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비테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비테주는 마닐라 만 입구에 위치한 필리핀의 주로, 구릉, 해안 평야, 산악 지형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15개의 시정촌과 8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스마리냐스 시가 인구가 가장 많다. 2020년 기준 인구는 434만 명 이상이며, 필리핀에서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 어업, 제조업이며, 특히 한국 기업의 투자가 활발하다. 타갈로그어와 영어를 사용하며, 차바카노어도 일부 사용된다. 타가이타이의 관광 명소, 역사 유적지, 다양한 축제가 있으며, 도로 교통이 발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비테주 - 다스마리냐스
다스마리냐스는 필리핀 카비테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메스 페레즈 다스마리냐스 총독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를 통해 카비테주의 주요 산업 및 교육 중심지로 발전하여 다양한 쇼핑몰, 산업 단지, 대학, 축제 및 행사들이 존재한다. - 카비테주 - 실랑
필리핀 카비테주에 위치한 실랑은 원래 "산길"을 의미하는 타갈로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 엔코미엔다에 속했고, 2023년 촛불 행렬로 기네스 기록을 경신했으며, 농업과 마닐라 접근성을 바탕으로 제조업과 무역이 활발하다. - 칼라바르손 지방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칼라바르손 지방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카비테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카비테 주 |
로마자 표기 | Kabite |
별칭 | 필리핀의 역사적인 수도 |
표어 | "Dangal at Pag-ibig sa Bayan" (명예와 나라에 대한 사랑)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필리핀 |
지방 | 칼라바르손 지방 |
설립일 | 1614년 |
수도 | 이무스 |
시 | 8개 |
자치시 | 15개 |
바랑가이 수 | 829개 |
선거구 | 카비테 주의 선거구 |
최대 도시 | 다스마리냐스 |
행정 중심지 | 트레세 마르티레스 |
지리 | |
면적 | 1,574.17km² |
순위 | 81개 주 중 67위 |
가장 높은 지점 | 숭아이 산 (709m)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0년) | 4,344,829명 |
순위 | 81개 주 중 1위 |
인구 밀도 | 2,760명/km² |
순위 | 81개 주 중 2위 |
인구 통계 명칭 | 카비테뇨 (남성/중성), 카비테냐 (여성) |
민족 | 타갈로그족 (85%) 기타 (8%) 비사야족 (5%) 비콜라노족 (3%) |
주요 언어 | 타갈로그어, 차바카노어 |
기타 사용 언어 | 필리핀어, 영어, 비콜어, 세부아노어, 일로카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어 |
주요 종교 | 로마 가톨릭교 필리핀 독립 교회 개신교 동방 정교회 불교 힌두교 이슬람 |
축제일 | 11월 두 번째, 세 번째 일요일 |
교구 | 이무스 교구 (로마 가톨릭) 카비테 교구 (필리핀 독립 교회) 필리핀 및 베트남 교구 (동방 정교회) |
수호 성인 | 포르타 바가의 고독의 성모 |
정부 | |
정치 체제 | 상앙구니앙 판랄라위간 (지방 의회) |
지사 | 아테나 브리아나 톨렌티노 (NUP) |
부지사 | 셰르난 자로 (NUP) |
입법부 | 카비테 지방 의회 |
시간대 | |
표준시 | PHT |
협정 세계시 | +8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4100–4130 |
지역 번호 | +63 (0)46, +63 (0)2 (바코오르) |
ISO 3166-2:PH | PH-CAV |
웹사이트 | 카비테 공식 웹사이트 |
기후 | 열대 몬순 기후 |
범죄 지수 | 해당 정보 없음 |
2. 지리
카비테주는 마닐라 만 입구에 위치하며, 구릉이 산재한 완만한 내륙 지역, 해수면에 접한 마닐라 만 연안 지역, 도스 피코스 산맥이 있는 바탕가스주와의 경계에 있는 험준한 지역이 특징이다.[41] 카비테 주는 크게 네 가지 지형으로 구분된다.[41]
- 최저 저지대: 해안 평야로, 해발 0~2m의 매우 낮은 고도를 가진다.[41] 카비테 시, 바코르, 카윗, 노벨레타, 로사리오, 카르모나 북부, 테르나테 동부가 이 지역에 속한다.[41]
- 저지대: 해안 및 충적 평야로, 0.5% 미만의 완만한 경사와 2~30m의 고도를 가진다.[41] 이무스 시, 제네랄 트리아스 남부, 바코르, 카르모나, 카윗, 노벨레타, 로사리오, 탄자의 일부 지역이 해당된다. 이 지역은 해안 평야와 중앙 구릉 지대 사이의 전이 지역을 형성한다.[41]
- 중앙 구릉 지대: 산기슭에 위치한 완만한 응회암 고원으로, 가파른 언덕, 산등성이, 고지대 계곡을 포함하며, 30~400m의 고도와 0.5~2%의 경사를 가진다.[41] 트레세 마르티레스, 다스마리냐스, 제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 제네랄 마리아노 알바레스, 테르나테 서부, 아마데오, 인당, 실랑, 마갈라네스, 마라곤돈 북부 등이 이 지역에 속한다.[41]
- 고지대 산악 지대: 400m 이상의 고도와 2% 이상의 경사를 가진다.[42] 타가이타이 시, 알폰소, 멘데스, 아마데오 남부, 인당, 실랑, 마갈라네스, 마라곤돈 등이 이 지역에 속한다.[42] 타가이타이 산맥은 평균 고도 600m이며, 숭가이 산은 해발 716m로 카비테 주에서 가장 높다.[43] 숭가이 산은 마르코스 정권 시절 하늘의 국민공원 건설로 인해 현저도가 절반으로 줄었다.
필리핀 토양 및 수자원 관리국 (Bureau of Soils and Water Management, BSWM)의 토양 조사에 따르면, 카비테주의 저지대 지역은 일반적으로 과달루페 점토(Guadalupe clay)와 점토양토(clay loam)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조할 때는 거칠고 입상이지만 습할 때는 점착성이 있고 가소성이 있다. 과달루페 점토 벽돌(Guadalupe clay adobes)은 바코르 (Bacoor)과 이무스 (Imus)의 남쪽, 다스마리냐스 (Dasmariñas)와 인접한 지역에 풍부하다. 중앙 지역은 주로 마갈라네스 양토(Magallanes loam)와 모래 질감의 마갈라네스 점토양토(Magallanes clay loam) 줄무늬로 구성되어 있다. 고지대 지역을 지배하는 토양 유형은 타가이타이 양토(Tagaytay loam)와 타가이타이 사양토(Tagaytay sandy loam)이며, 라구나주와 접해 있는 남동쪽에는 미분류 산악 토양(mountain soil undifferentiated)이 있다. 카비테주에는 파퉁간 사토(Patungan sand)도 있는데, 이는 밝은 회색에서 거의 흰색에 가까운 모래로 특징지어진다.[42]
2. 1. 지형 및 경사
카비테 주는 마닐라 만 입구에 위치하며, 구릉이 산재한 완만한 내륙 지역, 해수면에 접한 마닐라 만 연안 지역, 도스 피코스 산맥이 있는 바탕가스 주와의 경계에 있는 험준한 지역이 특징이다.[41] 카비테 주는 크게 네 가지 지형으로 구분된다.[41]- 최저 저지대: 해안 평야로, 해발 0~2m의 매우 낮은 고도를 가진다.[41] 카비테 시, 바코르, 카윗, 노벨레타, 로사리오, 카르모나 북부, 테르나테 동부가 이 지역에 속한다.[41]
- 저지대: 해안 및 충적 평야로, 0.5% 미만의 완만한 경사와 2~30m의 고도를 가진다.[41] 이무스 시, 제네랄 트리아스 남부, 바코르, 카르모나, 카윗, 노벨레타, 로사리오, 탄자의 일부 지역이 해당된다. 이 지역은 해안 평야와 중앙 구릉 지대 사이의 전이 지역을 형성한다.[41]
- 중앙 구릉 지대: 산기슭에 위치한 완만한 응회암 고원으로, 가파른 언덕, 산등성이, 고지대 계곡을 포함하며, 30~400m의 고도와 0.5~2%의 경사를 가진다.[41] 트레세 마르티레스, 다스마리냐스, 제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 제네랄 마리아노 알바레스, 테르나테 서부, 아마데오, 인당, 실랑, 마갈라네스, 마라곤돈 북부 등이 이 지역에 속한다.[41]
- 고지대 산악 지대: 400m 이상의 고도와 2% 이상의 경사를 가진다.[42] 타가이타이 시, 알폰소, 멘데스, 아마데오 남부, 인당, 실랑, 마갈라네스, 마라곤돈 등이 이 지역에 속한다.[42] 타가이타이 산맥은 평균 고도 600m이며, 숭가이 산은 해발 716m로 카비테 주에서 가장 높다.[43] 숭가이 산은 마르코스 정권 시절 하늘의 국민공원 건설로 인해 현저도가 절반으로 줄었다.
