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함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함기는 군함에서 사용되는 깃발로, 16세기 초 잉글랜드 왕국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 각국의 해군을 상징하는 역할을 해왔다. 군함기는 흰색 바탕에 십자 형태, 욱일기 형태, 국기 또는 국장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태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며, 게양 시기와 방법, 국제 의례 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해군은 태극기의 4괘를 욱일기 형태로 배치한 해군기를 사용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군함기 디자인과 관련하여 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군기 - 욱일기
욱일기는 태양 문양 주위로 햇살을 그린 깃발로, 일본에서 경사스러운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나,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져 한국 등 피해 국가에서는 사용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 해양기 - 상선기
상선기는 상선의 국적을 나타내는 깃발로서 국제법적 보호를 받으며, 많은 국가들이 국기를 칸톤에 배치한 형태를 사용하고 대한민국은 태극기를 상선기로 사용하며, 해양 주권과 국제 무역을 상징하는 국가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 해양기 - 선수기
선수기는 함선이 정박 중이거나 특정 상황에서 선수에 게양되는 깃발의 한 종류이며, 각 국가의 국기 또는 다른 상징을 사용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군함기 | |
---|---|
개요 | |
유형 | 해군기 |
용도 | 해군 선박에 게양하여 국적을 나타냄 |
디자인 | |
특징 | 국가마다 디자인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국기 또는 국기를 변형한 형태를 사용 |
색상 및 문양 | 국가의 상징색 및 문양을 포함 |
비율 | 일반적으로 가로 세로 비율은 2:3 또는 1:2 |
역사 | |
기원 | 해군기의 기원은 돛을 단 배가 등장한 시기로 거슬러 올라감 |
초기 형태 | 초기에는 단순한 색깔의 깃발이나 문장을 사용 |
발전 | 시간이 지나면서 해군기는 국가의 상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발전 |
사용 | |
게양 위치 | 해군 선박의 깃대 또는 돛대에 게양 |
게양 시기 | 통상적으로 낮에 게양하며, 특별한 경우에는 야간에도 게양 |
존중 | 해군기는 국가를 상징하는 깃발이므로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야 함 |
국가별 해군기 | |
미국 해군기 | 성조기를 기반으로 함 |
영국 해군기 | 유니언 잭을 기반으로 함 |
일본 해군기 | 욱일기를 기반으로 함 |
대한민국 해군기 | 태극기를 기반으로 함 |
참고 사항 | |
해군기의 중요성 | 해군기는 해군 선박의 국적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며, 해군의 자부심과 전통을 상징 |
관련 용어 | 국기, 깃발학 |
2. 군함기의 역사
군함기는 각 나라 해군의 역사와 전통을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 '''영국''':
- '''미국''': 미국 해군은 군함기가 없고 성조기를 게양한다. 현재 사용되는 국적기는 "유니언 잭"으로, 성조기의 칸톤(canton)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 '''러시아''':
- '''독일''': 독일 해군기는 정치 체제의 변동에 따른 국기 변천과 함께 바뀌었지만, 국기색(검정, 빨강, 금색 또는 검정, 흰색, 빨강)을 배치하고 중앙 깃대 쪽에 국가 문장을 배치하는 패턴은 공통적이었다. 독일 연방 공화국 해군 군함기는 스칸디나비아 반도·발트해 연안 국가들의 전통적인 제비꼬리 모양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 '''일본''': 일본의 함미 깃발은 에도 막부가 막부 해군에 도입한 서양식 선박에 히노마루를 "총선인"으로 제정하면서 시작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89년 (메이지 22년) 10월 7일, 해군 기장 조례에 따라 제국 해군의 군함기로 16조 욱일기가 제정되었다. 욱일기는 1870년 6월 13일 (메이지 3년 5월 15일) 제국 육군이 "육군 어국기"로 먼저 제정했기에, 제국 해군 군함기는 육군 군기를 모방했다. 단, 욱일의 일장 위치가 중앙인 군기와 달리 군함기는 깃대 쪽에 가깝게 배치했다.[11] 16조 욱일기는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해군이 해체될 때까지 일본 군함기로 사용되었다.
