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대전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영대전고속도로는 경상남도 통영시와 대전광역시 동구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1992년 착공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2005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총 연장은 215.3km이며, 2001년 중부고속도로와 노선 번호를 공유한다. 주요 통과 지역은 통영, 고성, 진주, 산청, 함양, 장수, 무주, 금산, 대전 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영시의 도로 - 남해안대로
남해안대로는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잇는 2개 이상의 시·군에 걸쳐 있는 도로로,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마창대교와 불모산터널 구간은 유료로 운영된다. - 통영시의 도로 - 공단로 (고성군)
고성군 고성읍에서 통영시 광도면을 잇는 공단로는 지방도 제1009호선 구간을 포함하며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7호선,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도로이다. - 무주군의 도로 - 구천동로
구천동로는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신풍령과 라제통문삼거리 등의 주요 지점을 지나며 국도 제30호선과 연결되고, 주변에 구천동 휴게소, 보건진료소, 우체국, 초등학교 등의 시설이 있다. - 무주군의 도로 - 무주로
무주로는 전라북도 무주군을 지나는 도로로, 장무로와 연결되어 여러 지방도, 국도, 국가지원지방도와 이어지고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압차터널을 지나 영동로와 직결된다. - 함양군의 도로 - 함양울산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는 함양군에서 울주군을 잇는 고속국도 제14호선으로, 2012년 지정되었으며, 왕복 4차로로 건설되어 천황산터널 등 장대 터널이 많고,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구간 과속 단속을 시행한다. - 함양군의 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잇는 총 연장 176.22km의 고속도로로, 과거 88올림픽고속도로였으나 2015년 확장 개통하며 명칭이 변경되었고, 일부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와 중복되며, 왕복 4~6차로로 구성되어 전 구간 제한 속도가 적용된다.
통영대전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 | 35 |
노선 이름 | 통영대전고속도로 |
다른 이름 | 통영-대전 고속도로 |
노선 방향 | 남북 |
노선도 | |
![]() | |
노선 거리 | |
총 연장 | 215.3 km |
개통 정보 | |
개통일 | 1996년 12월 20일 |
개통 구간 | 진주 ~ 서진주 (1996년 12월 20일) 서진주 ~ 함양 (1998년 10월 22일) 판암 ~ 비룡 (1999년 9월 6일) 무주 ~ 판암 (2000년 12월 22일) 함양 ~ 무주 (2001년 11월 21일) 통영 ~ 진주 (2005년 12월 12일) |
노선 정보 | |
대체 노선 | 없음 |
기점 및 종점 | |
기점 |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
종점 |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
주요 경유지 | |
경유 도시 | 경상남도 통영시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함양군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충청남도 금산군 대전광역시 동구 |
주요 교차 도로 | |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AH1) 남해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
2. 역사
경상남도 서부 지역(서부 경남)은 1990년대까지 서울로 가는 고속도로와 철도가 없어 서울과의 이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김포국제공항과 사천공항을 잇는 항공편이 있었지만, 하루 몇 편에 불과하여 육상 교통이 불편했다. 이러한 지역 인프라 정비를 위해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계획되었으며, 미개통선인 대전~삼천포 간 철도(대삼선)와 노선이 겹치며, 일부 구간은 대삼선 노반을 활용하여 건설되었다.
초기 계획에는 임시 2차선으로 착공될 예정이었으나, 1992년 방침 변경으로 왕복 4차선 이상으로 변경되어 처음부터 왕복 4차선으로 개통되었다.
