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빙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빙의는 인류학, 종교학, 민속학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독일어 Besessenheit, 영어 spirit possession의 번역어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특정 현상에 대한 가치 판단이나 정치적 판단이 반영되어 객관적인 학술 연구를 어렵게 만든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의 차이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서 빙의에 대한 관점이 존재하며, 기독교에서는 악마나 악령에 의한 것으로, 이슬람교에서는 진, 유대교에서는 디부크, 불교에서는 마라와 관련되어 해석된다. 또한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의 빙의 현상이 나타나며, 과학적으로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설명되기도 하고, 문화 인류학에서는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 - 구마 (종교)
    구마는 악령을 쫓아내는 종교적 행위로, 여러 종교에서 특정 의례를 통해 악한 존재를 몰아내는 의식으로 발전했으며, 종교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고 정신 질환과 관련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 구마 - 구마예식
    구마예식은 악령을 쫓아내는 종교 의식으로, 기독교 시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나, 가톨릭교회는 엄격한 규정을 따르지만 과학적 근거 부족, 사회적 문제, 비판적 시각, 논란 사례 또한 존재한다.
  • 오컬트 - 프로파간다 두에
    프로파간다 두에는 1877년 이탈리아에서 설립된 프리메이슨 로지로서, 파시스트 정권의 금지 후 재건되어 냉전 시대 반공주의자 모임으로 변모했으나, 리치오 젤리 체포 후 드러난 회원 명단과 스캔들로 인해 비밀 범죄 조직으로 규정되었다.
  • 오컬트 - 심령사진
    심령사진은 사진술로 촬영된 이미지 중 초자연적인 존재나 현상이 담겼다고 주장되지만, 사기 행위, 기술적 오류, 시뮬라크라 현상 등으로 진위 논란이 끊이지 않는 사진이다.
빙의
일반 정보
용어빙의
영어(spirit) possession
독일어Besessenheit
관련 용어황홀경, 영혼 상실
현상
주체영혼, 귀신, 악마, 신
내용인간의 몸을 영적인 존재가 통제하는 현상
종교 및 문화적 관점
관련 연구정신 의학, 심리학, 인류학, 종교학
관련 현상해리 장애, 정신 질환
참고
관련 문서강신술, 미디엄 (오컬트)

2. 용어의 역사와 문제점

"빙의"라는 용어는 서구 학문의 번역어로서, 그 과정에서 특정 종교(기독교)의 가치관이 반영되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미르체아 엘리아데와 같은 종교학자는 "빙의" 대신 "탈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학술 연구가 진행되면서, 무엇이 "빙의"이고 무엇이 아닌지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또한, "빙의"라는 용어는 평가자의 가치 판단이나 정치적 판단에 따라 자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붙다(つく)"는 긍정적인 의미로도 사용되지만, "빙의"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진다.[71] 영어의 be obsessed영어나 be possessed영어 역시 부정적인 표현이다.[71]

2. 1. 용어의 기원

"빙의" 또는 "빙령"이라는 표현은 인류학, 종교학, 민속학 등에서 학술 용어로 사용된다. 이 용어는 독일어 Besessenheitde나 영어 spirit possession영어를 번역한 것이다. 이케가미 요시마사는 이러한 서구 학자들의 학술 용어가 일본 학계를 거쳐 한국에 수입되었다고 지적했다.[77] 1941년(쇼와 25년)의 어느 학술 문헌에는 "빙의"라는 단어가 등장했으며,[7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일반화된 것으로 추정된다.[79][77]

"빙의"라는 학술 용어가 사용된 후, 이 용어에 대한 다양한 이론화와 유형화가 이루어졌다.[71] 예를 들어, 고마쓰 가즈히코는 "빙의"라는 용어에 얽매이지 않고 "붙다"라는 말의 폭넓은 함의를 고려하여 영적 현상을 재해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80][71]

2. 2. 용어의 문제점

"빙의"라는 용어는 특정 현상에 대한 가치 판단을 내포하고 있어, 객관적인 연구를 어렵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81][71]

예를 들어, 일본어의 "붙다(つく)"라는 단어는 "오늘은 운이 좋다(今日はツイている)"와 같이 행운 등 긍정적인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빙의"는 부정적인 표현이다[71]영어의 be obsessed영어나 be possessed영어 등은 부정적인 표현이며, "빙의"도 부정적으로 사용된다[71]

