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 제3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제3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6년 7월 4일, 마누엘 로하스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미국으로부터 주권을 획득하며 수립되었다. 제3공화국은 벨 무역법으로 인해 경제적 종속, 미군 기지 협정으로 인한 안보 문제 등 완전한 주권 확보에 제약을 받았다. 로하스 정부는 미국의 지원을 받았으나, 좌익 운동의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이후 엘피디오 키리노, 라몬 막사이사이, 카를로스 가르시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로 이어지는 행정부가 수립되었다. 각 정부는 경제 발전, 농지 개혁, 외교 정책 변화 등을 추진했으며, 특히 마카파갈 정부는 독립 기념일을 변경하는 등 민족주의적 정책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역사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필리핀의 역사 - 필리핀 자치령
    필리핀 자치령은 1935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 독립을 위해 미국의 타이딩스-맥더피 법에 따라 수립된 10년간의 과도 정부로서, 1935년 헌법 제정과 자치 정부 구성, 국가 방위 체계 구축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략으로 중단되었고 종전 후 필리핀 공화국으로 독립하며 해체되었다.
  • 냉전기의 정체 - 인도 자치령
    인도 자치령은 1947년 영국령 인도 분할로 수립되어 자와할랄 네루 총리와 조지 6세 국왕 체제 하에 존속하다 1950년 인도 공화국으로 전환되는 동안 종교 갈등, 난민 문제, 번왕국 통합, 카슈미르 전쟁, 헌법 제정 등 격동적인 시기를 겪었다.
  • 냉전기의 정체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필리핀 제3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필리핀 국기
국기
필리핀 국장
국장
공식 국명필리핀어: Republika ng Pilipinas
영어: Republic of the Philippines
스페인어: República de Filipinas
한국어 국명필리핀 공화국
약칭필리핀
국가Lupang Hinirang(루팡 히니랑)
수도마닐라(1948년 이전)
케손 시티(1948년 이후)
공용어필리핀어
스페인어
영어
기타 언어필리핀의 언어 참고
종교가톨릭
개신교
이슬람교
통화필리핀 페소(₱)
시간대PST
+08:00
역사
건국 시기1946년
멸망 시기1965년
주요 사건마닐라 조약(1946년 7월 4일)
마누엘 로하스의 취임(1946년 7월 4일)
엘피디오 키리노의 취임(1948년 4월 17일)
라몬 막사이사이의 취임(1953년 12월 30일)
1957년 세부 더글러스 C-47 추락 사고(1957년 3월 17일)
카를로스 P. 가르시아의 취임(1957년 3월 18일)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의 취임(1961년 12월 30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취임(1965년 12월 30일)
이전 국가필리핀 코먼웰스
이후 국가필리핀 제4공화국
정치
정치 체제공화국
대통령마누엘 로하스(1946년-1948년)
엘피디오 키리노(1948년-1953년)
라몬 막사이사이(1953년-1957년)
카를로스 가르시아(1957년-1961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1961년-1965년)
부통령엘피디오 키리노(1946년-1948년)
페르난도 로페스(1949년-1953년)
카를로스 가르시아(1953년-1957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1957년-1961년)
에마누엘 팔라에스(1961년-1965년)
의회필리핀 의회
면적 및 인구 (1898년 기준)
면적298,182
인구7,832,719
인구 밀도26.3

2. 필리핀 제3공화국의 성립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1946년 4월, 필리핀에서는 지주 세력의 국민당, 노동운동 및 후크발라합을 기반으로 한 민주동맹, 그리고 대일 협력자 출신의 보수파 민주당이 참여하는 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면서 마누엘 로하스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25][26]

마누엘 로하스 대통령 (1946년 ~ 1948년)


1946년 7월 4일 독립 기념식에서 필리핀 국기가 게양되고 미국 국기가 내려지고 있다.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주권을 획득하며 제3공화국으로 새롭게 출발했다.[25][26] 같은 날, 미국과 필리핀은 양국 간의 '일반 관계 조약'을 체결하여, 필리핀 군도에 대한 미국의 주권 배제를 명시했다.[2] 그러나, 벨 무역법과 미군기지 협정 등으로 인해 필리핀의 실질적인 독립은 제약을 받았다.

1946년 필리핀 항공이 민간 항공사로서는 아시아 최초로 태평양 횡단 운항을 시작했다.

