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의 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나라의 황제는 한나라를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하며, 전한, 신, 후한 시기에 걸쳐 존재했다. 전한은 유방에 의해 건국되어 장안을 수도로 삼았고, 신나라는 왕망이 전한을 멸망시킨 후 건국되었으나, 멸망했다. 후한은 광무제 유수가 건국하여 낙양을 수도로 삼았다. 황제는 상나라와 주나라의 '왕'을 계승하여 진 시황제에 의해 황제라는 칭호가 처음 사용되었고, 연호는 한 무제 시기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황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할 경우 섭정이나 황태후의 보좌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나라의 황제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 한나라의 황제 - 한 경시제
한 경시제 유현은 왕망의 신나라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녹림군의 지지를 받아 잠시 한나라를 재건했으나, 유약한 성격과 지도력 부재로 빠르게 몰락한 황제이다. - 중국의 군주 목록 - 당나라의 황제
당나라 황제는 618년부터 907년까지 중국을 통치한 당나라의 군주들로, 전성기를 거치며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안사의 난 이후 쇠퇴하여 총 20명의 황제가 통치하였다. - 중국의 군주 목록 - 명나라의 황제
명나라 황제는 주원장이 세운 명나라의 최고 통치자로서 강력한 권력을 가졌으나, 왕조 쇠퇴기에 권력이 약화되기도 했으며, 명나라 멸망 후 남명에서도 여러 황제가 칭제했으나 모두 실패했고, 이 문서는 명나라, 남명 황제 목록과 추존 황제, 명나라 말기 농민 봉기 정권 군주들을 다룬다.
한나라의 황제 | |
---|---|
한나라 황제 | |
기본 정보 | |
![]() | |
통치 기간 | 기원전 202년 - 서기 220년 |
성씨 | 유(劉) |
서한 | |
초대 황제 | 고조 |
멸망 | 왕망의 신 건국 |
존속 기간 | 기원전 202년 ~ 서기 9년 |
황제 수 | 15명 |
신나라 | |
존속 기간 | 9년 ~ 23년 |
황제 수 | 1명 |
후한 | |
초대 황제 | 광무제 |
멸망 | 헌제의 조위 헌국 |
존속 기간 | 25년 ~ 220년 |
황제 수 | 14명 |
역대 황제 목록 | |
서한 | 한고조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5년) 혜제 (기원전 195년 ~ 기원전 188년) 전소제 (기원전 187년 ~ 기원전 184년) 후소제 (기원전 184년 ~ 기원전 180년) 문제 (기원전 180년 ~ 기원전 157년) 경제 (기원전 157년 ~ 기원전 141년) 무제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 소제 (기원전 87년 ~ 기원전 74년) 창읍왕 (기원전 74년) 선제 (기원전 74년 ~ 기원전 49년) 원제 (기원전 49년 ~ 기원전 33년) 성제 (기원전 33년 ~ 기원전 7년) 애제 (기원전 7년 ~ 기원전 1년) 평제 (기원전 1년 ~ 서기 5년) 유자 영 (서기 6년 ~ 서기 8년) |
신 | 왕망 (서기 9년 ~ 서기 23년) |
후한 | 광무제 (25년 ~ 57년) 명제 (57년 ~ 75년) 장제 (75년 ~ 88년) 화제 (88년 ~ 106년) 상제 (106년) 안제 (106년 ~ 125년) 후소제 (125년) 순제 (125년 ~ 144년) 충제 (144년 ~ 145년) 질제 (145년 ~ 146년) 환제 (146년 ~ 168년) 영제 (168년 ~ 189년) 소제 (189년) 헌제 (189년 ~ 220년) |
기타 정보 | |
멸망 이후 | 조위 |
2. 한나라의 역사
2. 1. 전한 (기원전 202년 ~ 서기 8년)
기원전 202년, 유방이 건국한 통일 왕조로, 장안을 수도로 삼았다.2. 2. 신 (8년 ~ 23년)
8년 왕망이 전한을 멸망시키고 건국한 신은 개혁 정치를 추진했으나 실패하고 23년 멸망했다.2. 3. 후한 (25년 ~ 220년)
25년 광무제 유수가 건국한 왕조로, 낙양을 수도로 삼았다.2. 4. 기타 정권
2. 4. 1. 현한 (23년 ~ 25년)
23년부터 25년까지 존속한 유현이 세운 정권이다.2. 4. 2. 적미한 (25년 ~ 27년)
25년 ~ 27년적미군이 세운 정권이다.
