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어는 인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주로 자르칸드 주, 오디샤 주, 서벵골 주, 마디아프라데시 주에 분포한다. 호어는 다양한 닿소리와 모음을 가지며,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적 형태론을 따른다. 라틴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 와랑 치티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되며, 와랑 치티 문자는 지역 지식인들에 의해 장려되고 있다. 호어는 교육, 대중매체, 문학 분야에서 사용되며, 오디샤 주와 자르칸드 주에서는 초등 교육에 도입되었다. 현재 인도 헌법 제8부속표에 등재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다어파 - 산탈어
    산탈어는 인도,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7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문다어족 언어로, 올치키 문자의 개발로 문자화되었으며, 인도 대학 교육 도입 결정으로 사회적 지위 향상과 교육 기회 확대가 기대되지만, 보존과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문다어파 - 문다리어
    문다리어는 인도 동부에서 사용되는 문다어족 언어로, 인도차이나에서 유입되어 자르칸드와 오디샤 주를 중심으로 110만 명 이상이 사용하며, 하사다, 나구리, 타마리아 등의 방언과 문다리 바니 문자 체계를 가진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호어
지도 정보
호어 사용 지역 분포도
호어 사용 지역 분포도
호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서 취약 등급으로 분류됨
호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서 취약 등급으로 분류됨
기본 정보
언어 이름호어
고유 이름(와랑 치티)
(데바나가리)
(오리야 문자)
(벵골 문자)
사용 지역인도
사용자호족
사용 인구1,421,418명 (2011년 인구 조사)
'Hō jagar'를 [[Warang Citi|와랑 치티]]로 표기
'Hō jagar'를 와랑 치티로 표기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아시아 어족
어파문다어파
하위 분류북부 문다어군
분기군케르와르어군
세부 분기군문다리어군
문자 체계
문자와랑 치티
데바나가리 문자
라틴 문자
오리야 문자
공용어 인정
국가인도
추가 인정자르칸드 주
언어 코드
ISO 639-3hoc
Glottologhooo1248
언어 보존 상태
UNESCO취약

2. 지리적 분포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호어 사용자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9]



호어 사용자의 절반 정도는 자르칸드주의 서싱브훔 지구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호어 사용자는 다수를 차지한다.[9] 또한 호어 사용자들은 자르칸드 주 남부의 동싱브훔 지구와 오디샤주 북부의 마유르반지구 및 케온자르구 지구에서도 발견된다.[9]

2. 1. 자르칸드 주

호어 사용자의 절반 정도는 자르칸드 주의 서싱브훔 지구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호어 사용자는 다수를 차지한다.[9] 또한 호어 사용자들은 자르칸드 주 남부의 동싱브훔 지구와 오디샤 주 북부의 마유르반지구 및 케온자르구 지구에서도 발견된다.[9]

2. 2. 오디샤 주

호어 사용자의 절반 정도는 자르칸드주의 서싱브훔 지구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호어 사용자는 다수를 차지한다.[9] 또한 호어 사용자들은 자르칸드 주 남부의 동싱브훔 지구와 오디샤 주 북부의 마유르반지 및 케온자르 지구에서도 발견된다.[9]

2. 3. 기타 지역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호어는 서벵골 주에서 0.4%, 마디아프라데시 주에서 0.2% 사용된다.[9] 호어 사용자의 절반 정도는 자르칸드 주의 서싱브훔 지구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호어 사용자는 다수를 차지한다. 또한 호어 사용자들은 자르칸드 주 남부의 동싱브훔 지구와 오디샤 주 북부의 마유르반지 및 케온자르 지구에서도 발견된다.

3. 음운

3. 1. 닿소리 (자음)

호어는 양순음, 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을 조음 위치로 하는 다양한 닿소리를 가지고 있다.

colspan=2 |양순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파찰음무성음ptʈt͡ɕkʔ
유성음bdɖd͡ʑɡ
마찰음sh
유음탄음ɾɽ
설측음l
반모음jw



/b, ɖ/는 어말 위치에서 성문폐쇄음화된 [ˀb̥̚, ˀɖ̥̚]로, /b/는 자음 사이 위치에서 마찰음 [β]로 들릴 수 있다. /ɳ/은 음소 분포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두음 앞의 /n/의 실현으로 나타난다.[10]

3. 2. 홀소리 (모음)

호어는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뉜다. 또한 구강 모음과 비강 모음으로 구분된다.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 iː, ĩu, uː, ũ
중모음e, eː, ẽo, oː, õ
저모음a, aː, ã



구강 모음은 다음과 같다.

구강 모음
전설 모음중앙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 iːu uː
중모음e eːo oː
저모음a aː



비강 모음은 다음과 같다.

