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르게이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르게이사는 소말릴란드 마로디 제흐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소말릴란드의 수도이다. 신석기 시대 동굴 벽화가 발견된 라스 게엘 유적지가 있으며, 셰이크 마다르의 종교 공동체 설립과 함께 성장했다. 1941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수도가 되었으며, 1960년 소말릴란드국으로 독립 후 소말리아와 통합되었다. 1988년 소말리아 국민 운동의 공격으로 도시가 파괴되었으나, 이후 재건되었다. 현재 하르게이사는 금융, 소매, 교통의 중심지이며, 하르게이사 국제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릴란드의 도시 - 부라오
부라오는 소말릴란드 토그데르 주의 수도이자, 과거 하브 유니스 술탄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가축 무역과 교통의 중심지로서 지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하르게이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하르게이사 |
현지 명칭 | |
다른 명칭 | 해당 없음 |
위치 | 수도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소말릴란드 |
지역 | 마로디 제흐 |
구 | 하르게이사 구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19년) | 1,200,000명 |
인구 밀도 | 1,600명/km² |
인구 순위 | 1위 |
주민 | 하르게이사위 هرجيساوي |
지리 | |
면적 | 140km² |
고도 | 1,334m |
![]() | |
![]() | |
![]() | |
정치 및 행정 | |
시장 | 압디카림 아흐메드 모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동아프리카 시간 (EAT) |
UTC 오프셋 | +3 |
우편 번호 | 해당 없음 |
지역 번호 | +252 |
웹사이트 | dhhgov.org |
2. 역사
하르게이사 외곽의 라스 게엘 단지에서는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중요한 동굴 벽화가 다수 발견되었다. 2002년 프랑스 연구팀에 의해 국제 사회에 알려진 이 암각화는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기원전 5천 년에서 기원전 2천 년 사이의 선사 시대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15] 이 외에도 소말릴란드 지역에는 담발린 암각화 등 여러 고고 유적지가 존재하지만,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많다.[16]
전통적인 구전 시가에 따르면 하르게이사는 원래 아랍인들이 유목민과 대상들을 위한 교역 및 급수 지점으로 세웠다고 전해진다.[17] 그러나 현대적인 도시 하르게이사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은 19세기 중반 카디리야 종교 공동체를 설립한 셰이크 마다르 시르와로 평가받는다.[18][19] 그는 수수 농사를 기반으로 한 정착 생활을 도입하고 종교 공동체를 중심으로 도시를 발전시켰다.[22][23][24] 1880년대 후반 영국 탐험가 H. 스웨인의 기록에도 하르게이사는 중요한 대상로가 교차하는 지점이며, 농경과 목축이 이루어지는 정착지로 묘사되어 있다.[26]
1888년, 영국은 이 지역을 영국령 소말릴란드 보호령으로 편입했으며, 초기 수도는 베르베라였다.[27] 1941년 하르게이사는 보호령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잠시 이탈리아에 점령되기도 했으나(1940년), 이듬해 영국군이 탈환했다. 1960년 6월 26일, 영국령 소말릴란드는 소말릴란드국으로 잠시 독립했다가,[29][30] 며칠 후 남부의 소말릴란드 신탁통치령과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8]
소말리아 공화국 시절 하르게이사는 북서부 지역의 중심 도시로서 하르게이사 지방 박물관 건립,[32] 하르게이사 국제공항 확장 등[33] 일부 개발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시아드 바레 군사 정권 하에서 북부 지역(구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대한 차별과 탄압이 심화되면서 소말리아 내전이 발발했고, 하르게이사는 소말리아 국민 운동(SNM)을 중심으로 한 독립 운동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 이에 소말리아 정부군은 1988년 하르게이사에 대한 대규모 공습과 포격을 감행하여 도시의 대부분을 파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는 이사크 집단 학살의 일부로 간주된다.