로하스 대통령은 독립 후 미국으로부터 부흥 기금을 얻는 데는 성공했지만, 군사 기지(그 중 23곳은 99년간 임대)와 필리핀 시민을 위한 무역 제한, 미국 소유주 및 투자자를 위한 특별 혜택을 용인해야 했다. 그의 임기 동안, 영국으로부터 Turtle Islands, Tawi-Tawi|터틀 제도영어망시 제도의 통치권을 이양받았다. 이는 1930년에 미국과 영국이 체결한 국제 조약에 따른 것이었다.[12] 1946년 7월 15일, 영국은 북보르네오국을 병합했고, 9월 19일 필리핀 공화국은 영국에 터틀 제도와 망시 제도의 관리를 인수할 의사를 통보했다. 이에 따라 1947년 10월 16일에 관리권 이관이 발효되었다.[15][16]

그러나 로하스 정권은 부패와 지방 헌병대의 횡포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 좌익 후크발라합(후크단) 운동이 확산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후크단을 억압하려는 강압적인 시도는 광범위한 농민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1948년 4월 15일, 로하스 대통령은 클라크 공군 기지에서 연설 도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 후 엘피디오 키리노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17]

2. 1. 벨 무역법과 경제적 종속

제2차 세계대전 후, 필리핀 경제는 미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27] 미국은 전쟁 재활 보조금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필리핀 무역법〉(벨 무역법) 통과를 요구했는데,[28] 이는 필리핀 경제를 더욱 미국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벨 무역법은 "미국 제품과 실질적인 경쟁을 하거나 할 것으로 보이는" 필리핀 제품에 대해 미국이 수입 제한을 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또한, 미국 시민과 기업에게 필리핀의 광물, 삼림 등 천연자원 채굴에 대한 동등한 권한을 보장하도록 요구했다.[3] 윌리엄 록하트 클레이턴 경제 담당 차관보는 이 법률이 "분명히 이 나라의 기본적인 대외 경제 정책과 모순"되며, "필리핀의 진정한 독립을 보장하는 약속과도 모순된다"고 비판했다.[4]

필리핀 정부는 전후 복구 기금 확보를 위해 이러한 불평등 조항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필리핀 의회는 1946년 7월 2일에 벨 무역법을 수용하였다.[5]

2. 2. 미군기지 협정과 안보 문제

1947년에 체결된 필리핀 미군기지 협정은 99년간 지정된 미국 기지의 임대를 보장한다는 내용이었다.[25] 이 협정으로 인해 필리핀은 냉전 구조 속에서 미국의 반공 전진 기지로 자리매김하면서, 실질적인 독립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3. 로하스 행정부 (1946-1948)

마누엘 로하스는 1946년 4월 23일 선거에서 54%의 표를 얻어 당선되었고, 자유당은 의회 다수당이 되었다.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이 미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로하스는 신생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25][26]

로하스는 독립 후 미국으로부터 부흥 기금을 얻는 데 성공했지만, 군사 기지(그 중 23곳은 99년간 임대), 필리핀 시민을 위한 무역 제한, 미국 소유주 및 투자자를 위한 특별 혜택을 용인해야 했다.[27][28] 이 정권은 부패했으며, 지방 헌병대의 강압적인 조치는 농촌 지역에서 좌익 후크발라합(후크단) 운동을 가속화시켰다. 후크단을 억누르려는 시도는 광범위한 농민의 불만을 야기했다.

로하스 임기 중에는 Turtle Islands, Tawi-Tawi|터틀 제도 (타위타위 주)|label=터틀 제도영어망시 제도의 관할권이 영국에서 필리핀으로 이관되었다.[12][13][14][15][16]

1947년에 체결된 필리핀-미국 군사 기지 협정은 99년간 지정된 미국 기지 임대를 보장하는 내용이었다. 이로 인해 필리핀은 냉전 구조 속에서 미국의 반공 전진 기지로 자리매김하면서 실질적인 독립을 달성하기 어려웠다.

