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성 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리성 장애는 의식, 기억, 정체성, 감정, 지각, 행동 등의 통합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정신의학적 장애의 일종이다. 해리는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지만, 만성적인 증상, 자기통제력 상실, 사회생활의 지장 등을 초래할 경우 장애로 간주된다. ICD10에서는 과거의 기억, 정체성, 감각, 신체운동의 제어 사이의 통합 기능 상실로 정의하며,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둔주, 해리성 정체성 장애(다중 인격 장애) 등이 포함된다. DSM-5에서는 해리성 기억 상실, 해리성 정체성 장애, 이인증·현실감 상실 장애 등으로 분류된다. 이인증/현실감 상실 장애는 자신과 주변 환경에 대한 현실감이 저하되는 증상이며, 해리성 기억상실은 특정 시기 또는 모든 생활사의 기억을 잃어버리는 증상이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명확히 구별되는 여러 인격이 동일인에게 존재하며, 그들이 교대로 행동을 지배하는 특징을 보인다. 해리성 장애는 심리적 외상, 특히 아동기 학대와 관련이 있으며, 정신 요법, 약물 치료, 최면, 미술 치료 등의 치료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뇌의 특정 영역의 활성도 및 구조 변화와 연관되며, 진단에는 구조화된 임상 면접, 설문지, 행동 관찰 등이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리성 장애 -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기억상실은 외상이나 극심한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억 장애로, 주로 과거 특정 사건이나 개인 정체성과 관련된 자서전적 기억의 상실을 특징으로 하며, 진단 시 뇌 영상 기술 활용과 과거 외상 접근 및 심리적 안정 회복에 초점을 맞춘 치료가 이루어지지만, 원인, 진단, 치료법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 해리성 장애 - 해리성 정체성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둘 이상의 정체성이 존재하며 행동을 제어하는 정신 질환으로, 외상적 경험이 주요 원인이며, 기억 상실, 정체성 혼란 등의 증상을 보이고, 정신 요법 등의 치료를 통해 통합이나 조화를 목표로 한다.
| 해리성 장애 | |
|---|---|
| 일반 정보 | |
![]() | |
| 분야 | 정신 의학 |
| 진료과 | 정신건강의학과 |
| ICD-10 | F44, F40 |
| ICD-9 | 300.12-300.14 |
| MeSH | D004213 |
| 증상 및 특징 | |
| 증상 | 기억 상실 정체성 혼란 현실감 상실 (비현실감) 자아로부터 분리된 느낌 (이인증) |
| 합병증 | 자해, 자살 시도 |
| 원인 및 진단 | |
| 원인 | 심각한 외상 경험 (특히 아동기 학대) |
| 진단 | 임상 평가, DSM-5 기준 |
| 치료 및 예후 | |
| 치료 | 정신 치료 (특히 외상 중심 치료) 약물 치료 (주로 동반되는 우울증, 불안 장애 등) |
| 예후 |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 및 기능 회복 가능 |
| 분류 | |
| 유형 | 해리성 정체감 장애 (이전 다중인격 장애) 해리성 기억 상실증 이인성-비현실감 장애 달리 명시된 해리성 장애 상세불명의 해리성 장애 |
| 추가 정보 | |
| 관련 질환 | 우울증, 불안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경계선 성격 장애 |
| 참고 문헌 | Simeon, D., & Abugel, J. (2006). Feeling Unreal: Depersonalization Disorder and the Loss of the Self.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Maldonado, R.J., & Spiegel, D. (2019). Dissociative Disorders. In Laura Weiss Roberts, Robert E. Hales, & Stuart C. Yudofsky (Eds.), 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Board Review Guide for Psychiatry (7th ed.). American Psychiatric Pub. |
| 외부 링크 | ICD-11 - 사망 및 유병률 통계 평시마 나쓰코 선생님께 "해리성 장애"를 묻다|공익사단법인 일본정신신경학회 |
2. 정의
정신의학적 장애의 일종이다. ICD-10에서의 해리성(전환성) 장애는 '과거의 기억, 정체성과 직접적 감각 및 신체 운동의 제어 사이에서의 정상적인 통합을 부분적, 혹은 완전히 잃은 것'으로 여겨진다.[135]
해리는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지만, 그 정도에 따라 치료가 필요한 장애로 여겨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불행한 일을 당한 사람이 어지럼증을 느끼며 정신을 잃는 것은 정상적인 범위에서의 해리이다.[1] 하지만, 증상이 만성적이고, 특정 계기로 인해 자기 통제력을 잃고,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가 되면 해리성 장애라고 한다.[126]
ICD-10에서는 '히스테리'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전에 히스테리라고 불렸던 장애는 해리성의 타입도 전환성의 타입도 '해리(Dissociative)'라는 개념으로 묶여 있다. DSM-IV-TR에서는 그것들은 신체화성 장애에 포함되어 있으며, ICD-10에도 신체화성 장애(F45)라는 구분은 있다. 그러나 '해리'에 포함된 이유로는, ICD-10에서는 해리성 및 전환성 타입의 환자들이 대부분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고, 한 명의 환자가 때때로, 동시에, 혹은 다른 시기에 다른 쪽의 증상을 나타내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DSM-IV-TR에서 신체화성 장애 가운데 전환성 장애에 포함되는 것은 해리성 운동장애(F44.4), 해리성 경련(F44.5), 해리성 지각마비 및 감각탈실(F44.4)이다.
한편, 이인증상과 현실감상실은 ICD-10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 이유로는 인격적 정체성의 제한된 측면밖에 평소에 장애되지 않고, 감각, 기억, 운동 수행에 관한 손실은 없기 때문이다.