1991년 소말릴란드가 소말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후, 하르게이사는 소말릴란드의 수도로서 폐허 속에서 재건되기 시작했다. 해외 거주 소말리아인들의 송금과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도시는 점차 복구되었고,[40] 현재는 내전 이전보다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구도 크게 증가했으며, 도로 등 기반 시설도 개선되었다. 그러나 소말릴란드는 아직 국제 사회로부터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2. 1. 셰이크 마다르와 대규모 공동체
19세기 후반 하르게이사는 셰이크 마다르가 세운 카디리야 정착지를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곳은 본래 하라르로 가는 길에 유목민들이 가축에게 물을 먹이던 장소였다.[9][10] "하르게이사"라는 이름은 '작은 하라르'를 의미하는 '하라르 아스-사기르'(Harar as-sagirara)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데,[9][10] 이는 셰이크 마다르가 이곳을 하라르처럼 이슬람 교육의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던 열망 때문이라고 역사가 노먼 베넷은 설명한다.[11] 다른 설에 따르면, 하르게이사는 소말리아어로 "가죽과 껍질을 파는 곳"을 뜻하는 '하르게게이스'(hargageyssom)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내륙에서 조달한 가죽을 가공하여 거래하던 도시의 역할과 관련이 있다.[12][13][14]
구전 시가(가베이)에 따르면, 하르게이사는 원래 아랍인들이 유목민과 대상들을 위한 급수 및 교역 기착지로 세웠다고 전해진다. 하바르 요니스와 에이다갈레 하위 부족이 초기 정착민 중 하나로 여겨진다.[17] 그러나 현대적인 하르게이사 정착촌의 실질적인 창시자는 셰이크 마다르 시르와로 평가된다.[18][19]

마다르 시르와는 베르베라에서 태어났으며 사아드 무사 하브르 아왈 부족의 누 이스마일 분파에 속했다. 마다르는 하라르에서 하라리와 소말리 학자들 밑에서 이슬람 학문을 공부했다.[20][21] 그의 스승 중 한 명인 셰이크 칼릴은 마다르에게 현재의 하르게이사에 카디리야 타리카 공동체를 세우고 배운 것을 전파하라고 조언했다. 이에 따라 셰이크 마다르와 동료들은 약 1860년에 '작은 하라르', 즉 하르게이사에 '자마 웨이네'(Jama'a weynesom, 빅 코뮌)라는 큰 공동체를 설립했다. 당시 소말리아 유목민들은 비와 목초지를 따라 끊임없이 이동했지만, 마다르는 대규모 수수 농장을 기반으로 농업과 정착 생활 방식을 도입하여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공동체의 자급자족을 위한 것이었으며, 셰이크 마다르와 다른 물라(종교 지도자)들은 정착촌의 병자와 노인들을 돌보았다. 또한 그는 부족 중심의 정체성에서 벗어나 공동의 종교적 정체성을 강조했다. 돌집과 같은 영구 건축물들이 세워지면서 하르게이사는 과거의 대상 무역 중심지에서 벗어나 큰 영구 정착촌으로 발전했다.[22][23][24] 1870년, 셰이크 마다르는 하르게이사 외곽에서 제4대 이삭 대술탄 데리아 하산과 만나 새로운 마을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주변 지역에서의 밀렵과 벌목을 금지하기로 합의했다.[25]
1880년대와 1890년대에 소말리아 반도를 여행한 영국 군인 겸 탐험가 H. 스웨인은 하르게이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이 마을은 알레야데라 날라(강 이름)의 오른쪽 강둑에서 약 약 457.20m 떨어진 곳에 있으며, 강바닥보다 약 9.14m에서 약 12.19m 높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마을 주변에는 길이 약 4.02km, 너비 약 0.40km에 달하는 조와리(수수) 경작지가 펼쳐져 있다. 온갖 종류의 가축들이 알레야데라 날라에서 약 0.80km 떨어진 낮고 완만한 언덕에서 풀을 뜯는다. 하르게이사는 오가덴과 하라르에서 오는 중요한 대상로 두 개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베르베라와 불하르로 가는 좋은 낙타길도 있다. 무역 시즌에는 쌀, 담배, 대추 등을 이곳에서 구할 수 있다. 약 400명의 사람들이 조와리 밭을 돌보는 데 고용되어 있으며, 높은 단상에 앉아 소리를 지르거나 돌을 던져 작물에서 새를 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강바닥에는 양질의 물이 풍부하며, 아덴 출신 아랍인이 관리하는 석조 우물이 있다. 마을에는 셰이크 마다르와 그의 물라들의 보살핌을 받는 많은 시각 장애인과 지체 장애인들이 있다.[26]
2. 2. 영국령 소말릴란드

1888년, 영국은 당시 지역을 지배하던 소말리아인 술탄 및 족장들과 여러 조약을 맺고 이 지역에 영국령 소말릴란드라는 보호령을 세웠다. 처음 수도는 베르베라였다.[27] 영국은 현재의 예멘에 있는 아덴 정착지에서 보호령에 군대를 주둔시켰으며, 1898년까지는 대영 제국령 인도에서 보호령을 관리했다. 이후 영국령 소말릴란드는 1905년까지 외무부에서, 그 뒤로는 식민부에서 관리했다.
