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마스의 목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마스의 목자는 2세기 초중반에 쓰여진 초기 기독교 문헌으로, 저자는 불분명하지만 로마 주교 피우스 1세의 형제 헤르마스로 추정된다. 이 문서는 5개의 환상, 12개의 계명, 10개의 비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기 기독교의 윤리, 신학, 교회 생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기독론과 구원론, 그리고 세례와 회개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시하며, 유대 기독교적 특징을 보여준다. 초대 교회에서 널리 읽혔지만, 정경으로 최종 인정받지는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회사 - 교회사에서 여성들
    교회사에서 여성은 기독교의 시작부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초기에는 추종자 및 지도자로 활동하고 중세에는 수도원과 신비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여성의 역할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교회사 - 선교적 교회
    선교적 교회는 모든 기독교인이 일상에서 선교사 역할을 수행하며 세상 속에서 복음을 전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교회 형태로, '미시오 데이'와 레슬리 뉴비긴의 이론적 토대 위에 20세기 말 교회 갱신 운동을 통해 기존 교회와 차별화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헤르마스의 목자
일반 정보
"헤르마스의 목자"의 그리스어 사본 (Codex Sinaiticus Gr. 318, 4세기에서 5세기)
저자불명
언어코이네 그리스어
작성 시기1세기 후반 ~ 2세기 중반
장르기독교 문학, 묵시 문학
내용
구성5개의 환상
12개의 명령
10개의 비유
주제회개
교회
마지막 심판
천사
역사적 중요성
정경성일부 기독교인들이 정경으로 여겼으나, 신약성경에 포함되지 않음
인용이레네오와 오리게네스를 포함한 초기 교부들이 인용함
사본
주요 사본시나이 사본
바티칸 사본
알렉산드리아 사본
기타 사본코덱스 차코스

2. 역사

「헤르마스의 목자」는 2세기 초 로마에서 활동하던 헤르마스라는 인물에 의해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는 초대 교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한때 신약성경 정경에 포함될 가능성도 논의되었다. 이레나이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오리게네스 등 3세기 교부들은 이 문서를 성경으로 인용하기도 했다.[31]

그러나 4세기 아타나시우스는 367년 부활절 편지에서 「헤르마스의 목자」를 정경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후 서방 교회에서는 이 문서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게 되었다.[31]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르마스의 목자」는 후기 사도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31]

이 책은 원래 코이네 그리스어로마에서 쓰였다.[5] 첫 번째 라틴어 번역본인 ''불가타''(Vulgata, 공동 번역)는[6] 그 직후에 만들어졌다. 두 번째 라틴어 번역본인 ''팔라티나''는 5세기 초에 만들어졌다. 그리스어 버전 중 마지막 5분의 1 정도는 유실되었다. 따라서 ''불가타''는 가장 오래된 번역본이자 가장 완벽한 증거이다.

''목자''는 콥트어로 최소 두 번 번역되었으며, 사히딕 방언과 악미믹 방언 모두에서 번역본의 단편이 남아 있다. 세 개의 게에즈어 번역본도 만들어졌지만, 완벽하게 남아 있는 것은 없다. 유일하게 남아 있는 조지아어 번역본은 아랍어 버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아랍어 번역본은 보존되지 않았다. 시리아어 번역은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시리아 작가 중에는 ''목자''를 알고 있는 사람이 없다.[7] 이 책은 동부 지역보다 서로마 제국알렉산드리아에서 더 인기가 있었다. 마니교 독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중세 페르시아어 번역본이 있으며, 이는 현재 중국 투르판에서 발견된 단편적인 단일 필사본으로 남아 있다.[8]