이처럼 현실에서 거의 유사한 현상이 일어나더라도, 글쓴이의 가치 판단이나 정치적 판단에 따라 그것을 부르는 표현이 자의적으로 선택되어, 다른 해석을 가져온다는 연구자도 있다[71]

성경의 예를 보면, 예수세례를 받고 성령이 임하는 장면(마태복음 3:16)[71]이나, 성령으로 충만하여 말씀을 전파하는 장면(사도행전 4:31)[71]은 긍정적으로 표현되며 "빙의"를 암시하는 번역어는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 귀신 들린 자를 묘사하는 장면(마태복음 8:28-33)[71]은 "빙의"를 암시하는 용어가 사용된다.

오키나와의 유타가 카미다리(신내림)를 겪는 체험담[71]성경의 예수에게 성령이 임하는 장면과 매우 흡사함에도 불구하고, 학술 세계에서는 "유타는 샤먼, 즉 '빙의'되는 인물"이라는 논리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71]

기독교에서는 기독교 이외의 종교 현상을 "악령에 들린 것"으로, 기독교 내의 성령 현상은 "들린다"라고 표현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71]。 이러한 표현이나 용어 선정에는 기독교가치관해석이 반영되어 있으며, 이것이 학술 연구에도 영향을 미쳐 연구 영역이 자의적으로 나뉘는 문제가 발생한다[71][82]

3. 종교별 관점

기독교에서는 초창기부터 악마(사탄)와 악령에 의한 빙의를 믿었다. 사탄과 천국 사이의 싸움에서, 사탄은 인간을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해치기 위해 초자연적 힘을 사용하여 악령 빙의를 포함한 "영적 공격"을 가한다고 여겨진다.[4] 악령을 내쫓기 위해 구원을 위한 기도, 남녀의 집이나 신체에 대한 축복, 성사, 축귀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신학자들은 레위기 20장 27절에 언급된 중개인과 같은 영매들이 악령에 사로잡혔다고 말한다. 구약에서 악령 빙의의 또 다른 가능한 사례에는 아합 왕이 열왕기상 22장에서 길르앗 라못을 다시 점령하기 전에 의존했던 거짓 예언자들이 포함된다. 그들은 속이는 영에 의해 힘을 얻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2021년 5월, 영국 침례교 연합의 기독교 종파인 침례교 구제 연구 그룹은 "죽은 자와 소통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오컬트적인 영성에 대한 경고"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강신술과 같은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그 사람을 해방시키기 위한 기독교 의식이 필요한 심각한 영적 압박의 문을 열 수 있다"고 보고했다.

2023년 9월, 미주리주 리치랜드의 브엘라 교회(Beulah Church)의 릭 모로우(Rick Morrow) 목사는 설교에서 자폐 스펙트럼의 원인을 "악마가 그들을 공격했고, 이 질병을 그들에게 가져다주었으며, 그들을 원하는데로 만들었다"라고 제시했다. 그는 "자폐증을 앓는 많은 아이들을 보았고, 악마를 내쫓아 그들이 치유되는 것을 보았으며, 그 후 그들을 위해 기도하자 뇌가 재배선되어 고쳐졌다"고 주장하며, 해당 신경 발달 장애의 치료법이 기도라고 주장했다.[12] 목사의 공동체 구성원들은 그의 발언이 "특정 장애를 가진 개인에 대한 모욕적인 발언"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의 공개적인 항의로 인해 모로우는 자신이 멤버로 있던 교육 위원회에서 사임했다.[13]

제볼라[30]콩고 민주 공화국의 특정 민족 집단에서 행해지는 여성들의 영혼 빙의 춤 의식이다. 이는 치료적 특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서방 세계에서는 전통적인 형태의 정신 요법으로 언급되었다. 이 의식은 몽고족 사이에서 시작되었지만, 킨샤사의 다양한 민족 집단에서도 행해진다.[31]

3. 1. 기독교

기독교에서는 초기부터 악마, 사탄, 악령에 의한 빙의를 믿었다. 신약 성경에는 예수가 귀신 들린 사람을 치유하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예를 들어, 누가복음 4장 33-35절에는 회당에서 악령 들린 사람을 예수께서 꾸짖어 쫓아내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6] 거라사 귀신 축출에서처럼 악령이 동물에게 빙의될 수 있다는 내용도 나온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천사의 존재를 인정하며, 타락천사(악마)가 사람을 사로잡을 수 있다고 본다. 개신교, 특히 복음주의와 오순절 교회에서는 악마의 힘을 믿고 축사(exorcism)를 행하는 경우가 많다.

