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네시아 자바 섬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고대 자와어, 중세 자와어, 신 자와어, 현대 자와어로 구분된다. 자와어는 오랜 역사를 통해 풍부한 문어를 보유해 왔으며,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네덜란드어, 말레이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현대 자와어는 주로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사회적 지위에 따라 어휘와 문법이 달라지는 경어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 자와어는 서부, 중앙, 동부 방언으로 나뉘며, 수리남과 뉴칼레도니아에서도 사용된다. 최근 자와어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두라어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과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SVO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발리어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복잡한 경어 표현과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자와인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는 인도네시아의 제5대 대통령이자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수카르노 전 대통령의 딸로서 인도네시아 민주당 투쟁(PDI-P) 의장을 역임하고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직을 승계했으나 재선에는 실패한 후에도 PDI-P 대표로서 인도네시아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자와인 - 샤일렌드라 왕조
샤일렌드라 왕조는 7세기부터 11세기까지 동남아시아에서 강력한 세력을 떨쳤으며, 대승 불교를 후원하여 보로부두르 사원을 건설하고 촐라 왕조의 침략으로 쇠퇴하였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자와어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언어 이름 | 자와어 |
| 고유 이름 | basa Jawa ꦧꦱꦗꦮ |
| 발음 (중부 및 동부 방언) | /bɔsɔ d͡ʒɔwɔ/ |
| 발음 (서부 및 텡게르 방언) | /basa d͡ʒawa/ |
| 발음 (세랑 방언) | /basə d͡ʒawə/ |
| 사용 국가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프랑스 수리남 |
| 사용 지역 | 자와섬 말레이반도 누벨칼레도니 수리남 |
| 사용자 | 약 7500만 명 (2015년 기준 6833만 5천 명) |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 조상 언어 | 고대 자와어 중세 자와어 |
| 초기 표준 형태 | 카위어 |
| 현대 표준 형태 | 수라카르타 자와어 |
| 방언 | 자와어 방언 |
| 문자 | 라틴 문자 자와 문자 페곤 문자 |
| 공용어 (인도네시아) | 욕야카르타 특별주 (인도네시아어와 공동 공용어) |
| 언어 코드 | |
| ISO 639-1 | jv |
| ISO 639-2 | jav |
| Glottolog (Javanesic) | java1253 |
| Glottolog (Javanese) | java1254 |
| 하위 언어 및 방언 코드 | |
| jav | 자와어 |
| jvn | 카리브 자와어 |
| jas | 뉴칼레도니아 자와어 |
| osi | 우싱 방언 |
| tes | 텡게르 방언 |
| kaw | 카위어 |
| 사용 민족 | |
| 사용자 | 자와족 사민족 바뉴마스족 텡게르족 치레본족 우싱족 치레본족 |
| 언어 기관 | |
| 기관 | 바단 펭엠방안 단 펨비나안 바하사 |
2. 역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중에 가장 오래되고 풍부한 문어를 보유해 왔으며,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고 자와어(9세기~)
- 중세 자와어(13세기~)
- 신 자와어(16세기~)
- 현대 자와어(20세기~ )
일반적으로 자바어의 역사는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고대 자바어와 2) 현대 자바어이다.
;고 자와어 (9세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중 가장 오래되고 풍부한 문어를 보유해 왔으며, 시대에 따라 고 자와어, 중세 자와어, 신 자와어, 현대 자와어로 구분한다. 가장 오래된 고대 자와어는 동자바 크디리 지역의 수카부미 비석(Sukabumi inscription)에서 발견되며, 서기 80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8세기부터 15세기까지 자바 섬에서 번성했다. 고대 자와어는 일반적으로 운문 형태로 쓰였으며, '카위(kawi)' 또는 '시인의, 시적인'이라고도 불리지만, 이 용어는 신자바어 문학의 고어적인 요소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고대 자와어를 쓰는 데 사용된 문자 체계는 인도의 팔라바 문자(Pallava script)에서 유래한 것이다. 고대 자바어 문학에서 발견되는 전체 어휘의 거의 절반이 산스크리트어(Sanskrit language) 차용어이지만, 고대 자와어는 해양 동남아시아(Maritime Southeast Asia)의 다른 언어에서도 용어를 차용했다. 14세기 이후(주로 발리에서 쓰임) 여러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고대 자바어 형태는 때때로 "중세 자바어"라고 불린다. 고대 자바어와 중세 자바어의 서면 형태는 16세기 초부터 자바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고대 자바어 작품과 시적 전통은 자바의 영향을 받은 발리에서 계속 보존되고 있으며, 이 방언은 종교적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중세 자와어 (13세기~)
자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중 가장 오래되고 풍부한 문어를 보유해 왔으며, 13세기부터 사용된 중세 자와어는 주로 발리에서 발견되는 텍스트에서 나타난다.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신 자와어 (16세기~)
신 자와어는 16세기부터 사용된 자와어 형태이다. 이 시기에는 이슬람의 영향으로 문학 양식이 변화하였다. 자바 북부 해안 지역 방언을 기반으로 한 초기 문학 작품이 등장했으며, 이 작품들은 이슬람적인 성격을 띠었고, 일부는 말레이어 작품을 번역한 것이었다. 아랍어 자모를 차용한 페곤 문자가 자와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17세기 마타람 술탄국이 부상하면서 내륙 방언이 주요 문학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서면 전통은 수라카르타와 족자카르타의 작가들이 보존하였고, 현대 자와어 표준어의 기초가 되었다. 마타람 술탄국의 부상은 ''응고코''와 ''크라마''와 같은 자와어 화법 수준의 계층화를 가져왔는데, 이는 고대 자와어에는 없던 현상이다.
1830년대부터 자와어로 된 책이 인쇄되기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자와 문자를 사용했지만 나중에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했다. 19세기 중반부터 자와어는 신문, 여행기, 소설, 단편 소설, 자유시 등에도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책,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미디어에 사용되며, 주로 자와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학교에서도 가르치고 있다.
자와어는 국어는 아니지만, 자와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중부 자바, 족자카르타, 동부 자바 주에서 지방어로 인정받고 있다.[6] 족자카르타 특별 자치구 조례 제2호(2021)에 따라 족자카르타 특별 자치구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6]
자와어는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전자 매체와 인쇄 매체를 포함한 일부 대중 매체에서 사용된다. 자와어 잡지로는 ''판제바르 스마랑'', ''자카 로당'', ''자야 바야'', ''다마르 자티'', ''메카르 사리'' 등이 있다.
;현대 자와어 (20세기~ )
현대 자와어는 20세기 이후 사용되는 자와어 형태이다. 19세기 중반부터 신문, 여행기를 비롯하여 소설, 단편 소설, 자유시 등 다양한 매체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 자와어는 책에서 TV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미디어에 사용되며, 주로 자와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학교에서도 가르치고 있다. 오늘날에는 자바 문자 대신 로마자가 주로 사용된다.
자와어는 국어는 아니지만, 자와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인도네시아의 세 주인 중부 자바, 족자카르타, 동부 자바에서 지방어로 인정받고 있다. 자와어는 족자카르타 특별 자치구 조례 제2호(2021)에 따라 족자카르타 특별 자치구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6]
자와어는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전자 매체와 인쇄 매체를 포함한 일부 대중 매체에서 사용된다. 자와어 잡지로는 ''판제바르 스마랑'', ''자카 로당'', ''자야 바야'', ''다마르 자티'', ''메카르 사리''가 있다.