1954년 6월 9일 제5차 요시다 내각은 자위대법 시행령으로 제국 해군과 같은 규격의 "자위함기"를 제정했다. 요시다 시게루 수상은 "전 세계에서 이 깃발을 모르는 나라는 없다. 어느 바다에서든 일본 배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어 훌륭하다."라고 평가했다.[8] 자위함기는 내각총리대신이 자위함기 수여식에서 수여하며, 제적 또는 지원선 구분 변경 시 반납한다.[9]
항목 | 정의 |
---|---|
종횡비 | 2:3 |
일장 직경 | 세로의 1/2 |
일장 중심 위치 | 깃발 중심에서 좌변으로 1/6만큼 떨어진 곳 |
광선 폭·간격 | 일장 중심에서 11.25도로 벌어진 넓이 |
천 | 마 또는 나일론 |
채색 | 바탕은 흰색, 일장 및 광선은 홍색 |
해상자위대의 함수기(수함기·국적기)는 제국 해군처럼 일장기(히노마루)이다.[15] 육상자위대 자위대기 (팔조 욱일기)와 달리, 해상자위대 자위함기는 국제 관습상 "국기"와 같아 '함수기', '일장기', '히노마루'로 구분한다.
2. 1. 한국의 군함기
한국의 군함기는 시대별로 다양한 형태와 의미를 지니며 변천해 왔다.
조선시대와 대한제국 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영향을 받은 군함기가 사용되었다. 1889년에 대일본제국 해군의 군함기로 16조 욱일기가 제정되었는데, 이는 1870년에 대일본제국 육군이 제정한 육군 어국기를 모방한 것이었다. 욱일의 위치가 중앙인 육군기와 달리, 해군 군함기는 깃대 쪽에 가깝게 배치되었다. 이 16조 욱일기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고 해군이 해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7]
일본 해군은 군함기의 크기를 6종류로 구분하여 함종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했다.
종류 | 사용 구분 |
---|---|
1폭 반, 2폭 | 단정, 내화정, 소함정. 통상의 항해용, 전투기에도 사용. |
3폭 | 구축함, 잠수함, 해방함용. 통상의 항해용, 또는 전투기로서 전함, 순양함도 사용. |
4폭 | 순양함용. 통상의 항해용, 또는 전투기로서 전함에 사용. 또한, 소함정의 예제용. |
6폭 | 통상의 전함용. 또는 순양함의 의례, 축제, 관함식의 공식용. |
8폭 | 전함의 의례, 축제, 관함식의 공식용. |
1952년 보안청 경비대 발족 당시, 처음에는 국제 신호기 "7"로 경비대 선박 깃발을 대용했지만, 이후 벚꽃과 파란색, 흰색 가로 줄무늬를 넣은 "경비대기"가 제정되었다.[7]
1954년 자위대 창설과 함께, 구 일본 해군 군함기와 동일한 "자위함기"가 제정되었다. 요시다 시게루 수상은 이를 두고 "일본의 함(배)이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8] 자위함기는 내각총리대신에게서 교부받고, 제적 등의 경우 반납한다.[9] 해상자위대의 자위함기는 국제 관습상 "국기"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항목 | 정의 |
---|---|
종횡비 | 2:3 |
일장의 직경 | 세로의 2분의 1 |
일장의 중심 위치 | 깃발의 중심에서 좌변에 6분의 1만큼 떨어진 곳 |
광선의 폭·간격 | 일장의 중심에서 11과 4분의 1도(11.25도)로 벌어진 넓이 |
천 | 마 또는 나일론 |
채색 | 바탕은 흰색으로, 일장 및 광선은 홍색 |
2. 1. 1. 조선시대
조선시대 수군은 다양한 군기를 사용했는데, 이 깃발들은 각기 다른 목적과 의미를 지녔다. 장수가 군사를 지휘할 때 사용하는 깃발, 각 부대의 소속을 나타내는 깃발 등이 있었다.[1]2. 1. 2. 대한제국
