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마라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마라스주는 필리핀 서 비사야스 지방에 위치한 섬으로, 기마라스 섬과 주변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1581년 스페인 식민 시대에 기독교화가 시작되었으며, 미국 식민 시대를 거쳐 필리핀 독립 이후 유류 유출 사고를 겪었다. 주요 산업은 망고 생산, 관광, 어업 등이며, 특히 '필리핀 망고의 수도'로 불릴 만큼 망고가 유명하다. 5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는 요르단이다. 기마라스는 생태 관광과 종교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비사야스 지방 - 카피스주
필리핀 파나이 섬 북동부에 위치한 카피스주는 "해산물의 수도"라 불리는 풍부한 어장과 로마 가톨릭교의 영향력이 강한 서비사야 지방의 주로, 록사스 시를 주도로 하며 필리핀 초대 대통령 마누엘 로하스의 고향이다. - 서비사야스 지방 - 일로일로주
일로일로주는 필리핀 서부 비사야스 지방에 위치하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섬유 및 설탕 산업으로 번성했고, 현재는 경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주이며, 다양한 산업과 문화적 유산을 가지고 있다. - 필리핀의 해변 - 막탄섬
막탄섬은 필리핀 세부주에 위치한 섬으로, 막탄 세부 국제공항이 있어 교통의 요지이며, 1521년 막탄 전투가 일어난 곳으로 유명하고, 현재는 관광 산업과 수출 가공 구역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 필리핀의 해변 - 보라카이섬
보라카이섬은 필리핀에 위치한 섬으로, 아름다운 해변과 해양 레저 활동으로 유명하며 환경 문제로 폐쇄되었다가 재개방 이후 친환경적인 노력을 통해 회복을 시도한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기마라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별칭 | 필리핀의 망고 수도 |
위치 | 필리핀 |
지역 | 서비사야 지방 |
스페인 정착 | 1581년 |
중심지 | 호르단 |
주지사 | 호아킨 카를로스 라흐만 A. 나와 (NUP) |
부지사 | 존 에드워드 G. 간도 (PDP) |
하원의원 | 마리아 루실 L. 나와 (PDP) |
입법부 | 기마라스 주 의회 |
면적 | 604.57km² |
면적 순위 | 81개 중 77위 |
최대 고도 | 272m |
최대 고도 지점 | 본톡 산 |
인구 (2020년) | 174,613명 |
인구 순위 | 81개 중 74위 |
인구 밀도 | 290명/km² |
인구 밀도 순위 | 81개 중 28위 |
인구 통칭 | 기마라스논 |
행정 구역 | 독립시: 0개 구성 도시: 0개 자치체: 5개 바랑가이: 98개 하원 의원 선거구: 기마라스 선거구 |
시간대 | PHT (UTC+8) |
우편 번호 | 5045–5049 |
지역 번호 | 33 |
ISO 3166-2 | PH-GUI |
GDP (2022년) | ₱161억 3천만 ( $2억 7520만) |
성장률 | 9% 증가 |
사용 언어 | 힐리가이논어 아티어 필리핀어 영어 |
소득 등급 | 4등급 |
웹사이트 | 기마라스 주 공식 웹사이트 |
가장 큰 자치체 | 부에나비스타 |
설립일 | 1992년 5월 22일 |
행정 구역 | |
자치체 | 부에나비스타 호르단 누에바발렌시아 산로렌소 시말루스 |
지리 | |
위치 | 기마라스 섬 |
역사 | |
설립 | 1992년 5월 22일 |
경제 | |
주요 산업 | 농업, 특히 망고 |
2. 역사
곤살로 론킬로 데 페냐롤사는 1581년경 기마라스 원주민을 기독교화하기 위해 정착지를 건설하고, 나유프는 사도 베드로, 이강은 성 안나를 수호성인으로 하는 마을을 조직했다.[1]
