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깨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깨서는 구약성경의 소선지서 중 하나로, 개신교에서는 학개, 가톨릭에서는 하까이서, 성공회와 정교회에서는 하깨로 불린다. 이 책은 예언자 학개의 예언을 기록한 것으로, 저자는 불분명하며, 학개 본인이 직접 기록했을 가능성은 낮고 제자가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깨는 바빌론 포로에서 돌아온 유대인들이 성전 재건을 미루는 상황에서, 성전 재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전 재건을 통해 하나님의 축복이 임할 것을 예언했다. 주요 내용은 성전 재건 촉구, 격려, 정결과 축복, 메시아 통치 예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깨서 - 대제사장 예수아
    대제사장 예수아는 바벨론 유수 후 귀환한 유대인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스룹바벨과 함께 예루살렘 성전 재건을 주도하고 종교적 의식 집행과 지침을 제공했으며, 그의 이름은 '야훼는 구원'을 의미하여 기독교에서 예수를 예표하는 인물로 여겨진다.
  • 소예언서 - 호세아서
    호세아서는 기원전 8세기 예언자 호세아가 자신의 불륜한 아내와의 관계를 통해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묘사하며 이스라엘의 죄악과 심판, 구원을 다루는 구약성경의 예언서이다.
  • 소예언서 - 말라기서
    말라기서는 구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포로 귀환 후 이스라엘 백성의 종교적, 사회적 타락을 지적하며 회개를 촉구하고, 익명의 예언자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의문, 제사장들의 타락, 이혼 문제, 십일조 소홀 등의 문제를 제기하며 백성과의 논쟁 형태로 메시지를 전달하며, 메시아 도래와 엘리야의 재림을 예언하는 기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기원전 6세기 책 - 애가
    애가는 예루살렘 파괴를 애도하고 백성 회복을 간청하는 구약성경의 한 책으로,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 네 장은 히브리어 알파벳 순서대로 시작하는 아크로스틱 형식이고, 익명의 저자가 바빌론 유배 시기에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기원전 6세기 책 - 출애굽기
    출애굽기는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 노예 생활에서 해방시키고 시나이 산에서 하나님과 계약을 맺는 이야기를 담은 구약성경으로,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이름들"로 불리며 주요 사건들을 다루고 구원 역사와 이스라엘 민족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서술이며 서양 예술과 문학에 영감을 주었다.
하깨서

2. 한국식 이름 및 약칭

이 책은 개신교의 한글개역판에서 학개라는 이름으로 불려왔다. 2005년에 발간된 가톨릭의 새번역 성경에서는 하까이서(書)라고 이름 붙였다. 성공회와 정교회에서 사용하는 공동번역성서에서는 하깨로 읽고 있다.

3. 저자

학개는 '여호와의 축제, 나의 절기'란 뜻이다. 그가 하나님의 축제 절기에 태어난 것이라 여겨진다. "이 전의 이전 영광을 본 자가 누구냐?(학2:3)"라는 그의 말을 볼 때 그는 멸망 전의 성전을 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학개가 성전이 멸망한 50년 뒤에 귀환하였고, 귀환 후 16년간 성전을 재건하지 못한 상태였으므로 그때 학개는 소년 시절을 66년 지난 나이가 된다. 그가 10살 때 성전을 보았다면 76세가 된다. 그렇다면 그는 대략 70, 80대의 노인일 것이다. 혹 어떤 사람들은 학개가 포로가 되었다가 개인적으로 일찍이 귀환하여 유다에 살고 있었다고 하거나, 그가 포로 생활하던 유대인으로부터 바벨론에서 출생하여 성장하다가 스룹바벨과 함께 귀환한 제사장 집안 출신으로 여겨진다.

'하깨'는 "축제 때 태어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동시대에 활동한 예언자 즈카리아, 100여 년 후에 활동한 말라키와 더불어, 이스라엘 민족이 바빌론 제국의 포로에서 벗어나 돌아온 시기에 활동한 예언자이다.

기원전 6세기에 활동한 예언자들의 보편적인 특징은 익명성이다. 실제로 하깨의 개인적인 역사에 대해서는 거의 남겨져 있는 것이 없으며, 심지어 하깨가 사람의 이름인지 아니면 상징적으로 붙여진 이름인지조차 불분명하다. 그는 아마도 바빌로니아의 느브가트네자르에 의해 잡힌 포로들 가운데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예언서와 달리, 하깨가 구체적으로 활동한 연대는 제시되어 있다. 즉, 다리우스 왕 통치 2년, 즉 520년 엘룰 월 1일부터 키슬레브 달 24일까지 활동하였다. 그는 바빌로니아의 포로에서 벗어나 유다 지방으로 돌아온 지 16년이 지나서 예언 활동을 시작하였다. 유다인들이 유다 지방으로 돌아와, 성전을 재건하려고 하였을때, 사마리아 인들의 음모로 인해, 15년간 중단이 되어 있었다. 이 때에 성전의 재건을 다시 북돋은 데에 하깨와 즈카리야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에즈라느헤미야의 저자는 기록하고 있다. (에즈라 6장 14절).

