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라트는 알바니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하얀 도시'를 의미하는 이름은 고대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다. 기원전 7세기에 일리리아인들이 정착한 이후, 비잔틴 제국, 불가리아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쳐 1914년 알바니아 공국 독립과 함께 알바니아 영토가 되었다. 베라트는 오숨강을 중심으로 칼라야, 망갈렘, 고리차의 세 구역으로 나뉘며, 18세기까지 도시 장인 조합이 경제의 중심이었다. 현재는 군수 산업 기지이자 관광 도시로 발전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티파트로스 왕조의 식민지 - 테살로니키
테살로니키는 그리스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에게해 연안의 중요한 항구 도시로,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초기 기독교 및 비잔틴 건축물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고, 그리스와 동남유럽의 중요한 도시이다. - 알바니아의 세계유산 - 지로카스터르
지로카스터르는 알바니아 남부에 위치한 "돌의 도시"로, 중세 시대에 중요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쳐 알바니아 독립 운동의 중심지였고, 공산 정권 시대를 지나 2005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알바니아의 세계유산 - 부트린트
부트린트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대 그리스, 로마 제국 시대에 번성하다가 지진과 제국들의 지배를 거쳐 쇠퇴하였지만, 199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알바니아 남부의 고대 도시이다. - 알바니아의 도시 - 티라나
티라나는 알바니아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오스만 제국 지배와 공산주의 시대를 거쳐 현재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지만, 인구 과밀에 따른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알바니아의 도시 - 라치
라치는 알바니아어로 습지대를 의미하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 기록되었고 성 안토니오 교회가 위치하며, 축구 선수 카짐 라치와 알바니 가문 등이 이 지역과 관련되어 있다.
| 베라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베라트 |
| 기타 명칭 | 베라티 () 베라트 () |
![]() | |
![]() | |
| 별칭 | 천 개의 창문 도시 |
| 위치 | 알바니아 |
| 면적 (지방 자치 단체) | 421.6 km² |
| 면적 단위 | 11.28 |
| 시장 | 에르빈 데모 |
| 소속 정당 | PS |
| 해발고도 | 80m |
| 시간대 | CET |
| 협정 세계시와 시차 | +1 |
| 여름 시간대 | CEST |
| 여름 시간과 협정 세계시와의 시차 | +2 |
| 우편 번호 | 5001-5022 |
| 지역 번호 | (0)11 |
| 웹사이트 | 베라트 시 공식 웹사이트 |
| 인구 (2023년) | 62,232명 |
| 도시 인구 (2023년) | 40,665명 |
| 행정 구역 | |
| 구성 | 오틀라크 로슈니크 시녜 벨라비슈트 베라트 |
| 역사 | |
| 구 명칭 | 안티파트리아 (Antipatria) |
| 세계 문화 유산 등재 | 2005년 |
| 세계 문화 유산 공식 명칭 | 베라트와 지로카스트라의 역사 지구 |
| 유네스코 번호 | 569 |
| 문화 유산 기준 | iii, iv |
| 위치 (유산) | 베라트 주 |
| 유럽 문화 유산 | 2005년-현재 |
| 지리 | |
| 위치 정보 | 티라나에서 거리 블로러에서 거리 두러스에서 거리 피에르에서 거리 |
| 추가 정보 | |
2. 역사
베라트라는 이름은 알바니아어의 음운 변화를 거쳐 고대 슬라브어의 ''Bělgrad'' (Бѣлградъ) 또는 ''Belgrád'' / ''Beligrad'' (Белград / Белигра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하얀 도시"를 의미한다.[6][7]
고대 도시 ''안티파트레이아''(안티파트레이아/Ἀντιπάτρειαgrc, "안티파테르의 도시") 또는 라틴어로 ''안티파트레아''가 이 자리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초기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이 도시의 이름이 ''풀케리오폴리스'' (비잔틴 그리스어: Πουλχεριόπολις, "풀케리아의 도시")였다.[10][8][9] 중세 라틴어에서는 ''Belogradum'', ''Bellegradum''으로 기록되었고, 터키어로는 ''Belgrad'', 이탈리아어로는 ''Belgrado'',[6] 그리스어로는 Βελλέγραδα, ''Bellegrada''로 기록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에서는 이 도시를 ''Belgrado di Romania'' ("루멜리아의 베오그라드")라고 불렀으며, 오스만 제국에서는 세르비아의 베오그라드와 구별하기 위해 ''Belgrad-i Arnavud'' ("알바니아 베오그라드")라고도 불렀다.[10]
오늘날, 아로마니아어에서 베라트는 Biratrup로 알려져 있다.[11]
비잔틴 제국, 불가리아 제국, 세르비아 왕국 등의 지배를 거쳐, 15세기 중반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놓였다. 1914년 알바니아 공국 독립과 함께 알바니아 영토가 되었다. 옛 이름은 '''안티파트리아'''(Antipatria)이다.
== 초기 발전 ==
기원전 7세기의 도자기 발견은 일리리아인들이 베라트의 바위 언덕에 정착했음을 처음으로 증명한다.[12] 베라트는 고대 ''안티파트레아''(Antipatrea)로 확인되었다.[14] 기원전 4세기 중반부터 일리리아인들은 디말레와 빌리스와 같은 자체 도시를 건설하면서 역동적인 발전을 겪었다. 그러나 일리리아인들 사이에서 이러한 발전이 베라트에도 관련이 있는지, 아니면 이 도시의 건립이 마케도니아의 카산더에게 기인하는지는 불확실하다.[13] 건립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카산더가 건립자라면 기원전 314년경 그가 남부 일리리아를 장악한 이후일 것이다.[14]
안티파트레아는 일리리아 전쟁과 마케도니아 전쟁에 연루되었으며,[19] 남부 일리리아의 다사레티아의 도시로 언급된다. 크리손디온, 게르토스, 크레오니온과 함께 안티파트레아는 기원전 217년에 일리리아인의 왕조 스케르딜라이다스와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5세가 전투를 벌였던 다사레탄 도시 중 하나였다. 로마의 개입이 있기 전까지 필리포스 5세에 의해 결국 정복되었다.[15][16] 안티파트레아는 상당한 성벽을 가진 가장 큰 정착지로 묘사되었으며, 다른 정착지가 ''카스텔라'' 또는 ''오피다''로 묘사된 것과 대조적으로 이 지역의 유일한 ''우르스''로 언급되었다.[17]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의 보고에 따르면, 기원전 200년에 로마 공화국의 레가투스 루시우스 아푸스티우스는 "무력으로 안티파트레아를 공격하여 정복하고, 군사 연령의 남자들을 모두 죽이고 모든 전리품을 군인들에게 하사한 후, 성벽을 허물고 도시를 불태웠다".[18][19] 고대 로마 시대에는 일리리스의 에피루스 노바에, 마케도니아 속주에 포함되었다.[20]
이 도시는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비잔틴 제국의 불안정한 국경 일부가 되었고, 발칸 반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슬라브족의 반복적인 침략을 받았다. 로마 시대와 초기 비잔틴 시대 동안 이 도시는 ''풀체리오폴리스''로 알려졌다.