1882년에 제작된 대한제국 국기는 1907년까지 군함기로 사용되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태극기가 군함기로 사용되었다.[1]2. 1. 3. 일제강점기
1889년(메이지 22년) 10월 7일, 해군 기장 조례에 따라 제국 해군의 군함기로 16조 욱일기를 의장으로 하는 깃발이 정해졌다. 욱일기('''16조 욱일기''') 자체는 1870년 6월 13일 (메이지 3년 5월 15일), 제국 육군이 태정관 포고 제355호에서 "육군 어국기 (1879년 (메이지 12년), "군기"로 개칭)"로 일본 역사상 처음으로 이것을 고안하여 정했다. 제국 해군의 군함기는 제국 육군의 군기를 모방하였으나, 욱일의 일장 위치가 중앙인 군기와 달리 군함기는 깃대 쪽에 가깝게 하였다. 이후 16조 욱일기는 일본의 군함기로 사용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당시 호칭: 대동아 전쟁)의 패전에 의한 해군 해체에 따라 폐지되었다.[7]종류 | 사용 구분 |
---|---|
1폭 반, 2폭 | 단정, 내화정, 소함정. 소함정에 있어서는 통상의 항해용, 전투기에도 사용. |
3폭 | 구축함, 잠수함, 해방함용. 통상의 항해용, 또는 전투기로서 전함, 순양함도 사용. |
4폭 | 순양함용. 통상의 항해용, 또는 전투기로서 전함에 사용. 또한, 소함정의 예제용. |
6폭 | 통상의 전함용. 또는 순양함의 의례, 축제, 관함식의 공식용. |
8폭 | 전함의 의례, 축제, 관함식의 공식용. |
2. 1. 4. 대한민국
대한민국 해군은 1949년 8월 15일에 태극기의 4괘를 욱일기 형태로 배치한 해군기를 제정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의 함수기는 태극기를 사용한다.2. 2. 주요 국가의 군함기 역사
일본의 함미 깃발은 에도 막부가 막부 해군에 도입한 서양식 선박에 히노마루를 "총선인"으로 제정하면서 시작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89년 (메이지 22년) 10월 7일, 해군 기장 조례에 따라 제국 해군의 군함기로 16조 욱일기가 제정되었다. 욱일기는 1870년 6월 13일 (메이지 3년 5월 15일) 제국 육군이 "육군 어국기"로 먼저 제정했기에, 제국 해군 군함기는 육군 군기를 모방했다. 단, 욱일의 일장 위치가 중앙인 군기와 달리 군함기는 깃대 쪽에 가깝게 배치했다.[11] 16조 욱일기는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해군이 해체될 때까지 일본 군함기로 사용되었다.1954년 6월 9일 제5차 요시다 내각은 자위대법 시행령으로 제국 해군과 같은 규격의 "자위함기"를 제정했다. 요시다 시게루 수상은 "전 세계에서 이 깃발을 모르는 나라는 없다. 어느 바다에서든 일본 배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어 훌륭하다."라고 평가했다.[8] 자위함기는 내각총리대신이 자위함기 수여식에서 수여하며, 제적 또는 지원선 구분 변경 시 반납한다.[9]
항목 | 정의 |
---|---|
종횡비 | 2:3 |
일장 직경 | 세로의 1/2 |
일장 중심 위치 | 깃발 중심에서 좌변으로 1/6만큼 떨어진 곳 |
광선 폭·간격 | 일장 중심에서 11.25도로 벌어진 넓이 |
천 | 마 또는 나일론 |
채색 | 바탕은 흰색, 일장 및 광선은 홍색 |
해상자위대의 함수기(수함기·국적기)는 제국 해군처럼 일장기(히노마루)이다.[15] 육상자위대 자위대기 (팔조 욱일기)와 달리, 해상자위대 자위함기는 국제 관습상 "국기"와 같아 '함수기', '일장기', '히노마루'로 구분한다.
