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허는 톈진 시를 관통하는 강으로, 베이윈허, 난윈허, 다칭허, 쯔야허, 융딩허 등 5개의 하천이 합류하여 형성된다. 명칭은 조수에 따라 역류하는 현상 때문에 바다를 뜻하는 '海' 자를 사용하여 유래되었다. 타이싱산맥과 옌산산맥에서 발원하여 화북 지역을 관통하며, 과거에는 홍수와 가뭄이 반복되는 지역이었다. 1939년과 1963년 대홍수 이후 마오쩌둥의 지시로 치수 사업이 진행되었고, 상류에 댐 건설, 하류에 방수로 건설을 통해 홍수 피해를 줄였다. 하지만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용수량 증가, 지하수 고갈, 수질 오염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롼허의 물을 끌어오는 사업을 통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시의 강 - 융딩허
융딩허는 산시성에서 발원하여 허베이성과 톈진시를 거쳐 발해로 흘러드는 총 길이 650km의 강으로, 과거 잦은 범람으로 무정하로 불렸으나 강희제 시대 치수 사업 이후 개명되었고, 베이징시의 중요한 상수원인 관팅 저수지가 위치하며 루거우 교와 관련이 깊다. - 산둥성의 강 - 지수이
지수이는 춘추전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이자 소금 생산지였던 고대 중국의 강 또는 지역이었으나, 1852년 황하 대홍수로 소멸되어 중국 역사와 문화, 그리고 청나라 멸망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여러 지명과 지역 문화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 산둥성의 강 - 황하
황하는 중국 북부를 흐르며 황토 고원에서 운반된 황토로 인해 '노란 강'이라 불리지만, 잦은 범람과 유로 변경으로 '중국의 슬픔'이라고도 불리며 현재 수자원 부족과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 정부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톈진시의 강 - 융딩허
융딩허는 산시성에서 발원하여 허베이성과 톈진시를 거쳐 발해로 흘러드는 총 길이 650km의 강으로, 과거 잦은 범람으로 무정하로 불렸으나 강희제 시대 치수 사업 이후 개명되었고, 베이징시의 중요한 상수원인 관팅 저수지가 위치하며 루거우 교와 관련이 깊다. - 톈진시의 강 - 쯔야허
쯔야허는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어 추가 정보가 필요하며, 관련 정보 또한 대체가 필요한 대상이다.
하이허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기타 명칭 | Hai He |
어원 | 바다 강(Sea River) |
다른 이름 | 백하 (白河, Bái Hé, White River) 페이허 (Peiho) |
지리 | |
국가 | 중국 |
위치 | 톈진시, 허베이성, 베이징시, 허난성,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산둥성 |
발원지 | 타이항산맥, 옌산산맥 |
하구 | 보하이해 |
길이 | 1,329 km |
유역 면적 | 318,200 km² |
평균 방류량 | 717 m³/s |
지류 (왼쪽) | 해당사항 없음 |
지류 (오른쪽) | 해당사항 없음 |
2. 명칭
하이허(海河|Hǎi Hé중국어)는 지대가 낮아 밀물 때 바닷물이 거슬러 올라오기도 하고, 바다처럼 조수 간만의 차가 생기기 때문에 '바다 강'이라는 뜻의 이름이 붙었다. 하이허의 지류인 잉띵허永定河|Yǒngdìng Hé중국어는 물길이 자주 바뀌었기 때문에 원래는 '정해진 물길이 없는 강'이라는 뜻의 우띵허(无定河|Wúdìng Hé중국어)라고 불렸다. 하지만 강의 범람을 막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 황제가 '영원히 안정된 강'이라는 뜻의 '잉띵허'로 이름을 바꾸었다.
하이허 유역은 화북평원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유역 면적은 약 320000km2에 달하고 약 1억 240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이 유역은 베이윈허(北運河), 난윈허(南運河), 다칭허(大清河), 쯔야허(子牙河), 융딩허(永定河) 등 5개의 주요 하천이 톈진에서 합류하여 하이허 본류를 이루는 복잡한 수계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난윈허와 베이윈허를 통해 중국의 남북을 잇는 대운하와 연결되어 예로부터 수운 교통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3. 유역
그러나 하이허 유역은 황토 고원을 통과하는 지류들로 인해 많은 토사를 운반하며, 하류 지역은 지대가 낮고 평탄하여 홍수에 매우 취약하다. 특히 여름철 집중 호우 시에는 5개 지류의 물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큰 피해를 일으키곤 했다. 기록에 따르면 명나라 시대부터 1949년까지 387번의 대규모 수해와 407번의 대규모 가뭄이 발생했으며, 1939년과 1963년에는 톈진 시내가 물에 잠기는 등 큰 홍수를 겪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오쩌둥의 지시로 대대적인 치수 사업이 진행되어 상류에는 많은 댐이 건설되고 하류에는 방수로가 만들어졌다.
