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야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야이는 17세기 자바 중남부에서 시작되어 네덜란드 식민 시대를 거쳐 현대 인도네시아 사회에 이르기까지 존재해 온 사회 계층이다. 마타람 술탄국 시대에 왕의 형제들을 의미하는 용어로 시작되어, 네덜란드 식민 시대에는 식민지 관료 계층을 형성하며 자바 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했다. 프리야이는 자바어의 격식체 사용, 서구식 교육, 고전 자바 예술 후원 등의 문화적 특징을 보였으며, 사회적 지위, 종교, 경제적 측면에서 다른 자바 사회 집단과 구분되었다. 독립 이후에도 인도네시아 사회에서 공무원 및 사회 지도층으로 활동하며, 사회 정치적 상승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프리야이 계층은 복잡한 칭호 체계를 사용하였다. 자와 귀족이 통상 사용하던 칭호는 다음과 같다.[38]
클리퍼드 기어츠는 '프리야이' 세계관의 두 가지 문화적 대립, 즉 '알루스'(alus, "세련된") 대 '카사르'(kasar, "거친")와 '바틴'(batin, "내면의 경험") 대 '라히르'(lahir, "외면의 행동")를 설명했다.[24] 프리야이는 자바 사회에서 농민과 구별되는 봉건적 하위 문화로서, 카사르보다 알루스를, 라히르보다 바틴을 강조했다.[24]
2. 역사
17세기 마타람 술탄국은 술탄이 독립적인 귀족을 다스리는 ''크라톤'' ("궁정") 문화를 발전시켰다. 귀족, 관료 등은 술탄과 후원 관계를 맺고 왕국 주변부를 관장했으며, 이들은 ''para yayi''("왕의 형제들")로 불렸다.[2] ''프리야이'' 문화는 마타람의 중심지인 자바 중부 및 동부 지역에서 시작되었다.[4]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인도네시아에 도착하고 마타람 왕국이 붕괴된 후, 수라카르타 수난국과 족자 술탄국은 1755년 기얀티 조약 이후 자바섬 정치 권력의 중심이 되었다. 비록 네덜란드의 정치적 영향력이 있었지만, 두 왕국은 자바 궁정 문화의 상징으로 기능했다.[6]
네덜란드 식민 시대에 섭정직 등의 식민지 관료 계층은 일반적으로 프리야이였다. 프리야이 계층은 소농 계층인 웡 칠릭(wong cilikjv) 등에 비해 높은 지위를 차지했다. 라덴 살레와 하지 우마르 사잇 초크로아미노토와 같은 인물들이 프리야이 계층에 속했으며, 유럽식 교육을 받았다.
네덜란드 식민 당국은 네덜란드 관리로 구성된 ''Binnenlands Bestuur''(내부 행정)과 원주민 관료인 ''Pangreh Praja''(영토 통치자)의 두 공무원 기구를 설립했다.[8] 1926년까지 자바와 마두라의 직접 통치 지역에서 Binnenlands Bestuur는 총독(3명), 레지던트(약 20명), 어시스턴트 레지던트(약 70명)로 구성되었다.[8]
원주민 ''프리야이''로 구성된 Pangreh Praja 관청은 ''Bupati''(섭정, 약 70명), ''Wedana''(구역장, 약 400명), ''Asisten Wedana''(하위 구역장, 약 1,200명)으로 구성되었다.[8] 1931년까지 유럽인은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전체 국가 기구의 10%만을 차지했고, 25만 명이 넘는 원주민 관리들이 국가 급여를 받았다.[9] 자바에서는 수라카르타와 요그야카르타의 귀족 엘리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priyagung''("상위 ''프리야이''")과 ''priyayi cilik''("하위 ''프리야이''") 사이에 계급 구분이 존재했다.[8]