3. 분류 및 증상
해리성 장애는 DSM-IV 및 DSM-5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DSM-IV DSM-5 설명 해리성 기억 상실 해리성 기억 상실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의 기억이 결여되어 있다. 해리성 둔주 (해리성 기억상실에 통합) 해리성 정체성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 인격이 여러 개 있다. 이인증 장애 이인증·현실감 상실 장애 자신을 밖에서 보고 있는 듯한, 꿈을 꾸는 듯한 감각. 특정 불능의 해리성 장애 특정 불능의 해리성 장애 트랜스 상태 등에서도 뚜렷한 고통이 생기면 진단될 수 있다.
스타인버그(Steinberg.M)는 해리성 장애의 진단과 평가에 '''건망''', '''이인'''(자아에서의 이격), '''소격'''(현실감 상실), '''정체성 혼란''', '''정체성 변용'''(變容)의 5가지 중핵 증상이 중요하다고 보았다.[141] 특히 건망을 해리성 장애의 기본으로 중시하고 있다.
홈즈(Holmes, E.A.) 등은 2005년에 해리의 증후를 크게 '이격(離隔, detachment)'과 '구획화(區劃化, compartmentalization)'로 정리했다.[144]
시바야마 마사토시는 '공간적 변용'과 '시간적 변용'이라는 개념에서 해리를 파악하려고 하고 있다.3. 1. 이인증/현실감 상실 장애
이인감(離人感, Depersonalization)은 누구나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영화나 소설에 집중할 때 주변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과 같다. 그러나 이인증/현실감 상실 증상이 심하고 만성적이 되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장애로 간주한다.[127]
이인증/현실감 상실 장애는 조현병, 공황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주요 우울증성 장애와는 구별되어야 한다.[127] 홈즈(Holmes, E.A.)는 해리성 장애를 이격(離隔, detachment)과 구획화(區劃化, compartmentalization)로 나누었는데, 여기서 이격이 이인증과 현실감 상실에 해당한다.
DSM-IV-TR에서 이인증성 장애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28]
스타인버그(Steinberg.M)는 해리성 장애 진단에 건망, 이인, 소격(현실감 상실, derealization), 정체성 혼란, 정체성 변용의 5가지 중핵 증상이 중요하다고 보았다.[141] 이 중 이인은 자아에서 분리되는 감각이며, 소격은 대상이나 세계에 대한 현실감이 없어지고 뿌연 유리를 통해 보는 듯한 감각이다.[141]
홈즈 등은 2005년에 해리 증상을 크게 '이격(detachment)'과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로 정리했다.[144] 여기서 '이격'은 의식 변용을 의미한다.[145][146] 이격은 감각 마비, 소격 증상(현실감 상실), 이인 증상, 유체이탈 체험, 자기상 환시(自己像幻視, autoscopy) 등을 포함한다.
이인증/현실감 상실 장애는 아동기 외상, 특히 정서적 학대나 방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5] 또한, 사랑하는 사람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같은 스트레스도 원인이 될 수 있다.[15]
치료는 해리성 기억상실증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증상 발병은 몇 초 정도로 짧을 수도 있고, 여러 해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14]
3. 2. 해리성 기억상실 / 해리성 둔주
단순한 건망증으로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과거의 한 시기 또는 모든 생활사의 기억을 잃어버리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DSM-IV-TR에서는 해리성 기억상실(300.12)과 해리성 둔주(300.13)로 나누어져 있었지만, 2010년 발표된 DSM-5 개정안에서는 해리성 기억상실로 통합되었다.[125]
일반적으로 해리성 기억상실은 과거 특정 시기의 기억을 잃는 경우가 많지만, 모든 생활사를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기억을 잃은 채 '증발'하여 전혀 다른 장소에서 다른 사람으로 살아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해리성 둔주라고 한다.
DSM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추가로 제시한다.3. 3. 해리성 정체성 장애 (다중 인격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DID)는 한 사람 안에 둘 이상의 구별되는 정체성(인격)이 존재하며, 이들이 번갈아 가며 행동을 통제하는 상태를 말한다. 각각의 인격은 고유한 이름, 나이, 성격, 기억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인격 간의 기억 공유 여부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인격과 교대인격이 기억을 공유하는 경우에는 '중요한 개인적 정보를 떠올려낼 수 없음'에 해당하지 않아 해리성 정체성 장애로 진단되지 않을 수 있다.[135]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다중인격장애'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ICD-10에서는 'F44.81 다중인격장애'로 분류된다.[135] DSM-IV에서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진단 기준 일부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특정불능의 해리성 장애'로 분류하기도 한다.
원인: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원인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대개 6세에서 9세 이전에 발생하는 지속적인 아동기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 또는, 환상, 치료 또는 기타 사회 발생적 요인의 의도하지 않은 산물로 여겨지기도 한다.[11]
치료: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치료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정신 요법이 주로 사용된다. 정신 요법에는 종종 최면 (환자가 외상을 기억하고 극복하도록 돕기 위해), 창의적인 미술 치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없는 사람을 돕기 위해 창의적인 과정을 사용), 인지 치료 (불건전하고 부정적인 믿음이나 행동을 식별하기 위한 대화 요법) 등이 포함된다. 약물 치료(항우울제, 항불안제 또는 진정제)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 및 기타 해리성 장애와 관련된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아직 해리성 장애를 특별히 치료하는 약물은 없다.[12]
3. 4. 특정 불능 해리성 장애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둔주, 이인증·현실감 상실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진단 기준을 완전히 충족하지 않는 해리성 장애를 말한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와 거의 구별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된다.