불가리아 제1 제국은 불가리아의 프레시안 1세 아래에서 9세기에 이 도시를 점령했고, 이 도시는 슬라브 이름 ''벨[리]그라드''(Bel[i]grad, "백색 도시")를 얻었으며, 그리스어로는 벨레그라다(Βελέγραδα)였는데, 이는 중세 시대 내내 지속되었고, 오스만 제국 통치하에서 ''베라트''로 바뀌었다. 이 도시는 불가리아 지역 쿠트미체비차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불가리아 총독 엘레마그는 1018년에 바실 2세 황제에게 항복했고, 이 도시는 불가리아 제2 제국이 칼로얀 통치하에 1203년에 이 도시를 되찾을 때까지 비잔틴의 손에 남아 있었다. 13세기 동안에는 에피루스 전제 공국의 통치자인 미카엘 1세 두카스에게 넘어갔다.
1272년 비잔틴 황제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는 베라트와 두러스의 알바니아 지도자들에게 알바니아 왕국의 지도자인 나폴리의 샤를 1세와의 동맹을 포기해달라는 편지를 보냈는데, 샤를 1세는 같은 시기에 이 도시를 점령하고 알바니아 왕국에 편입시켰다.[21][22][23] 그러나 그들은 충성의 표시로 샤를에게 편지를 전달했다.
1274년에 미카엘 8세는 베라트를 되찾았고, 비잔틴 제국을 지지하는 알바니아인들과 합류한 후, 앙주 가문의 수도인 두러스에 대해 실패한 공격을 감행했다.[24] 1280-1281년에는 휴 더 레드의 술리가 이끄는 시칠리아 군대가 베라트를 포위했다. 1281년 3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미하일 타르차네이오테스가 지휘하는 구원군이 포위된 시칠리아 군대를 몰아낼 수 있었다.[25] 13세기 후반에 베라트는 다시 비잔틴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4세기 초 토모르 요새는 비잔틴의 지배하에 ''티모로(n)''로 증명되었다. 1337년에는 베레그리타(베라트 근처 토모르 산 지역)와 카닌 지역에 살던 알바니아 부족들이 반란을 일으켜 토모르 요새를 점령했다.[26][27] 1차 자료에는 반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거의 없다. 요한 6세 칸타쿠제노스는 그 지역의 알바니아인들이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가 몇 년 전에 그들에게 부여한 특권에도 불구하고 반란을 일으켰다고 언급한다.[26] 안드로니코스는 주로 터키 용병으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고 알바니아인들을 물리쳐 많은 사람을 죽이고 포로로 잡았다.[26] 1345년(또는 1343년)에 이 도시는 세르비아 제국에 넘어갔다.[28] 1355년 제국 해체 후 베라트는 전 통치자인 요한 코메노스 아센 (1345-1363), 알렉산더 코메노스 아센 (1363-1372) 및 발샤 2세의 제타 (1372-1385)의 종주권 아래 들어갔다. 1385년 베라트는 사브라 전투 전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은 발로니아를 점령하기 위한 교두보로 사용하기 위해 한동안 베라트에 머물렀을 것이다.[29] 1396년까지 알바니아의 무자카 가문이 베라트를 장악하여 베라트 공국의 수도가 되었다.[30][31] 1417년 베라트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32] 1455년에는 알바니아군 14,000명과 소수의 카탈루냐 병력을 이끌던 스칸데르베그가 오스만군 40,000명으로부터 베라트를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했다.[33]
== 오스만 제국 시대 ==
오스만 제국 통치 초기에 베라트는 심각한 쇠퇴를 겪었다. 16세기 말에는 710채의 집만 있었다. 그러나 17세기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여 목각을 전문으로 하는 주요 공예 중심지가 되었다.
16세기 초 베라트는 기독교 도시였으며 무슬림 가구는 없었다.[34] 이 시기(1506-1583)의 도시 인구는 17채가 추가되면서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35] 스페인에서 추방되어 도착한 후, 베라트에는 1519년에서 1520년 사이에 25가구로 구성된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70][41]
16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베라트에는 461채의 무슬림 가옥과 주변 마을인 게쟈르, 제르베스, 토자르, 프라타르, 도브로니크에서 온 187채가 더 있었다.[35] 이 시기 동안 베라트에서 현지 도시 인구의 이슬람으로의 개종이 증가했으며, 신입 인구의 일부는 이슬람식 이름과 기독교식 성을 가진 무슬림 개종자이기도 했다.[35] 군 복무에 대한 대가로 무슬림 도시 장인에 대한 세금 면제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많은 시골 출신 1세대 무슬림 인구가 베라트로 유입되었다.[36] 17세기 중반에는 사바타이 제비의 추종자들이 베라트의 유대인들 사이에 존재했다.[41] 베라트 유대인 공동체는 1596년 두러스에 있던 전쟁 관련 포로들의 석방을 확보하는 등 다른 유대인들의 복지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41]
17세기 초에 베라트의 도시 생활은 오스만 제국과 무슬림 패턴을 닮기 시작했다.[37] 1670년부터 베라트는 무슬림이 다수인 도시가 되었으며, 30개 구역 중 19개 구역이 무슬림에 의해 인구가 채워졌다.[38] 베라트의 도시 종교 구성의 변화에 기인하는 요인은 일부 지역에서 개종 압력이 있었고, 종교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독교 사제가 부족했기 때문이다.[38]
18세기 베라트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가장 중요한 알바니아 도시 중 하나였다.[39]
근세 초에 이 도시는 아흐메트 쿠르트 파샤가 세운 베라트 파샬리크의 수도였다. 베라트는 이브라힘 파샤 오브 베라트가 1809년 알리 파샤에게 패배한 후 야니나 파샬리크에 편입되었다. 1867년, 베라트는 야니나 (얀야) 빌라예트의 산자크가 되었다. 베라트는 19세기에 쇠퇴하는 블로러를 산자크(주)의 중심지로 대체했다.[40] 베라트 산자크와 도시 자체는 알바니아 브리오니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40] 야니나의 유대인 공동체는 19세기에 베라트의 유대인 공동체를 갱신했다.[41]
