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린 (영국 주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로린은 영국에서 1846년부터 1970년까지 사용된 2실링(파운드의 1/10) 가치의 은화이다. 1849년에 처음 발행되었으며, 빅토리아 여왕,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의 초상이 새겨진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 1971년 십진법 도입으로 10펜스 동전으로 대체되었으며, 영국 연방 국가에서도 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주화 - 소브린 (영국 주화)
소브린은 헨리 7세 시대부터 주조된 영국의 금화로, 초기에는 20실링의 가치를 지녔으며 국왕의 모습이 새겨져 '군주'를 뜻하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시대에 따라 가치와 디자인이 변경되고 주조가 중단되기도 하였으며, 금본위제 채택과 함께 본위 화폐로 재도입되었다가 현재는 금괴 및 수집용 주화로 발행된다. - 굴덴 - 헝가리 포린트
헝가리 포린트는 1325년 플로린 금화에서 유래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굴덴의 헝가리어 명칭으로도 쓰였으며, 1946년 헝가리 펭괴의 초인플레이션 이후 통화 개혁을 통해 도입된 헝가리의 통화이다. - 굴덴 - 아루바 플로린
아루바 플로린은 1986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길더를 대체하여 도입된 아루바의 통화로, 1.79 플로린 = 1 미국 달러의 고정 환율을 가지며 동식물과 문화유산을 담은 "아루바의 삶"을 주제로 디자인된 지폐가 발행되고 100 플로린 지폐는 "올해의 지폐"로 선정되기도 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플로린 (영국 주화) | |
---|---|
개요 | |
명칭 | 플로린 (Florin) |
액면 가치 | 2 실링 ( 파운드) |
사용 기간 | 1849년 - 1970년 |
디자인 | |
재료 | 1849년 – 1919년: 은 92.5% 1920년 – 1946년: 은 50% 1947년 – 1970년: 백동 |
무게 | 11.31g |
지름 | 1849년: 28.0mm 1851년 – 1886년: 30.0mm 1887년 – 1892년: 29.5mm 1893년 – 1970년: 28.5mm |
가장자리 | 톱니 모양 |
앞면 | |
![]() | |
도안 설명 | 군주의 옆모습 (엘리자베스 2세 디자인 표시) |
도안가 | 메리 길릭 |
도안 날짜 | 1953년 (초상화), 1954년 ("BRITT OMN" 제거) |
뒷면 | |
![]() | |
도안 설명 | 다양한 디자인 (꽃무늬 디자인 표시) |
도안가 | 에드가 풀러와 세실 토마스 |
도안 날짜 | 1953년 |
2. 역사
1841년과 1843년 영국에서는 십진법 도입을 위한 위원회가 조성되었다.[7] 1847년 존 보링 경은 의회에서 십진법 통화 도입과 파운드의 10분의 1, 100분의 1 값어치의 주화 발행을 제안했고, 많은 지지를 얻었다.[1] 러셀 내각은 파운드의 10분의 1 가치(2실링)의 주화를 주조할 것을 약속하였다. 주화의 이름으로는 "센텀", "데케이드", "다임" 등이 제안되었으나, 네덜란드의 플로린 또는 굴덴에서 따온 "플로린"으로 정해졌다.
2. 1. 배경
영국에서 십진법을 통화에 도입하고자 한 시도는 1682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 개혁 시도는 아무런 결과도 낳지 못하였으나,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미국, 프랑스 등 여타 국가들이 십진법 통화를 도입하자 이 문제는 다시 제기되었고, 1841년과 1843년 십진법 도입을 위한 위원회가 조성되기도 하였다.[7] 1847년, 존 보링 경은 의회에서 십진법 통화 도입과 파운드의 10분의 1, 100분의 1 값어치의 주화 발행을 제안했다. 보링의 제안은 많은 지지를 얻었고,[1] 러셀 내각은 훗날 다른 십진법 동전의 도입 역시 고려하며 대중들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파운드의 10분의 1 가치(2실링)의 주화를 주조할 것을 약속하였다.이 주화를 무엇으로 부를지에 관하여 여러 논의가 오갔는데, "센텀", "데케이드", "다임"이 제안되었으나 종국에는 "플로린"으로 정해졌다. 이는 플로린이라는 이름의 옛 잉글랜드 주화에서 따온 것이 아닌, 비슷한 크기와 가치를 지닌 네덜란드의 플로린, 또는 굴덴에서 따온 것이다. 원조 플로린인 피렌체 공화국의 '피오리노 도로'는 1252년부터 1533년까지 주조된 금화였다.
