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부아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부아노어는 필리핀의 세부 지역에서 유래된 언어로, 스페인 식민 시대의 영향을 받아 '세부아노어'로 명명되었다. 필리핀 비사야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이 언어를 '비사야어' 또는 '비니사야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세부아노어는 필리핀의 주요 언어 중 하나로,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음운, 문법, 어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세부아노어는 16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을 가지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어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의 공통점, 말레이어,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스페인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로부터의 차용어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사야어군 - 타우수그어
    타우수그어는 술루 제도 타우수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비사야어군에 속하며 술랏 수그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아랍어와 산스크리트어 차용어가 많다.
  • 비사야어군 - 아클라논어
    아클라논어는 필리핀 아클란 주에서 쓰이는 언어로 악란, 악라노 등으로도 불리며 21개 음소를 가지고 비사야어군 언어와 유사하고 말라이논어와 어휘 공유율이 높으며 아클라논어 시인 멜초르 F. 시촌의 시 "어머니"는 필리핀 콜레지언에 실린 첫 아클라논어 시이다.
  • VSO형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VSO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세부아노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세부아노어
다른 이름세부안
자칭비사야, 비니사야, 시누그부아농 비니사야, 세브와노/시네브와노
사용 국가필리핀
사용 지역중앙비사야 지방, 네그로스섬 동부, 동비사야 지방 서부, 민다나오섬 대부분 지역
사용자비사야족(세부아노족, 볼로하노족, 에스카야족 등)
추정 화자 수2천만 명 (2023년)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필리핀어군
하위 어군중앙필리핀어군
방언표준 세부아노어 (세부섬)
도시 세부아노어 (메트로 세부)
네그로스 세부아노어
볼로홀 세부아노어
레이테 세부아노어 (카나)
민다나오 세부아노어
다바오 세부아노어
문자라틴 문자(필리핀 문자)
공용어/소수어필리핀의 지역 언어
언어 관리 기관비사야 예술 및 문학 아카데미
코미숀 사 위캉 필리피노
ISO 639-2ceb
ISO 639-3ceb
Glottologcebu1242
Glottolog 설명세부아노어
언어 지도
필리핀 내 세부아노어 사용 지역 분포도
필리핀 내 세부아노어 사용 지역 분포도
역사
조상 언어고전 세부아노어 (18세기 후반)

2. 명칭



"세부아노어"라는 이름은 세부라는 지명에 라틴어식 접미사 "-ano"가 결합된 형태로, 필리핀의 스페인 식민지 유산을 반영한다. 세부 지역의 세부아노어 화자뿐만 아니라 세부 외부의 화자들도 이 언어를 일반적으로 '비사야어'(Bisaya|비사야ceb)라고 부른다.

그러나 모든 화자가 "세부아노어"라는 명칭을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다. 레이테, 북민다나오, 다바오 지역, 카라가, 삼보앙가 반도 등 특정 지역의 세부아노어 사용자들은 이 명칭에 반대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조상이 세부에서 온 이주민이나 정착민이 아니라 해당 지역 고유의 비사야어 화자였다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민족을 '비사야'(Bisaya|비사야ceb), 언어를 '비니사야'(Binisaya|비니사야ceb)라고 부른다.[8] 한편, 이러한 주장에 대해 일부 언어 애호가들은 '비사야'나 '비니사야'라는 용어가 힐리가이논어와라이어 화자들을 배제할 수 있다고 보아 '세부아노어'라는 명칭을 고수하기도 한다. 힐리가이논어와 와라이어 화자들 역시 자신들의 언어를 '비니사야'(Binisaya|비니사야ceb)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언어학 연구에서는 R. 데이비드 폴 조르크가 세부, 네그로스 옥시덴탈, 보홀(보홀라노 방언), 레이테, 그리고 민다나오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세부아노어"로 기술한 바 있으며, 그의 연구는 비사야어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진다. 또한, 카바드바란 출신의 예수회 언어학자이자 세부아노어 화자인 로돌포 카본세 신부는 카가얀 데 오로 시와 마놀로 포르티치, 부키드논에 머물며 세부아노-영어 사전(1955년)과 영어-세부아노 사전(1983년)을 출판했다.[9]

역사적으로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스페인인들이 힐리가이논어, 세부아노어, 와라이어, 키나라야어, 아클라논어 화자들을 언어적 구분 없이 포괄적으로 '비사야'라고 지칭했다.[10]

세부아노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세부어
  • 비사야어 (Bisaya)
  • 비스아야어
  • 비사얀 (Visayan/Bisayan)
  • 비니사야 (Binisaya)
  • 세부아노 (Cebuano)
  • 세부안 (Sebuano)
  • 수그부아논 (Sugbuanon)


"세부아노"라는 명칭은 지명인 세부에 스페인어 접미사 '-ano'를 붙여 만들어졌다. 이 언어(세부아노어)는 여러 언어가 속하는 언어 그룹인 Visayan languages|비사야 제어영어와는 구별될 필요가 있다.

3. 역사

피가페타의 사전에는 말레이어와 비사야어 어휘가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이탈리아어로 번역된 세부아노어도 포함되어 있다.


세부아노어는 가설적으로 재구성된 원필리핀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원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파생되었다. 따라서 세부아노어는 해양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 특히 인도네시아어말레이시아어와 먼 친족 관계에 있다. 세부아노어의 초기 형태를 추적하는 것은 쉽지 않은데, 이는 해당 언어로 작성된 문서가 시대별로 부족하고, 원주민들이 종이나 양피지 대신 쉽게 썩는 재료에 글을 남겼기 때문이다.