그리스 학교는 이미 1835년부터 이 도시에서 운영되고 있었다.[43] 오스만 제국 말기에 베라트의 인구는 10,000~15,000명이었으며, 정교회 기독교인은 약 5,000명으로 이 중 3,000명은 아로마니아어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알바니아어를 사용했다.[44][45]
19세기 동안 베라트는 알바니아 민족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라트의 기독교 상인들은 알바니아 운동을 지원했다.[46] 1833~1839년 알바니아 반란은 특히 1833년 10월에 발생한 반란으로 인해 도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도시의 성은 10,000명의 사람들에 의해 포위되었다. 베라트의 뮈테셀림인 에민 아가는 반란 지도자들에게 도시를 넘겨주어야 했다. 1833년 10월 22일, 반란 지도자들은 술탄에게 요청 사항을 작성했다. 그들은 더 이상 베라트가 오스만 정부에 군인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었다. 그들은 또한 알바니아의 지방 행정이 알바니아 사람들에 의해 주도되기를 요구했다. 오스만 정부는 반군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도시의 알바니아 관리들을 임명하고 사면을 선언했다. 1839년 8월, 베라트에서 새로운 봉기가 일어났다. 주민들은 오스만 군대를 공격하고 성에서 포위했다. 한편, 반란은 블로러 산자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반군 지도자들은 행정에 알바니아 관리를 두고, 알리 파샤의 조카인 이스마일 파샤를 총독으로 임명해 달라는 청원을 압둘메지드 1세 술탄에게 보냈다. 1839년 9월, 반군들은 성을 점령했지만, 오스만 정부는 다시 한 번 알바니아의 개혁 적용을 연기했다.[47]
베라트는 19세기 후반 알바니아 민족주의 동맹인 프리즈렌 동맹의 주요 지지 기반이 되었으며, 또한 지로카스트르에서 동맹의 남부 지부 결성에 참여했다.[48]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점령군은 베라트 지역에서 정교회 기독교인 6,745명과 무슬림 20,919명을 세었다.[49]
== 현대 ==
제2차 세계 대전 중, 베라트의 무슬림과 기독교 공동체는 유대인들을 숨겨주었다.[70] 1944년 10월 23일부터 30일까지 베라트에서 알바니아 민족 해방 평의회 제2차 회기가 열렸으며, 여기서 민족 해방 운동이 통제하는 반파시스트 민족 해방 위원회가 알바니아 임시 민주 정부가 되었고, 엔베르 호자가 총리 겸 국방부 장관을 맡았다. 공산주의 시대 동안 베라트는 정치적 억류 센터 역할을 했으며, 티토주의 유고슬라비아에 동조한 사람들도 베라트로 추방되었다.[54][55][56] 현대 시대에는 로마니족 공동체가 베라트와 그 외곽에 거주하고 있다.[57][58]
2. 1. 초기 발전
기원전 7세기의 도자기 발견은 일리리아인들이 베라트의 바위 언덕에 정착했음을 처음으로 증명한다.[12] 베라트는 고대 ''안티파트레아''(Antipatrea)로 확인되었다.[14] 기원전 4세기 중반부터 일리리아인들은 디말레와 빌리스와 같은 자체 도시를 건설하면서 역동적인 발전을 겪었다. 그러나 일리리아인들 사이에서 이러한 발전이 베라트에도 관련이 있는지, 아니면 이 도시의 건립이 마케도니아의 카산더에게 기인하는지는 불확실하다.[13] 건립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카산더가 건립자라면 기원전 314년경 그가 남부 일리리아를 장악한 이후일 것이다.[14]안티파트레아는 일리리아 전쟁과 마케도니아 전쟁에 연루되었으며,[19] 남부 일리리아의 다사레티아의 도시로 언급된다. 크리손디온, 게르토스, 크레오니온과 함께 안티파트레아는 기원전 217년에 일리리아인의 왕조 스케르딜라이다스와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5세가 전투를 벌였던 다사레탄 도시 중 하나였다. 로마의 개입이 있기 전까지 필리포스 5세에 의해 결국 정복되었다.[15][16] 안티파트레아는 상당한 성벽을 가진 가장 큰 정착지로 묘사되었으며, 다른 정착지가 ''카스텔라'' 또는 ''오피다''로 묘사된 것과 대조적으로 이 지역의 유일한 ''우르스''로 언급되었다.[17]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의 보고에 따르면, 기원전 200년에 로마 공화국의 레가투스 루시우스 아푸스티우스는 "무력으로 안티파트레아를 공격하여 정복하고, 군사 연령의 남자들을 모두 죽이고 모든 전리품을 군인들에게 하사한 후, 성벽을 허물고 도시를 불태웠다".[18][19] 고대 로마 시대에는 일리리스의 에피루스 노바에, 마케도니아 속주에 포함되었다.[20]
이 도시는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비잔틴 제국의 불안정한 국경 일부가 되었고, 발칸 반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슬라브족의 반복적인 침략을 받았다. 로마 시대와 초기 비잔틴 시대 동안 이 도시는 ''풀체리오폴리스''로 알려졌다.
불가리아 제1 제국은 불가리아의 프레시안 1세 아래에서 9세기에 이 도시를 점령했고, 이 도시는 슬라브 이름 ''벨[리]그라드''(Bel[i]grad, "백색 도시")를 얻었으며, 그리스어로는 벨레그라다(Βελέγραδα)였는데, 이는 중세 시대 내내 지속되었고, 오스만 제국 통치하에서 ''베라트''로 바뀌었다. 이 도시는 불가리아 지역 쿠트미체비차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불가리아 총독 엘레마그는 1018년에 바실 2세 황제에게 항복했고, 이 도시는 불가리아 제2 제국이 칼로얀 통치하에 1203년에 이 도시를 되찾을 때까지 비잔틴의 손에 남아 있었다. 13세기 동안에는 에피루스 전제 공국의 통치자인 미카엘 1세 두카스에게 넘어갔다.
1272년 비잔틴 황제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는 베라트와 두러스의 알바니아 지도자들에게 알바니아 왕국의 지도자인 나폴리의 샤를 1세와의 동맹을 포기해달라는 편지를 보냈는데, 샤를 1세는 같은 시기에 이 도시를 점령하고 알바니아 왕국에 편입시켰다.[21][22][23] 그러나 그들은 충성의 표시로 샤를에게 편지를 전달했다.