- '''영국''':
- '''미국''': 미국 해군은 군함기가 없고 성조기를 게양한다. 현용 국적기는 "유니언 잭"으로, 성조기 칸톤부를 확대했다.
- '''러시아''':
- '''독일''': 독일 해군기는 정체 변동에 따른 국기 변천과 함께 바뀌었지만, 국기색(검정, 빨강, 금색 또는 검정, 흰색, 빨강)을 배치하고 중앙 깃대 쪽에 국가 문장을 배치하는 패턴은 공통적이었다. 독일 연방 공화국 해군 군함기는 스칸디나비아 반도·발트해 연안국 전통의 제비꼬리 모양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3. 군함기의 종류
군함기는 디자인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많은 국가가 민간기 및 국기와 다른 해군 군함기를 사용한다. 대한민국도 국기와 다른 해군기를 사용한다.
국가 | 해군기 | 비고 |
---|---|---|
가나 | -- | 가나 해군기 |
가이아나 | -- | 가이아나 해군기 |
나미비아 | -- | 나미비아 해군기 |
나이지리아 | -- | 나이지리아 해군기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군기 |
노르웨이 | -- | 노르웨이 해군기 |
뉴질랜드 | -- | 뉴질랜드 해군기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 해군기 |
덴마크 | -- | 덴마크 해군기 |
독일 | -- | 독일 해군기 |
라트비아 | -- | 라트비아 해군기 |
러시아 | -- | 러시아 해군기 |
리비아 | -- | 리비아 해군기 |
리투아니아 | -- | 리투아니아 해군기 |
말레이시아 | -- | 말레이시아 해군기 |
모로코 | -- | 모로코 해군기 |
몬테네그로 | -- | 몬테네그로 해군기 |
미국 | -- | 미국 해군기 |
미얀마 | -- | 미얀마 해군기 |
바베이도스 | -- | 바베이도스 해군기 |
방글라데시 | -- | 방글라데시 해군기 |
베네수엘라 | -- | 베네수엘라 해군기 |
벨기에 | -- | 벨기에 해군기 |
볼리비아 | -- | 볼리비아 해군기 |
불가리아 | -- | 불가리아 해군기 |
브라질 | -- | 브라질 해군기 |
브루나이 | -- | 브루나이 해군기 |
사우디아라비아 | -- | 사우디아라비아 해군기 |
세르비아 | -- | 세르비아 해군기 |
스리랑카 | -- | 스리랑카 해군기 |
스웨덴 | -- | 스웨덴 해군기 |
시에라리온 | -- | 시에라리온 해군기 |
싱가포르 | -- | 싱가포르 해군기 |
알바니아 | -- | 알바니아 해군기 |
알제리 | -- | 알제리 해군기 |
에스토니아 | -- | 에스토니아 해군기 |
에콰도르 | -- | 에콰도르 해군기 |
영국 | -- | 영국 해군기 |
오만 | -- | 오만 해군기 |
오스트레일리아 | -- | 오스트레일리아 해군기 |
온두라스 | -- | 온두라스 해군기 |
요르단 | -- | 요르단 해군기 |
우크라이나 | -- | 우크라이나 해군기 |
이스라엘 | -- | 이스라엘 해군기 |
이집트 | -- | 이집트 해군기 |
이탈리아 | -- | 이탈리아 해군기 |
자메이카 | -- | 자메이카 해군기 |
조지아 | -- | 조지아 해군기 |
중화인민공화국 | -- | 중화인민공화국 해군기 |
카자흐스탄 | -- | 카자흐스탄 해군기 |
케냐 | -- | 케냐 해군기 |
콜롬비아 | -- | 콜롬비아 해군기 |
크로아티아 | -- | 크로아티아 해군기 |
태국 | -- | 태국 해군기 |
통가 | -- | 통가 해군기 |
파키스탄 | -- | 파키스탄 해군기 |
파푸아뉴기니 | -- | 파푸아뉴기니 해군기 |
페루 | -- | 페루 해군기 |
포르투갈 | -- | 포르투갈 해군기 |
폴란드 | -- | 폴란드 해군기 |
프랑스 | -- | 프랑스 해군기 |
피지 | -- | 피지 해군기 |
필리핀 | -- | 필리핀 해군기 |
핀란드 | -- | 핀란드 해군기 |
헝가리 | -- | 헝가리 해군기 |
하위 섹션 "디자인에 따른 분류"에서는 군함기를 흰색 바탕에 십자 형태, 욱일기 형태, 국기 또는 국장의 일부 포함, 기타 형태로 분류하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군함기는 붉은 바탕에 노란 별과 "八一"이라는 한자 숫자가 도안화된 기호가 있다. "八一"은 중국 인민해방군 창군일인 1927년 8월 1일 난창 봉기를 의미한다.