치료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와 동일하며, 어디까지를 특정 불능으로 볼 것인지는 치료자에 따라 달라진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로 진단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그 외 특정 불능 해리성 장애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3. 4. 1. 해리성 트랜스 장애
특정 지역 또는 문화 고유의 장애로, 정체성(인격) 감각이 소실되고 주변 상황 인식이 좁아지는 등 일과성(一過性)으로 의식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인증상으로 고통을 겪으며, 사회생활에 장애를 일으킨다. 신병도 해리성 트랜스의 일종으로 간주되지만, 해당 국가나 사회의 문화와 관련이 있다면 치료 대상, 즉 장애라고는 할 수 없다.[129]
ICD-11에서는 트랜스 장애, 트랜스 및 빙의 장애로 질병명을 분리하였다. ICD-10에서의 해리성(전환성) 장애의 정의는 '과거의 기억, 정체성과 직접적 감각, 및 신체 운동 제어 사이의 정상적인 통합을 부분적, 혹은 완전히 잃은 것'으로 여겨진다.[135] ICD-10에서는 '히스테리'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지만, 이전에 히스테리라고 불렸던 장애는 해리성 타입과 전환성 타입 모두 '해리(Dissociative)'라는 개념으로 묶여 있다.
문화적 요인에 의한 최면상태로 보고 있으며[139], 과거의 외상과 삽화 발생 직전 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 요인이 확인되었다.[140]
3. 4. 2. 간저 증후군
구금반응의 일종으로 간주되며, 유치소·형무소 같은 폐쇄적인 환경에서 발병하는 일이 많다. 애매한 응답이나 전후 문맥과 관계없이 요점에서 벗어난 말을 하기도 한다.[135] 간저 증후군은 'F44.8 그 외의 해리성(전환성) 장애'의 하위 항목인 'F44.80 간저증후군'으로 분류된다.
4. 원인
해리성 장애는 심리적 외상, 스트레스, 애착 문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136] 특히 해리성 정체성 장애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어, 해리성 장애 전체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63]
시바야마 마사토시는 2012년 저서에서 해리성 장애의 하위 유형별 비율을 제시했지만, 이는 집계 범위에 따라 변동이 크다.[134] 북미에서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다른 하위 유형에 대한 통계는 부족하다. 여러 보고를 종합해 보면, 특정할 수 없는 해리성 장애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이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와 유사하지만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34]
해리성 장애는 생리학적 문제가 아닌 심리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심인성 장애이다.[136] 심인성 장애의 인과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시대와 사람에 따라 견해가 다를 수 있다.[136] 치료는 시행착오를 거쳐 이루어지며,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136]
4. 1. 스트레스 요인
해리성 장애를 겪는 사람 대부분은 유아기부터 아동기에 강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여겨진다. 그 스트레스 요인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137][63]- 학교나 형제 간의 괴롭힘
- 부모 등이 정신적으로 아이를 지배하여 자유로운 자기 표현을 할 수 없는 등의 인간 관계 스트레스
- 방임
- 가족이나 주변으로부터의 정신적 학대, 신체적 학대, 아동 성학대
- 살상 사건이나 교통 사고 등을 가까이에서 목격한 충격이나 가족의 죽음
시바야마 마사토시와 시라카와 미야코의 보고에 따르면, 해리성 장애 환자들이 경험한 스트레스 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해리성 장애 환자들은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했으며, 특히 정신적 학대, 가정폭력 목격, 신체적 학대, 방임 등의 경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와 다른 해리성 장애의 원인을 비교했을 때, 시라카와 미야코의 2009년 보고에서는 두 질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63]
유아기의 성장 환경과 애착 관계 또한 해리성 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메인(Main, M)과 솔로몬(Solomon, J)이 1986년에 발견한 D형(무질서·무방향형) 애착 유형은 학대를 받은 영유아의 80%에게서 나타나며,[69] 해리성 장애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70][74][75][76]
4. 2. 애착과의 관계
애착 이론에서는 통합된 자아가 아동의 성장 과정에서 획득되며, 양육 환경에 따라 이 과정이 좌절될 경우 해리 또는 해리성 장애의 취약성이 발생한다고 본다.[138] 지오바니 리오티(Liotti.G.)는 깊은 슬픔을 가진 해리성 장애 환자에게 치료자가 공감적 이해를 제공하면 환자의 애착 시스템이 활성화되어 안정형(B타입) 애착을 경험하기 시작한다고 보았다.[138] 또한, 환자는 자신의 행동 배경에 타인에게 이해받고 싶어하는 동기가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138]해리성 장애는 심리적 외상에 대한 대처 수단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동기 학대나 예측 불가능한 가정 환경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전쟁이나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과 같이 학대와 관련 없는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아동의 해리 증상은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아동이 자신의 경험을 설명하기 어렵거나, 보호자가 학대 사실을 숨기려 하거나, 증상이 미묘하거나 일시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해리와 관련된 기억, 기분, 집중력 장애가 다른 장애의 증상으로 오인될 수 있다.