2. 1. 저자와 기록 시기

무라토리 단편(170년경)은 헤르마스를 로마 주교 피우스 1세의 형제라고 밝히며, 이 문서가 "우리 시대에 로마시에서" 쓰였다고 기록하고 있다.[13][14] 일부 학자들은 본문 비평, 신학적 내용, 요한 묵시록 및 기타 요한계 문헌과의 연관성 등을 근거로 2세기 초중반을 기록 시기로 추정한다. 클레멘스에 대한 언급을 로마의 클레멘스로 해석하여, 초기 두 환상의 배경을 1세기 말(90년경)로 보기도 한다.[11] 바울이 로마서 16장 14절에서 언급한 헤르마스를 이 문서의 저자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11] 이들은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의 의견을 따랐다. 이러한 다양한 견해들은 헤르마스의 목자가 초기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 오랜 기간 동안 형성되고 발전해 온 문헌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3. 내용

Hermasla의 목자는 5개의 환상, 12개의 계명, 10개의 비유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나태하고 게으른 성도들에게 회개와 영적 각성을 주려는 의도로 기록되었다.[32]

초대 교회에서는 이 책을 거의 정경처럼 중요하게 다루었지만, 기독론과 삼위일체론에서 모호하고 모순된 부분이 있어 서방 교회에서는 부정적으로 보았고, 결국 정경에서 제외되었다.[32]

이 책은 노예 출신이었던 헤르마스가 겪은 다섯 개의 환상으로 시작한다. 이후 열두 개의 계명과 열 개의 비유가 이어진다. 내용은 1인칭 시점으로, 헤르마스가 자신을 로마에 사는 로데에게 팔았던 과거를 회상하며 시작된다. 헤르마스는 로데에 대한 부정한 생각 때문에 회개하고 용서를 구해야 했다.[9]

이후 헤르마스는 늙은 여인의 모습으로 나타난 교회의 환상을 보게 된다. 이 노파는 헤르마스에게 회개하고 자녀들의 죄를 바로잡으라고 말한다. 헤르마스가 회개하자 노파는 더 젊어진 모습으로 나타나고, 마지막에는 영광스러운 신부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다섯 번째 환상에서는 "회개의 천사"가 목자의 모습으로 나타나 헤르마스에게 훈령을 전달한다. 이 훈령은 초기 기독교 윤리의 발전을 보여주며, 특히 회개한 간음한 아내를 용서하고 다시 받아들여야 할 기독교인 남편의 의무를 강조한다.[9]

3. 1. 다섯 가지 환상

헤르마스는 과거에 자신을 팔았던 로데를 만난다. 그는 로데가 하늘에서 자신의 죄를 고발하는 환상을 보게 된다.[32] 헤르마스는 로데에 대해 품었던 부정한 생각 때문에 회개하고 용서를 구해야 했다.[9]

이후 헤르마스는 늙은 여인의 모습으로 나타난 교회의 환상을 보게 된다. 이 노파는 헤르마스에게 회개하고 자녀들의 죄를 바로잡으라고 말한다. 헤르마스가 회개하자 노파는 더 젊어진 모습으로 나타나고, 마지막에는 영광스러운 신부의 모습으로 나타난다.[9]

두 번째 환상에서 노파는 헤르마스에게 책을 주지만, 나중에 내용을 추가하기 위해 다시 가져간다.[9]

세 번째 환상에서는 교회와 신자를 상징하는 탑의 환상이 나타난다.

네 번째 환상은 괴물의 환상이다.

다섯 번째 환상은 목자의 모습으로 나타난 "회개의 천사"의 환상이다.[9] 이 천사는 헤르마스에게 훈령(''mandata'', ''entolai'')을 전달하여 초기 기독교 윤리의 발전을 보여준다. 특히, 회개한 간음한 아내를 용서하고 다시 받아들여야 할 기독교인 남편의 의무에 대한 지침이 중요하다.[9]

천사는 훈령 이후에 열 개의 비유(''parabolai'')를 설명한다. 이 중 가장 긴 아홉 번째 비유는 세 번째 환상의 내용을 형성했던 탑 건설 비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다. 탑은 교회이고, 탑을 구성하는 돌은 신자들이다. 세 번째 환상에서는 거룩한 자들만이 참된 교회의 일부인 것처럼 보이지만, 아홉 번째 비유에서는 모든 세례받은 자들이 포함되며, 심각한 죄로 인해 쫓겨날 수 있고, 회개 후에야 재입장이 가능하다는 점이 분명하게 나타난다.[9]