1901년,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는 윤리 정치를 수립했다.[11] 서구식 교육이 토착민에게 제공되었지만, 네덜란드어가 주요 교육 언어인 중등 및 고등 교육 기관에서는 부유층만이 등록금을 낼 수 있었다.[12]
네덜란드 교육을 받은 자바 엘리트들 사이의 민족주의적 정서는 인도네시아 국민 각성 시대에 형성되었다. 부디 우토모는 1908년 '프리야이' 의사와 의대생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다.[14] 이 그룹은 자바인 남성 '프리야이'로 제한되었지만,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일련의 토착 정치 활동의 첫 번째였다.[14] 1920년대와 30년대에는 더 광범위한 인도네시아어 민족주의가 등장했다.[16]
1949년 네덜란드 당국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승인하면서, 네덜란드 통치 하의 연방 국가들의 관료 기구가 새로운 공화국에 통합되었다.[17] 1980년대까지 인도네시아의 공무원 수는 약 200만 명으로 증가했다.[18] 수하르토의 신질서 정부는 1971년 인도네시아 공무원 단체(KORPRI)를 설립하여 인도네시아 공무원 사회에서 전통적인 '프리야이'와 조합주의적 가치를 장려했다.[20]
2. 1. 식민 시대 이전
17세기에 전성기를 누린 자바 중남부의 이슬람 국가인 마타람 술탄국은 술탄이 비교적 독립적인 귀족을 다스리는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로 부상하는 ''크라톤'' ("궁정") 문화를 발전시켰다.[2] 귀족, 관료, 행정가 및 족장들은 술탄과의 후원자-고객 관계에 통합되어 왕국의 주변부를 관장했는데, 이들은 ''para yayi''("왕의 형제들")로 불렸다.[3] ''프리야이'' 문화의 발상지는 마타람의 중심지, 즉 자바어를 사용하는 자바 중부 및 동부 지역으로 여겨진다.[4] 마타람의 정치적 확장에 의해 "자바화"되었지만, 순다족이 사용하는 자바 서부, 자바 최동부 및 인근 마두라섬은 마타람의 핵심 지역과 민족적, 언어적, 문화적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5]
2. 2. 네덜란드 식민 시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인도네시아에 도착하고 마타람 왕국이 붕괴된 후, 수라카르타 수난국과 족자 술탄국은 1755년 기얀티 조약 이후 자바섬 정치 권력의 중심이 되었다. 비록 네덜란드의 정치적 영향력이 식민지 시대 내내 그들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제한했지만, 두 왕국은 자바 궁정 문화의 상징으로 계속 기능했다.[6]
네덜란드 식민 시대에 섭정직 등의 식민지 관료 계층은 일반적으로 프리야이였다. 프리야이 계층은 전통적으로 자와 사회에서 소농 계층인 웡 칠릭(wong cilikjv) 등에 비해 높은 지위를 차지하는 사회 고위층을 형성하였다.