최근 연구는 아동기 외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뇌의 신경화학적, 기능적, 구조적 이상을 연구하여 해리 증상의 신경학적 근거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 또한, 아동의 비조직적 애착(DA)을 인식하는 것이 해리성 장애의 가능성에 대한 경각심을 갖도록 도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1]
임상의와 연구자들은 해리 증상이 아동 및 청소년 발달의 다른 단계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개인은 다른 연령대에서 해리 증상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거나 낮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1][36]
5. 진단
해리성 장애 진단은 정신건강 전문가의 면담, 심리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시바야마 마사토시는 2012년 저서에서 해리성 장애의 하위 유형별 비율을 제시했는데, 해리성 정체성 장애가 약 30%, 이인증성 장애가 약 10%, 해리성 기억상실 및 둔주가 약 5%, 특정 불가능한 해리성 장애가 55%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비율은 집계 범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북미에서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있어, 해리성 장애 내 하위 유형별 비율에 대한 통계는 찾기 어렵다. 그러나 몇몇 보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샘플 수가 적어 비율이 불균형하고, 특정 국가의 보고만을 취합한 것이므로 큰 의미는 없다. 다만, 특정 불가능한 해리성 장애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이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와 유사하지만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34]
ICD-10(국제질병분류 10차 개정판)에서는 해리성(전환성) 장애를 '과거의 기억, 정체성과 직접적 감각, 및 신체 운동의 제어 사이에서 정상적인 통합을 부분적, 혹은 완전히 잃은 것'으로 정의한다.[135] ICD-10에서는 '히스테리'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지만, 과거 히스테리라고 불렸던 장애는 해리성 및 전환성 유형 모두 '해리(Dissociative)'라는 개념으로 통합되어 있다.
ICD-10에서 해리성(전환성) 장애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F44.0 해리성 기억상실
- F44.1 해리성 둔주
- F44.2 해리성 혼미
- F44.3 트랜스 및 빙의 장애
- F44.4 해리성 운동장애
- F44.5 해리성 경련
- F44.6 해리성 지각마비 및 감각탈실
- F44.7 혼합성 해리성(전환성) 장애
- F44.8 그 외의 해리성(전환성) 장애
- * F44.80 간저증후근
- * F44.81 다중인격장애
- * F44.82 소아기 또는 청년기에 보여지는 일과성 해리성(전환성) 장애
- * F44.83 그 외의 특정 해리성(전환성) 장애
- F44.9 특정할 수 없는 해리성(전환성) 장애
스타인버그는 해리성 장애 진단에 있어 '기억상실', '이인증', '소외감(현실감 상실)', '정체성 혼란', '정체성 변용'의 5가지 핵심 증상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기억상실'을 해리성 장애의 기본으로 중시했다. 이인증은 자신으로부터 분리된 느낌을, 소외감은 대상이나 세계에 대한 현실감이 없는 느낌을 의미한다.[78] '정체성 혼란'은 자아 정체성에 대한 불확실, 혼란, 갈등을, '정체성 변용'은 타인이 인지할 수 있는 사회적 역할의 변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른 이름을 사용하거나, 배우지 않은 악기를 연주하거나, 구매한 기억이 없는 물건이 방에 있는 경우가 있다.[79]
홈즈 등은 해리 증상을 '이격(detachment)'과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로 분류했다. '이격'은 감각 마비, 소외감, 이인증, 유체이탈 체험 등을 포함한다. '구획화'는 전환 증상, 수면 현상, 트랜스 상태, 기억상실, 교대 인격, 위환각(僞幻覺) 등을 포함한다.
시바야마 마사토시는 '공간적 변용'과 '시간적 변용'이라는 개념으로 해리를 설명한다. '공간적 변용'은 자신이 보는 쪽과 보여지는 쪽으로 나뉘는 현상으로, 이인증, 소외감 등을 포함한다. '시간적 변용'은 기억이 끊기거나 자신이 바뀌는 현상으로, 기억상실, 둔주, 교대 인격 등을 포함한다.
해리성 장애는 일반 인구의 10%에서 정신과 입원 환자의 46%까지 다양한 유병률을 보인다.[24] 진단은 단일 회기로는 불가능하며, 임상가의 훈련 부족으로 인해 이전 진단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흔하다.[25]
5. 1. 감별 질환
해리성 장애는 다른 정신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어 정확한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감별해야 할 질환은 다음과 같다.[101]- 평범한 건망증
- 인지증
- 섬망
- 기억상실성 장애
- 물질 유발성 기억 상실
- 급성 스트레스 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 정신병 에피소드
- 기분 장애 에피소드
- 꾀병
- 정동 증상
- 강박 장애
조현병, 양극성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등과의 감별이 필요하다.[127]
5. 2. 스크리닝 테스트
임상 현장에서는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해리성 장애 진단을 위한 여러 스크리닝 테스트가 있다. 이러한 테스트에는 해리 경험 척도(DES)를 기반으로 한 DES-T, 해리성 장애 면담 척도(DDIS), DSM-IV 해리성 장애를 위한 구조화된 임상 면담(SCID-D) 등이 있다.[149] 이러한 검사들은 진단 과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최종 진단은 정신건강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내려진다.[149]- DES-T (Dissociative Experiences Scale - Taxon): 해리 경험 척도(DES)의 28개 항목 중 병적인 해리성 장애와 관련된 8개 항목(3, 5, 7, 8, 12, 13, 22, 27번)으로 구성된다.[150] DES-T는 정상적인 해리와 병적인 해리가 연속적이지 않다는 유형학적 모델(Taxon)에 기반한다.[77] 각 항목에 대한 응답을 통해 해리성 장애의 추정 확률을 계산한다.
- DDIS (Dissociative Disorders Interview Schedule): 로스(Ross, C.A.)가 개발한 132개 항목의 구조화된 면담 양식이다.[104] DSM 기준을 바탕으로 질문하며, 해리성 장애, 우울증, 신체화 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등을 평가한다.