3. 1. 1. 가톨릭

로마 가톨릭 교리는 천사가 지성과 의지를 가진 비물리적 존재라고 명시한다.[7] 타락한 천사 또는 악마는 피해자의 지식이나 동의 없이 개인을 "악마적으로 사로잡을"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을 도덕적으로 비난할 수 없게 만든다.

공식적인 로마 가톨릭 교회 교리는 악마적 소유가 정신 질환과 구별되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지만, 정신 질환의 사례를 악마의 영향으로 잘못 진단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3. 1. 2. 개신교

개신교에서는 악마의 빙의를 인정하는 교파와 그렇지 않은 교파가 있다. 제임스 1세는 자신의 저서 Daemonologie에서 악마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방법을 논했다.[4] 1603년, 잉글랜드 교회는 수많은 악마 빙의 사기 사건으로 인해 성직자들이 엑소시즘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했다.[4]

3. 2. 이슬람교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진(jinn), 샤이탄(shayatin), 아파리트(afarit) 등 다양한 존재가 영적 빙의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진은 인간에게 빙의할 수 있지만, 반드시 악한 존재는 아니다. 샤이탄은 악한 존재로, 인간에게 직접 빙의하지 않고 유혹하여 죄를 짓게 만든다. 이슬람 신학과 더 넓은 문화적 전통 모두에서 영적인 빙의가 나타난다.

3. 3. 유대교

히브리어 성경출애굽기, 레위기, 신명기에는 다양한 마술을 금지하는 법률이 기록되어 있다.[84] 예를 들어, 레위기 19장 26절에는 "너희는... 마술을 행하지 말며 점을 치지 말라"라고 되어 있고, 레위기 20장 27절에는 "신접자나 점쟁이는 반드시 사형에 처한다"라고 되어 있다. 또한, 신명기 18장 10-11절에는 "너희 가운데 점을 치는 자나, 복술자, 요술가, 마법사, 신접자, 무당(신을 내려오게 하는 자) 등이 있어서는 안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앤 제퍼스에 따르면, 영매술(신령이나 죽은 자의 영을 불러내는 술법)을 금지하는 법률이 존재하는 것은 이스라엘의 역사 동안 주술, 강신술 등을 행하는 영매술이 문제를 일으켰음을 증명한다.[84]

3. 4. 불교

불교에서 마라(Mara)는 악마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번뇌, 죽음, 윤회를 상징하는 존재이다. 인도 의학 문헌과 탄트라 불교 경전에는 어린아이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포획자"들이 동물 형태로 나타난다고 기록되어 있다.

3. 5. 기타 종교

도교, 한국의 무속 신앙, 신토 등 동아시아 종교에도 영혼 빙의 개념이 나타난다. 아프리카 전통 종교, 아이티 부두교, 움반다 등에서도 영혼 빙의가 중요한 종교적 현상으로 나타난다.[70] 의도적으로 영혼을 옮겨 붙게 하는 직업적 영매도 존재하지만,[70] 영혼이 일방적으로 인간에게 씌이는 경우가 많고, 본인이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70] 씌이는 것은 본인이나 가족에게 원한을 가진 사람의 영혼이나 동물령 등으로 여겨진다.[70]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씌인다고 여겨지는 경우도 있으며, 본래 인격을 억누르고 영혼의 인격이 전면에 드러나 다른 사람이 되거나, 동물령이 빙의하면 행동이나 용모가 그 동물과 비슷해지는 경우도 있다.[70] 이러한 빙의령이 다양한 해악을 일으킨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영적 장애라고 부른다.[70]

4. 지역별 관점

에티오피아의 구라게족과 시다마족, 케냐의 디고족과 기리아마족, 마요트, 모잠비크, 우간다, 탄자니아의 수쿠마족 등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영혼 빙의에 대한 믿음이 나타난다. 각 지역마다 빙의되는 영혼의 종류, 증상, 치료 방법 등이 다르며,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 연관되어 있다. 잔지바르의 하디무 여성들 사이에서는 '키티미리'라는 영혼을 숭배하는 멸종된 영적 빙의 숭배가 존재했었다.[9]