2. 2. 빅토리아 시대 (1849-1901)

최초의 플로린은 1849년에 주조되었다. 이 동전은 고딕 양식으로, 매우 젊은 빅토리아 여왕의 초상이 새겨져 있었다.[2] 뒷면에는 잉글랜드(영국 국장의 일반적인 배열에 따라 두 번),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관 방패가 십자형으로 배치되었고, 각 각도에는 해당 국가의 꽃 문장이 새겨져 있었다(잉글랜드의 문장은 다시 두 번 표시). 1849년 플로린은 로마자 서체를 사용했다. 은으로 발행된 이 플로린의 무게는 11.3그램이고 지름은 28mm였다. 동전 뒷면에는 ONE FLORIN ONE TENTH OF A POUND영어(플로린 하나는 파운드의 10분의 1)이라는 글귀를 새겨 가치를 명확히 했다.
이 첫 번째 동전들은 거의 200년 만에 영국 동전에 왕관을 쓴 군주의 초상이 등장했기 때문에 대중에게 충격적이었을 것이다. 앞면에 새겨진 VICTORIA REGINA 1849영어(빅토리아 여왕 1849)라는 글귀에서 동전의 일반적인 약자인 D G영어(Dei Gratia, 신의 은총으로)가 생략되어 "무신론 플로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더욱 논란이 된 것은 일반적인 약자인 F D영어(Fidei Defensor, 신앙의 수호자)가 생략된 것이었다. 조폐청장인 리처드 랄로어 쉴은 아일랜드인이자 로마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그가 프로테스탄트 정권을 전복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의심했다. 쉴은 하원에서 그 비문이 실수였다고 말했고, 플로린은 1851년에 다음 발행을 위해 재설계되었다.
수정된 플로린의 지름은 30mm로 증가했고(무게는 변동 없음), 동전의 모든 글자는 고딕 서체로 표시되었으며, 이로 인해 고딕 플로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앞면의 라틴어 비문은 VICTORIA D G BRITT REG F D영어(Victoria Dei Gratia Britanniae Regina Fidei Defensor|, 신의 은총으로 대영 제국의 여왕이자 신앙의 수호자 빅토리아la)와 날짜를 포함했고, 뒷면에는 ONE FLORIN ONE TENTH OF A POUND영어(플로린 하나는 파운드의 10분의 1)가 새겨져 있었다. 왕립 위원회에도 불구하고, 십진법 도입의 움직임은 곧 시들해졌다. 고딕 플로린은 1861년과 1882년을 제외하고 1887년까지 매년 생산되었다. 1867년 일부 발행부터 앞면의 BRIT영어가 라틴어에서 복수를 나타내기 위해 마지막 자음을 두 배로 쓰는 관례에 따라 BRITT영어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빅토리아 여왕의 칭호는 "영국의 여왕"에서 식민지와 기타 영토를 포함하는 "브리튼의 여왕"으로 변경되었다.
