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두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두이족은 '열정적인 자들'을 의미하는 켈트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불린 고대 갈리아 부족이다. 손 강과 루아르 강 사이에 위치한 프랑스 부르고뉴 지역에 거주했으며, 비브락테를 중심으로 한 오피둠 문명을 발전시켰다. 로마와 동맹을 맺어 갈리아 내에서 유력한 세력으로 성장했으나, 게르만족의 침입과 카이사르의 갈리아 정복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로마 시대에는 아우구스토두눔(오툉)을 중심으로 로마 제국에 협력하며, 로마의 정부 고관을 배출하기도 했다. 하이두이족은 자체적인 정치 체제를 갖추고 있었으며, 자누스 신전과 같은 종교적 중심지를 통해 주변 부족들과의 종교적 교류를 하기도 했다.

2. 명칭

'하이두이'(Haedui)라는 이름은 '열정적인 자들'을 의미하는 켈트어에서 유래했다.[2] 이는 켈트 조어 어간 ''*aidu-''('불, 열정')에서 파생되었으며, 고대 아일랜드어 ''áed'' '불', 웨일스어 ''aidd'' '열정'과 관련이 있다. 폴리비우스는 이들을 ''아르듀에스''(Ἄρδυες)로,[1] 키케로와 카이사르는 ''하이두이''(Haedui)로,[2] 리비우스는 ''하에두오스''(Haeduos)로,[3] 플리니는 ''아이두이''(Aedui)로,[4] 프톨레마이오스는 ''아이듀온''(Αἰδύων)으로,[5] 카시우스 디오는 ''아이두오이''(Aἴδουοι)로 언급했다.[6][7]

3. 지리

3. 1. 영토

아이두이족의 영토는 교역로와 관련하여 전략적인 위치에 있는 손 강과 루아르 강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오늘날 데파르트망손에루아르주와 니에브르주의 대부분, 본과 솔리외 사이의 코트도르주 남서부, 그리고 아발론 주변의 욘주 남부를 포함하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손 강 평원, 모르방 화강암 덩어리, 그리고 낮은 니베르네 고원과 일치한다. 그들은 서쪽의 아르베르니족, 남쪽의 세구시아비족과 암바리족, 동쪽의 세쿠아니족, 그리고 북쪽의 린고네스족과 세노네스족 사이에 거주했다.

아이두이족의 국가는 고대 기록에 나타난 그들에 대한 보고서에 의해 정의된다. 윗부분의 리게르강은 그들의 서쪽 경계를 이루며,[8] 비투리게스 큐비족과 분리되었다. 아라르강은 그들의 동쪽 경계를 이루며, 세콰니족과 분리되었다.[9] 세콰니족은 두비스강과 아라르강이 합류하는 지역, 그리고 아라르강이 로다누스강으로 합류하는 지역에는 거주하지 않았다. 카이사르는 헬베티족쥐라산맥과 로다누스강 사이의 통로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세콰니족에 속하는 아이두이족의 영토를 약탈했다고 말한다.[10] 이러한 상황은 스트라보가 한 문장에서는 아이두이족이 아라르강과 두비스강 사이에 살았다고 하고, 다음 문장에서는 세콰니족이 아라르강 건너편(동쪽)에 살았다고 말하는 명백한 모순을 설명해 준다.[11]

3. 2. 주요 거주지

라텐 시대 말기에는 뒝-레-플라스의 비외-뒝, 라볼-드-프레토이의 르 푸 드 베르됭, 그리고 비브락테 등의 오피둠(요새화된 정착지)이 발달했다. 특히 비브락테는 하이두이족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로마 시대에는 비브락테가 버려지고, 아우구스투스의 요새라는 뜻을 가진 아우구스토두눔(오늘날의 오툉)이 새로운 중심지로 건설되었다.

4. 역사

스트라본에 따르면, 하에두이족은 아랄강과 도우비스강(현: 두 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이 원래 거주지였다고 한다. 주읍은 비브락테였다. 기원전 6세기에 이탈리아 반도로 침입한 갈리아 군에는 하에두이족도 참가했다.[13]

하에두이족은 로마로부터 지원을 받은 덕분에 갈리아에서 아르베르니족과 함께 유력한 부족으로 성장했으며, 기원전 123년에는 로마로부터 "로마 국민의 형제와 혈연자"라는 칭호를 받았다.[13]