2. 4. 3. 성가 (25년 ~ 36년)
25년 ~ 36년에 공손술이 세운 정권이다.3. 통치 제도
3. 1. 황제


이전 상나라(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1050년경)와 주나라(기원전 1056년경 ~ 기원전 256년경)의 통치자들은 '왕'(王)으로 불렸다. 주나라 시대에는 그들을 천자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기원전 221년, 진나라의 영정(진 시황제)은 전국 시대의 모든 국가를 정복하고, 상나라와 주나라의 왕들보다 자신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황제(皇帝)라는 새로운 칭호를 사용하였다. 그는 후세에 진 시황(최초의 황제)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황제 칭호는 삼황오제의 칭호를 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1911년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중국의 역대 통치자들이 사용했다.
상나라부터 수나라(581년 ~ 618년) 시대까지 중국의 통치자(왕과 황제 모두)는 기록과 역사서에서 그들의 시호로 불렸다. 묘호는 한 경제(재위 기원전 157년 ~ 기원전 141년)의 재위 기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당나라(618년 ~ 907년), 송나라(960년 ~ 1279년), 원나라(1271년 ~ 1368년) 시대에 재위한 황제를 언급할 때 후기의 기록과 역사서에서 독점적으로 사용되었다. 명나라(1368년 ~ 1644년)와 청나라(1644년 ~ 1911년) 시대에는 각 황제의 재위에 단 하나의 연호가 사용되었고, 역사서에서 명나라와 청나라 황제를 지칭하는 데 선호되는 방식이 되었다.
연호의 사용은 한 무제(재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의 재위 기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지만, 그 기원은 더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상나라 시대부터 존재해 온 가장 오래된 연도 기록 방법은 통치자의 재위 첫 해를 원년으로 설정하는 것이었다. 황제가 사망하면 새로운 재위 기간의 첫 해가 시작되었다. 이 시스템은 기원전 4세기 경에 변경되었는데, 새로운 재위 기간의 첫 해는 통치자의 사망 이후 음력 설날의 첫날까지 시작되지 않았다. 진 혜문왕은 기원전 324년에 왕의 칭호를 얻으면서 그의 재위 연도를 첫 해로 되돌렸다. 한 문제(재위 기원전 180년 ~ 기원전 157년)는 기원전 163년에 새롭게 채택된 중국 달력을 위해 그의 재위 연도를 처음으로 되돌렸다.