비음 모음
전설 모음중앙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ĩũ
중모음õ
저모음ã


4. 문법

다른 문다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호어는 주로 접미사를 사용하는 교착어적 굴절 형태론을 가지고 있으며, 목적격 주어-목적어 일치(accusative morphosyntactic alignment)를 따른다. 문다어족 언어들이 단어 종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호어에서는 어떤 단어 종류의 단어라도 동사로 기능할 수 있다. 호어는 원래 관계대명사가 없으며, 종속절을 형성하기 위해 종상(aspect), 목적어, 타동성을 포함하지만 법(mood) 표지가 없는 동사의 분사 형태에 의존한다.

호어는 다른 문다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주로 접미사를 사용하는 교착어적 굴절 형태론을 가지고 있으며, 목적격 주어-목적어 일치(accusative morphosyntactic alignment)를 따른다. 문다어족 언어들이 단어 종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호어에서는 어떤 단어 종류의 단어라도 동사로 기능할 수 있다. 호어는 원래 관계대명사가 없으며, 종속절을 형성하기 위해 종상(aspect), 목적어, 타동성을 포함하지만 법(mood) 표지가 없는 동사의 분사 형태에 의존한다.

호어의 명사에는 수, 소유, 조격 접미사가 붙으며, 양도 가능 소유와 양도 불가능 소유가 구분된다. 호어는 단수, 쌍수(이중수), 복수를 구분하며, 수 접미사는 일반적으로 기본 명사와 분리하여 쓴다.

소유격
단수쿨라/Kulahoc "호랑이"쿨라아크/Kulaaḱhoc "호랑이의"
쌍수쿨라 킨/Kula kinhoc "호랑이 두 마리"쿨라 키나크/Kula kinaḱhoc "두 호랑이의"
복수쿨라 코/Kula kohoc "호랑이들"쿨라 코아크/Kula koaḱhoc "호랑이들의"



양도 가능한 소유물의 구성은 양도 불가능한 소유물과 다르다. 예를 들어 엔 에라아크 콜롬/En Eraaḱ Kolomhoc "그 여자의 타작마당"과 엔 에라 가운테/En Era Gauńtehoc "그 여자의 이모"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양도 불가능한 소유물에 대한 접미사는 단수형에서만 나타난다.

1인칭 소유자2인칭 소유자3인칭 소유자
단수가운/Gauńhoc "이모"가운인/Gauńhoc "내 이모"가운메/Gauńmehoc "너의 이모"가운테/Gauńtehoc "그/그녀의 이모"
이중가운 킨/Gauń kinhoc "두 명의 이모"가운인 테킨/Gauń tekinhoc "내 두 이모"가운메 테킨/Gauńme tekinhoc "너의 두 이모"가운테 테킨/Gauńte tekinhoc "그/그녀의 두 이모"
복수가운 킨/Gauń kinhoc "두 명의 이모"가운인 테코/Gauń tekohoc "내 이모들"가운메 테코/Gauńme tekohoc "너의 이모들"가운테 테코/Gauńte tekohoc "그/그녀의 이모들"



호어의 인칭 대명사는 포함적 및 배타적 1인칭과 재귀적 및 지시적 3인칭을 구분한다.

인칭 대명사
colspan="3" |단수이중복수
1인칭배타적아/ańhoc알리/alińhoc알레/alehoc
포함적알라/alaṅhoc아부/abuhoc
2인칭암/amhoc아벤/abenhoc아페/apehoc
3인칭재귀적아/aćhoc아킨/akinhoc아코/akohoc
지시적근접네/nećhoc네킨/nekinhoc네코/nekohoc
원격에니/enićhoc엔킨/enkinhoc엔코/enkohoc
먼 거리하니/hanićhoc한킨/hankinhoc한코/hankohoc



의문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의문 대명사
생명체무생명체
지시적오코에/okoehoc오콘/okonhoc
비지시적치니/chinićhoc체나/chenaḱhoc



부정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부정 대명사
생명체무생명체
'어떤'자흐/jahćhoc자흐나/jahnaḱhoc
'다른'에타/eṭaḱćhoc에타카/eṭaḱaḱhoc



지시 형용사는 다음과 같다.

지시 형용사
단순특정
근접네/nehoc, 넨/nenhoc네아/neahoc, 네나/nenahoc
원격엔/enhoc에나/enahoc
먼 거리한/hanhoc하나/hanahoc



호어는 기수와 배수를 가지고 있다. 기수는 단축형과 장축형으로 나뉜다.