1274년에 미카엘 8세는 베라트를 되찾았고, 비잔틴 제국을 지지하는 알바니아인들과 합류한 후, 앙주 가문의 수도인 두러스에 대해 실패한 공격을 감행했다.[24] 1280-1281년에는 휴 더 레드의 술리가 이끄는 시칠리아 군대가 베라트를 포위했다. 1281년 3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미하일 타르차네이오테스가 지휘하는 구원군이 포위된 시칠리아 군대를 몰아낼 수 있었다.[25] 13세기 후반에 베라트는 다시 비잔틴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4세기 초 토모르 요새는 비잔틴의 지배하에 ''티모로(n)''로 증명되었다. 1337년에는 베레그리타(베라트 근처 토모르 산 지역)와 카닌 지역에 살던 알바니아 부족들이 반란을 일으켜 토모르 요새를 점령했다.[26][27] 1차 자료에는 반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거의 없다. 요한 6세 칸타쿠제노스는 그 지역의 알바니아인들이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가 몇 년 전에 그들에게 부여한 특권에도 불구하고 반란을 일으켰다고 언급한다.[26] 안드로니코스는 주로 터키 용병으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고 알바니아인들을 물리쳐 많은 사람을 죽이고 포로로 잡았다.[26] 1345년(또는 1343년)에 이 도시는 세르비아 제국에 넘어갔다.[28] 1355년 제국 해체 후 베라트는 전 통치자인 요한 코메노스 아센 (1345-1363), 알렉산더 코메노스 아센 (1363-1372) 및 발샤 2세의 제타 (1372-1385)의 종주권 아래 들어갔다. 1385년 베라트는 사브라 전투 전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은 발로니아를 점령하기 위한 교두보로 사용하기 위해 한동안 베라트에 머물렀을 것이다.[29] 1396년까지 알바니아의 무자카 가문이 베라트를 장악하여 베라트 공국의 수도가 되었다.[30][31] 1417년 베라트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32] 1455년에는 알바니아군 14,000명과 소수의 카탈루냐 병력을 이끌던 스칸데르베그가 오스만군 40,000명으로부터 베라트를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했다.[33]
2. 2.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통치 초기에 베라트는 심각한 쇠퇴를 겪었다. 16세기 말에는 710채의 집만 있었다. 그러나 17세기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여 목각을 전문으로 하는 주요 공예 중심지가 되었다.
16세기 초 베라트는 기독교 도시였으며 무슬림 가구는 없었다.[34] 이 시기(1506-1583)의 도시 인구는 17채가 추가되면서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35] 스페인에서 추방되어 도착한 후, 베라트에는 1519년에서 1520년 사이에 25가구로 구성된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70][41]
16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베라트에는 461채의 무슬림 가옥과 주변 마을인 게쟈르, 제르베스, 토자르, 프라타르, 도브로니크에서 온 187채가 더 있었다.[35] 이 시기 동안 베라트에서 현지 도시 인구의 이슬람으로의 개종이 증가했으며, 신입 인구의 일부는 이슬람식 이름과 기독교식 성을 가진 무슬림 개종자이기도 했다.[35] 군 복무에 대한 대가로 무슬림 도시 장인에 대한 세금 면제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많은 시골 출신 1세대 무슬림 인구가 베라트로 유입되었다.[36] 17세기 중반에는 사바타이 제비의 추종자들이 베라트의 유대인들 사이에 존재했다.[41] 베라트 유대인 공동체는 1596년 두러스에 있던 전쟁 관련 포로들의 석방을 확보하는 등 다른 유대인들의 복지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41]
17세기 초에 베라트의 도시 생활은 오스만 제국과 무슬림 패턴을 닮기 시작했다.[37] 1670년부터 베라트는 무슬림이 다수인 도시가 되었으며, 30개 구역 중 19개 구역이 무슬림에 의해 인구가 채워졌다.[38] 베라트의 도시 종교 구성의 변화에 기인하는 요인은 일부 지역에서 개종 압력이 있었고, 종교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독교 사제가 부족했기 때문이다.[38]
18세기 베라트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가장 중요한 알바니아 도시 중 하나였다.[39]
근세 초에 이 도시는 아흐메트 쿠르트 파샤가 세운 베라트 파샬리크의 수도였다. 베라트는 이브라힘 파샤 오브 베라트가 1809년 알리 파샤에게 패배한 후 야니나 파샬리크에 편입되었다. 1867년, 베라트는 야니나 (얀야) 빌라예트의 산자크가 되었다. 베라트는 19세기에 쇠퇴하는 블로러를 산자크(주)의 중심지로 대체했다.[40] 베라트 산자크와 도시 자체는 알바니아 브리오니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40] 야니나의 유대인 공동체는 19세기에 베라트의 유대인 공동체를 갱신했다.[41]
그리스 학교는 이미 1835년부터 이 도시에서 운영되고 있었다.[43] 오스만 제국 말기에 베라트의 인구는 10,000~15,000명이었으며, 정교회 기독교인은 약 5,000명으로 이 중 3,000명은 아로마니아어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알바니아어를 사용했다.[44][45]
19세기 동안 베라트는 알바니아 민족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라트의 기독교 상인들은 알바니아 운동을 지원했다.[46] 1833~1839년 알바니아 반란은 특히 1833년 10월에 발생한 반란으로 인해 도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도시의 성은 10,000명의 사람들에 의해 포위되었다. 베라트의 뮈테셀림인 에민 아가는 반란 지도자들에게 도시를 넘겨주어야 했다. 1833년 10월 22일, 반란 지도자들은 술탄에게 요청 사항을 작성했다. 그들은 더 이상 베라트가 오스만 정부에 군인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었다. 그들은 또한 알바니아의 지방 행정이 알바니아 사람들에 의해 주도되기를 요구했다. 오스만 정부는 반군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도시의 알바니아 관리들을 임명하고 사면을 선언했다. 1839년 8월, 베라트에서 새로운 봉기가 일어났다. 주민들은 오스만 군대를 공격하고 성에서 포위했다. 한편, 반란은 블로러 산자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반군 지도자들은 행정에 알바니아 관리를 두고, 알리 파샤의 조카인 이스마일 파샤를 총독으로 임명해 달라는 청원을 압둘메지드 1세 술탄에게 보냈다. 1839년 9월, 반군들은 성을 점령했지만, 오스만 정부는 다시 한 번 알바니아의 개혁 적용을 연기했다.[47]