프리야이들은 자와 지역에 살던 대부분의 여타 토착민들에 비해 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은 편이었다. 예로 19세기 자와 화가인 라덴 살레(살레 샤립 부스타만)는 프리야이 계층이었고, 유럽식 미술 교육을 받았다. 또 유명한 민족주의자 하지 우마르 사잇 초크로아미노토 역시 이 계층에 속하였는데, 네덜란드 당국의 공무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요그야카르타와 수라카르타가 직접 통치하는 지역 외에, 네덜란드 식민 당국은 두 개의 공무원 기구를 설립했다. 하나는 네덜란드 관리로 구성된 ''Binnenlands Bestuur''(내부 행정)이고, 다른 하나는 원주민 관료인 ''Pangreh Praja''(영토 통치자)였다.[8]
1926년까지 자바와 마두라의 직접 통치 지역에서 Binnenlands Bestuur는 다음과 같은 관할 구역을 가진 관청으로 구성되었다(직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8]
이어서, 원주민 ''프리야이''로 구성된 3개의 Pangreh Praja 관청이 관할 구역을 가졌다(직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8]
세무 관리, 검사, 경찰 부서에 소속된 관리 등 ''프리야이'' 지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다른 식민 정부 직원들도 있었다.[8] 1931년까지 유럽인은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전체 국가 기구의 10%만을 차지했고, 25만 명이 넘는 원주민 관리들이 국가 급여를 받았다.[9] 자바에서는 수라카르타와 요그야카르타의 귀족 엘리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priyagung''("상위 ''프리야이''")과 ''priyayi cilik''("하위 ''프리야이''") 사이에 계급 구분이 존재했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리야이''가 농민층과 분리되는 사회적 거리는 priyagung이 ''priyayi'' cilik과 분리되는 것보다 훨씬 더 컸다.[10]
1901년,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는 이른바 "윤리 정치"를 공식 정책으로 수립했다.[11] 윤리 정치 패러다임은 1942년 일본 점령까지 교육, 종교, 농업, 자원 추출 및 정치 감시 기관을 통해 토착민에 대한 식민 국가 통제를 확장했다.[11] 서구식 교육은 토착민에게 제공되었지만, 네덜란드어가 주요 교육 언어인 중등 및 고등 교육 기관에서는 부유층만이 등록금을 낼 수 있었다.[12] 자바인 중에서는 '프리야이' 남성이 식민지 공무원으로 들어가기 전에 서구식 교육을 먼저 받았다.[13]
네덜란드 교육을 받은 자바 엘리트들 사이의 민족주의적 정서는 인도네시아 국민 각성 시대에 형성되었다. 부디 우토모는 1908년 '프리야이' 의사와 의대생 그룹에 의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최초의 토착 정치 단체로 설립되었다.[14] 이 그룹은 자바인 남성 '프리야이' 추종자들에게 국한되었지만, 부디 우토모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일련의 토착 정치 활동의 첫 번째였다.[14] 부디 우토모는 자바 민족주의 위원회를 통해 민족주의를 옹호하고 인도네시아 파르티를 설립한 치프토 망군쿠수모(1886-1943)와 같이 인도네시아 전역의 민족주의를 옹호한 소에타트모 수리에코소모(1888-1924)와 노토 수레토(1888-1951)와 같은 저명한 '프리야이' 인물을 배출했다.[15] 자바에서 다른 민족주의 단체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정당이 등장하면서 자바 민족주의는 쇠퇴했고, 1920년대와 30년대에는 더 광범위한 인도네시아어 민족주의가 등장했다.[16]
2. 3. 독립 이후
1949년 네덜란드 당국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승인하면서, 네덜란드 통치 하의 연방 국가들의 관료 기구가 새로운 공화국에 통합되었다.[17]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 공무원 수는 1920년대 후반 11만 5천 명에서 1950년대 초 40만 명으로 증가했다.[17] 그러나 전략적인 상위 계층은 네덜란드에서 훈련받은 10만 명의 고위 관료 엘리트 집단이 지배했으며, 이들은 내무부에 집중되어 있었다.[17] 1980년대까지 인도네시아의 공무원 수는 약 20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인구 1,000명당 13.9명의 공무원 비율을 나타냈다. 이는 1950년의 3.7명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다.[18]
비록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법에는 '프리야이'의 지위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이것이 상징하는 국가 행정부와의 근접성은 1950년대 이후 사회 정치적 상승을 위한 인기 있는 방법으로 남았다.[19] 수하르토의 신질서 정부는 특히 1971년 인도네시아 공무원 단체(KORPRI)를 설립하여 인도네시아 공무원 사회에서 전통적인 '프리야이'와 조합주의적 가치를 장려했다.[20]
3. 칭호
칭호 설명 라덴(Radèn) 귀족 남성에게 사용. 라덴 아유(Radèn Ayu) 결혼하지 않은 귀족 여성에게 사용. 라덴 아증(Radèn Ajeng) 결혼한 귀족 여성에게 사용. 투믕궁(Tumenggung) 섭정직에 재직했던 사람에게 사용. 마스(Mas) 비교적 지위가 낮은 귀족에게 사용. 라덴 마스(Radèn Mas) 남성 귀족에게 사용. 라덴 응안텐(Radèn Ngantèn) 라덴 아유보다 낮은 기혼 여성 귀족에게 사용. 라덴 라라(Radèn Rara) 라덴 아쟁보다 낮은 미혼 여성 귀족에게 사용.
