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이다. 그는 1430년대에 도제 수업을 시작하여 도메니코 베네치아노의 영향을 받았으며, 생애 대부분을 고향과 그 주변에서 보냈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회화사에서 수학과 기하학에 몰두한 최초의 화가 중 한 명으로, 말년에는 『산술론』, 『원근법론』, 『오정다면체론』 등의 저서를 남겼다. 주요 작품으로는 《자비의 마돈나》, 《그리스도의 세례》, 《그리스도의 부활》, 《참십자가의 역사》 등이 있으며, 기하학적 완벽함과 빛의 묘사로 현대 화가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수학자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15세기 수학자 - 니콜라우스 쿠자누스
    니콜라우스 쿠자누스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 신학자, 추기경으로서 스콜라 철학 비판, 독창적 형이상학, 동서 교회 통합 노력, 그리고 "지적인 무지"와 "대립의 일치" 개념을 통해 중세에서 근대로의 사상적 전환에 기여하고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 1492년 사망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1492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8세
    인노첸시오 8세는 제노바 출신으로 1484년부터 1492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스페인 대심문관 임명, 마녀사냥 강화, 오스만 제국 왕자 억류를 통한 외교, 불안정한 나폴리 왕국과의 관계, '가톨릭 부부왕' 칭호 수여, 방탕한 사생활과 족벌주의 비판, 그리고 벨베데레 건축 지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1415년 출생 - 정의공주
    태종과 소헌왕후의 둘째 딸이자 세종의 동생인 정의공주는 1428년 안맹담에게 시집갔으며, 세조 즉위 후 특별한 대우를 받았고, 사후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장보살본원경을 간행하고 정인지, 한확 등과 혼인으로 복잡한 인척 관계를 맺은 4남 2녀를 두었다.
  • 1415년 출생 - 김국광
    김국광은 조선 초 세조의 측근 문신으로, 《경국대전》 편찬에 기여하고 이시애의 난 토벌에 공을 세워 광산군에 봉해졌으며, 병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사후 불천지위의 은전을 받았다.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피에로 디 베네데토
출생일1415년경
출생지산세폴크로, 피렌체 공화국
사망일1492년 10월 12일
사망지산세폴크로, 피렌체 공화국
국적이탈리아
분야회화, 프레스코
활동 시기초기 르네상스
작품
주요 작품그리스도의 세례
그리스도의 채찍질
브레라 마돈나
발음
일본어 정보
일본어 이름ピエロ・デラ・フランチェスカ
일본어 로마자Piero della Francesca
일본어 출생일1412년
일본어 사망일1492년10월 12일
일본어 출생지 및 사망지산세포르크로
한국어 정보
한국어 이름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2. 생애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토스카나주 아레초 근교 보르고 산세폴크로에서 구두장이의 아들로 태어났다.[20] 1430년대까지 산세폴크로의 지방 화가 안토니오 단기아리 밑에서 도제 수업을 마치고, 얼마 동안 단기아리의 조수 또는 협력자로서 산세폴크로와 그 주변에서 일했다.[20] 1439년경 피렌체로 가서 피렌체파 거장 도메니코 베네치아노에게 사사하거나, 그의 협력자로 일했다.[21] 그는 이탈리아 각지에서 작품 활동을 했지만, 생애의 상당 부분을 고향과 그 주변에서 보냈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회화사에서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수학과 기하학에 몰두한 최초의 화가 중 한 명이며, 미술사상 가장 철저하게 그 연구에 매달린 인물이다.[22] 말년에 『산술론』, 『원근법론』, 『오정다면체론』 세 권의 저서를 남겼는데, 이 책들은 모두 라틴어가 아닌 속어로 쓰여 있으며, 높은 수준의 수학·기하학적 내용에도 불구하고 문제집과 같은 성격으로, 인문주의적 관심은 낮고, 장인적인 실용성에 의해 쓰여졌다.[23]

2. 1. 초기 생애

피에로는 베네데토의 아들 피에로 디 베네데토로, 오늘날 토스카나주에 있는 보르고 산토 세폴크로 마을에서 상인 베네데토 데 프란체스키와 몬테르키 출신 로마나 디 페리노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나기 전에 사망했고, 프란체스키 가문과의 결혼으로 "라 프란체스카"로 불렸던 어머니를 따라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로 불렸다. 로마나는 그의 수학과 예술 교육을 지원했다.