기수배수
단축형장축형단축형장축형
1밋/mit́hoc미앗/miat́hoc미밋/mimit́hoc미피앗/mípiat́hoc
2바르/barhoc바레아/bareahoc바바르/bábarhoc바바레아/bábareahoc
3아페/apéhoc아페아/apeahoc아페/ápéhoc아페아/ápeahoc
4우푼/upunhoc우푸네아/upuneahoc우푼/úpunhoc우푸네아/úpuneahoc
5모에/mõehoc모에아/mõeahoc모모에/mṍmõehoc모모에아/mṍmõeahoc
6투루이/turuihoc투루이에아/turuieahoc투투루이/túturuihoc투투루이에아/túturuieahoc
7아이/aihoc아이에아/aieahoc아이/áihoc아이에아/áieahoc
8이릴/irilhoc이릴레아/irileahoc이릴/írilhoc이릴레아/írileahoc
9아레/arehoc아레아/areahoc아레/árehoc아레아/áreahoc
10겔/gelhoc겔레아/geleahoc게겔/gégelhoc게겔레아/gégeleahoc
20히시/hisihoc히시아/hisiahoc히시/hísihoc히시아/hísiahoc



호어의 조사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라깃/lagit́hoc는 여격을 나타내며, 로크/loḱhoc는 함께 또는 동반의 의미를 지닌다. 파아/paahoc는 '~쪽으로', '~주위에'와 같은 방향성을 나타내고, rehoc는 처소나 위치를 의미한다. 판/paṅhoc는 시간, 시제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자파크/japaḱhoc는 가까이에 있음을 의미한다.

tehoc는 도구, 수단, 원인, 움직임, 방향, 향방 등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는 조사이다. lekahoc는 유사함을 나타내고, 타크/taḱhoc는 접속 기능을 한다. aetehoc는 이탈, 출처, 기원을 나타내는 조사이다. 그 외에 chetanhoc (위에), latarhoc (아래에), subahoc (밑에), jóṅhoc, jokahoc (종지), mutit́hoc (분배) 등의 조사가 있다.

dohoc는 주제를, gehoc는 강조를 나타내는 표지이다. chihoc는 의문을 나타내는 표지이며, mahoc는 '~에 관하여'라는 의미를 갖는다. renáhoc, rengáhoc는 강조어이고, toraṅhoc와 chiat́hoc는 추측을, batit́hoc는 깨달음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4. 1. 형태론

다른 문다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호어는 주로 접미사를 사용하는 교착어적 굴절 형태론을 가지고 있으며, 목적격 주어-목적어 일치(accusative morphosyntactic alignment)를 따른다. 문다어족 언어들이 단어 종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호어에서는 어떤 단어 종류의 단어라도 동사로 기능할 수 있다. 호어는 원래 관계대명사가 없으며, 종속절을 형성하기 위해 종상(aspect), 목적어, 타동성을 포함하지만 법(mood) 표지가 없는 동사의 분사 형태에 의존한다.

4. 2. 통사론

호어는 다른 문다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주로 접미사를 사용하는 교착어적 굴절 형태론을 가지고 있으며, 목적격 주어-목적어 일치(accusative morphosyntactic alignment)를 따른다. 문다어족 언어들이 단어 종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호어에서는 어떤 단어 종류의 단어라도 동사로 기능할 수 있다. 호어는 원래 관계대명사가 없으며, 종속절을 형성하기 위해 종상(aspect), 목적어, 타동성을 포함하지만 법(mood) 표지가 없는 동사의 분사 형태에 의존한다.

4. 3. 명사와 명사구

호어의 명사에는 수, 소유, 조격 접미사가 붙으며, 양도 가능 소유와 양도 불가능 소유가 구분된다. 호어는 단수, 쌍수(이중수), 복수를 구분하며, 수 접미사는 일반적으로 기본 명사와 분리하여 쓴다.

소유격
단수쿨라/Kulahoc "호랑이"쿨라아크/Kulaaḱhoc "호랑이의"
쌍수쿨라 킨/Kula kinhoc "호랑이 두 마리"쿨라 키나크/Kula kinaḱhoc "두 호랑이의"
복수쿨라 코/Kula kohoc "호랑이들"쿨라 코아크/Kula koaḱhoc "호랑이들의"



양도 가능한 소유물의 구성은 양도 불가능한 소유물과 다르다. 예를 들어 엔 에라아크 콜롬/En Eraaḱ Kolomhoc "그 여자의 타작마당"과 엔 에라 가운테/En Era Gauńtehoc "그 여자의 이모"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양도 불가능한 소유물에 대한 접미사는 단수형에서만 나타난다.

1인칭 소유자2인칭 소유자3인칭 소유자
단수가운/Gauńhoc "이모"가운인/Gauńhoc "내 이모"가운메/Gauńmehoc "너의 이모"가운테/Gauńtehoc "그/그녀의 이모"
이중가운 킨/Gauń kinhoc "두 명의 이모"가운인 테킨/Gauń tekinhoc "내 두 이모"가운메 테킨/Gauńme tekinhoc "너의 두 이모"가운테 테킨/Gauńte tekinhoc "그/그녀의 두 이모"
복수가운 킨/Gauń kinhoc "두 명의 이모"가운인 테코/Gauń tekohoc "내 이모들"가운메 테코/Gauńme tekohoc "너의 이모들"가운테 테코/Gauńte tekohoc "그/그녀의 이모들"


4. 4. 대명사

호어의 인칭 대명사는 포함적 및 배타적 1인칭과 재귀적 및 지시적 3인칭을 구분한다.