칭호의 순위는 '마스'가 가장 낮고, '라덴', '라덴 마스', '라덴 판지(Radèn Panji)', '라덴 투믕궁(Radèn Tumenggung)', '라덴 응아베이(Radèn Ngabèi)', '라덴 아리아(Radèn Aria)' 순이다. 칭호는 세습되는데, 아버지의 칭호가 '마스'가 아니라면 아들의 칭호는 아버지의 것보다 한 단계 낮았다.[39]
경칭 '라덴'은 말라가시어의 경칭인 란드리아나(Andriana)와 관련이 있는데, 고대 자와어의 '주인, 군주'를 의미하는 '라하댠(Rahadyan)'에서 유래했다.[40]
4. 문화적 특징
프리야이의 종교는 일반적으로 힌두교와 이슬람교를 결합한 형태로, 산트리보다 아방안 전통에 가깝다.[27] 슬라메탄 같은 공동 축제는 아방안 농민과 프리야이 가정 모두에서 행해진다.[28] 그러나 해안 중심부와 동부 지역의 프리야이 가족은 왈리 상가와의 계보적 연관성을 강조하며, 종교적 관행에서 내륙 지역보다 산트리에 더 가깝다.[5]
프리야이들은 자와어의 ''크라마''("격식체")와 ''응고코''("비격식체")를 능숙하게 구사하여 명성을 얻었다.[33] 크라마는 높은 수준의 교육이 필요했으며, 사회 상위층에서 주로 사용되었다.[33] 네덜란드 식민 시대에는 네덜란드어 교육을 받은 젊은 프리야이 계층이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면서 이중 언어 구사 계층이 되었다.[34][35]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가 국어로 채택되자, 크라마와 응고코 화법을 계승한 새로운 스타일의 인도네시아어와 자바어가 등장했다.[36]
프리야이는 고전적이고 궁정적인 자바 예술 형태의 후원자이자 실천가였으며, 이를 농민 예술과 대조적으로 알루스(alus, 세련된)한 것으로 간주했다.[37] 대표적인 예술 형태는 다음과 같다:
4. 1. 사회적 구분
클리퍼드 기어츠는 자와 사회의 주요 사회 집단(aliranid)을 '산트리(santri)', '아방안(abangan)', '프리야이'로 구별하였다.[41] '프리야이'는 전통적인 관료 엘리트 집단으로, 힌두-자와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들의 지위는 식민 시기 이전에는 재판 담당 직종이었으나, 식민기에 식민지 공무원으로, 현대 인도네시아 공화국 시기에는 국가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다.[41]
네덜란드 식민 당국은 요그야카르타와 수라카르타 직접 통치 지역 외에 두 개의 공무원 기구를 설립했다. 하나는 네덜란드 관리로 구성된 ''Binnenlands Bestuur''(내부 행정)이고, 다른 하나는 원주민 관료인 ''Pangreh Praja''(영토 통치자)였다.[8] 1926년까지 자바와 마두라의 직접 통치 지역에서 Binnenlands Bestuur는 다음과 같은 관청으로 구성되었다(직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8]
원주민 ''프리야이''로 구성된 Pangreh Praja 관청은 다음과 같았다(직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8]
세무 관리, 검사, 경찰 부서 소속 관리 등 ''프리야이'' 지위로 간주되는 다른 식민 정부 직원들도 있었다.[8] 1931년까지 유럽인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체 국가 기구의 10%만을 차지했고, 25만 명이 넘는 원주민 관리들이 국가 급여를 받았다.[9] 자바에서는 수라카르타와 요그야카르타의 귀족 엘리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priyagung''("상위 ''프리야이''")과 ''priyayi cilik''("하위 ''프리야이''") 사이에 계급 구분이 존재했다.[8] ''프리야이''가 농민층과 분리되는 사회적 거리는 priyagung이 ''priyayi'' cilik과 분리되는 것보다 훨씬 컸다.[10]