한편,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상류 지역의 사막화 및 강수량 감소로 인해 유역의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많은 지류에서 물이 마르는 현상이 나타나고 지하수위는 낮아졌으며, 유량 감소는 수질 오염을 더욱 악화시켰다.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롼허의 물을 끌어오는 '인롼루진(引滦入津) 공정'이 시행되었고, 현재는 남수북조 프로젝트를 통해 창장의 물을 끌어오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규모 사업들은 하구 생태계에 또 다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과거 톈진의 명물이었던 은어(津沽银鱼|진옌인위중국어)나 게(螃蟹) 등은 수자원 고갈과 환경 변화로 자취를 감추었다.
3. 1. 지형적 특징
하이허 유역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타이싱산(太行山)과 연산(燕山)의 바람을 등지고 발원하는 하천들이다. 이들은 굽이쳐 흐르며 유역 면적이 넓고, 물이 한곳으로 모여 흐르기 때문에 토사 함유량이 비교적 높다. 두 번째 유형은 타이싱산과 연산의 바람을 맞으며 발원하는 하천들로, 지류가 여러 갈래로 나뉘고 흐름이 짧고 급하며, 수위 변동이 크고 짧은 시간에 갑자기 물이 불어나는 특징이 있다. 이 유형의 하천은 토사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 두 유형의 하천이 화북 지역에 분포하며 뚜렷한 맑고 탁함의 차이를 보인다.
톈진 시역에서는 5개의 주요 하천이 합류하여 하이허 본류를 이룬다. 이들은 '''베이윈허'''(北運河), '''난윈허'''(南運河), '''다칭허'''(大清河), '''쯔야허'''(子牙河), 그리고 '''융딩허'''(永定河)이다.
하이허의 가장 긴 지류인 장허(漳河, 탁장허)의 수원에서 하구까지의 총 길이는 1329km에 달한다. 하지만 톈진 시내의 합류점(쯔야허와 베이윈허가 만나는 진강교 삼차하구)에서 보하이의 하구(빈하이 신구의 다구커우)까지 이어지는 하이허 본류의 길이는 73km에 불과하며, 직선 거리로는 50km도 채 되지 않는다. 삼차하구는 톈진시의 훙차오 구, 허베이 구, 난카이 구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여기서부터 하류로 내려가면 오른쪽 강변은 허둥 구와 둥리 구, 왼쪽 강변은 허핑 구, 허시 구, 진난 구와 접한다. 최하류부는 빈하이 신구(구 탕구 구)에 속하며, 대규모 항만 시설과 화학 공장, 조선소 등이 밀집해 있다. 하이허 전체 유역 면적은 약 320000km2이며, 이 지역에는 약 1억 240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하이허는 톈진에서 합류하는 난윈허를 통해 대운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황허 수계 및 창장 수계와도 이어진다. 과거 하이허 수계의 웨이허, 쯔야허, 융딩허 등은 각기 다른 하구를 통해 보하이로 흘러 들어갔다. 그러나 베이징으로 향하는 대운하 건설과 함께 수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들 하천의 하류 부분이 변경되어 톈진 부근에서 하나로 합류하게 되었다.
하이허 유역 면적은 넓지만 수량이 매우 적다. 연간 총 수량은 황허의 절반, 창장(양쯔강)의 30분의 1에 불과하며, 해마다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1970년대 이후, 하이허 상류 지역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용수 수요가 급증했다. 상수도 확보를 위해 지류에 다수의 중소 규모 댐이 건설되었고, 대형 댐 건설도 잇따랐다. 대표적인 예로는 베이징에 물을 공급하는 미윈 댐, 관청 댐, 스싼링 댐, 바오딩 시에 물을 공급하는 시다양 댐, 왕콰이 댐, 스자좡 시의 수원인 황비좡 댐, 강난 댐, 싱타이 시의 수원인 주좡 댐, 한다단 시의 수원인 위에청 댐, 안양 시 린 현에 물을 공급하는 훙치취(紅旗渠) 등이 있다.