세부아노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 탐험대의 일원이었던 이탈리아 탐험가 안토니오 피가페타가 편찬한 어휘 목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15] 세부아노어의 고유 문자 체계에 대한 증거는 존재하지만, 그 사용은 산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 사람들은 원주민들이 ''kudlit-kabadlit''이라고 불렀던 비사야 문자를 기록했다.[16][17] 17세기 스페인 연대기 편찬자인 프란시스코 이그나시오 알시나와 안토니오 데 모르가는 당시 거의 모든 원주민이 글을 읽고 쓸 줄 알았다고 기록했지만, 물리적 증거가 부족하고 다른 기록과 상반되는 내용이 있어 이 주장은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8] 1567년의 한 보고서는 원주민들이 언어를 쓰는 방식을 설명하며 말레이인으로부터 문자를 배웠다고 언급했지만, 한 세기 후 다른 보고서에서는 비사야 원주민들이 타갈로그족으로부터 배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지역에서 ''바이바인'' 문자가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7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라틴 문자가 아닌 다른 문자로 쓰인 문서는 매우 드물다. 18세기 스페인 신부 프란시스코 엔시나는 세부아노어 문법책을 편찬했지만, 그의 저작은 19세기가 되어서야 출판되었다. 엔시나 신부는 세부아노어 표기에 사용된 라틴 문자를 기록했으며,[19] 다른 기록에서는 그가 원주민들이 사용했던 비라틴 문자를 기록한 인물로 언급되기도 한다.[20]

세부아노 문학은 일반적으로 1901년 빈센테 야프 소토가 쓴 "''Maming''"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소토는 이보다 앞서 더 애국적인 성격의 문학 작품을 썼으나, 미국 점령 시기 검열로 인해 "''Maming''"보다 1년 늦게 출판되었다. 한편, 1852년 프라이 안토니오 우베다 데 라 산티시마 트리니다드가 쓴 작품도 존재하는데, 이는 완결된 이야기라기보다는 행동 강령에 가까운 내용이다.[21][22]

4. 음운

세부아노어는 기본적으로 16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61][62]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모음 체계가 확장되었으며, 특정 환경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발음이 변하는 변이음 현상이 나타난다. 세부아노어의 구체적인 자음과 모음 체계, 발음 규칙 등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4. 1. 자음

세부아노어에는 16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이 있다.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 p, t, k, b, d, g, m, n, ng(/ŋ/), s, h, w, r, l, y(/j/), 그리고 글자로는 쓰지 않는 성문 파열음 /ʔ/이 있다.

세부아노어의 모든 파열음(p, t, k, b, d, g)은 공기의 방출이 적은 무기음이다. 연구개 비음 /ŋ/(ng)은 'ngano'("왜")처럼 단어 시작을 포함한 모든 위치에 올 수 있다. 성문 파열음 /ʔ/은 주로 모음 사이에 오지만, 다른 위치에도 나타날 수 있다.[8]

타갈로그어와 비슷하게 성문 파열음은 보통 표기하지 않는다. 표기할 때는 단어 중간에 오는 경우 하이픈(-)이나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며(예: ''tu-o'' 또는 ''tu'o'', "오른쪽"), 단어 끝에 오면서 마지막 모음에 강세가 함께 있으면 곡절 부호(^) (예: ''basâ'', "젖은"), 강세 없이 성문 파열음만 있으면 역강세 부호(`) (예: ''batà'', "아이")를 사용한다.[27][28][29]

아래는 세부아노어 자음과 해당 표기를 나타낸 표이다.[8][23][24][30]

표준 세부아노어 자음
양순음치음구개음/
치경후음
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m) (n)colspan=2|ŋ (ng)colspan=2|
파열음p (p)b (b) (t) (d)colspan=2|k (k)ɡ (g)ʔ
마찰음colspan=2| (s)colspan=2|colspan=2|h (h)
파찰음colspan=2|colspan=2| (j, dy)colspan=2|colspan=2|
접근음
(설측음)
colspan=2|colspan=2|j (y)w (w)colspan=2|
colspan=2|l̪ (l)colspan=2|colspan=2|colspan=2|
R음colspan=2|ɾ̪~r̪ (r)colspan=2|colspan=2|colspan=2|



특정 방언에서는 모음 사이의 /l/(l)이 /w/(w)와 교체되기도 한다.[8]


  • 'l'이 'a'와 'u'/'o' 사이에 오면 뒤 모음이 생략되기도 한다 (예: ''lalóm''("깊은") → ''lawóm'' 또는 ''lawm'').
  • 'l'이 'u'/'o'와 'a' 사이에 오면 앞 모음이 생략되기도 한다 (예: ''bulan''("달") → ''buwan'' 또는 ''bwan'').
  • 'l'이 같은 모음 사이에 오면 'l'이 탈락하고 모음이 길어진다 (예: ''dalá''("가져오다") → ''da''(/d̪aː/), ''tulód''("밀다") → ''tud''(/t̪uːd̪/)).[8] 단, 'l'이 폐쇄 음절 사이에 있거나 음절 시작 부분에 있으면 모음 하나와 함께 생략되고 장음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예: ''kalatkat''("오르다") → ''katkat''(/ˈkatkat/)).


보홀 일부 지역에서는 단어 끝의 'l'이 'w'로 바뀌기도 한다 (예: ''tambal''("약") → ''tambaw''). 세부에서는 드물게 'a'와 'e'/'i' 사이의 'l'이 'y'로 바뀌기도 한다 (예: ''tingali''("아마도") → ''tingayi'').[8]

보홀과 남 레이테 일부 지역에서는 음절 시작의 /j/(y)가 /d͡ʒ/(j/dy)로 발음되기도 한다 (예: ''kalayo''("불") → ''kalajo''). 또한, 단어 끝의 'y'라도 접사 '-a'가 붙어 음절 처음으로 이동하면 변이가 일어날 수 있다 (예: ''baboy''("돼지")는 ''baboj''가 될 수 없지만, ''baboya''는 ''baboja''가 될 수 있다).[8]

위의 모든 대체 발음은 의미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이음으로 간주된다.[8]

드물게 모음 사이의 'd'가 'r'로 대체되기도 하지만(예: 보홀라노 ''idô''는 표준 세부아노어 ''irô'', "개"), 'd'와 'r'은 이음으로 보지 않는다.[8] 과거에는 이음이었을 가능성이 있다.[31]

4. 2. 모음

세부아노어는 자음 16개와 모음 3개(''a'', ''i''[61], ''u''[62])를 가진다. 다음은 세부아노어 모음 체계와 각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를 꺾쇠괄호 안에 표시한 내용이다.[8][23][24]

''' 표준 세부아노어 모음 음소 '''
전설중설후설
폐쇄i (i)u (u)
중모음ɛ (e)o (o)
a (a)


  • /a/는 영어 단어 "f'''a'''ther"의 'a'와 유사한 개방 전설 비원순 모음이다.
  • /ɛ/는 영어 단어 "b'''e'''d"의 'e'와 유사한 개방 중설 비원순 모음이다.
  • /i/는 영어 단어 "mach'''i'''ne"의 'i'와 유사한 폐쇄 전설 비원순 모음이다.
  • /o/는 영어 단어 "f'''o'''rty"의 'o'와 유사한 중설 후설 원순 모음이다.
  • /u/는 영어 단어 "fl'''u'''te"의 'u'와 유사한 폐쇄 후설 원순 모음이다.