6은 행운의 숫자로 여겨졌기 때문에, 경제와 무제는 6년마다 자신의 재위 연도를 처음으로 되돌렸다. 6년 주기가 차례대로 ''원년''(元年), ''이원''(二元), ''삼원''(三元) 등으로 표시되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은 기원전 114년에 다섯 번째 주기인 ''오원삼년''(五元三年)에 이르러 너무 번거롭게 여겨졌다. 그 해에 한나라 정부 관리가 조정에 모든 "시작"을 새로운 문자로 소급하여 명명할 것을 제안했고, 무제는 기원전 110년에 이 개혁을 받아들였다. 무제는 막 태산에서 종교적인 ''봉선''(封) 제사를 지냈기 때문에, 새로운 연호를 ''원봉''(元封)으로 명명했다. 이 사건은 중국 역사에서 연호의 공식적인 제정으로 여겨진다. 무제는 기원전 104년에 '태초'(太初) 달력을 제정하면서 연호를 다시 한 번 변경했다. 이 시점부터 서한 말까지 조정은 황제의 재위 4년마다 새로운 연호를 제정했다. 동한 시대에는 새로운 연호를 제정하는 데 정해진 간격이 없었고, 종종 정치적인 이유와 상서로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3. 2. 섭정 및 황태후
어린 황제가 즉위했을 때, 종종 황태후나 그녀의 남성 친족 중 한 명이 황제가 성년에 이를 때까지 황제의 직무를 맡는 섭정이 되었다. 때로는 황태후의 세력, 즉 외척이 쿠데타로 전복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여태후(여태후/呂太后중국어, )는 어린 황제 전소()와 한 소제()의 재위 기간 동안 실질적인 궁정 통치자였다. 그녀의 세력은 기원전 180년 여씨의 난 동안 전복되었고, 유항이 황제로 지명되었다(사후에 문제로 알려짐). 무제가 기원전 87년에 사망하기 전에, 그는 곽광(), 진미제(), 상관걸(上官桀중국어; )에게 그의 후계자 한 소제()를 섭정할 권한을 부여했다. 곽광과 상관걸은 모두 상관황태후()의 할아버지였으며, 상관황태후는 소제의 부인이었고, 민족적으로 흉노 출신인 진미제는 황실 마구간에서 일했던 전 노예였다. 진미제가 죽고 상관걸이 반역죄로 처형된 후, 곽광이 유일한 섭정 통치자가 되었다. 그가 사망한 후, 곽광이 아내 허평군()을 독살하여 곽씨의 딸 곽성군()과 결혼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대한 복수로 한 선제()에 의해 곽씨 세력이 전복되었다.4. 황제 목록
아래는 한나라 황제의 전체 목록으로, 개인 이름, 시호, 연호를 포함한다. 섭정 및 황태후와 같은 사실상의 통치자는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황제 | 이름 | 재위 시작 | 재위 종료 | 시호 | 묘호 | 연호 | 연도 | ||||
---|---|---|---|---|---|---|---|---|---|---|---|
고조 | 유방 | 유방/劉邦중국어 | 기원전 202년 2월 28일 | 기원전 195년 6월 1일 | 고황제 | 고황제/高皇帝중국어 | 태조 | 태조/太祖중국어 | colspan="3" rowspan="4" | ||
혜제 | 유영 | 유영/劉盈중국어 | 기원전 195년 6월 23일 | 기원전 188년 9월 26일 | 효혜황제 | 효혜황제/孝惠皇帝중국어 | colspan="2" | ||||
소제 | 유공 | 유공/劉恭중국어 | 기원전 188년 10월 19일 | 기원전 184년 6월 15일 | colspan="2" | colspan="2" | |||||
전소제 | 유홍 | 유홍/劉弘중국어 | 기원전 184년 6월 15일 | 기원전 180년 11월 14일 | colspan="2" | colspan="2" | |||||
문제 | 유항 | 유항/劉恆중국어 | 기원전 180년 11월 14일 | 기원전 157년 7월 6일 | 효문제 | 효문제/孝文皇帝중국어 | 태종 | 태종/太宗중국어 | 전원 | 전원/前元중국어 | 기원전 179–164년 |