2. 1. 고 자와어 (9세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중 가장 오래되고 풍부한 문어를 보유해 왔으며, 시대에 따라 고 자와어, 중세 자와어, 신 자와어, 현대 자와어로 구분한다. 가장 오래된 고대 자와어는 동자바 크디리 지역의 수카부미 비석(Sukabumi inscription)에서 발견되며, 서기 80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8세기부터 15세기까지 자바 섬에서 번성했다. 고대 자와어는 일반적으로 운문 형태로 쓰였으며, '카위(kawi)' 또는 '시인의, 시적인'이라고도 불리지만, 이 용어는 신자바어 문학의 고어적인 요소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고대 자와어를 쓰는 데 사용된 문자 체계는 인도의 팔라바 문자(Pallava script)에서 유래한 것이다. 고대 자바어 문학에서 발견되는 전체 어휘의 거의 절반이 산스크리트어(Sanskrit language) 차용어이지만, 고대 자와어는 해양 동남아시아(Maritime Southeast Asia)의 다른 언어에서도 용어를 차용했다. 14세기 이후(주로 발리에서 쓰임) 여러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고대 자바어 형태는 때때로 "중세 자바어"라고 불린다. 고대 자바어와 중세 자바어의 서면 형태는 16세기 초부터 자바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고대 자바어 작품과 시적 전통은 자바의 영향을 받은 발리에서 계속 보존되고 있으며, 이 방언은 종교적 목적으로도 사용된다.2. 2. 중세 자와어 (13세기~)
자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중 가장 오래되고 풍부한 문어를 보유해 왔으며, 13세기부터 사용된 중세 자와어는 주로 발리에서 발견되는 텍스트에서 나타난다.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 3. 신 자와어 (16세기~)
신 자와어는 16세기부터 사용된 자와어 형태이다. 이 시기에는 이슬람의 영향으로 문학 양식이 변화하였다. 자바 북부 해안 지역 방언을 기반으로 한 초기 문학 작품이 등장했으며, 이 작품들은 이슬람적인 성격을 띠었고, 일부는 말레이어 작품을 번역한 것이었다. 아랍어 자모를 차용한 페곤 문자가 자와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17세기 마타람 술탄국이 부상하면서 내륙 방언이 주요 문학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서면 전통은 수라카르타와 족자카르타의 작가들이 보존하였고, 현대 자와어 표준어의 기초가 되었다. 마타람 술탄국의 부상은 ''응고코''와 ''크라마''와 같은 자와어 화법 수준의 계층화를 가져왔는데, 이는 고대 자와어에는 없던 현상이다.
1830년대부터 자와어로 된 책이 인쇄되기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자와 문자를 사용했지만 나중에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했다. 19세기 중반부터 자와어는 신문, 여행기, 소설, 단편 소설, 자유시 등에도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책,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미디어에 사용되며, 주로 자와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학교에서도 가르치고 있다.
자와어는 국어는 아니지만, 자와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중부 자바, 족자카르타, 동부 자바 주에서 지방어로 인정받고 있다.[6] 족자카르타 특별 자치구 조례 제2호(2021)에 따라 족자카르타 특별 자치구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6]
자와어는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전자 매체와 인쇄 매체를 포함한 일부 대중 매체에서 사용된다. 자와어 잡지로는 ''판제바르 스마랑'', ''자카 로당'', ''자야 바야'', ''다마르 자티'', ''메카르 사리'' 등이 있다.
2. 4. 현대 자와어 (20세기~ )
현대 자와어는 20세기 이후 사용되는 자와어 형태이다. 19세기 중반부터 신문, 여행기를 비롯하여 소설, 단편 소설, 자유시 등 다양한 매체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 자와어는 책에서 TV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미디어에 사용되며, 주로 자와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학교에서도 가르치고 있다. 오늘날에는 자바 문자 대신 로마자가 주로 사용된다.자와어는 국어는 아니지만, 자와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인도네시아의 세 주인 중부 자바, 족자카르타, 동부 자바에서 지방어로 인정받고 있다. 자와어는 족자카르타 특별 자치구 조례 제2호(2021)에 따라 족자카르타 특별 자치구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6]
자와어는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전자 매체와 인쇄 매체를 포함한 일부 대중 매체에서 사용된다. 자와어 잡지로는 ''판제바르 스마랑'', ''자카 로당'', ''자야 바야'', ''다마르 자티'', ''메카르 사리''가 있다.
3. 문자와 음성
## 문자
자와어는 전통적으로 짜라칸(carakan)이라고 불리는 자와 문자로 표기되었다.[59] 17세기경 현재의 모습을 갖춘 자와 문자는 남인도 계열의 팔라바 문자에서 발전된 고(古) 카위 문자가 발전된 것으로, 인도계 문자의 특징을 공유한다.[59] 족자카르타의 포르투갈어와 자바어로 된 현대 이중 언어 텍스트에서 볼 수 있듯이, 자와 문자는 발리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발리 문자와 연관되어 있다.[59]
자와어는 이슬람 전래 이후 아랍 문자(페곤 문자)로 쓰이기도 하였으며,[59] 네덜란드 식민 지배 이후에는 로마자가 도입되었다.[59] 1942년부터 1945년 사이 일본 점령 기간에는 자와 문자 사용이 금지되었다.[59]
오늘날에는 로마자 사용이 일반적이며, 자와 문자는 장식용, 도로 표지판, 학술 용도 등에 국한되어 있다.[59] 자바 문자는 아부기다이며, 20개의 문자 각각은 자음(또는 "영 자음")과 고유 모음 'a'(/ɔ/로 발음됨)를 가진 음절을 나타낸다. 문자 주위에 배치된 다양한 구별 부호는 [ɔ]가 아닌 다른 모음, 종성 또는 외래어 발음을 나타낸다.
자와 문자의 배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ha, na, ca, ra, ka
da, ta, sa, wa, la
pa, dha, ja, ya, nya
ma, ga, ba, tha, nga
## 음운
### 모음
자와어의 모음 음운은 /a/, /i/, /o/, /u/, /ɔ/, /e/, /ə/, /ɛ/의 8개로,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에 비해 많은 편이다.[59] 또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도 존재한다. 라틴 알파벳으로 전사했을 때 'i', 'o', 'u'는 해당 모음 음운을 가리키지만, 'a'는 단어에 따라 /a/와 /ɔ/의 두 가지로 발음되며 'e'는 /ə/를, 'é'는 /e/를, 'è'는 /ɛ/를 가리킨다.[59]
자와어에서 어미 열린 음절의 a는 항상 å(/ɔ/)로 발음되고, 그 앞 음절도 a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받아 å(/ɔ/)로 발음된다.[39] 예를 들어, apa(무엇)는 오포, tampa(받다)는 톤포가 된다. 단, ora(오라)(부정어), arta(알토)(돈), tanpa(탄포)(~없이) 등은 예외이다. a는 열린 음절에서는 길게 발음되고, 닫힌 음절에서는 짧지만, 음절 경계에 비음이 있는 경우에는 길어진다.
e는 입 모양을 대략 일본어의 이 또는 에로 하고 우라고 발음하면 비슷한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예: baras(브라스)(쌀), kena(크노)(~해도 좋다), endi(운디)(어디))
è는 일본어의 에보다 입을 조금 더 옆으로 벌리고 발음한다. (예: tèken(테쿤)(서명하다), yèn(옌)(~라면), sèket(세쿳)(50))
é는 일본어의 에보다 훨씬 더 입을 옆으로 벌리고 발음한다. (예: méja(메조)(테이블), mépé(메페)(말리다), suwé(스웨)(오랫동안))
o는 u처럼 입술을 오므리고 내밀듯이 발음한다. i 또는 ek이 뒤따르면 열린 음절에서는 길고 짧은 중간 정도가 된다. 다른 o는 항상 짧게 발음된다. (예: ora(오라)(부정어), kono(코노)(거기), ombé(온베)(마시다))
u (예: kayu(카유)(목재), tugu(투구)(탑), tuku(투쿠)(사다))
i는 열린 음절에서는 길게 발음되지만, 닫힌 음절(단, 비음 닫힘 제외)에서는 짧다. 일본어의 이보다 입을 더 옆으로 벌리고 발음된다. (예: dina(디노)(날), saiki(사이키)(지금), kuwi(쿠위)(그것))
### 자음
자와어의 자음 음운은 23~26개 정도이다.[59] 치음/치경음과 설후음 음소 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서인도네시아 유일의 언어이다.[16]
| colspan="2" | | 양순음 | 치음/치경음 | 설후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 비음 | mid | nid | ɳid | ɲid | ŋid | ||
| 파열음/파찰음 | p b̥id | t d̥id | ʈ ɖ̥id | tʃ dʒ̊id | k ɡ̊id | ʔid | |
| 마찰음 | ʂid | hid | |||||
| 접근음 | 중선음 | ɽid | jid | wid | |||
| 측음 | ɭid | ||||||
정서법에서는 /ʈ,ɖ/를 th, dh로 쓴다. 또한 /n/은 [n] 외에 [ʈ][ɖ] 앞에 나타날 때 변이음으로 [ɳ]을 가진다.[39]
- b: 네덜란드어의 b보다 날카롭고, b가 어두에 올 때는 어두음 'p를 동반하는 것처럼 들린다(예: bakal → 'pbakal). 제2 또는 제3음절의 어두음이 b라면 p가 앞 음절을 닫고 다음 음절은 b로 시작한다(예: boeboer → 'pboep-boer). 단, 앞 음절이 m으로 끝날 때는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예: ambakali).