때때로 모음의 발음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8]

  • ''a''는 영어 단어 "g'''u'''t"의 'u'처럼 개방 후설 비원순 모음 /ʌ/로 발음될 수 있다.
  • ''e'' 또는 ''i''는 영어 단어 "b'''i'''t"의 'i'처럼 근접 폐쇄 전설 비원순 모음 /ɪ/로 발음될 수 있다.
  • ''o'' 또는 ''u''는 영어 단어 "th'''ou'''ght"의 'ou'처럼 개방 중설 원순 모음 /ɔ/ 또는 영어 단어 "h'''oo'''k"의 'oo'처럼 근접 폐쇄 후설 원순 모음 /ʊ/로 발음될 수 있다.


세부아노어는 식민지 시대 이전과 스페인 통치 시기에는 /a/, /i/, /u/의 세 가지 모음 음소만을 사용했다. 이후 스페인어의 영향으로 다섯 개의 모음으로 확장되었다. 이 때문에 모음 ''o'' 또는 ''u'', 그리고 ''e'' 또는 ''i''는 여전히 대부분 변이음 관계에 있다. 의미 손실 없이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으며(자유 변이), 방언에 따라서는 원어민 청취자에게 어색하게 들릴 수도 있다. 모음 ''a''는 변형이 없지만, /a/ 또는 /ʌ/로 미묘하게 다르게 발음될 수 있으며, 매우 드물게 자음 /w/ 바로 뒤에서는 /ɔ/로 발음되기도 한다. 그러나 차용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표기법과 발음에서 더 보수적인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jeep"에서 유래한 지프니를 뜻하는 ''dyip''은 결코 ''dyep''으로 쓰거나 발음하지 않는다.[8][25]

''o''와 ''u''가 변이음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세부아노어의 이중 모음은 /aj/, /uj/, /aw/, /iw/의 네 개만 존재한다.[26]

5. 문자



세부아노어는 가설적으로 재구성된 원필리핀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원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파생되었다. 따라서 세부아노어는 해양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 특히 인도네시아어말레이시아어와 먼 관계를 맺고 있다. 세부아노어의 초기 형태를 추적하는 것은 어려운데, 이는 해당 언어로 작성된 오래된 문서가 부족하고, 당시 원주민들이 종이나 양피지 대신 쉽게 썩는 재료(나뭇잎, 대나무 등)에 글을 썼기 때문이다.

세부아노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탐험대에 참여했던 이탈리아 탐험가 안토니오 피가페타가 편찬한 어휘 목록이다.[15] 이 시기 세부아노어를 표기하는 문자 체계가 존재했다는 증거는 있지만, 그 사용이 널리 퍼지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 사람들은 원주민들이 '쿠들릿-카바들릿'(kudlit-kabadlit)이라고 부르던 고유 문자, 즉 비사야 문자의 사용을 기록했다.[16][17] 17세기 스페인 연대기 작가인 프란시스코 이그나시오 알시나와 안토니오 데 모르가는 당시 거의 모든 원주민이 글을 읽고 쓸 줄 알았다고 기록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물리적 증거가 부족하고 다른 기록과 상반되는 내용도 있어 다소 과장된 주장으로 여겨진다.[18] 1567년의 한 보고서는 원주민들이 말레이인으로부터 글쓰는 법을 배웠다고 언급했지만, 약 한 세기 후의 다른 보고서는 비사야 원주민들이 타갈로그족으로부터 배웠다고 주장하는 등 그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이 지역에서 바이바인이 사용되었음은 확인되었으나, 17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라틴 문자 외의 문자로 쓰인 세부아노어 문서는 매우 드물다. 18세기에 스페인 신부 프란시스코 엔시나(Francisco Encina)가 세부아노어 문법책을 편찬했지만, 그의 저작은 19세기 초에야 출판되었다. 엔시나는 세부아노어 표기에 사용된 라틴 문자를 기록했으며,[19] 다른 기록에서는 그가 원주민들이 사용했던 비(非)라틴 문자(바이바인)의 기록자로 언급되기도 한다.[20]

현대 세부아노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사실상 필리핀 철자법을 따른다. 다만, 모음 'Ee'와 'Ii', 'Oo'와 'Uu'가 종종 서로 바꾸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명확하고 업데이트된 철자 규칙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33] 현대 세부아노어 알파벳은 라틴 알파벳 20개 문자로 구성되며, 이는 모음 5개(A, E, I, O, U)와 자음 15개(B, D, G, H,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문자 C, F, J, Q, V, X, Z는 주로 외래어 표기에 사용되며,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이름에는 'ñ'(예: 산토 니뇨)가 사용된다. 대부분의 필리핀 언어처럼 Ng 이중자도 사용되는데, 이는 연구개 비음 /ŋ/ 소리를 나타낸다 (예: ''ngipon''(이빨), ''ngano''(왜)).[34]

라틴 문자가 도입되기 전, 스페인 식민 지배 이전인 16세기까지 세부아노어는 '바들릿'(badlit)이라고 불리는 고유 문자(바이바인)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인도 계통의 음절문자로, 모음 3개와 자음 14개, 총 17개의 기본 문자로 구성되었다.[54] 그러나 그 사용 빈도가 매우 낮아 해당 문자로 쓰인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세부아노 문학은 일반적으로 빈센테 야프 소토가 1901년에 발표한 "''Maming''"을 그 시작으로 본다. 소토는 이보다 앞서 더 애국적인 내용의 작품을 썼지만, 미국 점령 시기 검열로 인해 "''Maming''"보다 1년 늦게 출판되었다. 그러나 이보다 이른 1852년에 프라이 안토니오 우베다 데 라 산티시마 트리니다드(Fray Antonio Ubeda de la Santisima Trinidad)가 쓴 작품도 존재하는데, 이는 이야기라기보다는 행동 강령에 가까운 내용이다.[21][22]