필리핀 토양 및 수자원 관리국 (Bureau of Soils and Water Management, BSWM)의 토양 조사에 따르면, 카비테주의 저지대 지역은 일반적으로 과달루페 점토(Guadalupe clay)와 점토양토(clay loam)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조할 때는 거칠고 입상이지만 습할 때는 점착성이 있고 가소성이 있다. 과달루페 점토 벽돌(Guadalupe clay adobes)은 바코르 (Bacoor)과 이무스 (Imus)의 남쪽, 다스마리냐스 (Dasmariñas)와 인접한 지역에 풍부하다. 중앙 지역은 주로 마갈라네스 양토(Magallanes loam)와 모래 질감의 마갈라네스 점토양토(Magallanes clay loam) 줄무늬로 구성되어 있다. 고지대 지역을 지배하는 토양 유형은 타가이타이 양토(Tagaytay loam)와 타가이타이 사양토(Tagaytay sandy loam)이며, 라구나주(Laguna province)와 접해 있는 남동쪽에는 미분류 산악 토양(mountain soil undifferentiated)이 있다. 카비테주에는 파퉁간 사토(Patungan sand)도 있는데, 이는 밝은 회색에서 거의 흰색에 가까운 모래로 특징지어진다.[42]
2. 2. 수자원
카비테주의 수문 네트워크는 7개의 주요 강과 그 지류로 구성되어 있다.[48] 이 강들은 타가이타이와 마라곤돈 고지대에서 마닐라 만으로 흘러간다.[48] 고지대에는 관광지로 개발된 샘, 폭포, 강이 많이 있다.[48] 저지대에서는 수백 개의 관정과 심정이 주거 및 관개용으로 물을 공급한다.[48]
카비테 해안선은 약 123km이다.[48] 카비테 시티, 바코르, 카윗, 노벨레타, 로사리오, 탄자, 나익, 마라곤돈, 테르나테 등의 해안 지역에서는 굴과 홍합 양식이 활발하다.[48] 어업을 통해 새우와 뱅어 (뱅어조기)도 생산한다.[48] 서쪽 해안선에는 밝은 회색 모래 해변이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48]
카비테주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강들이 있다.[48]
강 이름 |
---|
바코르 강 (Bacoor River) |
카냐스 강 (Cañas River) |
이무스 강 (Imus River) |
라박 강 (Labac River) |
마라곤돈 강 (Maragondon River) |
산 후안 강 또는 리오 그란데(Grande River) (San Juan River or Rio Grande) |
일랑일랑 강 (Ylang-Ylang River) |
사포테 강 (Zapote River) |
2. 3. 섬
카비테 주에는 카바요섬(Caballo Island), 코레히도르(Corregidor), 엘 프라일레섬(El Fraile Island), 카라바오섬(Carabao Island) 등이 있다.[45] 코레히도르 서쪽에는 라 몬하섬(La Monja Island)이, 마라곤돈 해안 바탄가스 경계 근처에는 림보네스섬(Limbones Island)이 위치한다.[45] 바코르 만(Bacoor Bay)에는 풀로 니 부룽고이섬(Pulo ni Burunggoy)이 있는데, 현재 ''아일랜드 코브 리조트(Island Cove Resort)''로 운영 중이다.[46] 코레히도르 북서쪽에는 산타 아말리아섬(Santa Amalia Island)이 있다.[47] 테르나테 강 어귀에는 발롯섬(Balot Island)이 있다.[45]3. 역사
3. 1. 초기 역사
카비테(Cavite)라는 이름은 "갈고리"를 뜻하는 타갈로그어 '카윗(kawit)' 또는 '칼라윗(kalawit)'의 히스패닉화된 형태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마닐라 만으로 돌출된 작은 갈고리 모양의 카비테 시 반도를 가리킨다.[8] 이 이름은 원래 '카비테 라 푼타'(Cavite La Punta, 현재 카비테 시) 반도와 인접한 '카비테 비에호'(Cavite Viejo, 현재 카윗)의 저지대 해안 지역에 적용되었다. 이 반도는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반도"를 뜻하는 타갈로그어 '탕가웨이(Tangway)'로도 알려져 있었다.[9]에드먼드 로버츠(Edmund Roberts)는 1821년 회고록에서 "원주민"들이 "바다로 뻗어나가는 구부러진 땅" 때문에 '카베이트(Caveit)'라고 불렀다고 언급했다.[10] 현재의 카비테 시티는 과거 마닐라 만 주변의 정착지와 무역을 하던 중국 정크선들의 정박지였다. 이 지역은 예전에 "탕구아이(Tangway)"로 알려져 있었으며, 해안 지역의 고고학적 증거는 선사 시대의 정착지를 보여준다.