에스테르 서에서 하깨의 이름은 다양한 발음으로, 여왕의 환관 시종으로 나오고 있다. 동방 정교회의 전례력에 따르면, 하깨의 축일은 12월 16일이다.

하깨서는 예언자 학개의 예언이 기록된 책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 책의 저자는 불확실하다. 일부는 학개가 직접 이 책을 썼다고 추정하지만, 학개는 책에서 반복적으로 3인칭으로 언급되고 있어, 그가 직접 썼을 가능성은 낮다. 학개의 구두 예언 내용을 보존하기 위해 제자가 이 책을 썼을 가능성이 더 높다.

하깨서에는 예언자에 대한 어떠한 전기적 정보도 제공되지 않는다. 학개의 이름은 히브리어 동사 어근 ''hgg''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순례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W. 시블리 타우너는 학개의 이름이 "고대 유대인 순례자들의 목적지였던 예루살렘 성전 재건을 이루려는 그의 한결같은 노력"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4]

전통적으로, 저자는 바빌론 유수 이후 최초의 예언자 학개로 여겨진다.

이 문서의 저자는 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 명료한 단어로 예언을 전하고 있다. 예루살렘 성전의 재건(기원전 515년)이 그 예언의 주제가 되고 있다.

참고로, 학개는 히브리어로 "축제"라는 의미이다.

3. 1. 저작 시기

《하깨서》는 키루스바빌론을 정복하고 포로로 잡힌 유다인들이 유대 지역으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하는 칙령을 반포한 기원전 538년으로부터 약 18년 후인 기원전 520년의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키루스는 오랜 유배 생활 이후 종교적 관행과 민족 의식을 회복하기 위해 성전 재건이 필요하다고 보았다.[5] 기록된 본문의 정확한 날짜는 불확실하지만, 하깨 자신이 활동하던 시대로부터 한 세대 안에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5] 전통적인 합의에 따르면 본문은 기원전 515년경에 완성되었다.[6] 일부 학자들은 이 책이 다리우스 1세가 아닌 다리우스 2세 (기원전 424-405년)를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기원전 417년경에 완성되었다고 본다.[7]

4. 시대적 배경

5. 주요 내용

하깨의 예언은 주로 성전 재건에 대한 내용과 그 결과로 국가가 겪게 될 큰 사건을 다룬다. 하깨는 모든 가난, 기근, 가뭄이 성전 재건을 연기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선포하였다. 백성들은 이 선포를 듣고 두려움 가운데 스룹바벨과 예수아의 인도 아래 엘룰 월 24일에 성전 재건을 재개하였다.

새로운 성전이 작고 볼품없어 "네 눈에는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여도" 하깨는 백성들을 독려하며, 성전의 가치는 다음 세대들에게 그 크기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선포한다. 하깨는 성전 건축의 재개는 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계약을 갱신하는 것이며, 이는 마치 이집트에서의 탈출과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한다.

하깨는 다가오는 시간에 대한 메시아적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10] 신은 모든 우주를 흔들 것이며, 모든 세계의 부는 성전으로 모이고, 새로 세워질 성전의 영광이 첫 성전의 영광보다 클 것이라고 선포한다(2장 6절-9절).[10]

하깨는 성전이 세워지지 않았을 때 제물이 바쳐짐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은 부정했으나, 성전 재건을 재개하는 날부터 백성들이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선포한다.[10]

다른 예언자들처럼 하깨는 우상의 종말에 대하여 그리고 이스라엘 왕국의 회복에 대하여 계획하고 있다.

레닌그라드 코덱스(서기 1008년)에는 하깨서의 완전한 히브리어 본문이 포함되어 있다.


알크마르의 회당에 있는 하깨서 2:9의 구절: "이 마지막 성전의 영광이 이전 성전의 영광보다 더 클 것이다."


하깨서의 메시지는 백성들이 두 번째 예루살렘 성전의 재건을 서두르도록 촉구하는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 하깨서는 최근의 가뭄이 백성들이 성전 재건을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는데, 그는 이를 예루살렘의 영광을 위한 핵심으로 여긴다. 이 책은 여러 왕국의 멸망을 예언하며, 주의 선택받은 지도자로 유다 왕국의 총독인 스룹바벨을 묘사하며 끝을 맺는다.

5. 1. 성전 재건 촉구 (1:1-15)

하깨의 예언은 주로 성전 재건에 대한 내용과 그 결과로 국가가 겪게 될 큰 사건을 다룬다. 하깨는 모든 가난, 기근, 가뭄이 성전 재건을 연기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선포하였다. 백성들은 이 선포를 듣고 두려움 가운데 스룹바벨과 예수아의 인도 아래 엘룰 월 24일에 성전 재건을 재개하였다.