인칭 대명사
colspan="3" |단수이중복수
1인칭배타적아/ańhoc알리/alińhoc알레/alehoc
포함적알라/alaṅhoc아부/abuhoc
2인칭암/amhoc아벤/abenhoc아페/apehoc
3인칭재귀적아/aćhoc아킨/akinhoc아코/akohoc
지시적근접네/nećhoc네킨/nekinhoc네코/nekohoc
원격에니/enićhoc엔킨/enkinhoc엔코/enkohoc
먼 거리하니/hanićhoc한킨/hankinhoc한코/hankohoc



의문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의문 대명사
생명체무생명체
지시적오코에/okoehoc오콘/okonhoc
비지시적치니/chinićhoc체나/chenaḱhoc



부정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부정 대명사
생명체무생명체
'어떤'자흐/jahćhoc자흐나/jahnaḱhoc
'다른'에타/eṭaḱćhoc에타카/eṭaḱaḱhoc



지시 형용사는 다음과 같다.

지시 형용사
단순특정
근접네/nehoc, 넨/nenhoc네아/neahoc, 네나/nenahoc
원격엔/enhoc에나/enahoc
먼 거리한/hanhoc하나/hanahoc



4. 5. 수사

호어는 기수와 배수를 가지고 있다. 기수는 단축형과 장축형으로 나뉜다.

기수배수
단축형장축형단축형장축형
1밋/mit́hoc미앗/miat́hoc미밋/mimit́hoc미피앗/mípiat́hoc
2바르/barhoc바레아/bareahoc바바르/bábarhoc바바레아/bábareahoc
3아페/apéhoc아페아/apeahoc아페/ápéhoc아페아/ápeahoc
4우푼/upunhoc우푸네아/upuneahoc우푼/úpunhoc우푸네아/úpuneahoc
5모에/mõehoc모에아/mõeahoc모모에/mṍmõehoc모모에아/mṍmõeahoc
6투루이/turuihoc투루이에아/turuieahoc투투루이/túturuihoc투투루이에아/túturuieahoc
7아이/aihoc아이에아/aieahoc아이/áihoc아이에아/áieahoc
8이릴/irilhoc이릴레아/irileahoc이릴/írilhoc이릴레아/írileahoc
9아레/arehoc아레아/areahoc아레/árehoc아레아/áreahoc
10겔/gelhoc겔레아/geleahoc게겔/gégelhoc게겔레아/gégeleahoc
20히시/hisihoc히시아/hisiahoc히시/hísihoc히시아/hísiahoc


4. 6. 조사

호어의 조사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lagit́hoc는 여격을 나타내며, loḱhoc는 함께 또는 동반의 의미를 지닌다. paahoc는 '~쪽으로', '~주위에'와 같은 방향성을 나타내고, rehoc는 처소나 위치를 의미한다. paṅhoc는 시간, 시제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japaḱhoc는 가까이에 있음을 의미한다.

tehoc는 도구, 수단, 원인, 움직임, 방향, 향방 등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는 조사이다. lekahoc는 유사함을 나타내고, taḱhoc는 접속 기능을 한다. aetehoc는 이탈, 출처, 기원을 나타내는 조사이다. 그 외에 chetanhoc (위에), latarhoc (아래에), subahoc (밑에), jóṅhoc, jokahoc (종지), mutit́hoc (분배) 등의 조사가 있다.

dohoc는 주제를, gehoc는 강조를 나타내는 표지이다. chihoc는 의문을 나타내는 표지이며, mahoc는 '~에 관하여'라는 의미를 갖는다. renáhoc, rengáhoc는 강조어이고, toraṅhoc와 chiat́hoc는 추측을, batit́hoc는 깨달음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4. 7. 동사

5. 문자 체계

호어는 1824년 최초의 기록[11]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어 왔는데, 주로 라틴 알파벳,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를 사용했으며, 최근에는 와랑 치티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르칸드 지역에서는 대부분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는 반면, 오디샤 지역에서는 오디아 문자를 사용한다. 지역 지식인들은 와랑 치티 문자 사용을 장려해 왔지만, 학교 교육에서 사용되지 않아 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1985년 람 다얄 문다와 바게이 고바르단을 포함한 지식인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호어의 공통 문자에 대해 심의하여 다른 발명가들이 제시한 문자들(상그람 신두의 오와르 안카 가르 리피(Sindhu Jumur이라는 기관에서 보급), 로히다스 싱 나그의 문다리 바니 히시르 챰파, 라구나트 푸르티의 호 올 리피, 푸루쇼탐 고드소라의 스리슈티 리피 등)과의 경쟁을 제거하고 와랑 치티 문자를 찬성하는 결정을 내렸다.[12]