3. 1. 디자인에 따른 분류
군함기는 디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분류 | 특징 | 국가 |
---|---|---|
흰색 바탕에 십자 형태 | 흰색 바탕에 십자 모양을 배치한 디자인이다. |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영연방 국가, 우크라이나, 볼리비아 등 |
욱일기 형태 | 욱일기 문양을 사용하는 디자인이다. | 대한민국, 일본 제국(1889~1947), 해상자위대(구 일본 해군 군함기) |
국기 또는 국장의 일부 포함 | 국기나 국장의 일부를 포함하는 디자인이다. |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헝가리 등 |
기타 | 위 분류에 속하지 않는 다양한 디자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국,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모로코 등 |
일본의 경우, 에도 막부는 막부 해군에 도입한 서양식 선박에 히노마루를 게양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0년 10월 27일 (메이지 3년 태정관 포고 제651호)에 따라 함미용 "해군 어국기" 및 선수 기장으로 흰색 천에 붉은 해가 정해졌다. 1889년 (메이지 22년) 10월 7일, 해군 기장 조례에 따라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함기로 16조 욱일기를 사용하는 깃발이 정해졌다. 욱일기 자체는 1870년 6월 13일 (메이지 3년 5월 15일), 일본 제국 육군이 태정관 포고 제355호에서 "육군 어국기"로 일본 역사상 처음으로 고안하여 정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상보안청 산하의 해상 경비대를 거쳐 1952년 8월에 보안청 경비대가 발족하면서, 처음에는 국제 신호기의 숫자 깃발 "7"로 대용했으나, 나중에 "경비대기"가 제정되었다. 1953년 후반, 자위대 창설과 함께 경비대기는 해상에서의 시인성에 문제가 있어 새로운 깃발 제정을 검토했고, 구 군함기를 지지하는 의견이 강했다. 1954년 6월, 제5차 요시다 내각의 각의에서 정식으로 결정되어 자위대법 시행령(쇼와 29년 정령 제179호)에 의해 일본 제국 해군과 같은 규격의 "자위함기"가 제정되었다.
독일의 해군기는 정권이 바뀜에 따라 국기도 함께 바뀌면서 변화해 왔지만, 전체 또는 일부에 국기와 동일한 색(검정, 빨강, 금색 또는 검정, 흰색, 빨강)을 배치하고, 중앙에서 약간 깃대 쪽에 국가를 상징하는 문장, 의장을 배치하는 패턴은 대략 공통적이었다. 독일 연방 공화국의 해군 군함기는 스칸디나비아반도·발트해 연안 국가들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제비꼬리 모양이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군함기는 붉은 바탕에 노란 별과 "八一"을 도안화한 기호가 있다. 이는 중국 인민해방군 창군일인 1927년8월 1일을 의미한다. 중화민국(타이완) 해군의 군함기는 국기(청천백일만지홍기)와 동일하다.