1941년, 수도는 베르베라에서 하르게이사로 옮겨져 하르게이사가 수도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아프리카 전역이 벌어지면서, 보호령은 1940년 8월 이탈리아의 침공을 받았으나, 1941년 3월 영국군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1945년, 영국 행정부는 보호령 내에서 와다드(종교 지도자)들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하여 하르게이사에서 여러 명을 체포하려 했다. 영국 행정부는 이들이 소말릴란드에서 '현대 교육'과 농업 개혁을 시행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보았다. 6월 4일 체포가 이루어지자, 이에 반발한 폭도들이 일어나 투옥된 와다드들을 잠시 석방시켰으나, 다음 날 이들은 다시 체포되었다. 종교 지도자들은 도시 주민들을 선동했고, 수천 명의 폭도들이 하르게이사 지역 본부로 행진하여 투옥된 와다드들을 석방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 행정관의 군대가 발포하여 1명이 사망하고, 셰이크들을 석방하려던 수십 명이 투옥되는 사건이 발생했다.[28]
영국령 소말릴란드 보호령은 1960년 6월 26일 소말릴란드국으로 독립했으며,[29][30] 며칠 후 계획대로 소말릴란드 신탁통치령 (과거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과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8]
2. 3. 소말리아 독립 이후 (1960-1991)

1960년 소말리아가 독립한 이후, 하르게이사는 북서부 주의 수도로서 행정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소말리아 중앙 정부는 하르게이사에서 여러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대표적으로 1960년 독립 이후 소말리아 최초의 박물관인 하르게이사 지방 박물관이 설립되었고,[32] 하르게이사 국제공항 역시 대형 항공기를 수용하고 더 많은 노선을 운항할 수 있도록 시설 개조 및 현대화 작업이 이루어졌다.[33]
그러나 시아드 바레 독재 정권 하에서 중앙 정부와 북서부 지역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소말릴란드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다. 1988년 5월 31일 새벽 2시 15분, 소말리아 국민 운동(SNM)은 하르게이사를 공격하며 본격적인 무력 충돌을 시작했다. SNM 병력은 약 500명과 차량 84대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소말리아군 제26사단 본부와 비르제엑 무기고를 점령하여 탄약을 확보했다.[35] 당시 SNM 전사의 증언에 따르면, 일부 소말리아 군인들은 군복을 버리고 도망치기도 했다.[35] SNM은 하르게이사 라디오 방송국 본부를 포위했지만, 소말리아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다.[35] 특히 소말리아군의 중화기와 전차의 격렬한 포격으로 인해 하르게이사 공항 점령을 시도하던 SNM 부대는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35]
6월 1일까지 SNM은 하르게이사 공항을 제외한 도시 대부분을 장악했다.[36] 소말리아군의 반격으로 도시 내 SNM 방어선은 하르게이사 라디오 방송국 뒤편으로 밀려났다.[34]
시아드 바레 정권은 SNM의 공세에 대해 극도로 잔혹하게 대응했다. 바레는 소위 "이사크 문제"를 해결한다는 명분 아래, 북서부 주요 도시에 대한 포격과 공습, 이사크족 거주지와 식수원에 대한 조직적인 파괴를 명령했다.[37] 이는 이사크 집단 학살로 이어졌으며, 특히 하르게이사와 부르코의 이사크족 민간인들이 무차별적인 포격과 공습의 주요 표적이 되었다.[38][39] 이 과정에서 1988년 소말리아 공군의 대규모 공습으로 하르게이사 도시의 최대 90%가 파괴되는 참극이 벌어졌다.[37]
이러한 파괴는 1991년 소말릴란드가 독립을 선언할 때까지 이어졌으며, 도시는 폐허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2. 4. 소말릴란드 독립 이후 (1991-현재)
소말리아 중앙 정부 붕괴와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 이후, 하르게이사를 비롯한 소말릴란드 도시들에서 인프라 재건이 느리게 시작되었다.1991년 이후 하르게이사는 큰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재건 사업은 주로 지역 사업가들과 해외 거주 소말리아인들이 다양한 소말리아 소유 자금 이체 운영업체를 통해 보내는 송금 자금으로 이루어졌다.[40] 파괴되었던 주거 및 상업 건물 대부분이 재건되었고, 많은 신축 건물이 들어섰다. 시내의 단층 건물들도 점차 여러 층의 고층 건물로 바뀌고 있다.
