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에서 여성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회사에서 여성은 기독교의 시작부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예수의 추종자로서, 또 신앙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활동했으며, 성 바울은 남녀 평등을 강조했다. 교부 시대에는 여성의 지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성직은 남성에게만 허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중세 시대에는 여성 수도원과 신비주의가 발전했고, 성모 마리아 숭배가 확산되었으며, 잔 다르크와 같은 여성 성인들이 등장했다. 종교 개혁 이후에는 여성의 역할이 축소되었지만, 바로크 시대에는 여성의 종교적 묘사가 발전했다. 현대에는 여성의 사회 참여가 증가하면서 기독교 내에서도 여성의 역할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여성 안수 문제와 여성 선교사들의 활동 등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교회사에서 여성들 | |
---|---|
기독교와 여성 | |
![]() | |
주제 개요 | |
관련 주제 | 기독교 여성 종교 젠더 연구 |
역사적 맥락 | |
초기 기독교 | 초기 기독교에서는 여성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중세 시대 | 중세 시대에는 수녀원 운동이 발전하며 여성들이 교육과 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
종교 개혁 시대 | 종교 개혁 시대에는 여성들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나타났다. |
현대 | 현대에는 여성 안수 문제, 여성의 교회 내 역할 확대 등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주요 인물 | |
성경 속 인물 | 마리아 막달라 마리아 리디아 |
역사 속 인물 | 힐데가르트 폰 빙엔 시에나의 카타리나 아빌라의 테레사 |
주요 논쟁점 | |
여성 안수 | 여성 안수에 대한 찬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
교회 내 여성의 역할 | 교회 내 여성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
성경 해석 | 성경 구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여성의 역할에 대한 논쟁에 영향을 미친다. |
추가 정보 | |
관련 서적 | Charles Y. Glock, "To Comfort and to Challenge" (1967) Remigius Bäumer, Leo Scheffczyk (Hrsg.), "Marienlexikon" (1994) |
관련 단체 | YWCA |
기타 참고 자료 | ISBN 978-0785232155 |
2. 사도 시대
신약 성경에는 예수의 측근에 있던 성모 마리아, 막달라 마리아 등 많은 여성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 가톨릭 교회는 그리스도께서 남성 사도만 임명하셨다고 가르친다.[4]
예수께서는 요한 복음서에 나오는 간음한 여인과 예수 이야기를 통해 간음한 여인을 돌로 쳐 죽이려는 군중을 부끄럽게 하여 흩어지게 하시고 처형을 막으셨다. 또 마르타와 마리아 자매의 집에서 마리아에게 당시 관습을 깨고 종교적 가르침을 주기도 하셨다.
역사가 제프리 블레니는 예수의 짧은 사역 기간 동안 여성이 기독교의 다음 천 년 동안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우물가의 사마리아 여인과의 만남, 베다니의 마리아의 예수께 기름 부음, 헌금한 가난한 과부에 대한 칭찬, 간음 혐의를 받은 여인에 대한 도움,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곁에 있던 막달라 마리아 등 복음서 기록을 통해 예수께서 여성들에게 중요한 가르침을 전했다고 말한다.[6]
예수의 십자가 처형 현장에는 여성 제자들이 있었고, 막달라 마리아를 비롯한 여성들이 부활의 첫 증인이 되었다.[7]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 여성은 중요한 구성원이었지만,[5] 마리아 막달레나, 성 요안나, 수산나를 포함한 유대인 여성 제자들은 예수의 사역 기간 동안 그를 따랐고 사비를 들여 그를 도왔다.[9] 시간이 흐르면서, 기독교 신자들은 집에서 모임을 가졌고, 집을 제공하는 사람들은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다.[8]
2. 1. 신약 성경

신약 성경에는 예수의 측근에 있던 많은 여성들, 특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특별히 존경하는 성모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에 대한 언급이 있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는 그리스도께서 남성 사도만 임명하셨다고 가르친다.[4]
예수께서 도덕성과 여성 문제에 직접 관여하신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간음한 여인과 예수 이야기이다. 요한 복음서 7장 53절부터 8장 11절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간음하다 잡힌 여인을 돌로 쳐 죽여야 하는지를 두고 예수와 서기관, 바리새인들이 대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예수께서는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라는 유명한 말씀으로 군중을 부끄럽게 하여 흩어지게 하시고 처형을 막으셨다. "그들이 이 말씀을 듣고 양심에 가책을 느껴 나이 많은 자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사람까지 한 사람씩 나가니" 예수께서 여인에게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예수께서 마르타와 마리아 자매의 집에 머무르신 이야기도 예수의 여성관을 보여준다. 마리아는 예수의 발치에 앉아 설교를 들었고, 마르타는 부엌에서 식사 준비를 하느라 애썼다. 마르타가 마리아에게 불평하자, 예수께서는 "마리아는 좋은 편을 택했다"라고 말씀하셨다. 이는 예수께서 당시의 관습을 깨고 여성들에게 종교적 가르침을 주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 여성은 중요한 구성원이었지만, 여성의 역할에 대한 신약 성경의 정보는 거의 간과되었다.[5] 최근 학자들은 모자이크, 프레스코, 비문 등을 연구하여 초기 교회의 여성 역할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5]
역사가 제프리 블레니는 예수의 짧은 사역 기간 동안 여성이 기독교의 다음 천 년 동안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우물가의 사마리아 여인과의 만남, 베다니의 마리아의 예수께 기름 부음, 헌금한 가난한 과부에 대한 칭찬, 간음 혐의를 받은 여인에 대한 도움,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곁에 있던 막달라 마리아 등 복음서 기록을 통해 예수께서 여성들에게 중요한 가르침을 전했다고 말한다. 제프리 블레니는 "여성의 지위가 팔레스타인에서 높지 않았기 때문에, 예수의 그들에 대한 친절함은 전통을 엄격하게 지키는 사람들에게 항상 승인받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6]
예수의 십자가 처형 현장에는 여성 제자들이 있었다. 부활의 첫 증인으로 여성이 보고되었는데, 그중에서도 막달라 마리아가 으뜸이었다. 그녀는 "증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전령"이라고 불렸다.[7]
시간이 흐르면서, 기독교 신자들은 집에서 모임을 가졌다. 집을 회의 장소로 제공할 수 있는 사람들은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고 지도자 역할을 맡았다.[8] 신약성경 복음서는 여성들이 예수의 초기 추종자들 중 하나였다는 것을 인정한다. 마리아 막달레나, 성 요안나, 수산나를 포함한 유대인 여성 제자들은 예수의 사역 기간 동안 그를 따랐고 사비를 들여 그를 도왔다.[9] 이들은 제자로서 예수의 사역에서 여성이 수행한 두드러진 역사적 역할을 반영한다.