  • '''케냐'''


케냐의 디고족은 자신들을 사로잡는다고 여겨지는 영혼을 ''샤이타니''라고 부른다.[3] 케냐 해안의 기리아마족은 영적인 빙의를 믿는다.[4]

  • '''마요트'''


마요트에서는 성인 인구의 약 25%가 특정 식별 가능한 영혼에 사로잡힌 것으로 보이는 트랜스 상태에 들어간다.[5]

  • '''모잠비크'''


모잠비크에서는 모잠비크 내전 이후 ''감바''라고 불리는 죽은 군인의 영혼이 여성들을 사로잡는다는 새로운 믿음이 나타났다.[6]

  • '''우간다'''


우간다에서 앨리스 아우마라는 여성은 라크웨나('메신저')라는 남성 이탈리아 군인의 영혼에 사로잡혔다고 한다.[7]

  • '''탄자니아'''


탄자니아의 수쿠마족은 영적인 빙의를 믿는다.[8]

영혼 빙의에 대한 믿음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트란스케이 출신의 코사어를 사용하는 크세비족 사이에서 나타난다. 서아프리카 하우사족의 종교 중 하나는 하우사 애니미즘으로 영혼 숭배 신앙이 널리 퍼져있다.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종교에서 정령은 반드시 해롭거나 사악한 존재가 아니라 살아있는 자들의 잘못을 꾸짖으려 하는 경우가 많다.[32][33][34] 아이티 부두교 및 관련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종교에서 참여자나 수행자가 영적인 경험을 하는 한 가지 방법은 ''로아''(또는 ''루아'')에 의해 빙의되는 것이다.

4. 1. 아프리카

중앙 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서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영혼 빙의에 대한 믿음이 나타난다.

에티오피아의 구라게족 사이에서는 영혼 들림이 흔한 믿음이다. 남성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아우레'라는 영혼은 식욕 부진, 메스꺼움, 심한 복통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전통 치료사인 '사가와라'는 점을 쳐서 영혼의 이름을 알아내고, 엔세테, 버터, 고추를 섞은 요리를 먹는 의례를 통해 영혼을 달랜다.[1] 이것은 일시적인 치료법일 뿐이며, 만성적인 들림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다.

에티오피아 남서부의 시다마족 또한 영혼 들림을 믿는다. 주로 여성 영혼이 들리며, 사치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남성도 들릴 수 있으며, 양성 모두 들린 사람들은 치료자가 되기도 한다.[2]

케냐의 디고족은 '샤이타니'라는 영혼이 자신들을 사로잡는다고 믿는다. 이 영혼은 환자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 사치품을 요구한다. 일부 남성들은 여성들이 빙의를 위조한다고 비난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영적인 빙의를 진정한 상태로 간주한다.[3] 케냐 해안의 기리아마족도 영적인 빙의를 믿는다.[4]

마요트에서는 성인 인구의 약 25%가, 특히 남성보다 5배나 많은 여성들이 특정 영혼에 사로잡힌 것으로 보이는 트랜스 상태에 들어간다.[5]

모잠비크에서는 모잠비크 내전 이후 '감바'라고 불리는 죽은 군인의 영혼이 여성들을 사로잡는다는 새로운 믿음이 나타났다. 전쟁 전에는 영적 빙의가 특정 가족에게만 국한되었고 흔하지 않았다.[6]

우간다에서는 앨리스 아우마라는 여성이 '라크웨나'라는 남성 이탈리아 군인의 영혼에 사로잡혔다고 주장하며 정부군에 대한 반란을 이끌기도 했다.[7]

탄자니아의 수쿠마족은 영적인 빙의를 믿는다.[8] 잔지바르의 하디무 여성들 사이에서는 '키티미리'라는 영혼을 숭배하는 멸종된 영적 빙의 숭배가 존재했다.[9]

4. 2. 아시아

인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영혼 빙의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인도 타밀족의 페예, 스리랑카 해안 베다족의 영혼 빙의, 인도네시아 발리의 상향 등이 대표적이다.

4. 3.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아이티 부두교, 움반다, 후두 등 아프리카계 종교에서 영혼 빙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후두에서는 성령에 의한 빙의가 나타나며, 이는 서아프리카 부두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1]

4. 4. 오세아니아

멜라네시아, 미크로네시아 등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도 영혼 빙의에 대한 믿음이 나타난다. 특히 뉴기니 고원의 우라프민족의 "영혼 디스코", 미크로네시아 연방 추크 주의 영혼 빙의 등이 대표적이다.

