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아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아산은 1999년 설립된 현대그룹의 대북 사업 전담 회사이다. 1989년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방북을 시작으로 금강산 관광 사업을 추진하여 1998년 금강산 관광선을 출항시켰다. 이후 개성공단 개발 사업, 백두산 관광 등 사업을 확장했으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북한의 핵실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금강산 시설 철거 지시 등으로 사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햇볕정책 - 정주영
    정주영은 현대그룹을 창업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현대자동차공업사 설립 후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등을 세워 현대그룹을 한국 최대 재벌 기업으로 키웠으며, 경부고속도로 건설, 서울 올림픽 유치, 대북 사업 추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햇볕정책 - 개성공업지구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경제협력 사업의 상징으로 시작되어 북한 경제에 기여했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운영 중단과 폐쇄를 반복하다 2016년 최종 폐쇄된, 성공과 리스크, 논쟁을 동시에 가진 복잡한 사업이다.
  • 현대그룹 -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엘리베이터는 1984년 설립되어 대한민국 승강기 시장 점유율 1위인 승강기 제조 및 유지보수 기업으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을 생산하며, 2009년 엘리베이터 테스트 타워 '현대아산타워'를 준공했고 2022년 본사를 충주로 이전했다.
  • 현대그룹 - 현정은 (1955년)
    현정은은 현대그룹 회장으로, 남편 정몽헌 회장 사후 취임하여 경영권 분쟁을 극복하고 회사를 정상화했으며, 남북 경제 협력에 적극 참여했으나 관련 사업의 투명성 논란도 있었다.
  • 정주영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 정주영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현대아산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회사명현대아산 주식회사
원어HYUNDAI ASAN CORPORATION
영문 사명Hyundai Asan
종류주식회사
창립일1999년 2월 5일
국적대한민국
본사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연지동)
본점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화진포서길 10
대표자이백훈 (대표이사)
업종사업지원 서비스업
사업 내용대북한 관련 사업 (금강산 관광 사업, 개성공업지구 사업)
대표 제품금강산관광, 개성관광, 개성공단, 국내건설(건축, 토목, 기전)
통일 금융 기관 코드알 수 없음
SWIFT 코드알 수 없음
자본금1610억9493만5000원 (2022.12)
발행 주식 총수17,012,677주 (2023년 11월 14일 기준)
매출액1,592억5053만원 (2023년)
영업 이익23억7347만원 (2023년)
경상 이익12억8275만원 (2023년)
순이익13억5317만원 (2023년)
순자산691억8822만원 (2023년 9월말 기준)
총 자산1418억6708만원 (2023년 9월말 기준)
직원 수195명
결산기알 수 없음
회계 감사인알 수 없음
소유자현대재벌
주요 주주현대엘리베이터 (82.3%)
모기업현대그룹
관련 인물정주영
외부 링크현대아산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표기
한글현대아산
한자現代峨山
로마자 표기Hyeondae Asan

2. 역사

1998년 금강산관광사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남북경협사업을 시작하였고, 2003년부터는 개성공단 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백두산관광사업, SOC 개발사업 등에도 투자 자산을 확보하고 있다.

1998년 11월, 남북 분단 이후 처음으로 일반인들이 '민족의 명산' 금강산을 직접 방문하여 아름다운 경관과 북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2008년까지 195만 명이 금강산을 방문했으며, 이곳은 이산가족 상봉, 남북 장관급 회담, 남북 공동 행사 등 남북 교류 협력의 장이자 한반도 평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003년 6월에는 개성시에 총 2,000만 평 규모의 개성공단 개발 사업을 착공하여, 남측의 자본 및 기술과 북측의 우수한 노동력을 결합한 '남북경제공동체'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1단계 100만 평 부지 조성 및 분양은 완료되었으며, 현대아산(시공)과 토지공사(자금 조달, 분양)가 공동 개발 사업자로서 역할을 분담하였다. 현대아산은 공장 건축과 부지 조성 공사를 담당하였고, 2008년 말 기준 개성공단에서는 87개 공장과 3만 6천 명의 남북 근로자가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다.

