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10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성-10형은 북한이 개발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소련의 R-27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1990년대 중반 러시아 기술자들의 지원을 받아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2005년 이란에 수출되어 호라람샤르로 명명되었다. 2016년 여러 차례 시험 발사를 진행했으며, 일부는 실패했지만 6월 22일 발사에서 1,000km 이상 고도에 도달하여 동해에 낙하하는 데 성공했다. 화성-10형은 액체 연료 로켓을 사용하며, 핵탄두 탑재 능력과 요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 - 대포동 1호
대포동 1호는 북한이 개발한 3단 액체 연료 로켓으로, 북한은 이를 이용하여 광명성 1호 발사를 주장했으나 국제사회는 실패로 평가하며, 장거리 미사일 개발 기술 시연 성격으로 분석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 - 대포동 2호
대포동 2호는 북한이 개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대포동 1호 시험 발사를 통해 습득한 다단계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하고 모델에 따라 사거리와 탑재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대지 미사일 - 대포동 1호
대포동 1호는 북한이 개발한 3단 액체 연료 로켓으로, 북한은 이를 이용하여 광명성 1호 발사를 주장했으나 국제사회는 실패로 평가하며, 장거리 미사일 개발 기술 시연 성격으로 분석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대지 미사일 - 대포동 2호
대포동 2호는 북한이 개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대포동 1호 시험 발사를 통해 습득한 다단계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하고 모델에 따라 사거리와 탑재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북핵문제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북핵문제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화성-10형 | |
---|---|
개요 | |
![]() | |
종류 | 탄도 미사일, 이동식 IRBM |
사용 국가 | 조선인민군 전략군, 가능성 있는 이란 |
제원 | |
무게 | 12,000 kg (추정) |
길이 | 12 m |
직경 | 1.5 m |
추진제 | 비대칭 다이메틸하이드라진(UDMH) (연료) 및 사산화 이질소(NTO) (산화제)의 하이퍼골릭 조합 |
엔진 | 액체 추진 로켓 엔진 (R-27 또는 R-29에서 파생) |
사거리 | 3,000–4,000 km (추정) |
탄두 | 재래식 가능성 있는 핵탄두 |
탄두 중량 | 650–1,250 kg (추정) |
유도 방식 | 관성 유도 |
정확도 | 원형 공산 오차 1,600 m |
발사 플랫폼 | MAZ 기반 차량 |
명칭 | |
공식 명칭 | 《화성-10》형 (무수단) |
한자 표기 | () |
로마자 표기 | Hwaseong-10 |
문화어 | 《화성-10》형 |
한자 (문화어) | 火星 10型 |
무수단 (한자) | 舞水端 |
역사 | |
실전 배치 | 2016년 6월 22일 성공적인 시험 발사 |
2. 개발 경위
화성-10형은 원래 소련의 R-27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R-27은 잠수함 발사형과 수상함 발사형만 알려져 있었으나, 조선로동당 열병식에서는 이동식 차량 발사대에 탑재된 형태로 공개되었다. 이러한 차량 발사대형은 러시아가 아닌 중국의 DF-2, DF-21, DF-26 미사일에서 볼 수 있다.
1991년 7월, 북한은 중국 감숙성 은천 미사일 기지에서 사거리 800km의 중거리 다탄두(MIRV)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이는 중국의 지원으로 개발되었으며, 발사 시설도 중국이 대여했다. 북한은 1988년 이후 90명의 과학자를 은천 핵로켓기지에 파견하여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기술을 습득했다.[78] 또한, 중거리 미사일 개발을 위해 230명의 육해공군 무기 전문가들을 중국 요동반도의 대연 해군기지에 파견해 연수했다는 보도도 있었다.[78]
북한은 리비아에서 발견된 중국 DF-2 핵미사일의 핵탄두 설계도를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니 B. 스틸먼은 저서에서 북한이 중국의 CHIC-4 설계도를 개량한 것을 가지고 있다는 정보를 소개했다.[79] 중국 DF-2 핵미사일의 CHIC-4 핵탄두는 폭발력 12kT, 무게 1,500kg이다.
