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드 베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드 베륄은 프랑스 왕국 출신의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프랑스 오라토리오회 창립자이다. 그는 개신교와의 논쟁에서 가톨릭 개혁을 지지하고, 가르멜회 수녀들을 프랑스에 도입하는 등 종교 개혁에 기여했다. 앙리 4세의 고해 신부였으며, 정치적으로는 스페인 대사로 몬손 조약을 체결하고 루이 13세의 고문관을 역임했으나, 리슐리외와 갈등을 겪었다. 그는 프랑스 영성 학교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그의 저술은 17세기 프랑스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니콜라 말브랑슈
니콜라 말브랑슈는 데카르트 철학의 영향을 받아 기회원인론과 신중관견론을 제시하며 인간의 인식이 신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이다. - 17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피에르 가상디
피에르 가상디는 프랑스의 철학자, 과학자, 가톨릭 사제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비판하고 에피쿠로스 철학을 부활시켜 원자론을 옹호했으며, 데카르트와의 논쟁을 통해 심신 문제를 제기하고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지지하며 근대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 욘주 출신 - 테오도르 드 베즈
테오도르 드 베즈는 프랑스 개신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법학을 공부했으나 개혁 신앙에 귀의하여 제네바 아카데미 교수로 활동하며 칼뱅의 후계자가 되어 제네바 교회를 이끌었고, 칼뱅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1605년에 사망했다. - 욘주 출신 - 에티엔 발리바르
에티엔 발리바르는 1942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철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며, 루이 알튀세르의 제자로서 구조적 마르크스주의를 발전시키고, 이후 이민자, 인종주의 문제와 민주주의, 시민권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신부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1506년 나바라 왕국에서 태어나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예수회 창립에 참여하여 인도, 일본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다 중국에서 사망한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회 선교사이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신부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는 르네상스 시대 네덜란드 출신 인문주의자이자 신학자, 가톨릭 사제로 고전 문헌 연구와 성서 번역에 힘썼으며 가톨릭교회 비판과 종교개혁 반대, 자유 의지 옹호, 평화주의 주장으로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피에르 드 베륄 | |
---|---|
기본 정보 | |
존칭 | 각하 |
이름 | 피에르 드 베륄 |
![]() | |
출생일 | 1575년 2월 4일 |
출생지 | 세릴리, 프랑스 |
사망일 | 1629년 10월 2일 (향년 54세) |
사망지 | 파리 |
직책 | |
교회 | 가톨릭 교회 |
서품 | 1599년 6월 5일 |
추기경 임명 | 1627년 8월 30일 |
추기경 서임 교황 | 교황 우르바노 8세 |
2. 일대기
피에르 드 베륄은 종교 및 정치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그는 가톨릭 사제로서 개신교와의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프랑스 왕국 내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앙리 4세의 고해 신부였으며, 프랑스의 헨리에타 마리아와 찰스 1세의 혼인성사를 위해 교황청의 특별 관면을 받아내기도 했다. 또한 외교관으로서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의 몬손 조약 체결에 기여했고, 루이 13세의 고문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하지만 베륄은 리슐리외와 정치적 견해 차이로 갈등을 겪었고, 결국 공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2. 1. 초기 생애와 사제 서품