베라트는 19세기 후반 알바니아 민족주의 동맹인 프리즈렌 동맹의 주요 지지 기반이 되었으며, 또한 지로카스트르에서 동맹의 남부 지부 결성에 참여했다.[48]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점령군은 베라트 지역에서 정교회 기독교인 6,745명과 무슬림 20,919명을 세었다.[49]
2. 3. 현대
오스만 제국 통치 초기에 베라트는 심각한 쇠퇴를 겪었으나, 17세기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여 목각을 전문으로 하는 주요 공예 중심지가 되었다.[34] 16세기 초 베라트는 기독교 도시였으며 무슬림 가구는 없었다. 1519년에서 1520년 사이에는 스페인에서 추방되어 온 유대인 공동체가 25가구로 구성되어 있었다.[70][41] 16세기 후반에는 현지 도시 인구의 이슬람으로의 개종이 증가했다.[35] 17세기 중반에는 사바타이 제비의 추종자들이 베라트의 유대인들 사이에 존재했다.[41]18세기 베라트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가장 중요한 알바니아 도시 중 하나였다.[39] 근세 초에 이 도시는 아흐메트 쿠르트 파샤가 세운 베라트 파샬리크의 수도였다. 베라트는 이브라힘 파샤 오브 베라트가 1809년 알리 파샤에게 패배한 후 야니나 파샬리크에 편입되었다. 1867년, 베라트는 야니나 (얀야) 빌라예트의 산자크가 되었다. 19세기 동안 베라트는 알바니아 민족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33~1839년 알바니아 반란은 특히 1833년 10월에 발생한 반란으로 인해 도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39년 8월, 베라트에서 새로운 봉기가 일어났고, 주민들은 오스만 군대를 공격하고 성에서 포위했다.[47] 베라트는 19세기 후반 알바니아 민족주의 동맹인 프리즈렌 동맹의 주요 지지 기반이 되었으며, 또한 지로카스트르에서 동맹의 남부 지부 결성에 참여했다.[48]
제2차 세계 대전 중, 베라트의 무슬림과 기독교 공동체는 유대인들을 숨겨주었다.[70] 1944년 10월 23일부터 30일까지 베라트에서 알바니아 민족 해방 평의회 제2차 회기가 열렸으며, 여기서 민족 해방 운동이 통제하는 반파시스트 민족 해방 위원회가 알바니아 임시 민주 정부가 되었고, 엔베르 호자가 총리 겸 국방부 장관을 맡았다. 공산주의 시대 동안 베라트는 정치적 억류 센터 역할을 했으며, 티토주의 유고슬라비아에 동조한 사람들도 베라트로 추방되었다.[54][55][56] 현대 시대에는 로마니족 공동체가 베라트와 그 외곽에 거주하고 있다.[57][58]
3. 지리
베라트는 오숨강의 오른쪽 강둑에 위치하며, 몰리슈트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 멀지 않다. 구 시가지 중심은 칼라야(성 언덕 위), 망갈렘(성 언덕 기슭), 고리차(오숨강 왼쪽 강둑)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에는 건축학적, 역사적으로 흥미로운 많은 건물들이 있다. 도시 위, 우뚝 솟은 토모르 산의 경사면에 있는 소나무 숲은 적절한 웅장함을 배경으로 제공한다. 오수미강은 계곡 서쪽의 석회암을 가로질러 915미터 깊이의 협곡을 형성하여 가파른 천연 요새를 이루며, 그 주변에 여러 강변 테라스에 도시가 건설되었다.
알바니아 전설에 따르면, 토모르 산은 원래 젊은 여성을 두고 또 다른 거인(산)인 시파라그와 싸운 거인이었다고 한다. 그들은 서로를 죽였고, 소녀는 그녀의 눈물에 빠져 죽었고, 그것이 오숨강이 되었다.
두 번째 거인의 이름을 딴 시파라그산은 협곡의 왼쪽 강둑, 고리차 지역 위에 있다. 베라트는 알바니아인들에게 "창문이 하나 위에 하나 있는 도시"(비슷한 수식어가 때때로 지로카스트라에 적용됨) 또는 '2천 계단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1961년 6월 독재자 엔베르 호자에 의해 '박물관 도시'로 선포되었다.
== 기후 ==
베라트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른 지중해성 기후( ''Csa'')를 가지고 있다.[60][61][62]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7월 평균 최고 기온은 28.2°C이다.[61] 반대로 겨울은 온화하고 습하며 1월 평균 기온은 7.2°C이다.[61] 베라트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12.2°C로 추정되며 최고 기온은 47.1°C이다.[61]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C) | 14.4 | 15.3 | 17.1 | 20.2 | 25.3 | 30.4 | 33.4 | 33.6 | 29.2 | 23.1 | 18.3 | 15.8 |
| 평균 최저 기온 (°C) | 2.0 | 2.1 | 4.2 | 7.4 | 12.5 | 17.7 | 20.3 | 20.0 | 16.0 | 8.5 | 6.3 | 3.1 |
| 월 강수량 (mm) | 145 | 152 | 108 | 97 | 76 | 31 | 4 | 9 | 50 | 95 | 199 | 203 |
3. 1. 기후
베라트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른 지중해성 기후( ''Csa'')를 가지고 있다.[60][61][62]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7월 평균 최고 기온은 28.2°C이다.[61] 반대로 겨울은 온화하고 습하며 1월 평균 기온은 7.2°C이다.[61] 베라트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12.2°C로 추정되며 최고 기온은 47.1°C이다.[61]|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C) | 14.4 | 15.3 | 17.1 | 20.2 | 25.3 | 30.4 | 33.4 | 33.6 | 29.2 | 23.1 | 18.3 | 15.8 |
| 평균 최저 기온 (°C) | 2.0 | 2.1 | 4.2 | 7.4 | 12.5 | 17.7 | 20.3 | 20.0 | 16.0 | 8.5 | 6.3 | 3.1 |
| 월 강수량 (mm) | 145 | 152 | 108 | 97 | 76 | 31 | 4 | 9 | 50 | 95 | 199 | 203 |
4. 인구
wikitext
| 연도 | 인구 |
|---|---|
| 1950 | 11,648 |
| 1955 | 14,374 |
| 1960 | 18,685 |
| 1969 | 24,700 |
| 1979 | 33,400 |
| 1989 | 42,957 |
| 2001 | 40,072 |
| 2011 | 36,496 |
5. 문화
5. 1. 세계유산
베라트는 4세기부터 18세기까지 수 세기에 걸쳐 종교적, 문화적 공동체가 공존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18세기 말과 19세기에 만들어진 전통적인 발칸 주택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도시이기도 하다.[63][64][71][65] 베라트 성, 성 마리아 블라헤르나 교회(13세기), 미혼자 모스크, 베라트 국립 민족지 박물관, 술탄 모스크(1481년에서 1512년 사이에 건축), 납 모스크(1555년 건축) 및 고리차 다리 등이 이러한 역사적 시기의 랜드마크이다.