4. 5. 한국

한국의 무속 신앙에서 빙의는 신내림, 신들림, 귀신 들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무당은 신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빙의 상태를 경험하며, 이를 통해 신의 의지를 전달하고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한다.

오키나와에서는 "타-리", "후리", "카카이" 등으로 불리는 빙의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중 일부는 "성스러운 광기"로 여겨져 신성시되기도 했다. 이러한 인식 덕분에 빙의된 사람들은 근대 서양 의학적 관점에서처럼 병원에 격리, 감금되지 않고 치료 대상으로 존중받았다.[90] 오키나와가 일본 본토에 복귀한 후 정신병원이 설립되었지만, 같은 시기 (서양적 사고의) 정신의학에서도 카미다-리 등을 인간의 적극적인 행위로 긍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나타나면서, 오키나와는 빙의의 일부를 긍정하는 사회로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91]

  • 신내림: 니기미타마 상태의 신령이 깃들었을 때, 또는 신을 깃들게 하기 위한 의식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신내림을 행하여 신을 깃들게 했다"와 같이 사용되며, 내리는 신에 따라 이비키오로시, 이나리 오로시라고 불린다.[92] 노칸의 히시기는 "신내림의 소리"라고 불리며, 신도 의식에서 신내림에 사용된 이와부에(돌피리)에서 발달했다.[93] 니가타현 가즈쓰카 축제에서는 피리가 신내림의 피리라고 하여 연주자는 존중받으며, 부는 사람 외에는 피리에 손을 대지 않는다.[94]
  • 쓰키모노: 사람, 동물, 기물(도구)에 아라미타마 상태의 신령이나 요괴, 쓰쿠모가미, 빈보가미, 역병신 등 지위가 낮은 신, 또는 악령이라 불리는 원령이나 생령이 깃드는 등,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상태의 신령 빙의를 가리킨다.
  • 요리마시: 시동이라고 표기하며, 제례에서 지고 등 신령을 내려 신탁을 내릴 자격이 있는 소년 소녀를 지칭한다. 야나기타 구니오는 『선조의 이야기』에서 빙의에 "요리마시"라는 후리가나를 붙였다.[95]

5. 과학적 관점

의학과 심리학에서는 영혼 빙의를 해리성 장애, 정신 분열증, 간질 등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문화 인류학에서는 영혼 빙의를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I.M. 루이스는 여성이 남성보다 정신 빙의 숭배에 더 많이 관여하며, 이는 사회적 박탈감에 대한 보상 수단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했다.[81][71]

학술적인 연구가 진행되면서, "빙의"라는 개념은 무엇이 "빙의"이고 무엇이 "빙의"가 아닌지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로 논의되었다. 종교학자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탈혼"이라고 분류하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과정에서 빙의를 평가하는 측의 가치 판단이나 정치적 판단이 반영되어 바이어스가 생기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81][71]

예를 들어, 일본어의 "붙다(つく)"는 "오늘은 운이 좋다(今日はツイている)"처럼 행운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빙의"는 부정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71] 영어의 be obsessed|옵세스드영어나 be possessed|퍼제스트영어 등도 부정적인 표현이며, "빙의" 역시 마찬가지다.[71]

성경에는 긍정적 표현으로 번역되는 구절(예수한국어께서 세례를 받으시고 곧 물에서 올라오시니 하늘이 열리고 하나님의 성령이 비둘기 같이 내려 자기 위에 임하심을 보시더니 하늘로부터 소리가 있어 말씀하시되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라 하시니라, 마태복음 3:16)[71]과 "빙의"를 암시하는 용어·번역어가 선택되는 구절(예수께서 건너편 가다라 지방에 이르러 귀신 들린 자 둘이 무덤에서 나와 예수를 만나니...(중략)...귀신들이 예수께 간청하여 이르되, 만일 우리를 쫓아내시려면 돼지 떼에게로 보내주소서 하니, 예수께서 그들에게 가라 하시니 귀신들이 나와 돼지에게로 들어가는지라...(후략)..., 마태복음 8:28-33)[71]이 있다.