3. 2. 스페인 식민 시대
16세기 후반, 스페인 식민 개척자들은 마닐라 만(마닐라 만)으로 돌출된 카비테의 지형과 깊은 수심을 갤리온선을 발진시킬 주요 거점으로 삼았다.[11] 이곳은 이후 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 무역(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 무역)을 통해 식민지를 외부 세계와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11] 1571년, 스페인 식민 개척자들은 카비테 항구와 도시를 건설하고 마닐라(마닐라) 시의 최전방 방어선으로 요새화했다.[11] 갤리온선(갤리온선)은 이 항구에서 건조 및 장비되었고, 많은 중국 상인들이 스페인 도시 맞은편 바쿠어와 카윗 지역에 정착하여 비단, 도자기 및 기타 동양 상품을 거래했다.[11]카비테 서쪽에는 방어용 휘장 벽이 건설되었는데, 입구인 "라 에스탄수엘라"에서 반도 끝인 "푼타 데 리베라"까지 이어졌으며 동쪽 해안은 벽으로 보호되지 않았다.[11] 카비테에는 정부 사무소, 교회, 선교 건물, 스페인 가옥, 산펠리페 요새(산펠리페 요새) 및 카비테 리베라 조선소가 있었다.[11] 갤리온선과 갤리선을 건조하기 위한 도크가 있었지만 드라이 도크가 없어 배는 해변을 따라 캐리닝(careening) 방식으로 수리되었다.[11]
1614년, 카비테의 정치 군사 관할권이 설립되었다.[17] 스페인 식민 시대에 조직된 다른 많은 주들과 마찬가지로 수도의 이름인 카비테 시가 카비테 전체 주에 적용되었다.[17] 이 주는 마라곤돈(마라곤돈) 마을을 제외한 현재의 모든 영토를 포함했는데, 이 마을은 이전에 마리벨레스의 코레히미엔토(Corregimiento)에 속해 있었다.[17] 마라곤돈은 1754년 팜팡가 주에서 바탄 주가 만들어지면서 카비테에 할양되었다.[17]
상인들,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 식민지 출신의 스페인 선원들,[12][13] 그리고 현지 주민들의 활기찬 혼합은 차바카노(Chabacano)라고 불리는 피진 스페인어의 사용으로 이어졌다.[14]
군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카비테는 마닐라와 필리핀을 정복하려는 외국인들의 공격을 받았다.[18] 네덜란드인들은 1647년에 도시를 기습 공격하여 항구를 끊임없이 공격했지만 격퇴당했다.[18] 1672년, 영국은 필리핀에서 2년간의 지배 동안 이 항구를 점령했다.[18]
1872년 필리핀인들은 스페인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18] 세 명의 필리핀 사제—호세 부르고스, 마리아노 고메스, 하신토 자모라—는 200명의 필리핀인이 스페인 주둔군 내에서 반란을 일으킨 카비테 반란에 연루되었다.[18] 1896년 8월 28일 스페인에 대한 혁명이 발발했을 때 카비테는 피비린내 나는 전쟁터가 되었다.[18]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지휘하에 카비테뇨들은 스페인 본부를 기습 공격하여 알라판 전투(Battle of Alapan)을 통해 곧 전체 주를 해방시켰다.[18] 아기날도는 혁명을 성공적으로 끝맺어 1898년 6월 12일 카윗에서 필리핀 제1공화국(First Republic of the Philippines)을 선포했다.[18]

스페인-미국 전쟁 동안 미군은 카비테의 스페인 함대를 공격했다.[18] 스페인의 패배는 이 나라에서 스페인 통치의 종식을 의미했다.[18]
3. 3. 미국 식민 시대
3. 4. 일본 점령
1942년 5월, 바탄 반도와 코레히도르 함락 이후, 일본군이 카비테 주를 점령했다. 바탄 사망 행군을 겪고 타락 수용소에서 풀려난 미 극동군(USAFFE) 마리아노 카스타녜다(Mariano Castañeda) 대령은 카비테로 돌아와 비밀리에 게릴라 부대를 조직했다. 일본 당국은 그에게 카비테 주지사직을 제안했지만, 그는 여러 차례 거절했다. 결국 마지못해 주지사직을 수락하고 주간에는 주지사, 야간에는 게릴라 지휘관으로 활동하며 저항 운동을 조직하려 했으나, 일본군에게 발각되어 체포될 위기에 처하자 탈출하여 다스마리냐스에 위치한 필리핀-미국 카비테 게릴라 부대(FACGF)에 합류했다.FACGF는 뛰어난 조직력을 바탕으로 각 행정 구역에 연대를 편성하고 특수 대대를 창설했다. 총 3개의 특수 대대, 1개의 의무 대대, 1개의 통신 중대, 1개의 병원 부대, 그리고 사단 본부 및 참모부가 행정 및 전투 지원을 제공했다. FACGF는 14,371명의 병력과 1,245명의 장교를 보유한 강력한 부대로 성장하여 카비테 주에서 일본군의 지배에 맞섰으며, 전성기에는 14개의 보병 연대를 보유했다.
1945년 1월 31일, 미군 제11공수사단과 필리핀-미국 카비테 게릴라 부대가 합동으로 카비테 주 해방 작전을 시작하여 일본 점령군을 몰아냈다. 이들은 타가이타이 시에서 라스피냐스까지의 국도 17호선(아기날도 고속도로)을 확보하여 미군의 중요한 보급로를 확보하고, 마닐라 전투로 향하는 길을 열었다.
3. 5. 필리핀 독립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독립 회복 이후, 필리핀의 경제 성장이 카비테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마닐라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카비테주는 메트로 마닐라뿐 아니라 필리핀 전역에 식량과 공산품을 공급하는 경제적 중심지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1954년, 탄자, 인당, 나익, 제너럴 트리아스의 일부 지역을 합쳐 계획 도시인 트레세 마르티레스 시가 건설되었다. 1979년 주도가 이무스로 이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트레세 마르티레스 시는 여전히 많은 지방 정부 사무소를 유지하고 있어 사실상의 주도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타가이타이는 고지대에 위치하고 서늘한 기온 덕분에,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에 마닐라 지역과의 근접성을 바탕으로 제2의 피서지이자 휴양지로 발전했다.194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카비테주의 경제는 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주로 농업에 의존했다. 1970년대 초 산업 단지 조성을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의 족벌 자본주의(Crony Capitalism)와 경제 위기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5]
3. 6. 현대
2002년, 4지역(Region IV)은 칼라바르존(Calabarzon, Region IV-A)과 미마로파(Mimaropa, Region IV-B)로 분리되었다.[38] 카비테는 남부 타갈로그 본토(Southern Tagalog Mainland)로도 알려진 4-A 지역(Region IV-A)의 일부가 되었다.[39]4. 행정 구역
카비테 주는 15개의 시정촌과 8개의 도시로 구성된다.
도시 또는 시정촌 | 선거구 | 인구 | 연간 증가율 | 면적 | 밀도 | 바랑가이 수 | 좌표 |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colspan=2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
알폰소 | 8th | 59,306 | 51,839 | 2.64% | 66.58 | 25.71 | 891 | 2,302 | 32 | |||
아마데오 | 7th | 41,901 | 37,649 | 2.11% | 36.92 | 14.25 | 1,135 | 2,939 | 26 | |||
헤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 | 8th | 23,973 | 22,220 | 1.48% | 42.13 | 16.27 | 569 | 1,474 | 14 | |||
헤네랄 마리아노 알바레스 | 5th | 172,433 | 155,143 | 2.08% | 9.40 | 3.63 | 18,344 | 47,509 | 27 | |||
인당 | 7th | 68,699 | 65,599 | 0.90% | 74.90 | 28.92 | 917 | 2,376 | 36 | |||
카윗 | 1st | 107,535 | 83,466 | 5.15% | 25.15 | 9.71 | 4,276 | 11,074 | 23 | |||
마갈라네스 | 8th | 23,851 | 22,727 | 0.94% | 73.07 | 28.21 | 326 | 845 | 16 | |||
마라곤돈 | 8th | 40,687 | 37,720 | 1.48% | 164.61 | 63.56 | 247 | 640 | 27 | |||
멘데즈 | 8th | 34,879 | 31,529 | 2.01% | 43.27 | 16.71 | 806 | 2,087 | 24 | |||
나익 | 8th | 160,987 | 111,454 | 7.62% | 75.81 | 29.27 | 2,123 | 5,499 | 30 | |||
노벨레타 | 1st | 49,452 | 45,846 | 1.47% | 16.43 | 6.34 | 3,010 | 7,795 | 16 | |||
로사리오 | 1st | 110,807 | 110,706 | 0.02% | 7.61 | 2.94 | 14,561 | 37,712 | 20 | |||
실랑 | 5th | 295,644 | 248,085 | 3.53% | 209.43 | 80.86 | 1,412 | 3,656 | 64 | |||
탄자 | 7th | 312,116 | 226,188 | 6.54% | 78.33 | 30.24 | 3,985 | 10,319 | 41 | |||
터네이트 | 8th | 24,653 | 23,157 | 1.22% | 59.93 | 23.14 | 411 | 1,065 | 10 | |||
합계 | 4,344,829 | 3,678,301 | 3.37% | 1,574.17 | 607.79 | 2,761 | 7,150 | 829 | scope="col" style="font-style:italic;" | |
카비테 주의 시정촌은 알폰소, 아마데오, 헤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 헤네랄 마리아노 알바레스, 인당, 카윗, 마갈라네스, 마라곤돈, 멘데즈, 나익, 노벨레타, 로사리오, 실랑, 탄자, 터네이트가 있다.