베라트 성은 오숨 강 오른쪽 제방의 바위 언덕 위에 지어졌으며 남쪽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 서기 200년 로마인에 의해 불태워진 후, 성벽은 비잔틴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 치하의 5세기에 강화되었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치하의 6세기에 재건되었으며, 비잔틴 황제의 사촌인 미카엘 콤네노스 두카스 에피루스 전제군주 치하의 13세기에 다시 재건되었다. 북쪽에 있는 주요 입구는 요새화된 안뜰로 방어되어 있으며 세 개의 작은 입구가 있다. 요새 내부의 건물은 13세기에 지어졌으며, 그 특징적인 건축물 때문에 문화 유산으로 보존되어 있다. 요새의 인구는 기독교인이었으며, 약 20개의 교회(대부분 13세기에 건설됨)와 이슬람 주둔군이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모스크가 있었다. 요새의 교회들은 수년에 걸쳐 손상되었으며 일부만 남아 있다.
13세기에 지어진 성 마리아 블라헤르나 교회에는 중세 이후 가장 중요한 알바니아 화가인 오누프리의 아들 니콜레 오누프리가 16세기에 그린 벽화가 있다. 요새 벽 내부의 언덕 위에 있는 작은 나무가 심어진 광장에는 14세기 삼위일체 교회가 서 있다. 성벽 밖에는 13세기에 지어진 성 미카엘 교회(Shën Mehill)가 있다. 경비 초소 뒤 입구 근처에는 오누프리 자신이 그린 벽화가 있는 작은 성 테오도르 교회(Shen Todher)가 있다. 성 니콜라스 대성당은 잘 복원되어 현재 오누프리에게 헌정된 박물관이다. 오누프리는 알바니아에서 16세기의 가장 위대한 화가였다. 그는 프레스코와 이콘 기법의 대가였을 뿐만 아니라, 붉은 빛깔의 새로운 색상을 회화에 처음으로 도입했는데, 프랑스인들은 이를 "오누프리의 빨강"이라고 불렀다.
유네스코 베라트 유적지.
오누프리의 이름을 기록한 최초의 비문은 1951년 쉘칸 교회에서 발견되었다. 카스토리아 교회에는 1547년 7월 23일이라는 날짜와 오누프리의 출신에 대한 언급이 있다: "나는 오누프리이며 베라트 마을 출신이다." 오누프리의 회화 스타일은 그의 아들 니콜라(Nicholas)에게 계승되었지만, 아버지만큼 성공하지는 못했다. 오누프리 박물관에서는 오누프리, 그의 아들 니콜라, 그리고 다른 화가들의 작품을 찾아볼 수 있다.
요새에서 내려오는 길 근처에는 1827년에 지어진 미혼자 모스크(Xhami e Beqareve)가 있다. 킹 모스크(Xhamia e Mbretitsq)는 바야지드 2세 (1481-1512) 치세에 지어진 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이며, 현대에는 박물관으로 사용된다.[67] 납 모스크(Xhamia e Plumbit)는 1555년에 지어졌으며, 돔의 덮개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이 모스크는 도시의 중심이다.[68]

할베티 테케 (Teqe e Helvetive)는 15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782년 아흐메트 쿠르트 파샤에 의해 재건되었다. 할와티 수피 교단에 속한다. 테케 근처에는 오스만 제국 유대인인 사바타이 제비의 무덤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69]
"솔로몬 박물관"이라는 유대교 역사 박물관이 베라트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알바니아 홀로코스트와 전쟁 중 유대인의 생존에 대한 전시물을 소장하고 있다.[70]
이 도시는 역사적인 건축물과 풍경으로 유명하며, 도시를 내려다보는 많은 오래된 장식된 집들의 큰 창문 때문에 "''천 개의 창문 도시''"로 알려져 있다.

베라트 국립 민족지 박물관은 1979년에 개관했다.[71]

고리차 다리는 베라트의 두 부분을 연결하며, 원래 1780년에 나무로 지어졌으며 1920년대에 돌로 재건되었다.[64]
오스만 제국 시대의 시가지가 보존되어 있으며, 2005년에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지로카스트라 박물관 도시"의 확대 등록 형태로, 2008년에 세계유산 목록에 추가되었다.
베라트의 세계유산 등록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준 3: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유일하거나 적어도 특출한 증거.
- 기준 4: 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축물, 건축의 총체, 기술적 총체 또는 풍경의 뛰어난 사례.
5. 1. 1. 등록 기준
베라트의 세계유산 등록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준 3: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유일하거나 적어도 특출한 증거.
- 기준 4: 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축물, 건축의 총체, 기술적 총체 또는 풍경의 뛰어난 사례.
5. 2. 랜드마크
베라트는 종교적, 문화적 공동체가 공존하고, 18~19세기 발칸 반도 주택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도시다. 베라트 성[83], 성 마리아 블라헤르나 교회(13세기), 미혼자 모스크, 국립 민족지 박물관, 술탄 모스크(1481~1512년 건축), 납 모스크(1555년 건축), 고리차 다리 등이 주요 랜드마크이다.[63][64][71][65]오숨 강 오른쪽 제방의 바위 언덕 위에 지어진 베라트 성은 남쪽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200년 로마인에 의해 불태워진 후, 5세기에 성벽이 강화되었고, 6세기에 재건, 13세기에 에피루스 전제군주 미카엘 콤네노스 두카스에 의해 재건되었다. 요새 내부에는 13세기에 지어진 건물들이 문화 유산으로 보존되어 있다. 요새 안에는 약 20개의 교회와 1개의 모스크가 있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 있다. 성 마리아 블라헤르나 교회에는 16세기 화가 오누프리의 아들 니콜레 오누프리가 그린 벽화가 있다. 오누프리는 붉은 빛깔의 새로운 색상을 회화에 도입하고, 얼굴 표정에 사실주의와 개성을 부여한 것으로 유명하다.[66] 오누프리 박물관에는 오누프리와 그의 아들 니콜라 등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유네스코 베라트 유적지.