기마라스의 복음화는 아우구스티노회가 파나이에 진출할 무렵에 이루어졌다. 아우구스티노회는 나유프와 이강의 예배당을 오톤의 하위 기관으로 설립했다. 고메스 페레즈 다스마리냐스 필리핀 총독은 1591년 펠리페 2세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오톤의 수도자들이 섬을 정기적으로 방문했다고 언급했다.[1]
1742년, 이 섬은 일로일로 두망가스의 관할이 되었고, 1751년 아우구스티노회가 예수회로 대체된 후 도미니코회가 기마라스를 인수했다. 일로일로에 학교를 세우고 몰로와 아레발로에 선교지를 둔 예수회가 섬을 담당했다. 1755년까지 정규 교구로 조직되었고, 인구가 증가하면서 오늘날 부에나비스타인 틸라드에 행정 소재지를 두고 자치구 지위를 부여받았다.[1]
미국 통치 하에 1908년 기마라스 주민들은 시(市) 대통령을 선출할 기회를 얻었다.[4] 더글러스 맥아더는 웨스트포인트 졸업 후 미국 공병대 지휘관으로 일로일로에 와서 현재 맥아더 부두(MacArthur's Wharf)로 명명된 도로와 산토 로사리오 부두를 건설했다.[5] 1903년 11월, 기마라스에서 작업 중 필리핀 강도 또는 게릴라 2명에게 매복 공격을 받았으나 권총으로 사살했다.[5]
필리핀 기마라스는 1966년 6월 18일 ''공화국 법 4667''[8]을 통해 일로일로의 부(sub-)주로 승격되었다. 1992년 5월 22일 국민투표를 통해 정식 주(province)로 선포되었다.[9] 피델 V. 라모스 필리핀 대통령은 에밀리 레루시오-로페스를 초대 주지사로 임명했다.
1995년 ''공화국 법 No. 7896'' 및 ''공화국 법 No. 7897''을 통해[10][11] 시부낙과 산 로렌소가 신설되었다. 두 지방 자치 단체는 1995년 5월 8일 국민투표를 거쳐 공식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 지위를 획득했다. 에르네스토 L. 게달란가가 시부낙의 초대 시장으로, 아르세니오 잠바라노가 산 로렌소의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시부낙의 임시 행정 소재지는 바랑가이 다살(Barangay Dasal), 산 로렌소의 임시 행정 소재지는 바랑가이 카바노(Barangay Cabano)이다.
2006년 8월, 페트론이 용선 계약을 맺은 유조선 MT ''Solar 1''호가 벙커 연료를 싣고 섬 남쪽 해안에서 17km 떨어진 곳에서 침몰하여 24km2를 오염시키는 기마라스 유류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필리핀 해안 경비대는 이를 필리핀 역사상 최악의 유류 유출 사고라고 불렀다. 관계자에 따르면, 맹그로브 1100ha가 피해를 입었으며, 여기에는 탁롱 섬 국립 해양 보호 구역의 일부도 포함되었다.[12]
2. 1. 스페인 식민 시대
곤잘로 론킬로 데 페냐롤사는 1581년경 기마라스 원주민을 기독교화하기 위해 기마라스에 정착지를 건설했다. 그는 부하들과 함께 나유프를 수호성인 사도 베드로의 후원 아래, 이강을 성 안나를 수호성인으로 하는 ''푸에블리시토스''(pueblicitos) 또는 마을을 조직했다.[1]기마라스의 복음화는 프리아들이 파나이에 진출할 무렵에 이루어졌다. 아우구스티노회는 나유프와 이강의 ''비스이타스''(visitas)(예배당)를 오톤, 일로일로의 하위 기관으로 설립했다. 7대 필리핀 총독인 고메스 페레즈 다스마리냐스는 1591년 6월 20일 펠리페 2세 국왕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오톤의 프리아들이 섬을 정기적으로 방문했다고 언급했다.[1]
1742년, 이 섬은 일로일로로 알려진 두망가스의 관할 하에 놓였고, 1751년 아우구스티노회가 예수회로 대체된 후 도미니코회가 기마라스를 인수했다. 일로일로에 학교를 세우고 몰로와 아레발로에 선교지를 둔 예수회가 섬을 담당했다. 1755년까지 이 섬은 정규 교구로 조직되었다. 인구가 상당히 증가하면서 섬은 오늘날 부에나비스타인 틸라드에 행정 소재지를 두고 자치구 지위를 부여받았다.[1]