3. 2. 해군기와 국기가 다른 국가
다음은 민간기 및 국기와 다른 해군 군함기를 사용하는 국가 목록이다.국가 | 해군기 |
---|---|
가나 | -- |
가이아나 | -- |
나미비아 | -- |
나이지리아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노르웨이 | -- |
뉴질랜드 | -- |
대한민국 | -- |
덴마크 | -- |
독일 | -- |
라트비아 | -- |
러시아 | -- |
리비아 | -- |
리투아니아 | -- |
말레이시아 | -- |
모로코 | -- |
몬테네그로 | -- |
미국 | -- |
미얀마 | -- |
바베이도스 | -- |
방글라데시 | -- |
베네수엘라 | -- |
벨기에 | -- |
볼리비아 | -- |
불가리아 | -- |
브라질 | -- |
브루나이 | -- |
사우디아라비아 | -- |
세르비아 | -- |
스리랑카 | -- |
스웨덴 | -- |
시에라리온 | -- |
싱가포르 | -- |
알바니아 | -- |
알제리 | -- |
에스토니아 | -- |
에콰도르 | -- |
영국 | -- |
오만 | -- |
오스트레일리아 | -- |
온두라스 | -- |
요르단 | -- |
우크라이나 | -- |
이스라엘 | -- |
이집트 | -- |
이탈리아 | -- |
자메이카 | -- |
조지아 | -- |
중화인민공화국 | -- |
카자흐스탄 | -- |
케냐 | -- |
콜롬비아 | -- |
크로아티아 | -- |
태국 | -- |
통가 | -- |
파키스탄 | -- |
파푸아뉴기니 | -- |
페루 | -- |
포르투갈 | -- |
폴란드 | -- |
프랑스 | -- |
피지 | -- |
필리핀 | -- |
핀란드 | -- |
헝가리 | --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군함기는 붉은 바탕에 노란 별과 "八一"이라는 한자 숫자가 도안화된 기호가 있다. "八一"은 중국 인민해방군 창군일인 1927년 8월 1일 난창 봉기를 의미한다.
4. 군함기의 게양 및 의례
평시 군함은 정박 중일 때는 오전 8시부터 일몰까지, 항해 중일 때는 항상 함미의 깃대 또는 경사 깃대(개프)에 군함기를 게양한다.[3][4] 전투 시에는 전투기로서 게양된다.
해상자위대 예식 규칙에 따르면, 자위함기를 게양하거나 강하시킬 때는 정시 10초 전에 나팔로 "차렷"을 명하고 정시에 나팔군가 1회를 연주하며, 당직 장교는 함교 또는 후갑판 부근에서 지휘하며 자위함기에 거수경례를 한다. 함교 및 노천 갑판에 있는 인원은 자위함기에 거수경례를 하고, 그 외의 장소에 있는 인원은 자세를 바로 하는 경례를 한다. 해상자위관은 육상에서 자위함기의 게양 또는 강하를 볼 때에는 그 자리에 정지하고 해당 자위함기에 경례를 한다.
음악대가 탑승한 자위함이 외국 군함과 동일한 장소에 정박하여 자위함기를 게양하거나 강하시킬 때에는 "국가"를 연주한 후 외국 군함 지휘관의 선임 순서에 따라 차례로 해당 국가의 국가를 1회 연주한다. 단, 외국 항만에 정박할 때에는 "국가"에 이어 해당 국가의 국가를 먼저 연주한다.
군함 이외의 선박이나 등대가 군함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국기를 반강하는 경례(반기)를 하면, 군함은 군함기를 반강하여 답례한다.[5]
유엔 해양법 조약에 따르면, 잠수함 등이 무해 통항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연안국의 영해에서 해상으로 항행하고, 기를 게양해야 한다.[5]
미국 해군이나 해상자위대의 LCAC-1급 에어 쿠션형 상륙정은 프로펠러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군함기를 게양하지 않고, 기장을 선체에 도색한다.