6. 방언

세부아노어는 사용 지역이 넓어 여러 지역 방언이 존재하며, 이들 방언은 어휘음운론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8] 세부아노어라는 명칭 자체도 논란이 있는데, 세부 외부의 화자들, 특히 레이테, 북민다나오, 다바오 지역, 카라가, 삼보앙가 반도 일부 지역의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세부아노어'가 아닌 '비사야어' 또는 '비니사야'라고 부르며, 자신들의 정체성 역시 세부아노가 아닌 '비사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8] 이는 자신들의 조상이 세부 출신 이주민이 아니라 해당 지역 토착 비사야인이라는 인식에 기반한다. 반면, 언어학계에서는 R. 데이비드 폴 조르크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 지역 언어를 '세부아노어'의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9]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힐리가이논어, 세부아노어, 와라이어 등 여러 비사야 언어군을 구분 없이 '비사야'라고 통칭하기도 했다.[10]

세부아노어는 세부, 보홀, 시키호르, 동네그로스, 북동부 서네그로스, 남부 마스바테, 레이테 서부, 빌리란 서부, 그리고 민다나오의 넓은 지역(특히 삼보앙가 반도, 북민다나오, 다바오, 카라가의 도시 지역 및 일부 소크사르겐 지역)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모국어로 사용된다.[13] 루손의 케손 주 일부 바랑가이에서도 사용된다. 방언에 따라 언어를 부르는 이름도 다른데, 세부 출신은 '세부아노', 보홀 출신은 '보홀라노' 또는 '볼-아논', 레이테 화자는 '카나', 민다나오와 루손 화자는 '비니사야' 또는 '비사야'라고 칭하는 경향이 있다.[14]

표준화된 정서법은 없으나, 인쇄물에서는 실제 발음과 관계없이 표준 세부아노어 발음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집'을 뜻하는 ''baláy''는 표준 표기를 따르지만, 지역이나 화자에 따라 다르게 발음될 수 있다.[8] 또한, 영어의 사용 증가로 인해 오래된 단어의 새로운 발음이나 철자가 도입되기도 하며, 영어와 비사야어를 섞어 쓰는 언어 전환 형태(비스리쉬)도 젊은 세대 사이에서 흔하게 나타난다.[46][47]

표준 세부아노어와 도시 세부아노어 외에 크게 네 가지 주요 방언 그룹이 있다: 보홀라노, 레이테뇨(카나), 민다나오, 네그렌세.[48][49][50][51] 각 방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삭삭 시나골'(saksak sinagol)이라는 용어는 "잡동사니 모음" 또는 "혼합 삽입물"을 의미하며, 마스바테와 같이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아 세부아노어 단어가 상당수 섞여 사용되는 방언을 지칭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세부아노어의 주요 방언 코드는 다음과 같다.

방언ISO 639-3 코드 확장
세부ceb-ceb
민다나오 비사야ceb-min
레이테ceb-ley
보홀라노ceb-boh


6. 1. 보홀라노어

보홀라노 방언보홀에서 사용되며, 표준 세부아노어의 남부 형태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 또한 시키호르의 일부 지역과 북민다나오의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보홀라노는, 특히 보홀 중부에서 사용되는 형태는 몇 가지 음운 변화로 다른 세부아노어 변종과 구별될 수 있다.

  • 반모음 ''y''는 [dʒ]로 발음된다. ''iyá''는 [iˈdʒa]로 발음된다.
  • ''Akó''는 [aˈho]로 발음된다.
  • 모음 사이의 ''l''은 ''u'' 또는 ''o'' 다음에 올 때 가끔 [w]로 발음된다. ''kulang''은 [ˈkuwaŋ]로 발음된다 (이는 메트로 세부 방언과 동일하다).

6. 2. 레이테뇨어 (카나 방언)

남부 카나(ceb)는 남부 레이테주와 남레이테주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남부 지역에서는 민다나오 세부아노어 방언과 가장 가깝고, 북부 경계에서는 북부 세부아노 방언과 가깝다. 북부 카나(ceb)는 레이테 섬 북부에서 사용되며, 이 지역의 세부아노어 방언과 가장 가깝고 와라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남부 및 북부 카나는 모두 레이테뇨 방언의 하위 그룹이며, 서부 및 중부 레이테와 남부 주에서 사용된다. 다만, 마아신 시에서는 볼라뇨 방언이 더 집중적으로 사용된다.

북부 카나는 특히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특징이 있어 세부 출신 화자들도 이를 인지한다. 또한 세부 시 방언에 비해 더 부드러운 어조를 띠며, 카나 화자들은 세부 시 방언을 거칠다고 여기기도 한다. 북부 카나 방언의 음운적 특징으로는 /A/ 음운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특정 자음 앞에서 비음(/n/, /m/, /ŋ/)이 뒤따르는 자음의 조음 위치에 동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p/, /b/, /m/ 앞에서는 /n/과 /ŋ/이 /m/으로 변하고, /k/, /ɡ/, /ŋ/ 앞에서는 /m/과 /n/이 /ŋ/으로 변하며, /t/, /d/, /n/ 앞에서는 /ŋ/과 /m/이 /n/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때로는 모음이나 다른 자음 앞에서도 이러한 음운 변화가 관찰된다.

아래는 표준 세부아노어(수그부), 카나 방언, 와라이어의 단어 비교표이다.

수그부카나와라이어한국어 뜻
kan-onlutòlutò밥/옥수수
kiní/kiríkirí/kiníiní이것
kanâkarâ/kanâitón저것
dinhí/diríarí/dinhí/dirídidí/ngadí/aadi/dinhi여기
dihâ/dinhâdirâ/dihâ/dinhâdidâ/ngadâ/aadâ저기
bas/balásbas/balásbarás흙/모래
alsaarsaalsa들어올리다
bulsabursabulsa주머니


6. 3. 민다나오어

민다나오어는 민다나오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는 세부아노 방언이며, 북민다나오에서 세부아노의 표준 방언이다.