2. 2. 미국 식민 시대
미국 통치 하에 기마라스 주민들은 1908년에 시(市) 대통령을 선출할 기회를 얻었다.[4]더글러스 맥아더는 23세의 소위 계급으로 웨스트포인트를 갓 졸업하고 미국 공병대의 지휘관 자격으로 일로일로에 왔다. 그는 현재 맥아더 부두(MacArthur's Wharf)로 명명된 도로와 산토 로사리오 부두를 건설했으며, 이들은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5] 1903년 11월, 기마라스에서 작업하던 중 그는 필리핀 강도 또는 게릴라 2명에게 매복 공격을 받았으며, 권총으로 두 명을 사살했다.[5]
2. 3. 필리핀 독립
필리핀 기마라스는 1966년 6월 18일 국회에서 제정된 ''공화국 법 4667''[8]을 통해 일로일로의 부(sub-)주로 승격되었다. 1992년 5월 22일 ''R.A. 7160'' 제462조에 따라 승인된 전환을 비준하기 위해 국민투표가 실시된 후 정식 주(province)로 선포되었다.[9]필리핀 대통령 피델 V. 라모스는 기마라스가 주 지위를 획득한 직후 에밀리 레루시오-로페스를 초대 주지사로 임명했다.
기마라스 주는 원래 부에나비스타, 조던, 누에바 발렌시아의 세 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었다. 1995년 ''공화국 법 No. 7896'' 및 ''공화국 법 No. 7897''을 통해[10][11] 시부낙과 산 로렌소가 신설되었다. 두 개의 새로운 지방 자치 단체는 1995년 5월 8일 지방 선거와 동시에 실시된 국민투표를 거쳐 공식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 지위를 획득했다.
에르네스토 L. 게달란가가 시부낙의 초대 시장으로, 아르세니오 잠바라노가 산 로렌소의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시부낙 지방 자치 단체의 임시 행정 소재지는 바랑가이 다살(Barangay Dasal)에 있으며, 산 로렌소 지방 자치 단체의 임시 행정 소재지는 바랑가이 카바노(Barangay Cabano)에 있다.
2. 3. 1. 기마라스 유류 유출 사고
2006년 8월, 필리핀 최대 정유 회사인 페트론이 용선 계약을 맺은 998톤급 유조선 MT ''Solar 1''호가 240만 리터의 벙커 연료를 싣고 섬 남쪽 해안에서 17km 떨어진 곳에서 침몰하여 24km2를 오염시키는 기마라스 유류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필리핀 해안 경비대는 이를 필리핀 역사상 최악의 유류 유출 사고라고 불렀다. 관계자에 따르면, 맹그로브 1100ha가 피해를 입었으며, 여기에는 탁롱 섬 국립 해양 보호 구역의 일부도 포함되었다.[12]3. 지리
기마라스주는 주로 기마라스 섬과 이나풀루간, 기와논(또는 ''기우아논''), 파노볼론, 나퉁가, 나둘라오를 포함한 여러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주는 서 비사야스 지역의 남동쪽 부분을 차지하며 총 면적은 604.57km2이다.[1]
시부낙 강은 시부낙 시에 28.8km의 길이를 가진 기마라스에서 가장 긴 강이며, 그 다음으로 산 로렌소에 23.7km 길이의 카바노 강, 부에나비스타에 17.4km의 만타징기 강이 있다.
본톡 산은 시부낙 시에 위치해 있으며 해발 약 271.88m로 기마라스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딘룰만 산은 해발 약 267.92m으로 시부낙에 위치한 두 번째로 높은 산이다.
이 주는 5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모든 마을을 포함하는 기마라스의 선거구는 하나뿐이다.