2. 2. 초기 기독교의 확산
신약 성경에는 예수의 측근에 있던 많은 여성들, 특히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4] 초기 기독교 교회 초창기부터 여성은 이 운동의 중요한 구성원이었지만, 여성의 역할에 대한 신약 성경의 정보는 남성에 의해 쓰여지고 해석되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였다.[5] 최근에 학자들은 초기 교회의 여성 역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그 시대의 모자이크, 프레스코, 비문 등을 연구하기 시작했다.[5]
역사가 제프리 블레니는 예수의 짧은 사역 기간 동안 여성이 기독교의 다음 천 년 동안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기록했다. 블레니는 우물가의 사마리아 여인과의 만남, 베다니의 마리아의 예수께 기름 부음, 헌금한 가난한 과부에 대한 칭찬 등 예수께서 여성들에게 중요한 가르침을 전한 몇 가지 복음서 기록을 지적한다. 블레니는 "여성의 지위가 팔레스타인에서 높지 않았기 때문에, 예수의 그들에 대한 친절함은 전통을 엄격하게 지키는 사람들에게 항상 승인받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6]

시간이 흐르면서, 기독교 신자들은 신자들의 집에서 모임을 가졌다. 집을 회의 장소로 제공할 수 있는 사람들은 운동 내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고 지도자 역할을 맡았다.[8] 신약성경 복음서는 여성들이 예수의 초기 추종자들 중 하나였다는 것을 인정한다. 마리아 막달레나, 성 요안나, 수산나를 포함한 유대인 여성 제자들은 예수의 사역 기간 동안 그를 따랐고 사비를 들여 그를 도왔다.[9]
역사학자 제프리 블레니는 초기 기독교 신도들 중 여성의 비율이 아마도 다수였을 것이라고 기록한다. 초기 교회는 여성에게 중요한 역할을 제공하는 비공식적이고 유연한 조직을 갖추었고, 성직자와 평신도 사이에 구분이 없었다. 지도력은 "은사"와 재능에 따라 남녀 신도들이 함께 나누었다. 여성들은 또한 월경과 관련된 금기 및 의식, 그리고 남아 선호 사상으로 인해 유대교에서 기독교로 이동했을 수 있다.[10] 성 바울은 초기 저술에서 남녀가 평등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갈라디아서는 "거기에는 남자나 여자가 없으니, 이는 너희가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가 됨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초기 기독교 문헌은 초기 교회에서 활동한 다양한 여성들을 언급하고 있다. 성 브리스길라는 남편과 함께 선교사로 여행하며 아볼로를 가르쳤다. 빌립 집사의 네 딸은 예언자였다고 전해지며 성 바울을 자신의 집에 머물게 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여성들이 지역 사회에서 좋은 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을 진정한 선교사나 지도자로 여기지 않았다.[11] 기독교가 성례와 위계화 또는 교회의 직분으로 공식화되면서 여성의 이전 공개 역할은 제한되고 규제되었다.[11]
3. 교부 시대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여성들이 회중 생활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는 증거가 있다. 여성들은 집사로 봉사했고, 빌립보의 루디아와 같은 재력가들은 재정을 지원했다. 블레인은 서기 300년경에 여성들이 교회의 일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여 이교 철학자 포르피리오스가 "기독교가 그들 때문에 고통받았다"고 불평했다고 언급했다.[43] 그러나 교부 시대 말기에는 사제와 주교가 회중을 운영하면서 남성 중심의 위계질서가 교회 업무를 장악하게 되었다.[43]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성인으로 존경받은 여성들로는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 아래에서 고난을 겪은 로마의 아녜스, 성 체칠리아, 시칠리아의 아가타, 블란디나와 같은 순교자들이 있다. 후기 고대 시대에 성 헬레나는 황제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였다. 콘스탄티누스는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에 대한 관용을 로마 제국 전역에서 합법화하고 스스로 개종하여 수 세기 동안 기독교인에 대한 학대를 종식시켰기 때문에, 성 헬레나의 역할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17]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어머니 성 모니카 또한 경건한 기독교인이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젊은 시절 방탕한 생활을 한 후 기독교로 개종하여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 신학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초기 기독교 수도원주의의 발전에 기여한 여성들도 있었다. 은수자인 이집트의 마리아 성녀(서기 344~421년 경)는 이집트에서 매춘부로 생활한 후 요르단 강 너머 사막에서 회개와 기도의 삶을 살아 서방, 동방, 오리엔트 및 아프리카 기독교에서 존경받았다.[17]