- c: 일본어의 「チャ」나 「チョ」의 자음과 비슷하다. 예: kanca(콘쵸) 「친구」, basa(보소) 「언어」, bisa(비소) 「할 수 있다」
- d: 어두 또는 어중에 있을 때는 td가 되고, 어미에 올 때는 t로 발음된다. 단, 'n 또는 an이 d에 앞설 때는 td가 되지 않는다(예: dados → 'tados, babad → pbapbat). 혀끝을 앞니에 대고 약간 물어뜯듯이 발음한다.
- dh: 혀끝을 위 앞니의 뿌리 부근에 대고 발음한다. 영어나 인도네시아 공용어의 d에 해당한다. 예: dhéwé(데웨) 「스스로」, adhi(아디) 「남매」, tedha(투도) 「먹다」
- g: 어두 또는 어중에 있을 때는 kg가 되고, 어미에 올 때는 k로 발음된다. 단, 'n 또는 ang이 g에 앞설 때는 kg가 되지 않는다(예: gawé → kgawé, toetoeg → toetoek). 일본어의 가행 자음과 가깝다. 음절 끝의 g는 k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된다.
- h: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서는 어두에 h가 나타나지만, 특히 발음되는 것은 낭독이나 읽어주는 경우에 한정된다. 또한 두 개의 같은 모음 사이나 o와 oe사이에도 h가 삽입된다. 음절 끝에 있는 h는 숨만 내쉬는 기음이다. 예: omah(오마(h)) 「집」, murah(무라(h)) 「싸다」。또한, oeh, oh, ich, èh로 끝나는 단어에 접미사가 붙으면 h는 보통 j 또는 w로 변한다.
- k: 어말에 있을 때는 내파음이 되지만, 묵음 e가 바로 앞에 있을 때는 외파음이 된다. 또한 k가 음절 말에 있을 때는 내파음이 된다(예: anak → ana', watek → watek)
- j: 일본어의 「ジャ」나 「ジョ」에 가까운 소리. 예: jam(잠) 「시간」, aja(아조) 「~하지 마라」
- l: 혀끝을 위 앞니의 뿌리에 대고 발음한다. 예: lali(라리) 「잊다」, loro(로로) 「2」, lemu(르무) 「뚱뚱하다」
- m: 일본어의 마행 자음의 소리와 가깝다. 음절 끝의 m은 입을 다물듯이 발음된다. 예: mati(마티) 「죽다」, méja(메조) 「테이블」, nem(눔) 「6」
- n: 일본어의 나행에 있는 소리와 가깝다. 혀끝은 위 앞니의 뒤에 대고 발음한다. 예: nami(나미) 「이름」, enak(에나) 「맛있다」
- ng: 「이」를 발음한 후에 혀끝을 n처럼 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 「응」처럼 코로 숨을 내쉬듯이 하면 얻을 수 있다. 예: ing(잉) 「~에/~에서」, menuang(무니양) 「~로(가다)」, wong(웡) 「사람」。단, ng 뒤에 모음이 이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g가 뒤의 모음과 함께 발음된다. 예: nangis(낫기스) 「울다」, mangan(맡갬) 「먹다」
- ny: 일본어의 「냐」나 「뉴」의 자음과 비슷하다. 예: banyu(바뉴) 「물」, anyar(아냐르) 「새로운」
- p: apa(오포) 「무엇」, sarapan(사라판) 「아침 식사를 하다」
- r: 혀를 말아 올리는 소리이다. 예: rega(르고) 「가격」, mréné(므레네) 「여기로」, rada(로도) 「약간」
- s: 일본어의 사행에 해당하는 소리. 예: bisa(비소) 「할 수 있다」, sinau(시나우) 「공부하다」, sasi(사시) 「달」
- t: d와 반전음의 관계에 있다. 전사되면 뒤에 h를 동반한다(예: dhampar "왕좌"). d와 마찬가지로 혀끝을 구개 앞쪽에 대고 발음한다.
- th: 영어나 인도네시아 공용어의 t의 소리에 해당한다. 현재 자와어에서는 그 구별이 혼동되고 있다.[50] 예: sethithik(세티티크) 「약간」, mesthi(무스티) 「틀림없이」
- w: 어말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일본어의 와행에 해당하는 소리. 예: wis(위스) 「이미」, wétan(웨탄) 「동쪽」, waras(와라스) 「건강한」
- y: 일본어의 「야」나 「요」에 해당하는 소리. 예: yaiku(요이쿠) 「즉」, supaya(수파야) 「~할 수 있도록」, kaya(코야) 「~같다」
3. 1. 문자
자와어는 전통적으로 짜라칸(carakan)이라고 불리는 자와 문자로 표기되었다.[59] 17세기경 현재의 모습을 갖춘 자와 문자는 남인도 계열의 팔라바 문자에서 발전된 고(古) 카위 문자가 발전된 것으로, 인도계 문자의 특징을 공유한다.[59] 족자카르타의 포르투갈어와 자바어로 된 현대 이중 언어 텍스트에서 볼 수 있듯이, 자와 문자는 발리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발리 문자와 연관되어 있다.[59]자와어는 이슬람 전래 이후 아랍 문자(페곤 문자)로 쓰이기도 하였으며,[59] 네덜란드 식민 지배 이후에는 로마자가 도입되었다.[59] 1926년 네덜란드어를 기반으로 한 라틴어 철자법이 도입되었고, 1972년에서 1973년에 개정되었다. 1942년부터 1945년 사이 일본 점령 기간에는 자와 문자 사용이 금지되었다.[59]
오늘날에는 로마자 사용이 일반적이며, 자와 문자는 장식용, 도로 표지판, 학술 용도 등에 국한되어 있다.[59] 자바 문자는 아부기다이며, 20개의 문자 각각은 자음(또는 "영 자음")과 고유 모음 'a'(/ɔ/로 발음됨)를 가진 음절을 나타낸다. 문자 주위에 배치된 다양한 구별 부호는 [ɔ]가 아닌 다른 모음, 종성 또는 외래어 발음을 나타낸다.
자와 문자의 배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ha, na, ca, ra, ka
da, ta, sa, wa, la
pa, dha, ja, ya, nya
ma, ga, ba, tha, nga
3. 2. 음운
## 모음자와어의 모음 음운은 /a/, /i/, /o/, /u/, /ɔ/, /e/, /ə/, /ɛ/의 8개로,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에 비해 많은 편이다.[59] 또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도 존재한다. 라틴 알파벳으로 전사했을 때 'i', 'o', 'u'는 해당 모음 음운을 가리키지만, 'a'는 단어에 따라 /a/와 /ɔ/의 두 가지로 발음되며 'e'는 /ə/를, 'é'는 /e/를, 'è'는 /ɛ/를 가리킨다.[59]
자와어에서 어미 열린 음절의 a는 항상 å(/ɔ/)로 발음되고, 그 앞 음절도 a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받아 å(/ɔ/)로 발음된다.[39] 예를 들어, apa(무엇)는 오포, tampa(받다)는 톤포가 된다. 단, ora(오라)(부정어), arta(알토)(돈), tanpa(탄포)(~없이) 등은 예외이다. a는 열린 음절에서는 길게 발음되고, 닫힌 음절에서는 짧지만, 음절 경계에 비음이 있는 경우에는 길어진다.
e는 입 모양을 대략 일본어의 이 또는 에로 하고 우라고 발음하면 비슷한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예: baras(브라스)(쌀), kena(크노)(~해도 좋다), endi(운디)(어디))
è는 일본어의 에보다 입을 조금 더 옆으로 벌리고 발음한다. (예: tèken(테쿤)(서명하다), yèn(옌)(~라면), sèket(세쿳)(50))
é는 일본어의 에보다 훨씬 더 입을 옆으로 벌리고 발음한다. (예: méja(메조)(테이블), mépé(메페)(말리다), suwé(스웨)(오랫동안))
o는 u처럼 입술을 오므리고 내밀듯이 발음한다. i 또는 ek이 뒤따르면 열린 음절에서는 길고 짧은 중간 정도가 된다. 다른 o는 항상 짧게 발음된다. (예: ora(오라)(부정어), kono(코노)(거기), ombé(온베)(마시다))
u (예: kayu(카유)(목재), tugu(투구)(탑), tuku(투쿠)(사다))
i는 열린 음절에서는 길게 발음되지만, 닫힌 음절(단, 비음 닫힘 제외)에서는 짧다. 일본어의 이보다 입을 더 옆으로 벌리고 발음된다. (예: dina(디노)(날), saiki(사이키)(지금), kuwi(쿠위)(그것))
## 자음
자와어의 자음 음운은 23~26개 정도이다.[59] 치음/치경음과 설후음 음소 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서인도네시아 유일의 언어이다.[16]
| colspan="2" | | 양순음 | 치음/치경음 | 설후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 비음 | mid | nid | ɳid | ɲid | ŋid | ||
| 파열음/파찰음 | p b̥id | t d̥id | ʈ ɖ̥id | tʃ dʒ̊id | k ɡ̊id | ʔid | |
| 마찰음 | ʂid | hid | |||||
| 접근음 | 중선음 | ɽid | jid | wid | |||
| 측음 | ɭid | ||||||
정서법에서는 /ʈ,ɖ/를 th, dh로 쓴다. 또한 /n/은 [n] 외에 [ʈ][ɖ] 앞에 나타날 때 변이음으로 [ɳ]을 가진다.[39]
- b: 네덜란드어의 b보다 날카롭고, b가 어두에 올 때는 어두음 'p를 동반하는 것처럼 들린다(예: bakal → 'pbakal). 제2 또는 제3음절의 어두음이 b라면 p가 앞 음절을 닫고 다음 음절은 b로 시작한다(예: boeboer → 'pboep-boer). 단, 앞 음절이 m으로 끝날 때는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예: ambakali).