1827년에 지어진 미혼자 모스크는 꽃, 식물, 집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킹 모스크는 바야지드 2세 치세에 지어진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로, 아름다운 천장으로 유명하다.[67] 납 모스크는 1555년에 지어졌으며 돔의 덮개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68] 할베티 테케는 15세기에 지어졌으며, 1782년 아흐메트 쿠르트 파샤에 의해 재건되었다. 할와티 수피 교단에 속한다. 테케 근처에는 사바타이 제비의 무덤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69] 베라트 남쪽에는 "솔로몬 박물관"이라는 유대교 역사 박물관이 있다.[70]
베라트는 "''천 개의 창문 도시''"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가파른 지형에 지어진 집들의 창문이 하나 위에 하나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현대 베라트는 오숨 강에 의해 고리차, 망갈렘, 칼라자 세 부분으로 나뉜다. 1979년에 개관한 베라트 국립 민족지 박물관은 베라트의 역사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일상 용품을 소장하고 있다.[71] 고리차 다리는 1780년에 나무로 지어졌다가 1920년대에 돌로 재건되었으며, 베라트의 두 부분을 연결한다.[64]
6. 경제
18세기까지 베라트의 경제와 사회는 도시의 장인 조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는 중세 후기부터 존재했던 다양한 세금 면제와 부분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39] 1750년까지 22개의 조합이 있었는데, 가장 중요한 조합은 무두장이, 구두 수선공 및 기타 가죽 가공 조합이었다.[39] 다른 조합으로는 금속 가공, 은세공, 비단 제작 조합 등이 있었다.[39]
현재 베라트는 쿠초버 기지와 폴리찬 공장을 갖춘 알바니아의 군수 산업 기지이며, 역사적인 유적 덕분에 최근 몇 년 동안 관광 경제가 발전하고 있다.
7. 자매 도시
베라트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아마시아, 아마시아 주, 튀르키예[73]
- 바그질라르, 이스탄불, 튀르키예[74]
- 베라, 옥시타니, 프랑스[75]
- 페르모, 마르케, 이탈리아[76]
- 카르미엘, 북부 구, 이스라엘[77]
- 로베치, 로베치 주, 불가리아[78]
- 플로이에슈티, 문테니아, 루마니아[79]
- 프리레즈렌, 프리레즈렌 구, 코소보[80]
- 울친 시, 몬테네그로[81]
8. 유명 인물
- 오메르 파샤 브리오니 2세 - 19세기 가장 강력한 알바니아 가문 출신의 알바니아 통치자이자 피에르의 현대적 창시자이다.
- 알바니아의 크리스토퍼 - 1937년부터 1948년까지 알바니아 정교 자치 교회의 수장이었다.
- 에니 코치 - 여성 가수이다.
- 소티르 콜레아 - 알바니아 민족 부흥 운동의 민속학자, 외교관, 활동가이다.
- 아페르디타 베베츠카 프리프타이 - 물리학자이다.
- 미르토 우주니 - 스페인 클럽 그라나다와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윙어인 프로 축구 선수이다.
- 아지즈 브리오니 - 오스만-알바니아 정치인이다.
- 일리야즈 브리오니 - 정치인이자 토지 소유주로, 알바니아 총리를 세 번 역임했다.
- 이수프 브리오니 - 번역가, 외교관, 유네스코 주재 알바니아 대사이다.
- 오메르 브리오니 - 그리스 독립 전쟁의 오스만 인물이다.
- 사미 베이 브리오니 - 정치인, 외교관, 대표이다.
- 디미테르 투툴라니 - 변호사이자 정치인이다.
- 카셈 트레베시나 - 유격대원, 공산주의 검사, 배우, 작가이다.

- 마르가리타 투툴라니 - 제2차 세계 대전 중 알바니아의 반파시스트이자 영웅이다.
- 베라트의 콘스탄틴 - 18세기 알바니아 시인이다.
- 알렉산더 멕시 - (1939년 3월 8일) 전 알바니아 총리로, 그의 어머니 에피게니 하지스타사는 베라트 출신이다.
- 술레이만 나이비 - 알바니아 시인이다.
- 벡히 부하라야 - 알바니아 문학가, 번역가, 동양학자이다.
- 아짐 슈카 - (1942년 4월 – 1992년 5월 20일) 알바니아 영화 및 연극 배우였다. 그의 어머니 크리스티나(레카) 슈카는 베라트의 망갈렘 지역 출신인 덕사니 레카의 딸이다.
- 올리 슈카 - (1976년 5월 27일 출생)는 영국-알바니아 배우로, ''갱스 오브 런던''에서 알바니아 마피아의 수장인 루안 역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알바니아 배우 아짐 슈카의 아들이며, 그의 할머니 크리스티나 레카와 그의 아버지 덕사니 레카는 베라트의 망갈렘 지역 출신이다.
- 디미테르 베라티 (1886년 10월 15일 – 1970년 9월 8일)는 알바니아 정치인이자 저널리스트였다. 알바니아 독립 선언의 서명자 중 한 명인 베라티는 1919년 파리 평화 회의에서 알바니아 대표단의 비서로 활동했다. 그의 부모는 베라트 출신이다.
- 바베 두데 카르부나라-본명 조르지 카르부나라 (1842년 4월 22일-1917년 12월 19일) 교사이자 정치인으로, 알바니아 독립 선언의 서명자 중 한 명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instat.g[...]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2]
웹사이트
Law nr. 115/2014
https://www.vendime.[...]
2022-02-25
[3]
웹사이트
A new Urban–Rural Classification of Albanian Population
https://www.instat.g[...]
Instituti i Statistikës
2014-05
[4]
웹사이트
Albani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citypopulati[...]
[5]
웹사이트
Cities of Albania
http://pop-stat.mash[...]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7]
서적
The origin of the Albanians: linguistically investigated
https://books.google[...]
Academy of Sciences of Albania
[8]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Volume III: 336–167 B.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1-09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0]
서적
The highland Lut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1-01-09
[11]
뉴스
Arumunët Albania, nr. 40
https://issuu.com/le[...]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웹사이트
Regnum Albaniae and the Papal Curia
http://www.etd.ceu.h[...]
Central European University
2011-02-03
[22]
서적
Regesten der Kaiserurkunden des oströmischen Reiches von 565-1453: Regesten von 1204-1282
https://books.google[...]
