헤파린 농도가 너무 높으면 이온화된 칼슘 농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76] 일부 면역측정법을 방해할 수도 있다. 리튬 헤파린 시험관으로는 사람의 리튬 수치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나트륨 헤파린이 포함된 로열 블루색 또는 짙은 녹색 뚜껑의 진공채혈관이 사용된다.
  • 헤파린 코팅 혈액 산소 공급기는 인공심폐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원래 내피 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제공하여 전반적인 생체적합성과 숙주 항상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헤파린은 RNA 중합효소의 DNA 결합 부위를 차지하여 중합효소가 프로모터 DNA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분석 기법에 활용된다.
  •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DNA를 PCR으로 증폭해야 할 때, 헤파린으로 처리된 백혈구에서 DNA를 쉽게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헤파린이 DNA와 함께 추출되어 미량(50 μL 반응 혼합물에서 0.002 U)으로도 PCR 반응을 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77]
  • 헤파린은 크로마토그래피 수지로 사용되어 친화 리간드와 이온 교환체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78][79][80] 헤파린의 다중 음이온 구조는 핵산(DNA, RNA)을 모방할 수 있어, DNA 중합효소, RNA 중합효소, 전사 인자 등 핵산 결합 단백질을 정제하는 데 유용하다.[81] 또한, VSV-G 당단백질[82](종종 유전자 치료를 위한 역전사 바이러스 및 렌티바이러스 바이러스 벡터의 슈도타입 바이러스 봉투로 사용됨)에 대한 특이적 친화력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벡터의 하류 정제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83][84]
  • 헤파린은 COVID-19 감염 예방을 위한 비강 스프레이 형태로 시험 중이다.[85] 또한, 흡입 형태로 사용했을 때 항바이러스, 항염증, 항응고 효과 덕분에 COVID-19 환자의 70%에서 증상이 개선되었다는 시험 결과 보고도 있다.[86]

10. 사회와 문화

헤파린은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항응고제이지만, 생산 과정에서의 오염 문제나 의료 현장에서의 과다 복용 사고 등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사건들과 연관되기도 했다. 동물성 원료에서 추출하는 제조 방식의 특성상 불순물 오염 가능성이 내재하며, 특히 2008년 중국산 원료의 오염으로 인한 대규모 리콜 사태는 국제적인 파장을 일으키며 원료의약품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또한, 병원 등 의료 환경에서 투여 용량 오류로 인한 심각한 의료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여 의약품 안전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10. 1. 오염 및 리콜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는 의약품인 헤파린은 완전히 합성된 치료제에 비해 잠재적인 불순물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 가능한 생물학적 오염물질에는 바이러스, 세균성 내독소, 전파성 해면상 뇌병증(TSE) 원인 물질, 지질, 단백질 및 DNA가 포함된다. 동물 조직으로부터 의약품 등급 헤파린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용매, 중금속 및 외부 양이온과 같은 불순물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식별 및/또는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잘 확립되어 있으며, 가이드라인 및 약전에 명시되어 있다. 헤파린 불순물 분석의 주요 과제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불순물의 검출 및 식별이다. 헤파린에서 가장 흔한 불순물은 콘드로이틴 황산 B로도 알려진 데르마탄 황산(DS)이다. DS는 헤파린에 비해 전반적으로 음전하 밀도가 낮으며, 일반적인 천연 오염물질로서 헤파린 API에 1~7% 수준으로 존재하지만, 헤파린의 항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활성은 입증되지 않았다.[87]

2007년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여러 개의 개봉되지 않은 주사기에서 세균(마르세센스 세라티아)이 증식된 헤파린 제품을 회수했다. ‘’마르세센스 세라티아’’는 생명을 위협하는 부상 및/또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88]

2008년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중국에서 수입한 헤파린 원료의 오염으로 인해 대규모 헤파린 제품 리콜을 발표했다. 이는 2008년 중국산 헤파린 불순물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89][90] FDA에 따르면, 불순물이 섞인 헤파린으로 인해 미국에서 약 80명이 사망했다.[91] 불순물은 콘드로이틴 황산염의 "과황산화" 유도체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효능 검사에서 실제 헤파린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92]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당시 보고된 헤파린 관련 문제에는 호흡 곤란, 메스꺼움, 구토, 과도한 발한 및 급격한 혈압 저하가 포함되며, 일부 경우에는 생명을 위협하는 쇼크로 이어졌다.

