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울산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양울산고속도로는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잇는 고속국도 제14호선으로, 2012년 지정되었다. 2014년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구간이 착공되었으며, 2020년 해당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4년에는 밀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고속도로는 왕복 4차로로 건설되었으며, 천황산터널 등 장대 터널이 많아 울주 분기점에서 밀양 분기점까지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된다. 북함양 분기점, 창녕 분기점, 밀양 분기점, 울주 분기점 등 주요 분기점 및 나들목을 포함하며,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의령군, 창녕군, 밀양시, 양산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창군의 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잇는 총 연장 176.22km의 고속도로로, 과거 88올림픽고속도로였으나 2015년 확장 개통하며 명칭이 변경되었고, 일부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와 중복되며, 왕복 4~6차로로 구성되어 전 구간 제한 속도가 적용된다. - 거창군의 도로 - 거안로
거안로는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시작해 거창군 마리면과 거창읍을 잇는 도로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7호선 등과 연결되며 용추 교차로, 삼산 교차로, 지동 교차로 등의 교차로와 강남로(거창군)를 포함한다. - 의령군의 도로 - 남강로
남강로는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과 대곡면을 잇는 도로로, 진주시의 주요 지역들을 연결하며 여러 국도 및 지방도와 교차하고, 주변에 주요 건물과 시설이 위치한다. - 의령군의 도로 - 법정로
함안군 법수면에서 의령군 유곡면을 잇는 법정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일부 중복되고 국도 제20호선, 지방도 제1041호선과 연결되며, 농협, 주유소, 파출소 등 주요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함양군의 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잇는 총 연장 176.22km의 고속도로로, 과거 88올림픽고속도로였으나 2015년 확장 개통하며 명칭이 변경되었고, 일부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와 중복되며, 왕복 4~6차로로 구성되어 전 구간 제한 속도가 적용된다. - 함양군의 도로 - 통영대전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는 통영시와 대전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215.3km의 고속도로이며, 1992년에 착공하여 2005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함양울산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명 | 함양울산고속도로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14호선 |
총 연장 | 144.49km |
개통년도 | 2020년 12월 11일 (밀양~울산) |
기점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
종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
주요 경유지 | |
주요 교차 도로 | |
![]() |
2. 연혁
- 2012년 12월 27일: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함양 ~ 울산선)로 지정[11]
- 2014년 3월 10일: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45.2km 구간 착공[12]
- 2014년 6월 2일: 2020년까지 밀양 ~ 울산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3]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종점을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로 명시[14]
- 2016년 3월 22일: 2020년까지 밀양 분기점 선형 변경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2016년 10월 14일: 창녕 분기점 ~ 밀양 분기점 구간 착공
- 2017년 6월 19일: 2024년까지 함양 ~ 밀양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99.3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6]
- 2017년 9월 12일: 2020년까지 스마트톨링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배내골 나들목 영업소 설치 부지 삭제를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2018년 2월 23일: 북함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 착공
- 2020년 12월 11일: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44.98km 구간 개통[18]
- 2024년 12월 28일: 밀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 개통
2. 1. 사업 추진 과정
- 2012년 12월 27일: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함양 ~ 울산선)로 지정하였다.[11]
- 2014년 3월 10일: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45.2km 구간을 착공하였다.[12]
- 2014년 6월 2일: 2020년까지 밀양 ~ 울산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을 도로구역으로 결정하였다.[13]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종점을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로 명시하였다.[14]
- 2016년 3월 22일: 2020년까지 밀양 분기점 선형 변경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의 도로구역을 변경하였다.[15]
- 2016년 10월 14일: 창녕 분기점 ~ 밀양 분기점 구간을 착공하였다.
- 2017년 6월 19일: 2024년까지 함양 ~ 밀양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99.38km 구간을 도로구역으로 결정하였다.[16]
- 2017년 9월 12일: 2020년까지 스마트톨링시스템 도입으로 배내골 나들목 영업소 설치 부지를 삭제하기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의 도로구역을 변경하였다.[17]
- 2018년 2월 23일: 북함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을 착공하였다.
- 2020년 12월 11일: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44.98km 구간을 개통하였다.[18]
- 2024년 12월 28일: 밀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을 개통하였다.