1887년,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 50주년 기념 동전 재설계의 일환으로, 여왕을 나이든 여성으로 묘사한 새로운 앞면 디자인이 금화와 은화에 처음 등장했다. 이는 "주빌리 기념 동전"이라고 불렸으며, 조지프 뵘 경이 디자인했다. 플로린 뒷면에서 다양한 꽃 문양이 제거되고 방패 사이에 홀이 배치되었으며, 중앙에는 가터 훈장 별이 새겨졌다. 주빌리 헤드는 여왕이 착용한 왕관이 터무니없이 작다고 여겨져 곧 인기를 잃었다. 뒷면 디자인은 레오나르드 찰스 와이언이 제작하고 조각했는데, 찰스 2세의 금화를 디자인한 존 로티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지름은 29.5mm로 줄어들었다. 모든 비문은 라틴 문자 및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었다. 앞면의 비문은 VICTORIA DEI GRATIA영어(신의 은총으로)였고, 뒷면은 FID DEF BRITT REG영어(Victoria Dei Gratia Britanniarum Regina Fidei Defensor|, 신의 은총으로 브리튼의 여왕이자 신앙의 수호자 빅토리아la)였으며, 가치는 표시되지 않았다. 주빌리 플로린은 1887년에서 1892년까지 매년 주조되었다.

주빌리 흉상이 인기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을 권장하기 위한 위원회가 1891년 2월에 구성되었다. 토마스 브록이 디자인한 앞면이 선택되었고, 위원회는 또한 몇 개의 새로운 뒷면을 권장했다. 이 자문 위원회는 하프 크라운과 구별하기 위해 플로린에 다른 흉상(브록이 디자인)을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이 권고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플로린은 1893년에 금화와 은화에 도입된 것과 동일한 "베일 헤드" 또는 "올드 헤드" 앞면을 사용했다. 하프 크라운과 더 잘 구별하기 위해, 지름은 28.5mm로 줄어들었다. 앞면에는 VICTORIA DEI GRA BRITT REGINA FID DEF IND IMP영어(Victoria Dei Gratia Britanniarum Regina Fidei Defensor Indiae Imperatrix|, 신의 은총으로 브리튼의 여왕이자 신앙의 수호자, 인도의 여제 빅토리아la)라는 비문과 함께, 왕관 아래 장미, 아일랜드의 괭이밥, 스코틀랜드의 엉겅퀴(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를 상징)로 분리된 방패 세 개를 보여주는 새로운 뒷면이 새겨져 있었다. 그리고 ONE FLORIN TWO SHILLINGS영어(플로린 하나는 2실링)이라는 비문이 새겨졌다. 이 뒷면은 에드워드 포인터 경이 제작했으며, 빅토리아 여왕이 사망한 해인 1901년까지 1893년에서 매년 발행되었다.
thumb
- 빅토리아 여왕의 플로린은 4가지 유형이 발행되었다.
유형 | 발행 기간 | 특징 |
---|---|---|
고드리스 플로린 | 1849년 | 젊은 빅토리아 여왕의 왕관을 쓴 흉상, 일반적인 서체, "DEI GRATIA" 문구 없음, 뒷면은 십자 형태의 문장 방패 4개 |
고딕 플로린 | 1851년 ~ 1887년 | 블랙레터 서체, "DEI GRATIA" 문구 추가, 지름 30mm, 여왕의 연령에 따른 초상 변화 |
주빌리 헤드 | 1887년 ~ 1892년 | 여왕 즉위 50주년 기념, 주빌리 헤드 초상, 뒷면에 홀과 가터 훈장 별 배치 |
올드 헤드 | 1893년 ~ 1901년 | 베일을 쓴 노년의 여왕 초상, 뒷면에 3개의 방패와 "ONE FLORIN TWO SHILLINGS" 문구 |