이러한 취수량 증가와 더불어 상류 지역의 사막화 진행 및 강수량 감소로 인해 하이허의 유량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작은 지류 대부분과 일부 큰 지류마저 연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물이 흐르지 않는 건천(乾川) 상태가 되었다. 유량 감소는 하천 오염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화베이 평원에서는 부족한 물을 지하수에 의존하여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있지만, 과도한 지하수 취수로 인해 지하 수위마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심각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2년에는 화베이 평원의 또 다른 주요 하천인 롼허(灤河)의 물을 톈진으로 끌어오는 "인롼루진(引滦入津) 공정"이 시작되었다. 1983년에 완공된 이 수로를 통해 톈진에는 매년 약 10억m3의 물이 공급되어 물 부족 문제가 일부 해소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하구에 수문을 설치하여 강물이 보하이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통제하게 되었고, 물을 끌어온 지점부터 하구까지 거대한 저수지와 같은 상태가 되었다. 이로 인해 바닷물이 강으로 역류하지 못하게 되면서 기수역 생태계와 어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과거 톈진의 삼차하구 부근에서는 "진옌인위(津沽银鱼)"라 불리는 고급 은어가 잡혔고, 톈진 교외의 셩팡(胜芳) 지역은 타이후나 양청후 등 창장 삼각주 지역에 버금가는 품질 좋은 게(螃蟹) 생산지로 유명했지만, 현재는 이러한 수산 자원이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하이허 지류의 많은 강들이 말라가고,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물 부족은 화베이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중국 정부는 남수북조 프로젝트를 통해 창장 수계의 물을 하이허 유역으로 끌어와 이 문제를 완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3. 2. 본류
하이허 본류는 쯔야허(子牙河)와 베이윈허(北运河)가 합류하는 지점부터 보하이(渤海, 발해)의 탕구구까지 구간을 의미한다. 이 본류 구간은 톈진시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길이는 73km이지만 실제 직선 거리는 50km 미만이다.[1] 두 강이 만나는 합류점은 톈진 시내 긴깡교(金刚桥, 금강교) 인근의 싼차허커우(三岔河口)이며, 이곳은 훙차오구, 허베이구, 난카이구 세 구역이 만나는 지점이다. 싼차허커우 하류의 우안(오른쪽 강변)은 허둥구와 둥리구에 속하고, 좌안(왼쪽 강변)은 허핑구, 허시구, 진난구에 해당한다. 강이 바다와 만나는 최하류 지역은 빈하이 신구(과거 탕구 구)에 속하며, 이 일대에는 대규모 항만 시설과 화학 공장, 조선소 등이 집중되어 있다.[1]
하이허 전체 수계에서 가장 긴 지류인 장허(漳河)의 발원지부터 하구까지의 총 길이는 1329km에 달한다. 하이허 유역의 총면적은 약 320000km2이며, 이 넓은 지역에는 약 1억 2400만 명의 인구가 생활하고 있다.[1] 하이허는 톈진에서 합류하는 남운하(南運河)를 통해 대운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황하 수계나 장강 수계와도 간접적으로 이어진다.[1] 역사적으로 하이허 수계에 속하는 웨이허, 쯔야허, 융딩허 등 주요 하천들은 원래 각기 다른 하구를 통해 보하이로 흘러 들어갔으나, 베이징으로 향하는 대운하 건설과 함께 수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들 하천의 하류 경로를 인위적으로 변경하여 톈진 부근에서 하나로 합류하도록 만들었다.[1]
오늘날 톈진 시역에서는 총 5개의 주요 하천이 합류하여 하이허 본류를 형성한다. 이들은 '''베이윈허'''(北運河), '''남운하'''(南運河), '''다칭허'''(大清河), '''쯔야허'''(子牙河), '''융딩허'''(永定河)이다.[1]3. 3. 주요 지류
하이허는 크게 5개의 주요 지류를 가지고 있다.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북운하'''(北運河), '''영정하'''(永定河), '''다칭허'''(大清河), '''쯔야허'''(子牙河), '''남운하'''(南運河)가 그것이다.[8] 이 5개의 하천은 톈진 시역에서 합류하여 하이허 본류를 형성한다.