2007년 12월에는 서울에서 차로 1시간 거리에 있는 북측 개성 관광이 시작되어, 관광객들은 고려의 옛 수도인 개성의 선죽교, 고려박물관, 박연폭포 등 문화 유적을 둘러볼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금강산, 개성뿐만 아니라 백두산 등 북측의 주요 명승지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었다.

금강산 관광 지구 건설과 개성공단 개발 사업을 통해 쌓은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5년 종합건설회사 면허를 취득하여 국내 건설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고, 향후 추진할 북측 SOC(철도, 통신, 전력 등) 사업에 대비하고 있다.

기타 사업으로는 남북 물류, 교역, 농업 협력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1999년 남북통일농구대회, 2003년 류경 정주영 체육관 개관 행사 등 체육·문화 교류 사업을 통해 민족 동질성 회복에도 힘쓰고 있다.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활동

1989년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한국 재계 인사로서는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하여 김일성과 회담을 가졌다. 1998년 6월, 정주영 명예회장은 소 500마리와 함께 판문점을 통해 방북하여, 북한 당국과 "금강산 관광 사업에 관한 합의서 및 부속 합의서"를 체결하였다. 이는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과 맞물려 남북 화해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였다.[10]

현대는 금강산 해금강-원산 지역 관광 지구의 토지 이용에 대한 50년간의 사업권을 얻는 대가로 9.42억달러를 북한 측에 지불했다.[10] 그러나 금강산 관광이 예정대로 시작되지 않자, 정주영 명예회장은 10월에 다시 방북하여 김정일과 직접 면담하고 금강산 관광 개시 약속을 받아냈다. 1998년 11월 18일, 강원도 동해시에서 금강산 관광선이 처음으로 출항하면서 금강산 관광 사업이 시작되었다.

1999년 2월, 현대는 대북 사업을 전담하는 기업으로 현대아산을 설립하였다. 대북 사업은 처음부터 정주영 명예회장과 그의 다섯째 아들 정몽헌이 주도하였다.

2. 2. 금강산 관광 사업

1998년 11월, 분단 이후 처음으로 일반인들이 금강산을 관광할 수 있게 되면서 금강산 관광 사업이 시작되었다. 금강산의 아름다운 경치와 북한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였다.[10] 2008년까지 195만 명이 금강산을 방문했으며, 이곳은 이산가족 상봉, 남북 장관급 회담, 남북 공동 행사 등 남북 교류 협력의 장이자 한반도 평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2008년 7월에 발생한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으로 인해 금강산 관광은 중단되었고, 현대아산의 주력 사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12][13] 2019년 10월, 김정은은 금강산 내 남측 시설을 "보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는 낡은 시설"이라며 철거를 지시했고, "금강산이 남북 관계의 상징"이라는 인식을 비판했다.[6] 이는 남북 관계의 경색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조선일보동아일보는 북한의 위협적인 태도를 용인하는 문재인 정부의 저자세 대응이 문제라고 비판했다.[6][10][14][15][16] [17][18][19][20][21]

2. 3. 개성공단 개발 사업

2003년 6월 현대아산은 개성공단 개발사업을 착공했다. 이 사업은 개성시에 총 2000만 평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남측의 자본과 기술, 북측의 노동력을 결합하여 '남북경제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1단계 100만 평 부지 조성 공사와 분양은 완료되었으며, 현대아산(시공)과 토지공사(자금 조달, 분양)가 공동 개발 사업자로서 역할을 분담했다. 현대아산은 공장 건축과 부지 조성 공사를 담당했다. 2008년 말, 개성공단에서는 87개 공장, 3만 6천 명의 남북 근로자가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다.

현대아산은 2000년대 초반 개성공단 부지 개발을 위해 북한에 고용되었다.[2] 개성공단은 총 124개의 기업이 북한의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여 중국과 경쟁하며 신발, 의류, 시계 등 저가 상품을 생산하는 공간이었다. 2016년 2월 갑작스러운 폐쇄 전까지 약 54,000명의 북한 주민이 개성공단에서 일했다.[2][3]

2. 4. 기타 사업

1999년 남북통일농구대회, 2003년 류경 정주영 체육관 개관 행사 개최 등 체육·문화 교류 사업을 통해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백두산 관광 사업, SOC 개발 사업 등 사업 다각화를 추진했으나, 남북 관계 경색으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3. 대북 사업의 문제점 및 논란