5. 1. 라틴 문자

호어는 1824년 최초의 기록[11]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어 왔는데, 주로 라틴 알파벳,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를 사용했으며, 최근에는 와랑 치티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르칸드 지역에서는 대부분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는 반면, 오디샤 지역에서는 오디아 문자를 사용한다. 지역 지식인들은 와랑 치티 문자 사용을 장려해 왔지만, 학교 교육에서 사용되지 않아 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1985년 람 다얄 문다와 바게이 고바르단을 포함한 지식인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호어의 공통 문자에 대해 심의하여 다른 발명가들이 제시한 문자들과의 경쟁을 제거하고 와랑 치티 문자를 찬성하는 결정을 내렸다.[12]

5. 2. 데바나가리 문자

호어는 1824년 최초의 기록[11]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어 왔는데, 주로 라틴 알파벳,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를 사용했으며, 최근에는 와랑 치티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르칸드 지역에서는 대부분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한다.[12] 1985년 람 다얄 문다와 바게이 고바르단을 포함한 지식인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호어의 공통 문자에 대해 심의하여 와랑 치티 문자를 찬성하는 결정을 내렸다.[12]

5. 3. 오디아 문자

호어는 1824년 최초의 기록[11]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어 왔는데, 주로 라틴 알파벳,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를 사용했으며, 최근에는 와랑 치티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오디샤 지역에서는 오디아 문자를 사용한다. 1985년 람 다얄 문다와 바게이 고바르단을 포함한 지식인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호어의 공통 문자에 대해 심의하여 다른 발명가들이 제시한 문자들과의 경쟁을 제거하고 와랑 치티 문자를 찬성하는 결정을 내렸다.[12]

5. 4. 와랑 치티 문자

호어는 1824년 최초의 기록[11]부터 현재까지 라틴 알파벳,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 와랑 치티 등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어 왔다. 자르칸드 지역에서는 주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고, 오디샤 지역에서는 오디아 문자를 사용한다. 지역 지식인들은 와랑 치티 문자 사용을 장려했지만, 학교 교육에서 사용되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1985년 람 다얄 문다와 바게이 고바르단 등 지식인 위원회는 호어의 공통 문자에 대해 심의하여 와랑 치티 문자를 채택했다.[12]

6. 역사

호어의 어휘는 자연, 조류 및 짐승과의 밀접한 연관성을 반영하며, 이는 부족 언어의 특징이다.[13][14]

교육 및 학습 분야에서는 라틴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와랑치티 문자가 사용되었다. 1953년 비하르 주 정부 교육부는 모든 지역 교육 감독관들에게 관련 지시를 내렸다.[15] 정부는 "모어가 힌디어가 아닌 예비 교사들에게는 모어로 기록을 유지할 수 있는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 모든 초등 교원 양성학교에서는 힌디어 외에도 1953년 8월 10일 정부 결의 제645호에서 승인된 제2 모어를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초등 교육은 모어로 제공하는 계획이었다.

1976년부터 란치 대학교 산하 여러 대학에서 중급 및 대학원 과정에서 호어가 가르쳐지고 있다. 1981년에는 부족 및 지역 언어학과가 설립되었다.[16] 구 비하르 주에서는 정보통신부가 데바나가리 문자로 된 호어 기사, 민담, 노래를 '아디바시 사프타히크(Adivasi Saptahik)'라는 주간지에 정기적으로 발표했다.

호어 발전을 위한 중요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 라코 보드라의 지도 아래 아디 산스크리티 에밤 비그얀 산스탄의 도움으로 에테 투르퉁 아카라, 징카파니에서 호어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선구적인 작업이 시작되었다. 이 연구소는 1963년에 와랑치티 문자로 된 '호 하얌 파함 푸티'라는 책을 출판하여 와랑치티 문자, 카카하라의 문자를 소개했다.[17]

A. 파탁과 N.K. 베르마는 "인더스 계곡의 메아리"에서 와랑치티 문자와 인더스 문자를 비교하려고 시도했다.[18] 수단슈 쿠마르 레이는 그의 저서 '인더스 문자'에서 와랑치티 문자가 아쇼크 파갈과 불루 이맘이 바라카 마을 근처 아스와라 언덕 동굴에서 발견한 인더스 문자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19]

자비에르 호 출판사, 루풍구투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호어 서적을 출판해 왔다. 존 디니는 1975년에 라틴 문자로 쓰여진 호어 문법과 어휘를 출판했다.[20]