이 외에도 차오바이허(潮白河), 양허(洋河), 상간허(桑干河), 거마허(拒马河), 부하(府河), 당하(唐河), 호타하(滹沱河), 부양하(滏阳河), 위하(卫河), 청장하(清漳河), 탁장하(浊漳河) 등 수많은 작은 지류들이 하이허 수계를 이룬다. 이 중 가장 긴 지류인 탁장허의 수원에서부터 계산하면, 하이허의 총 길이는 1329km에 달한다. 하지만 톈진 시내의 합류 지점(진강교 삼차하구)에서 하구인 다구커우까지 하이허 본류의 길이는 73km에 불과하다.
북운하와 남운하는 항저우에서 베이징에 이르는 '''대운하'''의 일부이기도 하다.
하이허 수계는 과거에는 각 지류가 별개의 하구를 통해 보하이로 흘러 들어갔으나, 베이징으로 향하는 대운하 건설과 수운 확장을 위해 하류 부분이 변경되어 톈진 부근에서 하나로 합류하게 되었다.
하이허의 주요 지류는 대체로 5개 방면에서 흘러와 합류하며, 각 방면별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8]
방면 | 주요 지류 | 세부 지류 |
---|---|---|
북 | 북운하 (경항 대운하 일부) | 계운하(蓟运河), 조백하(潮白河) |
북서 | 영정하 | 상간허, 양허 |
서 | 다칭허 | |
남서 | 쯔야허 | 부양하, 호타하 |
남 | 남운하 (경항 대운하 일부) | 위하, 장하 |
4. 역사
하이허 유역은 타이싱산(太行山)에서 화북평원으로 이어지는 지형적 특성상 예로부터 홍수와 가뭄이 빈번했다. 특히 우기가 집중되는 여름철에는 타이항산맥에서 내려오는 급류가 평원에서 범람하여 토사를 쌓고 물길을 바꾸는 일이 잦았다. 기록에 따르면 명나라 건국(1368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1949년)까지 387차례의 큰 홍수와 407차례의 큰 가뭄이 발생했다.
근대에 들어서도 하이허의 물 문제는 계속되었다. 1929년 국민당 정부가 강바닥 준설을 시도했으나[9]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1939년에는 대홍수로 톈진 시가지가 두 달 가까이 물에 잠기는 등 큰 피해를 겪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특히 1963년의 대홍수는 마오쩌둥 주석이 "하이허를 반드시 다스려야 한다(一定要根治海河)"고 지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상류에 댐을 건설하고 하류를 정비하는 대규모 치수 사업이 진행되었다. 이 사업으로 과거와 같은 대규모 홍수는 크게 줄었지만, 상류의 댐 건설과 도시 개발로 인한 용수량 증가는 하류의 물 부족과 가뭄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했다. 1970년대 이후 많은 댐이 건설되면서 하류 유량이 감소했고, 특히 톈진 지역의 물 부족이 심화되었다. 1981년에는 베이징의 물 공급을 위해 톈진으로의 물 공급이 중단되기도 했다.[10]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3년 롼허(滦河)의 물을 끌어오는 인롼루진 프로젝트가 완공되었으나, 이는 하이허 하구의 생태계 변화를 초래하는 등 또 다른 영향을 미쳤다. 하이허의 역사는 끊임없는 자연재해와 이에 맞선 인간의 노력,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문제들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
4. 1. 고대 ~ 근대
황허강과 마찬가지로 하이허는 흐르는 토양이 미세하여 물이 매우 탁하다. 강물이 운반하는 토사는 하류에 퇴적되어 때때로 홍수를 일으키는데, 5개의 주요 지류가 바다로 나가는 출구가 하나뿐이어서 홍수의 위력이 더욱 커진다.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과 세 번째로 큰 도시인 톈진이 모두 하이허 유역에 위치해 있어, 하이허의 홍수는 역사적으로 큰 피해를 입혔다. 이러한 홍수를 완화하기 위해 저수지를 건설하고, 과도한 물을 바다로 직접 돌리기 위한 인공 수로를 건설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차오바이허는 차오바이 신강으로 물길이 바뀌어 더 이상 북운하와 합류하지 않는다.1858년 5월 20일, 당시 "베이허(Pei-hoeng)"라고 불리던 하이허에서는 제2차 아편 전쟁 중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의 침략이 있었으며, 이 전투의 결과로 대구포가 함락되었다.[2] 1863년에는 해상 선박이 퉁저우까지 도달할 수 있었으나, 강이 심하게 굽이쳐 대형 선박의 항해는 어려웠다.[3]
의화단 운동 시기인 1900년 6월 15일 대구포 전투가 벌어지기 전, 청나라 군대는 서방 8개국 연합군 함대의 공격을 막기 위해 하이허(당시 백하강)에 "전기 기뢰"를 설치하기도 했다. 이는 당시 미국 군 정보부에 의해 보고되었다.[4][5][6][7]
1929년(민국 18년) 4월 21일, 국민당 정부는 하이허 준설(강바닥을 깊이 파내는 작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단기 공채를 발행했다.[9] 그러나 1939년에는 큰 홍수가 발생하여 철로(진푸선 철로)가 파괴되었고, 톈진 시 중심인 허핑 구는 저지대여서 수심이 약 2m에 달해 두 달 동안 길 위로 배가 다닐 정도였다.