- SCID-D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Dissociative Disorders): 스타인버그(Steinberg, M.)가 개발한 구조화된 면담 도구로, 해리 현상을 '기억상실', '이인증', '현실감 상실', '정체성 혼란', '정체성 변용'의 5가지 핵심 증상으로 나누어 평가한다.[151]
로스(Ross, C.A.) 등의 연구에 따르면, 정신과 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DDIS는 40.8%, SCID-D는 44.5%의 해리성 장애를 판정했다.[112]
6. 치료
해리성 장애 치료는 환자의 증상과 특성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치료 전 평가는 다음 3단계로 이루어진다.[153][154]
# 표준적인 임상 평가 (일반적인 정신의학적 평가)
# 심적 외상과 관련된 증상 및 장애 평가
# 인격 구조, 인격 기능, 현재 병력의 계통적 분석
치료는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될 수 있다.[115]
구조적 해리 이론은 심적 외상, 또는 심적 내용 자체에 대결하기보다 심적 에너지, 즉 마음의 적응 능력을 높이는 방향을 중시한다.[116] 이러한 접근법은 외상성 정신장애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가정환경이나 감각 과민 등 만성적이고 결과적으로 심적 외상과 비슷한 상처를 입은 것으로 보이는 증상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17]
어떤 해리성 기억상실의 사례에서는, 약물요법과 카운슬링의 병용이 유효했다는 보고가 있다.[158] 인지 수정을 목적으로 한 행동제한요법의 유효성을 보고한 연구도 있다.[159] 이인증상을 주로 한 해리성 장애의 증례 보고에서는, 치료자나 지원자가 환자에게 '안전한 장소'라고 인식될 수 있도록 카운슬링하는 것에 더해, 환자의 일상생활에서 양호한 인간관계 구축과 행동 범위의 확대를 지원하여 호전되었다.[160]
6. 1. 정신 치료 (심리 치료)
정신 요법은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치료 방법이다.[12] 여기에는 최면 (환자가 외상을 기억하고 극복하도록 돕기 위해), 창의적인 미술 치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없는 사람을 돕기 위해 창의적인 과정을 사용), 인지 치료 (불건전하고 부정적인 믿음이나 행동을 식별하기 위한 대화 요법) 등이 포함된다.[12]구조적 해리 이론에 기반한 치료는 다음 3단계로 진행된다.[113][114]
- 제1기: 안정화와 기술 향상. 일상생활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돕고, 부정적인 행동을 줄이며, 현실감과 자기 존재감을 강화한다.
- 제2기: 외상 기억 치료. 외상 기억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여 해리된 기억을 통합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도 참고한다.
- 제3기: 인격 통합과 재활. 일상생활과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여 삶의 질을 높인다.
이 외에도 해리 증상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자아 상태 치료가 있다.[118] 인지 수정을 위한 행동 제한 치료,[119] 치료자와 지원자가 환자에게 '안전한 장소'가 되어주는 상담, 긍정적인 인간관계 구축 및 행동 범위 확대를 돕는 치료도 효과적이다.[120] 약물 치료와 상담을 병행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121] 어린이의 경우, 정신 요법과 약물 치료 외에 가족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 경과와 예후는 양호한 편이다.[122][123]
6. 2. 약물 치료
해리성 장애를 완치하거나 완전히 치료하는 약물은 없지만, 이 장애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불안 및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물은 투여될 수 있다.[23] 항우울제, 항불안제, 항정신병 약물 등이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해리성 장애 자체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동반되는 불안, 우울 등의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일부 해리성 기억상실 사례에서는 약물 치료와 상담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보고된다.[158]
6. 3. 기타 치료
해리성 장애 치료에는 정신 요법과 약물 치료 외에도 여러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환자의 특성에 따라 최면 치료, 예술 치료, 가족 치료 등이 활용될 수 있다.[122]어린이 해리성 장애의 경우, 가족 치료가 특히 중요하게 고려된다. 사례 연구를 검토한 한 논문에서는 치료 사례의 약 80%에서 치료 경과가 양호했으며, 예후도 좋았다고 보고되었다.[123]
약물 치료와 상담을 함께 사용하여 효과를 보았다는 해리성 기억 상실증 사례 보고가 있다.[121] 인지 수정을 위한 행동 제한 치료가 유효하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119] 이인증을 주로 겪는 해리성 장애의 경우, 치료자와 지원자가 환자에게 '안전한 장소'로 인식되도록 상담하고,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행동 범위를 넓히도록 지원하여 증상이 호전된 사례도 보고되었다.[120]
7. 신경과학적 관점
해리성 장애는 뇌의 특정 영역의 활동과 부피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7. 1. 뇌 활동 변화
해리성 장애는 아래마루소엽, 전전두엽 피질, 변연계를 포함한 다양한 뇌 영역의 활성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16] 해리성 장애 환자는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전두엽의 활동 수준이 높고 변연계가 더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16] 높아진 피질-변연계 억제는 탈인격화 및 비현실감과 같은 뚜렷한 해리 증상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극도로 위협적이거나 외상적인 사건에서 사용되는 대처 기전으로 생각된다.[16][17] 편도체와 같은 변연계의 구조를 억제함으로써 뇌는 극심한 각성 수준을 줄일 수 있다.[1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해리 하위 유형에서는 억제된 변연계 구조를 통한 감정 과잉 통제와 내측 전전두엽 피질의 과잉 활동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불충분한 통제가 모두 나타난다. 내측 전전두엽 피질의 활동 증가는 재경험 및 과각성과 같은 비해리 증상과 관련이 있다.[16]7. 2. 뇌 구조 변화
해마와 편도체의 피질 및 피질하 부피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18] 편도체의 부피 감소는 해리 상태에서 관찰되는 감정 반응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18] 해마는 학습과 기억 형성과 관련이 있으며, 부피 감소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DID)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있는 사람들의 기억력 손상과 관련이 있다.[19] 뇌 영상 연구는 해마 부피 감소와 DID 및 PTSD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며, 해마 부피와 아동기 외상 사이의 음의 상관관계도 보여준다(이는 해리 증상의 잠재적인 원인으로 추정된다).[20][21][22]

8. 논쟁점
해리성 장애, 특히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원인과 진단 기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존재한다. 외상 모델과 사회인지 모델 간의 논쟁이 대표적이며, 이는 치료 접근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108][109]
로스(Ross, C.A.)가 작성한 해리성 장애 인터뷰 스케줄(DDIS)은 132개 항목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인터뷰 양식이다. 이 양식은 대부분 DSM(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기준을 바탕으로 한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뷰는 두통 등 신체적 증상, 약물 의존, 정신과 치료 경력, 우울 증상, 슈나이더 1급 증상, 몽유병이나 트랜스 체험, 아동 학대 경험, 해리성 정체성 장애 특유의 증상, 초자연적 체험 등 다양한 영역을 다룬다. 이를 통해 해리성 장애, 우울증, 신체화 표현성 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한다. 응답은 "있다", "없다", "모르겠다"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30분에서 45분 정도 소요된다.[108][109]