1948년 4월 15일, 로하스는 클라크 공군 기지에서 연설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엘피디오 키리노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17]

4. 키리노 행정부 (1948-1953)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은 후크발라합과의 평화 협상을 시도했지만, 결국 결렬되었다. 후크발라합은 루손섬에서 정부군 및 지주의 사병과 전투를 벌였으며, 수도를 공격한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세력이 커졌다. 이에 미국은 필리핀 정부에 대한 군사 원조를 강화했고, 라몬 막사이사이 국방 장관의 토벌 작전으로 1950년 10월 필리핀 공산당(PKP)이 괴멸되었고, 1951년에는 후크발라합도 거의 괴멸되었다.[18]

엘피디오 키리노 (1948년부터 1953년까지 대통령)


키리노는 마누엘 로하스 대통령이 사망한 이틀 후인 1948년 4월 17일에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1949년 대선에서 전시 대통령이었던 국민당의 호세 라우렐이 키리노에게 맞서 출마했지만, 키리노가 승리했다. 역사학자들은 라우렐이 선출되었을 것으로 평가하지만, 라우렐은 키리노의 승리 선언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18]

키리노 대통령은 홀아비였기 때문에, 그의 딸 비키가 영부인 역할을 수행했다.

키리노 정권은 공산주의 운동인 후크발라합의 위협에 직면했다. 후크단은 원래 루손 지역의 반일 게릴라 조직이었으나, 공산주의자들이 지도부를 장악했다. 1948년 후크단 사령관 루이스 타르크와의 협상이 실패한 후, 타르크는 공산주의자임을 선언하고 정부 전복을 요구했다.

키리노 대통령의 재임 5년 동안 전후 복구와 경제 발전이 이루어졌고, 미국의 경제 원조도 증가했다. 그러나 농촌 지역의 사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정권은 부패 문제에 시달렸다.

1953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필리핀은 Philippine Expeditionary Forces to Korea영어(PEFTOK)라는 이름으로 7,450명이 넘는 병력을 한국에 파병했다.

키리노는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1953년 재선에 도전했지만, 라몬 막사이사이에게 큰 표 차로 패배했다.

5. 막사이사이 행정부 (1953-1957)

라몬 막사이사이후크발라합 토벌 공로로 1953년 선거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18] 필리핀 대통령 중 처음으로 바롱 타갈로그를 입고 선서했다. 미국의 지원을 받는 냉전 시대 반공주의자였으며,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 창설을 주도했다.[19]

라몬 막사이사이


막사이사이는 말라카냥 궁전을 일반에 개방하고,[19] 청렴한 국정 운영을 위해 노력했다. 필리핀 공군(PAF)의 새 군용기 시범 비행 후 운영 비용을 개인 수표로 지불하기도 했다.

농지 개혁을 추진했으나, 1955년 제정된 〈농지개혁법〉은 허점이 많아 실효성이 부족했다. 1960년 인구조사 결과, 소작농 수는 1948년보다 오히려 증가했다.

1957년 3월 16일, 세부에서 연설 후 마닐라로 돌아오던 중 전용기 "피나투보 산"(C-47)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이 사고로 26명 중 25명이 사망했고, 신문 기자만이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카를로스 가르시아 부통령이 오스트레일리아 공식 방문 중이어서, 막사이사이 대통령의 남은 임기를 승계했다.

1957년 3월 22일 막사이사이 장례식에는 약 200만 명이 참석한 것으로 추정된다.[20][21][22]

6. 가르시아 행정부 (1957-1961)

카를로스 가르시아는 1957년 3월 17일 비행기 사고로 라몬 막사이사이가 사망하자 대통령직을 승계했으며, 같은 해 임기 만료로 치러진 1957년 선거에서 당선되었다.[23]

카를로스 P. 가르시아


재임 기간 중에는 미국의 기지 임대 기간을 99년에서 25년으로 단축하는 보렌-세라노 협정을 체결하고, 5년마다 갱신하도록 했다.

가르시아는 필리핀 우선 정책을 실행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정책은 외국인 투자자보다 필리핀인 실업가를 매우 편애했다. 또한 국내 중국인 실업가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소매업 변경에도 관여했다. 검소함에 초점을 맞춘 계획도 수립했다.

7. 마카파갈 행정부 (1961-1965)

1961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마카파갈은 필리핀 페소가 자유 통화 교환 시장에서 변동 환율제를 채택하도록 승인하여 경제 발전을 추구했다. 이러한 개혁은 당시 대의원과 원로원을 장악하고 있던 국민당에 의해 저지되었지만, 마카파갈 대통령은 국민에게 성장과 번영을 가져다주었다.[23]

마카파갈 대통령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1963년 토지 개혁법 제정이다. 이를 통해 차지농(소작농) 제도를 폐지하고 농지 개혁을 추진하고자 했다.

