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스쿠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스쿠프는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생산된 현대자동차의 쿠페형 승용차이다. 1985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89년 도쿄 모터쇼에서 프로토타입이 공개되었으며, 1990년 2월에 정식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미쓰비시의 엔진을 사용하였으나, 1991년부터 현대 자체 개발 엔진인 알파 엔진을 탑재했다. 스쿠프는 젊은 층에게 인기를 얻었지만, 주행 성능에 대한 논란과 사고 발생으로 인한 부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총 242,441대가 생산되었으며, 1996년 티뷰론으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차량 보존의 어려움으로 인해 남아있는 차량이 드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도입된 자동차 - 쌍용 코란도 훼미리
쌍용 코란도 훼미리는 쌍용자동차에서 생산된 SUV 차량으로 다양한 엔진과 사양으로 출시되었으며, 4륜 구동 방식과 초기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에서 5링크 코일 스프링으로 변경된 서스펜션을 채택하고, 여러 미디어 작품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다. - 1988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시마
닛산 시마는 1988년에 출시되어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인기를 얻은 닛산의 고급 세단으로, 여러 차례의 모델 변화와 해외 수출, 그리고 닛산 푸가의 롱 휠베이스 버전으로 부활했지만 2022년에 단종되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소형 승용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소형 승용차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현대 스쿠프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생산 기간 | 1990년~1995년 |
차종 | 스포츠카 |
차체 스타일 | 2도어 쿠페 |
엔진 | 1.5 L 시리우스 I4 1.5 L 알파 I4 1.5 L 알파 터보 I4 |
변속기 | 5단 수동 4단 자동 |
축간거리 | 2385 mm |
전장 | 4215 mm |
전폭 | 1625 mm |
전고 | 1330 mm |
조립 장소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현대정공) |
후속 차종 | 현대 티뷰론 |
관련 차종 | 현대 엑셀 (X2) |
구동 방식 | 전륜 구동 |
설계자 | 박종서 |
명칭 | |
한국어 | 현대 스쿠프 |
영어 | Hyundai Scoupe |
일본어 | ヒュンダイ・スクープ (Hyundai Sukūpu) |
2. 역사
스쿠프 개발은 1985년에 시작되었다. 1989년 도쿄 모터쇼에서 현대자동차는 "스포츠 룩킹 카(Sports-looking Car)"(SLC) 콘셉트카를 선보였다.[2] 1990년 2월에 정식 생산이 시작되었으며, 개발에는 5210억원이 소요되었다.[2]
구동계통과 하부는 엑셀/포니와 거의 동일했지만, 가속 성능을 개선하고 스포티한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해 기어비가 조정되었다.[3] 초기에는 미쓰비시의 1.5L 오리온 MPI 엔진을 탑재했다.
1991년 4월,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1.5L 알파 엔진이 탑재되었다. 같은 해 10월에는 알파 엔진의 터보 사양이 추가되었다.[15]
1992년 7월, 전후 램프가 가로로 길어지는 등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다.[15] 1995년까지 생산되었다.
당시 대한민국에서는 스포츠 쿠페가 수입차밖에 없었기 때문에 출시 초기부터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스포츠카"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들의 무리한 운전으로 인한 사고가 잦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기도 했다.
총 242,441대가 생산되었으며, 국내에서 63,998대, 수출용으로 178,443대가 판매되었다.[2] 1996년에 티뷰론으로 대체되었다.
2. 1. 1세대 (SLC, 1990년 2월 ~ 1992년 6월)
1990년 2월 20일 'SLC(Sports Looking Car)'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개발된 스쿠프는 엑셀(X2)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총 개발비용은 5210억원이었다.[16] 출시 한 달 만에 5,000대의 계약을 돌파했으며, 당시 구매 고객 중 20대가 32.2%, 30대가 50.1%일 정도로 젊은 층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16] 스포티한 스타일, 플로팅 루프 C필러, 그리고 당시 국산차 최고 수준의 공기저항계수(Cd 0.30)가 인기 요인이었다.

초기 모델은 엑셀에 탑재되던 미쓰비시의 1.5L 오리온 MPI 엔진을 장착했고, 가속력 및 등판능력을 높이기 위해 최종감속비를 4.021에서 4.322로 높였다. 프론트 뷰는 엑셀(X2), 쏘나타(Y2)와 통일성을 이루었다. 초기 모델은 제로백 12.1초에 최고시속 174km/h의 성능을 발휘했다.
1991년 5월 1일부터는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1.5L 알파 엔진이 탑재되기 시작했다. 이 엔진은 최고 출력 102마력, 최고 속도 180km/h,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11.1초였다. 10월 1일에는 대한민국산 승용차 최초로 터보 엔진을 장착한 스쿠프 터보가 출시되었다. 스쿠프 터보는 가레트 T-2 터보 차저와 인터쿨러를 더해 제로백 8.00초에 최고 속도 220km/h의 성능을 냈다.[17] 높아진 출력에 대응하기 위해 쏘나타의 등속 조인트를 가져왔으며, 토크 스티어를 방지하기 위해 센터 드라이브 샤프트를 추가 장착하여 등속 조인트 길이를 대칭으로 맞추었다. 다만 인터쿨러가 없어 엔진 출력이 외부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고 엔진 과열 문제도 있었다.
브레이크는 전륜 V 디스크와 후륜 드럼 브레이크가 장착되었으며, X자형 시스템으로 한쪽 라인에 이상이 생겨도 나머지가 정상 작동하도록 했다. 휠은 알루미늄 휠이 옵션으로 장착되었고, 타이어는 초편평 60시리즈(R60)가 장착되어 코너링 시 타이어 변형을 최대한 줄였다.
스쿠프는 대한민국 자동차 회사 최초로 자사에서 개발한 1.5L 알파 엔진과 국산차 최초로 터보 차저가 탑재된 가솔린 엔진을 장착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2. 1. 1. 라인업
LSLS 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