1991년 캐나다에서 일반인 1,055명을 대상으로 한 로스의 연구에서, 454명에게 DDIS를 실시한 결과 11%가 해리성 장애 의심 소견을 보였다. 1997년 로스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일반인 중 어떤 형태로든 해리성 장애를 가진 사람이 12%,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3%로 나타났다. 이는 정신과 환자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DDIS가 해리성 장애를 선별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시사한다.[108][109]
9. 한국 사회와 해리성 장애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겪으면서, 개인에게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경쟁적인 교육 환경, 취업난, 가정 불화, 사회적 고립 등은 해리성 장애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아동 청소년기의 학교 폭력, 가정 폭력, 학대 경험은 해리성 장애 발병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특성상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편견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는 해리성 장애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해리성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지원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참조
[1]
서적
Feeling Unreal: Depersonalization Disorder and the Loss of the Self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3]
서적
Psychology: Second Edition
Worth
[4]
서적
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Board Review Guide for Psychiatry
American Psychiatric Pub.
2019
[5]
서적
Psychiatry
John Wiley & Sons
2015
[6]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7]
웹사이트
ICD-11 -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
2020-09-17
[8]
논문
Social, Cognitive, and Neural Constraints on Subjectivity and Agency: Implications for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2003
[9]
웹사이트
Dissociative disorders in DSM5DMS
https://www.research[...]
2018-01-03
[10]
웹사이트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exists and is the result of childhood trauma
https://theconversat[...]
2018-01-03
[11]
논문
Is it Trauma- or Fantasy-based? Comparing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imulators, and controls
https://kclpure.kcl.[...]
[12]
웹사이트
Dissociative disorders: Treatments and drugs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1-03-03
[13]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4]
웹사이트
Dissociative Disorders
http://athealth.com/[...]
2016-12-14
[1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6]
논문
Dissociative Disorders in DSM-5
2013-03-28
[17]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American Psychiatric Assoc
2009
[18]
논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alterations in psychiatric patients with dissociative experiences: A systematic review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2020-09
[19]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neuroanatomy of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2020-09
[20]
논문
Neurodevelopmental origins of abnormal cortical morphology in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https://onlinelibrar[...]
2023-12-07
[21]
논문
Abnormal hippocampal morphology in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rrelates with childhood trauma and dissociative symptoms
2015-05
[22]
논문
A Meta-Analysis of Hippocampal and Amygdala Volumes in Patients Diagnosed With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2021-05-27
[23]
웹사이트
What is dissociation and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DID)?
https://www.rethink.[...]
2020-09-17
[24]
논문
Prevalenc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ssociative Disorders in an Inpatient Setting
[25]
서적
Diagnostic Interviewing
Springer
2019
[26]
논문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Dissociat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Dissociation
https://www.isst-d.o[...]
2020-07-24
[27]
논문
Dissociative symptom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iagnosis and treatment
[28]
논문
Prevalence of Dissociative Disorders in Psychiatric Outpatients
2006
[29]
논문
Dissoziative Störungen (Konversionsstörungen)
[30]
간행물
Somatic Symptom and Dissociative Disorders
McGraw-Hill
[31]
논문
The Dissociative Disorders: Rarely Considered and Underdiagnosed
1998
[32]
논문
Barriers to accessing and continuing mental health treatment among individuals with dissociative symptoms
2022
[33]
논문
Amnesia for violent crime among young offenders
[34]
논문
Defendant's wife testifies about his multiple personas
[35]
논문
Theory and method at the intersection of anthropology and cultural neuroscience
2010
[36]
논문
Dissoci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s reaction to trauma - an overview of conceptual issues and neurobiological factors
[37]
논문
Recognizing dissociation in preschool children
2005-07
[38]
논문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children with dissociative (conversation) disorders in western China: a retrospective study
2021
[39]
웹사이트
Dissociation in Children and Teens
https://beaconhouse.[...]