3. 2. 열두 가지 계명

열두 계명은 초기 기독교 윤리의 중요한 원칙들을 제시한다.[32]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유일신 신앙과 절제에 관한 계명
2순전함에 관한 계명
3진실함에 대한 계명
4순결함에 대한 계명
5인내에 관한 계명
6믿음에 관한 계명
7두려움에 대한 계명
8절제에 관한 계명
9의심에 관한 경고
10기쁨과 슬픔에 관한 계명
11거짓 선지자에 대한 경고
12그릇된 욕망에 대한 경고



이 계명들은 "회개의 천사(사자)"가 헤르마스에게 전달한 것으로,[9] 초기 기독교 윤리의 발전을 보여준다. 특히, 회개한 간음한 아내를 용서하고 다시 받아들여야 할 기독교인 남편의 의무에 대한 지침이 언급할 만하다.[9] 겸손에 관한 열한 번째 훈령은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려는 거짓 예언자(장로)들과 관련이 있다. 일부는 이것이 년에 로마에 와서 사제들(또는 심지어 로마 주교)이 되기를 원했던 마르키온에 대한 언급이라고 보기도 한다.[10]

3. 3. 열 가지 비유

열 가지 비유는 환상과 계명의 내용을 보충하고, 비유를 통해 신학적 메시지를 전달한다.[32] 훈령 이후에는 천사가 설명하는 환상의 형태로 열 개의 비유(''parabolai'')가 나온다.[9]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제목
1타향과 본향의 비유
2느릅나무와 포도나무의 비유
3겨울숲의 비유
4여름숲의 비유
5신실한 종의 비유
6천사의 비유
7천사에게 징벌을 받는 헤르마스
8버드나무의 비유
9열두 산과 탑의 환상
10그리스도의 현현



이 중 가장 긴 비유(비유 9)는 세 번째 환상의 내용을 형성했던 탑 건설 비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다. 탑은 교회이고, 탑을 구성하는 돌은 신자들이다. 세 번째 환상에서는 오직 거룩한 자들만이 참된 교회의 일부인 것처럼 보이지만, 비유 9에서는 모든 세례받은 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각한 죄로 인해 쫓겨날 수 있고, 회개 후에야 재입장이 가능하다는 점이 분명히 지적된다.[9]

4. 신학

《헤르마스의 목자》는 초기 기독교 신학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준다.

몬타누스주의와 몇 가지 유사점을 보이지만, 예언적 은사에 대한 믿음과 훈련적인 엄격함을 지지하는 것 외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존재하지 않는다.[26]

노바티아누스가 공식화한 원리들은 《헤르마스의 목자》에서 기원한다.[27]

일부에서는 헤르마스가 환난 전 휴거를 언급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헤르마스는 휴거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고, "믿음 때문에 큰 환난에서 벗어난" 신자들과 "다가오는 큰 환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다른 사람들에 대해 언급한다.[28]

4. 1. 기독론

헤르마스의 목자는 기독론에 대해 다소 모호한 입장을 취한다. 5번째 비유에서 저자는 거룩하고 선재하는 영으로 가득 찬 덕 있는 사람으로서 하나님의 아들을 언급하는데,[15] 이는 양자론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2세기에 양자론은 예수의 본성에 관한 두 가지 경쟁 교리 중 하나였으며, 다른 하나는 그가 로고스 또는 하나님의 독생자로 선재했다는 것이다.[16] 그러나 이 구절은 예수가 그의 영에 복종하는 사람들 안에 거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어나는 입양은 예수의 입양이 아니라 그의 추종자들의 입양이라고 볼 수 있다.[17]