시 | 인구 (2020년) | 면적 (km2) | 인구 밀도 (/km2) | 바랑가이 수 |
---|---|---|---|---|
부에나비스타 | 52,899 | 115.6km2 | 460 | 36 |
요르단 | 39,566 | 126.11km2 | 310 | 14 |
누에바 발렌시아 | 42,771 | 137.12km2 | 310 | 22 |
산 로렌소 | 29,444 | 106.23km2 | 280 | 12 |
시부낙 | 23,162 | 126.81km2 | 180 | 14 |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기마라스의 인구는 187,842명이었으며, 인구 밀도는 310PD/km2이다.[4]
이 주의 사람들은 "기마라스논"이라고 불리며, 이전에 일로일로주의 하위 자치주였기 때문에 주요 언어로 힐리가이논어를 사용한다. 필리피노어와 영어도 널리 사용되고 이해된다.
5. 종교
기마라스주에서 가장 많이 믿는 두 종교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필리핀 독립 교회이다. 요르단에는 비사야와 민다나오 교구를 담당하는 필리핀 독립 교회의 지역 신학대학인 성 바오로 신학대학(SPTS)이 있다.[1]
6. 경제
기마라스 경제 발전을 지원할 잠재력이 가장 큰 분야는 망고, 관광, 캐슈 재배 및 식품 가공이다. 또 다른 확장 분야는 해조류 재배를 포함한 어업이다. 인프라, 역량 강화 이니셔티브, 더 유리한 법률, 더 많은 투자는 이러한 산업의 잠재적 성장을 촉진한 지역 변수의 몇 가지 예이다.
6. 1. 망고 산업
기마라스는 농작물, 특히 망고로 유명하며, 수출되는 모든 망고의 절반이 이 섬에서 생산된다. 이 섬은 세계에서 가장 달콤한 망고 중 하나를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현지 및 외국인 관광객으로부터 "''필리핀 망고의 수도''"라는 별명을 얻었다. 기마라스 망고는 백악관과 버킹엄 궁전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4][15] 기마라스의 연중 가장 큰 행사는 ''망가한 축제''(망고 축제)이다.[16] 생산되는 다양한 망고는 건조 망고, 잼 및 기타 특별한 별미를 만드는 데에도 가장 좋다. 또한 바나나, 토마토, 가지 등 다른 과일과 채소도 생산한다.[17]

6. 2. 빈곤율
필리핀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기마라스주의 빈곤율은 다음과 같다.[19]연도 | 빈곤율 (%) |
---|---|
2000년 | style="text-align:right;" | |
2003년 | style="text-align:right;" | |
2006년 | style="text-align:right;" | |
2009년 | style="text-align:right;" | |
2012년 | style="text-align:right;" | |
2015년 | style="text-align:right;" | |
2018년 | style="text-align:right;" | |
2021년 | style="text-align:right;" | |
7. 교통
강철 또는 유리섬유 페리 보트가 일로일로 시티 프로퍼의 일로일로-기마라스 페리 터미널에서 기마라스주 조던과 부에나비스타로 정기적으로 운항하며, 이동 시간은 약 15~20분이다. 롤온/롤오프 선박은 오전 4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30분에서 1시간 간격으로 일로일로 시 라푸스에서 기마라스주 조던 항구까지 운항하며, 편도 약 30분이 소요된다.
시부낙 항구에서 네그로스옥시덴탈주 풀루판단까지 운항하는 페리도 있다.
8. 관광
기마라스주는 망가한 축제를 비롯하여 생태 관광, 종교 관광 등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8. 1. 생태 관광

이 섬은 성장하는 생태 관광의 목적지이다. 기마라스주 남쪽 해안에 있는 탁롱 섬은 필리핀 정부가 인정한 자연미의 지역이다. 관광객들은 구이시, 알루비호드, 타틀롱 풀로, 나타고 해변과 같은 지역을 자주 방문한다. 아베 마리아 섬은 조던 근처의 또 다른 생태 관광지이다. 일부 관광객들은 섬 동쪽 해안 근처에 위치한 산 로렌조 풍력 발전소를 방문하기도 한다.[1]
8. 2. 문화 관광

기마라스주는 특히 망가한 축제가 열리는 5월에 관광객을 끌어들인다. 축제에서 지역 주민들은 망고에서 영감을 얻은 의상을 입고 섬 주변을 순회하는 퍼레이드에서 망고 테마의 플로트를 디자인한다. 망고 재료를 사용한 패스트리 및 과자, 미가공 망고도 비교적 대량으로 판매된다. 관광에는 오로 베르데 망고 농장과 같은 섬 전역의 농업 지역 방문도 포함된다.
