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토피 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모토피 군은 위상 공간의 모양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대수적 불변량이다. n차원 초구에서 주어진 공간으로 가는 연속 함수들의 호모토피류로 정의되며, 호모토피 불변량이다. 호모토피 군은 호모토피 이론의 기본이며, 모델 범주의 발전을 이끌었다. 계산 방법으로는 세르 섬유화, 후레비치 정리, 세르 스펙트럼 열 등이 사용되며, 한국의 수학자들도 이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두 위상 공간 , 에 대하여, 는 연속 함수들의 호모토피류들의 집합이다. 마찬가지로, 점을 가진 공간 , 에 대하여, 는 점을 보존하는 연속 함수들의 호모토피류들의 집합이다.
세르 올뭉치(Serre fibration) 에서 밑점 을 고르고, 가 경로 연결 공간이라고 가정하면, 호모토피 군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긴 완전열이 존재한다.
2. 정의
임의의 점을 가진 공간 의 '''차 호모토피 군'''(th homotopy group of 영어) 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은 (임의로 밑점을 준) 차원 초구이다.
일 경우 군 안에서의 연산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먼저 초구 을 하이퍼큐브 의 경계를 한 점으로 이어붙인 공간으로 본다.
:
:
그렇다면 호모토피 군에 속하는 두 연속 함수 는 하이퍼큐브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들의 호모토피류 로 나타낼 수 있다. 호모토피 군에서의 연산은 다음과 같은 연산으로부터 정의할 수 있다.
:
이 연산은 호모토피 불변이며, 또한 군의 구조를 만족한다는 사실을 보일 수 있다.
정수 계수의 1차 호모토피 군을 특별히 ‘기본군’이라고 부른다.
아벨 군 및 양의 정수 에 대하여, 피터슨 공간 은 n차원에서만 유일하게 축소 코호몰로지 G를 갖는 위상 공간이다.[10]
:
에 임의로 밑점을 잡았을 때, ''' 계수의 차 호모토피 군'''(th homotopy group of with coefficients in 영어) 는 다음과 같다.[9][10]
:
일 경우 초구 은 피터슨 공간 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 정의는 위의 정의의 일반화라고 할 수 있다.
위상수학과 군 사이의 연결을 통해 수학자는 군론의 통찰력을 위상수학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위상적 대상이 서로 다른 호모토피 군을 가지면, 그것들은 같은 위상적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이것은 위상적인 방법만을 사용하여 증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러스는 구와는 다르다. 토러스에는 "구멍"이 있지만 구에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속성(위상수학의 기본적인 개념)은 국소적인 구조만을 다루므로, 명백한 대역적인 차이를 형식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호모토피 군은, 대역적인 구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토러스 ''T''의 1차 호모토피 군은
:
이다. 왜냐하면 토러스의 보편 피복은 복소 평면 이고, 토러스 로 사영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몫은 군이나 환의 범주가 아닌 위상 공간의 범주에서의 것이다. 반면에 구 는
:
을 만족한다. 왜냐하면 모든 루프는 상수 함수로 수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것과 더 복잡한 호모토피 군의 예는 구의 호모토피 군 참조).
따라서 토러스는 구와 위상동형이 아니다.
''n''차원 구 ''S''''n''에서, 밑점 ''a''를 선택한다. 밑점 ''b''를 갖는 공간 ''X''에 대해, 를, 밑점 ''a''를 밑점 ''b''로 사상하는 사상
:''f'' : ''S''''n'' → ''X''
의 호모토피류 전체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특히, 동치류는 구면의 밑점상 상수인 호모토피에 의해 주어진다. 동치인 것으로, 를 ''n''차원 입방체에서 ''X''로의, ''n''차원 입방체의 경계를 ''b''로 사상하는 사상 ''g'': [0,1]''n'' → ''X''의 호모토피류의 군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umb
''n'' ≥ 1에 대해, 호모토피류 전체는 군을 이룬다. 군 연산을 정의하기 위해, 다음을 기억하자. 기본군에서, 두 루프 ''f''와 ''g''의 곱 ''f'' ∗ ''g''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기본군에서의 합성 아이디어는, 첫 번째 길을 따라가고 이어서 두 번째 길을 따른다는 것, 또는 같은 의미로, 이들 두 개의 정의역을 함께 한다는 것이다. ''n''차 호모토피 군에 대해 원하는 합성 개념은 다음 점을 제외하고 같다. 지금 정의역은 입방체이며, 면을 따라 붙여야 한다. 따라서 사상 ''f'', ''g'': [0,1]''n'' → ''X''의 합을 다음 식으로 정의한다.
