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형 틸팅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형 틸팅열차(TTX)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개발된 차체 틸팅식 전동차이다. 가속도, 자이로 센서, GPS를 활용한 틸팅 제어 기술과 탄소 허니컴 복합재를 사용한 경량 차체를 특징으로 한다. 200km/h의 설계 최고 속도를 가지며, 곡선 구간에서 속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007년 대중에게 공개되어 시험 운행을 거쳤으나, 기존 철로 개량의 효율성으로 인해 양산되지는 않았다. 현재는 LTE-R 시험 열차로 개조되었으며, 일부 차량은 교육 목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틸팅 열차 - 펜돌리노
    펜돌리노는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차체 틸팅 기술을 활용하여 곡선 구간에서 속도를 유지하며 운행하는 고속철도 차량이다.
  • 틸팅 열차 - 일본국유철도 381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381계 전동차는 1973년 국철이 개발한 최초의 차체 경사식 특급형 전동차로, 곡선 구간이 많은 노선에서 속도 향상을 위해 개발되어 "시나노", "구로시오", "야쿠모" 등에 투입되었으나, 승차감 문제와 진자 기능 활용 제한으로 점차 퇴역하여 2024년 6월 정기 운행을 종료하였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한국형 틸팅열차
개요
한국형 틸팅 열차 한빛 200 (TTX, Tilting Train eXpress). 해당 차량은 대불선에서 LTE-R 시운전 중임.
한국형 틸팅 열차 한빛 200 (TTX, Tilting Train eXpress). 해당 차량은 대불선에서 LTE-R 시운전 중임.
서비스운행 중단
제작사TTX 컨소시엄
공장한국화이바
계열한빛
제작 년도2007년
제작 수량1 편성
보존 대수종차 2량
편성2M+2T+2M
수용량278석
운영사TTX 컨소시엄
노선충북선, 중앙선
차체탄소/에폭시 샌드위치 알루미늄 벌집 구조
차량 길이24.50m
2.95m
최고 속도시험 운행: 222km/h, 설계: 200km/h, 계획: 180km/h
중량344t
동력 출력16 × 250kW (4,000kW)
전원 공급25 kV/60 Hz AC
전기 시스템가공선
집전 방식단일 암 팬터그래프
UIC 분류Bo'Bo' + Bo'Bo' + 2'2' + 2'2' + Bo'Bo' + Bo'Bo'
안전 장치자동 열차 정지 장치 및 자동 열차 보호 장치
궤간1,435mm (표준궤)
한국 내 정보
한국어 명칭한국형 틸팅열차, 한빛 200
한자 명칭韓國型 틸팅列車, 한빛 200
로마자 표기Hangukhyeong Tiltingyeolcha, Hanbit 200
기술 정보
구동 장치유도전동기
모터 출력250kW
편성 출력4,000kW (5,800마력)
제어 방식VVVF-IGBT 2레벨 1C2M
MT비4M2T
제동 방식회생제동, 발전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대 틸팅 각도
틸팅 방식GPS 차상 감지식, 링크식, 자기조향 대차, 3량 유닛

2. 기술적 사양

TTX는 전기 기계식 액추에이터를 적용한 링크식 차체 틸팅 대차를 사용하는 차체 틸팅식 전동차이다. 틸팅 작동을 위한 곡선 검출은 가속도와 자이로 센서뿐만 아니라, GPS를 이용한 위성 신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 (VVVF) 방식의 1 유닛의 컨버터와 인버터가 3상 유도 전동기 2대를 일괄 제어한다. 전장품은 우진산전이 개발했으며, 설계 최고 속도는 200km이다. 열차 제어 시스템에는 TCMS를 차체 틸팅식 전동차에 맞춰 개량하여 탑재했다. 6량 1편성 전동차는 설계 속도 200km이며, 계획 운행 속도는 180km이다.[1]