7. 사용 현황

오디샤 주 정부는 다언어 교육(MLE) 프로그램에 따라 호어 사용 지역에서 초등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21] 인도 대학교육위원회(University Grants Commission of India)는 이미 호어를 언어 및 문학으로 인정했다. 현재 UGC는 부족 및 지역 언어/문학 그룹의 "'과목 코드 70'"에 따라 호어로 National Eligibility Test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22] 오디샤주와 자르칸드주에서는 각각 20개교와 449개교에서 초등 교육으로 호어를 도입했으며, 약 44,502명의 부족 학생들이 호어로 수업을 받고 있다.[23][24]

교육 외에도 호어는 대중매체 분야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전인도라디오(All India Radio (AIR))는 오디샤주 마유르반즈 현(Mayurbhanj district of Odisha state) 바리파다(Baripada) 외에도 케온자르(Keonjhar), 로르켈라(Rourkela), 컷택(Cuttack)의 AIR 센터에서 호어로 된 노래를 방송해 왔다. 자르칸드주의 차이바사(Chaibasa)와 잠셰드푸르(Jamshedpur) AIR 센터에서는 정기적으로 호어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된다. 마찬가지로, 자르칸드주의 란치(Ranchi) AIR 센터에서는 일주일에 이틀(금요일과 일요일) 지역 뉴스 속보가 호어로 방송된다.[23]

7. 1. 교육

오디샤 주 정부는 다언어 교육(MLE) 프로그램에 따라 호어 사용 지역에서 초등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21] 오디샤주와 자르칸드주에서는 각각 20개교와 449개교에서 초등 교육으로 호어를 도입했으며, 약 44,502명의 부족 학생들이 호어로 수업을 받고 있다.[23][24]

인도 대학교육위원회(University Grants Commission of India)는 호어를 언어 및 문학으로 인정했으며, 부족 및 지역 언어/문학 그룹의 "'과목 코드 70'"에 따라 호어로 National Eligibility Test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22]

호어 강좌를 제공하는 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호어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 호어 교육 위원회(Ho Language Education Council), 타쿠르문다(Thakurmunda), Mayurbhanj, Odisha[27][38]
  • 호어 +2 주니어 대학(Ho Language +2 Junior College), 타쿠르문다(Thakurmunda), Mayurbhanj, Odisha[28]
  • 콜구루 라코 보드라 호어 고등학교(Kolguru Lako Bodra Ho Language High school), 비르바사(Birbasa), Bhubaneswar, Odisha[28]
  • 바나조요티 바후바시 비디야 만디르(Banajyoti Bahubhasi Vidya Mandir), 푸루나파이(Purunapai), Deogorh, Odisha[28]
  • 비르 비르사 와랑치티 몬도(Veer Birsa Warangchity Mondo), Rairangpur, Mayurbhanj, Odisha[28]
  • 비르사 뮤다 호어 고등학교(Birsa Munda Ho Language High school), 자무날리아(Jamunalia), Keonjhar, Odisha[28]
  • 파드마슈리 툴라시 뮤다 호어 고등학교(Padmashree Tulasi Munda Ho Language High School), 마치고르(Machhgorh), Keonjhar, Odisha[28]
  • 콜구루 라코 보드라 호어 고등학교(Kol guru Lako Bodra Ho Language High School), 도바티(Dobati), Balasore, Odisha[28]
  • 비르사 뮤다 호어 고등학교(Birsa Munda Ho Language High School), 누아가온(Nuagaon), Mayurbhanj, Odisha[28]
  • 아테 투르퉁 룸툴레이 몬도(Atteh Turtung Rumtulay mondo), 싱다(singda), Mayurbhanj, Odisha[28]
  • 방키피르 멀셜 몬도(Bankipirh Marshal Mondo), 방키디히(Bankidihi), Mayurbhanj, Odisha[28]
  • 시밀리팔 바 바간 몬도(Similipal Baa bagan mondo), 타쿠르마파트나(Thakurmapatna), Mayurbhanj, Odisha[28]
  • 콜구루 라코 보드라 호어 고등학교(Kolguru Lako Bodra Ho Language High School), 고쿨 찬드라 푸르(Gokul Chandra pur), Mayurbhanj, Odisha[28]
  • 비르사 뮤다 호어 고등학교(Birsa Munda Ho Language High School), 하다구투(Hadagutu), Mayurbhanj, Odisha[28]
  • 콜한 고등학교(Kolhan High School), 사타코시아(Satakosia), Mayurbhanj, Odisha[28]
  • 구루 라코 보드라 호어 고등학교(Guru Lako Bodra Ho Language High School), 타쿠르문다(Thakurmunda), Mayurbhanj, Odisha[28]
  • 호 하얌 세야노 모운드(Ho Hayam Seyannoh Moond), 마드캄하투(Madkamhatu), Mayurbhanj, Odisha[28]
  • 시타데비 와랑치티 모운드(Sitadevi Warangchity Moond), 쿤타(Khunta), Mayurbhanj, Odisha[28]
  • P.C.하이브루 와랑치티 학교(P.C.Haibru Warangchity School), 카다디하(Kadadiha), Mayurbhanj, Odisha[28]