6. 3. 1. 다바오뇨어

다바오 시청의 공중 보건 안전 수칙


민다나오 세부아노어의 한 분파는 다바오에서 다바오뇨(Davaoeño)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는 "카스테야노 아바케이(Castellano Abakay)"라고 불리는 차바카노어의 다바오 방언과는 구별해야 한다.

루손 세부아노어처럼 일부 타갈로그어 어휘를 포함하고 있으며, 화자는 루손 세부아노어보다 더 자주 사용할 수 있다. 문법은 다른 세부아노어 변종과 유사하지만, 현재 화자들은 대부분의 세부아노어 단어를 타갈로그어 단어로 대체하여 발화에 독특하고 강력한 타갈로그어 영향을 보여준다. 이는 기성세대가 가정에서 자녀에게 타갈로그어를 사용하고, 다른 일상생활 환경에서는 세부아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타갈로그어가 제2의 공용어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 방언의 특징 중 하나는 화자의 앞선 진술에 대한 불확실성을 나타내기 위해 타갈로그어 ''yatà''에서 파생된 ''atà''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바오뇨 화자는 ''"Tuá man tingáli sa baláy si Manuel"''(마누엘은 아마 집에 있을 거야) 대신 ''"Tuá man atà sa baláy si Manuel"''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단어 ''atà''는 세부아노어에도 존재하지만, 타갈로그어와 달리 '오징어 먹물'(예: atà sa nukos)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는 ''Ninaog ko sa jeep sa eskina, dayon niulî ko sa among baláy''("나는 지프니에서 길모퉁이에서 내린 다음 우리 집으로 갔다") 대신 ''Nibabâ ko sa jeep sa kanto, tapos niulî ko sa among baláy''가 있다. 단어 ''babâ''와 ''naog''는 모두 "내리다" 또는 "가라앉다"를 의미하고, ''kanto''와 ''eskina''는 "길모퉁이"를 의미하며, ''tapos''와 ''dayon''은 "그 다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자는 타갈로그어이고 후자는 세부아노어이다. 다바오뇨 화자는 또한 발화에 만사칸어 어휘를 추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Maayong adlaw, amigo, kumusta ka?"''("좋은 하루, 친구, 안녕?", 문자 그대로 "안녕") 대신 ''"Madayawng adlaw, amigo, kumusta ka?"''를 사용한다. 단어 ''madayaw''와 ''maayo''는 모두 '좋은'을 의미하지만, 전자는 바고보어(만사칸어족 언어)이고 후자는 세부아노어이다.

이 방언의 유명한 특징 중 하나는 동사 "가다 (Adto, Anha, Anhi, Ari)"와 장소 지시사(Didto, Dinha, Dinhi, Diri) 또는 객체/장소의 거리에 대한 일치를 무시하는 것이다. 세부 세부아노어 방언에서 동사 "가다"가 원거리(화자와 청자 모두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음, 예: adto)일 경우, 장소 지시사도 원거리(예: didto)여야 한다(예: ''Adto didto''. ''"Adto diri"'' 또는 ''"Anha didto"''는 문법적으로 맞지 않다). 반면에 다바오뇨 세부아노어는 굳이 그 문법을 따르지 않는다. 화자들은 아마도 힐리가이논어에서 문법을 차용했기 때문에 ''Ari diri''(여기 와라) 대신 ''Adto diri''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kadto/mokadto''는 거리에 관계없이 힐리가이논어에서 "가다" 또는 "오다"를 의미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52]

6. 4. 네그렌세어

언어 지도는 두 지방(네그로스 옥시덴탈과 네그로스 오리엔탈)을 언어적으로 거의 분리하는 네그로스 섬을 보여준다.


네그로스의 세부아노 방언은 표준 세부아노(세부 지방 대부분에서 사용)와 다소 유사하며, 뚜렷한 힐리가이논어의 영향을 받았다. /l/ 소리를 유지하고 더 긴 단어 형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 방언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전체와 네그로스 옥시덴탈 북동부 지역의 주요 방언이며(후자의 대부분의 지방과 그 접경 지역에서는 힐리가이논어를 사용), 시키호르의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네그렌세 세부아노가 다른 세부아노 방언과 다른 점의 예로는 "못생긴"을 뜻하는 ''maot'' 대신 ''batî'', 할로윈을 뜻하는 ''kalag-kalag'' 대신 ''alálay'', ''kalálag'', "알다"를 뜻하는 ''kabawó/kahíbawó'' 대신 ''kabaló/kahibaló''와 ''kaágo/kaantígo''를 사용하는 것이다.

6. 5. 루손어

루손 섬에는 특정 세부아노어 방언이 존재하지 않는다. 루손에서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중앙 비사야 제도나 민다나오의 여러 지역에서 이주해 온 경우이다. 이들 루손 출신 세부아노어 사용자는 어휘에 타갈로그어 단어를 자주 포함하는 특징을 보여, 비사야 제도 본토의 화자와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억양이나 문법 일부에서도 타갈로그어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타갈로그어의 영향을 받은 세부아노어는 구어체에서 "비살로그"(Bisalog, 타갈로그어와 비사야어의 혼성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7. 문법

강세는 음소적 특징을 가지며, 이는 'dapít'(가까이)와 'dápit'(장소)처럼 강세 위치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진다는 뜻이다. 강세는 일반적으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 폐음절(자음-모음-자음 또는 모음-자음)일 경우 그 음절에 온다. 반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 개음절(자음-모음 또는 모음)이면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나 마지막 음절에 올 수 있다. 다만, 숫자나 대명사처럼 특정 문법 범주에서는 강세 위치가 예측 가능하다.[32]

7. 1. 형태론

접사는 접두사, 접미사, 주변 접사, 중간 접사가 있다.[55]

접사설명예시
pani-어기의 의미의 파생을 나타냄hapon (오후) → panihapon (저녁 식사)
-on어기가 가진 성질이 있음을 나타냄hangin → hanginon (바람이 있는)
ka...an복수성, 집합성, 추상성 등을 나타냄tawo → katawhan (사람들)
-in-언어 이름에 사용됨Tinagalog (타갈로그어)


7. 2. 통사론

기본 어순은 VSO형이다.