2. 1. 차체

TTX는 전기기계식 액튜에이터를 적용한 링크식 진자대차를 사용하는 틸팅 열차이다. 틸팅 구동을 위한 곡선 감지는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뿐만 아니라 GPS를 이용한 위성 신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차체는 한국화이바에서 개발한 카본 허니컴복합재를 일체성형한 차체를 채용하고 있는데, 금속제 차량 수준의 강도로 40% 정도의 중량 절감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1] 정설시스템과 성신산업에서 개발한 대차는 원통 적층고무식으로, 2차 서스펜션으로는 공기 용수철을 채용했다. 곡선 진입 전 미리 차체를 기울여 진입함으로써(최대 8°정도 기울여 달릴 수 있다.) 원심력을 상쇄하여 기존 차량보다 곡선에서 약 20km/h 이상의 속도향상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집전장치 또한 틸팅시 이선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차와 연동되어 역(逆)틸팅 기능을 수행한다. 집전장치의 하부는 역틸팅을 위해 모터 및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슬러지(sludge) 구조로 되어 있다.

2. 2. 대차 및 제동장치

TTX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적용한 링크식 진자대차를 사용하는 틸팅 열차이다. 틸팅 구동을 위한 곡선 감지는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뿐만 아니라 GPS를 이용한 위성 신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정설시스템과 성신산업에서 개발한 대차는 원통 적층고무식으로, 2차 서스펜션으로는 공기 용수철을 채용했다. 곡선 진입 전 미리 차체를 기울여 진입함으로써(최대 8°정도 기울여 달릴 수 있다.) 원심력을 상쇄하여 기존 차량보다 곡선에서 약 20km 이상의 속도향상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집전장치 또한 틸팅시 이선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차와 연동되어 역(逆)틸팅 기능을 수행한다. 집전장치의 하부는 역틸팅을 위해 모터 및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슬러지(sludge) 구조로 되어 있다.[1]

추진제어시스템은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VVVF) 방식의 1유닛의 컨버터 및 인버터가 농형 3상 유도전동기 2대를 일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전장품은 우진산전에서 개발하였으며 설계최고속도 200km급의 준고속 성능을 낸다. 열차제어시스템에는 TCMS를 틸팅전동차에 알맞게 개량하여 탑재하였다.[1]

2. 3. 추진제어시스템

추진제어시스템은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VVVF) 방식의 1유닛의 컨버터 및 인버터가 농형 3상 유도전동기 2대를 일괄 제어하는 방식이다.[1] 전장품은 우진산전에서 개발하였으며 설계최고속도는 200km이다. 열차제어시스템에는 TCMS를 틸팅전동차에 알맞게 개량하여 탑재하였다.[1]

3. 역사

2007년 1월 16일, 한국형 틸팅열차(TTX)가 대중에게 공개되었고,[2] 같은 해 4월 2일 충북선에서 첫 시험 운행이 실시되었다.[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채남희 원장의 제안으로[4] 2007년 4월 5일, TTX는 '한빛 200'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었다.[5][6]

2007년 5월 22일, 오송역충북선 오근장역 사이에서 능동 틸팅 기술을 이용한 첫 시험 운행이 언론에 공개되었다.[7] 2008년 12월 21일까지 충북선에서 20000km 이상 주행했으나, 계획했던 100000km에는 미치지 못했다.[8] 2009년 말까지 100000km 시험 프로그램이 완료되었고, 충북선, 중앙선, 호남선, 경부선, 태백선 등에서 시험 운행이 이어졌다.[9] 경부고속철도 고속 시험에서는 2009년 11월 19일 오송역대전역 사이에서 200km/h를,[9] 2010년 9월 동대구역부산역 사이 미개통 구간에서 222km/h를 기록했다.[10]

2013년 중앙선에서 한빛 200의 양산형 모델 운행이 예정되어 청량리역영주역 사이 운행 시간 단축이 기대되었고, 태백선영동선 운행도 계획되었으나,[9][10] 기존 철로 개량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으로 양산은 무산되었다.[11] 이후 KTX-이음이 중앙선 고속 운행을, ITX-마음태백선영동선 운행을 담당하게 되었다.