7. 2. 대중 매체

전인도라디오(All India Radio, AIR)는 오디샤주 마유르반즈 현(Mayurbhanj) 바리파다(Baripada) 외에도 케온자르(Keonjhar), 로르켈라(Rourkela), 컷택(Cuttack)의 AIR 센터에서 호어 노래를 방송해 왔다.[23] 자르칸드주의 차이바사(Chaibasa)와 잠셰드푸르(Jamshedpur) AIR 센터에서는 정기적으로 호어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된다.[23] 란치(Ranchi) AIR 센터에서는 일주일에 이틀(금요일과 일요일) 지역 뉴스 속보가 호어로 방송된다.[23]

7. 3. 문학

샤라찬드라 라이, D.N. 마줌다르 박사, B. 수쿠마르, 할다르, 칸후람 데브검 등이 1915년부터 1926년까지 수집한 호어 민요집이 있다. S.K. 티유 박사의 《투투르드》, 《사얀 마르살》, D.N. 마줌다르 박사의 《한 부족의 사정》(The Affairs of a Tribe), 자이데브 다스의 《아안디와 사르욤 바 둠바》(Aandi and Sarjom Ba Dumba), W.G. 아처의 《호 두랑》(Ho Durang), C.H. 봄파스의 《콜한의 민속》(Folklore of Kolhaan) 등이 있다.

사티시 쿠마르 코다의 《센가일》(시), 《사티시 루물》(시), 《호 차파카르 카힌》, 《사티시 찬드라 산히타》, 《차스 라이탁》, 시브차란 비루아의 《디숨 루물 마게 두루드》(Dishum Rumul Mage Durudh), 두르가 푸르티의 《아디바시 시빌 두랑》, 《아디바시 데요안》, 《아디바시 무니》, 《우리 케다 코바 레드-라누》(Adivasi Sivil Durang, Adivasi Deyoan, Adivasi Muni and Urri Keda Kova Red-Ranu)가 있다. 프라단 가그라이는 《봉가 부루 코》(호 종교), 《호로 호안 코》, 《마라드 봉가》, 《고사인-데브검 마게 포라브》(마게 파르브에 관하여)(Bonga Buru Ko (Ho Religion), Horoh Hoan Ko, Maradh Bonga, and Gosain-Devgum Mage Poraab (on Maage Parv))를 저술했다.

라코 보드라(Lako Bodra)는 《와랑치티》(호 문자에 관하여), 《폼포》, 《샤르 호라 1-7》(희곡), 《라구반시》(희곡), 《콜 루울》(힌디어와 호어(와랑치티)), 《호모욤 피티카》, 《호라-바라》, 《호 하얌 파암 푸티》, 《할랑 할풍》, 《엘라 올 이투 우테》, 《지보안 * * 굼파이 두랑》, 《바 부루 봉가 부루》, 《봉가 싱기라이》(소설)를 썼다. 둠비 호의 《호 쿠디》(소설)(Ho Kudih (Novel)), 야눔 싱 소이(Janum Singh Soy) 교수의 《호 쿠디》(소설), 《아드후닉 호 시슈트 카우야》(Adhunik Ho Shishth Kawya), 발람 파트 핑구아 교수의 《자이라 지본 다스투르》, 《두른 두두가르》, 《호 바샤 샤스트라 아윤 뱌카란》(Jaira Jeebon Dastur, Durrn Dudugar, and Ho Bhasha Shastra Ayun Vyakaran)이 있다. 다누싱 푸르티의 《호 디숨 호 훈 코》(Ho Dishum Ho Hoon Ko), 카말 로찬 코하르의 《에이타 바타 널라 바사》, 《조아우르》, 《파렘 사나드》(시), 《사르욤 바 타랄》, 아디티아 프라사드 시나 박사의 《호 로카타》(Ho Lokkatha)도 있다.

《조하르》, 《투투르드》, 《오토로드》, 《사르나풀》과 같은 잡지에도 호어 기사가 실려 있다. 호어 디지털 저널 "디양"(HO Language Digital Journal "Diyang"), 카이라싱 바디야의 호어 월간지 "도스투르 코랑"(Ho Language monthly journal"Dostur Korang"), 칸샤얌 보드라의 호어 시집 "탕기 메얀지 소로고 코레"(HO Kaboy (Poem) poti "''Tangi Meyanj Sorogo Kore''"), 디바카르 소이의 호어 노래 "두렝 달라"(Ho language song"Dureng Dala"), 카이라싱 바디야의 호어 학습서 "올 이니투", "마게 포롭"(Ho language learning books "Ol initu" and "Mage Porob"), 도보로 붙리울리의 《호 하얌 시빌 두렝》(호어와 힌디어)(Ho hayam sibil dureng(Ho and Hindi))도 있다.

