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양울산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양울산고속도로는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잇는 고속국도 제14호선으로, 2012년 지정되었다. 2014년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구간이 착공되었으며, 2020년 해당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4년에는 밀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고속도로는 왕복 4차로로 건설되었으며, 천황산터널 등 장대 터널이 많아 울주 분기점에서 밀양 분기점까지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된다. 북함양 분기점, 창녕 분기점, 밀양 분기점, 울주 분기점 등 주요 분기점 및 나들목을 포함하며,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의령군, 창녕군, 밀양시, 양산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창군의 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잇는 총 연장 176.22km의 고속도로로, 과거 88올림픽고속도로였으나 2015년 확장 개통하며 명칭이 변경되었고, 일부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와 중복되며, 왕복 4~6차로로 구성되어 전 구간 제한 속도가 적용된다.
  • 거창군의 도로 - 거안로
    거안로는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시작해 거창군 마리면과 거창읍을 잇는 도로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7호선 등과 연결되며 용추 교차로, 삼산 교차로, 지동 교차로 등의 교차로와 강남로(거창군)를 포함한다.
  • 의령군의 도로 - 남강로
    남강로는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과 대곡면을 잇는 도로로, 진주시의 주요 지역들을 연결하며 여러 국도 및 지방도와 교차하고, 주변에 주요 건물과 시설이 위치한다.
  • 의령군의 도로 - 법정로
    함안군 법수면에서 의령군 유곡면을 잇는 법정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일부 중복되고 국도 제20호선, 지방도 제1041호선과 연결되며, 농협, 주유소, 파출소 등 주요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함양군의 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잇는 총 연장 176.22km의 고속도로로, 과거 88올림픽고속도로였으나 2015년 확장 개통하며 명칭이 변경되었고, 일부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와 중복되며, 왕복 4~6차로로 구성되어 전 구간 제한 속도가 적용된다.
  • 함양군의 도로 - 통영대전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는 통영시와 대전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215.3km의 고속도로이며, 1992년에 착공하여 2005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함양울산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노선명함양울산고속도로
노선 번호고속국도 제14호선
총 연장144.49km
개통년도2020년 12월 11일 (밀양~울산)
기점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종점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주요 경유지
주요 교차 도로
합천군 용주면 평산리~노리의 함양울산고속도로 건설 현장
합천군 용주면 평산리~노리의 함양울산고속도로 건설 현장

2. 연혁


  • 2012년 12월 27일: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함양 ~ 울산선)로 지정[11]
  • 2014년 3월 10일: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45.2km 구간 착공[12]
  • 2014년 6월 2일: 2020년까지 밀양 ~ 울산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3]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종점을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로 명시[14]
  • 2016년 3월 22일: 2020년까지 밀양 분기점 선형 변경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2016년 10월 14일: 창녕 분기점 ~ 밀양 분기점 구간 착공
  • 2017년 6월 19일: 2024년까지 함양 ~ 밀양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99.3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6]
  • 2017년 9월 12일: 2020년까지 스마트톨링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배내골 나들목 영업소 설치 부지 삭제를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2018년 2월 23일: 북함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 착공
  • 2020년 12월 11일: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44.98km 구간 개통[18]
  • 2024년 12월 28일: 밀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 개통

2. 1. 사업 추진 과정

3. 구성

함양울산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144.49km이다.[1]

3. 1. 차로수 및 제한 속도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1] 최고 속도는 100km/h, 최저 속도는 50km/h로 제한된다.[2]

3. 2. 구간 과속 단속

울주 분기점~밀양 분기점 29km 구간에서 함양/밀양 방향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 중이다.[1]

3. 3. 터널

천황산터널과 같이 매우 긴 터널이 많아 울주 분기점에서 밀양 분기점까지 29km의 구간 단속이 걸려 있고, 대부분의 터널 내에서 차선 변경이 가능하다.[1]

