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술루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술루주는 필리핀 남부에 위치한 주로, 술루 군도의 일부이며 술루해와 술라웨시해 사이에 위치한다. 1990년부터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에 속했으나, 2024년 필리핀 대법원은 술루주가 방사모로 자치 지역의 일부가 아니라고 판결했다. 초기에는 애니미즘, 힌두교, 불교 신앙이 존재했고, 14세기에는 이슬람교가 전파되어 술루 술탄국이 건국되었다.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식민 시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점령을 겪었다. 현재는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며, 타우수그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 - 바실란주
    바실란주는 필리핀 민다나오섬의 술루 군도 최북단에 위치한 주로, 바실란 섬과 주변 섬들로 이루어져 야칸족의 터전이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의 점령기를 거쳐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았고, 이슬람교와 가톨릭교가 주요 종교이며, 코코넛, 고무 등의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주도는 라미탄이며 이사벨라시는 특별한 지위를 가진다.
  •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 - 마긴다나오주
    마긴다나오주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중앙부에 위치했던 주로, 2022년 주민투표를 통해 북마긴다나오주와 남마긴다나오주로 분할되었으며, 마긴다나오 왕국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역사를 이어왔고 쿨링탕 음악 유산을 가지며 주요 산업은 벼농사였다.
  • 술루해 - 팔라완주
    팔라완주는 필리핀의 팔라완 섬과 주변 섬들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지닌 "마지막 생물 다양성 전선"이라 불리며, 역사적으로 여러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미마로파 지방에 속하고 푸에르토 프린세사를 주도로 두고 있으며 농업, 어업과 함께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 술루해 - 서비사야스 지방
    서비사야스 지방은 필리핀 비사야스 제도 서부에 위치하며 아클란 주, 안티케 주, 카피스 주, 기마라스 주, 일로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파나이 섬과 기마라스 섬을 비롯한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힐리가이논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고 다양한 문화 유적지와 보라카이 섬과 같은 유명 관광지를 보유하고 있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술루주 - [지명]에 관한 문서

2. 역사

술루는 바실란주 (바실란섬) 남쪽에서 칼리만탄섬까지를 그 영역으로 하고 있었지만, 남부 타위타위 제도가 타위타위주로 분리, 신설되었다.

마이붕에 있는 다루 잠방안(꽃의 궁전)이 태풍으로 파괴되기 전 모습. 이 궁전은 여러 세대에 걸쳐 술루 술탄국의 군주가 거주하던 곳이었다.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리마사와 상륙은 필리핀에 유럽의 존재를 알리고 스페인 식민 침략의 문을 열었다. 스페인인들은 기독교 전파와 함께 교회와 국가의 이원적 정치 체제를 도입하려 했으나, 1578년부터 1899년까지 이어진 모로 전쟁에서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다. 술루 술탄국은 19세기 중반 타위타위와 술루에서 스페인의 주권을 인정했지만, 이는 군사 기지, 수비대, 민간 정착지에 국한된 부분적인 통치였고, 결국 미국-스페인 전쟁 패배로 이 지역을 포기해야 했다.

스페인이 필리핀을 미국에 양도한 후, 미국군은 홀로에 도착하여 23년 간의 스페인 군사 점령(1876년~1899년)을 종식시켰다. 1915년 3월, 술탄은 카펜터 협정에 따라 세속적 권력을 포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술루는 일본군의 폭격을 받았고 이후 점령당했다. 일본군은 결국 미국군과 술루 원주민들에 의해 축출되었다.

필리핀 독립 후, 마이붕에 위치한 술루 술탄의 왕궁 다루 잠방안 (꽃의 궁전) 재건은 술루 국민들에게 중요한 문제였다. 1932년 거대한 폭풍으로 파괴되기 전까지 여러 세대에 걸쳐 술탄국의 군주가 거주했던 이 궁전은 현재 몇 개의 아치와 기둥만이 남아있다. 많은 왕족들이 궁궐 재건을 원했지만, 필리핀 정부는 공식적인 입장이나 지원을 하지 않았다.