3. 1. 여성의 지성에 대한 관점
변호사이자 변증론자인 미누키우스 펠릭스는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지적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모든 인간은 나이, 성별, 지위와 상관없이 사고하고 느끼는 능력과 재능을 가지고 똑같이 태어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14]
3. 2. 여성 성직 제한
초기 교부 시대부터 동서 교회의 대부분 지역에서 교사 및 성사 집행 직무는 남성에게만 허용되었다.[15] 이러한 여성 성직 제한은 교부들의 주장에 의해 뒷받침되었다.오리겐 (185-254년)은 여성이 회중 앞에서 말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는 여자가 가르치거나 남자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말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는 바울의 말을 인용했다.[16]
역사학자 필립 샤프는 3세기와 4세기의 초기 교부들이 고린도전서 14:34, 35절에 관해 가르쳤다고 기록한다. 2세기 라틴 교부 테르툴리아누스는 "여성은 교회에서 말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 그녀는 또한 가르치거나, 세례를 주거나, 제물을 바치거나, 남자에게 적합한 어떠한 기능도, 특히 사제직도 주장할 수 없다."라고 썼다.[16]
3. 3. 여성 성인들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성인으로 기려진 여성들로는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 아래에서 고난을 겪은 여러 순교자들이 있는데, 로마의 아녜스, 성 체칠리아, 시칠리아의 아가타, 블란디나 등이 있다. 후기 고대 시대에 성 헬레나는 기독교인이자 황제 콘스탄티우스의 배우자였으며, 황제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였다. 콘스탄티누스는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 관행에 대한 관용을 로마 제국 전역에서 합법화하고 스스로 개종하여 수 세기 동안 기독교인에 대한 학대를 종식시켰기 때문에, 성 헬레나의 역할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17]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어머니 성 모니카 또한 경건한 기독교인이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방탕한 젊은 시절을 보낸 후 기독교로 개종하여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 신학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초기 기독교 수도원주의의 발전에 기여한 여성들도 있었다. 은수자인 이집트의 마리아 성녀(서기 344~421년 경)는 서방, 동방, 오리엔트 및 아프리카 기독교에서 요르단 강 너머 사막에서 회개와 기도의 삶을 살기 시작하여 존경받았는데, 이집트에서 매춘부로 생활한 후였다.[17]
4. 중세 시대
서유럽이 고전 시대에서 중세 시대로 전환되면서,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남성 중심의 위계 질서가 유럽 정치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동방에서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를 중심으로 유사한 남성 중심의 위계 질서가 우세했다.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여성들은 종교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신비주의가 번성했고 여성 수도원과 공동체는 유럽 내에서 강력한 기관이 되었다. 마리아 신심이 만개하여 서구 문명의 중심에 모성적 미덕의 모델을 제시했다.[15]
서방에서는 로마 가톨릭 교회가 중세 시대 동안 라틴어 학습, 글쓰기 예술 보존, 주교 네트워크를 통한 중앙 집권적 행정을 통해 유럽의 주요한 통일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동방에서는 그 역할이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제국에 돌아갔다(교회는 1054년에 분열되었다).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에서 사제직, 주교, 총대주교, 교황과 같이 이에 의존하는 직무는 남성에게만 제한되었다. 오렌지 공의회(441)는 여성의 부제 서품을 금지했다.[15]
고 중세 시대(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교회의 주요 대변인은 토마스 아퀴나스였다.[19] 그는 33명의 교회 학자 중 한 명이자 유명한 13세기 신학자였다.