- c: 일본어의 「チャ」나 「チョ」의 자음과 비슷하다. 예: kanca(콘쵸) 「친구」, basa(보소) 「언어」, bisa(비소) 「할 수 있다」
- d: 어두 또는 어중에 있을 때는 td가 되고, 어미에 올 때는 t로 발음된다. 단, 'n 또는 an이 d에 앞설 때는 td가 되지 않는다(예: dados → 'tados, babad → pbapbat). 혀끝을 앞니에 대고 약간 물어뜯듯이 발음한다.
- dh: 혀끝을 위 앞니의 뿌리 부근에 대고 발음한다. 영어나 인도네시아 공용어의 d에 해당한다. 예: dhéwé(데웨) 「스스로」, adhi(아디) 「남매」, tedha(투도) 「먹다」
- g: 어두 또는 어중에 있을 때는 kg가 되고, 어미에 올 때는 k로 발음된다. 단, 'n 또는 ang이 g에 앞설 때는 kg가 되지 않는다(예: gawé → kgawé, toetoeg → toetoek). 일본어의 가행 자음과 가깝다. 음절 끝의 g는 k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된다.
- h: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서는 어두에 h가 나타나지만, 특히 발음되는 것은 낭독이나 읽어주는 경우에 한정된다. 또한 두 개의 같은 모음 사이나 o와 oe사이에도 h가 삽입된다. 음절 끝에 있는 h는 숨만 내쉬는 기음이다. 예: omah(오마(h)) 「집」, murah(무라(h)) 「싸다」。또한, oeh, oh, ich, èh로 끝나는 단어에 접미사가 붙으면 h는 보통 j 또는 w로 변한다.
- k: 어말에 있을 때는 내파음이 되지만, 묵음 e가 바로 앞에 있을 때는 외파음이 된다. 또한 k가 음절 말에 있을 때는 내파음이 된다(예: anak → ana', watek → watek)
- j: 일본어의 「ジャ」나 「ジョ」에 가까운 소리. 예: jam(잠) 「시간」, aja(아조) 「~하지 마라」
- l: 혀끝을 위 앞니의 뿌리에 대고 발음한다. 예: lali(라리) 「잊다」, loro(로로) 「2」, lemu(르무) 「뚱뚱하다」
- m: 일본어의 마행 자음의 소리와 가깝다. 음절 끝의 m은 입을 다물듯이 발음된다. 예: mati(마티) 「죽다」, méja(메조) 「테이블」, nem(눔) 「6」
- n: 일본어의 나행에 있는 소리와 가깝다. 혀끝은 위 앞니의 뒤에 대고 발음한다. 예: nami(나미) 「이름」, enak(에나) 「맛있다」
- ng: 「이」를 발음한 후에 혀끝을 n처럼 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 「응」처럼 코로 숨을 내쉬듯이 하면 얻을 수 있다. 예: ing(잉) 「~에/~에서」, menuang(무니양) 「~로(가다)」, wong(웡) 「사람」。단, ng 뒤에 모음이 이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g가 뒤의 모음과 함께 발음된다. 예: nangis(낫기스) 「울다」, mangan(맡갬) 「먹다」
- ny: 일본어의 「냐」나 「뉴」의 자음과 비슷하다. 예: banyu(바뉴) 「물」, anyar(아냐르) 「새로운」
- p: apa(오포) 「무엇」, sarapan(사라판) 「아침 식사를 하다」
- r: 혀를 말아 올리는 소리이다. 예: rega(르고) 「가격」, mréné(므레네) 「여기로」, rada(로도) 「약간」
- s: 일본어의 사행에 해당하는 소리. 예: bisa(비소) 「할 수 있다」, sinau(시나우) 「공부하다」, sasi(사시) 「달」
- t: d와 반전음의 관계에 있다. 전사되면 뒤에 h를 동반한다(예: dhampar "왕좌"). d와 마찬가지로 혀끝을 구개 앞쪽에 대고 발음한다.
- th: 영어나 인도네시아 공용어의 t의 소리에 해당한다. 현재 자와어에서는 그 구별이 혼동되고 있다.[50] 예: sethithik(세티티크) 「약간」, mesthi(무스티) 「틀림없이」
- w: 어말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일본어의 와행에 해당하는 소리. 예: wis(위스) 「이미」, wétan(웨탄) 「동쪽」, waras(와라스) 「건강한」
- y: 일본어의 「야」나 「요」에 해당하는 소리. 예: yaiku(요이쿠) 「즉」, supaya(수파야) 「~할 수 있도록」, kaya(코야) 「~같다」
3. 2. 1. 모음
자와어의 모음 음운은 /a/, /i/, /o/, /u/, /ɔ/, /e/, /ə/, /ɛ/의 8개로,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에 비해 많은 편이다.[59] 또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도 존재한다. 라틴 알파벳으로 전사했을 때 'i', 'o', 'u'는 해당 모음 음운을 가리키지만, 'a'는 단어에 따라 /a/와 /ɔ/의 두 가지로 발음되며 'e'는 /ə/를, 'é'는 /e/를, 'è'는 /ɛ/를 가리킨다.[59]자와어에서 어미 열린 음절의 a는 항상 å(/ɔ/)로 발음되고, 그 앞 음절도 a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받아 å(/ɔ/)로 발음된다.[39] 예를 들어, apa(무엇)는 오포, tampa(받다)는 톤포가 된다. 단, ora(오라)(부정어), arta(알토)(돈), tanpa(탄포)(~없이) 등은 예외이다. a는 열린 음절에서는 길게 발음되고, 닫힌 음절에서는 짧지만, 음절 경계에 비음이 있는 경우에는 길어진다.
e는 입 모양을 대략 일본어의 이 또는 에로 하고 우라고 발음하면 비슷한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예: baras(브라스)(쌀), kena(크노)(~해도 좋다), endi(운디)(어디))
è는 일본어의 에보다 입을 조금 더 옆으로 벌리고 발음한다. (예: tèken(테쿤)(서명하다), yèn(옌)(~라면), sèket(세쿳)(50))
é는 일본어의 에보다 훨씬 더 입을 옆으로 벌리고 발음한다. (예: méja(메조)(테이블), mépé(메페)(말리다), suwé(스웨)(오랫동안))
o는 u처럼 입술을 오므리고 내밀듯이 발음한다. i 또는 ek이 뒤따르면 열린 음절에서는 길고 짧은 중간 정도가 된다. 다른 o는 항상 짧게 발음된다. (예: ora(오라)(부정어), kono(코노)(거기), ombé(온베)(마시다))
u (예: kayu(카유)(목재), tugu(투구)(탑), tuku(투쿠)(사다))
i는 열린 음절에서는 길게 발음되지만, 닫힌 음절(단, 비음 닫힘 제외)에서는 짧다. 일본어의 이보다 입을 더 옆으로 벌리고 발음된다. (예: dina(디노)(날), saiki(사이키)(지금), kuwi(쿠위)(그것))
3. 2. 2. 자음
자와어의 자음 음운은 23~26개 정도이다.[59] 치음/치경음과 설후음 음소 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서인도네시아 유일의 언어이다.[16]| colspan="2" | | 양순음 | 치음/치경음 | 설후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 비음 | mid | nid | ɳid | ɲid | ŋid | ||
| 파열음/파찰음 | p b̥id | t d̥id | ʈ ɖ̥id | tʃ dʒ̊id | k ɡ̊id | ʔid | |
| 마찰음 | ʂid | hid | |||||
| 접근음 | 중선음 | ɽid | jid | wid | |||
| 측음 | ɭid | ||||||
정서법에서는 /ʈ,ɖ/를 th, dh로 쓴다. 또한 /n/은 [n] 외에 [ʈ][ɖ] 앞에 나타날 때 변이음으로 [ɳ]을 가진다.[39]
- b: 네덜란드어의 b보다 날카롭고, b가 어두에 올 때는 어두음 'p를 동반하는 것처럼 들린다(예: bakal → 'pbakal). 제2 또는 제3음절의 어두음이 b라면 p가 앞 음절을 닫고 다음 음절은 b로 시작한다(예: boeboer → 'pboep-boer). 단, 앞 음절이 m으로 끝날 때는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예: ambakali).