그는 아마도 현지 화가 안토니오 디 조반니 단기아리 밑에서 도제 수업을 받았을 것이다. 1432년과 1438년 5월에 지불금에 관한 문서에서 그가 안토니오와 함께 일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6][7] 그는 어린 시절 산 세폴크로에서 활동했던 일부 시에나 화가들, 예를 들어 사세타의 작품에 주목했음이 분명하다. 1439년 피에로는 도메니코 베네치아노와 함께 피렌체의 산트에질디오 교회의 프레스코화 작업에 대한 대금을 받았는데, 현재는 소실되었다. 피렌체에서 그는 프라 안젤리코, 루카 델라 로비아, 도나텔로, 브루넬레스키와 같은 거장들을 만났을 것이다. 마사초의 프레스코화와 산타 마리아 델 카르미네에 있는 그의 장엄한 인물들은 그에게 중요한 영감의 원천이었다. 피에로의 기록되지 않은 작품의 연대 측정은 어려운데, 그의 스타일이 세월이 흘러도 발전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회화사에서는 수학과 기하학에 몰두한 최초의 화가 중 한 명이며, 미술사상 가장 철저하게 그 연구에 매달린 인물이다.[22]

2. 2. 전성기

피에로는 1442년 고향으로 돌아와 산세폴크로 시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20] 3년 후, 산세폴크로의 미세리코르디아 교회를 위해 《자비의 마돈나》 제단화를 그리는 첫 번째 의뢰를 받았으며,[20] 이 작품은 1460년대 초에 완성되었다. 1449년에는 현재 소실된 에스테 성과 페라라의 산탄드레아 교회에 여러 프레스코화를 제작했다. 그의 영향은 페라라 후기의 코시모 투라의 풍유적인 작품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난다.

런던의 내셔널 갤러리에 있는 《그리스도의 세례》는 산세폴크로의 산 조반니 바티스타 수도원 교회의 제대를 위해 1450년경에 완성되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산세폴크로에 있는 《그리스도의 부활》 프레스코화와 산세폴크로 근처 몬테르키에 있는 《출산의 마돈나》가 있다.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가 성 시지스몬드 앞에 무릎 꿇다》(1451)


1451년, 그는 리미니에서 용병대장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를 위해 일하면서 말라테스타 성당에 유명한 프레스코화 《성 시지스몬드와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20]와 시지스몬도의 초상화를 제작했다. 리미니에서 피에로는 르네상스 시대의 유명한 수학자이자 건축가인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를 만났을 가능성이 있다. 알베르티는 말라테스타 성당을 재설계했지만, 알베르티가 감독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교회 설계의 실행을 감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 피에로는 안코나, 페사로, 볼로냐에서 활동했다.

1454년, 그는 산세폴크로의 산타고스티노 교회를 위해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폴립티크》 계약에 서명했다. 이 폴립티크의 중앙 패널은 소실되었고, 날개의 네 패널에는 성인들이 묘사되어 있으며 현재 전 세계에 흩어져 있다.[8] 몇 년 후, 니콜라오 5세의 소환을 받아 로마로 이주하여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 프레스코화를 제작했는데, 그중 일부만 남아 있다. 2년 후 그는 다시 교황청에 와서 바티칸 궁전에 프레스코화를 그렸지만, 그 후 파괴되었다.

《참십자가의 역사》 세부: 시바 여왕과 솔로몬 왕의 만남


1452년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아레초의 산 프란체스코 성당 벽화 작업에서 비치 디 로렌초를 대신하기 위해 아레초로 불려갔다. 이 작업은 1464년에 완료되었다.[20] '참십자가의 역사' 연작 벽화는 일반적으로 그의 걸작이자 르네상스 회화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이 벽화에 그려진 이야기는 참십자가의 목재 유물이 발견된 과정에 대한 중세 시대의 전설적인 자료에서 유래한다.[20] 이러한 이야기들은 13세기 중반 자코포 다 바라제의 『황금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9]

2. 3. 우르비노에서의 활동

조반니 산티가 피에로를 우르비노로 초청했고, 피에로는 "몬테펠트로 공작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를 위해 여러 작품을 제작했다."[10] 채찍질하는 그리스도는 일반적으로 우르비노에서 피에로가 제작한 가장 오래된 작품(약 1455~1470년)으로 여겨진다. 이 작품은 초기 르네상스의 가장 유명하고 논란이 많은 그림 중 하나이다. 이 그림은 기하학적인 절제미를 보여주는 동시에, 전경에 서 있는 세 남자의 성격에 대한 당혹스러운 수수께끼를 제시한다.