후원 | 후원/後元중국어 | 기원전 163–156년 | |||||||||
경제 | 유계 | 유계/劉啟중국어 | 기원전 157년 7월 14일 | 기원전 141년 3월 9일 | 효경제 | 효경제/孝景皇帝중국어 | colspan="2" rowspan="3" | 전원 | 전원/前元중국어 | 기원전 156–150년 | |
중원 | 중원/中元중국어 | 기원전 149–143년 | |||||||||
후원 | 후원/後元중국어 | 기원전 143–141년 | |||||||||
무제 | 유철 | 유철/劉徹중국어 | 기원전 141년 3월 10일 | 기원전 87년 3월 29일 | 효무황제 | 효무황제/孝武皇帝중국어 | 세종 | 세종/世宗중국어 | 건원 | 건원/建元중국어 | 기원전 141–135년 |
원광 | 원광/元光중국어 | 기원전 134–129년 | |||||||||
원삭 | 원삭/元朔중국어 | 기원전 128–123년 | |||||||||
원수 | 원수/元狩중국어 | 기원전 122–117년 | |||||||||
원정 | 원정/元鼎중국어 | 기원전 116–111년 | |||||||||
원봉 | 원봉/元封중국어 | 기원전 110–105년 | |||||||||
태초 | 태초/太初중국어 | 기원전 104–101년 | |||||||||
천한 | 천한/天漢중국어 | 기원전 100–97년 | |||||||||
태시 | 태시/太始중국어 | 기원전 96–93년 | |||||||||
정화 | 정화/征和중국어 | 기원전 92–89년 | |||||||||
후원 | 후원/後元중국어 | 기원전 88–87년 | |||||||||
소제 | 유불릉 | 유불릉/劉弗陵중국어 | 기원전 87년 3월 30일 | 기원전 74년 6월 5일 | 효소황제 | 효소황제/孝昭皇帝중국어 | colspan="2" rowspan="3" | 시원 | 시원/始元중국어 | 기원전 86–80년 | |
원봉 | 원봉/元鳳중국어 | 기원전 80–75년 | |||||||||
원평 | 원평/元平중국어 | 기원전 74년 | |||||||||
해혼후 | 유하 | 유하/劉賀중국어 | 기원전 74년 7월 18일 | 기원전 74년 8월 14일 | colspan="2" | colspan="2" | 원평 | 원평/元平중국어 | 기원전 74년 | ||
선제 | 유병의 | 유병이/劉病已중국어 | 기원전 74년 9월 10일 | 기원전 49년 1월 10일 | 효선황제 | 효선황제/孝宣皇帝중국어 | 중종 | 중종/中宗중국어 | 본시 | 본시/本始중국어 | 기원전 73–70년 |
지절 | 지절/地節중국어 | 기원전 69–66년 | |||||||||
원강 | 원강/元康중국어 | 기원전 65–61년 | |||||||||
신작 | 신작/神爵중국어 | 기원전 61–58년 | |||||||||
오봉 | 오봉/五鳳중국어 | 기원전 57–54년 | |||||||||
감로 | 감로/甘露중국어 | 기원전 53–50년 | |||||||||
황룡 | 황룡/黃龍중국어 | 기원전 49년 | |||||||||
원제 | 유석 | 유석/劉奭중국어 | 기원전 49년 1월 29일 | 기원전 33년 7월 8일 | 효원황제 | 효원황제/孝元皇帝중국어 | 고종 | 고종/高宗중국어 | 초원 | 초원/初元중국어 | 기원전 48–44년 |
영광 | 영광/永光중국어 | 기원전 43–39년 | |||||||||
건소 | 건소/建昭중국어 | 기원전 38–34년 | |||||||||
경녕 | 경녕/竟寧중국어 | 기원전 33년 | |||||||||
성제 | 유오 | 유오/劉驁중국어 | 기원전 33년 8월 4일 | 기원전 7년 4월 17일 | 효성황제 | 효성황제/孝成皇帝중국어 | 통종 | 통종/統宗중국어 | 건시 | 건시/建始중국어 | 기원전 32–28년 |
화평 | 화평/河平중국어 | 기원전 28–25년 | |||||||||
양삭 | 양삭/陽朔중국어 | 기원전 24–21년 | |||||||||
홍가 | 홍가/鴻嘉중국어 | 기원전 20–17년 | |||||||||
영시 | 영시/永始중국어 | 기원전 16–13년 | |||||||||
원연 | 원연/元延중국어 | 기원전 12–9년 | |||||||||