문장은 확대 가능한 서술부와 화제의 두 요소로 구성된다. 문장은 비동사문과 동사문의 두 종류로 나뉘며, 비동사문은 다시 등위문, 존재문, 장소문, 기술문, 의문문, 소유문으로 나눌 수 있다. 동사문은 동사 뒤에 화제 격 표지 소사가 붙는 명사구, 즉 행위자 또는 동작자, 목적 또는 목표, 수혜자 또는 간접 목적, 장소, 도구가 올 수 있다. 화제로 선택된 구의 기능은 동사에 나타나는 접사로 명시된다.[56]

7. 3. 의사 동사 구조

`gusto`(좋아하다), `kinahanglan`(필요하다), `mahimo`(가능하다)와 같은 단어들은 미완료법 동사 앞에 붙어 조동사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57] 이 의사 동사들은 의미상 중심이 되는 동사보다 앞에 위치한다.

  • '''Gusto''' ako muadto sa Cebu ugma. (좋아하다-나-가다-[표지]-세부-내일)
  • : "나는 내일 세부에 가고 싶다."
  • '''Kinahanglan'''ng muadto ako sa merkado. (필요하다[+연결사]-가다-나-[표지]-시장)
  • : "나는 시장에 가야 한다."
  • '''Mahimo''' bang mubasa ako ug libro? (가능하다-[의문사+연결사]-읽다-나-[표지]-책)
  • : "내가 그 책을 읽을 수 있습니까?"

7. 4. 법과 상

법과 상은 동사접사로 붙는다.[58]

  • 법: 기연, 미연, 무연
  • 기연: 이미 시작된 행위를 나타낸다.
  • 미연: 아직 시작되지 않은 행위를 나타낸다.
  • 무연: 명령이나 요구를 나타낸다.
  • 상: 비사역상, 사역상
  • 비사역상:
  • 중립: 순간적으로 종료되는 행위를 나타낸다.
  • 진행: 일정 시간의 지속적인 행위를 나타낸다.
  • 적능: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낸다.
  • 배분: 행위자나 행위의 수의 개념을 나타낸다.
  • 사역상: 중립 사역상, 진행 사역상, 적능 사역상

7. 5. 태도 소사

태도 소사라는 소사를 통해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59]

  • kaha: 가능성을 나타낸다.
  • * 예: `Mahimo kaha kin?ceb` → "이것이 가능합니까?"

  • kono: 다른 사람에게 들은 내용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 (전문, 傳聞).
  • * 예: `Maayo kono sila.ceb` → "그들은 좋다고 한다."

  • gayud 또는 gyud: 확실성을 강조한다.
  • * 예: `Mao gyud na sila.ceb` → "그들이 맞아, 틀림없이."

  • unta: 가정적인 상황이나 소망을 나타낸다.
  • * 예: `Gusto unta ko mupalit ug pagkaon.ceb` → "나는 음식을 사고 싶다." (소망의 뉘앙스)

8. 수사

아래 표에서 ´ 또는 '는 강세의 위치를 나타낸다.

}

|-

| 2 || duhá|ceb

|-

| 3 || tulú|ceb

|-

| 4 || upát|ceb

|-

| 5 || limá|ceb

|-

| 6 || unúm|ceb

|-

| 7 || pitú|ceb

|-

| 8 || walú|ceb

|-

| 9 || siyám|ceb

|-

| 10 || napúlu|ceb

|-

| 11 || napúlu'g usá|ceb (napúlu ug usá|ceb의 축약형)[63]

|-

| 12 || napúlu'g duhá|ceb

|-

| 20 || kawha-an|ceb

|-

| 21 || kawha-a'g usá|ceb

|-

| 30 || katlo-an|ceb

|-

| 31 || katlo-a'g usá|ceb

|-

| 40 || kap-atan/kap'atan|ceb

|-

| 41 || kap-ata'g usá/kap'ata'g usá|ceb

|-

| 50 || kalimaan/kalim'an|ceb

|-

| 51 || kalimaa'g usá/kalim'a'g usá|ceb

|-

| 60 || kaunuman/kan'uman|ceb

|-

| 61 || kaunuma'g usá/kan'uma'g usá|ceb

|-

| 70 || kapitu-an|ceb

|-

| 71 || kapitu-a'g usá|ceb

|-

| 80 || kawalo-an|ceb

|-

| 81 || kawalo-a'g usá|ceb

|-

| 90 || kasiyaman|ceb

|-

| 91 || kasiyama'g usá|ceb

|-

| 100 || usá ka gatos|ceb

|-

| 101 || usá ka gatos ug usá|ceb

|-

| 1,000 || usá ka libo|ceb

|-

| 1,000,000 || usa ka libo ka libo/ usa ka milyon|ceb

|}

9. 어휘



세부아노어는 가설적으로 재구성된 원필리핀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원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파생되었다. 따라서 해양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 특히 인도네시아어말레이시아어와 먼 친족 관계를 맺고 있다. 초기 세부아노어의 형태를 추적하는 것은 어려운데, 이는 해당 언어로 작성된 오래된 문서가 부족하고, 원주민들이 종이나 양피지 대신 쉽게 썩는 재료에 글을 남겼기 때문이다.