4. 1. 여성 수도원
기독교 수도원 제도가 확립되면서 여성에게 다른 영향력 있는 역할이 주어졌다. 5세기부터 기독교 수도원은 일부 여성들에게 결혼과 육아 대신 문학과 학습을 배우고, 더 적극적인 종교적 역할을 수행할 기회를 제공했다.[18] 중세 시대 비귀족 여성들은 정치 및 상업 생활에서 여러 면에서 배제되었지만, 주요 교회 여성들은 예외였다. 중세 시대의 여성 수도원장과 수도원 수녀원장은 남성 주교와 수도원장의 영향력에 필적할 수 있는 강력한 인물이었다. "그들은 왕, 주교, 그리고 가장 위대한 영주들과 완벽하게 평등한 조건으로 교류했고... 그들은 모든 위대한 종교적, 국가적 행사, 교회의 봉헌식에 참석했으며, 심지어 여왕처럼 국가 회의의 심의에 참여했다...".[18]제프리 블레이니는 여성들이 중세 시대 동안 교회 생활에서 그 이전 시대보다 더 두드러졌으며, 여성들이 시작한 많은 교회 개혁이 있었다고 썼다. 특히 성모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에 대한 숭배가 증가한 것을 여성 기독교인들의 높은 지위에 대한 증거로 제시했다.[20] 아일랜드의 성인전은 유럽이 중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아일랜드 전역에 수도원을 세운 수녀원장 성녀 킬데어의 브리지드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켈트 교회는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서유럽에 기독교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는 브리지드와 같은 수녀들의 노력 덕분이었다.[20]
성녀 아시시의 클라라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최초 추종자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가난한 부인회를 설립했는데, 이는 프란체스코회 전통의 여성들을 위한 관상 수도 수도회였으며, 여성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수도회 규칙인 그들의 삶의 규칙을 썼다. 그녀가 설립한 수도회는 그녀의 사후 성 클라라 수도회로 명명되었으며, 오늘날 일반적으로 가난한 클라라회라고 불린다.[22]
4. 2. 성모 마리아와 여성 성인들
블라디미르의 성모와 같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숭배는 중세 시대에 크게 확산되었는데, 이는 여성들이 교회 생활에서 이전 시대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 마리아 신심은 서구 문명의 중심에 모성적 미덕의 모델을 제시했다.[15] 성모 마리아는 하느님의 어머니, 하늘의 여왕과 같은 칭호를 받으며 기독교 예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2세기부터 서양에서는 성모 숭배가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았으며,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을 비롯한 프랑스의 주요 대성당들이 성모 마리아에게 헌정되었다.[21]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초기 추종자 중 한 명이었던 성녀 아시시의 클라라는 가난한 부인회를 설립하고 여성에 의해 쓰여진 최초의 수도회 규칙을 작성했다. 그녀의 사후, 그녀가 설립한 수도회는 성 클라라 수도회, 즉 가난한 클라라회로 불리게 되었다.[22]

14세기 도미니코회 제3회원이었던 성녀 시에나의 카타리나는 뛰어난 영적 통찰력으로 당대인들에게 존경받았으며,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헌신했다. 그녀는 "환시"를 경험하고 제자들을 모았으며, 이탈리아 군주들에게 편지를 보내고 교황 사절과 상담하며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 사이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는 등 공적인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녀는 성직자들의 개혁을 촉구하고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아비뇽 유수를 끝내고 교황청을 로마로 복귀시키도록 설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23]

5. 중세부터 종교개혁 이후까지의 군주
서유럽이 고전 시대에서 중세 시대로 전환되면서,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남성 중심의 위계 질서가 유럽 정치의 중심 세력이 되었지만, 교회 내 다양한 수준에서 많은 여성 지도자들 또한 등장했다.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여성들은 종교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리아 신심이 만개하여 서구 문명의 중심에 모성적 미덕의 모델을 제시했다.
기독교 수도원 제도가 확립되면서 여성에게 다른 영향력 있는 역할이 주어졌다. 5세기부터 기독교 수도원은 일부 여성들에게 결혼과 육아의 대안을 제공하고, 문학과 학습을 습득하며, 보다 적극적인 종교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했다. 비귀족 여성들은 중세 시대 정치 및 상업 생활에서 여러 면에서 배제되었지만, 주요 교회 여성들은 예외였다. 중세 시대의 여성 수도원장과 수도원 수녀원장은 남성 주교와 수도원장의 영향력에 필적하는 강력한 인물이었다.[18]
제프리 블레이니는 여성들이 중세 시대 동안 교회 생활에서 그 이전 시대보다 더 두드러졌으며, 여성들이 시작한 많은 교회 개혁이 있었다고 썼다. 그는 성모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에 대한 숭배가 점점 더 증가하는 것을 당시 여성 기독교인들의 높은 지위에 대한 증거로 인용했다. 아일랜드의 성인전은 유럽이 중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아일랜드 전역에 수도원을 세운 수녀원장 성녀 킬데어의 브리지드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켈트 교회는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서유럽에 기독교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는 브리지드와 같은 수녀들의 노력 덕분이기도 하다.[20]
성모 마리아는 중세 시대를 통해 기독교 예배에서 점점 더 중요해졌다. 그녀는 하느님의 어머니, 하늘의 여왕과 같은 칭호를 받았다. 막달라 마리아 축일은 8세기부터 진지하게 기념되었고, 예수님이 만난 다른 여성들에 대한 복음서의 언급에서 그녀의 복합적인 초상화가 발전했다.