수화 | 수화/綏和중국어 | 기원전 8–7년 | |||||||||
애제 | 유흔 | 유흔/劉欣중국어 | 기원전 7년 5월 7일 | 기원전 1년 8월 15일 | 효애황제 | 효애황제/孝哀皇帝중국어 | colspan="2" rowspan="2" | 건평 | 건평/建平중국어 | 기원전 6–3년 | |
원수 | 원수/元壽중국어 | 기원전 2–1년 | |||||||||
평제 | 유간 | 유간/劉衎중국어 | 기원전 1년 10월 17일 | 서기 6년 2월 3일 | 효평황제 | 효평황제/孝平皇帝중국어 | 원종 | 원종/元宗중국어 | 원시 | 원시/元始중국어 | 서기 1–5년 |
유자영 | 유영 | 유영/劉嬰중국어 | 서기 6년 4월 17일 | 서기 9년 1월 10일 | colspan="2" rowspan="2" | colspan="2" rowspan="2" | 거섭 | 거섭/居攝중국어 | 서기 6–8년 | ||
초시 | 초시/初始중국어 | 서기 9년 |
4. 1. 전한
아래는 한나라 황제의 전체 목록으로, 개인 이름, 시호, 연호를 포함한다. 섭정 및 황태후와 같은 사실상의 통치자는 목록에서 제외되었다.황제 | 이름 | 재위 시작 | 재위 종료 | 시호}}).}} | 묘호 | 연호 | 연도[1] | ||||
---|---|---|---|---|---|---|---|---|---|---|---|
고조 | 유방 | 유방/劉邦중국어 | 기원전 202년 2월 28일 | 기원전 195년 6월 1일 | 고황제 | 고황제/高皇帝중국어 | 태조 | 태조/太祖중국어 | colspan="3" rowspan="4" }} | ||
혜제 | 유영 | 유영/劉盈중국어 | 기원전 195년 6월 23일 | 기원전 188년 9월 26일 | 효혜황제 | 효혜황제/孝惠皇帝중국어 | colspan="2" #redirect | ||||
소제 | 유공 | 유공/劉恭중국어 | 기원전 188년 10월 19일 | 기원전 184년 6월 15일 | colspan="2" #redirect | colspan="2" #redirect | |||||
전소제 | 유홍 | 유홍/劉弘중국어 | 기원전 184년 6월 15일 | 기원전 180년 11월 14일 | colspan="2" #redirect | colspan="2" #redirect | |||||
문제 | 유항 | 유항/劉恆중국어 | 기원전 180년 11월 14일 | 기원전 157년 7월 6일 | 효문제 | 효문제/孝文皇帝중국어 | 태종 | 태종/太宗중국어 | 전원 | 전원/前元중국어 | 기원전 179–164년 |
후원 | 후원/後元중국어 | 기원전 163–156년 | |||||||||
경제 | 유계 | 유계/劉啟중국어 | 기원전 157년 7월 14일 | 기원전 141년 3월 9일 | 효경제 | 효경제/孝景皇帝중국어 | colspan="2" rowspan="3" #redirect | 전원 | 전원/前元중국어 | 기원전 156–150년 | |
중원 | 중원/中元중국어 | 기원전 149–143년 | |||||||||
후원 | 후원/後元중국어 | 기원전 143–141년 | |||||||||
무제 | 유철 | 유철/劉徹중국어 | 기원전 141년 3월 10일 | 기원전 87년 3월 29일 | 효무황제 | 효무황제/孝武皇帝중국어 | 세종 | 세종/世宗중국어 | 건원 | 건원/建元중국어 | 기원전 141–135년 |
원광 | 원광/元光중국어 | 기원전 134–129년 | |||||||||
원삭 | 원삭/元朔중국어 | 기원전 128–123년 | |||||||||
원수 | 원수/元狩중국어 | 기원전 122–117년 | |||||||||
원정 | 원정/元鼎중국어 | 기원전 116–111년 | |||||||||
원봉 | 원봉/元封중국어 | 기원전 110–105년 | |||||||||
태초 | 태초/太初중국어 | 기원전 104–101년 | |||||||||
천한 | 천한/天漢중국어 | 기원전 100–97년 | |||||||||
태시 | 태시/太始중국어 | 기원전 96–93년 | |||||||||