몬테펠트로 제단화 또는 브레라 성모


우르비노에서 그린 또 다른 유명한 작품은 우피치 미술관에 있는 페데리코와 그의 아내 바티스타 스포르차의 쌍둥이 초상화이다. 측면 프로필의 초상화는 페데리코와 그의 아내의 공식 초상화가 새겨진 대형 청동 메달과 스투코 둥근 조각상에서 영감을 받았다. 우르비노에서 제작된 다른 그림으로는 브레라 미술관에 있는 거대한 몬테펠트로 제단화(1474년)와 세니갈리아의 성모가 있다.

우르비노에서 피에로는 화가 멜로초 다 포를리, 프라 카르네발레, 플랑드르 화가 유스투스 판 헌트, 수학자 프라 루카 파치올리, 건축가 프란체스코 디 조르조 마르티니, 그리고 아마도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를 만났다.

2. 4. 말년

페루지노와 루카 시뇨렐리 같은 화가들이 말년에 그의 작업실을 자주 방문했다. 그는 1470년대 중반에서 1480년대에 걸쳐 저서 『회화의 원근법에 관하여』를 완성했다. 1480년경 시력이 나빠지기 시작했지만,[11] 1485년에는 『정다면체에 관한 단편 저서』와 같은 저술 활동을 계속했다. 1482년 리미니에 집을 임대했다는 기록이 있다. 1487년 유언장을 작성했고, 5년 후인 1492년 10월 12일 산세폴크로 자신의 집에서 사망했다.[1] 그는 자신의 재산을 가족과 교회에 남겼다.

피에로는 말년에 『산술론』, 『원근법론』, 『오정다면체론』 세 권의 저서를 남겼다. 이 저서들은 모두 라틴어가 아닌 속어로 쓰여 있으며, 높은 수준의 수학·기하학적 내용에도 불구하고 문제집과 같은 성격으로, 인문주의적 관심은 낮고, 장인적인 실용성에 의해 쓰여졌다.[23]

3. 수학 및 기하학 연구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수학, 특히 기하학을 연구한 초기 화가 중 한 명으로, 미술사에서 철저한 연구에 몰두한 인물로 꼽힌다. 그는 원근법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그의 그림에 대한 사색적인 접근 방식은 그의 모든 작품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14]

젊은 시절, 피에로는 상업을 위한 수학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5] 우르비노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공작은 피에로가 원근법에 대한 관심을 추구하도록 격려했다고 전해진다.

3. 1. 주요 저서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만년에 수학과 기하학 연구에 몰두하여 세 권의 저서를 남겼다.[25][26]

'''산술서'''(Trattato d'Abaco) 첫 페이지

  • '''산술서''' (Trattato d’Abaco)
  • '''회화에서의 원근법에 관하여''' (De Prospectiva Pingendi)
  • '''정다면체에 관하여''' (De quinque corporibus regularibusla)


이 저서들은 대수, 기하학, 공간기하학, 원근법 등 혁신적인 내용을 다루었으며,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쓰였다.[25][26] 특히 헤론의 공식을 3차원으로 확장하여 사면체 부피 공식을 유도했다. 그의 연구는 루카 파치올리의 저술에 흡수되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삽화를 그린 파치올리의 저서 '''신성한 비례'''(Divina proportionela)에 번역되어 실렸다.[16]

1450년대 후반, 피에로는 아르키메데스의 저서 ('''구와 원기둥에 관하여''', '''원의 측정에 관하여''', '''원추면과 회전타원체에 관하여''', '''나선에 관하여''', '''평면의 평형에 관하여''', '''포물선의 구적에 관하여''', '''모래알 계산법''')를 복사하고 삽화를 넣었다.[17]사본은 리카르디아나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아코포 다 산 카시아노가 번역한 아르키메데스 저작집의 사본이다.[18][19]