1990년부터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에 속했다. 자치 지역은 2019년에 방사모로 자치 지역 (''Bangsamoro Autonomous Region in Muslim Mindanao, BARMM'')으로 개편되었지만, 술루주는 방사모로 기본법을 비준하지 않았다. 그러나 미비준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방사모로 자치 지역의 일부로 취급되었다. 2024년 9월 9일, 최고 법원은 술루주가 방사모로 자치 지역의 일부가 아니라고 선언했다[28]。단 최종 판결이 나올 때까지는 방사모로 자치 지역에 머무른다[29][30]

2. 1. 초기 역사

이슬람교 전래 이전, 이 지역은 토착 애니미즘을 따랐으며, 이후 힌두교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이슬람교 전래 수세기 전 루파 수그 왕국이 건국되었다.

1138년경 상인과 무역상을 통해 이슬람교가 전래되면서 동남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2세기에는 아랍인, 페르시아인 및 기타 무슬림 선교사, 상인, 학자, 여행객들이 술루와 민다나오에 도착했다.

술루 가옥 및 코코넛 농장 그림


이러한 배경 속에서 술루 술탄국이 건국되었다. 1380년경, 수니파 수피 학자 카림 울 마크둠이 술루에 와서 필리핀이슬람교를 전파했다. 1450년경, 조호르 출신 아랍 모험가 사이드 아부바카르 아비린이 술루에 와서 라자 바구인다 알리와 함께 살았다. 수니파 수피 교사이자 사이드 아부바카르는 결국 알리의 딸 다양-다양 파라미술리와 결혼하여 라자 바구인다가 다스리던 정치 체제(이전에는 공국이었다)를 물려받아 술탄국으로 바꾸고 초대 술탄이 되었다. 사이드 아부바카르는 자신의 통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 술탄국의 울타리 아래 지역 정치 단위를 통합했다. 아샤리 아키다, 샤피 마드하브, 수피즘을 따르는 술탄국으로 그는 술루, 삼보앙가 반도, 팔라완, 바실란을 자신의 보호 아래 두었다.[28][29][30]

2. 2. 스페인 식민 시대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리마사와에 상륙하게 된 항해상의 오류는 필리핀에 유럽의 존재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스페인 식민 침략의 문을 열었다. 스페인인들은 기독교를 전파하고 교회-국가 이원적 정치 체제를 도입했지만, 이는 1578년부터 1899년까지 이어진 파괴적인 모로 전쟁에서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다. 술루 술탄국은 19세기 중반에 타위타위와 술루에서 스페인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지만, 스페인의 주권은 군사 기지, 수비대, 그리고 민간인 정착지에 국한되어 부분적으로만 통치되었으며, 결국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패배한 결과 이 지역을 포기해야 했다.[28]

2. 3. 미국 식민 시대

미서전쟁 이후, 스페인필리핀미국에 양도했다. 19세기 말~20세기 초, 미국군은 홀로에 도착하여 23년 간의 스페인 군사 점령(1876년~1899년)을 종식시켰다. 8월 20일, 술탄 자말룰 키람 2세와 준장 존 C. 베이츠는 베이츠 협정을 체결하여 스페인이 시작한 술탄국의 점진적인 약화를 지속시켰다(1878년 조약). 이 협정은 1915년 3월 술탄이 카펜터 협정에 따라 세속적 권력을 포기할 때까지 이어졌다. 이 협정은 클린턴 솔리둠 지사의 민간 정부에 대한 반대를 제거했다.

1918년의 술루, 현재 타위타위 주를 포함한다.


자말룰 키람 2세 술탄과 수행원, 베인 뉴스 서비스에서 발행


카펜터 지사 하의 민다나오-술루 부는 ''필리핀 위원회 법 2309'' (1914년)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필리핀 입법부 법률 제2878호에 의해 1920년 2월 5일에 종료되었다. 비기독교 부족 사무국이 조직되었고, 테오피스토 깅고나 시니어가 잠시 이끌었다. 1916년 미국 의회에서 존스 법 (필리핀 자치 법)이 제정되면서 궁극적인 필리핀 독립이 보장되었고, 공공 행정의 필리핀화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술루는 1935년까지 미국인 지사를 임명받았고, 마닐라의 총독이 술루 문제에 발언권을 가졌다.

라자 바긴다가 구축한 지방 자치의 본질은 수 세기에 걸친 식민 지배에도 불구하고 술루 정치의 정신에 스며들었다. 역사는 술루의 지방 정부가 다른 비슷한 제도보다 앞섰음을 보여준다.

이 주는 역사 시대부터 술루 술탄의 왕궁이었던 다루 잠방안 (꽃의 궁전)을 품고 있었다. 마임붕에 위치한 이 궁전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1932년 거대한 폭풍으로 파괴되었다.