피에르 드 베륄은 1575년 2월 4일 프랑스 왕국 트로예스 근처 세릴리 성에서 태어났으며, 파리 고등 법원의 저명한 치안 판사 가정 출신이다.[1] 그는 예수회에서 운영하는 클레몽 대학과 소르본에서 교육을 받았다. 1599년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1]베륄은 자크 다비 두페롱 추기경을 도와 개신교 신자인 필리프 드 모르네와의 논쟁에서 이겨 많은 사람들을 가톨릭 교회로 개종시켰다. 1604년에는 사촌인 아카리에 부인(육화의 마리아)의 도움으로 아빌라의 테레사의 개혁을 통해 맨발의 가르멜회 수녀들을 프랑스에 도입했다.[1]
1608년, 빈센트 드 폴은 파리로 이주하여 베륄의 영향을 받아 그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 베륄은 드 폴이 클리시 본당으로 임명되도록 했다.[2]
1611년, 베륄은 프랑스의 반종교 개혁을 이끌기 위해 필립 네리가 로마에 설립한 오라토리오회를 본따 파리에 프랑스 오라토리오회를 설립했다. 그러나 프랑스 오라토리오회는 이탈리아 오라토리오회와 중요한 차이점을 보였다.[3]
2. 2. 가르멜회와 오라토리오회
프랑스 왕국 트루아 태생인 피에르 드 베륄은 1599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가톨릭 사제가 된 후 위그노 신자인 필리프 드 모르네와의 논쟁에서 자크 다비 두페롱 추기경을 도왔다.[1] 프로테스탄트에 맞선 가톨릭 개혁의 대들보였던 베륄은 1611년 파리에서 프랑스 오라토리오회를 창립하였으며, 가르멜회 수녀들을 프랑스에 들여올 수 있도록 하였다.[1]1608년, 빈센트 드 폴은 파리로 이주하여 피에르 드 베륄의 영향을 받아 그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 베륄은 빈센트 드 폴이 클리시 본당으로 임명되도록 했다.[2]
베륄은 1611년 로마에서 필립 네리가 1556년에 설립한 것을 모델로 하여, 파리에 프랑스 오라토리오 수도회를 설립했다. 하지만, 프랑스 수도회는 이탈리아 오라토리오와 중요한 부분에서 차이를 보였다.[3]
2. 3. 정치 활동과 외교
베륄은 프랑스 왕국 앙리 4세의 고해성사 신부였으며, 왕은 그에게 주교직을 제안했으나 베륄은 이를 여러 차례 거절했다.[4] 그는 프랑스의 헨리에타 마리아와 찰스 1세의 혼인성사에 필요한 교황청의 특별 관면을 받아냈고, 헨리에타 마리아가 잉글랜드에 머무는 첫 해 동안 그녀의 지도신부로 봉사하였다.[4] 1626년, 베륄은 프랑스의 스페인 대사로 파견되어 양국 간 우호적인 몬손 조약 체결을 이끌었으나, 리슐리외는 이에 이의를 제기했다.[4] 루이 13세와 그의 모후 마리 드 메디시스의 화해 이후, 베륄은 루이 13세의 고문관으로 임명되었지만,[4] 리슐리외가 반대하는 친합스부르크 정책을 펼쳐 공직에서 물러나야 했다.[4] 1627년 8월 30일, 교황 우르바노 8세는 베륄을 추기경으로 서임했으나, 베륄은 추기경의 붉은 모자를 받지 않았다.[4] 베륄은 종교적인 이유로 오스트리아 및 스페인과의 동맹을 선호했지만, 리슐리외는 이들 국가의 유럽 내 영향력 약화를 추구했다.[4]2. 4. 추기경 서임과 죽음
베륄은 1627년 8월 30일 교황 우르바노 8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나, 추기경의 의복인 붉은 모자는 받지 않았다.[4]1629년 10월 2일 파리에서 미사를 집전하던 중 사망한 베륄은 줄리 오라토리안 대학의 예배당에 묻혔다.[4]
3. 프랑스 영성 학파
베륄은 프랑스 반종교 개혁의 주역으로, 1611년 로마에서 필립 네리가 1556년에 설립한 것을 모델로 하여 파리에 프랑스 오라토리오 수도회를 설립했다.[3] 하지만 프랑스 수도회는 이탈리아 오라토리오와 중요한 부분에서 차이를 보였다.[3]
초창기 베륄은 개인이 사회를 재건하고 교회를 개혁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다. 그는 인간의 이성과 부지런한 노력을 바탕으로 신학 논문과 회의를 통해 위그노를 개종시키려 노력했다. 그러나 그의 노력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그는 모든 것이 하느님께 달려 있으며, 성공과 실패에 대한 걱정 없이 하느님의 뜻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5]
3. 1. 베륄의 영성 신학
베륄은 17세기 초 프랑스 교회에 활력을 불어넣은 강력한 영적, 선교적, 개혁 운동인 프랑스 영성 학교의 창시자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2] 이 운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하느님의 위대함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깊은 이해
- 하느님을 통한 긍정적인 가능성을 강조하는 인간에 대한 비관적인 아우구스티누스적 관점
- 강력한 사도적, 선교적 헌신[2]
코르넬리우스 얀센과 장 뒤 베르지에 드 오란(생시랑의 수도원장)은 베륄의 핵심 협력자로서, 베륄의 오라토리(Oratory)가 "관대한" 예수회 신학을 대체할 수단이 되기를 바라면서 부정적인 아우구스티누스적 참회 신학을 옹호하기 위해 함께 노력했다.[6]
마리아를 통해 그리스도에게, 그리고 그리스도를 통해 삼위일체에 이르는 신비로운 여정에 대한 베륄의 묘사는 프랑스 영성 학교의 특징이다.[7]
