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톨레마이오스 15세 필로파토르 필로메토르 카이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톨레마이오스 15세, 일명 카이사리온은 기원전 47년 이집트에서 클레오파트라 7세와 율리우스 카이사르 사이에서 태어났다. 카이사르는 공식적으로 카이사리온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클레오파트라는 그가 카이사르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며 로마와 이집트의 제왕이 되기를 희망했다. 카이사르 암살 이후, 카이사리온은 어머니와 함께 이집트로 돌아와 공동 통치자가 되었으며,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그를 카이사르의 상속자로 선포하여 옥타비아누스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악티움 해전 패배 후 옥타비아누스는 기원전 30년 카이사리온을 처형하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멸망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0년 사망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기원전 83년경 로마에서 태어나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에서 갈리아 전쟁에 참전하여 두각을 나타낸 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카이사르 암살 후 옥타비아누스와 권력 다툼을 벌이다 클레오파트라 7세와의 관계로 옥타비아누스와 갈등, 악티움 해전 패배 후 자결했다. - 기원전 30년 사망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역사가로, 3부 40권의 역사서 《역사총서》를 저술했으며, 이 책은 선대 역사가들의 저서를 종합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 -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제정한 역법으로, 365일의 평년과 366일의 윤년으로 구성되며, 태양년과의 오차로 인해 그레고리력으로 대체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 - 갈리아 전쟁
갈리아 전쟁은 카이사르의 정치적 야망, 갈리아의 불안정, 게르만족 침입이 맞물려 기원전 58년부터 50년까지 벌어진 로마의 갈리아 정복 전쟁으로, 카이사르의 권력 강화와 로마 공화정 몰락의 전환점이 되었으나 기록의 신뢰성 및 잔혹성 비판도 존재한다.
프톨레마이오스 15세 필로파토르 필로메토르 카이사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카이사리온 |
다른 이름 | 테오스 필로파토르 필로메토르 |
그리스어 | Πτολεμαῖος Καῖσαρ |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 Ptolemaios Kaisar |
카이사리온 (그리스어) | Καισαρίων |
카이사리온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 Kaisaríōn |
통치 | |
역할 | 왕,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
통치 기간 | 기원전 44년 9월 2일 – 기원전 30년 8월 (17세) |
공동 통치자 | 클레오파트라 7세 (기원전 30년 8월 12일까지) |
선임자 | 프톨레마이오스 14세와 클레오파트라 7세 |
후임자 | 옥타비아누스 (로마 황제로서) |
왕조 | |
왕조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기원전 47년 6월 23일 |
출생지 |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
사망일 | 기원전 30년 8월 29일 (17세) |
사망 장소 | 알렉산드리아, 로마 이집트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율리우스 카이사르 (평판) |
어머니 | 클레오파트라 7세 |
이집트 이름 | |
호루스 이름 | 흐누 (Ḥwnw) |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 |
즉위명 | 이와파네트제르네티네헴 세테펜프타 이르마아트라 세켐(안크)엔아문 (iwꜤ pꜢ nṯr nti nḥm stp n ptḥ iri mꜢꜤt rꜤ sḫm (Ꜥnḫ) n imn) |
즉위명 (히에로글리프) | |
본명 (프톨레마이오스) | 프톨레마이스 (ptwlmys) |
본명 (히에로글리프) | |
본명 (카이사르) | 키세레스 (kysrs) |
본명 (히에로글리프) |
2. 생애
카이사리온은 기원전 47년 6월 23일 이집트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클레오파트라 7세이고 아버지는 율리우스 카이사르라고 알려져 있다. 기원전 46년부터 기원전 44년까지 로마에서 카이사르의 손님으로 있었다. 기원전 44년 3월 15일 카이사르가 암살당하자 이집트로 돌아왔고, 같은 해 9월 2일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리온을 이집트의 공동 통치자로 지명했다.
로마에서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제2차 삼두정치를 통해 동방 지역을 관할하게 되면서 이집트는 안토니우스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리온을 카이사르의 유일한 적자이자 상속자로 선포하여 옥타비아누스와 내전으로 치닫게 된다.