4. 주요 작품

부활


작품명제작 연도기법크기 (cm)소장처
자비의 폴립티크1445–62템페라와 유채, 패널273cm x 330cm산세폴크로 시립 박물관
그리스도의 세례템페라, 패널168cm × 116cm내셔널 갤러리, 런던
참회하는 성 제롬템페라, 패널51cm × 38cm국립 박물관, 베를린
성 제롬과 기증자(지롤라모 아마디)1451템페라와 유채, 패널49cm × 42cm아카데미아 미술관, 베네치아
성 시기스문 앞에서 기도하는 시기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1451프레스코화(캔버스로 옮김)257cm x 345cm말라테스타 성당, 리미니
시기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의 초상템페라와 유채, 패널44.5cm × 34.5cm루브르 박물관, 파리
참십자가의 역사프레스코화 연작산 프란체스코 성당, 아레초
그리스도의 채찍질템페라, 패널58.4cm x 81.5cm마르케 국립 미술관, 우르비노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폴립티크1460–70템페라와 유채, 패널여러 박물관에 분산 소장
부활프레스코화225cm × 200cm산세폴크로 시립 박물관
헤라클레스프레스코화(분리)151cm × 126cm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 보스턴
성 마리아 막달레나프레스코화190cm × 180cm아레초 대성당
출산의 마돈나1459–67분리된 프레스코화260cm × 203cm몬테르키 묘지 예배당
성탄유채, 패널124.5cm × 123cm내셔널 갤러리, 런던
성 안토니우스의 폴립티크유채, 패널338cm × 230cm움브리아 국립 미술관, 페루자
브레라 마돈나 (몬테펠트로 제단화)1472–74유채, 패널248cm × 170cm브레라 미술관, 밀라노
우르비노 백작 부부의 쌍폭화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바티스타 스포르차)유채, 패널각 47.4cm × 33.6cm우피치 미술관, 피렌체
세니갈리아의 마돈나유채, 패널67cm × 53.5cm마르케 국립 미술관, 우르비노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20세기에 들어서야 거장으로 재평가받기 시작했다. 대표작인 『그리스도의 세례』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서 보이는 명료하고 간결한 화면 구성, 인물과 나무의 단순하고 명쾌한 형태, 밝은 색채는 현대 미술과 통하는 면이 있다. 이 작품에서는 산세폴크로 주변의 풍경이 현실감 있게 묘사되어 있으며, "이탈리아 패널화로서는 처음으로 보는 이에게 야외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는 평가도 있다.[24]

『그리스도의 채찍질』에서는 채찍질당하는 그리스도의 모습은 화면 왼쪽 뒤편으로 밀려나 있고, 오히려 화면 오른쪽 앞에 서 있는 세 인물이 훨씬 크게 표현되어 있다. 이들 서로 다른 복장의 세 인물이 무엇을 나타내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우르비노 공작을 그린 측면상도 잘 알려져 있다.

그리스도의 채찍질


5. 평가 및 영향

2013년 뉴욕의 프릭 컬렉션에서 열린 전시회에서는 미국에 있는 피에로의 작품 8점 중 7점을 모아 전시했다. 이 전시회에서 비평가 제리 살츠는 ''뉴욕'' 매거진에 기고한 글에서 피에로의 ''왕좌에 앉은 성모와 아기 예수, 그리고 네 명의 천사''를 모범적인 작품으로 꼽았다.[12]

살츠는 성모와 아기 예수가 두 단 위에 놓여 이 세상과는 다른 세상에 있는 듯하며, 마리아는 아기 예수가 잡으려는 장미를 바라보며 깨달음을 얻고 있다고 묘사했다. 그는 장미가 사랑, 헌신,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동시에 피와 그리스도가 쓸 가시관을 상징하며, 끔찍한 죽음을 맞이할 아이가 운명을 받아들이려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마리아의 깊은 파란색 로브가 열려 안쪽에 진홍색이 드러나는 것을 통해 내면의 고통을 느끼며, 이는 다가올 외부의 열정과 고통을 상징한다고 덧붙였다. 그림 정중앙 수직선에는 십자가에 못 박힐 그리스도의 오른손이 있다고 강조했다.[12]

반면 월터 카이저는 ''뉴욕 서평''에서 이 전시회를 평하며 리스본 국립 고대미술관에 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웅장한 모습이 가장 훌륭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작품이 프릭 컬렉션이 소장한 성 요한 복음사가가 있는 산타고스티노 제단화의 짝 그림이라고 언급했다.[13]

보후슬라프 마르티누는 오케스트라를 위한 3악장짜리 작품인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프레스코화》(Les Fresques de Piero della Francesca)를 작곡했다. 라파엘 쿠벨릭에게 헌정된 이 작품은 1956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쿠벨릭과 비엔나 필하모닉에 의해 초연되었다.