2. 3. 에드워드 7세 (1901-1910)

에드워드 7세의 플로린은 1902년부터 1910년까지 매년 주조되었다. 무게는 11.3그램, 지름은 28.5밀리미터로 유지되었다.[1] 앞면에는 국왕의 오른쪽을 향한 머리가 새겨져 있고, EDWARDVS VII DEI GRA BRITT OMN REX FD IND IMP|에드워드 7세 데이 그라 브릿 옴 렉스 에프디 인드 임프영어 (Edwardus VII Dei Gratia Britanniarum Omnium Rex Fidei Defensor Indiae Imperator|신의 은총으로 대영 제국의 모든 왕, 신앙의 수호자, 인도의 황제la)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1] 뒷면에는 브리타니아가 왼손으로 방패를, 오른손으로 삼지창을 들고 서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으며, ONE FLORIN TWO SHILLINGS|원 플로린 투 실링스영어라는 문구와 함께 그 아래에 날짜가 새겨져 있다.[1]
드 소스는 혼란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이 방식으로 새로운 플로린을 만들었으며, 영국 무역 달러(1895)를 디자인의 기반으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 디자인의 모델은 마이클 힉스-비치, 초대 세인트 알드윈 백작의 딸인 수잔 힉스-비치였다.[1]
2. 4. 조지 5세 (1910-1936)
버트람 매케널 경이 제작한 조지 5세의 좌향 초상이 새겨진 플로린은 국왕 재위 기간(1910–1936) 동안 1910년과 1934년을 제외하고 매년 주조되었다.[1] 초기 뒷면 디자인(1911–1926)은 왕립 조폐창에서 내부적으로 개발되었으며, 1887년 더블 플로린의 디자인을 따랐다.[2]동전의 무게와 지름은 변동이 없었지만, 은 가격 상승으로 인해 금속 구성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3]
- 1920년: 50% 은, 40% 구리, 10% 니켈
- 1922년: 50% 은, 50% 구리
- 1927년: 50% 은, 40% 구리, 5% 니켈, 5% 아연
1920년 이후의 합금 변화는 조폐창이 마모되어도 매력적인 은 합금을 찾으려는 시도 때문이었다.[4]
조지 5세 플로린 초기 버전 앞면의 비문은 GEORGIVS V D G BRITT OMN REX F D IND IMP|조지 5세, 하느님의 은총으로 모든 브리튼의 왕, 신앙의 수호자, 인도의 황제영어였고 뒷면에는 ONE FLORIN영어과 주조 연도가 적혀 있었다.[3]
1927년부터 1936년까지 발행된 수정된 플로린은 조지 크루거 그레이가 디자인했으며, 방패와 홀의 디자인을 크게 변경하지는 않았지만 방패에서 왕관을 제거하고 홀 위에 배치했다. 국왕의 머리글자인 "G"가 디자인 중앙에 있다. 앞면 비문은 GEORGIVS V DEI GRA BRITT OMN REX|조지 5세, 하느님의 은총으로 모든 브리튼의 왕...영어가 되었고, 뒷면 비문은 FID DEF IND IMP|신앙의 수호자, 인도의 황제영어와 날짜 및 액면가 ONE FLORIN영어이 새겨졌다. 앞면의 국왕 흉상은 1927년에 약간 수정되었다.[1]
조지 5세 시대의 플로린은 디자인적으로 2종류이다. 첫 번째 유형은 1911년부터 1926년까지 발행되었는데, 1911년부터 1919년까지는 스털링 실버로 제작되었고, 1920년부터 1926년까지는 .500 품위였다. 두 번째 유형은 디자인이 간략화되어 1927년부터 1936년까지 발행되었다. 조지 5세의 플로린 뒷면은 4개의 방패이다.