이 섬은 또한 성장하는 생태 관광의 목적지이다. 기마라스주 남쪽 해안에 있는 탁롱 섬은 필리핀 정부가 인정한 자연미의 지역이다. 관광객들은 구이시, 알루비호드, 타틀롱 풀로, 나타고 해변과 같은 지역을 자주 방문한다. 아베 마리아 섬은 조던 근처의 또 다른 생태 관광지이다. 일부 관광객들은 섬 동쪽 해안 근처에 위치한 산 로렌조 풍력 발전소를 방문하기도 한다.
기마라스주는 종교 관광의 장소이기도 하다. 발란 부키드 신사에는 십자가의 길의 12개 표식이 있으며, 개인은 주요 신사가 있는 언덕 꼭대기를 향해 올라간다. 1880년에서 1885년 사이에 지어진 나발라스 교회는 섬에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로마 가톨릭 필리핀의 스페인 식민지화 유산 중 하나이다. 필리핀의 성모 트라피스트 수도원은 섬 중앙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원의 수도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망고 기반 식품을 판매하는 것 외에도 방문객을 위한 수도원 센터를 제공한다.
9. 정부
국민연합당 소속의 호아킨 카를로스 라흐만 A. 나바가 기마라스 주지사이며, PDP-라반 소속의 존 에드워드 G. 간도가 부지사이다. 기마라스는 필리핀 하원에서 루실 나바가 대표하며, 그녀 또한 PDP-라반 소속이다.
10. 주목할 만한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1-30
[2]
웹사이트
2021 to 2023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4-04-26
[3]
지도
Official map of province
http://guimaras.gov.[...]
Province of Guimaras
[4]
웹사이트
Guimaras History
https://web.archive.[...]
Islands Philippines
2012-06-02
[5]
서적
'"Volume 1, 1880–1941", The Years of MacArthur'
Houghton Mifflin
[6]
웹사이트
U.S. Forces Began Main Battle For Philippines 75 Years Ago
https://www.defense.[...]
2023-03-17
[7]
웹사이트
US Army in WW II
http://www.ibiblio.o[...]
Robert Ross Smith
[8]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667 - An Act Creating the Subprovince of Guimaras in the Province of Iloilo
http://laws.chanrobl[...]
2015-12-20
[9]
웹사이트
An Act Providing for a Local Government Code of 1991
http://www.lawphil.n[...]
The LawPhil Project
[10]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7896; An Act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Sibunag in the Province of Guimaras
https://www.official[...]
2015-12-20
[11]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7897 - An Act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San Lorenzo in the Province of Guimaras
http://laws.chanrobl[...]
2015-12-20
[12]
뉴스
Guimaras Oil Spill Ship Found Unfit for Sailing
http://www.bulatlat.[...]
Bulatlat
2006
[13]
웹사이트
The hidden jewel that is Guimaras
https://web.archive.[...]
Manila Standard Today
[14]
웹사이트
Journey of a lifetime
http://stefanie-jour[...]
blogspot
2010-10-04
[15]
Youtube
Philippine Mangoes Naihain na sa White House at Buckingham Palace
https://www.youtube.[...]
GMA News
[16]
웹사이트
Manggahan Festival
https://web.archive.[...]
guimaras.gov
[17]
웹사이트
Beyond Guimaras Mango: What is the Economy of Guimaras? - Streamtech
https://www.streamte[...]
2023-03-17
[18]
뉴스
Why is Lorenza Agoncillo's portrait hanging in Museo Pambata?
https://www.philstar[...]
Philstar Global Corp.
2003-07-28
[19]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20]
간행물
2000
[21]
간행물
2003
[22]
간행물
2006
[23]
간행물
2012
[24]
간행물
2015
[25]
간행물
2018
[26]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