기독교도 중에는 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사탄"에 의한 것으로 여기고, 이타코나 유타 등을 "악령에 들린 자"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71] 즉, 표현이나 용어 선정에 가치관해석이 반영되는 것이다. 학자들은 이러한 분류법이 학술 연구에도 영향을 미쳐 연구 영역이 자의적으로 나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71][82]

민속학자 고마쓰 가즈히코는 빙의를 페티시즘 관념에서 비롯된 종교나 민간 신앙에서 마나에 의한 물체에 대한 과도한 부착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했다.

6. 결론

영적 빙의는 종교, 문화, 심리, 사회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특정 학문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학문 분야의 지식을 종합하여 접근해야 한다. 또한, 특정 문화권의 관점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지 않고,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며 열린 마음으로 이해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움반다는 요루바족에서 기원한 아프로 브라질의 민간 종교인데, 이 종교에서는 안내 영혼이 자발적인 사람에게 빙의하여 지침을 제공한다고 믿는다.[36] 빙의된 사람은 상담을 요청하는 사람들에게 조언을 해주고, 질문에 답하며, 때로는 문제 해결을 돕는 의식을 설명하기도 한다.[36] Pomba Gira (여성 수호령) 또는 Exu (남성 수호령)와 같은 영혼은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빙의할 수 있다.[36]

후두 문화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만들었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스타일을 보인다.[36] 후두 전통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이동하면서 그들의 환경에 맞게 변화했다.[36] 후두에서는 조상 영혼 숭배, 약초 치유, 성령의 외침, 뱀 숭배, 영적 빙의 등 다양한 요소들이 나타난다.[36] 특히, 후두의 영적 빙의는 서아프리카 부두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미국에서 노예가 된 아프리카인들은 성령을 통해 아프리카 신들을 대체했다고 한다.[32][37]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에서는 이를 성령으로 충만하다고 부른다.[38]

흑인 영적 교회 교인들은 사망한 가족, 성령, 기독교 성인, 성경 인물 등 다양한 영혼에 빙의된다고 믿는다.[39] 이들은 영혼에 빙의될 때 지식과 지혜를 얻고, 사람과 하느님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39] 윌리엄 에드워드 버크하르트 듀 보이스는 20세기 초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를 연구하면서, 노예 생활 중 흑인 교회의 초기 시절이 부두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40][41]

콩고 코스모그램은 후두에서 성령이나 조상 영혼에 빙의되기 위해 수행되는 신성한 춤인 링 샤우트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링 샤우트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의식으로, 조상 영혼과의 소통과 영적 빙의를 위한 영적 에너지를 축적한다.[42][43][44] 링 샤우트의 중심은 신성한 영적 영역으로, 조상과 성령이 거하는 곳이다.[42][43][44] 흑인 교회의 링 샤우트는 노래와 박수를 동반하며, 성령에 의한 빙의를 초래한다.[45] 사람들은 성령에 빙의될 때 마음이 성령으로 채워져 악에서 정화되고 기쁨으로 대체된다고 믿는다.[45] 후두의 링 샤우트는 중앙 아프리카 반투-콩고 사람들의 콩고 코스모그램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탄생, 삶, 죽음, 부활(영혼의 환생)의 순환적인 삶의 본질을 상징한다.[46][47] 콩고 코스모그램은 또한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해의 상승과 하강을 상징하며, 이것이 링 샤우터들이 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이유이다.[46][47]