2. 5. 에드워드 8세 (1936)
에드워드 8세 시대에는 공식적으로 유통된 플로린은 없었지만, 시주화(pattern coin)가 존재한다. 이 시주화는 국왕이 1936년 12월에 퇴위할 즈음에 승인을 받았어야 했다. 군주가 재위할 때마다 초상 방향을 번갈아 가며 나타내는 전통이 있었고, 조지 5세는 왼쪽을 바라보고 있었지만, 에드워드는 그 면이 더 돋보인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앞면에는 토머스 험프리 파겟이 조각한 국왕의 왼쪽을 바라보는 초상이 ''EDWARDVS VIII D G BR OMN REX''라는 문구와 함께 새겨져 있다. 뒷면은 크루거 그레이가 디자인했는데, 왕관을 쓴 장미를 엉겅퀴와 토끼풀이 감싸고 있으며, 엉겅퀴 아래에는 E가, 토끼풀 아래에는 R이 있고, ''FID DEF IND IMP''[1]와 ''TWO SHILLINGS 1937''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2][3]2. 6. 조지 6세 (1936-1952)
조지 6세의 플로린은 1937년부터 1951년까지 매년 생산되었으며, 그의 형인 에드워드 8세의 플로린과 매우 유사하다. 에드워드 8세의 시주화와 마찬가지로 문구가 생략되었으며, 동전이 존재할 때까지 계속 생략되었다.[1] 앞면은 토머스 험프리 파젯이 제작했으며, 국왕의 왼쪽을 향한 초상이 새겨져 있고 GEORGIVS VI D G BR OMN REX영어가 적혀 있다. 뒷면은 크루거 그레이가 제작했으며, 왕관을 쓴 장미를 중심으로 양쪽에 엉겅퀴와 아일랜드의 샴록이 그려져 있다. 엉겅퀴 아래에는 G, 샴록 아래에는 R이 있으며, 1948년까지 FID DEF IND IMP TWO SHILLINGS date영어가 새겨져 있다. 1949년부터는 인도의 독립을 기념하여 IND IMP영어가 없는 동전이 주조되었다. 1947년부터는 모든 영국 은화 유통 동전과 마찬가지로 금속 함량이 75% 구리, 25% 니켈(백동화)로 변경되었다.[2][3] 이는 영국이 렌드리스 은을 미국에 반환해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4] 합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플로린의 지름과 무게는 11.3g, 28.5mm로 변함없이 유지되었다.[2] 이 시대부터 동전의 액면이 ONE FLORIN에서 TWO SHILLINGS로 변경되었다. 도안은 1종류이며 뒷면은 왕관과 심볼 식물이다. 1946년까지는 은화, 1947년부터 1951년까지는 백동화로 발행되었다.2. 7. 엘리자베스 2세 (1953-1970)
엘리자베스 2세 시대의 플로린은 1953년부터 1967년까지 매년 생산되었으며, 1970년에는 프루프 주화가 발행되었다. 앞면에는 메리 길릭이 조각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초상이 새겨져 있으며, 1953년 주화에는 "ELIZABETH II DEI GRATIA BRITT OMN REGINA"(엘리자베스 2세, 신의 은총으로 대영 제국의 여왕, 신앙의 수호자영어)라는 문구가, 이후 연도에는 "ELIZABETH II DEI GRATIA REGINA"(엘리자베스 2세, 신의 은총으로 여왕, 신앙의 수호자영어) 문구가 새겨졌다.[1] 이러한 변화는 당시 공화국을 포함하고 있던 변화하는 영연방을 반영하기 위해서였다.뒷면은 에드가 풀러와 세실 토마스가 디자인했으며, 엉겅퀴, 아일랜드 잎, 파로 둘러싸인 중앙에 튜더 로즈를 묘사하고, "FID DEF"라는 라틴어 구절과 액면가, 날짜가 새겨져 있다. 이 디자인은 공개 공모를 거쳐 왕립 조폐 자문 위원회에서 선정되었다. 예술가의 이니셜은 뒷면 하단의 웨일스 파 양쪽에 나타난다.
1968년, 10펜스 동전이 플로린과 동일한 규격, 무게, 금속 구성을 가지도록 도입되었다. 이로 인해 플로린은 1967년 주화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유통되지 않았다. 새로운 동전과 기존 동전은 십진법 도입일(1971년 2월 15일) 전에는 플로린으로, 그 이후에는 10펜스 동전으로 함께 사용되었다. 1987년, 대처 정부는 더 작은 10펜스 동전을 발행할 계획을 발표했고, 1992년에 더 작은 10펜스 동전이 발행된 후 1993년 6월 30일에 구 플로린은 통용 중단되었다.[3]
3. 십진법 도입 이후
1971년 십진법 제도 도입 후에는 새로운 10펜스 동전으로 1993년까지 통용되었다.