2022-08-29
[40]
논문
Dissociative Experience and Cultural Neuroscience: Narrative, Metaphor and Mechanism
2008
[41]
논문
Long-term outcome and prognosis of dissociative disorder with onset in childhood or adolescence
[42]
논문
The Scientific Status of Childhood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A Review of Published Research
[43]
논문
Adaptive and Maladaptive Dissociation: An Epidem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Comparison and Proposition for an Expanded Dissociation Model
2005
[44]
논문
Where Are We Going? An Update on Assessment, Treatment, and Neurobiological Research in Dissociative Disorders as We Move Toward the DSM-5
[4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Pub
2013
[46]
논문
Witnessing across time: accessing the present from the past and the past from the present
2012-01
[47]
서적
Rediscovering Pierre Janet
Routledge
2020-07-24
[48]
논문
Dissociation and dissociative disorders: challenging conventional wisdom
[49]
서적
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 DSM-5診断基準の臨床への展開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31
[50]
웹사이트
平島奈津子先生に「解離性障害」を訊く|公益社団法人 日本精神神経学会
http://archive.md/dR[...]
2017-12-24
[51]
문서
ジェフリー・スミス2005
[52]
문서
柴山雅俊 「離人症」 『精神科臨床リュミエール』 2009
[53]
문서
柴山雅俊2012
[54]
문서
柴山は2007年の著書 (p.34) では、解離性障害のうち、解離性同一性障害は約20%、離人症性障害が約10%、解離性健忘が5%、解離性遁走は1%、残りの約60%が特定不能の解離性障害に分類されるとしていたが、その後5年間の症例の増加により、比率が変わったと思われる。ただし、対象範囲の記載がないため詳細は不明である。
[55]
문서
岡村毅、杉下和行、柴山雅俊「解離性障害の疫学と虐待の記憶」『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56]
논문
Prevalence of dissociative disorders among psychiatric inpatients in a German university clinic
[57]
간행물
Dissociative disorders in turkish inpatients with conversion disorder
http://www.sciencedi[...]
Ertan Tezcan
2003-07
[58]
간행물
Dissociative disorders in the psychiatric emergency ward
http://www.sciencedi[...]
Vedat Sar, M.D
2007-01
[59]
문서
ICD-10新訂版2005
[60]
문서
ICD-10新訂版2005
[61]
문서
ICD-10新訂版2005
[62]
문서
解離性同一性障害/ICD-10での定義
[63]
문서
岡野憲一郎2009
[64]
문서
『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Q&A集Q5 「解離性障害はどのような原因で起こると考えられていますか?」 (p.215) では(3)と(4)を合わせて虐待とまとめているが、ここでは説明の都合上2つを分ける。
[65]
문서
柴山雅俊2007
[66]
문서
柴山雅俊2012
[67]
문서
白川報告(「子供の虐待と解離」『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p.307 )はアリソン (Allison,R.B.) の定義に従い、7歳以前に重度のトラウマを受け、非常に多くの人格群が現れたケースをMPDとして分けているが、表には含まれていない。それを含めると112人になるはずだが、表の編集ミスと思われる。ここではデータのある105人で計算している。「DDNOS」は特定不能な解離性障害。「その他DD」とは「その他解離性障害」であるが、PTSDの中で解離障害症状を持つ患者も含めている。白川の報告は本人の患者の2000年から2006年3月までの集計であり、警察や児童相談所、行政の困難例からのからの紹介が多く、白川自身がいうように他の報告者よりも、虐待症例の集まりやすい状況である。なお白川美也子の報告では「その他解離性障害」にPTSDの中で解離障害症状を持つ患者も含めている。
[68]
문서
性的虐待は家庭内・家庭外とも、解離性障害全体の中で他よりも解離性同一性障害の方が少ないという結果になっているが、標本数の少なさから有意差はないと見るべきである。 柴山雅俊の2012年時点の報告では性的外傷体験を家庭外でも家庭内でも受けた人達はすべてDIDと診断されたという、(柴山雅俊2012 pp.62-63 )
[69]
문서
パトナム1997
[70]
문서
野間俊一「解離研究の歴史」『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71]
논문
MPD as an attachment disorder
[72]
학술지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2. Overview of the field of attachment
[73]
문서
パトナム1997 pp.219-220
[74]
학술지
Dissociation and the parent-infant dialogue: a longitudinal perspective from attachment research
[75]
문서
白川美也子 「子供の虐待と解離」『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p.302
[76]
학술지
A model of dissociation based o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77]
서적
解離性障害の治療技法
みすず書房
[78]
문서
柴山雅俊 「離人症」 『精神科臨床リュミエール』 2009 p.106
[79]
문서
大矢大 「解離性健忘と解離性遁走」 『精神科臨床リュミエール』 2009 pp.94-95
[80]
문서
Steinberg1995
[81]
학술지
Advances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dissociation: the SCID-D-R
[82]
학술지
Are there two qualitatively distinct forms of dissociation? A review and some clinical implications
[83]
문서
岩井圭吾 「解離性障害の範囲と分類」 『精神科臨床リュミエール』 2009 pp.88-89
[84]
문서
柴山雅俊 「離人症」 『精神科臨床リュミエール』 2009 p.105
[85]
문서
岩井圭吾 「解離性障害の範囲と分類」 『精神科臨床リュミエール』 2009 pp.88-90
[86]
문서
柴山雅俊2007
[87]
문서
柴山雅俊2010
[88]
문서
柴山雅俊2012
[89]
문서
柴山雅俊2012 p.35
[90]
문서
柴山雅俊2007 pp.91-92
[91]
문서
柴山雅俊2012 p.34
[92]
문서
柴山雅俊2007 pp.89-90
[93]
문서
岡野憲一郎2007 付章・鼎談「日本での解離の臨床について語り合う」 pp.195-196
[94]
서적
Haunted Self: Structural Dissociation And the Treatment of Chronic Traumatization (Norton Series on Interpersonal Neurobiology)
2006-11-10
[95]
문서
奥田ちえ「構造的解離理論の基本概念と治療アプローチ」『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pp.333-340
[96]
문서
野間俊一 「構造的解離理論」 『精神科臨床リュミエール』 2009 pp.71-81
[97]
문서
柴山雅俊2010 pp.137-138
[98]
문서
ヴァンデアハート2006
[99]
문서
ヴァンデアハート2006 pp.3-8
[100]
문서
ヴァンデアハート2006 pp.7-12
[101]
서적
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 DSM-5診断基準の臨床への展開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31
[102]
문서
岡村毅、杉下和行、柴山雅俊「解離性障害の疫学と虐待の記憶」『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p.341
[103]
학술지
精神科治療学-特集:いま「解離の臨床」を考える II
星和書店
[104]
문서
田辺肇 「病的解離性のDES-Taxon簡易判定法」『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p.288
[105]
문서
岡野憲一郎2007 p.151
[106]
문서
パトナム1997
[107]
문서
『こころのりんしょう』 2009
[108]
문서
和田秀樹1998
[109]
문서
パトナム1997
[110]
서적
解離性障害
新興医学出版社・新現代精神医学文庫
[111]
문서
パトナム1997
[112]
간행물
Colin A. Ross. Prevalenc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ssociative Disorders in an Inpatient Setting.