터널 이름소재지길이(m)준공 년도비고
지곡터널2672026년
수동터널1,9122026년울산 방면
1,939함양 방면
안의터널3,3072026년울산 방면
3,328함양 방면
신원1터널3,9222026년울산 방면
3,923함양 방면
신원2터널6372026년울산 방면
614함양 방면
신원3터널3,3792026년울산 방면
3,359함양 방면
대병1터널1,3692026년울산 방면
1,339함양 방면
대병2터널1,5052026년울산 방면
1,507함양 방면
대병3터널8052026년울산 방면
943함양 방면
용주1터널1,0462026년울산 방면
969함양 방면
용주2터널4622026년
용주3터널1,0352026년
용주4터널3872026년
용주5터널1,7902026년울산 방면
1,835함양 방면
대양1터널8422026년
대양2터널1,3102026년울산 방면
1,316함양 방면
대양3터널4772026년
대양4터널3122026년울산 방면
328함양 방면
천황산터널5,5252026년울산 방면
5,541함양 방면
부림1터널3132026년울산 방면
354함양 방면
부림2터널2,1122026년울산 방면
2,087함양 방면
부림3터널4302026년
부림4터널7432026년울산 방면
714함양 방면
부림5터널5962026년울산 방면
504함양 방면
낙서1터널2622026년울산 방면
224함양 방면
낙서2터널7762026년울산 방면
784함양 방면
낙서3터널5462026년울산 방면
534함양 방면
낙서4터널6282026년
남지1터널4522026년
남지2터널4642026년
장마1터널1592026년
장마2터널1342026년
영산터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5,0952024년울산 방면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4,960함양 방면
무안1터널1,9402024년울산 방면
1,905함양 방면
무안2터널2,5172024년울산 방면
2,582함양 방면
부북1터널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1,7502024년울산 방면
1,780함양 방면
부북2터널2,1242024년울산 방면
2,122함양 방면
산외1터널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1,1222024년울산 방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1,028함양 방면
산외2터널1972020년울산 방면
274함양 방면
산외3터널1,7402020년울산 방면
1,767함양 방면
단장1터널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1,2222020년울산 방면
1,200함양 방면
단장2터널2,4652020년울산 방면
2,475함양 방면
단장3터널2512020년울산 방면
217함양 방면
단장4터널2,5902020년울산 방면
2,592함양 방면
재약산터널7,9122020년울산 방면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7,982함양 방면
신불산터널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6,4652020년울산 방면
6,466함양 방면
삼동1터널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8072020년울산 방면
864함양 방면
삼동2터널2452020년울산 방면
287함양 방면
삼동3터널1052020년울산 방면
238함양 방면
삼동4터널1332020년울산 방면
108함양 방면
웅촌1터널6002020년울산 방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671함양 방면
웅촌2터널3122020년울산 방면
308함양 방면
웅촌3터널5932020년울산 방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585함양 방면
청량터널5322020년울산 방면
540함양 방면


4. 주요 시설물

4. 1. 분기점 및 나들목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공사중6창녕 분기점Changnyeong Junction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경상남도창녕군SA밀양영남루 휴게소Miryang Yeongnamru SA밀양시양방향7서밀양W.est Miryang Interchange지방도 제1080호선
(무안로)8밀양 분기점Miryang JC99.5155호선 중앙고속도로9배내골Baenaegol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배내로)양산시울산방향 진입과 함양방향 진출만 가능10서울주 분기점W.Ulju JC1호선 경부고속도로울산광역시울주군SA울주 휴게소Ulju SA양방향11울주 분기점Ulju JC144.4965호선 동해고속도로

5. 주요 통과지

읍/면
경상남도함양군지곡면 - 수동면 - 안의면
거창군남상면 - 신원면
합천군대병면 - 용주면 - 대양면 - 초계면
의령군부림면 - 봉수면 - 낙서면
창녕군남지읍 - 장마면 - 계성면 - 영산면
밀양시무안면 - 부북면 - 상동면 - 산외면 - 단장면 - 양산시 원동면
울산광역시울주군상북면 - 삼남읍 - 삼동면 - 웅촌면 - 청량읍


참조

[1] 뉴스 함양∼울산 고속도로 노선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1-17
[2] 뉴스 함양∼울산 고속도로 노선 확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1-17
[3] 뉴스 울산 '동남권 물류허브'로 뜬다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9-07-28
[4] 웹인용 [간추린 경남] 함양~울산 고속도 ‘창녕~밀양 구간’ 내년 말 개통 외 https://news.kbs.co.[...] 2023-12-19
[5] 웹인용 [매일건설신문] 144.6km ‘함양~울산 고속도로’ 건설 한창… 경남북부 ‘개발 바람’ 분다 https://m.mcnews.co.[...] 2023-05-26
[6] 뉴스 울산~함양 고속도로 조속 추진 요청 http://gnnews.newsk.[...] 경남여성신문 2010-02-24
[7] 웹사이트 한국도로공사 입찰결과 상세조회 http://ebid.ex.co.kr[...]
[8] 뉴스 남해안 광역고속교통망 건설 1조3100억 투입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0-03-29
[9] 뉴스 동남권은 한 식구… 상생 발전 힘 모읍시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8-10
[10] 뉴스 양산 배내골 두 번 죽이는 고속도로 '절대 불가' http://media.daum.ne[...] 뉴시스 2009-12-18
[11] 간행물 대통령령 제24267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12-12-27
[12] 뉴스 함양울산고속道 ‘밀양~울산’ 구간 착공 http://gnnews.co.kr/[...] 경남일보 2014-03-11
[1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285호 http://gwanbo.mois.g[...] 2014-06-02
[1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1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114호 http://gwanbo.mois.g[...] 2016-03-22
[1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383호 http://gwanbo.mois.g[...] 2017-06-19
[1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582호 http://gwanbo.mois.g[...] 2017-09-12
[18]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20-1589호 https://gwanbo.mois.[...] 2020-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