기원전 70년경, 아르베르니족의 한 분파였던 세쿠아니족이 게르만족 계열 수에비족의 족장 아리오비스트스와 동맹을 맺고 하이두이족과 싸웠다.[14] 하이두이족은 패배하여 많은 인질을 세쿠아니족에게 넘겨 종속되었다. 그러나 아리오비스트스는 세쿠아니족을 억누르면서 갈리아에 정착하려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기원전 61년경에 세쿠아니족의 요청으로 하이두이족은 아리오비스트스와 싸웠지만, 아드마게도브리카에서 대패했다.[14] 하이두이족의 디비키아쿠스는 이 궁핍한 상황을 로마 원로원에 호소했지만,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집정관이었던 기원전 59년에 아리오비스트스는 "로마 국민의 친구"라는 칭호를 원로원으로부터 받았고, 이 호소는 실패로 끝났다.[14]

기원전 58년, 갈리아 총독이 된 카이사르에 의해 아리오비스트스는 게르마니아로 추방되었고, 하이두이족은 수에비인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기원전 52년베르킨게토릭스를 지도자로 하여 전 갈리아가 봉기했을 때 갈리아 연합군에 참가했지만, 패배 후 로마 측에 항복했다.

300x300px


아우구스투스 치세기에 비브락테는 철거되었고, 새롭게 설치된 아우구스토두눔 (현: 오텡)으로 이주했다.[15] 그 후, 하이두이족에서는 여러 명의 로마 제국의 정부 고관이 배출되었다.

4. 1. 로마 이전 시대

하이두이족은 초기 라 텐 문화의 중심지 중 하나였던 부르고뉴 지역에 거주했다. 빅스 무덤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3세기 초, 오피둠을 중심으로 한 문명이 시작되었고,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정착지와 성소가 건설되었다. 스트라본에 따르면, 하이두이족은 아랄강과 두 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이 원래 거주지였으며, 주읍은 비브락테였다.

기원전 6세기에 이탈리아 반도로 침입한 갈리아 군에는 하이두이족도 참가했다. 하이두이족은 로마로부터 지원을 받은 덕분에 갈리아에서 아르베르니족과 함께 유력한 부족으로 성장했으며, 기원전 123년에는 로마로부터 "로마 국민의 형제와 혈연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기원전 70년경, 아르베르니족의 한 분파였던 세쿠아니족이 게르만족 계열 수에비족의 족장 아리오비스트스와 동맹을 맺고 하이두이족과 싸웠다. 하이두이족은 패배하여 많은 인질을 세쿠아니족에게 넘겨 종속되었다. 그러나 아리오비스트스는 세쿠아니족을 억누르면서 갈리아에 정착하려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기원전 61년경에 세쿠아니족의 요청으로 하이두이족은 아리오비스트스와 싸웠지만, 아드마게도브리카에서 대패했다. 하이두이족의 디비키아쿠스는 이 궁핍한 상황을 로마 원로원에 호소했지만,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집정관이었던 기원전 59년에 아리오비스트스는 "로마 국민의 친구"라는 칭호를 원로원으로부터 받았고, 이 호소는 실패로 끝났다.

기원전 58년, 갈리아 총독이 된 카이사르에 의해 아리오비스트스는 게르마니아로 추방되었고, 하이두이족은 수에비인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4. 2. 로마 시대

리비우스 (v. 34)에 따르면, 하이두이족은 기원전 6세기에 벨로베수스의 이탈리아 원정에 참여했다.[13] 스트라본에 따르면, 하이두이족은 아랄강과 도우비스강(현: 두 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이 원래 거주지였다고 한다. 주읍은 비브락테였다. 기원전 6세기에 이탈리아 반도로 침입한 갈리아 군에는 하이두이족도 참가했다.

카이사르 시대 이전에 그들은 고대 로마에 합류하여 로마 국민의 형제이자 친족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3] 하이두이족은 로마로부터 지원을 받은 덕분에 갈리아에서 아르베르니족과 함께 유력한 부족으로 성장했으며, 기원전 123년에는 로마로부터 "로마 국민의 형제와 혈연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들의 전통적인 라이벌인 세쿠아니족이 기원전 63년 마게토브리가 전투에서 게르만족 추장 아리오비스투스의 지원을 받아 하이두이족을 격파하고 학살했을 때, 하이두이족은 드루이드교의 디비시아쿠스를 로마로 보내 로마 원로원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의 임무는 성공하지 못했다.[14]기원전 70년경, 아르베르니족의 한 분파였던 세쿠아니족이 게르만족 계열 수에비족의 족장 아리오비스트스와 동맹을 맺고 하이두이족과 싸웠다. 하이두이족은 패배하여 많은 인질을 세쿠아니족에게 넘겨 종속되었다. 그러나 아리오비스트스는 세쿠아니족을 억누르면서 갈리아에 정착하려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기원전 61년경에 세쿠아니족의 요청으로 하이두이족은 아리오비스트스와 싸웠지만, 아드마게도브리카에서 대패했다. 하이두이족의 디비키아쿠스는 이 궁핍한 상황을 로마 원로원에 호소했지만,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집정관이었던 기원전 59년에 아리오비스트스는 "로마 국민의 친구"라는 칭호를 원로원으로부터 받았고, 이 호소는 실패로 끝났다.