"학교"라는 용어는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장 외드, 장 자크 올리에, 루이마리 그리뇽 드 몽포르, 장 바티스트 드 라 살과 같은 이 "학교"의 다른 구성원들은 단순히 베륄의 사상을 발전시킨 것이 아니라, 모두 자신의 중요한 통찰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는 단 하나의 창시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되어 왔다. 그러나 많은 공통 요소들(예: 예수님의 영 안에서 삶에 대한 강조, 특정한 형태의 묵상 기도, 그리고 1600년대 이후 프랑스 학교의 영향을 받은 신학교에서 가르치는 사제직의 영적 신학)은 그것이 보다 최근에 베륄주의로 알려진 별개의 영성 전통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8]
3. 2. 베륄의 사제직 영성 신학
베륄의 사제직 영성 신학은 루터교와 칼뱅주의에 반대하는 반종교 개혁 신학 및 철학적 개념들을 실질적으로 보여준다. 클레어 맥그래스-머클에 따르면, 이 영성 신학은 로마 가톨릭 사제직 신학에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는 주로 그리스도와의 과도한 동일시를 통해서였다. 베륄의 성직자 영성은 사제가 그리스도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야 한다는 자기 소멸주의와 무(無)주의의 부정적인 영적 인간학으로 특징지어진다.[9]4. 철학과 저작
베륄은 1597년 첫 작품인 ''Bref discours de l'abnégation intérieure|내면적 자기 부정에 대한 간략한 강연프랑스어''을 발표했다.[1] 1599년 사제 서품을 받은 직후, 뒤페롱 추기경을 도와 개신교 필리프 드 모르네와의 공개적인 논쟁에서 많은 개종자를 얻는 데 기여했다.
베륄은 데카르트의 철학 연구를 장려했으며, 그를 통해 사마리아 오경이 르제의 ''다국어 성경''(1628–45)에 삽입되도록 지원했다.
그는 그리스도의 인간성을 무시하는 추상적 신비주의 학파의 반대자였지만, 그의 기도 방식은 추상적으로 여겨지는 그리스도 자체의 존재를 숭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10] 교황 우르바노 8세는 그를 "성육신하신 말씀의 사도"라고 칭송했다.
그의 저서 ''Discours de l'état et des grandeurs de Jésus|예수의 상태와 위대함에 대한 담론프랑스어''에서 베륄은 예수를 하느님의 성육신한 말씀으로 강조했으며, 그의 성육신의 비천함, 자기 헌신, 종속, 굴욕을 강조했다. 그는 성육신을 그의 영성과 오라토리의 결정적인 특징으로 삼았다.[12]
추기경 피에르 드 베륄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베륄은 다수의 짧은 묵상집(''Œuvres de pieté'')과 오라토리 지침 문서를 저술했다. 그의 작품은 P. 부르공에 의해 편집(2권, 1644)되었으며, 미뉴에 의해 1857년에 재판되었다. 현대 영어 번역본으로는 ''Bérulle and the French School: Selected Writings|베륄과 프랑스 학파: 선별된 저작영어'', 로웰 M. 글렌돈 번역 (뉴욕: 폴리스트 프레스, 1989)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ierre de Bérull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3-06-12
[2]
웹사이트
Berulle, Pierre de
http://famvin.org/wi[...]
Vincentian Online Library
[3]
웹사이트
French Congregation of the Oratory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3-06-12
[4]
웹사이트
Miranda, Salvatore. "Pierre de Bérull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3-06-12
[5]
웹사이트
The Spirituality of Bérulle: A New Look
http://opcentral.org[...]
Order of Preachers - Central Province
[6]
서적
Jansenism in Seventeenth-Century France: Voices from the Wilderness
University of Virginia
[7]
서적
An Anthology of Christian mysticism
[8]
서적
The Bloomsbury Guide to Christian Spirituality
[9]
서적
Berulle's Spiritual Theology of Priesthood
Aschendorff
[10]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Religious Thought in France from the Wars of Religion Down to Our Own Times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1]
웹사이트
Autobiography of Blessed Anne of St. Bartholomew
https://carmelitequo[...]
carmelitequotes.blog
[12]
서적
Discours de l'état et des grandeurs de Jésus
J.-P. Migne
[13]
서적
Traité des énergumènes
J.-P. Mig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