새로운 성전이 작고 볼품없어 "네 눈에는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여도" 하깨는 백성들을 독려하며, 성전의 가치는 다음 세대들에게 그 크기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선포한다. 하깨는 성전 건축의 재개는 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계약을 갱신하는 것이며, 이는 마치 이집트에서의 탈출과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한다.

5. 2. 성전 재건 격려 (2:1-9)

하깨의 예언은 주로 성전 재건에 대한 것이며, 성전 재건으로 인해 국가가 겪게 될 큰 사건을 다룬다.[10] 하깨는 모든 가난과 기근, 가뭄이 성전 재건을 연기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선포하였다.[10] 백성들은 이 선포를 듣고 두려움 가운데 스룹바벨과 예수아의 인도 아래 엘룰 월 24일에 성전 재건을 재개하였다.[10]

새로운 성전이 작고 볼품없어 "네 눈에는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여도" 하깨는 백성들을 독려하였다.[10] 성전의 가치는 다음 세대들에게 그 크기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선포하며, 성전 건축의 재개는 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계약을 갱신하는 것이며, 이는 이집트 탈출과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한다.[10]

하깨는 다가오는 시간에 대한 메시아적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10] 신은 모든 우주를 흔들 것이며, 모든 세계의 부는 성전으로 모이고, 새로 세워질 성전의 영광이 첫 성전의 영광보다 클 것이라고 선포한다(2장 6절-9절).[10]

5. 3. 정결과 축복 (2:10-19)

하깨는 성전이 세워지지 않았을 때 제물이 바쳐짐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은 부정했으나, 성전 재건을 재개하는 날부터 백성들이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선포한다.[10] 이전의 비참함에서 벗어나[10] 미래에는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예언했다.[10]

5. 4. 메시아 통치 예언 (2:20-23)

하깨는 다가오는 시간에 대한 메시아적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10] 신은 모든 우주를 흔들 것이며, 모든 세계의 부는 성전으로 모이며, 새로 세워질 성전의 영광이 첫 성전의 영광보다 클 것이라고 선포한다 (2장 6절-9절).[10] 다른 예언자들처럼 하깨는 우상의 종말에 대하여 그리고 이스라엘 왕국의 회복에 대하여 계획하고 있다.

6. 학개의 신학

학개의 신학은 바빌론 유수 이후 성전 재건이 지연되는 상황 속에서 선포되었기 때문에 이 시대의 신학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특히 귀환 시대에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하나님의 성전에 주어질 하나님의 영광의 신학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의 성전이 재건됨으로 그 땅에 하나님의 영광이 임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7. 초기 사본

마소라 본문히브리어 성경에는 카이로 코덱스(895년), 페테르부르크 예언서 코덱스(916년), 레닌그라드 코덱스(1008년)가 포함되어 있다.[8] 1947년 알레포 반유대인 폭동 이후, 이 책 전체가 알레포 코덱스에서 사라졌다. 이 책의 히브리어 본문 조각들은 사해 문서에서 발견되었으며, 4Q77 (4QXIIb; 기원전 150–125년),[9] 4Q80 (4QXIIe; 기원전 75–50년),[9] 그리고 와디 무라바트 소예언서 (Mur88; MurXIIProph; 서기 75-100년)가 있다.[9]

또한 기원전 마지막 몇 세기에 만들어진 코이네 그리스어 번역본인 칠십인역도 있다. 현존하는 칠십인역 고대 사본으로는 바티칸 코덱스 ('''B'''; \mathfrak{G}B; 4세기), 시나이 사본 ('''S'''; BHK: \mathfrak{G}S; 4세기), 알렉산드리아 코덱스 ('''A'''; \mathfrak{G}A; 5세기) 그리고 마르찰리아누스 코덱스 ('''Q'''; \mathfrak{G}Q; 6세기)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New Interpreter's Bible: Volume: VII Abingdon
[3]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Harper Collins Study Bible HarperCollins Publishers
[5] 웹사이트 The Book of Haggai {{!}} Hebrew Prophecy, Minor Prophet, Restoratio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2-25
[6] 간행물 Yehudite Imaginations of King Darius and His Officials: Views from the Province beyond the River https://www.mdpi.com[...]
[7] 간행물 Yehudite Imaginations of King Darius and His Officials: Views from the Province beyond the River https://www.mdpi.com[...]
[8] Citation New Catholic Encyclopedia Gale
[9] 웹사이트 General Info | The Way To Yahuweh https://thewaytoyahu[...] 2018-01-05
[10] 서적 The HarperCollins Bible Dictionary HarperSanFrancisco
[11] 학술지 Handel's Messiah: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http://www.sbts.edu/[...] 2011-07-19
[12] 문서 ハガイ書(口語訳)#1:4 https://ja.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