또한, 필리핀 독립기념일을 7월 4일에서 6월 12일로 변경했다. 6월 12일은 1898년 에밀리오 아기날도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날이다. 마카파갈은 후에 작가에게 미국 대사관의 축하 행사에 7월 4일 미국 독립 기념일 필리핀 축하 행사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기 때문에 독립기념일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24] 1962년 5월 12일, 마카파갈 대통령은 1962년 6월 12일을 필리핀 전역의 특별 공휴일로 선포하는 대통령 포고령 제28호를 발령했다.[9][10] 1964년, 공화국법 제4166호는 독립기념일의 날짜를 7월 4일에서 6월 12일로 변경하고, 7월 4일의 공휴일을 공화국 기념일로 개칭했다.[11]

디오스다도 마카파갈(1961년부터 1965년까지 대통령)


마카파갈은 1965년 필리핀 총선에서 자유당의 옛 동료이자 국민당으로 당적을 옮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에게 패배했다.

8. 민족주의 운동과 문화의 필리핀화

1950년대와 1960년대는 민족주의가 고조되었고, 1966년부터 민족주의 청년동맹(KM)에 의해 문화대혁명에 영향을 받은 ‘제2차 선전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문화와 교육의 필리핀화가 시작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Proclamation 2695 of July 4, 1946 "In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https://www.archives[...] 2016-08-15
[2] 웹사이트 TREATY OF GENERAL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SIGNED AT MANILA, ON 4 JULY 1946 http://untreaty.un.o[...] United Nations 2007-12-10
[3] 웹사이트 Commonwealth Act No. 733 http://www.chanroble[...] Chan Robles Law Library 1946-04-30
[4] 서적 American Economic Policy Toward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Bound to Empire: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6] 뉴스 New Book on Marcos Says U.S. Knew of His '72 Martial-Law Plans https://www.nytimes.[...] 1987-04-19
[7] 서적 Edward Lansdale's Cold War https://books.google[...] Univ of Massachusetts Press 2005
[8] 웹사이트 Equipo Nizkor – Covert Operations and the CIA's Hidden History in the Philippines http://www.derechos.[...] 2000-08-18
[9]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8 Declaring June 12 as Philippine Independence Day http://www.bibingka.[...] Philippine History Group of Los Angeles 2009-11-11
[10] 웹사이트 President Diosdado Macapagal set RP Independence Day on June 12 http://www.positiven[...] positivenewsmedia.net 2008-12-10
[11] 웹사이트 AN ACT CHANGING THE DATE OF PHILIPPINE INDEPENDENCE DAY FROM JULY FOUR TO JUNE TWELVE, AND DECLARING JULY FOUR AS PHILIPPINE REPUBLIC DAY, FURTHER AMENDING FOR THE PURPOSE SECTION TWENTY-NINE OF THE REVISED ADMINISTRATIVE CODE http://www.chanroble[...] Chanrobles Law Library 1964-08-04
[12] 문서 Conven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done at Washington on 2 January 1930 https://www.loc.gov/[...]
[13] 문서 Exchange of Not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done at Washington on 2 January 1930 https://www.loc.gov/[...]
[14] 문서 The North Borneo Cession Order in Council 1946
[15] 웹사이트 Exchange of Notes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regarding the transfer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Turtle and Mangsee Islands to the Philippine Republic; Cmd 8320 http://treaties.fco.[...]
[16] 뉴스 New Flag Over Pacific Paradise https://news.google.[...] The Sydney Morning Herald 1947-12-06
[17] 웹사이트 Philippine presidents " Manuel A. Roxas https://web.archive.[...]
[18] 서적 The Emergence of Modern Southeast Asia: A New History NUS Press
[19] 문서 Ramon Magsaysay: A political biography Solidaridad Publishing House
[20] 서적 Philippine History and Government National Bookstore Printing Press
[21] 서적 Biography of President Lázaro Cárdenas http://www.sil.org/W[...]
[22] 문서 The Magsaysay Story The John Day Company
[23] 간행물 Philippine political parties and the 1961 election
[24] 서적 In Our Image: America's Empire in the Philippines Ballantine Books
[25] 웹인용 Philippine History http://pinas.dlsu.ed[...] DLSU-Manila 2006-08-21
[26] 서적 Treaty of General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www.chanroble[...] Chanrobles law library 1946-07-04
[27] 문서 Dolan 1991-23
[28] 웹인용 Balitang Beterano: Facts about Philippine Independence http://www.newsflash[...] Philippine Headline News Online 2006-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