하이허 유역의 산업 및 도시 개발은 강의 유량 감소와 수질 오염 문제를 야기하기 시작했다. 많은 작은 지류들과 일부 주요 지류들이 마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4. 2. 현대
1929년 4월 21일, 당시 국민당 정부는 하이허의 준설(浚渫, 강바닥을 깊이 파냄)을 위한 단기 공채를 발행하였다.[9] 1939년에는 큰 홍수가 발생하여 진푸 철로(津浦铁路)가 파괴되었고, 톈진 시내가 물에 잠겼다. 특히 저지대인 허핑 구(和平区)는 수심이 약 2m에 달해 배가 두 달 동안 통행하기도 했다.하이허 하류는 지대가 낮아 만조 시 바닷물이 역류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곤 했다. 이를 막기 위해 1959년 하구에 댐(攔河大壩, 란허다바)을 건설하여 만조 때 수문을 닫아 바닷물의 역류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1963년 타이항산맥(太行山脉) 지역에 7일간 폭우가 쏟아지면서 허베이성 헝수이(衡水) 일대가 거대한 호수처럼 변하는 대홍수가 발생했다. 당시 톈진시의 공업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상류 지역의 제방을 터뜨려 물을 방류하는 조치가 불가피하게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베이징과 광저우를 잇는 징광선(京广铁路) 및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징후선(京沪铁路) 철도의 운행이 전면 중단되기도 했다. 상하이에서 베이징으로 가던 열차가 란저우(兰州)로 우회해야 할 정도였다. 이러한 큰 피해 이후, 마오쩌둥(毛泽东)은 “하이허를 반드시 다스려야 한다(一定要根治海河)”고 지시했다. 이 지시에 따라 하류는 준설하고 상류에는 댐을 건설하는 대규모 치수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하이허 유역에서는 큰 홍수는 발생하지 않게 되었으나, 반대로 가뭄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이후, 하이허 상류 지역의 도시 개발과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용수량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에 따라 크고 작은 댐들이 연이어 건설되었다. 주요 댐으로는 베이징에 물을 공급하는 미윈 댐(密云水库), 관팅 댐(官厅水库), 스싼링 댐(十三陵水库), 허베이성 바오딩(保定)에 물을 공급하는 시다양 댐(西大洋水库), 왕콰이 댐(王快水库), 스자좡(石家庄)에 물을 공급하는 황비좡 댐(黄壁庄水库), 강난 댐(岗南水库), 싱타이(邢台)에 물을 공급하는 주좡 댐(朱庄水库), 한단(邯郸)에 물을 공급하는 위에청 댐(岳城水库), 허난성 린저우(林州, 당시 린 현)에 물을 공급하는 훙치취(红旗渠) 등이 있다. 상류에서 물 사용량이 늘어나고 댐에 물이 저장되면서 하류로 흘러가는 물의 양은 크게 줄었다. 화북평원의 농업용수는 지하수에 의존하게 되었고, 이는 지하수 수위를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하이허 유역의 가장 하류에 위치한 "아홉 강이 모이는 곳(九河下梢)"인 톈진은 심각한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1981년, 베이징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 건설된 미윈 댐이 베이징에 우선적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면서, 톈진과 허베이성에 대한 물 공급이 중단되어 용수난이 더욱 심각해졌다.[10]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2년 국무원(国务院)은 인롼루진 프로젝트(引滦入津工程, 인롼입진 공정)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화북평원에서 두 번째로 큰 강인 롼허(滦河)의 물을 톈진으로 끌어오는 대규모 사업이었다. 1983년 이 공사가 완공되어 매년 약 10억 m³의 물을 톈진으로 공급하게 되면서 톈진의 물 부족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톈진시 싼차허커우(三岔河口)에는 인롼루진 기념비가 세워졌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치수 사업과 물 관리 정책은 하이허의 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인롼루진 프로젝트 이후 하이허 하구의 수문은 영구적으로 폐쇄되었고, 하이허 본류는 사실상 거대한 저수지처럼 변했다. 