4. 영국 연방 국가들의 플로린
영국 본국 이외에도 여러 영연방 및 식민지에서 플로린 은화가 발행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10년 에드워드 7세의 초상이 새겨진 첫 플로린 은화가 발행되었다. 뒷면에는 문장이 있었다. 조지 5세 시대에는 통용화와 2종의 기념화, 조지 6세 시대에는 통용화와 1종의 기념화가 발행되었으나, 1946년 이후 은화는 품위가 .500으로 낮아졌다. 엘리자베스 2세 시대에는 2종의 통용화와 1종의 기념 은화가 발행되었다. 십진법(데시멀 제도) 도입 후에도 20센트 동전으로 통용되었다.
- '''피지'''에서는 1934년 조지 5세 시대에 최초의 플로린 은화(.500 품위)가 발행되었고, 뒷면에는 문장이 있었다. 이후 조지 6세 초상 2종, 엘리자베스 2세 초상 1종(백동화)이 발행되었다. 1942년 은화는 .900 품위로 제조되었다.
- '''아일랜드'''는 영국과 같은 통화 제도를 채택하여 1928년부터 1968년까지 플로린 동전을 발행했다. 1943년까지는 .750 품위의 은화였고, 이후에는 백동화로 발행되었다. 도안은 앞면이 하프, 뒷면은 물고기였다.
- '''뉴질랜드'''에서는 1933년 조지 5세 시대에 최초의 플로린 은화(.500 품위)가 발행되었고, 뒷면에는 국조인 키위가 있었다. 조지 6세 시대에는 1937년~1946년까지 은화, 이후는 백동화로 발행되었으며, 엘리자베스 2세의 1965년 명문이 마지막 플로린 동전이다.
- '''남아프리카 연방'''에서는 1923년 조지 5세의 동전(뒷면 문장, .800 품위)이 최초였다. 1930년 이후에는 액면 표시가 플로린 대신 2s (실링)으로 변경되었다. 조지 6세 이후 엘리자베스 2세의 1960년까지 발행되었지만, 1951년에 품위가 .500으로 낮아졌다.
동아프리카, 말라위에서도 플로린 액면의 동전이 발행되었다.
5. 주화 목록
국가 | 연도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재질 | 비고 |
---|---|---|---|---|---|
영국 | 1849년 | 빅토리아 여왕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관 방패, 각 국가의 꽃 문장 | "무신론 플로린"[2] | |
영국 | 1851년 | 빅토리아 여왕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관 방패, 각 국가의 꽃 문장 | 고딕 플로린, 로마 숫자 표기[2] | |
영국 | 1887년 | 빅토리아 여왕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관 방패, 각 국가의 꽃 문장 | 주빌리 기념 동전[2] | |
영국 | 1893년 | 빅토리아 여왕 | 에드워드 포인터 경이 제작, 세 개의 홀, 왕관, 가터 훈장 | "베일 헤드" 또는 "올드 헤드"[2] | |
영국 | 1902년~1910년 | 에드워드 7세 | 브리타니아 | 조지 윌리엄 드 소스 제작[2] | |
영국 | 1911년~1936년 | 조지 5세 | 왕관을 쓴 왕가의 문장 | 버트람 매케널 경 제작, 1927년부터 조지 크루거 그레이 디자인 변경[2] | |
영국 | 1937년~1946년 | 조지 6세 | 왕관을 쓴 장미를 중심으로 엉겅퀴와 토끼풀 | 은화 | |
1947년~1951년 | 조지 6세 | 왕관을 쓴 장미를 중심으로 엉겅퀴와 토끼풀 | 백동화 | ||
영국 | 1953년~1970년 | 엘리자베스 2세 | 튜더 로즈, 엉겅퀴, 토끼풀, 파 | 백동화 | 메리 길릭 (앞면), 에드가 풀러와 세실 토마스 (뒷면) 제작, 1970년 프루프 주화 발행[2] |
오스트레일리아 | 1910년 | 에드워드 7세 | 문장 | 은화 | |
1910년~1936년 | 조지 5세 | 문장 | 은화 | 통용화, 기념화 2종 발행 | |