참조

[1] 성경 Mark 5:9, Luke 8:30
[2] 학술지 Twilight states: Comparing case studies of hysteria and spirit possess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9-01
[3] 서적 The Epistemology of Spirit Belief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4-14
[4] 웹사이트 The New Testament https://www.biblegat[...] 2011
[5] 웹사이트 John 13:27 https://biblehub.com[...]
[6] 성경 Luke 4:33–35
[7]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paragraph 328.
[8]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paragraph 330.
[9] 웹사이트 Demoniacal Possession
[10] 서적 New Catholic Encyclopedia Supplement Gale
[11] 웹사이트 Energici
[12] 웹사이트 Baptist pastor falsely claims autism is demonic: "My God doesn't make junk" https://www.friendly[...] 2023-09-18
[13] 웹사이트 Pastor resigns from Stoutland School Board amidst backlash from autism comments during sermon https://www.ky3.com/[...] 2023-09-13
[14] 서적 Islam, Migration and Jinn: Spiritual Medicine in Muslim Health Management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5] 학술지 The origins of the traditional approach towards the jinn of poetic inspiration in tribal Arab culture Archaeopress
[16] 학술지 Satan Has Afflicted Me!" Jinn-Possession and Mental Illness in the Qur'an
[17] 서적 Transcendent God, Rational World: A Maturidi Theology Edinburgh University Press
[18] 학술지 Jinn and mental health: looking at jinn possession in modern psychiatric practice
[19] 서적 Spiritual and Mental Health Crisis in Globalizing Senegal: A History of Transcultural Psychiatry Taylor & Francis
[20] 간행물 Prophet Sulaimān v klassische persische Poesie: Semantik und struktur des Bildes https://cyberleninka[...]
[21] 학술지 Reason, Desire, and Sexuality: The Meaning of Gender in Northern Afghanistan JSTOR
[22] 서적 On the Art of Medieval Arabic Litera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서적 Attar and the Persian Sufi Tradition: The Art of Spiritual Flight Bloomsbury Publishing
[24] 웹사이트 Exorcism
[25] 웹사이트 Demons and demonology https://www.jewishvi[...] 2008
[26] 웹사이트 Dybbuk https://www.britanni[...]
[27] 웹사이트 Dybbuk https://www.jewishvi[...]
[28] 웹사이트 Dybbuk http://www.britannic[...]
[29] 학술지 Stambali: Dissociative Possession and Trance in a Tunisian Healing Dance http://journals.sage[...] 2000-12-01
[30] 웹사이트 ETUDES AEQUATORIA·6 JEBOLA Textes, rites et signification Thérapie traditionnelle mongo Piet KORSE MONDJULU Lokonga BONGONDO Bonje wa Mpay Centre IEquatoria B. P. 276 Bamanya -Mbandaka-Zaire 1990 http://www.aequatori[...]
[31] 서적 Bodies and persons: comparative perspectives from Africa and Melane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Gullah People and Their African Herit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5
[33] 웹사이트 African Dance https://www.britanni[...]
[34] 서적 Sacred Possessions Vodou, Santería, Obeah, and the Caribbean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1997
[35] 서적 Sacred Possessions Vodou, Santería, Obeah, and the Caribbean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1997
[36] 웹사이트 Uncovering the Power of Hoodoo: An Ancestral Journey https://www.pbs.org/[...] PBS 2023-05-25
[37] 웹사이트 Gullah Customs and Traditions https://glc.yale.edu[...] 2022-05-24
[38] 논문 Magic and Empowerment on the Plantation: An Archaeological Consideration of African-American World View https://www.jstor.or[...] 2023-06-23
[39] 논문 Spirit Guides and Possession in the New Orleans Black Spiritual Churches https://www.jstor.or[...] 2022-04-14
[40] 서적 W. E. B. Du Bois and the Sociology of the Black Church and Religion, 1897–1914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7
[41] 논문 African-Derived American Religions https://books.google[...] 2003
[42] 논문 Hoodoo Religion and American Dance Traditions: Rethinking the Ring Shout http://www.jpanafric[...] 2021-12-02
[43] 서적 The Black Church in the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90
[44] 서적 The Gullah People and Their African Herit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5
[45] 논문 Reflections on the Scholarship of African Origins and Influence in American Slavery https://www.jstor.or[...] 2021-12-01