3. 구성
함양울산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144.49km이다.[1]
3. 1. 차로수 및 제한 속도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1] 최고 속도는 100km/h, 최저 속도는 50km/h로 제한된다.[2]3. 2. 구간 과속 단속
울주 분기점~밀양 분기점 29km 구간에서 함양/밀양 방향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 중이다.[1]3. 3. 터널
천황산터널과 같이 매우 긴 터널이 많아 울주 분기점에서 밀양 분기점까지 29km의 구간 단속이 걸려 있고, 대부분의 터널 내에서 차선 변경이 가능하다.[1]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m) | 준공 년도 | 비고 |
---|---|---|---|---|
지곡터널 | 267 | 2026년 | ||
수동터널 | 1,912 | 2026년 | 울산 방면 | |
1,939 | 함양 방면 | |||
안의터널 | 3,307 | 2026년 | 울산 방면 | |
3,328 | 함양 방면 | |||
신원1터널 | 3,922 | 2026년 | 울산 방면 | |
3,923 | 함양 방면 | |||
신원2터널 | 637 | 2026년 | 울산 방면 | |
614 | 함양 방면 | |||
신원3터널 | 3,379 | 2026년 | 울산 방면 | |
3,359 | 함양 방면 | |||
대병1터널 | 1,369 | 2026년 | 울산 방면 | |
1,339 | 함양 방면 | |||
대병2터널 | 1,505 | 2026년 | 울산 방면 | |
1,507 | 함양 방면 | |||
대병3터널 | 805 | 2026년 | 울산 방면 | |
943 | 함양 방면 | |||
용주1터널 | 1,046 | 2026년 | 울산 방면 | |
969 | 함양 방면 | |||
용주2터널 | 462 | 2026년 | ||
용주3터널 | 1,035 | 2026년 | ||
용주4터널 | 387 | 2026년 | ||
용주5터널 | 1,790 | 2026년 | 울산 방면 | |
1,835 | 함양 방면 | |||
대양1터널 | 842 | 2026년 | ||
대양2터널 | 1,310 | 2026년 | 울산 방면 | |
1,316 | 함양 방면 | |||
대양3터널 | 477 | 2026년 | ||
대양4터널 | 312 | 2026년 | 울산 방면 | |
328 | 함양 방면 | |||
천황산터널 | 5,525 | 2026년 | 울산 방면 | |
5,541 | 함양 방면 | |||
부림1터널 | 313 | 2026년 | 울산 방면 | |
354 | 함양 방면 | |||
부림2터널 | 2,112 | 2026년 | 울산 방면 | |
2,087 | 함양 방면 | |||
부림3터널 | 430 | 2026년 | ||
부림4터널 | 743 | 2026년 | 울산 방면 | |
714 | 함양 방면 | |||
부림5터널 | 596 | 2026년 | 울산 방면 | |
504 | 함양 방면 | |||
낙서1터널 | 262 | 2026년 | 울산 방면 | |
224 | 함양 방면 | |||
낙서2터널 | 776 | 2026년 | 울산 방면 | |
784 | 함양 방면 | |||
낙서3터널 | 546 | 2026년 | 울산 방면 | |
534 | 함양 방면 | |||
낙서4터널 | 628 | 2026년 | ||
남지1터널 | 452 | 2026년 | ||
남지2터널 | 464 | 2026년 | ||
장마1터널 | 159 | 2026년 | ||
장마2터널 | 134 | 2026년 | ||
영산터널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 5,095 | 2024년 | 울산 방면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 4,960 | 함양 방면 | ||
무안1터널 | 1,940 | 2024년 | 울산 방면 | |
1,905 | 함양 방면 | |||
무안2터널 | 2,517 | 2024년 | 울산 방면 | |
2,582 | 함양 방면 | |||
부북1터널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 1,750 | 2024년 | 울산 방면 |
1,780 | 함양 방면 | |||
부북2터널 | 2,124 | 2024년 | 울산 방면 | |
2,122 | 함양 방면 | |||
산외1터널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 1,122 | 2024년 | 울산 방면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 1,028 | 함양 방면 | ||
산외2터널 | 197 | 2020년 | 울산 방면 | |
274 | 함양 방면 | |||
산외3터널 | 1,740 | 2020년 | 울산 방면 | |
1,767 | 함양 방면 | |||
단장1터널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 1,222 | 2020년 | 울산 방면 |
1,200 | 함양 방면 | |||
단장2터널 | 2,465 | 2020년 | 울산 방면 | |
2,475 | 함양 방면 | |||
단장3터널 | 251 | 2020년 | 울산 방면 | |
217 | 함양 방면 | |||
단장4터널 | 2,590 | 2020년 | 울산 방면 | |
2,592 | 함양 방면 | |||
재약산터널 | 7,912 | 2020년 | 울산 방면 |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 7,982 | 함양 방면 | ||
신불산터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 6,465 | 2020년 | 울산 방면 |
6,466 | 함양 방면 | |||
삼동1터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 807 | 2020년 | 울산 방면 |
864 | 함양 방면 | |||
삼동2터널 | 245 | 2020년 | 울산 방면 | |
287 | 함양 방면 | |||
삼동3터널 | 105 | 2020년 | 울산 방면 | |
238 | 함양 방면 | |||
삼동4터널 | 133 | 2020년 | 울산 방면 | |
108 | 함양 방면 | |||
웅촌1터널 | 600 | 2020년 | 울산 방면 |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 671 | 함양 방면 | ||
웅촌2터널 | 312 | 2020년 | 울산 방면 | |
308 | 함양 방면 | |||
웅촌3터널 | 593 | 2020년 | 울산 방면 |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 585 | 함양 방면 | ||
청량터널 | 532 | 2020년 | 울산 방면 | |
540 | 함양 방면 |
4. 주요 시설물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 미개통 구간의 교차로 명칭은 가칭으로 추후에 변경될 수도 있다.
- 주요 시설물로는 북함양 분기점, 거창 분기점, 남거창 나들목, 합천호 나들목, 합천 나들목, 의령 나들목 등이 있다.
4. 1. 분기점 및 나들목
거리거리
(무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