소말리아 내전 당시 소말릴란드 독립파의 거점이었던 하르게이사는 1988년 소말리아 공군의 대규모 공습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1991년 소말릴란드가 독립을 선언한 후 도시 복구가 진행되어, 현재는 공습 이전보다 더 나은 상태로 회복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구 또한 1990년 약 1만 명에서 현재 약 50배로 크게 증가했다.
하르게이사의 복구 과정에서 해외 망명 소말리아인들의 송금이 큰 역할을 했으며, 이는 현재도 도시를 지탱하는 중요한 자금원으로 남아있다. 많은 망명 소말리아인들이 하르게이사로 돌아와 정착하고 있다.
1990년대 복구 덕분에 도로 사정은 비교적 양호하며, 신호등이 작동하고 교통 법규도 지켜지고 있다. 이는 아직 도로나 신호등이 파괴된 상태인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시 외곽에는 국제공항이 있어 인접국인 지부티, 에티오피아와 정기 항공편이 운항 중이다.
하르게이사는 소말릴란드 서부 오고 고원 중앙부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는 1m이다. 평균 기온은 23°C에서 32°C 사이로, 아덴만 연안보다 비교적 온화하며 여름철에 지내기 좋다. 강수량도 많아 과거에는 삼림 지대였다.
3. 인구
연도 | 인구 |
---|---|
1901 | 1,000 |
1920 | 2,000 |
1932 | 20,000 |
1955 | 40,000 |
1960 | 45,000 |
1970 | 50,000 |
1980 | 100,000 |
1990 | 90,000 |
1999 | 250,000 |
2005 | 300,000 |
2007 | 450,000 |
2012 | 850,000 |
2019 | 1,200,000 |
하르게이사는 20세기 중반 이후 급속도로 성장했다. I. M. 루이스에 따르면, 1958년 하르게이사의 인구는 30,000명으로 추산되었다.[51] 2005년 유엔 개발 계획(UNDP)은 하르게이사의 인구가 560,028명이라고 밝혔으며,[56]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2015년 기준 약 760,000명으로 추산했다. 2019년 기준으로 하르게이사의 인구는 120만 명으로 추정된다.[58]
하르게이사의 주요 거주민은 이사크 씨족의 하위 분파들이다. 구체적으로는 하브 아왈의 사아드 무사와 이사무사 하위 씨족, 하브 가르하지스의 에이다갈레와 하바르 요니스 하위 씨족, 아랍, 그리고 아유브 등이 있다.[57]
도시 지역의 면적은 75km2이며, 인구 밀도는 12,600 명/km²이다.[57]
소말리아 내전 중 1988년 소말리아 공군의 대규모 공습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1991년 소말릴란드가 독립을 선언한 이후 도시 복구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해외 망명 소말리아인들의 송금이 큰 역할을 했으며, 이 자금은 현재도 하르게이사를 지탱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많은 망명 소말리아인들이 하르게이사로 돌아와 정착하면서 인구가 급증했다. 1990년 9만 명이었던 인구는 2019년 120만 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4. 기후
하르게이사는 열대 반건조 기후(쾨펜: ''BSh'')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겨울은 매우 따뜻하고 여름은 덥다. 하지만 열대 지역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해발 고도가 약 1260m로 높기 때문에 극심한 더위나 추위는 드물며, 이는 반건조 기후 지역에서는 흔치 않은 특징이다.[69][70]
연평균 기온은 약 21.7°C이다. 월평균 기온은 12월과 1월에 18°C 정도로 가장 낮고, 6월에 24°C 정도로 가장 높다.[69] 연간 강수량은 약 412mm이며, 대부분 4월에서 9월 사이에 내린다.[71]