1901년,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는 "윤리 정치"를 공식 정책으로 수립했다.[11] 윤리 정치 패러다임은 1942년 일본 점령까지 교육, 종교, 농업, 자원 추출 및 정치 감시 기관을 통해 토착민에 대한 식민 국가 통제를 확장했다.[11] 서구식 교육은 토착민에게 제공되었지만, 네덜란드어가 주요 교육 언어인 중등 및 고등 교육 기관에서는 부유층만이 등록금을 낼 수 있었다.[12] '프리야이' 남성은 식민지 공무원이 되기 전에 서구식 교육을 먼저 받았다.[13]
네덜란드 교육을 받은 자바 엘리트들 사이의 민족주의적 정서는 인도네시아 국민 각성 시대에 형성되었다. 부디 우토모는 1908년 '프리야이' 의사와 의대생 그룹에 의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최초의 토착 정치 단체로 설립되었다.[14] 이 그룹은 자바인 남성 '프리야이' 추종자들에게 국한되었지만, 부디 우토모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일련의 토착 정치 활동의 첫 번째였다.[14] 부디 우토모는 자바 민족주의 위원회를 통해 민족주의를 옹호하고 인도네시아 파르티를 설립한 치프토 망군쿠수모(1886-1943), 인도네시아 전역의 민족주의를 옹호한 소에타트모 수리에코소모(1888-1924)와 노토 수레토(1888-1951)와 같은 저명한 '프리야이' 인물을 배출했다.[15] 자바에서 다른 민족주의 단체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정당이 등장하면서 자바 민족주의는 쇠퇴했고, 1920년대와 30년대에는 더 광범위한 인도네시아어 민족주의가 등장했다.[16]
1949년 네덜란드 당국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승인하면서, 네덜란드 통치 하의 연방 국가들의 관료 기구가 새로운 공화국에 통합되었다.[17] 인도네시아 공무원 수는 1920년대 후반 11만 5천 명에서 1950년대 초 40만 명으로 증가했다.[17] 전략적인 상위 계층은 네덜란드에서 훈련받은 10만 명의 고위 관료 엘리트 집단이 지배했으며, 이들은 내무부에 집중되어 있었다.[17] 1980년대까지 인도네시아의 공무원 수는 약 20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인구 1,000명당 13.9명의 공무원 비율로 1950년의 3.7명보다 훨씬 높았다.[18]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법에는 ''프리야이'' 지위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국가 행정부와의 근접성은 1950년대 이후 사회 정치적 상승을 위한 인기 있는 방법으로 남았다.[19] 수하르토의 신질서 정부는 1971년 인도네시아 공무원 단체(KORPRI)를 설립하여 인도네시아 공무원 사회에서 전통적인 ''프리야이''와 조합주의적 가치를 장려했다.[20]
4. 2. 종교
미국의 인류학자이자 사회학자인 클리퍼드 기어츠(Clifford Geertz)는 자와 사회의 주요한 세 개의 사회 집단(aliranid)인 산트리(santri), 아방안(abangan), 프리야이로 구별하였다.[41] 이 중 '프리야이' 집단은 전통적인 관료 엘리트이며, 계층적인 힌두-자와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41]
일반적으로 프리야이의 종교는 힌두교 다신교와 이슬람교 일신교를 결합하기 때문에 산트리보다 아방안 전통에 더 가깝다.[27] 슬라메탄과 같은 공적 의례, 즉 공동 축제는 아방안 농민과 프리야이 가정에서 모두 행해진다.[28]
그러나 섬의 해안 중심부와 동부 지역의 프리야이 가족은 자바의 9명의 이슬람 성자인 왈리 상가에 대한 계보적 연관성을 강조하며, 그들의 종교적 관행에서 내륙 지역의 상대보다 산트리에 더 가깝다.[5]
4. 3. 사회경제적 지위