이로 인해 하이허와 롼허에서 보하이(渤海, 발해)로 흘러 들어가는 민물의 양이 크게 줄거나 거의 없어졌으며,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의 생태계가 파괴되었다. 특히 강과 바다를 오가는 회귀성 어류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 과거 하이허 유역은 수산업이 활발하여, 톈진 싼차허커우 부근에서 잡히는 "금 눈(金眼)" 은어는 타이후(太湖)의 은어와 구별될 정도로 유명했고, 게(螃蟹)는 장쑤성(江苏省)의 다자셰(大闸蟹, 대갑게)와 견줄 만큼 품질이 좋았으나, 현재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하이허 유역은 전체 면적이 약 32만 km²에 달하지만, 연간 수량은 황하의 절반, 창장(长江, 양쯔강)의 30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물이 부족하다. 상류 지역의 산업화와 도시화, 다수의 댐 건설, 사막화 진행과 강수량 감소 등이 겹치면서 하이허의 유량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많은 지류들이 일 년 내내 물이 흐르지 않는 건천(乾川)이 되었고, 유량 감소는 수질 오염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지하수마저 과도하게 개발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등 물 부족 문제는 하이허 유역 전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 정부는 창장의 물을 북쪽으로 끌어오는 남수북조 프로젝트(南水北调工程)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하이허 유역의 물 부족 문제도 일부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5. 하이허 주류에 놓인 다리(교량)
- 영락교 (톈진아이)
- 진강교
- 사자림교
- 진탕교
- 진보교
- 베이안교
- 다구교
- 제팡교
- 츠펑교
- 진후이교 (바오딩교)
- 다광밍교
- 진푸교 (蚌埠桥, 방부교)
- 즈구교 (奉化桥, 펑화교)
- 류좡교
- 광화교
- 궈타이교
- 푸민교
- 하이진 대교
- 류린교
- 지자오교
6. 특산물
명대에 서광계가 벼를 중국 북방에 전파했는데, 처음에는 하이허 하류 지역에 심었다. 북방 지역 벼는 생장 기간이 길어 품질이 우수하며, 특히 하이허 하류에서 생산되는 '사오짠 벼(小站稻|샤오잔다오중국어)'가 유명하다. 그러나 하이허는 바닷물이 역류하는 경우가 있어 벼 재배에 어려움이 있었다. 1959년 하구에 댐을 건설하여 만조 시 수문을 닫아 바닷물 역류를 막으면서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참조
[1]
서적
Hai River Annals: Volume One
中国水利水电出版社
[2]
간행물
List of Casualties
https://books.google[...]
Harrison and Sons
1860
[3]
문서
The Siberian Overland Route from Peking to Petersburg
[4]
서적
Publication, Issue 33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1-02-19
[5]
서적
Reports on military operations in South Africa and China. July, 1901
https://archive.org/[...]
Govt. print. off.
2011-02-19
[6]
서적
Reilly's Battery: a story of the Boxer Rebellion
https://books.google[...]
R. Rosen Press
2011-02-19
[7]
서적
Reports on military operations in South Africa and China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1-02-19
[8]
웹사이트
海河(『中国大百科全書』より引用・編集)
http://www.igsnrr.ca[...]
2007-03-30
[9]
문서
《疏濬河北省海河工程短期公債條例》
[10]
웹사이트
密云水库今天五十岁
http://www.bjqx.org.[...]
2010-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