:()() = () for in [0, 1/2]
:()() = () for in [1/2, 1].
구면의 경우에 대응하는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사상 ''f'', ''g'': ''S''''n'' → ''X''의 합 ''f'' + ''g''를, 를 ''h''와 합성한 것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는 적도를 찌그러뜨리는 ''S''''n''에서 두 개의 ''n''차원 구면의 쐐기 합으로의 사상이고, ''h''는 첫 번째 구면상에서는 ''f'', 두 번째 구면상에서는 ''g''로 정의된, 두 개의 ''n''차원 구면의 웨지 합에서 ''X''로의 사상이다.
''n'' ≥ 2이면, 는 아벨 군이다. 또한, 기본군과 마찬가지로, 호상 연결 공간에 대해서는 밑점을 어디로 잡든 동형인 이 생긴다.
밑점을 생략함으로써 호모토피 군의 정의를 단순화하려는 것은 매력적이지만, 이것은 단연결이 아닌 공간에 대해서는, 호상 연결 공간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잘 되지 않는다. 구면에서 호상 연결 공간으로의 사상의 호모토피류 전체의 집합은, 호모토피 군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호모토피 군상의 기본군의 궤도의 집합이며, 일반적으로 자연스러운 군 구조를 갖지 않는다.
''A''를 ''X''의 부분 공간으로 할 때, 쌍 (''X'', ''A'')에 대해 상대 호모토피 군 도 있다. 이러한 군의 원소는 경계 ''S''''n''−1을 ''A'' 안에 사상하는 based map ''Dn → X''의 호모토피류이다. 두 사상 ''f'', ''g''가 '''상대적으로''' ''A''에 대해 호모토픽하다는 것은, 각 ''p'' ∈ ''S''''n''−1와 ''t'' ∈ [0, 1]에 대해 원소 ''F''(''p'', ''t'')가 ''A''에 들어가는 기점을 보존하는 호모토피 ''F'': ''Dn'' × [0,1] → ''X''에 의해 호모토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호모토피 군은 ''A''가 기점인 특별한 경우이다.
이러한 군은 ''n'' ≥ 3에 대해 가환이지만, ''n'' = 2에 대해서는 bottom group 의 top group을 이룬다.
상대 호모토피 군의 긴 완전열이 있다.
3. 성질
:
특이 호몰로지는 쐐기합과 같은 당김에 대하여 간단하지만, 밂에 대해서는 복잡하다. 반면 호모토피 군은 밂에 대하여 간단하지만 당김에 대하여 복잡하다. 특히, 공간들의 쐐기합의 호모토피 군은 일반적으로 복잡하다. 다만, 기본군의 경우, 쐐기합의 기본군은 군의 자유곱이다. 초구의 쐐기합의 기본군은 '''힐튼 정리'''(Hilton’s theorem영어)에 의하여 주어진다.[11]
보다 일반적으로, 존 밀너는 힐튼 정리를 '''힐튼-밀너 정리'''(Hilton–Milnor theorem영어)로 일반화하였다.[12] 이에 따르면, 연결 CW 복합체 이 주어졌을 때, 그 쐐기합 의 현수 의 고리 공간
:
은 들의 분쇄곱의 고리 공간들의 특정한 무한 곱공간과 호모토피 동치이다.
4. 계산 방법
:
여기서 에 대한 사상들은 군 준동형이 아니라 단순히 함수이지만, 여전히 완전열을 이룬다 (즉, 상이 핵과 일치한다).[10]
예를 들어 호프 섬유화(Hopf fibration)에서 를 , 를 으로 두고, 를 호프 섬유화로 두면 섬유는 이다. 긴 완전열
:
과 일 때 라는 사실로부터, 일 때 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다.
덮개 공간의 경우, 섬유가 이산적일 때, 에 대해 는 와 동형이고, 모든 양의 에 대해 는 단사적으로 에 포함되며, 의 포함에 해당하는 의 부분군은 섬유의 원소와 전단사하는 잉여류를 갖는다.