[46] 논문 Hoodoo Religion and American Dance Traditions: Rethinking the Ring Shout http://www.jpanafric[...] 2021-12-02
[47] 웹사이트 Magic Bowls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1-12-02
[48] 논문 "The Freedom to Express Yourself:"The National Park Service and the African Diasporic Roots of Black Dance in New Orleans https://scholarworks[...] 2024-11-12
[49] 웹사이트 Stunning Portraits of New Orleans's Black Masking Indians https://www.afar.com[...] 2024-11-12
[50] 웹사이트 He's The Prettiest: A Tribute To Big Chief Allison "Tootie" Montana's 50 Years Of Mardi Gras Indian Suiting https://www.louisian[...] Louisiana Division of Arts 2024-11-12
[51] 웹사이트 'Prophecy and Ecstasy', Ancient Prophecy: Near Eastern, Biblical, and Greek Perspectives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2023-08-22
[52] 논문 "Possession Trance and Prophecy in Pre-Exilic Israel." https://www.jstor.or[...] Simon B. Parker 1978-09-04
[53] 웹사이트 The Sounds of Music in Ancient Israel https://www.jw.org/e[...]
[54] 웹사이트 Demons and exorcism in ancient Mesopotamia https://hcommons.org[...] Gina Konstantopoulos
[55] 논문 Mashbiaʿ Ani ʿAlekha: Types and Patterns of Ancient Jewish and Christian Exorcism Formulae https://www.jstor.or[...] Reimund Leicht 2023-09-04
[56] 웹사이트 Tibetan Buddhist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http://www.tibetanme[...] 2019-12-12
[57] 웹사이트 Four maras https://www.lamayesh[...] 2019-12-08
[58] 웹사이트 朱秀華借屍回陽記 http://tsasf.myweb.h[...]
[59] 웹사이트 豐原鎮天宮全球資訊網 http://www.ztg.com.t[...]
[60] 웹사이트 Spirit-Writing a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Cults https://jstor-jac.or[...]
[61] 간행물 Java, Indonesia and Islam Springer Netherlands 2010
[62] 논문 Invoking the supernatural and the supranational: Tappu, trance and Tamil recordings in Indo-Guyanese 'Madras Religion' and the politics of sonic presence https://journals.ope[...] 2018-08-12
[63] 웹사이트 Un Karagam Perantha Amma https://www.youtube.[...] Shri Maha Kali Ammaa Mandir 2021-08-28
[64] 서적 Witchcraft, healing and vernacular magic in Italy https://www.manches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0-01
[65] 웹사이트 Shamanism https://www.britanni[...] 2020-05-20
[66] 논문 The cultural evolution of shamanism https://www.research[...]
[67] 웹사이트 How Exorcism Works http://science.howst[...] 2005-09-08
[68]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69] 문서 『広辞苑』第四版、第五版
[70] 서적 超常現象大事典 成甲書房
[71] 서적 死者の救済史: 供養と憑依の宗教学 角川学芸出版
[72] 학술지 Research on Experiences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Consciousness Beyond the Brain: A Bibliometric Analysis of Global Scientific Output https://journals.lww[...] 2017-01-01
[73] 웹사이트 謎の憑依現象を追え! https://web.archive.[...] 日本テレビ
[74] 학술지 Global mental health and trauma exposure: the current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and spirit possession https://www.tandfonl[...] 2015-12-01
[75] 서적 宗教学辞典 東京大学出版会 1973-01
[76] 서적 宗教学辞典 東京大学出版会 1973-01
[77] 문서
[78] 문서 朝鮮巫俗の現地研究
[79] 서적 死者の救済史: 供養と憑依の宗教学 角川学芸出版
[80] 서적 憑霊信仰論 伝統と現代社
[81] 서적 憑依の視座 青弓社
[82] 문서
[83] 서적 現代思想としてのギリシア哲学 講談社
[84] 서적 Magic and Divination in Ancient Palestine and Syria Brill
[85] 서적 平和の神の勝利 プレイズ出版
[86] 서적 聖書語句大辞典 教文館
[87] 문서 루다의 악마
[88] 서적 루단의 빙의 미스즈 서방
[89] 서적 宗教学辞典 東京大学出版会 1973-01
[90] 학술지 憑依を肯定する社会 : 沖縄の精神医療史とシャーマニズム(憑依の近代とポリティクス,自由テーマパネル,<特集>第六十四回学術大会紀要) https://doi.org/10.2[...] 日本宗教学会
[91] 문서 同上
[92] 문서 定本柳田國男集9巻
[93] Youtube 笛「ヒシギ」 https://www.youtube.[...] 洗足学園音楽大学伝統音楽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94] 웹사이트 会報『さえずり』平成24年2号(平成24年10月13日発行)祭り囃子が聞こえる http://music.geociti[...] 新潟県リコーダー教育研究会
[95] 문서 定本柳田國男集10巻
[96] 서적 憑霊信仰論 伝統と現代社
[97] 서적 魔の系譜 三一書房
[98] 서적 超常現象の事典 青土社
[99] 문서 Mark 5:9, Luke 8:30
[100] 서적 Cross-Cultural Study of Dissociational States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wit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grant 1969
[101] 문서 "Women's Preponderance in Possession Cults: The Calcium Deficiency Hypothesis Extended, American Anthropologist, New Series,. 83(3): 549–561" 1981
[102] 문서 Spirit Possession and Deprivation Cults. Man, New Series: 1 (3): 307–329. 196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