군함 간 또는 군함과 민간 선박 간에는 서로 경례를 주고받는다. 조선 회사는 고객에게 인도할 때까지 사기를 게양하고, 인도식에서 고객이 사용하는 깃발로 바꾼다.[1]
대한민국 해군은 군함기를 게양하거나 내릴 때 특별한 경례 절차를 따른다. 함정이 항구에 정박해 있을 때, 매일 아침 8시(하절기에는 오전 8시, 동절기에는 오전 9시)에 군함기를 게양하고, 일몰 시에 군함기를 내린다.[16] 이때, 깃발 게양 및 강하 시간에 맞춰 "국기에 대한 경례"를 실시한다.
4. 1. 게양 시기 및 방법
평시 군함은 정박 중일 때는 오전 8시부터 일몰까지, 항해 중일 때는 항상 함미의 깃대 또는 경사 깃대(개프)에 군함기를 게양한다.[3][4] 전투 시에는 전투기로서 게양된다.
해상자위대 예식 규칙(쇼와 40년 5월 24일 해상자위대령 제33호) 제21조(자위함기를 게양하거나 강하시키는 경우)에 따르면, 자위함에서 정시에 자위함기를 게양하거나 강하시킬 때에는 정시 10초 전에 나팔로 "차렷"을 명하고 정시에 나팔군가 1회를 연주하며, 당직 장교는 함교 또는 후갑판 부근에서 게양(강하)을 지휘하며 자위함기에 거수경례를 한다. 함교 및 노천 갑판에 있는 인원은 자위함기에 거수경례를 하고, 그 외의 장소에 있는 인원은 자세를 바로 하는 경례를 한다. 해상자위관은 육상에서 자위함기의 게양 또는 강하를 볼 때에는 그 자리에 정지하고 해당 자위함기에 경례를 한다.
음악대가 탑승한 자위함이 외국 군함과 동일한 장소에 정박하여 정시에 자위함기를 게양하거나 강하시킬 때에는 "국가"를 연주한 후 외국 군함의 수석 지휘관의 선임 순서에 따라 차례로 해당 국가의 국가 1회를 연주한다. 단, 외국 항만에 정박할 때에는 "국가"에 이어 해당 국가의 국가를 먼저 연주한다. 자위함이 외국 군함과 동일한 장소에 정박하여 정시 자위함기 게양 또는 강하 시 외국 군함에서 연주하는 "국가"를 듣거나, 자위함에서 외국 국가를 연주할 때에는 함교 및 노천 갑판에 있는 인원은 자위함기 또는 해당 국가의 군함기에 거수경례를 하고, 그 외의 장소에 있는 인원은 기립하여 자세를 바로 하는 경례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절차는 해상자위대 이외의 해군에서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군함 이외의 선박이나 등대가 군함이 스쳐 지나갈 때 해상의 질서 유지를 담당하는 군함에 경의를 표하여 그 게양된 국기를 반강하는 경례(반기)를 하는 국제 의례가 있으며, 군함이 이를 받으면 군함기를 반강하여 답례를 한다.[5] 일본 자위대에서는 "자위대의 예식에 관한 훈령"의 제45조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말리아 해적 대책을 위한 인도양 출동 등으로 상황이 바뀌어 가고 있다고 한다.[5]
유엔 해양법 조약 제3절에서, 잠수함 및 기타 수중 항행 기기가 무해 통항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연안국의 영해에서 해상으로 항행하고, 그 기를 게양해야 한다고 되어 있으며(제20조), 잠수함도 다른 군함과 같은 권리를 얻기 위해서는 국기 또는 군함기 등을 게양할 필요가 있다.