호모토피 군은 특이 호몰로지 과 관련이 있다. 후레비치 준동형(Hurewicz homomorphism영어)이라는 자연스러운 함수
:
가 존재하며, 일 경우 이는 군 준동형을 이룬다. ''n''-연결 공간의 어떤 호모토피 군은 후레비츠 정리를 이용하여 호몰로지 군과 비교하여 계산할 수 있다.[2]
세르 스펙트럼 열은 올뭉치의 전체 공간의 호모토피 군을 밑공간과 올의 호모토피 군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도구이다.[6]
경로 연결 공간 의 호모토피 군들 위에는 '''화이트헤드 괄호'''(Whitehead bracket영어)라는 연산이 존재한다.[13]
:
이는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시킨다.[14]
기본군은 자이페르트-판 캄펜 정리를 사용하여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반면, 고차 호모토피 군의 계산은 (심지어 초구와 같은 간단한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5. 예시
:
:
:
:
: (자명군) ()
π1 | π2 | π3 | π4 | π5 | π6 | π7 | π8 | π9 | π10 | π11 | π12 | π13 | π14 | π15 | |
---|---|---|---|---|---|---|---|---|---|---|---|---|---|---|---|
S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S1 | ℤ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S2 | 0 | ℤ | ℤ | ℤ2 | ℤ2 | ℤ12 | ℤ2 | ℤ2 | ℤ3 | ℤ15 | ℤ2 | ℤ22 | ℤ12×ℤ2 | ℤ84×ℤ22 | ℤ22 |
S3 | 0 | 0 | ℤ | ℤ2 | ℤ2 | ℤ12 | ℤ2 | ℤ2 | ℤ3 | ℤ15 | ℤ2 | ℤ22 | ℤ12×ℤ2 | ℤ84×ℤ22 | ℤ22 |
S4 | 0 | 0 | 0 | ℤ | ℤ2 | ℤ2 | ℤ×ℤ12 | ℤ22 | ℤ22 | ℤ24×ℤ3 | ℤ15 | ℤ2 | ℤ23 | ℤ120×ℤ12×ℤ2 | ℤ84×ℤ25 |
S5 | 0 | 0 | 0 | 0 | ℤ | ℤ2 | ℤ2 | ℤ24 | ℤ2 | ℤ2 | ℤ2 | ℤ30 | ℤ2 | ℤ23 | ℤ72×ℤ2 |
S6 | 0 | 0 | 0 | 0 | 0 | ℤ | ℤ2 | ℤ2 | ℤ24 | 0 | ℤ | ℤ2 | ℤ60 | ℤ24×ℤ2 | ℤ23 |
S7 | 0 | 0 | 0 | 0 | 0 | 0 | ℤ | ℤ2 | ℤ2 | ℤ24 | 0 | 0 | ℤ2 | ℤ120 | ℤ23 |
S8 | 0 | 0 | 0 | 0 | 0 | 0 | 0 | ℤ | ℤ2 | ℤ2 | ℤ24 | 0 | 0 | ℤ2 | ℤ×ℤ120 |
- 연결 리 군 의 호모토피 군은 다음과 같다.
- * (자명군)
- * 는 유한 생성 아벨 군
- * (자명군)
- * 는 자유 유한 생성 아벨 군 (즉, 의 꼴)
- 흔히 쓰이는 리 군의 호모토피 군은 다음과 같다.
군 | π0 | π1 | π2 | π3 | π4 | π5 | π6 | π7 | π8 | π9 | π10 | π11 | π12 |
---|---|---|---|---|---|---|---|---|---|---|---|---|---|
U(1) | 0 | ℤ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U(2) | 0 | ℤ | 0 | ℤ | ℤ2 | ℤ2 | ℤ12 | ℤ2 | ℤ2 | ℤ3 | ℤ15 | ℤ2 | (ℤ2)2 |
U(3) | 0 | ℤ | 0 | ℤ | 0 | ℤ | ℤ6 | ||||||
U(4)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
U(5)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
U(6)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군 | π0 | π1 | π2 | π3 | π4 | π5 | π6 | π7 | π8 | π9 |
---|---|---|---|---|---|---|---|---|---|---|
O(1) | ℤ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O(2) | ℤ2 | ℤ | 0 | 0 | 0 | 0 | 0 | 0 | 0 | 0 |
O(3) | ℤ2 | ℤ2 | 0 | ℤ | ℤ2 | ℤ2 | ℤ12 | ℤ2 | ℤ2 | ℤ3 |
O(4) | ℤ2 | ℤ2 | 0 | ℤ2 | (ℤ2)2 | (ℤ2)2 | (ℤ12)2 | (ℤ2)2 | (ℤ2)2 | (ℤ3)2 |
O(5) | ℤ2 | ℤ2 | 0 | ℤ | ℤ2 | ℤ2 | 0 | ℤ | 0 | 0 |
O(6) | ℤ2 | ℤ2 | 0 | ℤ | 0 | ℤ | 0 | ℤ | ℤ24 | ℤ2 |
O(7) | ℤ2 | ℤ2 | 0 | ℤ | 0 | 0 | ||||
O(8) | ℤ2 | ℤ2 | 0 | ℤ | 0 | 0 | 0 | |||
O(9) | ℤ2 | ℤ2 | 0 | ℤ | 0 | 0 | 0 | ℤ | ||
O(10) | ℤ2 | ℤ2 | 0 | ℤ | 0 | 0 | 0 | ℤ | ℤ2 | |
O(11) | ℤ2 | ℤ2 | 0 | ℤ | 0 | 0 | 0 | ℤ | ℤ2 | ℤ2 |
군 | π0 | π1 | π2 | π3 | π4 | π5 | π6 | π7 | π8 | π9 | π10 | π11 | π12 | π13 |