현대아산의 대북 사업은 여러 문제점과 논란에 직면해 왔다. 금강산 관광 사업과 개성공단 사업은 북한과의 협력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동시에 정치적, 경제적, 윤리적 문제점 또한 드러냈다.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현대그룹은 여러 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할되었고, 정몽헌 회장은 형제들과의 권력 투쟁에 휘말렸다. 특히 현대자동차를 이끄는 형 정몽구와의 갈등은 '왕자의 난'으로 불리며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1]

현대아산은 김대중 전 대통령 정부 시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억 달러를 불법 송금하는 통로로 이용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 자금은 2000년 남북 정상 회담 성사를 위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1] 이와 관련하여 정몽헌 회장은 뇌물 수수 및 횡령 혐의로 재판을 받던 중 2003년 8월 4일 투신 자살했다.[1]

정몽헌 회장 사후, 부인 현정은 회장이 경영권을 승계했다. 대북 사업은 금강산 관광의 흑자 전환, 개성공단 건설 진척 등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 보였으나, 2006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강행으로 다시금 어려움에 직면했다.

금강산 관광은 북한 주민과의 교류가 제한되고, 관광 수익이 북한 정권으로 흘러 들어간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북한에 지불하는 거액의 관광료와 임금은 북한 정권 유지에 기여한다는 논란을 낳았다.

3. 1. 정치적 리스크

현대아산의 대북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2006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강행으로 현대아산의 대북 사업은 국내외의 비판을 받았으며, 사업의 불투명성이 커졌다.[11]

2008년 발생한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은 남북 관계의 취약성과 사업의 위험성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사건으로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어 현대아산의 주력 사업이 사라졌고, 임직원의 약 85%를 감축해야 했다.[12][13]

김정은2019년 금강산의 남측 시설을 '보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는 낡은 시설'이라고 비판하며 철거를 지시했다.[6][10] 이는 남북 관계가 발전하지 않으면 금강산 관광도 할 수 없다는 기존의 인식을 비판한 것으로, 사업 주체인 현대아산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남북 관계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켰다. 조선일보동아일보는 이러한 북한의 태도에 대해 북한에 유화적인 문재인 정부의 저자세 대응이 문제를 악화시켰다고 비판했다.[6][10][14][15][16] [17][18][19][20][21]

3. 2. 경제적 타당성 논란

현대그룹의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은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라는 비판과 함께, 북한 정권 유지에 기여한다는 논란이 있다. 사업 초기 막대한 투자 비용과 운영 비용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상황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면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19][24][25]

북한 노동자 임금의 대부분이 북한 당국으로 흘러 들어간다는 점은 사업의 윤리적 문제점을 제기한다.[11] 금강산 관광 사업에서는 처음 월 100억 이상에 달하는 거액의 관광료를 북한 측에 지불했다. 현재는 지불액이 줄었지만, 일반적인 2박 3일 관광의 경우 1인당 80USD의 관광료를 북한 측에 지불하고 있다.

항목내용
금강산 관광 사업 10년 간 지불 금액5597억 (현재 환율로 511억)
현대아산 시설 투자 누계액2268억 (약 210억)
금강산 사업 총 투자액7670억 (약 710억)
금강산 관광 중단 이후 10년 간 영업 손실2247억 (약 208억)
매출 손실 추정액1.5조 (약 1388억)


3. 3. 남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현대아산의 대북 사업은 남북 간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상호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의 갈등, 대한민국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의존성 등은 남북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현대아산은 김대중 전 대한민국 대통령 정부로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억 달러를 불법적으로 송금하는 통로로 이용되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1] 이 자금은 2000년 남북 정상 회담에 김정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자를 참석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1]

현대아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산업 단지와, 국경을 넘는 도로 및 철도 노선을 건설하고 있다.[1]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어려움으로 인한 프로젝트 지연은 회사에 심각한 재정적 압박을 가했다.[1]

현대아산은 2000년대 초반 개성공단 부지를 개발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 고용되었다.[2] 개성공단은 총 124개의 기업이 북한의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여 중국과 경쟁하며 신발, 의류, 시계 등 저가 상품을 생산했으며, 2016년 2월 갑작스러운 폐쇄 전까지 약 54,000명의 북한 주민을 고용했다.[2][3]