소말릴란드 서부 오고 고원 중앙부에 위치하며, 아덴만 연안 지역보다 기후가 온화하다. 강수량이 비교적 많아 과거에는 삼림 지대였다. 겨울철에는 기온이 10°C 아래로 내려가기도 하며, 낮 기온이 30°C를 넘더라도 새벽에는 10°C 정도로 떨어지는 등 일교차가 큰 편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총합 |
---|---|---|---|---|---|---|---|---|---|---|---|---|---|
역대 최고 기온 (°C) | 31.1 | 31.7 | 32.8 | 32.8 | 35.0 | 33.9 | 33.9 | 33.3 | 32.8 | 31.7 | 30.6 | 28.9 | 35.0 |
평균 최고 기온 (°C) | 24.2 | 26.6 | 28.7 | 29.2 | 30.5 | 31.0 | 29.2 | 29.2 | 30.5 | 28.2 | 26.0 | 23.7 | 28.1 |
일평균 기온 (°C) | 17.7 | 18.7 | 21.6 | 23.0 | 24.1 | 24.3 | 23.6 | 23.6 | 23.6 | 24.1 | 18.7 | 18.0 | 21.7 |
평균 최저 기온 (°C) | 11.6 | 12.6 | 15.0 | 16.6 | 17.7 | 17.7 | 17.1 | 17.1 | 17.1 | 15.0 | 13.1 | 12.1 | 15.2 |
역대 최저 기온 (°C) | 2.8 | 2.8 | 3.9 | 9.4 | 11.7 | 11.7 | 10.5 | 11.1 | 11.1 | 7.2 | 4.4 | 4.4 | 2.8 |
강수량 (mm) | 2 | 2 | 36 | 53 | 49 | 61 | 38 | 81 | 61 | 20 | 8 | 1 | 412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 | 1 | 3 | 6 | 7 | 9 | 8 | 10 | 11 | 4 | 1 | 0 | 61 |
평균 상대 습도 (%) | 65 | 65 | 58 | 57 | 56 | 55 | 53 | 53 | 55 | 56 | 61 | 64 | 58.2 |
월평균 일조율 (%) | 80 | 73 | 80 | 73 | 64 | 73 | 64 | 64 | 73 | 80 | 80 | 80 | 74 |
출처 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omalia Water and Land Management (기온, 습도, 일조율)[69][70] | |||||||||||||
출처 2: 독일 기상청 (극값, 강수량)[71] |
5. 행정
하르게이사는 소말릴란드 마로디 제흐 지역에 위치하며, 소말릴란드 국의회, 대통령 궁 및 정부 부처가 자리 잡고 있는 행정 중심지이다.[46]
하르게이사의 초대 시장은 1950년부터 1959년까지 재임한 아단 우마르 푸레였다. 현재 시장은 압디카림 아흐메드 무게로, 와다니당 소속이며 2021년 소말릴란드 지방 선거를 통해 시장으로 선출되었다.[47][48]
사회 연구 개발 연구소(SORADI)의 2017년 12월 보고서에 따르면, 하르게이사는 다음과 같은 8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구역명 |
---|
5월 31일 |
6월 26일 |
아흐메드 다가 |
아흐메드 모알림 하루운 |
가칸 리바악스 |
이브라힘 코드부르 |
모하무드 하이베 |
모하메드 모게 |
이는 기근 조기 경보 시스템 네트워크(FEWS NET)의 2003년 4월 보고서 내용과는 차이가 있는데, 당시 보고서에서는 5개의 하위 구역(26 June, Ahmed Dhagah, Gacan Libaax, Ibrahim Kodbuur, Mohamoud Haibe)만 언급되었으며 각 구역은 4개에서 6개의 하위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이를 통해 2004년과 2017년 사이에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각 하위 구역에는 주민들이 직접 선출한 의회 의원이 있어 해당 구역을 대표하고 주민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가칸 리바악스와 같이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의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사회의 목소리를 더 잘 반영하기 위해 "책임 포럼"이라는 기구가 설립되어 관련 정책을 논의하고 수립하고 있다.