정화 | 정화/征和중국어 | 기원전 92–89년 | |||||||||
후원 | 후원/後元중국어 | 기원전 88–87년 | |||||||||
소제 | 유불릉 | 유불릉/劉弗陵중국어 | 기원전 87년 3월 30일 | 기원전 74년 6월 5일 | 효소황제 | 효소황제/孝昭皇帝중국어 | colspan="2" rowspan="3" #redirect | 시원 | 시원/始元중국어 | 기원전 86–80년 | |
원봉 | 원봉/元鳳중국어 | 기원전 80–75년 | |||||||||
원평 | 원평/元平중국어 | 기원전 74년 | |||||||||
해혼후 | 유하 | 유하/劉賀중국어 | 기원전 74년 7월 18일 | 기원전 74년 8월 14일 | colspan="2" #redirect | colspan="2" #redirect | 원평 | 원평/元平중국어 | 기원전 74년 | ||
선제 | 유병의 | 유병이/劉病已중국어 | 기원전 74년 9월 10일 | 기원전 49년 1월 10일 | 효선황제 | 효선황제/孝宣皇帝중국어 | 중종 | 중종/中宗중국어 | 본시 | 본시/本始중국어 | 기원전 73–70년 |
지절 | 지절/地節중국어 | 기원전 69–66년 | |||||||||
원강 | 원강/元康중국어 | 기원전 65–61년 | |||||||||
신작 | 신작/神爵중국어 | 기원전 61–58년 | |||||||||
오봉 | 오봉/五鳳중국어 | 기원전 57–54년 | |||||||||
감로 | 감로/甘露중국어 | 기원전 53–50년 | |||||||||
황룡 | 황룡/黃龍중국어 | 기원전 49년 | |||||||||
원제 | 유석 | 유석/劉奭중국어 | 기원전 49년 1월 29일 | 기원전 33년 7월 8일 | 효원황제 | 효원황제/孝元皇帝중국어 | 고종 | 고종/高宗중국어 | 초원 | 초원/初元중국어 | 기원전 48–44년 |
영광 | 영광/永光중국어 | 기원전 43–39년 | |||||||||
건소 | 건소/建昭중국어 | 기원전 38–34년 | |||||||||
경녕 | 경녕/竟寧중국어 | 기원전 33년 | |||||||||
성제 | 유오 | 유오/劉驁중국어 | 기원전 33년 8월 4일 | 기원전 7년 4월 17일 | 효성황제 | 효성황제/孝成皇帝중국어 | 통종 | 통종/統宗중국어 | 건시 | 건시/建始중국어 | 기원전 32–28년 |
화평 | 화평/河平중국어 | 기원전 28–25년 | |||||||||
양삭 | 양삭/陽朔중국어 | 기원전 24–21년 | |||||||||
홍가 | 홍가/鴻嘉중국어 | 기원전 20–17년 | |||||||||
영시 | 영시/永始중국어 | 기원전 16–13년 | |||||||||
원연 | 원연/元延중국어 | 기원전 12–9년 | |||||||||
수화 | 수화/綏和중국어 | 기원전 8–7년 | |||||||||
애제 | 유흔 | 유흔/劉欣중국어 | 기원전 7년 5월 7일 | 효애황제 | 효애황제/孝哀皇帝중국어 | colspan="2" rowspan="2" #redirect | 건평 | 건평/建平중국어 | 기원전 6–3년 | ||
원수 | 원수/元壽중국어 | 기원전 2–1년 | |||||||||
평제 | 유간 | 유간/劉衎중국어 | 기원전 1년 10월 17일 | 서기 6년 2월 3일 | 효평황제 | 효평황제/孝平皇帝중국어 | 원종 | 원종/元宗중국어 | 원시 | 원시/元始중국어 | 서기 1–5년 |
유자영 | 유영 | 유영/劉嬰중국어 | 서기 6년 4월 17일 | 서기 9년 1월 10일 | colspan="2" rowspan="2" #redirect | colspan="2" rowspan="2" #redirect | 거섭 | 거섭/居攝중국어 | 서기 6–8년 | ||
초시 | 초시/初始중국어 | 서기 9년 |
4. 2. 신
신나라는 서한과 동한 사이에 존속한 왕조로, 왕망이 전한의 마지막 황제 유자영을 몰아내고 건국하였다. 왕망은 유교적 이상을 바탕으로 국가를 통치하고자 하였으나, 지나치게 급진적인 정책으로 인해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결국 경시제에게 패망하였다.