2. 4. 일본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 중, 술루는 일본군의 폭격과 점령을 겪었다.[6] 이후 미국군과 술루 원주민들이 일본군을 축출했다.[6] 이 시기, 아브둘라힘 이마오 중위와 사이이드 캡틴 칼링갈란 칼루앙을 비롯한 술루의 파이팅 21이 뛰어난 용맹함과 리더십으로 널리 알려졌다.[6] 특히 칼루앙은 1944년 2월 4일, 제41보병사단 사령관 행정명령 제9419호에 따라 술루 군도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동성 훈장을 받았다.[6]

2. 5. 필리핀 독립 이후

필리핀 독립 후, 술루 사람들에게 다루 잠방안 재건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였지만, 웅장했던 궁궐은 몇 개의 아치와 기둥만 남은 상태였다. 많은 왕족들이 재건을 원했지만, 필리핀 정부는 공식적인 입장이나 지원을 하지 않았다. 당시 민다나오 지역에서 독립 국가를 세우려는 움직임이 술루에서도 나타났다.

1948년,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던 하지 캄론은 루크에서 봉기를 시작하여 여러 차례 항복과 봉기를 반복하다 1955년 9월 24일 탄두 파누안에서 정부군과 교전 후 항복했다.[8]

1973년, 사우스 우비안, 탄두바스, 시무눌, 시탕카이, 발림빙(팡글리마 수갈라), 분가오, 카가얀 데 술루(마푼), 터틀 아일랜드의 자치구가 술루 주에서 분리되어 타위타위주로 이관되었다.[9]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시기에 술루는 마르코스 정권에 맞서 싸운 지역 중 하나였다. 마르코스 정권은 수백 명의 모로족을 고문, 살해, 몰살시켰다. 사바 동부 침공 계획이 알려지자 마르코스는 군대에 타우수그 전사들을 학살하라고 명령했고, 이는 1968년 자비다 학살로 이어졌다.[10] 자비다 학살은 술루 원주민에 대한 최악의 인권 침해였다.

자비다 학살 소식은 술루를 포함한 민다나오에서 많은 분리주의 운동을 일으켰고, 이들은 필리핀 정부와 무력 충돌을 벌였다. 1974년 홀로 전투는[11] 술루의 수도인 홀로를 파괴하여 4만 명의 사람들을 집 없이 만들었다.[12]

술루 술탄, 왕족, 술루 지도자들은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회복시킨 마닐라피플 파워 혁명을 지지했다.

1989년, 술루 주는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ARMM)에 편입되었다.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과 필리핀 정부 간의 평화 협정도 체결되었다. MNLF의 창립자이자 지도자였던 누르 미수아리는 술루 출신으로 술루 술탄국을 지지했으며, 1996년부터 2001년까지 ARMM 주지사를 역임했다.

2016년, 다루 잠방안의 작은 복제품(원래 크기의 약 25%)이 탈리파오에 건설되어 '휴가 공원'의 중심이 되었다. 마이붐방에 있는 원래 위치에 다루 잠방안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국립 문화 예술 위원회와 필리핀 국립 박물관은 마이붐방에 다루 잠방안을 충실하게 복원 또는 재건하는 임무를 맡았다.[13]

2019년, 방사모로 자치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방사모로 유기법(BOL)이 비준되어 ARMM을 대체하는 방사모로 자치구(BARMM)가 창설되었다. 이 계획은 술루에서 54.3% 차이로 부결되었지만, ARMM 전체 투표가 하나로 집계되어 통과되었다.[14] 그러나 2024년 9월, 필리핀 대법원은 술루가 방사모로의 일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판결했다.[15] 술루가 속한 행정 구역의 지위는 불분명하지만, 선거 관리 위원회 (필리핀)는 술루가 1989년 ARMM에 편입되기 전 소속되었던 삼보앙가 반도로 복귀해야 한다는 데 의견 일치를 보았다.[16][17][18] 술루를 필리핀 대통령실 산하의 "시범 주"로 만드는 방안도 제안되었다.[19] 술루의 배제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지만, 대법원은 2024년 11월 26일에 최종 판결을 내렸다.[20]

3. 지리

홀로와 그 인접 섬들을 우주에서 본 모습


술루주는 북쪽으로 술루해, 남쪽으로 술라웨시해 사이에 위치한다. 삼보앙가 반도 끝자락에서 남쪽 보르네오섬까지 뻗어 있는 술루 군도의 일부로, 주요 섬과 부속 섬들은 북동쪽 바실란주와 남서쪽 타위타위주 사이에 있다. 면적은 1600.4km2이다.[2] 주도인 홀로는 868.5km2의 면적을 가지며,[20] 필리핀 군도에서 16번째로 큰 섬이다.