6. 경제
하르게이사는 금융, 소매, 수입/수출 창고, 보석 세공, 건설, 식품 가공, 섬유 및 가축 거래 등 다양한 기업가적 산업의 금융 중심지 역할을 한다.
2012년 6월, 소말릴란드 민간 부문을 위한 파트너십 펀드가 하르게이사의 앰배서더 호텔에서 출범했다. 이는 경제 성장을 위한 파트너십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3개의 지역 민간 기업에 90만달러가 할당되었다. 이 펀드를 통해 250개의 새로운 정규직 일자리가 창출될 예정이며, 그중 절반은 청년, 3분의 1은 여성을 위해 배정된다. 또한 개선된 제품 유통과 신기술 및 가공 시설 투자를 통해 1,300명의 기업가에게 일자리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펀드 지원 자격은 파트너십 프로그램, 소말릴란드 상공 회의소, 정부 관계자가 감독하는 경쟁적이고 투명한 선정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59]
하르게이사의 복구와 현재 경제를 지탱하는 데에는 해외에 거주하는 망명 소말리아인들의 송금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많은 망명 소말리아인들이 하르게이사로 이주하여 경제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7. 교통
하르게이사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은 버스와 택시이다. 시내 노선 외에도 부라오, 베르베라, 보라마 등 다른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60] 항공 교통은 하르게이사 국제공항을 통해 이루어지며, 소말리아 내 도시 및 지부티, 두바이 등 국제선 노선도 이용 가능하다.[62][63]
소말리아 내전 중 큰 피해를 입었으나, 1991년 소말릴란드 독립 선언 이후 도시 복구가 진행되면서 교통 인프라도 개선되었다. 1990년대 복구를 통해 도로 사정은 비교적 양호해졌으며, 신호등이 작동하고 도로 교통 법규도 지켜지고 있다. 이는 당시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의 파괴된 도로 및 신호등 상황과 비교된다.
7. 1. 도로 교통

버스는 하르게이사에서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버스는 도시의 거의 모든 지역을 연결하는 여러 노선을 운행한다. 또한 부라오, 베르베라, 보라마 등 소말릴란드의 다른 주요 도시와 마을을 잇는 시외버스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도시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하르게이사에는 여러 새로운 택시 회사들이 생겨났다.[60]
하르게이사 택시는 하르게이사를 기반으로 하는 비교적 최근에 설립된 택시 회사 중 하나이다. 이 회사는 소형차 4대, 승합차 7대, 그리고 약 19대의 다른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Sahal Technology 회사가 설치한 GPS 장치를 통해 택시 회사의 배차실에서는 택시가 제한 속도를 준수하며 운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난 발생 시 사무실에서 온라인으로 차량을 비활성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르게이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새로운 택시 회사로는 달히스 택시와 마로디 제 택시 등이 있다. 택시 요금은 저렴한 편으로, 1회 탑승당 ~ (2~3 달러) 정도이다.[60] 미국 달러도 현지 통화인 소말릴란드 실링과 함께 널리 사용된다.[61]
7. 2. 항공 교통
하르게이사의 항공 교통은 하르게이사 국제공항을 통해 이루어진다. 소말리아의 민간 항공사인 달로 항공과 주바 항공은 모가디슈, 보사소, 갈카요 등 소말리아 내 여러 도시로 향하는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또한 지부티와 두바이를 연결하는 국제선 노선도 이용할 수 있다.최근에는 에티오피아 항공과 플라이두바이 같은 항공사들이 추가로 취항하였다.[62] 하지만 이 두 항공사는 2024년 8월부터 소말리아 정부의 요구에 따라 하르게이사를 소말리아의 도시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는 소말리아 정부가 해당 표기를 변경하지 않으면 소말리아 영공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통보했기 때문이다.[63]
8. 교육
하르게이사에는 다양한 초등학교와 유치원이 위치해 있다. 이 도시에는 여러 개의 국립 및 사립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있다. 여기에는 SOS 셰이크 중학교, 아바르소 과학 기술 학교, 하르게이사 기술 학교, 살라마 중학교, 스마트 중학교 등이 포함된다. 특히 스마트 중학교는 이 지역에서 가장 뛰어난 중등 교육 기관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하르게이사에서 서쪽으로 약 약 12.87km 떨어져 있다.