10. 2. 과다 복용

2007년 이전,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의 메서디스트 병원에서 여섯 명의 신생아가 헤파린 과다 투여를 받았으며, 이 중 세 명의 아기가 사망했다.[98]

2007년, 시다스-시나이 메디컬 센터의 간호사가 배우 데니스 퀘이드의 12일 된 쌍둥이에게 영아 권장 용량의 1,000배에 달하는 헤파린을 잘못 투여하는 사고가 발생했다.[94] 이 과다 투여는 성인용과 유아용 제품의 라벨 및 디자인이 유사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퀘이드 가족은 이후 제조업체인 벡스터 헬스케어社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며,[95][96] 병원과는 75만달러에 합의했다.[97]

2008년 7월에는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에 있는 크리스투스 스폰 병원 사우스에서 태어난 또 다른 쌍둥이가 약물 과다 투여로 사망했다. 이 사고는 제품 포장이나 라벨과는 관련 없이 병원 약국에서의 혼합 오류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99] 2008년 7월 기준으로 쌍둥이의 정확한 사망 원인은 조사 중이었다.[100][101]

2010년 3월, 텍사스 출신의 두 살 된 장기이식 환자가 네브래스카대학교 메디컬 센터에서 치사량의 헤파린을 투여받고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망에 이르게 된 정확한 경위는 아직 조사 중이다.[102]

11. 연구

의약품 등급의 헤파린은 주로 돼지의 창자나 의 폐와 같은 도축된 가축의 점막 조직에서 추출된다.[103] 하지만 헤파린을 합성적으로 생산하는 기술이 2003년과 2008년에 발전했으며,[104] 2011년에는 단순한 이당류로부터 저분자량 헤파린을 합성하는 화학 효소 공정이 보고되었다.[105]

헤파린 및 그 유사 구조체는 기존의 항응고제로서의 역할 외에도 다양한 질병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106][107] 여러 실험 모델과 일부 임상 연구에서 헤파린의 잠재적 효과가 관찰되었다.

헤파린의 잠재적 치료 효과 연구
헤파린에 민감한 질병 상태실험 모델에서의 헤파린 효과임상 상태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배양된 T4 세포에 대한 HIV 1형 및 2형의 흡착 능력 감소[108]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RDS)세포 활성화 및 기도 축적 감소, 매개체 및 세포독성 세포 생성물 중화, 동물 모델에서 폐 기능 개선대조군 임상시험
알레르기성 뇌척수염동물 모델에서 효과 확인
알레르기성 비염ARDS와 유사한 효과 (비강 특이 모델 테스트 미실시)대조군 임상시험
관절염세포 축적, 콜라겐 파괴 및 혈관신생 억제일화 보고
천식ARDS와 유사한 효과 및 실험 모델에서 폐 기능 개선 효과 확인대조군 임상시험
종양 성장, 전이 및 혈관신생 억제, 동물 모델에서 생존 시간 증가여러 일화 보고
지연형 과민반응동물 모델에서 효과 확인
염증성 장 질환염증 세포 수송 억제 (특정 모델 테스트 미실시)대조군 임상시험
간질성 방광염간질성 방광염의 인간 실험 모델에서 효과 확인관련 분자가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됨
이식 거부반응동물 모델에서 동종이식편 생존 기간 연장



: – 정보 없음

이러한 다양한 질병에 대한 헤파린의 영향 때문에, 헤파린 중합체 사슬의 일부 구조와 같거나 유사한 여러 약물 분자들이 개발되고 있다.[106]

헤파린 기반 신약 후보 물질 연구
약물 분자헤파린과 비교한 특징주요 생물학적 활성
헤파린 테트라사카라이드비항응고성, 비면역원성, 경구 투여 가능항알레르기
펜토산 폴리설페이트식물 유래, 항응고 작용 미미, 항염증, 경구 투여 가능항염증, 항부착, 항전이
포스포만노펜타노스 설페이트헤파라나제 활성의 강력한 효소 억제제항전이, 항혈관신생, 항염증
선택적 O-탈황 헤파린항응고 활성 없음항염증, 항알레르기, 항부착