악티움 해전에서 패배 후, 기원전 30년 옥타비아누스의 군대가 이집트에 상륙하자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리온을 홍해 항구로 피신시켰으나,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알렉산드리아에서 처형되었다. 이로써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멸망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카이사리온으로 더 많이 알려진 프톨레마이오스 15세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47년 6월 23일 이집트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클레오파트라 7세이고 아버지는 율리우스 카이사르라고 알려져 있다. 기원전 46년부터 기원전 44년까지 카이사리온과 클레오파트라는 로마에서 카이사르의 손님으로 있었다. 로마에서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리온이 카이사르의 뒤를 이어 로마와 이집트의 제왕이 되길 원했다. 그러나 기원전 44년 3월 15일 카이사르가 암살당하자 두 사람은 이집트로 돌아왔고, 같은 해 9월 2일 클레오파트라는 3살인 카이사리온을 이집트의 공동 통치자로 지명하고 함께 왕이 되었다.클레오파트라 7세는 카이사리온에게 테오스 필로파토르 필로메토르(Θεὸς Φιλοπάτωρ Φιλομήτωρ|테오스 필로파토르 필로메토르el)라는 왕족의 이름을 부여했으며, 그가 로마 정치인이자 로마의 독재관인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아들이라고 주장했다.[4] 카이사리온은 카이사르의 외모와 태도를 물려받았다고 전해지지만,[5] 카이사르는 공식적으로 그를 인정하지 않았다.[6][7] 카이사르의 지지자 중 한 명인 가이우스 오피우스는 카이사르가 카이사리온의 아버지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팸플릿을 쓰기까지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이사르는 카이사리온이 자신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허락했을 수 있다.[9]
2. 2. 이집트 공동 통치
기원전 44년 3월 15일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암살당하자 클레오파트라 7세와 카이사리온은 이집트로 돌아왔다. 9월 2일 클레오파트라는 3살 된 카이사리온을 공동 통치자로 지명하고 함께 왕위에 올렸다. 프톨레마이오스 14세가 기원전 44년에 사망하자, 카이사리온은 프톨레마이오스 15세로서 이집트의 파라오가 되었다.[1]2. 3.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의 갈등
로마에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옥타비아누스, 레피두스와 함께 제2차 삼두정치를 형성하고 동방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는데, 이때 이집트는 안토니우스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클레오파트라는 안토니우스와 협력하여 옥타비아누스와 긴장 관계에 들어갔고,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리온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유일한 적자이자 상속자로 선포하여 카이사르의 양자인 옥타비아누스를 자극하였다.[15] 이로써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는 긴장 관계를 넘어 내전으로 돌입했다.2. 4. 죽음
기원전 30년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연합군이 패배한 후,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리온을 홍해의 항구인 베레니케로 보내 인도로 탈출시키려 했다.[17] 플루타르코스는 카이사리온이 인도로 보내졌지만, 이집트 왕국을 주겠다는 거짓 약속에 속아 다시 돌아왔다고 기록했다.[18]옥타비아누스는 기원전 30년 8월 1일에 알렉산드리아를 점령하여 이집트를 로마 공화국에 공식적으로 병합시켰다. 이 무렵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는 사망했는데, 전통적으로 자살로 알려져 있지만 살해되었다는 주장도 있다.[19]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리온이 어머니를 이어 이집트를 통치하도록 잠시 고려했을 수도 있지만, 친구인 아리우스 디디무스의 조언에 따라 기원전 30년 8월 29일에 알렉산드리아에서 카이사리온을 처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리우스 디디무스는 "너무 많은 카이사르는 좋지 않다"[20] (호메로스의 구절을 이용한 말장난)라고 말했다.[21][22] 카이사리온의 죽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21]
카이사리온의 죽음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멸망했다. 옥타비아누스는 이후 이집트에 대한 절대적인 통제권을 행사했다. 기원전 30년은 이집트의 전통적인 연대기 체계에 따라 새로운 통치자의 통치 원년으로 간주되었다. 카이사리온은 옥타비아누스와 마찬가지로 "카이사르의 후계자"일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살해된 것으로 보인다.