4. 1. 도시
카비테 주는 15개의 시정촌과 8개의 도시로 구성된다.도시 또는 시정촌 | 선거구 | 인구 | 면적 | 밀도 | 좌표 |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colspan=2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
바코르 | ∗ | 2nd | 664,625 | 600,609 | 2.16% | 46.17 | 17.83 | 14,000 | 37,000 | 47 | ||
카르모나 | ∗ | 5th | 106,256 | 97,557 | 1.75% | 29.68 | 11.46 | 3,600 | 9,300 | 14 | ||
카비테시 | ∗ | 1st | 100,674 | 102,806 | -0.43% | 10.89 | 4.20 | 9,200 | 24,000 | 84 | ||
다스마리냐스 | ∗∞ | 4th | 703,141 | 659,019 | 1.31% | 90.13 | 34.80 | 7,800 | 20,000 | 75 | ||
헤네랄 트리아스 | ∗ | 6th | 450,583 | 314,303 | 7.50% | 90.01 | 34.75 | 5,000 | 13,000 | 33 | ||
이무스 | † | 3rd | 496,794 | 403,785 | 4.14% | 53.15 | 20.52 | 9,300 | 24,000 | 97 | ||
타가이타이 | ∗ | 8th | 85,330 | 71,181 | 3.66% | 65.00 | 25.10 | 1,300 | 3,400 | 34 | ||
트레세 마르티레스 | †∗ | 7th | 210,503 | 155,713 | 6.16% | 39.10 | 15.10 | 5,400 | 14,000 | 13 | ||
알폰소 | 8th | 59,306 | 51,839 | 2.78% | 66.58 | 25.71 | 890 | 2,300 | 32 | |||
아마데오 | 7th | 41,901 | 37,649 | 2.17% | 36.92 | 14.25 | 1,100 | 2,800 | 26 | |||
헤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 | 8th | 23,973 | 22,220 | 1.53% | 42.13 | 16.27 | 570 | 1,500 | 14 | |||
헤네랄 마리아노 알바레스 | 5th | 172,433 | 155,143 | 2.14% | 9.40 | 3.63 | 18,000 | 47,000 | 27 | |||
인당 | 7th | 68,699 | 65,599 | 0.92% | 74.90 | 28.92 | 920 | 2,400 | 36 | |||
카윗 | 1st | 107,535 | 83,466 | 5.13% | 25.15 | 9.71 | 4,300 | 11,000 | 23 | |||
마갈라네스 | 8th | 23,851 | 22,727 | 0.97% | 73.07 | 28.21 | 330 | 850 | 16 | |||
마라곤돈 | 8th | 40,687 | 37,720 | 1.53% | 164.61 | 63.56 | 250 | 650 | 27 | |||
멘데즈 | 8th | 34,879 | 31,529 | 2.04% | 43.27 | 16.71 | 810 | 2,100 | 24 | |||
나익 | 8th | 160,987 | 111,454 | 7.67% | 75.81 | 29.27 | 2,100 | 5,400 | 30 | |||
노벨레타 | 1st | 49,452 | 45,846 | 1.52% | 16.43 | 6.34 | 3,000 | 7,800 | 16 | |||
로사리오 | 1st | 110,807 | 110,706 | 0.02% | 7.61 | 2.94 | 15,000 | 39,000 | 20 | |||
실랑 | 5th | 295,644 | 248,085 | 3.53% | 209.43 | 80.86 | 1,400 | 3,600 | 64 | |||
탄자 | 7th | 312,116 | 226,188 | 6.63% | 78.33 | 30.24 | 4,000 | 10,000 | 41 | |||
터네이트 | 8th | 24,653 | 23,157 | 1.26% | 59.93 | 23.14 | 410 | 1,100 | 10 | |||
합계 | 4,344,829 | 3,678,301 | 3.37% | 1,574.17 | 607.79 | 2,800 | 7,100 | 829 | scope="col" style="font-style:italic;" | | |||
colspan="13" | | list_style_type=upper-alpha | 좌표는 도시/읍 중심지를 표시하며, 위도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
카비테 주의 주요 도시로는 바코르, 카르모나, 카비테시, 다스마리냐스, 헤네랄 트리아스, 이무스(주도), 타가이타이, 트레세 마르티레스 등이 있다.
4. 2. 시정촌
카비테주는 15개의 시정촌과 8개의 도시로 구성된다.도시 또는 시정촌 | 선거구 | 인구 | 연간 증가율 | 면적 | 밀도 | 바랑가이 수 | 좌표 |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colspan=2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
알폰소 | 8th | 59,306 | 51,839 | 2.64% | 66.58 | 25.71 | 891 | 2,302 | 32 | |||
아마데오 | 7th | 41,901 | 37,649 | 2.11% | 36.92 | 14.25 | 1,135 | 2,939 | 26 | |||
헤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 | 8th | 23,973 | 22,220 | 1.48% | 42.13 | 16.27 | 569 | 1,474 | 14 | |||
헤네랄 마리아노 알바레스 | 5th | 172,433 | 155,143 | 2.08% | 9.40 | 3.63 | 18,344 | 47,509 | 27 | |||
인당 | 7th | 68,699 | 65,599 | 0.90% | 74.90 | 28.92 | 917 | 2,376 | 36 | |||
카윗 | 1st | 107,535 | 83,466 | 5.15% | 25.15 | 9.71 | 4,276 | 11,074 | 23 | |||
마갈라네스 | 8th | 23,851 | 22,727 | 0.94% | 73.07 | 28.21 | 326 | 845 | 16 | |||
마라곤돈 | 8th | 40,687 | 37,720 | 1.48% | 164.61 | 63.56 | 247 | 640 | 27 | |||
멘데즈 | 8th | 34,879 | 31,529 | 2.01% | 43.27 | 16.71 | 806 | 2,087 | 24 | |||
나익 | 8th | 160,987 | 111,454 | 7.62% | 75.81 | 29.27 | 2,123 | 5,499 | 30 | |||
노벨레타 | 1st | 49,452 | 45,846 | 1.47% | 16.43 | 6.34 | 3,010 | 7,795 | 16 | |||
로사리오 | 1st | 110,807 | 110,706 | 0.02% | 7.61 | 2.94 | 14,561 | 37,712 | 20 | |||
실랑 | 5th | 295,644 | 248,085 | 3.53% | 209.43 | 80.86 | 1,412 | 3,656 | 64 | |||
탄자 | 7th | 312,116 | 226,188 | 6.54% | 78.33 | 30.24 | 3,985 | 10,319 | 41 | |||
터네이트 | 8th | 24,653 | 23,157 | 1.22% | 59.93 | 23.14 | 411 | 1,065 | 10 | |||
합계 | 4,344,829 | 3,678,301 | 3.37% | 1,574.17 | 607.79 | 2,761 | 7,150 | 829 | scope="col" style="font-style:italic;" | |
- 카비테 주의 시정촌은 알폰소, 아마데오, 헤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 헤네랄 마리아노 알바레스, 인당, 카윗, 마갈라네스, 마라곤돈, 멘데스, 나익, 노벨레타, 로사리오, 실랑, 탄자, 터네이트가 있다.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비테주의 총 인구는 4,344,829명이다. 세부주를 제외하면 필리핀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주이며, 인구 밀도가 두 번째로 높은 주이다. 1990년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인구가 급증했는데, 투자자들이 여러 산업 단지에 사업을 설립하면서 카비테주가 제공하는 일자리 기회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주했기 때문이다. 인구 증가에 기여한 또 다른 요인은 주택 단지의 급증이다. 카비테주는 마닐라 대도시권과 가까워 대도시권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가족과 함께 이곳에 거주하는 것을 선택한다. 자연 증가 또한 인구 증가에 기여한다.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른 카비테주의 인구 밀도는 2,800명/km2이다.[51]
카비테주의 도시와 자치체 중에서는 다스마리냐스시의 인구가 703,141명으로 가장 많고, 마갈라네스 자치체의 인구가 23,851명으로 가장 적다.
카비테주는 인구의 90.69%가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9.21%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주로 도시화된 주로 분류된다.
5. 1. 종교
카비테주에서는 기독교가 주요 종교이며, 가톨릭, 프로테스탄트 및 기타 독립 기독교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의 70%는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이무스 교구의 관할 하에 있다.[52][53] 필리핀 독립 교회(Aglipayan Church) 신자들은 카비테 교구의 관할 하에 있다.