1937년~1945년 | 조지 6세 | 문장 | 은화 | 통용화, 기념화 1종 발행 | |
1946년~1963년 | 엘리자베스 2세 | 문장 | 1946년~1950년: 품위 .500, 통용화 2종, 기념화 1종 발행, 데시멀 제도 후 20센트로 통용 | ||
피지 | 1934년 | 조지 5세 | 문장 | 은화 | 품위 .500 |
1937년~1945년 | 조지 6세 | 문장 | 은화 | 1942년 은화는 품위 .900 | |
1954년~1966년 | 엘리자베스 2세 | 문장 | 백동화 | ||
아일랜드 | 1928년~1942년 | 하프 | 물고기 | 은화 | 품위 .750 |
1943년~1968년 | 하프 | 물고기 | 백동화 | ||
뉴질랜드 | 1933년 | 조지 5세 | 키위 | 은화 | 품위 .500 |
1937년~1965년 |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키위 | 1937년~1946년: 은화, 이후 백동화 | ||
남아프리카 연방 | 1923년~1930년 | 조지 5세 | 문장 | 은화 | 품위 .800, 1930년부터 2실링으로 표기 |
1931년~1960년 |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문장 | 1951년~1960년: 품위 .500 |
동아프리카, 말라위에서도 플로린 액면의 동전이 발행되었다.
5. 1. 영국
최초의 플로린은 1849년에 주조되었다. 이 동전은 고딕 양식이었으며, 매우 젊은 빅토리아 여왕의 초상이 새겨져 있었다.[2] 뒷면에는 잉글랜드(영국 국장의 일반적인 배열에 따라 두 번),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관 방패가 십자형으로 배치되었고, 각 각도에는 해당 국가의 꽃 문장이 새겨져 있었다(잉글랜드의 문장은 다시 두 번 표시).[2] 이 동전은 "무신론 플로린"이라고 불렸는데, 그 이유는 동전에 일반적인 약자인 ''Dei Gratia''(신의 은총으로)가 생략되었기 때문이다.[2]
1851년, 플로린은 재설계되어 모든 글자가 고딕 서체로 표시되었고, 이로 인해 고딕 플로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동전은 동일한 디자이너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날짜는 로마 숫자로 표시되었다.[2]
1887년,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 50주년 기념 동전 재설계의 일환으로, 여왕을 나이든 여성으로 묘사한 새로운 앞면 디자인이 금화와 은화에 처음 등장했다. 이는 "주빌리 기념 동전"이라고 불렸으며, 조지프 뵘 경이 디자인했다.[2]
주빌리 흉상이 인기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1893년 새로운 디자인이 도입되었다. 토마스 브록이 디자인한 앞면은 "베일 헤드" 또는 "올드 헤드" 앞면을 사용했다. 뒷면은 에드워드 포인터 경이 제작했으며, 빅토리아 여왕이 사망한 해인 1901년까지 발행되었다.[2]
에드워드 7세의 플로린은 1902년부터 1910년까지 매년 주조되었다. 양면 모두 조지 윌리엄 드 소스가 제작했다. 뒷면은 바람에 흩날리는 브리타니아의 모습이 왼손으로 방패를, 오른손으로 삼지창을 들고 서 있는 모습이었다.[2]
조지 5세의 플로린은 버트람 매케널 경이 제작한 좌향 초상이 새겨져 있으며, 1910년과 1934년을 제외하고 매년 주조되었다.[2] 1927년부터 1936년까지 발행된 수정된 플로린은 조지 크루거 그레이가 디자인했다.[2]
에드워드 8세를 묘사한 주화는 공식적으로 유통되지 않았다. 에드워드 국왕의 시주화가 존재하는데, 이는 국왕이 1936년 12월 퇴위할 즈음에 승인을 받았어야 할 것이다.[2]