미술사학자 케네스 클라크는 예술을 지침으로 삼는다면, 서양에서 성모 숭배가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게 된 것은 12세기부터라고 썼다. 프랑스의 위대한 대성당들은 그녀에게 헌정되었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아미앵 대성당, 랑 대성당, 루앙 대성당, 랭스 대성당. 특히 샤르트르 대성당은 정교한 건축 양식으로 마리아를 기렸다. 성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는 그녀를 아름다움의 이상이자 인류와 하느님 사이의 중재자로 설교했다.[21]
아마도 이 시대 가장 유명한 여성 가톨릭 성인은 성녀 잔 다르크일 것이다. 프랑스의 국민 영웅으로 여겨지는 그녀는 경건한 농부 소녀로 삶을 시작했다. 이 시대의 다른 성인들과 마찬가지로, 잔은 초자연적인 대화를 경험하여 그녀에게 영적인 통찰력을 주고 그녀의 행동을 지시했다고 한다. 그러나 시대의 전형적인 여성 영웅들과 달리, 그녀는 남성 복장을 하고 신의 인도를 주장하며, 영국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을 돕기 위해 프랑스 국왕 샤를 7세를 찾았다. 칼을 들고 그녀는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지만, 포로로 잡혔다. 그녀의 영국인 포로들과 그들의 부르고뉴 동맹국들은 그 후 그녀를 "마녀이자 이단자"로 재판하도록 조치했고, 그 후 그녀는 화형에 처해졌다. 교황 조사에서는 나중에 재판이 불법이라고 선언했다. 프랑스인들에게는 영웅이었고, 영국에서도 잔에 대한 동정심이 커졌으며, 1909년에 그녀는 성인으로 시성되었다.[26]
6. 종교개혁 시대와 바로크 시대
종교 개혁은 16세기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서부 기독교 세계에서 수세기 동안 지속된 통일성을 종식시켰다. 로마 가톨릭 교회 지도자들이 개신교 신자들을 파문하고, 교황 클레멘스 6세가 헨리 8세와 아라곤의 캐서린의 결혼을 무효화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헨리 8세는 스스로를 영국 교회의 최고 통치자로 선언했다.[29]
잉글랜드의 메리 1세는 헨리 8세의 장녀로, 왕위를 계승하여 "9일 여왕"이라 불린 개신교 이복 여동생 레이디 제인 그레이를 처형했다. 메리 1세는 아라곤의 캐서린의 딸이었으므로 로마에 충성을 유지하며 영국에서 로마 교회를 재건하려 했으나, 1558년 사망 이후 그녀의 후계자이자 여동생인 엘리자베스 1세에 의해 그 시도는 뒤집혔다. 엘리자베스 1세와 가톨릭 신자였던 스코틀랜드의 메리 사이의 경쟁은 1587년 메리의 처형으로 종결되었다. 상속자나 군주의 배우자의 종교는 수세기에 걸쳐 왕실 간의 결혼을 복잡하게 만들었다.[29]
신성 로마 제국의 배우자들은 신성 로마 황후라는 칭호를 받았는데, 왕위는 남성에게 보존되었지만 테오파누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와 같은 여성들은 권력을 통제하고 사실상 여제로서 역할을 했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1713년 국사조칙을 통해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왕위에 대한 권리를 획득하여 여성 상속을 허용했지만, 통치권을 확보하기 위해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치러야 했다. 승리 후 그녀의 남편 프란츠 슈테판이 1745년 신성 로마 황제로 선택되어 마리아 테레지아의 유럽 지도자로서의 지위는 더욱 확고해졌다. 자유주의적 성향의 독재자였던 그녀는 과학과 교육을 후원했으며 농노의 고통을 완화하고자 했다. 종교적으로는 cujus regio, eius religio 정책을 추구하여 궁정에서 가톨릭 준수를 유지하고 유대교와 개신교를 못마땅하게 여겼지만, 아들이 공동 통치 황제로 즉위하면서 제국 내 교회의 권력에 제한이 가해졌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40년 동안 통치했으며, 마리 앙투아네트를 포함한 16명의 자녀를 두었다.[29]
6. 1. 종교개혁과 여성
종교 개혁은 개혁된 지역의 수녀원을 폐쇄하여, 개신교 여성에게 전일적인 종교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사실상 없앴고, 일부 여성에게 학문 연구의 기회를 제공했던 역할도 사라지게 했다.[30] 그러나 위엘첸 근처의 엡스토르프 수도원과 부르스펠데의 부르스펠데 수도원과 같은 일부 수녀원은 루터교 신앙을 받아들였다.[31] 동유럽의 많은 수녀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주의 당국에 의해 폐쇄되었다.
마르틴 루터는 "아내는 집에 머물면서 가정의 일을 돌보아야 하며, 외부의 일과 국가에 관련된 일을 처리할 능력을 박탈당한 사람과 같아야 한다..."고 가르쳤다.[32] 수도원 생활보다 가정 생활을 선택한 많은 수녀들 중에는 마르틴 루터의 아내인 카타리나 폰 보라가 있었다. 장 칼뱅은 "여성의 자리는 가정이다"라고 동의했다.[33]
존 녹스 (1510–1572)는 여성들의 괴물 정권에 반대하는 첫 번째 나팔에서 여성의 통치권을 부인했다.
개신교 종교 개혁가들은 마리아 숭배를 거부했다. 따라서 개신교를 채택한 유럽과 북미 지역 사회에서 마리아와 관련된 의식과 신학은 종교 개혁 이후 대대적으로 제거되었다. 수녀원이 폐쇄된 것 외에도, 마리아의 이미지는 많은 경우에 철거되거나 머리가 잘렸다.[21]
6. 2. 바로크 시대의 여성
바로크 시대는 가톨릭 교회 내에서 성모 마리아와 여성 성인들에 대한 숭배가 예술 작품을 통해 강조된 시기였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은 여성을 이전 시대와는 다르게, 보다 인간적이고 감성적인 모습으로 묘사하기 시작했다.예수께서는 간음한 여인과 예수 이야기에서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라는 유명한 말씀으로 간음한 여인을 구원했다.[4] 또한 마르타와 마리아의 집에서는 마리아가 예수의 발치에 앉아 말씀을 듣는 것을 택한 것을 칭찬하며, 당시 여성에게 종교적 가르침을 주는 것이 관습을 깨는 일이었음을 보여준다.