세부아노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탐험대에 참여했던 이탈리아 탐험가 안토니오 피가페타가 편찬한 어휘 목록이다.[15] 당시 사용된 문자 체계에 대한 증거는 있지만, 그 사용은 산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 사람들은 원주민들이 ''kudlit-kabadlit''이라고 불렀던 비사야 문자의 사용을 기록했다.[16][17] 17세기 스페인 연대기 작가 프란시스코 이그나시오 알시나와 안토니오 데 모르가는 거의 모든 원주민이 글을 읽고 쓸 줄 알았다고 기록했지만, 물리적 증거 부족과 다른 기록들의 상반된 보고를 고려할 때 이는 과장된 것으로 여겨진다.[18] 1567년의 한 보고서는 원주민들이 말레이인으로부터 문자 사용법을 배웠다고 언급했지만, 한 세기 후 다른 보고서는 비사야 원주민들이 타갈로그족으로부터 배웠다고 주장했다. 이 지역에서 ''바이바인'' 문자가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7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라틴 문자가 아닌 다른 문자로 쓰인 문서는 드물다. 18세기에 스페인 신부 프란시스코 엔시나는 세부아노어 문법책을 편찬했지만, 그의 저작은 19세기 초에 출판되었다. 그는 언어에 사용된 라틴 문자를 기록했으며,[19] 다른 기록에서는 그가 원주민들이 사용한 비라틴 문자의 기록자로 언급되기도 한다.[20]

세부아노 문학은 일반적으로 빈센테 야프 소토가 1901년에 "''Maming"''을 쓰면서 시작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는 이보다 앞서 더 애국적인 작품을 썼지만, 미국 점령 시기 미국의 검열 때문에 ''Maming''보다 1년 늦게 출판되었다. 그러나 1852년에 프라이 안토니오 우베다 데 라 산티시마 트리니다드가 쓴, 이야기라기보다는 행동 강령에 가까운 작품도 존재한다.[21][22]

세부아노어는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많은 동족어를 공유한다. 초기 무역 접촉을 통해 말레이어로부터 "''sulát"'' (쓰다)[35], "''pilak"'' (은)[36], "''balísa"'' (불안한)[37]과 같은 단어들이 차용되었다. 또한 산스크리트어 단어들도 차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भाण्ड, ''bhānda"'' (상품)에서 유래한 "''bahandì"'' (부, 재산)와 "वाचा, ''vācā"'' (성경)에서 유래한 ''bása'' (읽다)가 있다. 아랍어 단어들도 차용되었는데, "عَالَم, ''ʕālam"'' (사물, 창조)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진 ''"alam"'' (알다)과 "سَلَامَات, ''salāmāt"'' ("건강"을 의미하는 ''salāma''의 복수형)에서 유래한 "''salamat"'' (감사합니다) 등이 있으며, 이 두 단어는 말레이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파되었다.

세부아노어 차용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다. 이는 16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스페인 식민 시대의 문화적 영향, 특히 스페인 사제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1860년대 수에즈 운하 개통으로 유럽인들의 아시아 이주가 촉진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특히 숫자 체계에서 스페인어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영어 단어 역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주로 교육받은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되며, 때로는 직접적인 세부아노어 표현 대신 언어 전환을 통해 영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magpalít"'' ("사다", 미래 시제) 대신 ''"mag-'''buy'''"''[41]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세부아노어와 영어 번역을 사용하여 필리핀 국립 박물관 세부에서 열린 전시회


현재 고유 숫자는 주로 기수로 사용되며 서수로는 더 자주 사용된다. 스페인어에서 파생된 숫자는 화폐나 날짜를 말할 때, 그리고 11 이상의 숫자를 셀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두 숫자 체계는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 아래 표는 고유 숫자와 스페인어 파생 숫자를 비교한 것이지만, 세부아노어 화자들은 특히 100보다 큰 숫자의 경우 영어 숫자 체계를 대신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41]

세부아노어는 10진법 체계를 사용한다. 10의 묶음은 첫 번째 10인 ''"napulò"''를 제외하고는 단위에서 파생된다. 이는 접두사 '''''ka-''''', 단위, 그리고 접미사 '''''-an'''''을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20은 '''''ka-duhá-an''''' (직역: "두 번째 10의 묶음")으로 표현된다. 숫자는 1부터 10까지 고유 명칭이 있으며, 10 이후의 값은 ''10단위'' 형식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11은 "''napulò ug usá"'' (직역: "10과 1") 또는 줄여서 "''napulò'g usá"''로 발음한다. 111은 ''"usa ka gatós, napulò ug usá"''로, 1111은 ''"usá ka libo, usá ka gatós, napulò ug usá"''로 발음한다. 서수는 접두사 '''''ika'''-''와 단위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첫 번째"는 예외적으로 ''"una"''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ika-'''duhá''는 "두 번째"를 의미한다.

다음은 [https://www.ohchr.org/en/human-rights/universal-declaration/translations/cebuano 유엔] 공식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세계 인권 선언 제1조의 공식 번역이다.

숫자세부아노어 표기
1{{lang|ceb|usá|}
세부아노어영어 원문
Ang tanáng katawhan gipakatawo nga adunay kagawasan ug managsama sa kabililhon. Silá gigasahan sa pangisip ug tanlag ug kinahanglang mag-ilhanáy sa usá'g-usá dihâ sa diwà sa panág-higsuonáy.All human beings are born free and equal in dignity and rights. They are endowed with reason and conscience and should act towards one another in a spirit of brotherhood.[42]



다음은 주기도문의 공식 번역이다.[43]

세부아노어 (세부 성 요한 바오로 대성당 공식 기도문)한국어 번역 (가톨릭 기도서)
Amahán namò nga anaa sa mga langit, pagdaygon ang imong ngalan, umabót kanamò ang imong gingharian, matuman ang imong pagbuót, dinhí sa yutà maingón sa langit. Ang kalan-on namò sa matag adlaw, ihatag kanamò karóng adlawa. Ug pasayloa kamí sa among mga salâ, ingón nga nagapasaylo kamí sa mga nakasalâ kanamò. Ug dilì mo kamí itugyan sa panuláy, hinunua luwasá kamí sa daután. Amen.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아멘.



출처:[44]

다음은 기본적인 세부아노어 표현들이다.