2016년경, TTX는 경강선 (원주-강릉 구간) 250km/h LTE-R 업그레이드를 위한 시험 열차로 개조되어 LTE-R 시험에 활용되었다.[12]

3. 1. 개발 과정

TTX는 현대로템에서 개발한 것이 아니며,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 형태로 개발되어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는 완성차 시험 일부만 진행되었고, 조립 제작은 한국화이바에서 이루어졌다.[2] TTX는 기술시험차량이므로 영업 운행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향후 철도공사의 국내 상용화 여부도 미지수이다. 복합재를 채용한 차체는 교육과학기술부의 NET(New Excellent Technology, 신기술인증) 인증을 획득하여 차체 측면에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2014년부터 새로운 철도 시스템인 LTE-R을 대불선에서 시운전하고 있다. 2015년 8월 25일 오후 5시 9분에 7369호 디젤기관차에 연결되어 나주역에서 의왕역으로 갑종회송되어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내부 주박기지에 유치되었다.

2007년 1월 16일, 첫 시험 운행이 다음 달로 예정되면서 TTX가 대중에게 공개되었다.[2] 실제 첫 시험은 2007년 4월 2일 충북선에서 실시되었다.[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원장 채남희의 한국형 고속철도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 제안 요청에 따라,[4] 2007년 4월 5일, 채남희는 한국어로 강렬한 빛줄기를 의미하는 '''한빛'''을 발표했다.[5][6] 새로운 명명 체계에 따라 TTX는 '''한빛 200'''이 되었다.[5]

능동 틸팅을 이용한 첫 시험 운행은 2007년 5월 22일 오송역과 인근 충북선 오근장역 사이에서 언론의 입회하에 실시되었다.[7] 당시 이 열차는 2010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다.[7] 2008년 12월 21일까지 이 열차는 충북선에서 시험 운행으로 20000km 이상을 운행했으며, 계획했던 100000km에는 미치지 못했다.[8] 100000km 시험 프로그램은 2009년 말까지 완료되었으며, 충북선, 중앙선, 호남선, 경부선, 태백선에서 시험 운행이 이어졌고, 경부고속철도에서 고속 시험을 실시하여 2009년 11월 19일 00시 33분에 오송역대전역 사이에서 200km/h를 달성했다.[9] 2010년 9월에 아직 개통되지 않은 동대구역부산역 사이의 2단계 구간에서 추가 시험을 통해 222km/h를 기록했다.[10]

3. 2. 시험 운행 및 성과

TTX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는 완성차 시험 일부만 진행되었고, 실제 조립 제작은 한국화이바에서 이루어졌다.[2] TTX는 기술시험차량으로 영업 운행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향후 철도공사의 국내 상용화 여부도 불확실하다.[3]

2007년 1월 16일, TTX가 대중에게 공개되었고, 첫 번째 시험 운행은 2007년 4월 2일 충북선에서 실시되었다.[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원장 채남희의 제안에 따라,[4] 2007년 4월 5일, 한국형 고속철도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한빛'''이 발표되었다.[5][6] 이에 따라 TTX는 '''한빛 200'''으로 명명되었다.[5]

2007년 5월 22일, 오송역충북선 오근장역 사이에서 능동 틸팅을 이용한 첫 번째 시험 운행이 언론에 공개된 채 실시되었다.[7] 2008년 12월 21일까지 충북선에서 20000km 이상을 운행했지만, 계획했던 100000km에는 미치지 못했다.[8] 2009년 말까지 100000km 시험 프로그램이 완료되었으며, 충북선, 중앙선, 호남선, 경부선, 태백선에서 시험 운행이 계속되었다.[9] 경부고속철도에서 고속 시험을 실시하여 2009년 11월 19일 00시 33분에 오송역대전역 사이에서 200km/h를 달성했다.[9] 2010년 9월에는 동대구역부산역 사이의 미개통 구간에서 추가 시험을 통해 222km/h를 기록했다.[10]

2014년부터 새로운 철도시스템인 LTE-R을 대불선에서 시운전하고 있다. 2015년 8월 25일 오후 17시 09분에 7369호 디젤기관차에 연결되어 나주역에서 의왕역으로 갑종회송되어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내부 주박기지에 유치되었다.