가톨릭 유럽에서 여성의 종교적 묘사는 화려해졌을 뿐만 아니라, 종종 매우 관능적이 되기도 했는데, 잔 로렌초 베르니니의 《성녀 테레사의 황홀경》이 그러한 예시이다.[21]
르네상스 시대에는 마리아가 인간적인 어머니의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라파엘로와 같은 가톨릭 예술가들은 아기 예수를 묘사한 성모자 초상화를 그렸고, 미켈란젤로는 십자가형 이후 예수의 죽은 시신을 안고 있는 마리아를 묘사한 피에타 조각상을 만들었다.[21]
7. 현대
산업 혁명과 유럽 제국의 확장에 따라 17~19세기 동안 가톨릭 여성을 위하거나 가톨릭 여성에 의해 주목할 만한 교육 및 간호 수도회가 많이 설립되었다. 기독교 여성들은 현대 세계의 많은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운영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다른 기독교 전통에서는 현대 간호 발달을 도운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같은 여성들이 등장했다.[42] 21세기까지 여러 개신교 교회가 여성을 안수했지만, 기독교의 중심지는 유럽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서구에서는 수도 생활에 대한 소명이 감소하는 반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는 기독교로의 개종과 종교적 소명이 빠르게 확대되었다.
가톨릭 내에서 자비의 수녀회는 1831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캐서린 맥컬리에 의해 설립되었고, 그녀의 수녀들은 전 세계에 병원과 학교를 설립했다.[43] 가난한 자매회는 19세기 중반 프랑스 렌 근처에서 성 잔느 쥬강에 의해 설립되어 프랑스 도시와 마을의 거리에 늘어선 많은 빈곤한 노인들을 돌보았다.[44] 영국의 호주 식민지에서 호주 최초의 시성된 성인인 메리 매킬롭은 1866년에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교육적 수도회인 성 요셉 성심 수녀회를 공동 설립했으며 그녀가 사망할 즈음 그녀의 수도회는 117개의 학교를 설립하고 고아원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보호소를 열었다.[45]
많은 기독교 여성들이 19세기 말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식민지에서 처음 성공을 거두고 민주주의 국가로 확산된 여성 참정권 운동에 기여했다. 미국에서 퀘이커 그림케 자매는 초기 노예 폐지 운동과 여성 권리의 옹호자였다.[46] 호주에서 유니테리언 설교자 캐서린 헬렌 스펜스는 여성 참정권을 요구했고,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의회가 여성의 참정권을 허용한 최초의 현대 관할 구역이 된 후 정치에 출마했다.[47] 북미에서는 여성 기독교 금주 연합과 같은 단체가 동일한 개혁을 위해 선동했다.[48]
20세기 초 대부분의 기간 동안 가톨릭 여성들은 여전히 많은 수로 수도회에 가입했으며, 그들의 영향력과 통제력은 어린이들을 위한 초등 교육, 소녀들을 위한 고등 교육, 간호, 병원, 고아원 및 노인 요양 시설 운영에 특히 강력했다. 1960년대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가톨릭 종교 생활, 특히 여성 수도자의 엄격함을 완화시켰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서구의 여성들의 소명은 급격한 감소를 겪었다.
전 세계의 가톨릭 여성들에 대한 여러 시복 및 시성이 이루어졌다. 성 조세핀 바키타는 카노시안 수녀가 된 수단 출신 노예 소녀였다. 성 캐서린 드렉셀 (1858–1955)은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해 일했다. 폴란드 신비주의자 성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1905–1938)는 그녀의 영향력 있는 영적 일기를 썼으며,[49] 독일 수녀 에디트 슈타인은 아우슈비츠에서 살해당했다.[50]
여러 기독교 여성들이 나치즘에 맞선 제2차 세계 대전 투쟁의 순교자로 기억된다. 가톨릭 폴란드는 나치 점령 하에서 고통을 받았으며, 8명의 수녀와 폴란드 제2차 세계 대전 108 순교자의 여러 평신도 여성, 그리고 1943년 게슈타포에 의해 살해되어 노보그루데크 복자 순교자로 알려진 11명의 나사렛 성가족 수녀회를 포함하여 여러 여성들이 이 기간 동안의 영웅적 행위로 인정받고 있다. 스웨덴 출생 엘리자베스 헤셀블라드는 그녀의 수도회가 홀로코스트에서 유대인 탈출을 지원한 공로로 야드 바쉠에 의해 "열방의 의인"에 등재되었다.[51] 그녀와 두 명의 영국 여성, 리카르다 보샹 햄브로 수녀와 캐서린 플래나건 수녀는 스웨덴 브리지타인 수녀회를 부활시키고 나치의 로마 점령 기간 동안 유대인 가족 수십 명을 그들의 수도원에 숨긴 공로로 시복되었다.[52]
7. 1. 여성의 역할 변화
산업 혁명 이후, 여성들은 사회 여러 분야에 활발하게 참여하기 시작했고, 이는 기독교 내에서도 여성의 역할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현대 교육 및 의료 시스템 발전에 기독교 여성들의 역할은 매우 컸다. 예를 들어,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성공회 신자이자 간호사로서 현대 간호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42]19세기 말, 여성 참정권 운동이 확산되면서 많은 기독교 여성들이 이 운동에 참여했다. 호주의 캐서린 헬렌 스펜스는 여성 참정권을 주장하며 정치에 참여했고,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의회는 세계 최초로 여성 참정권을 허용했다.[47] 미국에서는 퀘이커 교도인 그림케 자매가 노예제 폐지 운동과 여성 권리 옹호에 앞장섰다.[46]
20세기 초, 가톨릭 여성들은 수도회 활동을 통해 교육, 간호, 병원 운영 등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하지만 1960년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서구에서는 여성 수도자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개신교에서는 여성 안수가 점차 보편화되었다. 1996년 기준으로 미국 개신교 교파의 절반 이상이 여성에게 안수를 허용했지만,[53] 일부는 여성이 맡을 수 있는 직책을 제한하기도 했다.