참조

[1] 웹사이트 Heparin Interpharma APMDS https://www.tga.gov.[...] 2023-12-07
[2] 웹사이트 Heparin http://online.lexi.c[...] 2012-02-10
[3] 웹사이트 Heparin (Mucous) Injection BP{{snd}}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https://www.medicine[...] 2016-09-01
[4] 논문 Anticoagulants: A Review of the Pharmacology, Dosing, and Complications 2013-06-01
[5] 웹사이트 Heparin Sodium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6] 서적 Clinical Laboratory Medicin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01-01
[7] 웹사이트 AstraZeneca COVID-19-Vakzine Umgang mit dem Risiko von Gerinnungskomplikationen https://www.dgho.de/[...]
[8] 논문 Thrombotic Thrombocytopenia after ChAdOx1 nCov-19 Vaccination 2021-06-01
[9] 논문 Vaccine-Induced Prothrombotic Immune Thrombocytopenia (VIPIT) Following AstraZeneca COVID-19 Vaccination https://covid19-scie[...] The Ontario COVID-19 Science Advisory Table 2021-03-26
[10] 웹사이트 Heparin Pregnancy and Breastfeeding Warnings https://www.drugs.co[...]
[11]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Elsevier Saunders
[12] 서적 Drug Discovery: Practices, Processe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01-01
[13]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14] 서적 Fisher's Contact Dermatitis https://books.google[...] PMPH-USA 2008-01-01
[15] 웹사이트 Heparin used as an anticoagulant http://animalresearc[...] AnimalResearch.info
[16] 논문 The discovery of heparin 1959-01-01
[17] 논문 Heparin, an anticoagulant
[18] 논문 History of drugs for thrombotic disease. Discovery, development,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1994-01-01
[19]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heparin - Hektoen International https://hekint.org/2[...] 2024-03-21
[20] 논문 The chemistry of heparin 1935-08-01
[21] 웹사이트 Miracle Blood Lubricant: Connaught and the Story of Heparin, 1928–1937 http://www.healthher[...] Health Heritage Research Services
[22] 논문 How blood met plastics, plant and animal extracts: Material encounters between medicine and industry in the twentieth century 2022-04-01
[23]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1-01
[24] 논문 Enoxaparin plus compression stockings compared with compression stockings alone in the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after elective neurosurgery 1998-07-01
[25] 논문 Duration of prophylaxis against venous thromboembolism with enoxaparin after surgery for cancer 2002-03-01
[26] 논문 Heparin,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and physical methods for preventing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following surgery for hip fractures
[27] 논문 Heparin Flush Use in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Survey 2020-09-01
[28] 논문 The Use of Heparin during Endovascular Peripheral Arterial Interventions: A Synopsis 2016-01-01
[29] 논문 Unfractionated heparin for hemodialysis: still the best option 2010-01-01
[30] 논문 Heparin induced thrombocytopenia: diagnosis and management update 2007-09-01
[31] 논문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with thrombosis: incidenc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in 108 consecutive patients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1997-09-01
[32] 뉴스 3rd Ind. preemie infant dies of overdose http://www.foxnews.c[...] Fox News 2006-09-20
[33] 간행물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https://amhonline.am[...]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Pty Ltd 2019-01-01
[34] 서적 Internal medicine
[35] 웹사이트 Protamine Sulfate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36] 논문 Heparan sulfates and heparins: similar compound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in vertebrates and invertebrates? 1999-05-01
[37]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Freeman
[38] 논문 Turkey intestine as a commercial source of heparin? Comparative structural studies of intestinal avian and mammalian glycosaminoglycans 2003-01-01
[39] 논문 Comparative studies on the structures of highly active and relatively inactive forms of whale heparin 1981-07-01
[40]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aw heparin from dromedary intestine: evaluation of a new source of pharmaceutical heparin 2003-12-01
[41] 논문 Mouse heparin proteoglycan. Synthesis by mast cell-fibroblast monolayers during lymphocyte-dependent mast cell proliferation 1982-08-01