프리야이 계층은 전통적으로 자와 사회에서 소농 계층인 웡 칠릭(wong cilikjv) 등에 비해 높은 지위를 차지하는 사회 고위층을 형성하였다. 이들은 네덜란드 식민 시대에 섭정직 등의 식민지 관료 계층을 주로 맡았으며, 지켜야 하는 다양하고 정교한 관습과 에티켓도 존재하였다.[41]
프리야이들은 자와 지역에 살던 대부분의 여타 토착민들에 비해 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은 편이었다. 19세기 자와 화가인 라덴 살레는 프리야이 계층으로 유럽식 미술 교육을 받았으며, 민족주의자 하지 우마르 사잇 초크로아미노토 역시 네덜란드 당국의 공무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41]
미국의 인류학자이자 사회학자인 클리퍼드 기어츠는 자와 사회의 주요한 세 개의 사회 집단(aliranid)을 '산트리(santri)', '아방안(abangan)', '프리야이'로 구별하였다. '프리야이' 집단은 전통적인 관료 엘리트이며, 계층적인 힌두-자와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들의 지위는 식민시기 이전에는 재판을 담당하는 직종이었다가 식민기에 접어들자 식민지 공무원으로 이동하였으며, 현대 인도네시아 공화국 시기에 이들은 국가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다.[41]
요그야카르타와 수라카르타가 직접 통치하는 지역 외에, 네덜란드 식민 당국은 두 개의 공무원 기구를 설립했다. 하나는 네덜란드 관리로 구성된 ''Binnenlands Bestuur''(내부 행정)이고, 다른 하나는 원주민 관료인 ''Pangreh Praja''(영토 통치자)였다.[8]
1926년까지 자바와 마두라의 직접 통치 지역에서 Binnenlands Bestuur는 다음과 같은 관할 구역을 가진 관청으로 구성되었다(직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8]
# 총독; 3명
# 레지던트; 약 20명
# 어시스턴트 레지던트; 약 70명
원주민 ''프리야이''로 구성된 Pangreh Praja 관청은 다음과 같았다(직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8]
# ''Bupati''(섭정); 약 70명. 카부파텐을 책임졌으며, 지위는 종종 부자 상속되었다.
# ''Wedana''(구역장); 약 400명.
# ''Asisten Wedana''(하위 구역장); 약 1,200명.
세무 관리, 검사, 경찰 부서에 소속된 관리 등 ''프리야이'' 지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다른 식민 정부 직원들도 있었다.[8] 1931년까지 유럽인은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전체 국가 기구의 10%만을 차지했고, 25만 명이 넘는 원주민 관리들이 국가 급여를 받았다.[9] 자바에서는 수라카르타와 요그야카르타의 귀족 엘리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priyagung''("상위 ''프리야이''")과 ''priyayi cilik''("하위 ''프리야이''") 사이에 계급 구분이 존재했다.[8] ''프리야이''가 농민층과 분리되는 사회적 거리는 priyagung이 ''priyayi'' cilik과 분리되는 것보다 훨씬 더 컸다.[10]
아방안은 흔히 농민인 반면, ''프리야이''는 도시 및 도심 지역의 토지를 소유한 지배 계급이다.[29]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의 ''프리야이''는 관료, 교사, 서기로 일하는 화이트칼라 정부 직원이다.[29] ''프리야이''는 상업, 농업 및 노동과 대조적으로, 알루스("세련된")로 정의함으로써 농민 계급 및 상인 계급과 구별한다.[30] 19세기 초 자야디닝랏 1세가 쓴 시 "술루크 마스 응간텐"은 ''프리야이''를 사회 경제적 지위뿐만 아니라 상인들이 달성할 수 없는 카리스마적 권력으로 묘사한다.[31]