구세군은 1934년 에반젤린 부스를 최초의 여성 구세군 사령관으로 선출하여 성 평등을 실천했다.[56] 바바라 클레멘타인 해리스는 미국 성공회 최초의 여성 주교로 서품되었다.[57]
이 시대의 가장 유명한 여성 선교사 중 한 명은 마더 테레사였다. 그녀는 "고통받는 인류를 돕는" 업적으로 1979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58]
7. 2. 여성 안수 문제
최근 수십 년 동안 개신교 교회에서의 여성 안수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1996년 기준으로 미국 개신교 교단의 절반 이상이 여성 안수를 허용했지만,[53] 일부 교단에서는 여성이 맡을 수 있는 직책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군종 목사로는 여성을 안수하지만 회중에서의 역할은 금지하는 경우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신학교 학생의 3분의 1 (일부 신학교에서는 거의 절반)이 여성이다.[54][55]구세군은 1934년 에반젤린 부스를 최초의 여성 구세군 사령관(전 세계 지도자)으로 선출했다. 구세군 창설자 윌리엄 부스는 성 평등을 주장하며, 1908년에 "모든 장교와 병사는 여성이 남성과 마찬가지로 세상의 진보와 행복에 중요하고, 가치 있고, 유능하며, 필수적이라는 진실을 고집해야 한다"고 썼다. 구세군 역사에서 여성들은 주요 지도자 역할을 해왔다.[56]
성공회에서는 바바라 클레멘타인 해리스가 미국 성공회에서 최초의 여성 주교로 서품되었다.[57] 영국 군주 중 여성 군주인 엘리자베스 1세, 메리 2세, 앤, 빅토리아, 엘리자베스 2세는 즉위 시 잉글랜드 국교회 수장 지위를 받았다.
반면, 가톨릭과 정교회는 전통적으로 사제 서품에 대한 성별 제한을 유지하고 있다.
7. 3. 여성 선교사들과 사회 참여
산업 혁명과 유럽 제국의 확장에 발맞춰 17~19세기 동안 가톨릭 여성을 위해 또는 가톨릭 여성에 의해 수많은 주목할 만한 교육 및 간호 수도회가 설립되었다. 기독교 여성은 현대 세계의 많은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운영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다른 기독교 전통에서는 현대 간호 발달을 도운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같은 여성들이 등장했다.[42]이 시대의 가장 유명한 여성 선교사 중 한 명은 "고통받는 인류를 돕는" 업적으로 1979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마더 테레사였다.[58] 그녀는 사망한 지 불과 6년 만인 2003년에 시복되었다.[59]
많은 기독교 여성과 수도자들은 사회 정책 논쟁에서 저명한 옹호자였으며, 메달 수녀회 성 요셉 수녀회의 미국 수녀 헬렌 프레잔은 사형 반대 운동가로 할리우드 영화 ''데드 맨 워킹''의 영감이 되었다.[60]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4명의 가톨릭 여성이 교회 박사로 선포되었는데, 이는 교회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를 나타낸다. 16세기 스페인 신비주의자 아빌라의 테레사 성녀, 14세기 이탈리아 신비주의자 시에나의 카테리나 성녀, 19세기 프랑스 수녀 리시외의 테레즈 성녀 (''사랑의 박사''라고 불림), 12세기 독일 수녀 빙겐의 힐데가르트 성녀가 그들이다.
2016년에는 세계 기독교 인구에서 여성의 비율(20세 이상)이 52~53%로 추정되었다.[61][62] 퓨 리서치 센터는 전 세계 종교성에 대한 성별의 영향을 연구하여 53개국에서 기독교 여성들이 일반적으로 기독교 남성보다 더 종교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62] 아프리카 국가의 기독교인들은 남녀 모두 정기적으로 예배에 참석할 가능성이 동일하다.[62] 2020년에는 세계 기독교 인구에서 여성의 비율이 약 51.6%로 추정되었다.[63]
참조
[1]
서적
To Comfort and to Challen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Why Men Hate Going to Church
Thomas Nelson
[3]
서적
Marienlexikon
Institutum Marianum
[4]
웹사이트
Apostle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5]
서적
Her story: women in Christian tradition
Fortress Press
[6]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Penguin Viking
[7]
서적
null
Liturgical Press
[8]
문서
Reading Real Women Through Undisputed Letters of Paul
Oxford University Press
[9]
bibleverse
Lk. 8:1-3
[10]
서적
Women and Religion in the First Christian Centuries
Psychology
[11]
서적
Encyclopedia of Early Christianity
Taylor and Francis
[12]
간행물
"The Ecumenical Review." Seminars on Orthodox Spirituality and Role of Women in the Church.