http://www.tandfonli[...]
[113]
문서
野間俊一 「構造的解離理論」
[114]
문서
ヴァンデアハート2006
[115]
문서
ヴァンデアハート2006
[116]
문서
野間俊一 「構造的解離理論」
[117]
문서
野間俊一 「構造的解離理論」
[118]
논문
青年期において被虐待経験と不安定愛着が心身の健康に及ぼす影響の回顧的研究――解離性障害や心身症の予防と効果的介入に向けて――
[119]
논문
2. 解離性障害・転換性障害の入院治療 : 行動制限の視点から(第1061回千葉医学会例会・第20回千葉精神科集談会)
http://opac.ll.chiba[...]
2003-08-01
[120]
논문
離人症状を主訴とした解離性障害の1症例
https://hdl.handle.n[...]
2016-03-31
[121]
논문
多彩な解離症状を呈した思春期女子の1症例
https://doi.org/10.1[...]
2003
[122]
논문
Trauma-related dissociative (convers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 overview of assessment tools and treatment principles
[123]
논문
子どもの解離性障害に関する研究展望 : 事例論文を中心に
[124]
서적
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 DSM-5診断基準の臨床への展開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31
[125]
문서
ジェフリー・スミス2005
[126]
웹사이트
Pseudoseizures and dissociative disorders: a common mechanism involving traumatic experiences
https://www.seizure-[...]
[127]
문서
시바야마 마사토시 「이인증」(離人症)
[128]
문서
DSM의 차기 개정안(DSM-5)에서는 A1 이인증과 A2 현실감상실로 나뉘어 있다.
[129]
웹사이트
https://icd.who.int/[...]
[130]
문서
岡村毅、杉下和行、시바야마 마사토시「解離性障害の疫学と虐待の記憶」
[131]
논문
Prevalence of dissociative disorders among psychiatric inpatients in a German university clinic
[132]
간행물
Dissociative disorders in turkish inpatients with conversion disorder
http://www.sciencedi[...]
2003-07
[133]
간행물
Dissociative disorders in the psychiatric emergency ward
http://www.sciencedi[...]
2007-01
[134]
문서
차기 개정판(DSM-5)에서는
[135]
문서
ICD-10新訂版2005
[136]
문서
퍼트남(Putnam,F.W.)도
[137]
문서
『마음의 임상』(こころのりんしょう)
[138]
서적
解離性障害の治療技法
みすず書房
[139]
문서
질병분류기호 [F44.3] 트랜스와 빙의증
[140]
문서
빙의 장애로 진단된 입원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possession disorder
[141]
간행물
離人症
[142]
간행물
解離性健忘と解離性遁走
[143]
저널
Advances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dissociation: the SCID-D-R
https://archive.org/[...]
[144]
저널
Are there two qualitatively distinct forms of dissociation? A review and some clinical implications
https://archive.org/[...]
[145]
간행물
解離性障害の範囲と分類
[146]
간행물
離人症
[147]
간행물
解離性障害の範囲と分類
[148]
서적
Haunted Self: Structural Dissociation And the Treatment of Chronic Traumatization (Norton Series on Interpersonal Neurobiology)
2006-11-10
[149]
간행물
解離性障害の疫学と虐待の記憶
[150]
간행물
病的解離性のDES-Taxon簡易判定法
[151]
서적
解離性障害
新興医学出版社・新現代精神医学文庫
[152]
웹사이트
Prevalenc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ssociative Disorders in an Inpatient Setting.
http://www.tandfonli[...]
[153]
간행물
構造的解離理論
[154]
서적
[155]
서적
[156]
간행물
構造的解離理論
[157]
간행물
構造的解離理論
[158]
저널
多彩な解離症状を呈した思春期女子の1症例
http://dx.doi.org/10[...]
2003
[159]
저널
2. 解離性障害・転換性障害の入院治療 : 行動制限の視点から(第1061回千葉医学会例会・第20回千葉精神科集談会)
http://opac.ll.chiba[...]
2003-08-01
[160]
저널
離人症状を主訴とした解離性障害の1症例
http://hdl.handle.ne[...]
2016-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