어떤 사람들은 헤르마스가 성령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양위일체론적 이해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헤르마스가 양위일체론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18][19] 켈리는 헤르마스의 기독론을 "양위일체론과 양자론의 혼합"이라고 부른다.[20] 이러한 다양한 해석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 기독론이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4. 2. 구원론

헤르마스는 공동 작용적인 구원론을 제시하여, 구원을 위해서는 믿음과 행위가 모두 필요하다고 보았다.[21] 헤르마스는 세례를 구원의 필수 조건으로 보았으며, 세례 후 죄의 위험에 대해 경고한다.[22] 《헤르마스의 목자》는 세례 후 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실용적인 이유로 세례를 미루는 것을 지지할 가능성이 있다.[23] 헤르마스에 따르면, 세례 후 죄를 지은 사람은 단 한 번의 참회 기회만 가진다.[24]

《헤르마스의 목자》는 도덕을 매우 강조하며, 유대 기독교의 징표로서 여전히 모세의 율법을 지키고 있다.[25]

4. 3. 교회론

세 번째 환상과 아홉 번째 비유에서 교회는 탑으로 상징되며, 신자들은 탑을 구성하는 돌로 비유된다. 처음에는 거룩한 자들만이 참된 교회의 일원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후에는 모든 세례받은 자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심각한 죄로 인해 쫓겨날 수도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22] 헤르마스는 세례가 구원을 위해 필수적이며 세례 후 죄의 위험에 대해 경고한다.[22] 또한 세례 후 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실용적인 이유로 세례를 미루는 것을 지지할 가능성이 있으며,[23] 세례 후 죄에 빠진 사람들은 단 한 번의 참회 기회만 가진다고 언급한다.[24]

4. 4. 기타 신학적 특징

이 책은 도덕을 매우 강조하며, 유대 기독교의 징표로 모세의 율법을 지키고 있다는 특징을 보여준다.[25]

몬타누스주의와 몇 가지 유사점을 가지는데, 예언적 은사에 대한 믿음과 훈련적인 엄격함에 대한 지지가 있지만 직접적인 연관성은 존재하지 않는다.[26]

노바티아누스가 공식화한 원리들은 헤르마스의 목자에서 기원한다.[27]

일부 학자들은 헤르마스가 환난 전 휴거를 언급했다고 주장하지만, 헤르마스는 휴거를 명확하게 언급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들의 믿음 때문에 큰 환난에서 벗어난" 신자들에 대해 쓰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도 "다가오는 큰 환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쓰고 있다.[28]

5. 언어 및 번역

이 책은 원래 코이네 그리스어로마에서 쓰였다.[5] 첫 번째 라틴어 번역본인 ''불가타''(Vulgata, 공동 번역)는[6] 그 직후에 만들어졌다. 두 번째 라틴어 번역본인 ''팔라티나''는 5세기 초에 만들어졌다. 그리스어 버전 중 마지막 5분의 1 정도는 유실되었다. 따라서 ''불가타''는 가장 오래된 번역본이자 가장 완벽한 증거이다.

''목자''는 또한 최소 두 번 콥트어로 번역되었으며, 사히딕 방언과 악미믹 방언 모두에서 번역본의 단편이 남아 있다. 세 개의 게에즈어 번역본도 만들어졌지만, 완벽하게 남아 있는 것은 없다. 유일하게 남아 있는 조지아어 번역본은 아랍어 버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아랍어 번역본은 보존되지 않았다. 시리아어 번역은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시리아 작가 중에는 ''목자''를 알고 있는 사람이 없다.[7] 이 책은 동부 지역보다 서로마 제국알렉산드리아에서 더 인기가 있었다. 마니교 독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중세 페르시아어 번역본이 있으며, 이는 현재 중국인 투르판에서 발견된 단편적인 단일 필사본으로 남아 있다.[8]