- c: 일본어의 「チャ」나 「チョ」의 자음과 비슷하다. 예: kanca(콘쵸) 「친구」, basa(보소) 「언어」, bisa(비소) 「할 수 있다」
- d: 어두 또는 어중에 있을 때는 td가 되고, 어미에 올 때는 t로 발음된다. 단, 'n 또는 an이 d에 앞설 때는 td가 되지 않는다(예: dados → 'tados, babad → pbapbat). 혀끝을 앞니에 대고 약간 물어뜯듯이 발음한다.
- dh: 혀끝을 위 앞니의 뿌리 부근에 대고 발음한다. 영어나 인도네시아 공용어의 d에 해당한다. 예: dhéwé(데웨) 「스스로」, adhi(아디) 「남매」, tedha(투도) 「먹다」
- g: 어두 또는 어중에 있을 때는 kg가 되고, 어미에 올 때는 k로 발음된다. 단, 'n 또는 ang이 g에 앞설 때는 kg가 되지 않는다(예: gawé → kgawé, toetoeg → toetoek). 일본어의 가행 자음과 가깝다. 음절 끝의 g는 k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된다.
- h: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서는 어두에 h가 나타나지만, 특히 발음되는 것은 낭독이나 읽어주는 경우에 한정된다. 또한 두 개의 같은 모음 사이나 o와 oe사이에도 h가 삽입된다. 음절 끝에 있는 h는 숨만 내쉬는 기음이다. 예: omah(오마(h)) 「집」, murah(무라(h)) 「싸다」。또한, oeh, oh, ich, èh로 끝나는 단어에 접미사가 붙으면 h는 보통 j 또는 w로 변한다.
- k: 어말에 있을 때는 내파음이 되지만, 묵음 e가 바로 앞에 있을 때는 외파음이 된다. 또한 k가 음절 말에 있을 때는 내파음이 된다(예: anak → ana', watek → watek)
- j: 일본어의 「ジャ」나 「ジョ」에 가까운 소리. 예: jam(잠) 「시간」, aja(아조) 「~하지 마라」
- l: 혀끝을 위 앞니의 뿌리에 대고 발음한다. 예: lali(라리) 「잊다」, loro(로로) 「2」, lemu(르무) 「뚱뚱하다」
- m: 일본어의 마행 자음의 소리와 가깝다. 음절 끝의 m은 입을 다물듯이 발음된다. 예: mati(마티) 「죽다」, méja(메조) 「테이블」, nem(눔) 「6」
- n: 일본어의 나행에 있는 소리와 가깝다. 혀끝은 위 앞니의 뒤에 대고 발음한다. 예: nami(나미) 「이름」, enak(에나) 「맛있다」
- ng: 「이」를 발음한 후에 혀끝을 n처럼 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 「응」처럼 코로 숨을 내쉬듯이 하면 얻을 수 있다. 예: ing(잉) 「~에/~에서」, menuang(무니양) 「~로(가다)」, wong(웡) 「사람」。단, ng 뒤에 모음이 이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g가 뒤의 모음과 함께 발음된다. 예: nangis(낫기스) 「울다」, mangan(맡갬) 「먹다」
- ny: 일본어의 「냐」나 「뉴」의 자음과 비슷하다. 예: banyu(바뉴) 「물」, anyar(아냐르) 「새로운」
- p: apa(오포) 「무엇」, sarapan(사라판) 「아침 식사를 하다」
- r: 혀를 말아 올리는 소리이다. 예: rega(르고) 「가격」, mréné(므레네) 「여기로」, rada(로도) 「약간」
- s: 일본어의 사행에 해당하는 소리. 예: bisa(비소) 「할 수 있다」, sinau(시나우) 「공부하다」, sasi(사시) 「달」
- t: d와 반전음의 관계에 있다. 전사되면 뒤에 h를 동반한다(예: dhampar "왕좌"). d와 마찬가지로 혀끝을 구개 앞쪽에 대고 발음한다.
- th: 영어나 인도네시아 공용어의 t의 소리에 해당한다. 현재 자와어에서는 그 구별이 혼동되고 있다.[50] 예: sethithik(세티티크) 「약간」, mesthi(무스티) 「틀림없이」
- w: 어말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일본어의 와행에 해당하는 소리. 예: wis(위스) 「이미」, wétan(웨탄) 「동쪽」, waras(와라스) 「건강한」
- y: 일본어의 「야」나 「요」에 해당하는 소리. 예: yaiku(요이쿠) 「즉」, supaya(수파야) 「~할 수 있도록」, kaya(코야) 「~같다」
4. 어휘
자와어는 고유어와 외래어를 통틀어 매우 풍부한 어휘를 보유하고 있다. 산스크리트어는 자와어 어휘의 약 25%를 차지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구 자와어-영어 사전'''에는 약 25,500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그중 12,600개 이상이 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많은 자와어 인명 또한 산스크리트어 어원을 가지고 있다. 현대 자와인들은 구 자와어와 산스크리트어계열 어휘를 통틀어 카위라고 부른다.
아랍어, 네덜란드어, 말레이어로부터도 어휘를 흡수했으나, 산스크리트어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자와어에는 말레이어보다 아랍어 차용어가 훨씬 적으며, 일반적으로 이슬람 종교와 관련이 있다. ''pikir''("생각하다", 아랍어 ''fikr''에서 유래), ''badan''("몸"), ''mripat''("눈", 아랍어 ''ma'rifah''(지식 또는 시각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짐)과 같이 기본 어휘에 들어온 단어들도 있지만, 이러한 아랍어 단어들은 일반적으로 토착 오스트로네시아어 또는 산스크리트어 대안어를 가지고 있다. : ''pikir'' = ''galih'', ''idhep'' (오스트로네시아어) 및 ''manah'', ''cipta'', 또는 ''cita'' (산스크리트어); ''badan'' = ''awak'' (오스트로네시아어) 및 ''slira'', ''sarira'', 또는 ''angga'' (산스크리트어); 그리고 ''mripat'' = ''mata'' (오스트로네시아어) 및 ''soca'' 또는 ''nétra'' (산스크리트어).
네덜란드어 차용어는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어와 같은 형태와 의미를 가지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 자와어 | 인도네시아어 | 네덜란드어 | 영어 |
|---|---|---|---|
| pit | sepeda | fiets | 자전거 |
| pit montor | sepeda motor | motorfiets | 오토바이 |
| sepur | kereta api | spoor, 즉 (철도) 선로 | 기차 |
| potelot | pensil | potlood | 연필 |
| bolpen | bolpoin | balpen | 펜 |
''sepur''이라는 단어는 인도네시아어에도 있지만, 인도네시아어에서는 네덜란드어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인 "철도 선로"를 유지하는 반면, 자바어 단어는 네덜란드어의 비유적 용법을 따르며, "spoor"(문자 그대로 "철도")는 "trein"(문자 그대로 "기차")에 대한 환유로 사용된다.
말레이어는 1945년 인도네시아 독립 선포 이전 인도네시아 군도의 공용어였으며,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한 인도네시아어는 현재 인도네시아의 공식 언어이다. 현대에는 인도네시아어 어휘가 자와어에 흡수되고 있으며, 특히 정치 및 행정 관련 용어가 많다.