[42]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heparin 1992-12-01
[43] 논문 An unusual heparan sulfate isolated from lobsters (Homarus americanus) 1982-08-01
[44] 논문 Glycosaminoglycans in Anodonta californiensis, a Freshwater Mussel http://www.biolbull.[...] 2007-03-22
[45] 논문 Structure and antithrombin-binding properties of heparin isolated from the clams Anomalocardia brasiliana and Tivela mactroides 1987-08-01
[46] 논문 Structural features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a novel natural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from the shrimp Penaeus brasiliensis 1999-08-01
[47] 논문 Distribution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s in the animal kingdom: widespread occurrence of heparin-like compounds in invertebrates 2000-07-01
[48] 논문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vo studies of salmon heparin 2010-12-01
[49] 논문 Disaccharide analysis of chondroitin and heparin from farmed Atlantic salmon 2016-04-01
[50] 논문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glycosaminoglycans from zebrafish in different ages 2009-02-01
[51] 논문 The heparins: all a nephrologist should know 2005-10-01
[52] 논문 Heparin enhances the specificity of antithrombin for thrombin and factor Xa independent of the reactive center loop sequence. Evidence for an exosite determinant of factor Xa specificity in heparin-activated antithrombin 2001-05-01
[53] 논문 Mechanism of the anticoagulant action of heparin 1982-10-01
[54] 논문 Synthesis of thrombin-inhibiting heparin mimetics without side effects 1999-04-01
[55] 뉴스 DANAPAROID (Orgaran) for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http://www.vhpharmsc[...] Vancouver Hospital & Health Sciences Centre 2007-01-08
[56] 논문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and heparinoids http://www.mja.com.a[...] 2002-10-01
[57] 논문 New anticoagulants for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2004-08-01
[58] 논문 Heparin and low-molecular-weight heparin: the Seventh ACCP Conference on Antithrombotic and Thrombolytic Therapy 2004-09-01
[59] 논문 Update on heparin: what do we need to know? 2010-02-01
[60] 서적 Williams Hematology McGraw-Hill Companies,Incorporated
[61] 논문 Synthesis and heparin-like biological activity of amino acid-based polymers
[62] 논문 Studies on the Conformation of Heparin by1H and13C NMR Spectroscopy
[63] 웹사이트 Online Medical Dictionary http://cancerweb.ncl[...] Centre for Cancer Education
[64] 논문 Conformer populations of L-iduronic acid residues in glycosaminoglycan sequences 1990-01-01
[65] 논문 N.m.r. and molecular-modelling studies of the solution conformation of heparin 1993-08-01
[66] 웹사이트 N.M.R. and molecular-modeling studies of the solution conformation of heparin http://www.rcsb.org/[...]
[67] 논문 Crystal structure of heparinase II from Pedobacter heparinus and its complex with a disaccharide product 2006-06-01
[68] 논문 Heparinase production by Flavobacterium heparinum 1981-02-01
[69] 논문 Examination of the substrate specificity of heparin and heparan sulfate lyases 1990-03-01
[70] 논문 Specificity studies on the heparin lyases from Flavobacterium heparinum 1993-08-01
[71]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ligosaccharides obtained from heparin by the action of heparinase 1972-02-00
[72] 논문 Mapping and quantification of the major oligosaccharide components of heparin 1988-09-00
[73] 논문 Formation of anhydrosugars in the chemical depolymerization of heparin 1976-09-00
[74] 논문 A quick anti-Xa-activity-based whole blood coagulation assay for monitoring unfractionated heparin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a pilot investigation 2000-09-00
[75] 서적 Disposition of Toxic Drugs and Chemicals in Man Biomedical Publications
[76] 논문 The use of heparin in preparing samples for blood-gas analysis http://www.mlo-onlin[...] 2016-04-18
[77] 논문 Effects of heparin on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blood white cells
[78] 서적 2D PAGE: Sample Preparation and Fractionation
[79] 웹사이트 Affinity Chromatography http://www.sigmaaldr[...]
[80] 웹사이트 HiTrap Heparin HP http://www.gelifesci[...]
[81] 웹사이트 Performing a Separation of DNA binding proteins with GE Healthcare Products Based on Heparin https://www.sigmaald[...] 2019-04-16