그러나 ''프리야이'' 가문은 비공식적인 채널을 통해 상업에도 참여했다. 1980년대까지 ''프리야이'' 여성들은 수제 직물과 공예품을 판매하여 가계 소득을 보충했지만, 공공 장소에서의 상업 행위는 상류층 및 중산층 ''프리야이'' 여성에게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졌다.[32]
4. 4. 언어
프리야이 계층은 복잡한 칭호 체계를 사용하였다. 자와 귀족이 통상 사용하던 칭호는 다음과 같다.[38]
이 칭호들의 순위는 대략 다음과 같다. '마스'가 가장 낮은 칭호이며, 그 다음은 단순한 '라덴'이다. 다음으로는 '라덴'에 여러 칭호를 결합한 '라덴 마스', '라덴 판지(Radèn Panji)', '라덴 투믕궁(Radèn Tumenggung)', '라덴 응아베이(Radèn Ngabèi)', '라덴 아리아(Radèn Aria)'가 된다. 칭호는 세습되는데, 아버지의 칭호가 가장 낮은 '마스'가 아니라면 아들의 칭호는 아버지의 것보다 한 단계 낮은 것이 된다.[39]
여기서 경칭 '라덴'은 말라가시어의 경칭인 '안드리아나(Andriana)'와 관련이 있는데, 유래는 고대 자와어의 '주인, 군주'를 의미하는 '라하댠(Rahadyan)'이다.[40]
네덜란드 식민 시대 동안, 자바 인구 대다수가 문맹이었기에, 여러 자바어 화법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은 프리야이의 명성을 높이는 원천이었다.[33] 자바어의 두 가지 주요 화법은 ''크라마''("격식체")와 ''응고코''("비격식체")이다.[33] 사회 계층 상위층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법인 크라마를 능숙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교육이 필요했다.[33] 19세기 말, 젊은 프리야이 계층이 네덜란드어 교육을 받으면서 자바의 "내부 엘리트"는 네덜란드인과의 업무뿐만 아니라 가정 및 자바인들 사이에서도 네덜란드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34] 따라서 식민지 시대의 프리야이는 대체로 이중 언어 구사 계층이 되었다.[35]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어가 국어로 채택되었으며, 공식 간행물과 대중 문학에서 크라마와 응고코 화법을 계승하여 새로운 스타일의 인도네시아어와 자바어가 등장했다.[36]
4. 5. 예술
프리야이는 고전적이고 궁정적인 자바 예술 형태의 후원자이자 실천가였으며, 이들은 이를 농민 예술 형태와 대조적으로 알루스(alus, 세련된)한 것으로 간주한다.[37]
참조
[1]
harvp
[2]
harvp
[3]
harvp
[4]
harvp
[5]
harvp
[6]
harvp
[7]
harvp
[8]
harvp
[9]
harvp
[10]
harvp
[11]
harvp
[12]
harvp
[13]
harvp
[14]
harvp
[15]
harvp
[16]
harvp
[17]
harvp
[18]
harvp
[19]
harvp
[20]
harvp
[21]
harvp
[22]
harvp
[23]
harvp
[24]
harvp
[25]
harvp
[26]
harvp
[27]
harvp
[28]
harvp
[29]
harvp
[30]
harvp
[31]
harvp
[32]
harvp
[33]
harvp
[34]
harvp
[35]
harvp
[36]
도서
[37]
도서
[38]
서적
A learner's comprehensive dictionary of Indonesian
http://books.google.[...]
[39]
서적
Readings on Islam in Southeast Asia
http://books.google.[...]
[40]
간행물
The Indonesian migrations to Madagascar: Making sense of the multidisciplinary evidence
http://www.santafe.e[...]
[41]
서적
Suharto's Indonesia
Melbourne: Fonta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