3. 3. 한빛 200

2007년 1월 16일, 다음 달로 예정된 첫 번째 시험 운행을 앞두고 TTX가 대중에게 공개되었다.[2] 2007년 4월 2일 충북선에서 첫 번째 시험이 실시되었다.[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채남희 원장의 한국형 고속철도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 제안 요청에 따라,[4] 2007년 4월 5일, 채남희 원장은 한국어로 강렬한 빛줄기를 의미하는 '''한빛'''을 발표했다.[5][6] 새로운 명명 체계에 따라 TTX는 '''한빛 200'''이 되었다.[5]

2007년 5월 22일 오송역과 인근 충북선 오근장역 사이에서 언론의 입회하에 능동 틸팅을 이용한 첫 번째 시험 운행이 실시되었다.[7] 당시 이 열차는 2010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다.[7] 2008년 12월 21일까지 이 열차는 충북선에서 20000km 이상을 시험 운행했으나, 계획했던 100000km에는 미치지 못했다.[8] 2009년 말까지 100000km 시험 프로그램이 완료되었으며, 충북선, 중앙선, 호남선, 경부선, 태백선에서 시험 운행이 이어졌고, 경부고속철도에서 고속 시험을 실시하여 2009년 11월 19일 00시 33분에 오송역대전역 사이에서 200km/h를 달성했다.[9] 2010년 9월에는 아직 개통되지 않은 동대구역부산역 사이의 2단계 구간에서 추가 시험을 통해 222km/h를 기록했다.[10]

3. 4. 양산 무산

2009년 말까지, 이 열차의 양산형은 2013년에 중앙선에서 운행을 시작하여 정규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었다.[9] 미래 운행은 서울의 청량리역영주역 사이의 이동 시간을 현재 무궁화호의 3시간 25분에서 2시간 55분으로 단축하고, 중앙선 개량 후에는 1시간 55분으로 더욱 단축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0] 태백선영동선에서도 추가적인 운행이 계획되었다.[9]

그러나 기존 철로를 개량하여 고속 사양에 맞게 뱅크를 설치하고 직선화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되어, 양산형은 제작되지 않았다.[11] KTX-이음이 개량된 중앙선에서 고속 운행 역할을 맡았고, ITX-마음태백선영동선에서 운행을 담당하게 되었다.

3. 5. LTE-R 시험

2014년부터 새로운 철도 시스템인 LTE-R을 대불선에서 시운전을 진행하고 있다.[12] 2016년경, 틸팅열차(TTX)는 원주-강릉 구간 경강선의 향후 250km/h LTE-R 업그레이드를 위한 LTE-R 시험 열차로 개조되었다. 개조된 열차에는 LTE-R 장비가 탑재되었으며, 측면에는 관련 표시가 부착되었다.[12]

4. 보존

2023년 11월부터 TTX 1호차는 훈련 목적으로 용산철도고등학교에 전시되어 있다.[11] TTX 6호차는 교육 목적으로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에 보존되어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krri.re.k[...] KRRI 2011-01-05
[2] 웹사이트 TTX unveiled to public http://www.krri.re.k[...] KRRI 2010-11-21
[3] 웹사이트 TTX prototype gets on test track http://www.krri.re.k[...] KRRI 2010-11-21
[4] 웹사이트 HSR350x looking out for name http://www.krri.re.k[...] KRRI 2010-11-21
[5] 웹사이트 http://chaenamhee.co[...] Chae, Nam-Hee 2010-11-20
[6] 간행물 Korea develops high-speed ambitions http://www.nxtbook.c[...] 2010-11-21
[7] 웹사이트 Korean TTX 'Hanvit 200' implements first test ride http://www.krri.re.k[...] KRRI 2010-11-21
[8] 웹사이트 Hanvit-200 records over 20,000km on test http://www.krri.re.k[...] KRRI 2010-11-21
[9] 웹사이트 Korean Advanced Tilting Train Completes 200km/h Maximum Speed Test Run http://www.krri.re.k[...] KRRI 2010-11-21
[10] 웹사이트 Driving test of Korean tilting train TTX 222Km/h Completed http://www.krri.re.k[...] KRRI 2010-11-21
[11] 뉴스 https://www.redaily.[...] Rail Economy News 2023-11-23
[12] 뉴스 https://www.etnews.c[...] etnews 2016-07-10
[13] 뉴스 http://www.daejeonti[...] Daejeon Times 2023-12-01
[14] 뉴스 数百億円の列車、運行できず放置=韓国 https://web.archive.[...] 2018-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