기원전 58년 갈리아에 도착한 후, 카이사르는 하이두이족의 독립을 회복시켰다. 기원전 58년, 갈리아 총독이 된 카이사르에 의해 아리오비스트스는 게르마니아로 추방되었고, 하이두이족은 수에비인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후 카이사르에 대항하는 갈리아 동맹에 합류했지만 (''B. G.'' vii. 42), 알레시아 전투에서 베르킨게토릭스가 항복한 후, 하이두이족은 기꺼이 충성을 다시 바쳤다. 기원전 52년베르킨게토릭스를 지도자로 하여 전 갈리아가 봉기했을 때 갈리아 연합군에 참가했지만, 패배 후 로마 측에 항복했다.

아우구스투스는 그들의 수도인 비브락테를 몽 뵈브레이에서 해체하고 로마와 갈리아의 이름을 반반씩 딴 새로운 도시 아우구스토두눔(현대 오툉)을 건설했다.[15] 아우구스투스 치세기에 비브락테는 철거되었고, 새롭게 설치된 아우구스토두눔 (현: 오텡)으로 이주했다.

서기 21년, 티베리우스 치세 동안, 하이두이족은 율리우스 사크로비르의 지휘 아래 반란을 일으켜 아우구스토두눔을 점령했지만, 곧 가이우스 실리우스 (타키투스 ''연대기'' iii. 43–46)에 의해 진압되었다. 하이두이족은 황제 클라우디우스로부터 ''유스 호노룸''의 구별을 받은 최초의 갈리아인으로, 상원의원이 될 수 있도록 허가된 최초의 갈리아인이 되었다.[16] 클라우디우스 (서기 41–54년)까지, 하이두이족은 로마에 상원의원을 파견한 최초의 북부 갈리아인이었다. 그 후, 하이두이족에서는 여러 명의 로마 제국의 정부 고관이 배출되었다.

에우메니우스의 연설은, 그가 자신의 고향인 아우구스토두눔의 학교 복원을 간청하는 내용인데, 당시 지역이 소외되었음을 시사한다. 카이사르 시대 하이두이족의 최고 행정관은 베르고브레투스라고 불렸다 (테오도르 몸젠에 따르면, "판결자"). 그는 매년 선출되었고, 생사여탈권을 가졌지만, 영토의 경계를 넘어가는 것은 금지되었다. 특정 클리엔테스, 즉 작은 공동체들도 하이두이족에 의존했다.[14]

5. 정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따르면, 하이두이족은 헬베티족, 세콰니족, 레미족, 아르베르니족과 경쟁 관계에 있는 강력한 갈리아 부족 중 하나였다.[17] 하이두이족은 로마 원로원 의원과 유사한 준 공화정 국가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이며, 강력한 베르고브레가 적어도 어느 정도는 국민의 뜻에 따랐다.[17]

최고 행정관인 '베르고브레투스'는 매년 선출되었으며, 생사여탈권을 가졌지만 영토 밖으로 나가는 것은 금지되었다. 원로원은 고대 왕족 가문의 후손들로 구성되었으며, 베르고브레투스는 원로원의 권한 아래 있었다. 자유민들은 유력 가문의 수장들에게 군사적, 재정적, 정치적 지원을 제공하는 봉신 관계를 맺었다.

6. 종교

오툉 외곽에 위치한 자누스 신전은 하이두이족의 종교적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서기 1세기 후반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230x230px
라텐 문화 시대 말기, 하이두이족과 인근 부족들인 린고네스족, 세콰니족 사이에 종교적 융합이 일어났다. 이는 뉘-생-조르주(하이두이족), 미르보-쉬르-베즈(린고네스족), 망되르(세콰니족) 등의 성소에서 유사한 종교 관습이 나타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참조

[1] 서적 Historíai
[2] 서적 Epistulae ad Atticum
[2]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3]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4] 서적 Naturalis Historia
[5] 서적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6] 서적 Rhōmaïkḕ Historía
[7] 서적 Aedui and Haedui
[8] 서적 BG
[9] 서적 BG
[10] 서적 BG
[11] 서적 Geography
[12] 논문 Vercingetorix https://zenodo.org/r[...] 1889
[13] 서적 BG
[14] 간행물 Aedui EB1911
[15] 웹사이트 Alpheus--Bibracte: Last Center of Celtic Occultism https://www.alpheus.[...] 2021-06-04
[16] 서적 Peoples, Nations and Cultures Weidenfeld and Nicolson 2005
[17] 서적 The Gallic War Oxford World's Class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