동방 정교회는 필리핀 정교회의 일부이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관할 하에 있다.[54]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는 65개의 지역 교회를 가지고 있으며,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도 카비테에 있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는 필리핀 재림대학교, 재림대학교 국제 고등연구원, 남아시아 태평양 지부 및 카비테 선교부와 같은 주요 기관을 카비테주에 설립했다.[55][56]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MCGI)는 카비테주 전역에 조정 센터와 컨벤션 센터를 설립했다.
필리핀 민다나오 섬 출신 무슬림 이주민, 카비테 지역 출신 회심자(Balik Islam), 무슬림 국가에서 돌아온 필리핀 해외근로자(OFW) 배우자와 자녀, 그리고 일부 외국인 거주자들의 유입으로 인해, 샤피이 또는 한발리 학파의 수니파 이슬람이 카비테주 여러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기독교 이외 종교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다수 기독교인과 소수 무슬림 사이의 종교 간 대화와 공동체 관계는 평화롭고 우호적이며, 기독교인과 무슬림 구성원이 모두 있는 가족도 일부 있다.
비아브라함계 종교로는 타갈로그 토착 신앙인 아니티즘, 애니미즘, 시크교, 그리고 힌두교가 있다. 현지 중국계와 중국계 필리핀인 공동체 사이에서는 도교, 불교, 그리고 유교가 전파되어 있다.
5. 2. 언어
카비테 주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는 타갈로그어와 영어이다.[57] 카비테 주에서는 타갈로그어의 방언인 카비테뇨어가 사용된다. 북부 지역(메트로 마닐라 인접 지역)으로의 이주민 유입으로 인해 비콜라노어, 세부아노어, 일로카노어, 힐리가이논어 등 다른 지역 언어도 사용된다.[57]카비테 시티와 테르나테에서는 스페인어 기반 크레올어인 차바카노어가 사용된다.[58] 차바카노어는 3세기 전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한 후 카비테 시티와 테르나테에 거주하는 카비테뇨들이 사용했다.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여러 집단들은 서로 의사소통하기 위해 주로 스페인어 어휘를 사용하는 피진어를 채택했고, 카비테의 아이들이 이 피진어를 모국어로 성장하면서 크레올어로 발전했다.[58] 2차 세계 대전 이후 수도권의 크레올 스페인어 사용자들은 사라졌지만, 현재 약 3만 명의 카비테뇨, 대부분 노년층이 여전히 차바카노어를 사용하고 있다.[58] 이 언어는 현재 카비테 시티와 테르나테의 초등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 K-12 국가 교육과정의 일부로 가르치고 있다.[58]
6. 경제
카비테 주는 빠른 도시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농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식량 안보에 기여하고 있다.[59] 벼, 옥수수, 커피, 코코넛, 절화, 채소 등이 주요 농작물이다.[59]
돼지 사육, 가금류 사육, 염소 및 소 사육을 포함한 축산업도 활발하다.[59] 카비테 주의 기후는 작물 재배와 축산업을 병행하는 통합 농업에 적합하다.
어업은 풍부한 해양 자원을 바탕으로 카비테 주민들에게 중요한 생계 수단을 제공한다.[59] 저지대와 고지대 일부 지역에서는 굴, 홍합, 새우, 방어 등을 양식하는 양식업이 발달하였다.[59] 멸치젓과 같은 수산물 가공 및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
마라곤돈(Maragondon) 시는 카비테 주에서 가장 넓은 농업용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카비테시티(Cavite City)는 농업 관련 토지가 없다. 실랑(Silang), 인당(Indang), 나익(Naic), 알폰소(Alfonso) 등이 주요 농업 지역이다. 특히 실랑은 파인애플, 커피, 절화 생산으로 유명하다. 헤네랄 트리아스(General Trias)와 나익은 주요 쌀 생산 지역이다.
카비테 주는 활발한 산업 단지 개발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다. 2009년 기준, 약 2939 헥타르에 달하는 산업 단지가 운영 중이며,[42] 12개의 경제특구가 있다. 헤네랄 트리아스에 위치한 PEC 산업단지는 177 헥타르 규모로, 의류, 섬유, 반도체, 식품 가공, 제약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포함한다.[59]
젠더럴 트리아스의 주택 개발 지역을 보여주는 항공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건조 지역은 주거 및 산업 시설, 그리고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는 상업 및 비즈니스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필리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카비테에는 611,450세대의 거주 주택이 있다. 2009년까지 주택 및 토지 이용 규제 위원회에 따르면, 카비테 주에는 분양 허가를 받은 주택 단지가 약 1,224개 있으며, 이는 9,471 헥타르의 면적을 차지한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투자와 진출이 활발한 지역으로, 전자, 반도체,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기업들이 카비테 주에 공장 및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카비테주의 광업은 규모는 작지만, 상당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42] 2022년 기준, 카비테에는 골재 채석장 3곳이 가동 중이며 279명을 고용하고 있다. 주로 충전재, 자갈, 모래를 채취하는 골재 채석이 이루어진다.[42] 카비트(Kawit)에서는 흑사가 발견되며, 노벨레타(Noveleta)에서는 자체적인 소금 생산품이 있다. 마갈라네스(Magallanes)에는 자갈 매장량이 있으며, 알폰소(Alfonso), 카르모나(Carmona), 헤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Gen. Emilio Aguinaldo), 나이크(Naic), 테르나테(Ternate), 마라고돈(Maragondon), 실랑(Silang)에서는 모래와 자갈 매장량이 발견된다.[42] 또한 응회암 지역에서는 아도비 석재 채석장이 번성하고 있다.[42]
6. 1. 농업
카비테 주는 빠른 도시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농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식량 안보에 기여하고 있다.[59] 벼, 옥수수, 커피, 코코넛, 절화, 채소 등이 주요 농작물이다.[59]돼지 사육, 가금류 사육, 염소 및 소 사육을 포함한 축산업도 활발하다.[59] 카비테 주의 기후는 작물 재배와 축산업을 병행하는 통합 농업에 적합하다.
어업은 풍부한 해양 자원을 바탕으로 카비테 주민들에게 중요한 생계 수단을 제공한다.[59] 저지대와 고지대 일부 지역에서는 굴, 홍합, 새우, 방어 등을 양식하는 양식업이 발달하였다.[59] 멸치젓과 같은 수산물 가공 및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
마라곤돈(Maragondon) 시는 카비테 주에서 가장 넓은 농업용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카비테시티(Cavite City)는 농업 관련 토지가 없다. 실랑(Silang), 인당(Indang), 나익(Naic), 알폰소(Alfonso) 등이 주요 농업 지역이다. 특히 실랑은 파인애플, 커피, 절화 생산으로 유명하다. 헤네랄 트리아스(General Trias)와 나익은 주요 쌀 생산 지역이다.