4. 연혁

참조

[1] 웹사이트 Indicted Hyundai Executive Plunges to Death in Seoul https://www.nytimes.[...] 2003-08-04
[2] Newsweek An Oasis of Capitalism https://web.archive.[...] Newsweek 2005-09-19
[3] 뉴스 What is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https://www.bbc.com/[...] 2016-02-10
[4] 웹사이트 현대아산(주) 2024년 재무정보 https://www.saramin.[...] 2024-02-24
[5] 웹사이트 現代峨山四半期報告書(2023年11月14日) https://dart.fss.or.[...] 2024-02-24
[6] 웹사이트 北朝鮮、韓国との実務協議拒否 金剛山観光施設めぐり https://www.afpbb.co[...] 2019-10-31
[7] 웹사이트 「見ただけで気分が悪くなる」金正恩氏、金剛山の韓国施設を罵倒 https://dailynk.jp/a[...] 2019-10-31
[8] 웹사이트 金剛山視察した金正恩氏、「南側の施設に気分が悪くなる… 残さず撤去しろ」 https://fnnews.jp/ar[...] 2019-10-23
[9] 웹사이트 金正恩視察金剛山下令 朝鮮發函通知韓國拆設施 http://www.rfi.fr/tw[...] 2019-10-26
[10] 웹사이트 ホテル・病院・すり鉢ホールのゴルフ場…金正恩の一言で撤去危機の金剛山施設-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q[...] 2019-10-29
[11] 웹사이트 鄭夢憲(チョン・モンホン) 韓国・現代グループの御曹司、自殺 {{!}} 時事用語事典 {{!}} 情報・知識&オピニオン imidas - イミダス https://imidas.jp/ho[...] 2019-10-31
[12] 웹사이트 ホテル・病院・すり鉢ホールのゴルフ場…金正恩の一言で撤去危機の金剛山施設-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Z[...] 2019-10-29
[13] 웹사이트 現代峨山、釜山市と北朝鮮観光を共同推進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8-11-05
[14] 웹사이트 「 見るだけでも気分が悪くなる」 金正恩氏が先代・金正日の金剛山観光事業を非難 http://www.donga.com[...] 2019-10-24
[15] 웹사이트 正恩氏、金剛山の韓国施設撤去を指示「前任者らの政策誤り」 韓国揺さぶる狙いか https://mainichi.jp/[...] 2019-10-31
[16] 웹사이트 金剛山観光中止が誰のせいだと思って「南側施設撤去」と脅迫するのか http://www.donga.com[...] 2019-10-24
[17] 웹사이트 金正恩委員長、金剛山の韓国側施設撤去を指示「南への依存政策は誤り」-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9[...] 2019-10-28
[18] 웹사이트 北朝鮮が韓国との対面拒否 金剛山撤去、めど立たず(写真=AP) https://www.nikkei.c[...] 2019-10-31
[19] 웹사이트 北朝鮮、中国の後ろ盾信じて「金剛山圧迫」…ジレンマに陥った韓国(1) https://japanese.joi[...] 2019-10-31
[20] 웹사이트 金剛山への未練を捨てきれない韓国政府、国連制裁迂回策を模索中 http://www.chosunonl[...] 2019-10-31
[21] 웹사이트 金剛山旅遊中斷是誰造成的?居然要威脅“撤除韓方設施” http://www.donga.com[...] 2019-10-24
[22] 웹사이트 ホテル・病院・すり鉢ホールのゴルフ場…金正恩の一言で撤去危機の金剛山施設-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Z[...] 2019-10-29
[23] 웹사이트 韓国がカネで取り上げた金剛山 「北朝鮮人民立ち入り禁止」でどこが「南北交流」?(石丸次郎)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19-10-31
[24] 웹사이트 ホテル・病院・すり鉢ホールのゴルフ場…金正恩の一言で撤去危機の金剛山施設-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q[...] 2019-10-29
[25] 웹사이트 金剛山の韓国側施設撤去を指示 金正恩氏が現地視察 https://www.fnn.jp/p[...] 2019-10-31
[26] 웹사이트 現代グループ会長が8月3日にも訪朝…金剛山観光再開を議論か https://japanese.joi[...] 2019-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