술루주에는 157개 이상의 섬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아직 이름이 없다.[1] 섬들은 다음과 같이 네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1]

  • 홀로 그룹
  • 팡구타란 그룹
  • 통킬-방기기(사말레스) 그룹
  • 시아시-타풀 그룹

3. 1. 행정 구역

술루 주는 19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2개의 선거구로 나뉘고, 더 나아가 410개의 바랑가이로 세분화된다.

술루 주의 행정 구역
지방 자치 단체선거구인구 (2020년)면적 (km2)인구 밀도 (명/km2)바랑가이 수
방기기2구35,616352.59km210014
하지 팡글리마 타힐1구7,90667.9km21205
인다난1구93,168170.72km255034
홀로 †1구137,266126.4km21,1008
칼링갈란 칼루앙2구39,549166.5km22409
루구스2구29,043133.04km222017
루크2구37,873313.04km212012
마임붕1구59,59777.5km277027
오마르2구28,0708
파나마오2구49,849107.57km246031
판다미2구33,177170.89km219016
팡글리마 에스티노2구34,249125.1km227012
팡구타란1구36,374258.1km214016
파랑1구71,495258km228040
파타2구24,736116.99km221014
파티쿨1구79,564330.04km224030
시아시2구81,689192.87km242050
탈리파오1구100,088380.57km226052
타풀2구20,79989.17km223015
총계1,000,108410



† 홀로는 주도이다.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술루 주의 인구는 1,000,108명이었으며,[31]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620명이었다.

술루 주는 무슬림들이 혼합된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타우수그족이 지배적이다. 타우수그족은 필리핀에서 이슬람을 종교이자 삶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최초의 주민 중 하나였다. 그들은 바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흐름의 사람들'로 불린다.

타우수그어는 술루 주의 ''공용어''이다. 다른 지역 언어로는 토착어인 사마어가 있는데, 다양한 억양과 톤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성은 시나마 방언의 발달을 이끌었다. 주요 방언으로는 시나마 시부투(주로 시부투-시탕카이 지역에서 사용), 시나마 시무눌(시무눌-마눅-망카우 섬에 집중), 시나마 카포안(사우스 우비안-탄두바스 및 사파-사파 지역에서 사용) 및 시나마 방기기(부안 섬에 집중되어 있으며 방기기족이 사용)가 있다.

사마-바자우어도 사용되며, 필리피노어와 필리핀 영어도 공용어로 사용된다. 많은 현지인과 물물교환 상인들이 사바 말레이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차바카노어는 삼보앙가 반도 및 바실란과 연락을 유지하고 무역을 하는 기독교인과 무슬림 현지인들도 사용한다.

술루 주의 인구[31]
연도인구
1980360,588
1990469,971
1995536,201
2000619,668
2007849,670
2010718,290


5. 종교

술루 주민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믿으며, 2015년 기준 지방 인구의 약 99%를 차지한다.[22] 술루 무슬림 인구의 대다수는 샤피이 전통을 따르는 수니파 이슬람이다. 이들은 14세기부터 아랍, 페르시아, 인도 무슬림, 중국 무슬림, 말라카 선교사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22]

비교적 새로운 이슬람 종파는 대부분 아프간 전쟁 참전 용사들과 파키스탄의 더 엄격한 수피교 전통에서 온 선교사들이 전파하는데, 이들은 이를 "더 순수한" 이슬람식 삶과 예배라고 믿는다. 소수의 사람들은 페르시아인 또는 이라크인과 결혼하여 시아파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술루 기독교인의 대다수는 가톨릭 신자이며,[1] 졸로 대교구의 관할 하에 졸로 자치교구를 통해 관리된다. 비가톨릭 기독교인으로는 복음주의자, 예수 기적 십자군, 성공회,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INC), 몰몬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여호와의 증인을 비롯한 여러 개신교 교파가 있다. 가장 최근의 중국 이민자들만이 불교 또는 도교를 따르며, 대부분의 오래된 중국 가족들은 동화되어 기독교나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많은 중국적 신념을 유지하고 있다.