6. 2. 산업 및 상업
카비테 주는 활발한 산업 단지 개발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다. 2009년 기준, 약 2939 헥타르에 달하는 산업 단지가 운영 중이며,[42] 12개의 경제특구가 있다. 헤네랄 트리아스에 위치한 PEC 산업단지는 177 헥타르 규모로, 의류, 섬유, 반도체, 식품 가공, 제약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포함한다.[59]젠더럴 트리아스의 주택 개발 지역을 보여주는 항공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건조 지역은 주거 및 산업 시설, 그리고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는 상업 및 비즈니스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필리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카비테에는 611,450세대의 거주 주택이 있다. 2009년까지 주택 및 토지 이용 규제 위원회에 따르면, 카비테 주에는 분양 허가를 받은 주택 단지가 약 1,224개 있으며, 이는 9,471 헥타르의 면적을 차지한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투자와 진출이 활발한 지역으로, 전자, 반도체,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기업들이 카비테 주에 공장 및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6. 3. 광업
카비테주의 광업은 규모는 작지만, 상당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42] 2022년 기준, 카비테에는 골재 채석장 3곳이 가동 중이며 279명을 고용하고 있다. 주로 충전재, 자갈, 모래를 채취하는 골재 채석이 이루어진다.[42] 카비트(Kawit)에서는 흑사가 발견되며, 노벨레타(Noveleta)에서는 자체적인 소금 생산품이 있다. 마갈라네스(Magallanes)에는 자갈 매장량이 있으며, 알폰소(Alfonso), 카르모나(Carmona), 헤네랄 에밀리오 아기날도(Gen. Emilio Aguinaldo), 나이크(Naic), 테르나테(Ternate), 마라고돈(Maragondon), 실랑(Silang)에서는 모래와 자갈 매장량이 발견된다.[42] 또한 응회암 지역에서는 아도비 석재 채석장이 번성하고 있다.[42]7. 문화
카비테주는 풍년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여러 축제를 개최하며, 이는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역사적 유산을 기리는 의미도 지니고 있다. 카비테주는 주민들의 영웅적인 행적을 기념하는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지닌 유명한 칼라얀 축제(Kalayaan Festival)를 개최한다. 매년 열리는 ''피에스타 데 라 레이나 델 프로빈시아 데 카비테(Fiesta de la Reina del Provincia de Cavite)''는 카비테 시(Cavite City)의 수호 성인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솔레다드 데 포르타 바가(Nuestra Señora de la Soledad de Porta Vaga)''를 기리는 성대한 축제이다. 이 성상은 카비테 시(Cavite City)의 산 로케 교회에 모셔져 있으며, 매년 11월 둘째, 셋째 주일에 축일이 기념된다.
전통과 축제에는 테르나테(Ternate) 마을에서 열리는 전쟁 춤인 ''마르디카스(Mardicas)''가 포함된다. 해안 마을에서는 강 행렬과 함께 ''카라콜(Karakol)'' 거리 춤이 흔히 열린다. 또한 감사와 병자 치유를 위한 ''상히양(Sanghiyang)''이라는 식민지 이전의 의식도 있다. 또 다른 문화적 전통으로는 부활절(Holy Week)에 열리는 ''비아 크루치스(Live via Crucis) 또는 칼바리오 니 헤수스(Kalbaryo ni Hesus)''가 있다. 매년 12월 24일 자정 미사 시작 전에 카윗(Kawit)에서 열리는 ''마이티니스(Maytinis)'' 또는 말로 하는 기도도 있다.
카비테 주에서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 칼라얀 축제 (Kalayaan Festival): 매년 5월 28일부터 6월 12일까지 2주 동안 독립 기념일을 기념하는 행사로, 카비테 주 전역에서 개최된다.
- 피에스타 데 라 레이나 데 카비테 (Fiesta de la Reina de Cavite): 카비테 시티의 수호성인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솔레다드 데 포르타 바가 (Nuestra Señora de la Soledad de Porta Vaga)를 기리는 축제로, 매년 11월 둘째, 셋째 일요일에 열린다. 카비테 시티 축제로도 알려져 있다.
- 레가다 축제 (Regada Festival): 카비테 시티에서 열리는 "물 축제"로, 물 튀기기, 콘서트, 무역 박람회, 사진 전시회, 거리 춤, 게임 등으로 구성된다. 세례자 요한을 기념하여 6월 22일부터 24일까지 사흘 동안 열린다.
- 파히미스 축제 (Pahimis Festival): 아마데오에서 열리는 "커피 축제"로, 시의 풍부한 커피 수확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열린다. 커피 컨벤션, 미인 대회, 거리 춤, 무역 박람회 등이 열리며, 모두에게 무료로 커피가 제공된다. 매년 2월 둘째 주에 열린다.
- 마이티니스 (Maytinis): 카윗에서 12월 24일 자정에 화려한 플로트와 의상을 입은 행렬을 통해 그리스도의 탄생을 재현하는 행사이다.
- 와가이와이 축제 (Wagayway Festival): 이무스에서 매년 5월 28일에 열리는 행사로, 가정에서 필리핀 국기를 게양하도록 장려하며, 카비테 거리에서 동시에 국기를 흔든다. 전시회, 무역 박람회, 제품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알라판 전투를 기념하고 도 전역의 칼라얀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축제이기도 하다.
이 외에도, 발렌시아나 축제, 이록 축제, 카부테뇨 축제, 카카닌다요그 축제, 카와얀 축제, 마칭 밴드 축제, 마르디카스, 파스쿠한 사 이무스, 피스타 응가 푸소, 사피야우 축제, 실랑 프루타스 축제, 소르테오 응 부키드, 수밀랑 축제, 타홍 축제, 티나파 축제, 파루파로 축제등이 있다.
카비테주는 매년 3월 10일 창립 기념일을 기념하며, 3월 22일에는 필리핀 제1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생일을 기념한다. 매년 6월 12일에는 카윗에서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저택에서 필리핀 독립 선포를 재현하며 독립기념일을 기념한다.
7. 1. 축제
카비테 주에서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칼라얀 축제 (Kalayaan Festival): 매년 5월 28일부터 6월 12일까지 2주 동안 독립 기념일을 기념하는 행사로, 카비테 주 전역에서 개최된다.
- 피에스타 데 라 레이나 데 카비테 (Fiesta de la Reina de Cavite): 카비테 시티의 수호성인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솔레다드 데 포르타 바가 (Nuestra Señora de la Soledad de Porta Vaga)를 기리는 축제로, 매년 11월 둘째, 셋째 일요일에 열린다. 카비테 시티 축제로도 알려져 있다.
- 레가다 축제 (Regada Festival): 카비테 시티에서 열리는 "물 축제"로, 물 튀기기, 콘서트, 무역 박람회, 사진 전시회, 거리 춤, 게임 등으로 구성된다. 세례자 요한을 기념하여 6월 22일부터 24일까지 사흘 동안 열린다.
- 파히미스 축제 (Pahimis Festival): 아마데오에서 열리는 "커피 축제"로, 시의 풍부한 커피 수확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열린다. 커피 컨벤션, 미인 대회, 거리 춤, 무역 박람회 등이 열리며, 모두에게 무료로 커피가 제공된다. 매년 2월 둘째 주에 열린다.
- 마이티니스 (Maytinis): 카윗에서 12월 24일 자정에 화려한 플로트와 의상을 입은 행렬을 통해 그리스도의 탄생을 재현하는 행사이다.
- 와가이와이 축제 (Wagayway Festival): 이무스에서 매년 5월 28일에 열리는 행사로, 가정에서 필리핀 국기를 게양하도록 장려하며, 카비테 거리에서 동시에 국기를 흔든다. 전시회, 무역 박람회, 제품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알라판 전투를 기념하고 도 전역의 칼라얀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축제이기도 하다.
이 외에도, 발렌시아나 축제, 이록 축제, 카부테뇨 축제, 카카닌다요그 축제, 카와얀 축제, 마칭 밴드 축제, 마르디카스, 파스쿠한 사 이무스, 피스타 응가 푸소, 사피야우 축제, 실랑 프루타스 축제, 소르테오 응 부키드, 수밀랑 축제, 타홍 축제, 티나파 축제, 파루파로 축제등이 있다.
카비테주는 매년 3월 10일 창립 기념일을 기념하며, 3월 22일에는 필리핀 제1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생일을 기념한다. 매년 6월 12일에는 카윗에서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저택에서 필리핀 독립 선포를 재현하며 독립기념일을 기념한다.
7. 2. 전통
8. 관광
타가이타이가 이 주의 주요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역사적 명소로는 카비테 시티에 있는 산펠리페 요새와 상글리 포인트, 코레히도르섬, 헤네랄 트리아스, 노벨레타의 칼레로 다리, 이무스의 알라판 전투 기념비와 깃발, 바코르의 사포테 다리, 카윗의 비나카얀 전투 기념비, 로사리오의 테헤로스 협약 장소, 그리고 카윗에서 필리핀 독립이 선포된 아기날도 신전이 있다.