C.H.Beck
1977-03-02
[23]
서적
Islam in the Balkans: religion and society between Europe and the Arab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4]
서적
The late Byzantine army: arms and society, 1204-145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02-01
[25]
문서
The Decline and Fall of the Byzantine Empire
Alfred A. Knopf
[26]
문서
[27]
서적
Imagining Frontiers, Contesting Identities
https://books.google[...]
Edizioni Plus
[28]
서적
The Despotate of Epiros 1267-1479: A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Greec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Foundation of the Ottoman Empire: A History of the Osmanlis Up To the Death of Bayezid I 1300-140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8-21
[30]
서적
Secular medieval architecture in the Balkans 1300-1500 and its preservation
https://books.google[...]
Aimos,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Medieval Architecture in the Balkans and its Preservation
2011-01-11
[31]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2]
문서
[33]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Volume II. The Fif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34]
문서
[35]
문서
[36]
harvnb
[37]
서적
Religion und Kultur im albanischsprachigen Südosteuropa [Religion and culture in Albanian-speaking southeastern Europe]
Peter Lang
[38]
서적
The Albanian national awakening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modern Middle East: a sourcebook for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1-13
[40]
서적
Ottoman architecture in Albania, 1385-1912
https://books.google[...]
Research Centre for Islamic History, Art and Culture
[41]
서적
Religion und Kultur im albanischsprachigen Südosteuropa [Religion and culture in Albanian-speaking southeastern Europe]
Peter Lang
[42]
웹사이트
Albania in the Painting of Edward Lear (1848)
http://www.albaniana[...]
[43]
웹사이트
Σχολή Βελεγράδων. [School of Berat]
http://195.134.90.78[...]
2010-10-30
[44]
서적
Aux origines du nationalisme albanais: La naissance d'une nation majoritairement musulmane en Europe [The origins of Albanian nationalism: The birth of a predominantly Muslim nation in Europe]
https://books.google[...]
Karthala
[45]
서적
The Vlachs: Metropolis and Diaspora
https://books.google[...]
Zitros Publications
[46]
서적
The Balkans: Revolution, War, and Political Violence Since 187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7]
harvnb
[48]
간행물
Beginnings of Albanian Nationalist and Autonomous Trends: The Albanian League, 1878-1881
[49]
간행물
The historical role of the Muslim community in Albania
[50]
웹사이트
Prime Minister Edi Rama Speaks on Albania's History With Jewish WWII Refugees
https://exit.al/en/2[...]
2021-04-22
[51]
웹사이트
Framework Study - On prison system, internment and forced labor during communist regime in Albania with a focus on establishing a museum of memory in the former internment camp in Tepelena
https://www.undp.org[...]
[52]
harvnb
[53]
서적
œuvres completes: tome 1
Editions Fayard
1993
[54]
문서
Lek Pervizi: ''In the Circles of hell,''Album, ISKK, Tirana, 2012.
[55]
문서
Lek Pervizi, ''Tri stinet e nje jete,'' Lezhe, 2017.
[56]
서적
Albania in Occupation and War: From Fascism to Communism 1940-1945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1-01-13
[57]
서적
Roma and Egyptians in Albania: From social exclusion to social inclusion
https://openknowledg[...]
World Bank Publications
[58]
보고서
Roma of Albania
https://cadmus.eui.e[...]
Center for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on Minorities in Europe-Southeast Europe (CEDIME-SE)
2000
[59]
서적
Badlands, Borderlands: A History of Northern Epirus/Southern Albania
https://books.google[...]
Duckworth
2002
[60]
웹사이트
Climate: Berat
https://en.climate-d[...]
Climate-Data
2021-09-19
[61]
웹사이트
Dokumenti i Raportit Përfundimtar të Vlerësimit Strategjik Mjedisor të Planit të Përgjithshëm të Territorit të Bashkisë
https://pdf.usaid.go[...]
Bashkia Berat
2021-09-19
[62]
웹사이트
Dokumenti i Planit të Përgjithshëm të Territorit të Bashkisë Berat
https://portavendore[...]
Bashkia Berat
2021-09-19
[63]
웹사이트
UNESCO.orgHistoric Centres of Berat and Gjirokastra
https://whc.unesco.o[...]
Unesco.org
2010-09-07
[64]
웹사이트
The Castle
http://www.castle-pa[...]
Castle Park
2010-09-05
[65]
웹사이트
National Ethnographic Museum, Berat
http://albania.shqip[...]
Albania Shqiperia
2010-09-05
[66]
웹사이트
Kisha e Shën Mëri Vllahernës
http://beratkulture.[...]
2010-11-06
[67]
harvnb
[68]
서적
Mediterranean Europ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0-07-23
[69]
웹사이트
The Halveti Tekke
https://www.intoalba[...]
2024-05-06
[70]
뉴스
Albania's endangered Jewish museum reopens
https://news.yahoo.c[...]
2019-11-22
[71]
웹사이트
Ethnographic Museum
http://www.beratmuse[...]
Berat Museum
2010-09-05
[72]
웹사이트
Berat
https://albca.com/al[...]
Albanian Canadian League Information Service
2010-09-07
[73]
웹사이트
Amasya Belediyesi Kardeş Şehirleri
http://amasya.bel.tr[...]
Amasya
2021-03-08
[74]
웹사이트
Kardeş Belediyeler
http://www.bagcilar.[...]
Bağcılar
2021-03-08
[75]
웹사이트
Bérat. Réception des représentants de la ville jumelle Albanaise
https://www.ladepech[...]
La Depeche
2014-12-12
[76]
웹사이트
Fermo Internazionale
https://www.comune.f[...]
Fermo
2021-03-08
[77]
웹사이트
Konkretizohet marrëveshja e binjakëzimit mes qyteteve Berat-Karmiel
http://www.ambasadat[...]
Ambasada e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në Izrael
2017-07-20
[78]
웹사이트
Побратимени градове
https://www.lovech.b[...]
Lovech
2021-03-08
[79]
웹사이트
Municipiul Ploiești (Menu) => Orașe înfrățite
http://www.ploiesti.[...]
Ploiești
2021-03-08
[80]
웹사이트
Prizreni binjakëzohet me Beratin
https://prizrenpress[...]
Prizren Press
2018-05-31
[81]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3-01
[82]
서적
コンサイス地名辞典 外国編
삼성당
1977-07
[83]
서적
지구의 걸어가는 방법 2017~18 중부 유럽
다이아몬드 빅사
[84]
웹인용
Cities of Albania
http://pop-stat.mash[...]
2024-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