이 탄도 미사일은 2007년4월 25일 평양에서 진행된 조선인민군 창설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미국의 정찰 위성에 의해 확인되었다. 2010년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 6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12륜 이동식 발사대에 탑재된 무수단 8기가 공개되면서 전 세계에 알려졌다.[53]
2016년4월 15일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을 맞아 무수단의 첫 발사 실험이 실시되었으나 실패했다.[54] 이후 여러 차례의 추가 실험이 있었으며, 6월 22일의 실험은 고도 1000km 이상, 수평 거리 400km를 비행하여 동해에 낙하, 한국군 관계자는 성공으로 평가했다. 조선중앙통신도 발사 실험의 성공을 발표했다.[55][56][57][58] 이 발사 실험에는 김정은 당 위원장(국방위 제1위원장·군 최고사령관) 등이 참관했다.[59][60]
북한은 이 미사일의 변형을 BM-25라는 명칭으로 이란에 판매했으며, 이란은 이를 호라람샤르로 명명하여 2017년에 공개 및 시험 발사했다.[14][15][16]
2. 1. 1992년 이후
북한은 1990년대 중반 소련 붕괴 이후, 마케예프 설계국의 탄도 미사일 설계자와 엔지니어를 초청하여 R-27 즙을 기반으로 화성-10형을 개발하도록 했다.[6] 1992년, 고려 연광 무역 회사와 러시아 미아스의 마케예프 설계국 간에 대규모 계약이 체결되었다. 이 계약은 러시아 엔지니어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가서 즙 우주 발사체(SLV) 개발을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6]조선인민군의 MAZ-547A/MAZ-7916 이동식 발사대가 20톤을 운반할 수 있고, R-27 즙은 14.2톤에 불과했기 때문에 R-27 즙의 연료/산화제 탱크를 약 2미터 연장할 수 있다고 결정되었다.[5]
실제 로켓 설계는 액체 연료 로켓으로, 연료로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UDMH)과 산화제로 사산화 질소(NTO)의 초고속 조합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연료/산화제 조합이 미사일에 주입되면, R-27 SLBM과 같이 적절한 주변 온도에서 며칠, 심지어 몇 주 동안 '발사 준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료가 주입된 화성-10형은 안전하게 육상 수송할 수 있는 구조적 강도를 갖지 못하므로 발사장에서 연료를 주입해야 한다.[5]
2. 2. 2003년
200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R-27과 성능이 같은 무수단의 초기 모델을 시험 배치했다고 알려져 있다.2. 3. 2005년
독일의 일간지 빌트는 2005년 12월 이란이 노동B 미사일 완제품 18개를 부품상태로 위장하여 북조선으로부터 구입했다고 보도했다. 빌트는 이란이 이스라엘뿐 아니라 중부유럽(프랑스 파리 남부)까지도 핵공격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도했다.[80] 북한은 이 미사일의 변형을 BM-25라는 명칭으로 이란에 판매했는데, 숫자 25는 미사일 사거리(2500 km)를 나타낸다.[11][12][6][13] 이란은 이 미사일을 호라람샤르라고 명명했으며, 2017년 9월에 공개 및 시험 발사했다.[14][15][16]2. 4. 2006년
2006년 1월경, 이란에서 무수단 발사 실험이 진행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80]2. 5. 2016년
북한은 2016년에 여러 차례의 무수단 미사일 발사 실험을 실시했다.시도 | 날짜 | 장소 | 결과 | 추가 정보 |
---|---|---|---|---|
1 | 2016년 4월 15일 오전 5시 30분 PST | 원산 | 실패 | 김일성 주석 탄생 104주년 기념일임에도 북한은 침묵했다.[24] |
2 | 2016년 4월 28일 오전 6시 10분 PST | 북동 해안 | 실패 | 발사 후 몇 초 만에 추락. 북한은 침묵했다.[25][26] |
3 | 2016년 4월 28일 오후 6시 56분 PST | 원산 | 실패 | 발사대에서 약 200미터 떨어진 곳으로 날아감. 북한은 침묵했다.[26] |
4 | 2016년 5월 31일 오전 5시 20분 PST | 원산 | 실패 | 미사일이 현장에서 폭발. 북한은 침묵했다.[27] |
5 | 2016년 6월 22일 오전 5시 58분 PST | 원산 | 성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실패 (대한민국 & 미국) | 150km 떨어진 곳에 추락. 중간에 폭발.[28][29] |