6. 평가 및 영향

「헤르마스의 목자」는 한국 개신교회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문서이지만, 속사도교부 문헌 중에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문서는 그리스도교 성경의 정경이 확정될 때 신약성경 포함 여부를 논의하던 문서들 중 정경의 선발 기준에 가장 근접했었기 때문이다. 비록 최종적으로 성경에는 포함되지 못했지만, 2세기와 3세기의 여러 문헌들에서는 영감 있는 서적으로 간주되었다.[31]

리옹의 이레네오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오리게네스처럼 「헤르마스의 목자」를 성경으로 받아들였다. 4세기의 아타나시우스도 처음에는 성경으로 인정했지만, 367년에 쓴 부활절 편지에서는 정경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그럼에도 이 책은 로마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후기 사도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큰 영향력을 미쳤다.[31]

테르툴리아누스교황 갈리스토 1세가 이 문서를 권위 있게 인용했다고 언급하면서도, "'헤르마스의 목자'가 신성한 문서로 취급되어 모든 공의회에서 외경으로 간주되지 않았다면, 나는 당신의 주장에 동의할 것입니다."라고 비판했다.[29] 또한 바르나바 서신이 "'목자의 외경 서신'보다 교회에서 더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언급했다.[30][9]

참조

[1] 서적 Biblical Criticism
[2] 서적 op. cit. Schaff
[3]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Critical Editions and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Textual Criticism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4] 웹사이트 Shepherd of Hermas Description, Summary, History, Importance,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17
[5] 서적 The Apostolic Fathers Macmillan & Co.
[6] 서적 The Shepherd of Hermas in Latin: Critical Edition of the Oldest Translation Vulgata Walter de Gruyter
[7] 서적 The Shepherd of Hermas and the Pauline Legacy Brill
[8] 웹사이트 Hermas, The Shepherd of http://www.iranicaon[...] 2020-03-14
[9] 웹사이트 Hermas http://www.newadvent[...] 2017-09-27
[1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ermas https://www.newadven[...] 2022-05-03
[11] 서적 Fathers of the Second Century: Hermas, Tatian, Athenagoras, Theophilus, and Clement of Alexandria
[12] 서적 Hippolyrus and His Age
[13] 서적 The Mutatorian Fragment and the Origins of the New Testament Canon Hendrickson
[14] 웹사이트 Ten Basics Facts about the NT Canon that Every Christian Should Memorize: "At the End of the Second Century, the Muratorian Fragment lists 22 of our 27 NT books" https://michaeljkrug[...] 2023-11-08
[15] 웹사이트 Shepherd of Hermas http://www.earlychri[...]
[16] 웹사이트 History of Dogma http://www.ccel.org/[...]
[17] 웹사이트 The Son of God and the Angelomorphic Holy Spirit: A Rereading of the Shepherd's Christology http://www.marquette[...]
[18] 서적 The Shepherd of Hermas: A Literary, Historical, and Theological Handbook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03-25
[19] 서적 The Letter of the Roman Church to the Corinthian Church from the Era of Domitian: 1 Clement: With a Collection of Articles on 1 Clement by Adolf von Harnack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1-02-04
[20] 서적 The Earliest Christologies: Five Images of Christ in the Postapostolic Age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6-03-30
[21] 학술지 Justification by Faith: a Patristic Doctrin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2] 서적 Heavenly Stories: Tiered Salvation in the New Testament and Ancient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1-07-30
[23] 서적 Baptism: Three View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09-11-16
[24] 서적 Sacramental Forgiveness as a Gift of God: Thomas Aquinas on the Sacrament of Penance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3
[25] 웹사이트 Shepherd of Hermas Description, Summary, History, Importance,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03
[26] 서적 The Complet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With Bible) https://books.google[...] e-artnow 2019-12-18
[27] 웹사이트 Henry Wace: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2-05-03
[28] 학술지 Myths of the Origin of Pretribulationism https://digitalcommo[...] 2009
[29] 서적 De pudicitia
[30] 서적 De pudicitia
[31] 뉴스 헤르마스의 목자 https://www.themissi[...] 더 미션 2018-08-03
[32] 웹사이트 성경사전 http://bible.bible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