5. 통사론
현대 자와어는 주로 SVO 어순을 취한다.[19] 그러나 고대 자와어는 때때로 VSO나 VOS 어순을 취하기도 했다.[19] 현대 자와어에서도 일부 고어풍의 문장에는 VSO 어순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Dhèwèké (S) teka (V) nèng (전치사) kedhaton (O)."와 "Teka (V) ta (불변사) sira (S) ri (전치사) ng (정관사) kadhatwan (O)."는 모두 "그는(S) 그(정관사) 궁전을(O) 방문한다(V)."라는 뜻이다.[19] 고대 자바어에서는 동사가 문두에 오면 불변사 'ta'가 동사와 나머지 문장을 나누는데, 이는 타갈로그어의 경우와 유사한 점이 있다.[19]
자와어에서 동사는 성이나 수에 따라 굴절되지 않으며,[19] 시제 역시 동사에 나타나지 않고 "어제", "이미" 등의 시제부사를 통해 표현된다.[19] 다만 주어와 목적어의 상대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동사에 접사를 붙일 수 있다.[19]
일반적으로 고대 자와어와 현대 자와어를 통틀어 자와어의 문장은 주제 우세 언어(Topic-prominent language) 모델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19] 이 모델을 따르는 언어에서는 주제(topic)는 문두에 오고, 초점(focus)은 한정어(modifier)가 된다.
6. 경어법
자와어 경어법은 상대의 사회적 지위, 신분 고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경어법의 잘못된 사용은 상대에게 큰 실례가 된다. 각각의 경어법 체계를 체(體)라고 하며, 어휘, 문법규칙 및 운율이 관여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다른 언어에도 경어법이 존재한다. 경어법에 대한 심리적 부담은 비 자와인은 물론 자와인들도 공적인 업무수행에서 경어법에 구애받지 않는 인도네시아어를 더 선호하는 경향으로 이어지며, 자와인들 스스로도 경어법을 완전히 익히지 못한 경우도 많다.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자바어는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에는 종종 세 가지의 구별되는 화법(레지스터)가 있다. 각각은 고유한 어휘, 문법 규칙, 심지어 음운론까지 사용한다.
- '''응오코체'''(Ngoko, ꦔꦺꦴꦏꦺꦴjav): 통상체, 비격식체로서 친한 친구, 아랫사람, 연장자가 연소자에게,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 '''마댜체'''(Madya, ꦩꦢꦾjav): 응오코체와 크라마체의 중간체이다. 예를 들어 길에서 만난 낯선 사람과 말을 주고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나, 너무 높이지도 낮추지도 않는 말씨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이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madhya''("중간")에서 유래했다.[21]
- '''크라마체'''(Krama, ꦏꦿꦩjav): 격식체. 같은 지위에 있지만, 서로 말을 놓고 싶지 않을 때나, 공적인 연설, 연소자가 연장자에게 지위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한다. 이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krama''("순서대로")에서 유래했다.[21]
단어는 또한 경어와 겸양어로 나뉜다. 화자가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때는 겸양어(자신을 낮추는 표현)를 써야 하며, 자신보다 높은 신분이나 지위,연령인 사람에게는 경어를 써야 한다. 경어는 크라마 잉길(Krama Inggil), 겸양어는 크라마 안드합(Krama Andhap)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자녀가 부모에게 말할 때, 보통 비격식체인 응오코체를 쓰지만, 단어에 있어서는 특정단어를 경어 또는 겸양어로 말한다. 즉, 체와 별도로 단어로서의 경어와 겸양어도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이러한 경칭 체계는 일본어의 ''경어''와 매우 유사하며, 2차 세계대전 중 일본 제국의 자바 점령 기간 동안 일본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ngoko'' 스타일을 사용하지만, 부모와 이야기할 때는 ''krama inggil''과 ''krama andhap'' 모두를 능숙하게 사용해야 한다.
"먹다"라는 의미의 가장 공손한 단어는 ''dhahar''이다. 하지만 하위 계층의 사람과 이야기할 때를 제외하고는 자신에게 가장 공손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ngoko'' 스타일이 사용된다. 이러한 가장 공손한 단어는 상위 계층의 사람들에게 말할 때 사용된다.
- 혼용
- * (경칭 – 상위 계층의 사람에게 말할 때) ''Bapak kersa dhahar?'' ("드시겠습니까?"; 직역하면 "아버지께서 드시겠습니까?")
- * (하위 계층의 사람에게 답변할 때, 화자의 우월성을 표현할 때) ''Iya, aku kersa dhahar.'' ("네, 먹겠습니다.")
- * (하위 계층의 사람에게 답변할 때, 하지만 우월성을 표현하지 않을 때) ''Iya, aku arep mangan.''
- * (동등한 지위의 사람에게 답변할 때) ''Inggih, kula badhé nedha.''
이러한 다양한 화법의 사용은 복잡하며 자바 문화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필요로 하므로 외국인에게 자바어가 어려운 이유가 된다. 전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바 사람들조차도 숙달하지 못하며, ''ngoko''와 기본적인 형태의 ''krama''만 사용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화법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은 높이 평가받는다.
자와어는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존댓말이 발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 특징으로는 평어체와 정중어체의 구별을 들 수 있다. 자와어의 일상어는 “Ngoko체”라고 불리지만, 이는 2인칭 대명사 ko의 중복형 koko에서 파생된 말이다. “Ngoko체”는 매우 친한 친구 사이나 아랫사람에게, 또는 자와인이 혼잣말을 할 때 등에 사용된다. 한편, 정중어체인 “Krama체”는 격식을 갖춘 대화나 윗사람에게, 귀인들 사이, 때로는 아내가 남편에게 사용하는 말이다.[44] 모든 “Ngoko체”에 해당하는 “Krama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어휘는 “Ngoko체”와 “Krama체”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Ngoko・Krama 공통어”이다.[45]
그 외에 “Krama Inggil어”라고 불리는 단어 그룹이 있는데, 이것은 일본어의 존경어와 겸양어에 해당한다. 단어로서만 존재하며, “Ngoko체”와 “Krama체” 속에서 섞어 사용된다.[45]
6. 1. 응오코체 (Ngoko)
응오코체(ꦔꦺꦴꦏꦺꦴjav)는 통상체, 비격식체로서 친한 친구, 아랫사람, 연장자가 연소자에게,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사용한다.[21] 자와어 경어법은 상대의 사회적 지위, 신분 고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경어법의 잘못된 사용은 상대에게 큰 실례가 된다.[21] 각각의 경어법 체계를 체(體)라고 하며, 어휘, 문법규칙 및 운율이 관여된다.[21]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다른 언어에도 경어법이 존재한다.[21]경어법에 대한 심리적 부담은 비 자와인은 물론 자와인들도 공적인 업무수행에서 경어법에 구애받지 않는 인도네시아어를 더 선호하는 경향으로 이어지며, 자와인들 스스로도 경어법을 완전히 익히지 못한 경우도 많다.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자바어는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21] 오스트로네시아어에는 종종 세 가지의 구별되는 화법(레지스터)가 있다.[21]
화자는 자신에 대해서는 "겸손한" 말을 사용하지만, 나이가 많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 대해서는 경칭을 사용한다. 겸칭은 ''krama andhap''이라고 하며, 경칭은 ''krama inggil''이라고 한다. 이러한 경칭 체계는 일본어의 ''경어''와 매우 유사하며, 2차 세계대전 중 일본 제국의 자바 점령 기간 동안 일본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ngoko'' 스타일을 사용하지만, 부모와 이야기할 때는 ''krama inggil''과 ''krama andhap'' 모두를 능숙하게 사용해야 한다.
"먹다"라는 의미의 가장 공손한 단어는 ''dhahar''이다. 하지만 하위 계층의 사람과 이야기할 때를 제외하고는 자신에게 가장 공손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ngoko'' 스타일이 사용된다. 이러한 가장 공손한 단어는 상위 계층의 사람들에게 말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화법의 사용은 복잡하며 자와 문화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필요로 하므로 외국인에게 자바어가 어려운 이유가 된다. 전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바 사람들조차도 숙달하지 못하며, ''ngoko''와 기본적인 형태의 ''krama''만 사용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화법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은 높이 평가받는다.