한국어세부아노어
안녕하세요.Kumusta.
예.Oo / O.
네, 부탁합니다.Oo / O, palihug.
아니요.Dilì.
아니요, 괜찮습니다.Ayáw lang, salamat.
부탁합니다.Palihug.
감사합니다.Salamat kanimo.
정말 감사합니다.Daghan kaayong salamat.
천만에요.Walá'y sapayán.
커피 한 잔 주세요.Gusto ko'g kapé, palihug.
맥주 두 잔 주세요.Duhá ka serbesa, palihug.
실례합니다.Ekskiyus sâ ko.
몇 시입니까?Unsa na'ng orasa?
다시 말씀해 주시겠습니까?Balika ganì 'to, palihug?
천천히 말씀해 주세요.Palihug hinaya pagsulti.
이해하지 못하겠어요.Walâ ko kasabót.
죄송합니다.Pasaylo-a / Pasensya.
화장실은 어디에 있습니까?Hain dapít ang kasilyas?
이것은 얼마입니까?Tag-pila man kiní? / Tag-pila ni?
환영합니다!Dayón!
안녕하세요 (아침).Maayong buntag.
안녕하세요 (오후).Maayong hapon.
안녕하세요 (저녁).Maayong gabii.
안녕히 주무세요.Maayong pagtulog.
안녕히 가세요/계세요.Babay



''Handuraw''는 상상력, "상상하는 힘", "회상하다" 또는 "회상"을 의미한다.[45]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 Statistics https://psa.gov.ph/s[...] 2021-03-28
[2] 웹사이트 Cebuano https://www.merriam-[...]
[3] 웹사이트 Cebu https://www.merriam-[...]
[4] Columbia Encyclopedia Cebu (province) http://encyclopedia2[...]
[5] 웹사이트 Cebuano https://www.ethnolog[...] 2018-09-06
[6] 서적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7] 웹사이트 Language Specific Peculiarities Document for Cebuano as Spoken in the Philippines https://catalog.ldc.[...] 2020-01-12
[8] harvnb Endriga 2010
[9] 서적 English-Cebuano Visayan dictionary, An. National Bookstore 2007
[10] 서적 Anuario Filipino para 1877; Segunda Edición del Manual del Viajero en Filipinas https://ustdigitalli[...] Establecimiento tipográfico de Plana y Ca. 1877
[11] 웹사이트 Tagalog is the Most Widely Spoken Language at Home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c[...]
[12] 간행물 Intergenerational Language Preference Shift Among Cebuanos on the Cebuano, Filipino, and English Languages https://e-journal.us[...] 2020-10
[13] harvnb Wolff 1972
[14] 서적 Church of the Far East https://archive.org/[...] St. Pauls
[15] 웹사이트 Cebuano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2015-05-22
[16] 웹사이트 Alphabets Des Philippines https://s-media-cach[...]
[17] 웹사이트 Finding the "Aginid" http://www.philstar.[...] 2011-07-16
[18] 간행물 A study of literacy in pre-Hispanic Philippines https://izumi-syuppa[...] Kyoto Koka Women's University
[19] 서적 Arte de la lengua zebuana https://archive.org/[...] Sampaloc: s.n.
[20] 서적 Estudio de los antiguos alfabetos filipinos Tipo-litografía del asilo de huérfanos
[21] 간행물 The "Nation" in Vicente Sotto's Literary Imagination: A Study of Thirteen Cebuano Stories https://www.jstor.or[...] 2024-04-08
[22] 간행물 Cebuano Literature: A Survey of Sources https://www.jstor.or[...] 1973
[23] 웹사이트 Cebuano Phonetics and Orthography http://dila.ph/cebua[...] Dila 2016-09-16
[24] 웹사이트 Cebuano http://aboutworldlan[...] About World Languages 2013-07-11
[25] 서적 Hispanisation: The Impact of Spanish on the Lexicon and Grammar of the Indigenous Languages of Austronesia and the Americas Walter de Gruyter
[26] 웹사이트 Cebuano Language - Structure, Writing and Alphabet https://www.mustgo.c[...]
[27] 웹사이트 The basics of Filipino pronunciation: Part 2 of 3 • accent marks http://www.pilipino-[...] Pilipino Express 2011-03-16
[28] 서적 Grammar notes on the national language http://fhl.digitalso[...]
[29] 서적 Tagalog Reading Booklet http://www.supadu.co[...] Simon & Schister's Pimsleur
[30] Citatio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honology of Tagalog, Cebuano, and Itawis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 Diliman
[31] 간행물 Some further remarks about the L-feature http://philippinestu[...]
[32] 간행물 The Cebuano Language and Generative Phonology https://www.jstor.or[...] 1991-12
[33] 간행물 Language Specific Peculiarities Document for Cebuano as Spoken in the Philippines https://catalog.ldc.[...] Linguistic Data Consortium University of Pennsylvania
[34] 웹사이트 Cebuano (Binisaya) https://www.omniglot[...] 2021-04-23
[35] 웹사이트 ACD - Austronesian Comparative Dictionary - Loans - w https://www.trussel2[...]
[36] 웹사이트 ACD - Austronesian Comparative Dictionary - Loans - s https://www.trussel2[...] 2024-03-19
[37] 웹사이트 ACD - Austronesian Comparative Dictionary - Near Comparisons https://www.trussel2[...] 2024-03-19
[38] 간행물 The Sanskrit Loan-Words in the Cebuano-Bisayan Language https://nirc.nanzan-[...] 1964
[39] 간행물 Lexical Studies on the Cebuano Language https://www.jstor.or[...] 1974
[40] 간행물 Lexical Studies on the Cebuano Language https://www.jstor.or[...] 1976
[41] 간행물 English Loanwords in the Modern Cebuano Language: An Index of Cultural Change https://www.jstor.or[...] 1998
[42] Citatio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ohchr.or[...]
[43] 웹사이트 Amahan Namo/Our Father https://santoninodec[...] 2024-04-12
[44] 웹사이트 Learn Cebuano (Bisaya) with uTalk https://utalk.com/en[...] 2024-04-09
[45] 뉴스 Dapitan to hold "Handuraw" festival http://www.pia.gov.p[...] PIA Daily News Reader 2006-12-22
[46] 서적 Burning Issues in Afro-Asiatic Linguistic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47] 서적 Interactions Across Englishes: Linguistic Choices in Local and International Contact Situ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Cebuano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16-12-28
[49] 서적 Traveller's Literary Companion to South-East Asia In Print Publishing, Limited
[50] 간행물 The Bisayan Dialects 1905
[51] 서적 Focus on Language and Ethnicity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52] 웹사이트 The Dialectology of Cebuan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Binisaya ! https://www.binisaya[...] 2024-06-20
[53]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54]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55]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56]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57]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58]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59]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60] 웹사이트 それでもとまらぬドゥテルテの暴言 世界は今後も目が離せない http://huffingtonpos[...] 2016-09-07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