4. 3. 후한
후한(後漢, 25년 ~ 220년)은 전한이 왕망에 의해 멸망한 후 광무제 유수가 세운 왕조이다. 광무제는 신나라 말 혼란기에 호족 세력의 지지를 받아 한나라를 재건하고 수도를 낙양으로 옮겼다.황제 | 이름 | 재위 시작 | 재위 종료 | 시호 | 묘호 | 연호 | 연도[1] | ||||
---|---|---|---|---|---|---|---|---|---|---|---|
광무제 | 유수 | 유수/劉秀중국어 | 25년 8월 5일 | 57년 3월 29일 | 광무황제 | 광무황제/光武皇帝중국어 | 세조 | 세조/世祖중국어 | 건무 | 건무/建武중국어 | 25년–56년 |
건무중원 | 건무중원/建武中元중국어 | 56년–57년 | |||||||||
명제 | 유장 | 유장/劉莊중국어 | 57년 3월 29일 | 75년 9월 5일 | 효명황제 | 효명황제/孝明皇帝중국어 | 현종 | 현종/顯宗중국어 | 영평 | 영평/永平중국어 | 57년–75년 |
장제 | 유답 | 유답/劉炟중국어 | 75년 9월 5일 | 88년 4월 9일 | 효장황제 | 효장황제/孝章皇帝중국어 | 숙종 | 숙종/肅宗중국어 | 건초 | 건초/建初중국어 | 76년–84년 |
원화 | 원화/元和중국어 | 84년–87년 | |||||||||
장화 | 장화/章和중국어 | 87년–88년 | |||||||||
화제 | 유조 | 유조/劉肇중국어 | 88년 4월 9일 | 106년 2월 13일 | 효화황제 | 효화황제/孝和皇帝중국어 | 목종 | 목종/穆宗중국어 | 영원 | 영원/永元중국어 | 89년–105년 |
5. 연표
고조 (기원전 202–195)를 시작으로, 혜제 (기원전 195–188), 소제 (기원전 188–184), 후소제 (기원전 184–180), 문제 (기원전 180–157), 경제 (기원전 157–141), 무제 (기원전 141–87), 소제 (기원전 87–74), 유하 (기원전 74), 선제 (기원전 74–49), 원제 (기원전 49–33), 성제 (기원전 33–7), 애제 (기원전 7–1), 평제 (기원전 1–서기 6), 유영 (서기 6–9) 순으로 전한의 황제가 이어졌다. 신나라 멸망 이후에는 갱시 (서기 23–25), 유분자 (서기 25–27)가 한나라 군주였다. 이후 광무 (서기 25–57)를 시작으로, 명제 (서기 57–75), 장제 (서기 75–88), 화제 (서기 88–106), 상제 (서기 106), 안제 (서기 106–125), 유익 (서기 125), 순제 (서기 125–144), 충제 (서기 144–145), 질제 (서기 145–146), 환제 (서기 146–168), 영제 (서기 168–189), 유변 (서기 189), 헌제 (서기 189–220)까지 후한의 황제가 이어졌다.
참조
[1]
문서
The years of the Chinese [[lunisolar calendar]] do not correspond exactly with the years given in the column for [[era name]]s. Some years given in the table also belong to two reign periods because some era names were adopted before the beginning of the following year.
[2]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come from
[3]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come from
[4]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come from
[5]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come from
[6]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come from
[7]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come from
[8]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9]
서적
While traditional sources do not give an exact date when the ''Yuanshi'' era was announced, it was implied that the first year of ''Yuanshi'' did not start until the first month of the lunar calendar – i.e., in 1 AD. See, e.g., [[Ban Gu]], ''[[Book of Han]]'', [[:zh:s:漢書/卷012|vol. 12]].
[10]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1]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2]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3]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4]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5]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6]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7]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8]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19]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20]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21]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22]
서적
A Biography of Cao Cao 155-220 AD
https://books.google[...]
Brill
[23]
서적
Latin spelling, Chinese characters, and date range fr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