---|---|---|---|---|---|---|---|---|---|---|---|---|---|---|
Sp(1) | 0 | 0 | 0 | ℤ | ℤ2 | ℤ2 | ℤ12 | ℤ2 | ℤ2 | ℤ3 | ℤ15 | ℤ2 | (ℤ2)2 | |
Sp(2) | 0 | 0 | 0 | ℤ | ℤ2 | ℤ2 | 0 | ℤ | 0 | 0 | ℤ120 | ℤ2 | (ℤ2)2 | |
Sp(3) | 0 | 0 | 0 | ℤ | ℤ2 | ℤ2 | 0 | ℤ | 0 | 0 | 0 | ℤ | ℤ2 | ℤ2 |
6. 응용
호모토피 군은 위상 공간을 분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토러스와 구는 서로 다른 호모토피 군을 가지므로 위상 동형이 아니다. 토러스의 첫 번째 호모토피 군은 이고, 구의 첫 번째 호모토피 군은 이다. 이는 토러스에는 "구멍"이 있고, 구에는 없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호모토피 군은 호모토피 이론의 기본이며, 단순 집합에 대해 추상적인 호모토피 군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모토피 군은 호몰로지 군과 유사하게 위상 공간의 "구멍"을 나타낼 수 있지만, 호몰로지 군과 달리 가환군이 아니어서 계산하기 더 어려운 경우가 많다.[7]
7. 한국과의 관련성
대한민국의 수학자들은 호모토피 이론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의 대수적 위상수학 연구는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여러 학술 대회와 연구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고등과학원(KIAS),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등에서 호모토피 이론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참조
[1]
Citation
Marie Ennemond Camille Jordan
http://www-history.m[...]
[2]
문서
For a proof of this, note that in two dimensions or greater, two homotopies can be "rotated" around each other. See [[Eckmann–Hilton argument]].
[3]
문서
see [[Allen Hatcher#Books]] section 4.1.
[4]
서적
Fiber Bundles
Springer
1994
[5]
논문
On manifolds homeomorphic to the 7-sphere
1956
[6]
논문
A colimit of classifying spaces
[7]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homology
https://www.youtube.[...]
2012
[8]
Citation
Marie Ennemond Camille Jordan
http://www-history.m[...]
[9]
서적
The K-book: an introduction to algebraic K-theory
https://math.rutger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3-05-18
[10]
저널
Homotopy groups with coefficients
http://www.math.roch[...]
2010-12
[11]
저널
On the homotopy groups of the union of spheres
[12]
서적
Algebraic topology—a student’s guid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저널
On adding relations to homotopy groups
https://archive.org/[...]
1941-04
[14]
서적
Algebraic geometry and topology. A symposium in honor of S. Lefschetz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7
[15]
저널
Analysis situs
http://gallica.bnf.f[...]
1895
[16]
서적
Verhandlungen des Internationalen Mathematiker-Kongresses: Zürich 1932. Zweiter Band
O. Füssli
1932
[17]
저널
Beiträge zur Topologie der Deformationen I. Höherdimensionale Homotopiegruppen
1935
[18]
저널
Beiträge zur Topologie der Deformationen II. Homotopie- und Homologiegruppen
1935
[19]
저널
Beiträge zur Topologie der Deformationen III. Klassen und Homologietypen von Abbildungen
1936
[20]
저널
Beiträge zur Topologie der Deformationen IV. Asphärische Räume
1936
[21]
저널
Generalized cohomotopy groups
https://archive.org/[...]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