[82] 논문 Cell surface heparan sulfate is a receptor for attachment of envelope protein-free retrovirus-like particles and VSV-G pseudotyped MLV-derived retrovirus vectors to target cells 2002-05-00
[83] 서적 Gene Therapy Protocols
[84] 논문 A novel purification strategy for retrovirus gene therapy vectors using heparin affinity chromatography 2005-05-00
[85] 뉴스 Melbourne researchers trial use of common blood-thinning drug heparin to combat COVID-19 https://www.abc.net.[...] 2021-12-21
[86] 뉴스 A 70-year-old drug may be the answer to treating COVID-19 https://www.afr.com/[...] The Australian Financial Review 2022-01-19
[87] 논문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heparin impurities 2011-01-00
[88] 보도자료 AM2 PAT, Inc. Issues Nationwide Recall of Pre-Filled Heparin Lock Flush Solution USP (5 mL in 12 mL Syringes) https://www.fda.gov/[...] 2007-12-20
[89] 뉴스 Blood-thinning drug under suspicion https://www.cbsnews.[...]
[90] 보도자료 Information on Heparin https://www.fda.gov/[...]
[91] 뉴스 The Past And Future Of Managing Raw Material And Process Risks In Biomanufacturing https://www.drugdisc[...] VertMarkets 2018-09-18
[92] 웹사이트 FDA Media Briefing on Heparin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03-29
[93] 뉴스 Nurse committed murders to "test" doctors http://www.radio.cz/[...] Radio Praha 2006-05-12
[94] 웹사이트 Report: Dennis Quaid's twins get accidental overdose http://www.cnn.com/2[...] 2007-11-21
[95] 웹사이트 Dennis Quaid and wife sue drug maker https://www.usatoday[...] 2007-12-04
[96] 뉴스 Dennis Quaid files suit over drug mishap http://www.latimes.c[...] 2007-12-05
[97] 뉴스 Quaid Awarded $750,000 Over Hospital Negligence http://www.sfgate.co[...] SFGate.com 2008-12-16
[98] 뉴스 Coroner's office investigates infant deaths http://www.wthr.com/[...] WTHR NBC News
[99] 웹사이트 Statement by Dr. Richard Davis, Chief Medical Officer, CHRISTUS Spohn Health System http://christusspohn[...] 2017-09-00
[100] 뉴스 At a Glance Heparin Overdose at Hospital http://www.dallasnew[...] Dallas Morning News 2008-07-11
[101] 뉴스 Officials Investigate Infants' Heparin OD at Texas Hospital https://abcnews.go.c[...] ABC News 2008-07-11
[102] 뉴스 Nebraska Med. Center Investigates Staff After Girl's Death http://www.ketv.com/[...] KETV Omaha 2010-03-31
[103] 논문 Production and chemical processing of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104] 웹사이트 Flask synthesis promises untainted heparin http://www.rsc.org/c[...]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8-08-00
[105] 논문 Chemoenzymatic synthesis of homogeneous ultra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2011-10-00
[106] 논문 Novel drug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heparin 2002-02-01
[107] 논문 Heparan sulfate-protein interactions: therapeutic potential through structure-function insights 2005-02-01
[108] 논문 Mechanism of inhibitory effect of dextran sulfate and heparin on replicat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vitro 1988-08-01
[109] 논문 ヘパリン類の適正使用 http://jsth.org/publ[...]
[110] 서적 Internal medicine
[111] 웹사이트 2022年改訂版 非心臓手術における合併心疾患の評価と管理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 https://www.j-circ.o[...] 日本循環器学会 2023-01-22
[112] 웹사이트 抗血栓療法患者の抜歯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 2020年版 https://minds.jcqhc.[...] 日本有病者歯科医療学会 2023-01-22
[113] 웹사이트 Protamine Sulfate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12-08
[114] 뉴스 3rd Ind. preemie infant dies of overdose http://www.foxnews.c[...] Fox News 2006-09-20
[115] 서적 Williams Hematology
[116] 논문 Synthesis and heparin-like biological activity of amino acid-based polymers
[117] 논문 Studies on the Conformation of Heparin by1H and13C NMR Spectroscopy
[118] 웹사이트 Online Medical Dictionary http://cancerweb.ncl[...] Centre for Cancer Education
[119] 논문 Conformer populations of L-iduronic acid residues in glycosaminoglycan sequences 1990-01-01
[120] 논문 N.m.r. and molecular-modelling studies of the solution conformation of heparin 1993-08-01
[121] 웹사이트 N.M.R. and molecular-modeling studies of the solution conformation of heparin http://www.rcsb.org/[...] 2021-12-23
[122] 웹사이트 Heparin Sodium injection https://www.fda.gov/[...] 2013-09-05
[123] 웹사이트 heparin http://online.lexi.c[...] 2012-02-15
[124] 웹사이트 두산백과 - 헤파린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