6. 경제

술루는 농업이 주를 이루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생계 수단이다. 비옥한 토양과 이상적인 기후로 마닐라삼, 코코넛, 술루 커피[23], 오렌지, 란자스와 같은 다양한 작물뿐만 아니라 두리안망고스틴과 같이 국내 다른 지역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는 이국적인 과일을 재배할 수 있다.

술루 해는 국내에서 가장 풍부한 어장 중 하나이므로 어업은 가장 중요한 산업이다. 이 지역은 또한 마룽가스 섬에 진주 양식장이 있는 광범위한 진주 산업을 가지고 있다. 바다거북의 등껍질은 아름다운 쟁반과 빗으로 만들어진다. 어업을 쉬는 동안 사람들은 배를 만들고 매트를 짠다. 기타 산업으로는 커피 가공 및 과일 보존이 있다.

술루의 수공예품은 이슬람과 말레이 민족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숙련된 장인들은 배, 칼날 무기, 청동 및 황동 제품, 피스 천, 자수 직물, 조개 공예, 전통 가옥 조각, 조각된 나무 묘비를 만든다.

이 지역은 한때 필리핀 남부에서 가장 번영했던 지역 중 하나였다. 그러나 와하비즘을 따르는 아부 사야프와 같은 분쟁, 테러, 지하디스트 단체의 설립으로 인해 이 지역의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현재 상태로 축소되었다.

7. 교통

필리핀 항공이 방사모로 지역 내 신규 노선을 성공적으로 운항한 이후, 정부는 코타바토 시로의 노선 개설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기준으로, Leading Edge,[24] 세부 퍼시픽 세브고(Cebu Pacific Cebgo)와 플래티넘 스카이즈는 삼보앙가에서 출발하여 새롭게 개조된 홀로 공항을 이용하는 운항 노선이다.

8. 보건

팔라완주, 타위타위주와 함께 열대성 말라리아 발생 지역이므로 감염에 조심하여야 한다.[1] 이 지역은 무장단체 괴한들이 활동하고 있는 매우 위험한 지역이므로 여행 금지 경보가 내려졌다.[1] 술루 주는 말라리아 감염으로 고통받고 있다.[2]

9. 주요 인물


  • 하지 부투 - 필리핀의 정치가이자 필리핀 상원의 첫 번째 무슬림 의원이다.
  • 산타니나 틸라 라술 -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필리핀 상원의 첫 번째 여성 무슬림 의원이다.
  • 팡리마 반다할라 - 술탄 자말룰 키람 2세의 신뢰받는 조언자이자 가까운 친척으로, 시장, 평화 사절과 같은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 사이드 캡틴 칼링갈란 "아푸 잉갈" 칼루앙 - 판글리마 반다할라의 아들이자, 사티야 무누의 아들이자, 사이드 카심의 아들로, 술루의 21명의 투사 중 한 명이다.[25] 그는 도모카오 알론토, 라시드 루크만, 살리파다 펜다툰, 하미드 캄리안, 우드토그 마탈람, 아티와 함께 안사르 엘 이슬람(이슬람의 조력자)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마카판툰 아바스 주니어에 따르면 "필리핀에서 이슬람의 보존과 발전을 위한 대중 운동"이다.[26]
  • 안토니오 코 주니어 - 필리핀 대법원의 제193대 부판사
  • 압둘마리 이마오 - 시각 예술 - 조각 부문의 필리핀 국가 예술가
  • 레오노르 오로사-고킹코 - 댄스 부문의 필리핀 국가 예술가
  • 사무엘 K. 탄 - 역사가이자 전 필리핀 국가 역사 위원회 의장
  • 케리마 폴로탄 투베라 - 소설가, 에세이 작가, 저널리스트
  • 투부란 탐세 - 수영 선수이자 최초의 필리핀 무슬림 올림픽 선수
  • 공주 타르하타 키람 - 모로 지도자
  • 모하메드 에스마일 키람 1세 - 1950년부터 1974년까지의 술루 술탄
  • 모하메드 마하쿠타 압둘라 키람 - 필리핀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마지막 술루 술탄
  • 자말룰 키람 3세 - 자칭 술루 술탄
  • 누르 미수아리 - 모로 민족 해방 전선의 지도자
  • 무에둘 라일 탄 키람 - 술탄 마하쿠타 키람의 왕세자이자 현재 술루 왕가의 수장. 수니파, 아키다에서 아샤리, 마드합에서 샤피이파 지도자.