피에로의 기하학적인 완벽함과 그의 그림 속 빛의 거의 마법 같은 분위기는 조르조 데 키리코, 마시모 캄필리, 펠리체 카소라티, 발튀스와 같은 현대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가 거장으로 재평가받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부터라고 한다. 대표작인 『그리스도의 세례』(런던, 내셔널 갤러리)에서 보이는 명료하고 간결한 화면 구성, 인물과 나무의 단순하고 명쾌한 형태 파악, 밝은 색채 감각 등에는 현대 미술과 통하는 면이 있다. 이 작품에서는 산세폴크로 주변의 풍경이 현실감 있게 묘사되어 있으며, "이탈리아 패널화로서는 처음으로 보는 이에게 야외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는 평가도 있다.[24]

『그리스도의 채찍질』에서는 주제인 채찍질당하는 그리스도의 모습은 화면 왼쪽 뒤편으로 밀려나 있고, 오히려 화면 오른쪽 앞에 서 있는 세 인물이 훨씬 크게 표현되어 있다. 이들 서로 다른 복장과 나이의 세 인물이 무엇을 나타내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우르비노 공작을 그린 측면상도 잘 알려져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Piero della Francesca Macmillan Educational Corporation
[2] 사전 Piero della Francesc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9-01 #추정 날짜. dead link 정보 사용
[3] 사전 Piero della Francesca 2019-05-31
[4] 사전 Piero della Francesca 2019-05-31
[5] 서적 Lives of the Most Excell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6] 서적 The Culture of Sansepolcro during the Youth of Piero della Francesca The University of Michican Press
[7] 간행물 Piero della Francesca as Assistant to Antonio d'Anghiari in the 1430s: Some Unpublished Documents 1993-01-01 #월까지만 정보가 있으므로 1일로 설정
[8] 서적 Piero della Francesca: Tradition and Innovation in Renaissance Art
[9] 웹사이트 The Golden Legend, or Lives of the Saints" Volume Three http://www.fordham.e[...] 2007-05-22
[10] 서적 Piero della Francesca: Tradition and Innovation in Renaissance Art
[11] 서적 Piero della Francesca and the Invention of the Artist Reaktion Books
[12] 뉴스 Saltz on Piero della Francesca at the Frick https://www.vulture.[...] 2013-03-03
[13] 뉴스 The Noble Dreams of Piero https://www.nybooks.[...] 2013-03-21
[14] 서적 Piero della Francesca. A Mathematician's Art https://www.ams.org/[...] Yale University Press 2005
[15] 웹사이트 Piero della Francesca http://www.oxfordart[...]
[16] 서적 The Golden Ratio: The Story of Phi, the World's Most Astonishing Number https://books.google[...] Broadway Books
[17] 간행물 A Manuscript of the Works of Archimedes in the Hand of Piero della Francesca 2005-03-01 #월까지만 정보가 있으므로 1일로 설정
[18] 웹사이트 On the Sphere and the Cylinder; On the Measurement of the Circle; On Conoids and Spheroids; On Spirals; On the Equilibrium of Planes; On the Quadrature of the Parabola; The Sand Reckoner http://www.wdl.org/e[...] 1450-01-01 # 년도 범위만 있으므로 1월 1일로 설정
[19] 서적 Archimede latino.Iacopo da San Cassiano e il corpus archimedeo alla metà del Quattrocento Les Belles Lettres
[20] 서적 ピエロ・デッラ・フランチェスカ
[21] 서적 ピエロ・デッラ・フランチェスカ
[22] 서적 ピエロ・デッラ・フランチェスカ
[23] 서적 ピエロ・デッラ・フランチェスカ
[24] 서적 ピエロ・デッラ・フランチェスカ
[25] 웹사이트 http://www.ams.org/n[...] 미국수학협회
[26] 웹사이트 http://www.mathpages[...] mathpag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