3. 친부에 대한 논란
고대 기록에서는 카이사리온의 친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지만, 친아버지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일 가능성이 높으며, 현대 학자 대부분이 이 설을 받아들이고 있다. 옥타비아누스가 카이사리온을 살해한 사실을 통해 적어도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리온이 카이사르의 친아들이라고 인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4. 유산과 평가
카이사리온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 7세의 아들로, "작은 카이사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는 이집트와 로마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그의 죽음은 로마 공화정의 종말과 옥타비아누스가 주도하는 제정의 시작을 알리는 분기점이 되었다.
기원전 44년 프톨레마이오스 14세가 사망하자, 카이사리온은 프톨레마이오스 15세로서 이집트의 파라오가 되었다. 기원전 34년에는 제왕의 왕으로 칭해졌다. 그러나 카이사리온은 카이사르의 양자이자 후계자인 옥타비아누스와의 권력 다툼에서 희생양이 되었다. 악티움 해전 이후, 클레오파트라 7세는 카이사리온을 국외로 피신시키려 했으나, 기원전 30년 교육 담당자의 배신으로 옥타비아누스에게 붙잡혀 살해되었다. 이로써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멸망하였다.
카이사리온의 죽음은 옥타비아누스가 그를 카이사르의 친아들로 인정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카이사리온의 짧은 생애는 권력 투쟁과 정치적 격변 속에서 희생된 비극적인 인물로 기억된다. 한편, 클레오파트라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알렉산드로스 헬리오스,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프톨레마이오스 필라델포스는 안토니우스의 전 부인인 옥타비아에게 맡겨져 로마에서 옥타비아누스의 친척으로서 좋은 대우를 받았다.
5. 대중문화 속의 카이사리온
카이사리온은 비극적인 운명으로 인해 다양한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이야기는 연극, 영화, 소설 등에서 자주 다뤄진다.
5. 1. 관련 유물
카이사리온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은 다음과 같다.[28]
6. 이집트식 이름
참조
[1]
서적
The Great Name: Ancient Egyptian Royal Titulary
https://archive.org/[...]
SBL Press
2013-01-04
[2]
문서
Realencyclopädie der classischen Altertumswissenschaft
[3]
문서
Oxford Classical Dictionary, Ptolemy XV Caesar
[4]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5]
서적
Cleopatra of Egypt, Antiquity's Queen of Romance
https://archive.org/[...]
[6]
서적
Cleopatra: goddess of Egypt, enemy of Rome
https://archive.org/[...]
[7]
서적
Cleopatra 1996
[8]
서적
Polygamy, Prostitutes and Death: The Hellenistic Dynasties
https://books.google[...]
Classical Press of Wales
2023
[9]
서적
Cleopatra: A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US
[10]
간행물
Caesarion
https://www.worldhis[...]
2020-08-29
[11]
서적
Cleopatra: last queen of Egypt
https://archive.org/[...]
New York: Basic Books
[12]
서적
Kingdoms and Principalities in the Roman Near East
Franz Steiner Verlag
[13]
서적
Studies in Classical History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Studies in Classical History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Reign of Cleopatr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6]
서적
Cleopatra: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논문
What to Do With Caesarion
https://www.jstor.or[...]
2014-04
[18]
문서
Life of Antony
https://babel.hathit[...]
[19]
서적
The Murder of Cleopatra: History's Greatest Cold Case
Prometheus Books
[20]
서적
Cleopatra's Daughter: From Roman Prisoner to African Queen
https://books.google[...]
Liveright Publishing
[21]
서적
Hindsight in Greek and Roman History
https://books.google[...]
Classical Press of Wales
[22]
문서
Myth, History and Culture in Republican Rome: Studies in Honour of T.P. Wiseman
University of Exeter Press
[23]
문서
The wall-painting of Venus Genetrix
[24]
서적
Cleopatra: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5]
논문
Cleopatra in Pompeii?
https://www.cambridg[...]
[26]
서적
Cleopatra the Great: The Woman Behind the Legend
https://archive.org/[...]
Harper
[27]
서적
BMC Greek (Ptolemies) / Catalogue of Greek coins: the Ptolemies, kings of Egypt
https://archive.org/[...]
The Trustees
[28]
서적
Greek Coins and Their Values
[29]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1994
[30]
문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이름 다음에 붙이는 숫자는 현대 역사학자들의 편의상, 연구상 붙이는 숫자이다. 실제로 그리스계 왕조는 "별칭"으로 구분했다. 그러므로 숫자는 연구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