6. 2. 마댜체 (Madya)
마댜체(ꦩꦢꦾjav)는 응오코체와 크라마체의 중간체이다.[21] 길에서 만난 낯선 사람과 같이 서로의 지위가 불분명하여 너무 높이지도 낮추지도 않는 말씨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21] '마댜'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madhya''("중간")에서 유래했다.[21]6. 3. 크라마체 (Krama)
크라마체(Krama)는 격식체이다. 같은 지위에 있지만, 서로 말을 놓고 싶지 않을 때나, 공적인 연설, 연소자가 연장자에게, 지위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한다.[21] 자와어 경어법은 상대의 사회적 지위, 신분 고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경어법의 잘못된 사용은 상대에게 큰 실례가 된다. 각각의 경어법 체계를 체(體)라고 하며, 어휘, 문법규칙 및 운율이 관여된다.단어는 또한 경어와 겸양어로 나뉜다. 화자가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때는 겸양어(자신을 낮추는 표현)를 써야 하며, 자신보다 높은 신분이나 지위,연령인 사람에게는 경어를 써야 한다. 경어는 크라마 잉길(Krama Inggil), 겸양어는 크라마 안드합(Krama Andhap)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경칭 체계는 일본어의 경어와 매우 유사하다.[21]
경어의 예시로 "먹다"라는 의미의 가장 공손한 단어는 ''dhahar''이다. 하지만 하위 계층의 사람과 이야기할 때를 제외하고는 자신에게 가장 공손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21]
6. 4. 크라마 잉길 (Krama Inggil) / 크라마 안드합 (Krama Andhap)
자와어 경어법은 상대의 사회적 지위, 신분 고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잘못 사용하면 큰 실례가 된다. 경어법 체계는 어휘, 문법 규칙, 운율에 관여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다른 언어에도 경어법이 존재한다. 경어법에 대한 심리적 부담은 비 자와인은 물론 자와인들도 공적인 업무 수행에서 경어법에 구애받지 않는 인도네시아어를 더 선호하는 경향으로 이어지며, 자와인들 스스로도 경어법을 완전히 익히지 못한 경우도 많다.단어는 경어와 겸양어로 나뉜다. 화자는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 때는 겸양어(자신을 낮추는 표현)를 써야 하며, 자신보다 높은 신분이나 지위, 연령인 사람에게는 경어를 써야 한다. 경어는 크라마 잉길(Krama Inggil), 겸양어는 크라마 안드합(Krama Andhap)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자녀가 부모에게 말할 때, 보통 비격식체인 응오코체를 쓰지만, 특정 단어를 경어 또는 겸양어로 말한다. 즉, 체와 별도로 단어로서의 경어와 겸양어도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이러한 경칭 체계는 일본어의 ''경어''와 매우 유사하며, 2차 세계대전 중 일본 제국의 자바 점령 기간 동안 일본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ngoko'' 스타일을 사용하지만, 부모와 이야기할 때는 ''krama inggil''과 ''krama andhap'' 모두를 능숙하게 사용해야 한다.
7. 방언
자와어는 지역에 따라 크게 서부방언, 중앙방언, 동부방언으로 나뉜다. 이들간의 차이는 주로 발음의 차이이며, 약간의 어휘적 차이도 있다. 이들 방언 사이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상호의사소통이 가능하다.[22]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 언어학과에서 제시한 자바어 방언의 예비적 일반 분류는 다음과 같다. 페시시르(테갈란), 바뉴마스, 탕게르 방언은 가장 보수적인 방언으로 여겨진다.[23][24] 반텐, 페시시르 로르, 바뉴마스, 탕게르 방언은 "표준" 솔로 및 요크야카르타 방언의 혁신인 모음 상승 및 모음 조화 특징이 없다.
- '''서자바(지리적으로):'''
- * 반텐
- * 치레본
- '''중자바(지리적으로):'''
- * 페시시르 로르 방언[23]
- ** 테갈
- ** 펨랑
- ** 프칼롱간
- * 요크야카르타
- * 수라카르타/솔로
- * 세마랑
- * 바뉴마스[33]
- ** 칠라찹
- ** 푸르워케르토
- ** 쿠부멘
- '''동자바(지리적으로):'''
- * 수라바야
- * 말랑
- * 마디운-크디리-응간죽[25]
- * 루마장
- * 오싱[26]
- * 탕게르
자와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그중에서도 a 모음을 가진 서부 자바어와 ā 모음을 가진 동부 자바어 두 개의 주요 그룹이 있다.[44] 서부 자바어는 순다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동부 자바어와 중부 자바의 족자카르타(Jogjakarta) 및 솔로(Solo)의 자바어 사이에도 일정한 차이가 있다.[43] 궁정이 있는 중부 자바의 솔로(Solo, 수라카르타(Surakarta)), 족자카르타의 방언이 가장 순수한 것으로 여겨지며,[44] 새로운 자바 문학의 대부분은 솔로(Solo)에서 쓰여졌다.[39]
7. 1. 서부 방언
자와 중부 주 서부와 자와 서부 및 반텐 주 전역(특히 북부 해안)에서 사용되는 서부 방언은 순다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방언들을 포함한다. 고대 자바어의 많은 고어와 원래 발음을 보존하고 있다.- '''북부 반텐 방언'''(''Jawa Sérang'')은 세랑, 칠레곤, 그리고 탕에랑군 서부에서 사용된다.
- '''치레본 방언'''(''Cirebonan'' 또는 ''basa Cerbon'')은 치레본, 인드라마유, 그리고 로사리에서 사용된다.
- '''테갈 방언'''은 ''Tegalan'' 또는 ''dhialèk Pantura''(북부 해안 방언)으로 알려져 있으며, 테갈, 브레베스, 그리고 펨랑군 서부에서 사용된다.
- '''바뉴마스 방언'''은 ''바뉴마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뉴마스, 칠라찹, 푸르발링가, 반자르네가라, 그리고 부미아유에서 사용된다.
바뉴마산 방언과 테갈 방언과 같은 일부 서자바어 방언은 단어 'apa'(무엇)의 방언적 발음 때문에 다른 자바어 사용자들에 의해 ''basa ngapak''으로 불리기도 한다.
7. 2. 중앙 방언
자와어는 지역에 따라 서부, 중앙, 동부 방언으로 나뉘며, 발음과 어휘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들 방언은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27] 표준 자와어는 마타람 왕국의 계승자인 요크야카르타 술탄국과 수라카르타 수난국 궁정에서 발전된 중앙 자바어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현대 자와어 문어의 기초가 된다.[27] 표준 자와어는 '응오코'(일반어)와 '크라마'(존댓말)라는 두 가지 화법 수준을 엄격하게 사용한다.[27]중앙 자바어(Jawa Tengahan)는 수라카르타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요크야카르타 방언의 영향을 일부 받는다. 이 방언은 중앙자바 동부, 요크야카르타 특별주, 동자바 주 서부에서 사용된다. 마디운 지역(블리타르, 포노로고, 파치탄, 툴룽아궁, 케디리 군 대부분 지역 포함)에서 사용되는 자와어는 수라카르타 자와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중앙 자바어는 매우 다양하여 거의 모든 행정 구역(카부파텐)이 고유한 지역 방언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중앙 방언에는 마타람 방언, 케우 방언, 페칼롱안 방언, 케두 방언, 바겔렌 방언, 세마랑 방언, 무리아 방언, 블로라 방언, 마디우난 방언 등이 있다.
7. 3. 동부 방언
동부 자와어(Jawa Wétanan)는 브란타스 강 동쪽 기슭과 좀방에서 바뉴왕이에 이르는 지역에 걸쳐 있으며, 마두라 섬, 시투본도, 본도워소를 제외한 동자와 주의 두 번째 다수를 차지한다. 하지만, 페달루응안과 같은 일부 방언은 마두라어의 영향을 받았다.가장 외곽에 있는 동부 자와어 방언은 발람반간(바뉴왕이)에서 사용되는 ''basa Using''이다. 현지 부정어인 ''Using''은 발리어의 ''tusing''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
'''아레칸 방언'''은 수라바야, 말랑, 그레식, 모조케르토, 파수루안, 루마장, 젬버의 중서부, 람몽안의 동부, 시도아르조에서 흔히 사용된다. 많은 마두라 사람들도 이 방언을 제2언어로 사용한다.
'''파시시르 로르 웨탄'''(동북부 해안) '''방언'''은 모조케르토, 람몽안 동부, 시도아르조, 그레식, 수라바야에서 사용된다. '''말랑-파수루안 방언'''은 말랑과 파수루안에서 사용된다.'''루마장 방언'''은 루마장의 대부분 지역(마두라 사람들이 기반을 둔 북동부 제외)에서 사용되는 아레칸 방언의 하위 방언이며, 젬버의 남서부(켄콩, 좀방, 움불사리, 구묵마스, 푸거 등)에서도 사용된다. '''좀방 방언'''도 존재한다.
'''텅거 방언'''은 텅거인들이 사용하며, 동중부 자와의 브로모 텅거 세메루 국립공원 내에 있는 고립된 텅거 산맥(브로모 산)의 30개 마을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오싱 방언'''은 바뉴왕이의 중부에서 사용된다.