2. 1. 착공 및 구간 개통
着工중국어 및 구간 개통- 1992년 3월 : 함양 분기점 ~ 진주 분기점 구간 착공[1]
- 1992년 4월 29일 : 대전직할시 동구 대별동 ~ 경상남도 진양군 정촌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대전 ~ 진주고속도로(대전 ~ 진주선)'''으로 지정[1]
- 1995년 11월 15일 : 무주 나들목 ~ 함양 분기점 구간 착공[7]
- 1995년 12월 : 비룡 분기점 ~ 무주 나들목 구간 착공[8]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대전직할시 동구 대별동'에서 '대전광역시 동구 대별동'으로 변경, 종점을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대전 ~ 진주선'에서 '''대전 ~ 통영고속도로(대전 ~ 통영선)'''가 됨.[9]
- 1996년 12월 20일 : 진주 분기점 ~ 서진주 나들목 구간 개통[11]
- 1998년 10월 22일 : 서진주 나들목 ~ 함양 분기점 49.8km 구간 개통[19]
- 1999년 9월 6일 : 비룡 분기점 ~ 판암 나들목 3.3km 구간(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중첩 구간) 개통[24]
- 2000년 12월 22일 : 판암 나들목 ~ 무주 나들목 42.6km 구간 개통[28]
- 2001년 7월 24일 : 서진주 나들목 부근에서 진주 관광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2001년 8월 25일 : 기점과 종점을 각각 대전 → 통영에서 통영 → 대전으로 변경. 중부고속도로와 함께 노선번호를 '''제35호'''로 변경, 경부고속도로와 중복 구간(대전광역시 동구) 지정.[29]
- 2001년 11월 21일 : 함양 분기점 ~ 무주 나들목 59.4km 구간 개통[30]
- 2002년 12월 5일 : 대통령령에 의해 고속도로 명칭을 '''대전통영고속도로'''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로 변경[33]
- 2005년 12월 12일 : 동통영 나들목 ~ 진주 분기점 47.89km 구간 개통[34]
- 2007년 1월 1일 : '''동통영 나들목'''을 '''통영 나들목'''으로, '''동통영 요금소'''를 '''통영 요금소'''로, '''통영 나들목'''을 '''북통영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35]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동달리', 종점을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으로 명시, 경부고속도로와 중복 구간 삭제.[37]
2. 2. 명칭 변경 및 기타
1992년 4월 29일, 대전직할시(현 대전광역시) 동구 대별동에서 경상남도 진양군(현 진주시) 정촌면 구간을 잇는 '''고속국도 제17호선 대전 ~ 진주고속도로(대전 ~ 진주선)'''으로 지정되었다.[1] 이후 1996년 7월 1일, 종점을 진주시에서 통영시 용남면까지 연장하면서 '''대전 ~ 통영고속도로(대전 ~ 통영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2001년 8월 25일, 고속도로 노선 번호 체계 변경에 따라 중부고속도로와 함께 노선번호를 '''제35호'''로 변경하였고, 기점과 종점의 방향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변경하면서 기점을 대전광역시에서 통영시로, 종점을 통영시에서 대전광역시로 변경하였다.[29]
2002년 12월 5일에는 대통령령에 의해 고속도로 명칭을 '''대전통영고속도로'''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로 변경하였다.[33]
2007년 1월 1일, '''동통영 나들목'''을 '''통영 나들목'''으로, '''동통영 요금소'''를 '''통영 요금소'''로, '''통영 나들목'''을 '''북통영 나들목'''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35]
2020년 9월 25일, '''인삼랜드휴게소'''가 금산인삼랜드휴게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9]
3. 중부고속도로와의 관계
2001년 고속도로 개편으로 중부고속도로와 노선 번호를 공유하게 되어, 같은 고속도로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40] 교통방송 등에서는 중부고속도로와 기종점을 공유하는 '''통영~하남 간 고속국도 제35호선''' 정도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두 고속도로는 고속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별개의 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41] 무안광주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 등도 비슷하게 노선번호는 같지만 별개의 노선으로 지정된 경우이다. 논산천안고속도로는 민간투자고속도로이며, 두 도로의 관리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별개의 노선으로 지정되었다. 반면 남해고속도로는 영암~순천 구간과 서순천~부산 구간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1년에 익산포항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등은 노선 번호를 공유하면서 명칭이 통일되었지만, 중부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는 별개로 놔두었다. 그 이유는 1987년 중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서울과 대전을 잇는 '중부지방을 가로지르는 고속도로'라는 의미로 명명되었기 때문이다.
무안광주고속도로[42]와 광주대구고속도로[42], 오산화성고속도로[43]와 용인서울고속도로[43]처럼 노선번호만 같고 별개의 고속도로인 경우 기종점 합산도 별개로 하지만, 고속국도 제35호선은 통영을 기점으로 거리를 계산하기도 한다. 실제로 중부고속도로 우측에 설치된 거리 표지는 통영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고속국도 제35호선 전체 길이는 332.53km이다. 동서울 방면으로 주행했을 때, 하남 분기점 끄트머리 오른편에 '동서울 0km'라는 표지판 바로 앞에 있는 표지판에 표시되어 있다.
4. 구성
통영대전고속도로는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통영IC)을 기점으로,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비룡JCT)을 종점으로 하는 고속도로이다. 총 길이는 215.3km이며, 전 구간 왕복 4차로로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제한 속도는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다.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
4. 1. 차로수
전 구간 왕복 4차로(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4. 2. 총연장
215.3km4. 3.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다.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1]구분 | 내용 |
---|---|
제한 최고 속도 | 100km/h |
제한 최저 속도 | 50km/h |
4. 4. 터널
통영 방면: 273통영 방면: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안정리
통영 방면: 1,620
통영 방면: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황리
통영 방면: 539
통영 방면: 852
통영 방면: 1,736
통영 방면: 535
통영 방면: 501
통영 방면: 225
통영 방면: 470
통영 방면: 520
통영 방면: 1,505
통영 방면: 535
통영 방면: 1,126
통영 방면: 520
통영 방면: 620
통영 방면: 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