조지 6세 국왕의 플로린은 1937년부터 1951년까지 매년 생산되었다. 앞면은 토마스 험프리 파젯이 제작했으며, 뒷면은 크루거 그레이가 제작했다.[2] 1947년부터는 모든 영국 은화 유통 동전과 마찬가지로 금속 함량이 75% 구리, 25% 니켈로 변경되었다.[2]
플로린은 1953년부터 1967년까지 매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위해 생산되었으며, 1970년에는 프루프 주화가 발행되었다. 앞면에는 메리 길릭이 조각한 엘리자베스 여왕의 초상이 새겨져 있다.[2] 에드가 풀러와 세실 토마스가 디자인한 뒷면에는 엉겅퀴, 아일랜드 잎, 파로 둘러싸인 중앙에 튜더 로즈가 묘사되어 있다.[2]
1968년부터 플로린과 크기, 무게, 금속 구성이 동일한 10펜스 동전이 도입되었다. 따라서 플로린은 1967년 날짜가 새겨진 주화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유통되지 않았다.[1]
5. 2. 영연방
-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10년 에드워드 7세의 초상이 그려진 것이 최초의 플로린 은화였다. 뒷면은 문장이었다. 조지 5세 시대에는 통용화와 기념화 2종이 발행되었다. 조지 6세 시대에는 통용화와 기념화 1종이 발행되었지만, 1946년 이후의 은화는 품위가 .500으로 낮춰졌다. 엘리자베스 2세 시대에는 통용화 2종류와 기념 은화 1종류가 발행되었다. 데시멀 제도가 실시된 후에도 20센트로서 통용되었다.
- 피지에서는 1934년 조지 5세 시대에 최초의 플로린 은화가 발행되었다. 이 은화는 품위가 .500이었으며, 뒷면은 문장 도안이었다. 이후 조지 6세 초상 2종, 엘리자베스 2세 초상 1종이 발행되었지만, 엘리자베스 2세의 것은 백동화이다. 1942년 은화는 품위가 .900으로 제조되었다.
- 아일랜드는 영국과 같은 통화 제도를 채택하여, 1928년부터 1968년까지 플로린 동전이 발행되었다. 1943년까지는 품위 .750의 은화였으며, 이후에는 백동화로 발행되었다. 도안은 앞면이 하프, 뒷면은 물고기였다.
- 뉴질랜드에서는 1933년 조지 5세 시대에 최초의 플로린 은화가 발행되었다. 품위는 .500이며, 뒷면은 국조인 키위였다. 조지 6세 시대에는 1937년~1946년은 은화, 이후는 백동화로 발행되었으며, 엘리자베스 2세의 1965년 명문이 마지막 플로린 동전이다.
- 남아프리카 연방에서는 1923년 조지 5세의 동전이 최초였다. 뒷면은 문장이었고 품위는 .800이었다. 1930년 이후에는 가격 표시가 플로린이 아닌 2s (실링)으로 변경되었다. 조지 6세 이후 엘리자베스 2세의 1960년까지 발행되었지만, 1951년에 품위가 .500으로 낮춰졌다.
위 외에도 동아프리카, 말라위에서도 플로린 액면의 동전이 발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Florin or Two Shilling Piece
http://24carat.co.uk[...]
Chard
2017-07-13
[2]
서적
A Financial History of We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5
[3]
웹사이트
Ten Pence Coin
http://www.royalmint[...]
Royal Mint
2017-07-19
[4]
웹사이트
Legal Tender
https://web.archive.[...]
2013
[5]
웹사이트
Florin, Coin Type from United Kingdom
https://onlinecoin.c[...]
2022-01-07
[6]
간행물
Mintage confusion
2023-06
[7]
웹인용
The Story of the Florin or Two Shilling Piece
http://24carat.co.uk[...]
Chard
2017-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