7. 4. 수리남 자바어
수리남 자바어는 자와어의 방언으로, 주로 수리남에서 사용된다.[28] 케두(Kedu) 지방을 중심으로 한 중앙 자바어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28] 2012년 기준 수리남 내 화자 수는 약 6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8]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네덜란드 식민지 시절 자와섬에서 수리남으로 이주한 자바인들의 언어가 그 기원이다. 당시 이민자 중 90%는 자바인이었고, 나머지는 순다인, 마두라인 등이었다. 이들은 수리남에서 적응하며 자바어를 습득해야 했다.
수리남 자바어는 네덜란드어, 스라난통고(Sranantongo), 사르나미(Sarnami), 인도네시아어 등에서 차용한 어휘가 많다.[29][30] 예를 들어, 'ngabrah'(건너편), 'bakrah'(백인), 'blangkeman'(흑인), 'pernangsi'(플랜테이션), 'sekaut'(경찰) 등의 단어는 각각 스라난통고, 네덜란드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 수리남 자바어[29] | 스라난통고 | 네덜란드어 | 영어 |
|---|---|---|---|
| ngabrah | abra | over | across |
| bakrah | bakra | blanke | white man |
| blangkeman | blakaman | zwarte man | black man |
| pernangsi | pernasi | plantage | plantation |
| sekaut | skowtu | schout (politieagent) | policeman |
1986년 수리남 정부는 수리남 자바어의 공식 철자법을 채택했지만,[31] 실생활에서 문자로 쓰이는 경우는 드물다. 2012년 조사에 따르면, 수리남 자바어를 사용하는 가정의 학생들은 네덜란드어(97.9%)와 스라난통고(76.9%)를 함께 사용하며, 수리남 자바어보다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경향(77%)이 더 높았다(12%). 또한, 수리남 자바어 사용자들은 읽고 쓰는 능력보다 말하기와 이해 능력이 더 높다고 보고했다.
7. 5. 뉴칼레도니아 자바어
뉴칼레도니아 자와어는 자와어의 방언 중 하나로,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32] 뉴칼레도니아 자와어 화자들은 뉴칼레도니아 사회의 특성상 프랑스어에도 능통해야 하는데, 프랑스어는 국가, 경제,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는 언어이기 때문이다.[32] 프랑스어는 정부의 언어이자 프랑스의 공용어이며, 유럽의 주요 언어 중 하나이자 유엔의 공용어 중 하나로, 명성이 높은 언어로 여겨진다.[32]8. 보존 노력
몇몇 언어학자들은 자와어의 현황, 특히 존댓말 자바어(Krama Javanese)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34] 일반 자바어(Ngoko Javanese)는 안정적인 이중언어 사용 현황을 유지하고 있지만, 존댓말 자바어는 더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고 여겨진다.[34] 자바어 원어민 화자 수는 수년에 걸쳐 크게 줄었으며, 욕야카르타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상당수의 부모가 자녀에게 자바어를 가르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35] 대신 자바어 화자들은 친구 그룹과 같은 가족 외부의 출처를 통해 자바어를 습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36] 자바어는 많은 화자를 보유하고 있지만, 인도네시아어와 영어와 같은 다른 언어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는 않다.[34]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자와어 보존 및 발전을 주요 문화 정책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자와어 교육 및 사용 장려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Javanese
2022-02-01
[3]
서적
Kewarganegaraan, Suku Bangsa, Agama dan Bahasa Sehari-hari Penduduk Indonesia - Hasil Sensus Penduduk 2010
http://sp2010.bps.go[...]
Badan Pusat Statistik
[4]
웹사이트
Javanese language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1-03-17
[5]
웹사이트
121 Years of Javanese People in New Caledonia
https://seasia.co/20[...]
2017-12-08
[6]
지역규정
Peraturan Daerah Daerah Istimewa Yogyakarta Nomor 2 Tahun 2021 tentang Pemeliharaan dan Pengembangan Bahasa, Sastra, dan Aksara Jawa
https://peraturan.bp[...]
2021
[7]
지역규정
Peraturan Daerah Provinsi Jawa Tengah Nomor 9 Tahun 2012 tentang Bahasa, Sastra, Dan Aksara Jawa
https://jdih.jatengp[...]
2012
[8]
학술지
The Role of the Surabaya Javanese Dialect (Suroboyoan Dialect)
https://prosiding.ia[...]
2021-12-09
[9]
잡지
Het Surinaams-Javaans anno 2016
https://dbnl.org/tek[...]
2016
[10]
서적
(Wurm & Hattori 1983)
[11]
서적
Collins Concise Dictionary Plus
[12]
서적
Het Surinaams-Javaans = Tyoro Jowo-Suriname
Suara Jawa
[13]
학술지
Quality of Javanese and Sundanese Vowels
2017
[14]
서적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15]
서적
A Descriptive Study of Javanese
ANU Asia-Pacific Linguistics / Pacific Linguistics Press
[16]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0-05-24
[17]
서적
Tata Bahasa Jawa Mutakhir
Pusat Bahasa, Departemen Pendidikan Nasional Indonesia
[18]
서적
Javanese Grammar for Students: A Graded Introduction
Monash University Publishing
[19]
서적
Piwulang Basa Jawa Pepak
[20]
서적
Piwulang Basa Jawa Pepak
[21]
서적
Communicative Codes in Central Java
Cornell Southeast Asia Program
[22]
웹사이트
Jakarta Field Station > Projects > Javanese Dialectology
http://lingweb.eva.m[...]
[23]
웹사이트
Jakarta Field Station > Projects > Javanese Dialectology > Pemalangan Dialect (Pesisir Lor)
http://lingweb.eva.m[...]
[24]
웹사이트
Standard vs. Peripheral Javanese Dialects: The Lexical Evidence
http://lingweb.eva.m[...]
2013-11-23
[25]
웹사이트
Jakarta Field Station > Projects > Javanese Dialectology > Madiun – Kediri Dialect
http://lingweb.eva.m[...]
[26]
웹사이트
Jakarta Field Station > Projects > Javanese Dialectology > Osing Dialect
http://lingweb.eva.m[...]
[27]
학술지
Javanese -''aké'' and -''akən'': A Short History
2011
[28]
웹사이트
Meertaligheid in het onderwijs in Suriname
http://taalunieversu[...]
Nederlandse Taalunie
2012
[29]
서적
Anton de Kom Universiteit
1993
[30]
논문
Development of Surinamese Javanese: Language contact and change in a multilingual context
Radboud Universiteit Nijmegen
2019
[31]
잡지
De officiële spelling van het Surinaams-Javaans
https://www.dbnl.org[...]
1990
[32]
학술지
Integration of French Lexicons in New Caledonian Javanese
https://jurnal.ugm.a[...]
2017-02-27
[33]
웹사이트
Jakarta Field Station > Projects > Javanese Dialectology > Documentation of Banyumasan
http://lingweb.eva.m[...]
[34]
학술지
The Javanese language at risk? Perspectives from an East Java village
[35]
학회
Gender, class and language preference: A case study in Yogyakarta
http://www.als.asn.a[...]
[36]
논문
The Preservation of the Javanese Language in the Special Region of Yogyakarta
[37]
웹사이트
OHCHR {{!}}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Javanese
https://www.ohchr.or[...]
2023-01-31
[38]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Javanese (Javanese)
https://unicode.org/[...]
2023-05-27
[39]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40]
和書
インドネシア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2020-06-28
[41]
和書
ジャワ島
https://www.visitind[...]
インドネシア共和国観光省
2020-06-28
[42]
웹사이트
Javanese
http://www.lmp.ucla.[...]
UCLA Language Materials Project
2016-01-17
[43]
서적
ジャワ語の基礎
東京大学書林
[44]
서적
簡約ジャワ文法
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45]
서적
ジャワ語の基礎
東京大学書林
[46]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Elsevier
[47]
서적
簡約ジャワ文法
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48]
서적
ジャワ語の基礎
東京大学書林
[49]
서적
簡約ジャワ文法
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50]
서적
ジャワ語の決まり文句
南雲堂フェニックス
[51]
서적
ジャワ語の基礎
東京大学書林
[52]
서적
ジャワ語の基礎
東京大学書林
[53]
서적
簡約ジャワ文法
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54]
서적
ジャワ語の基礎
東京大学書林
[55]
서적
簡約ジャワ文法
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56]
서적
ジャワ語の基礎
東京大学書林
[57]
서적
ジャワ語の基礎
東京大学書林
[58]
서적
ジャワ語の決まり文句-インドネシア語つき-
南雲堂フェニックス
[59]
웹사이트
자와어 문자 및 발음
http://www.omnigl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