8. 인도 헌법 제8부속표 등재를 위한 노력

오디샤주와 자르칸드주 정부는 호어를 인도 헌법 제8부속표에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해 왔다.[29] 호어 사용자들 또한 8부속표에 포함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30] 라지야 사바 의원이자 연방 석유·철강부 장관인 다르멘드라 프라단 또한 인도 정부에 호어를 헌법에 포함시켜 공식 지위를 부여해 줄 것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제출했다. 자르칸드주 인사부에서도 같은 요청을 했다.[31] 전 내무장관 라즈나트 싱은 호어가 제8부속표에 포함될 것이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보장했다고 연방 장관 다르멘드라 프라단이 말했다.[32]

전 자르칸드주 수석장관 헤만트 소렌은 인도 헌법 제8부속표에 호어를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내무부에 보냈다.[33]

참조

[1] 웹사이트 C-16 POPULATION BY MOTHER TONGUE https://censusindia.[...]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24-07-11
[2] 웹사이트 Scripts of Ho http://scriptsource.[...] Scriptsource.org
[3] 유네스코 아틀라스
[4] 뉴스 Tribals seek official tag for Ho language - OrissaPOST https://www.orissapo[...] 2018-10-27
[5] 웹사이트 The Warang Chiti Alphabet http://www.swarthmor[...]
[6] 웹사이트 Review of Proposal for Encoding Warang Chiti (Hoorthography) in Unicode http://www.swarthmor[...]
[7] 웹사이트 Ho Web Sketch: Ho writing http://www.livington[...]
[8] 서적 The Munda languages Routledge 2008
[9] 웹사이트 C-16: Population by mother tongue, India - 2011 https://censusindia.[...]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10] 서적 Topics in Ho morphophonology and morphosyntax University of Oregon
[11] 간행물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https://archive.org/[...] Asiatic Society of Bengal 1844
[12] 서적 Ho Bhasha Ka Vaigyanik Adhyayan https://bharatavani.[...] K. K. Publications 2017
[13] 서적 Ho-Dishum Ho Honko Xavier Ho Publications 1982
[14] 웹사이트 The Ho language webpage by K. David Harrison, Swarthmore College http://www.swarthmor[...] Swarthmore.edu
[15] 간행물 Department of Education, Government of Bihar 1953
[16] 간행물 University Department Of Tribal And Regional Language, Ranchi University, Jharkhand
[17] 문서 Ete Turtung Akhara, Jhinkapani
[18] 서적 Echoes of Indus valley
[19] 서적 Indus Script
[20] 간행물 Xavier Ho Publication, Lupungutu 1975
[21] PDF https://repository.e[...] 2024-08
[22] 웹사이트 Tribal and Regional Language - Literature Syllabus UGC NET 2019-2020 http://www.ugcnetexa[...] 2010-10-26
[23] 뉴스 High hopes for Ho | Bhubaneswar News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11-07-19
[24] 뉴스 Jharkhand school books to go local https://indianexpres[...] 2016-01-16
[25] 잡지 Ranchi University's TRL to have nine departments for tribal languages https://www.indiatod[...] 2013-10-07
[26] 웹사이트 https://www.kolhanun[...] 2021-08
[27] 웹사이트 HO LANGUAGE EDUCATION COUNCIL ODISHA http://holanguageodi[...]
[28] 웹사이트 HO LANGUAGE EDUCATION COUNCIL ODISHA http://holanguageodi[...]
[29] 뉴스 Tribal communities in Odisha are speaking up to save their dialects - The Hindu https://www.thehindu[...] 2017-06-03
[30] 뉴스 Pradhan for inclusion of 'Ho' in 8th Schedule - OrissaPOST https://www.orissapo[...] 2018-12-06
[31] 뉴스 Include Ho language in 8th Schedule: BJP MP https://www.business[...] 2013-08-22
[32] 뉴스 Rajnath assures for Ho inclusion in 8th Schedule https://www.dailypio[...]
[33] 뉴스 https://www.bhaskar.[...]
[34] 웹사이트 Ho https://www.ethnolog[...] The Ethnologue
[35] 웹사이트 Ho http://www.unesco.or[...]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36] 웹사이트 The Ho Language: The Warang Chiti Alphabet https://www.swarthmo[...] Swarthmore College
[37] 웹인용 "" https://www.indiatod[...]
[38] 웹인용 호어 교육 협회 http://holanguageo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