여러 오래된 교회들이 카비테 주에서 가톨릭 신앙이 어떻게 번성했는지를 보여주는 영광스러운 상징으로 남아 있다. 기존 박물관으로는 헤네랄 트리아스의 헤로니모 데 로스 레이스 박물관, 다스마리냐스의 무세오 드 라 살레, 카비테 시티의 필리핀 해군 박물관, 카윗의 발도메로 아기날도 박물관, 그리고 카비테 시티의 카비테 시티 도서관 박물관이 있다. 이 주에는 세계적인 수준의 골프 코스가 8개 있다. 자연 경관은 대부분 타가이타이 능선, 마라곤돈의 마카바그 동굴, 아마데오의 발리테 폭포, 헤네랄 아기날도-마갈라네스 경계 지역의 말리비클리빅 폭포, 테르나테와 마라곤돈의 팔라이-팔라이 산과 마타아스 나 굴로드 국립공원, 마갈라네스의 시티오 부하이 미분류 삼림, 그리고 꽃, 채소, 커피 농장과 같은 고지대에서 주로 발견된다.
카윗에 있는 아기날도 신전과 박물관은 필리핀 초대 대통령인 아기날도 장군이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독립을 선포한 곳이다. 현재 1층은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역사적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아기날도의 묘는 집 뒤편 정원에 있다.
헤네랄 트리아스에 있는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하우스는 필리핀 혁명 지도자의 전 집이다. 마라곤돈에 있는 그의 군사재판 장소도 보존되어 있다.
다른 역사적 장소로는 알라판 전투와 줄리안 다리 전투 기념비, 티로나의 집, 산펠리페 요새가 있다.
이 주의 주요 교회로는 이무스 대성당, 기적적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솔레다드 데 포르타 바가상이 모셔져 있는 카비테 시티의 산 로케 성당, 바코르, 실랑, 나익, 다스마리냐스, 탄자, 테르나테, 인당, 헤네랄 트리아스, 카윗, 그리고 마라곤돈의 가톨릭 교회가 있다. 실랑의 라 살레트 성모 성지와 타가이타이의 성 안나 성지도 순례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코레히도르는 1942년 필리핀과 미국군이 일본 침략자들과 싸운 섬 요새이다. 터널, 대포, 그리고 다른 전쟁 시설들이 잘 보존되어 있어 관광 명소가 되었다.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유명한 말인 "돌아오겠다!"가 코레히도르와 관련이 있다.
외국인 관광객과 국내 관광객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일급 호텔, 여관 및 숙박 시설이 있다. 이 주의 여러 컨벤션 센터, 호텔 및 리조트에서 회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레스토랑과 특선 요리 식당에서는 버섯 요리, 향토 음식 및 이국적인 요리를 제공한다. 해산물, 과일, 커피, 유기농 채소, 티나파, 수공예품, 관상용 식물도 이 주에 풍부하다.
등산 또한 카비테의 야외 활동 중 하나이다. 여기에는 테르나테와 마라곤돈(일부는 이미 바탕가스에 속함) 마을에 있는 피코 드 로로 산이 포함되는데, 이 산은 팔라이-팔라이와 마타아스 나 굴로드 보호 지역의 일부이다. 피코 드 로로 산은 해발 664미터로 카비테에서 가장 높은 곳이며, 정상에서 360도 전망과 등산객들이 오르기를 좋아하는 앵무새 부리 또는 석탑으로 알려진 절벽으로 유명하다.[60] 마갈라네스 마을에 있는 같은 산맥에 있는 마라미 산 또한 정상에 있는 "실리앙 바토"(영어로 Chair of rocks) 때문에 등산 장소이다.[61]
22개의 공인 관광 시설과 3개의 공인 관광 가이드가 있다. 필리핀 관광부와 함께 마련된 관광 패키지도 있다.
8. 1. 역사 유적지
카비테 주에는 다음과 같은 역사 유적지가 있다.- 아기날도 신전 (Aguinaldo Shrine): 카윗에 위치하며, 필리핀 독립 선언이 이루어진 장소이다.
-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하우스 (Andres Bonifacio House): 헤네랄 트리아스에 위치하며, 필리핀 혁명 지도자인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의 집이다.
- 산펠리페 요새 (Fort San Felipe): 카비테 시에 위치한 스페인 시대 요새이다.
- 코레히도르 섬 (Corregidor Island):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요새 섬으로 사용되었다.
분류:카비테주
8. 2. 자연 경관
카비테 주는 다양한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 타가이타이 능선은 시원한 기후와 함께 탈 호수와 탈 화산의 아름다운 전망을 제공한다. 피코 드 로로 산(Mt. Pico de Loro)과 마라미 산(Mt. Marami)은 등산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이다. 아마데오에는 발리테 폭포, 헤네랄 아기날도-마갈라네스 경계 지역에는 말리비클리빅 폭포가 있다. 그 외에도 팔사징긴 폭포(인당), 탈론-부타스 폭포(헤네랄 아기날도), 살루소이 폭포(알폰소), 탈라 강(헤네랄 아기날도), 우토드 폭포(마갈라네스), 마양 폭포(트레세 마르티레스 시), 판티한 폭포(마라곤돈) 등 다양한 폭포와 강이 있다.8. 3. 종교 성지
카비테 주에는 다음과 같은 종교 성지가 있다. 이무스 대성당(Imus Cathedral)은 이무스에 있고, 산 로케 성당(San Roque Church)은 카비테시에 위치한다. 라 살레트 성모 성지(Our Lady of La Salette Shrine)는 실랑에 있으며, 성 안나 성지(St. Anne Shrine)는 타가이타이에 위치한다.9. 교통
카비테 주는 마닐라 대도시권과 인접하여 도로 교통이 발달해 있다. 주요 고속도로로는 아기날도 고속도로(Aguinaldo Highway), 주지사 드라이브(Governor's Drive), 안테로 소리아노 고속도로(Antero Soriano Highway) 등이 있다.[62][63]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Manila–Cavite Expressway, CAVITEX)는 바코르(Bacoor) 지역 아기날도 고속도로의 극심한 교통 체증을 감소시켜 이무스(Imus)에서 바클라란/파사이(Baclaran/Pasay)까지의 이동 시간을 단 1시간으로 단축시켰다.
2013년에는 카이비앙 터널(Kaybiang Tunnel)이 개통되어 마닐라에서 카비테 서쪽 해안과 나수그부(Nasugbu)까지의 이동 시간이 단축되었다.[64]
9. 1. 건설/계획 중인 교통 프로젝트
교통부는 상글리 포인트 매립지에 5,080억 필리핀 페소(₱508,000,000,000) 규모의 상글리 국제공항 건설 제안에 대해 "이견 없음"을 표명했다. 이 공항은 중국 기업 등 투자자들과 카비테 지방자치단체(LGU)의 합작 투자 사업으로 추진되었다.[65]카비테-라구나 고속도로(CALAX)는 카비테 주와 라구나 주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로, 총 길이는 약 47km이다. 카윗의 CAVITEx와 비냔의 남부 루손 고속도로를 연결하며, 2024년 현재 비냔에서 실랑, 카비테까지 부분적으로 운영 중이다. 완공 시 아구날도 고속도로, 산타 로사-타가이타이 도로, 주지사 드라이브의 교통 혼잡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비테-타가이타이-바탕가스 고속도로(CTBEx)는 카비테 주 실랑에서 바탕가스 주 나수그부까지 연결하는 고속도로 건설 계획이다.
LRT 1호선 남부 연장 사업은 파라냐케, 라스피냐스 및 카비테 주의 바코르 시까지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클라란에서 니오그까지 11.7km에 달하는 경전철 노선은 시간당 방향당 40,000명의 승객 수송 능력을 갖도록 계획되었다. 2024년 11월 1단계 운영이 예정되어있다.