[13]
bibleverse
Galatians 3:28
[14]
문서
The Octavius, Chapter 16
[15]
서적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Crossway
[16]
문서
Origen, Fragmenta ex commentariis in epistulam i ad Corinthios
[17]
웹사이트
St. Mary of Egypt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18]
웹사이트
Abbes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19]
서적
St. Thomas Aquinas on Politics and Ethics
W.W. Norton & Company, Inc
[20]
웹사이트
St. Brigid of Ireland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21]
서적
Civilisation
BBC
[22]
웹사이트
Poor Clare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23]
웹사이트
St. Catherine of Sien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24]
서적
An Anthology of Christian Mysticism
Liturgical Press
[25]
서적
Teresa of Avila
[26]
웹사이트
St. Joan of Arc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27]
웹사이트
Mulieris Dignitatem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88-08-15
[28]
웹사이트
Isabella 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29]
웹사이트
Maria Theres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30]
뉴스
The Holy Feminine
http://www.firstthin[...]
[31]
웹사이트
Kloster Ebstorf
http://www.medievalh[...]
Medieval Histories
2014-08-08
[32]
문서
Lectures on Genesis 3:11
[33]
웹사이트
A Sermon of M. Iohn Caluine upon the Epistle of Saint Paul, to Titus.
http://www.covenante[...]
[34]
서적
The homilies: Of S. John Chrysostom, archbishop of Constantinople, on the first epistle of St. Paul the apostle to the Corinthians
https://books.google[...]
F. and J. Rivington
[35]
서적
Discovering Biblical Equality
Downer's Grove, IVP
[36]
웹사이트
Gill, 1 Corinthians 14:34
http://www.biblestud[...]
[37]
웹사이트
John Wesley's notes on the Bible, 1 Cor. 14:34,35
http://www.godrules.[...]
[38]
웹사이트
Adam Clarke's commentary on the whole Bible
http://www.godrules.[...]
[39]
서적
Annotations upon the Holy Bible
Poole
1852
[40]
웹사이트
Online Bible Study Tools – Library of Resources
https://www.biblestu[...]
2020-07-12
[41]
서적
A Very Short History of the World
Penguin
2004
[42]
웹사이트
Florence Nightingale
http://www.spartacus[...]
[43]
웹사이트
Sisters of Mercy.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New York
1911-10-11
[44]
웹사이트
Little Sisters of the Poor.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New York
1911-10-11
[45]
뉴스
Mary MacKillop to become Australia's first saint on October 17
http://www.news.com.[...]
2010-02-19
[46]
웹사이트
User account {{!}} Gilder Lehrman Institute of American History
https://www.gilderle[...]
2020-08-28
[47]
웹사이트
Spence, Catherine Helen (1825–1910),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http://adb.anu.edu.a[...]
[48]
웹사이트
National Council of Women of Canada
https://web.archive.[...]
[49]
웹사이트
Saints of the 20th Century, American Catholic
http://www.americanc[...]
[50]
웹사이트
Teresa Benedict of the Cross Edith Stein (1891-1942), Vatican News Service
https://www.vatican.[...]
[51]
웹사이트
Niece astonished as Cause of Sister Katherine advances, Catholic Herald
http://www.catholich[...]
2010-07-06
[52]
뉴스
British Nuns ... Path to Sainthood
https://www.independ[...]
2013-04-27
[53]
서적
Sociology
https://books.google[...]
Allyn and Bacon
1996
[54]
서적
The Bible in history: how the texts have shaped the times
https://books.google[...]
[55]
웹사이트
Institute for the Study of American Evangelicals
http://www.wheaton.e[...]
Wheaton.edu
2010-11-19
[56]
웹사이트
Women within The Salvation Army
http://web.salvation[...]
[57]
웹사이트
Penny Jamieson
http://www.nzhistory[...]
[58]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79
https://www.nobelpri[...]
[59]
웹사이트
Beatification of Mother Teresa, Vatican News Service
https://www.vatican.[...]
2003-10-19
[60]
웹사이트
Sister Helen Prejean
http://www.abc.net.a[...]
[61]
웹사이트
All Religions (global totals)
https://worldreligio[...]
BRILL, Boston University
2020
[62]
웹사이트
The Gender Gap in Religion Around the World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63]
웹사이트
Religion Information Data Explorer {{!}} GRF
http://www.globalrel[...]
2022-10-13
[64]
웹사이트
“Records of the Anglican Group for the Ordination of Women to the Historic Ministry of the Church”
http://archiveshub.a[...]
[65]
웹사이트
“Records of the Anglican Group for the Ordination of Women to the Historic Ministry of the Church”
http://archiveshub.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