참조

[1] 웹사이트 Brief Profile http://www.sulu.gov.[...] 2016-04-18
[2] 웹사이트 Brief Profile http://www.sulu.gov.[...] 2011-02-26
[3] 뉴스 SC Upholds Validity of Bangsamoro Organic Law; Declares Sulu not Part of Bangsamoro Region https://sc.judiciary[...] 2024-09-09
[4] 웹사이트 Jolo Branch Museum https://www.national[...] 2020-02-22
[5] 웹사이트 SAAD Sulu creates significant progress in agri-development, pines for consistent social protection initiatives - Special Area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https://saad.da.gov.[...] 2023-02-15
[6] 서적 With the Bravest: The Untold Story of the Sulu Freedom Fighters of World War II Espaldon-Virata Foundation 1997
[7]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302, s. 1973 {{!}} GOVPH" https://www.official[...] 2021-09-14
[8] 서적 The Contemporary Muslim Movement in the Philippines Mizan Press 1985
[9] 서적 Between Integration and Secession: The Muslim Communities of the Southern Philippines, Southern Thailand and Western Burma/Myanmar Lexington Books 2002
[10] 뉴스 ARMM gov: Martial Law killings a 'painful part of our history as Moros' https://www.philstar[...] 2018-09-24
[11] 뉴스 MNLF's first try to raise flag was 39 years ago http://www.mb.com.ph[...] 2013-09-11
[12] 웹사이트 Talipao, Sulu: Sleeping Like a Sultan at the Royal Palace Replica - https://eazytraveler[...] 2014-11-12
[13] 뉴스 Comelec ratifies Bangsamoro Organic Law https://businessmirr[...] 2019-01-27
[14] 뉴스 SC: Bangsamoro law constitutional but Sulu not part of BARMM https://www.gmanetwo[...] 2024-09-09
[15] 뉴스 Comelec mulls including Sulu in Zamboanga Peninsula https://www.sunstar.[...] SunStar Publishing Inc. 2024-09-14
[16] 뉴스 Comelec to place Sulu in Region 9 https://www.manilati[...] 2024-09-13
[17] 뉴스 BARMM execs seek help to deal with Sulu’s exit https://newsinfo.inq[...] 2024-09-13
[18] 뉴스 Sakur wants Sulu to be a “pilot province under the Office of the President” https://mindanews.co[...] 2024-09-30
[19] 뉴스 SC rules with finality: Sulu is out of BARMM https://mindanews.co[...] 2024-11-27
[20] 웹사이트 Islands by Land Area http://islands.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4-08-25
[21] 웹사이트 PSGC Interactive;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2016-04-18
[22] 웹사이트 Muslim Population in Mindanao (based on POPCEN 2015 http://rssoarmm.psa.[...] 2017-07-26
[23] 웹사이트 The untold heritage of Sulu's fascinating coffee culture http://cnnphilippine[...] 2017-07-20
[24] 웹사이트 Home http://leascor.com.p[...]
[25] 서적 With the Bravest: The Untold Story of the Sulu Freedom Fighters of World War II Espaldon-Virata Foundation 1997
[26] 간행물 13 Stories of Islamic Leadership vol 1 Asian Institute of Management – Team Energy Center for Bridging Societal Divides 2009
[27] 웹사이트 Sulu https://citypopulati[...] Citypopulation 2023-02-19
[28] 웹사이트 SC Upholds Validity of Bangsamoro Organic Law; Declares Sulu not Part of Bangsamoro Region https://sc.judiciary[...] フィリピン最高裁 2024-09-09
[29] 웹사이트 BARMM services in Sulu to continue amid SC ruling https://www.gmanetwo[...] GMA Regional TV News 2024-09-12
[30] 웹사이트 Sulu funding for 2025 still part of BARMM budget: Pangandaman https://www.pna.gov.[...] Philippine News Agency 2024-10-23
[31] 웹인용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www.census.go[...] 국가통계국 2014-08-22
[32]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33] 통계 2000
[34] 통계 2003
[35] 통계 2006
[36] 간행물 2012
[37] 간행물 2015
[38] 간행물 2018
[39]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