LRT 6호선 사업은 LRT 시스템을 니오그 역에서 다스마리냐스까지 19km 연장할 계획이다.
참조
[1]
뉴스
Cavite and what they're selling there
http://lifestyle.inq[...]
2015-08-16
[2]
서적
Census of the Philippine Islands Vol. I, 1918
https://books.google[...]
Bureau of Printing, Manila
[3]
웹사이트
Official Provincial 2013 Election Results
http://www.comelec.g[...]
Commission on Elections (COMELEC)
2013-09-11
[4]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5]
웹사이트
Quick Facts
https://web.archive.[...]
2012-06-30
[6]
서적
History of Cavite: the mother ground of the Philippine Revolution, independence, flag, and national anthem
[7]
서적
Vignettes of Philippine History
[8]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Cavite – Cavite City
https://web.archive.[...]
[9]
서적
Vergleichende Kolonialtoponomastik Strukturen und Funktionen kolonialer Ortsbenennung
De Gruyter
2018
[10]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11]
서적
The Manila-Acapulco Galleons: The Treasure Ships of the Pacific
AuthorHouse
[12]
문서
Travel Accounts
[13]
서적
Forced Migration in the Spanish Pacific World
[14]
PhD
Cavite Chabacano Philippine Creole Spanish: Description and Typology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5
[15]
저널
The Philippines Glimpsed in the First Latin-American "Novel"
https://www.jstor.or[...]
[16]
웹사이트
Convicts or Conquistadores?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Century Pacific
https://academic.oup[...]
[17]
서적
Merriam-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Merriam-Webster
1997
[18]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Cavite
https://web.archive.[...]
2013-06-25
[19]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http://www.xeniaedit[...]
[20]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https://ia601608.us.[...]
[21]
웹사이트
Village Green – Winnetka Park District
http://www.winpark.o[...]
[22]
저널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1992
[23]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4]
저널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25]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Yale University Press
1989
[26]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27]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South End Press
1987
[28]
서적
Terrorism and Violence in Southeast Asia: Transnational Challenges to States and Regional Stability: Transnational Challenges to States and Regional Stabil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03-26
[29]
서적
Between Integration and Secession: The Muslim Communities of the Southern Philippines, Southern Thailand and Western Burma/Myanmar
Lexington Books
[30]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31]
뉴스
Philippines martial law: The fight to remember a decade of arrests and torture
https://www.bbc.com/[...]
2022-09-28
[32]
웹사이트
GILLEGO, Bonifacio
https://bantayog.fou[...]
[33]
웹사이트
DIZON, Jose Pacturayan
https://bantayog.fou[...]
[34]
서적
Ang Mamatay Nang Dahil Sa 'Yo: Heroes and Martyrs of the Filipino People in the Struggle Against Dictatorship 1972-1986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2015
[35]
저널
The Incorporation of the Province of Cavite into the World Economy
1990
[36]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 GEN. M. ALVAREZ
http://genmarianoalv[...]
2020-07-23
[37]
웹사이트
Palace in the Sky in Tagaytay
http://www.mytagayta[...]
2013-10-22
[38]
행정명령
Dividing Region IV into Region IV-A and IV-B, Transferring the Province of Aurora to Region III and for Other Purposes
http://nap.psa.gov.p[...]
2002-05-17
[38]
웹사이트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nap.psa.gov.p[...]
[39]
웹사이트
Philippines EIA
http://emb.gov.ph/ei[...]
Emb.gov.ph
[40]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Report 2015: Province of Cavite
http://www.cavite.go[...]
[41]
웹사이트
Provinci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Plan 2011–2016
https://wvphilippine[...]
[42]
웹사이트
Physical and Natural Resources
http://www.cavite.go[...]
[43]
웹사이트
Mount Sungay elevation
https://maps.google.[...]
2012-02-04
[44]
서적
Census of the Philippine Islands Vol. I, 1918
https://books.google[...]
Bureau of Printing, Manila
[45]
웹사이트
Ternate Website
http://ternate-cavit[...]
2011-10-28
[46]
웹사이트
History
http://www.islandcov[...]
2011-10-28
[47]
서적
United States military reservations, National cemeteries, and military parks
https://archive.org/[...]
U.S. Army
[48]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www.cavite.go[...]
[49]
웹사이트
Cavite, Philippines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50]
웹사이트
Weatherbase.com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3-08-03
[51]
뉴스
Cavite population balloons to 3.3 million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52]
웹사이트
Hierarchal Liturgy at Tagaytay
https://philippine-m[...]
2019-08-10
[53]
웹사이트
RUSSIAN CHURCH ESTABLISHES FOUR DIOCESES IN SOUTHEAST ASIA
https://orthochristi[...]
2019-02-27
[54]
웹사이트
Trinity Reformed Baptist Church of Cavite
https://www.thegospe[...]
2024-10-22
[55]
웹사이트
INC Directory
https://directory.ig[...]
2024-10-08
[56]
웹사이트
Cavite Mission of Seventh Day Adventists
https://cavitemissio[...]
2024-10-08
[57]
웹사이트
Authentication challenge pages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58]
웹사이트
Chabacano
http://www.pilipino-[...]
2013-06-25
[59]
웹사이트
Agriculture
http://www.cavite.go[...]
[60]
웹사이트
Mt. Pico de Loro
http://www.maragondo[...]
Maragondon Municipal Government
[61]
웹사이트
Mt. Marami
http://www.maragondo[...]
Maragondon Municipal Government
[62]
서적
The Edinburgh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J. and E. Parker
1832
[63]
학술지
The Eight Churches of Cavite Puerto (1586-1800)
https://www.jstor.or[...]
1987
[64]
뉴스
The nearness of Pico de Loro
http://lifestyle.inq[...]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5-01-23
[65]
뉴스
New tack for Sangley airport project
https://business.inq[...]
Inquirer Business
2019-06-14
[66]
웹사이트
LRT6-Executive Summary English
http://eia.emb.gov.p[...]
[67]
웹사이트
Dr. Hilario D. G. Lara: The Pioneer Of Modern Public Health In The Philippines
https://www.flipscie[...]
Flipscience.ph
2015-01-15
[68]
웹사이트
FRANCISCA TIRONA-BENITEZ
http://nhcp.gov.ph/w[...]
National Historical Institute of the Philippines
[69]
웹사이트
TAGLE Card. Luis Antonio Gokim
https://www.vatican.[...]
2013-01-31
[70]
웹사이트
Weatherbase.com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3-08-03
[71]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72]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Wikidata 참조 필요.
# URL 정보 없음. Wikidat[...]
2000-00-00 # 날짜 정보만 추출. 정확한 날짜는 Wikidata 참조 필요.
[73]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Wikidata 참조 필요.
# URL 정보 없음. Wikidat[...]
2003-00-00 # 날짜 정보만 추출. 정확한 날짜는 Wikidata 참조 필요.
[74]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Wikidata 참조 필요.
# URL 정보 없음. Wikidat[...]
2006-00-00 # 날짜 정보만 추출. 정확한 날짜는 Wikidata 참조 필요.
[75]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Wikidata 참조 필요.
# URL 정보 없음. Wikidat[...]
2012-00-00 # 날짜 정보만 추출. 정확한 날짜는 Wikidata 참조 필요.
[76]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Wikidata 참조 필요.
# URL 정보 없음. Wikidat[...]
2015-00-00 # 날짜 정보만 추출. 정확한 날짜는 Wikidata 참조 필요.
[77]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Wikidata 참조 필요.
# URL 정보 없음. Wikidat[...]
2018-00-00 # 날짜 정보만 추출. 정확한 날짜는 Wikidata 참조 필요.
[78]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Wikidata 참조 필요.
# URL 정보 없음. Wikidat[...]
2021-00-00 # 날짜 정보만 추출. 정확한 날짜는 Wikidata 참조 필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