이 도시에는 하르게이사 대학교, 아드마스 대학교 하르게이사, 소말릴란드 기술 대학교, 골리스 대학교, 뉴 제너레이션 대학교, 호프 대학교 및 마로디제 국제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이 있다. 에드나 아단 산부인과 병원은 학생들에게 간호학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실용 연구 및 훈련 연구소는 응용 연구 및 훈련을 전문으로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uqa cusub ee magaalada Hargeysa oo la doortay
https://www.voasomal[...]
2021-06-17
[2]
웹사이트
Somaliland: AbdiKarim Ahmed Mooge Sworn in as the New Mayor of Hargeisa
https://www.somalila[...]
2021-06-17
[3]
PDF
https://www.thebrenthurstfoundation.org/downloads/hargeisa_discussion-paper-04-2019-hargeisa-somaliland-invisible-city.pdf
https://www.thebrent[...]
2022-03
[4]
웹사이트
Hargeisa
http://jubba-airways[...]
Jubba Airways
2013-07-18
[5]
웹사이트
Somalia: largest cities and towns and statistics of their population
http://www.world-gaz[...]
2012-10-19
[6]
간행물
In the Valley of Death: Somaliland's Forgotten Genocide
https://www.thenatio[...]
2018-10-22
[7]
서적
Eritrea and Ethiopia: From Conflict to Cooperation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8]
문서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9]
서적
Encyclopaedia Britannica: A New Survey of Univers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10]
학술지
Ha
https://books.google[...]
Thomson/Gale
[11]
서적
Leadership in Eastern Africa
https://books.google[...]
Boston University Press
1968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malia
Scarecrow Press
2003
[13]
서적
Hides and Skins: World Production and International Trad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7
[14]
서적
Taḥaḍḍur fī al-waṭan al-ʻArabī (Institute of Arab Research and Studies)
https://books.google[...]
1978
[15]
학술지
The Journal of African Archeology Volume 1.2 (2003) Chapter 3
[16]
문서
East African Handbook
Trade & Travel Publications
[1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argeisa City as per documentary from U- Tube taken live frtom Hagi Abdi Hussen (Abdi Waraabe) commented by Dr. Mohamed Rashid sheik Hassan (An Ex-BBC Somali broadcaster).
http://salaanmedia.c[...]
2015-02-18
[18]
서적
Somaliland with Addis Ababa & Eastern Ethiopia
Bradt Travel Guides
[19]
학술지
South Asia Bulletin
https://books.google[...]
[20]
서적
The relevance of Harari values
https://www.everythi[...]
University of Alabama
[21]
서적
First footsteps in East Africa
http://www.artsrn.ua[...]
[22]
서적
First Footsteps in East Africa
1856
[23]
서적
Making Sense of Somali History
Adonis and Abbey
2017
[24]
학술지
Leadership in Eastern Africa
https://books.google[...]
1968
[25]
서적
Rebuilding Somaliland: Issues and Possibilities, Volume 1
Red Sea Press
[26]
서적
Seventeen Trips Through Somaliland and a Visit to Abyssinia
[27]
문서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At the University press
[28]
서적
British Somaliland An Administrative History, 1920-1960
Routledge
[29]
뉴스
Somaliland Marks Independence After 73 Years of British Rule
https://www.nytimes.[...]
1960-06-26
[30]
뉴스
How Britain said farewell to its Empire
https://www.bbc.co.u[...]