미국 해군이나 해상자위대의 LCAC-1급 에어 쿠션형 상륙정에서는 프로펠러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군함기를 게양하지 않고, 기장을 선체에 도색하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
4. 2. 국제 의례
군함 간 또는 군함과 민간 선박 간에는 서로 경례를 주고받는다.조선 회사에서는 고객에게 인도할 때까지 사기를 게양하고, 인도식에서 고객이 사용하는 깃발로 바꾼다.[1]
국제법과는 관계없지만, 일본의 어선은 출항·입항 시에 대어기라고 불리는 깃발을 게양하는 관습이 있다.[2]
4. 3. 대한민국 해군의 의례
대한민국 해군은 군함기를 게양하거나 내릴 때 특별한 경례 절차를 따른다.함정이 항구에 정박해 있을 때, 매일 아침 8시(하절기에는 오전 8시, 동절기에는 오전 9시)에 군함기를 게양하고, 일몰 시에 군함기를 내린다.[16] 이때, 깃발 게양 및 강하 시간에 맞춰 나팔수(또는 방송)는 "국기에 대한 경례"를 실시한다. "국기에 대한 경례"가 시작되면 함정에 있는 모든 인원은 국기(함미기)를 향해 경례를 하고, 함정 밖에 있는 인원은 방송을 듣고 멈춰서서 국기 게양대를 향해 경례를 한다.
일본의 해상자위대와 비교했을 때, 대한민국 해군은 '국기에 대한 경례'를 통해 군함기에 대한 경례를 하는 반면, 해상자위대는 '자위함기'에 대한 경례를 하는 차이점이 있다.[16]
5. 군함기 관련 논란
군함기와 관련하여 여러 논란이 있다. 특히 대한민국 해군기가 욱일기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은 지속적인 논란거리이다.
5. 1. 대한민국 해군기 욱일기 논란
대한민국 해군기는 1954년 제정된 해상자위대의 자위함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함기를 거의 그대로 계승한 것이다. 욱일기는 1870년 일본 제국 육군 군기로 처음 고안되었고, 1889년 해군 군함기로 채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해군이 해체되면서 욱일기 사용도 중단되었으나, 해상자위대가 창설되면서 자위함기로 부활하였다.욱일기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특히 한국에서는 일제 강점기의 아픈 역사를 떠올리게 하는 깃발로 인식된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해군기가 욱일기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은 지속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욱일기 및 욱일기 형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욱일기가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항목 | 정의 |
---|---|
종횡비 | 2:3 |
일장의 직경 | 세로의 2분의 1 |
일장의 중심 위치 | 깃발의 중심에서 좌변에 6분의 1만큼 떨어진 곳 |
광선의 폭·간격 | 일장의 중심에서 11과 4분의 1도(11.25도)로 벌어진 넓이 |
천 | 마 또는 나일론 |
채색 | 바탕은 흰색으로, 일장 및 광선은 홍색 |
참조
[1]
웹사이트
The Flag Bulletin
https://books.google[...]
Flag Research Center.
1980-01-09
[2]
웹사이트
THE NAVAL FLAGS ON THE EASTERN ADRIATIC
https://www.un.org/d[...]
INTERNATIONAL CONGRESS OF VEXILLOLOGY
2019-06-10
[3]
웹사이트
旧海軍旗章令
http://navgunschl2.s[...]
[4]
웹사이트
FLAGS, PENNANTS & CUSTOMS
http://www.ushistory[...]
[5]
웹사이트
船の敬礼 - あれこれdiary
https://www.capitand[...]
かぴたん
2024-11-08
[6]
웹사이트
船の敬礼 {{!}} カッパのLOG BOOK
https://ameblo.jp/ka[...]
kambaratugmarine
2024-11-08
[7]
웹사이트
神戸海のウンチク話 第1回 「自衛艦旗について」
https://www.mod.go.j[...]
阪神基地隊:神戸海の小部屋
2012-04-30
[8]
서적
凌ぐ波濤 海上自衛隊をつくった男たち
太田出版
[9]
웹사이트
活動内容:引渡式・自衛艦旗授与式
https://www.mod.go.j[...]
[10]
웹사이트
海上自衛隊:隊歌:海上自衛隊について
https://www.mod.go.j[...]
[11]
문서
細谷 1988
[12]
문서
大高 2010
[13]
문서
細谷 1988
[14]
문서
細谷 1988
[15]
웹사이트
海上自衛隊旗章規則
http://www.clearing.[...]
[16]
웹사이트
巡視船あそ引渡式!
http://www.kaiho.m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