2010-07-23
[31]
뉴스
Close Residents of Somaliland sit under a war memorial of a MiG fighter jet in the centre of town in Hargeisa
http://www.trust.org[...]
2013-05-19
[32]
학술지
The Provincial Museum of Hargeisa
2009-04-24
[33]
문서
Country report: Uganda, Ethiopia, Somalia, Djibouti
The Unit
[34]
서적
Somalia: A Government at War With Its Own Peopl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35]
서적
The Country That Does Not Exist: A History of Somaliland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36]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7]
웹사이트
Investigating genocide in Somaliland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7-04-25
[38]
서적
Somalia: Issues, History, and Bibliography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02-01-01
[39]
문서
Geldenhuys, p.131
[40]
웹사이트
UK Somali Remittances Survey
http://www.diaspora-[...]
2018-04-30
[41]
웹사이트
Climate of Somalia
http://www.faoswalim[...]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11-04
[42]
웹사이트
Long term mean monthly sunshine fraction in Somalia
https://web.archiv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11-04
[43]
웹사이트
Klimatafel von Hargeisa / Somal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1-04
[44]
웹사이트
Climate & Weather Averages in Hargeisa, Somalia
https://www.timeandd[...]
Time and Date
2022-01-11
[45]
웹사이트
Monthly weather forecast and climate in Hargeisa, Somalia
https://www.weather-[...]
Weather Atlas
2022-01-11
[46]
웹사이트
Hargeisa City Hall
http://hargeisacity.[...]
[47]
웹사이트
Duqa cusub ee magaalada Hargeysa oo la doortay
https://www.voasomal[...]
2021-12-10
[48]
웹사이트
History made in Somaliland as minority candidate, son of former singer scoop more votes
https://www.garoweon[...]
2021-12-10
[49]
보고서
Understanding the Hargeisa Local Council System 'Phase 2'
https://soradi.org/w[...]
Soci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7-12-01
[50]
보고서
Hargeisa Urban Household Economy Assessment {{!}} February – March 2003
https://fews.net/sit[...]
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
2003-04-24
[51]
학술지
Modern Political Movements in Somaliland, I
https://www.jstor.or[...]
1958
[52]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Statistical and Historical Annual of the States of the World for the Year 1932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2-23
[53]
서적
The Early Morning is Phonecall: Somali Refugees' Remittance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0-08-01
[54]
서적
Landmine Monitor Report 1999: Toward a Mine-free World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1999
[55]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5-03-24
[56]
웹사이트
OCHA
https://docs.unocha.[...]
2013-09-21
[57]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3-12-06
[58]
서적
Hargeisa, Somaliland – Invisible City
The Brenthurst Foundation
[59]
웹사이트
USAID launches the first grants program for the private sector in Somaliland
https://web.archive.[...]
USAID
2013-07-18
[60]
뉴스
Taxi companies in Hargeisa create jobs, ease travel
http://sabahionline.[...]
2013-07-18
[61]
웹사이트
Following Mobile Money in Somaliland {{!}} Rift Valley Institute
http://riftvalley.ne[...]
2020-11-01
[62]
웹사이트
Discover the City of Hargeisa - flydubai
https://www.flydubai[...]
2018-04-30
[63]
뉴스
Ethiopian Airlines, flydubai comply with Somali ultimatum
https://www.ch-aviat[...]
2024-08-27
[64]
웹사이트
Climate of Somalia FAOSWALIM
http://www.faoswalim[...]
Somalia Water and Land Information Management, FAO Nairobi, Kenya
2007-10-01
[65]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Statistical and Historical Annual of the States of the World for the Year 1932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2-23
[66]
서적
The Early Morning is Phonecall: Somali Refugees' Remittance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0-08-01
[67]
서적
Landmine Monitor Report 1999: Toward a Mine-free World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1999
[68]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5-03-24
[69]
웹인용
Climate of Somalia
http://www.faoswalim[...]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70]
웹인용
Long term mean monthly sunshine fraction in Somalia
http://sddr.faoswali[...]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71]
웹인용
Klimatafel von Hargeisa / Somal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