6 | 2016년 6월 22일 오전 5시 58분 PST | 원산 | 성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부분 성공 (대한민국 & 미국) | 약 1,000km 정점에 도달, 400km 떨어진 동해에 착륙. 북한은 KCNA을 통해 "완전한 성공"이라고 발표.[1] 김정은은 "태평양 작전 극장에서 미국을 전반적이고 실제적인 방식으로 공격할 수 있는 확실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발언.[32] |
7 (추정) | 2016년 10월 15일 오후 12시 03분 PST | 구성 | 실패 (대한민국 & 미국) | 스트랫콤은 화성-10형 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 발사 실패를 탐지.[33][34] 제프리 루이스는 KN-08 시험 가능성을 제기.[35] |
8 (추정) | 2016년 10월 20일 오전 7시 00분 PST | 구성 | 실패 (대한민국 & 미국) | 스트랫콤은 화성-10형 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 발사 실패를 탐지.[38] 제프리 루이스는 KN-08 시험 가능성을 제기.[35] |
무수단은 소련의 R-27 즙 미사일을 지상 발사형으로 개조한 것이다. R-27보다 전장이 약 12m로 길어져 연료와 산화제 탱크 용량이 늘었고, 이에 따라 사거리도 증가했다.[5] 추진 방식은 1단 액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UDMH)과 사산화 질소(NTO)를 사용하여 장기간 상온 보존이 가능하다.[5] 탑재 중량은 1,000 ~ 1,250kg으로 추정되며,[44]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정 사거리는 2,500km ~ 4,000km로,[44] 괌 미군 기지까지 도달 가능하다.[68] 대한민국 국군 당국은 시뮬레이션 결과, 6번째 시험발사가 최대 3,500km를 비행한 것과 같다는 결론을 내렸다.[69] CEP(원형 공산 오차)는 1.3km 정도로 추정된다.
6월 22일의 두 번째 실험은 고각 발사(lofted trajectory) 방식으로 진행되어, 미사일은 약 1,000km의 정점에 도달했으며, 발사 지점에서 약 400km 떨어진 동해에 착륙했다. 대한민국과 미국은 초기에는 이 실험의 성공에 회의적이었으나, 이후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일본 영공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가파른 각도로 발사하여 최대 사거리인 3,500km 이상을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였다고 평가했다.[31]
북한은 이 실험을 통해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검증했다고 주장했다.[55][56][57][58]
10월 15일과 20일의 실험은 실패로 추정되지만, 일각에서는 KN-08 미사일의 실험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5]
3. 기술적 특징
무수단은 이동식 발사대(TEL)를 사용하여 기동성이 높고, 사전 탐지가 어렵다. 북한은 마케예프 설계국의 탄도 미사일 설계자 및 엔지니어를 초청하여 R-27 즙을 기반으로 이 미사일을 개발하도록 했다.[6]
북한은 이 미사일의 변형을 BM-25라는 명칭으로 이란에 판매했다.[11][12][6][13] 이란은 호람샤르라고 명명했으며, 2017년에 공개 및 시험 발사했다.[14][15][16]항목 내용 발사 중량 약 20톤(추정)[5] 직경 1.5 m[5] 전체 길이 12 m[5] 탄두 중량 1,000–1,250 kg(추정)[44] 탄두 단일 최대 사거리 2,500–4,000 km(추정)[44] CEP 1.3 km 발사대 북한산 TEL, MAZ-543을 늘리고 개조한 형태와 유사
3. 1. 고체 연료 사용 가능성
일부 소식통은 2016년 무수단 미사일 발사 실험에서 고체 연료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70] 2007년 북한에 실전 배치된 무수단 미사일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지만, 2016년 6차례의 시험 발사에서는 고체 연료를 사용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70]
만약 2016년의 무수단 미사일이 고체 연료 버전이라면, 러시아 R-27 SLBM (액체 연료)보다는 중국 JL-1 SLBM (고체 연료)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70] 스커드 미사일과 R-27 SLBM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반면, 중국의 DF-21과 JL-1은 고체 연료를 사용한다.[70]
4. 핵탄두 탑재 능력
북한은 2016년 핵실험 이후 핵탄두 소형화 기술을 확보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16년 1월 4차 핵실험 직후, 같은 해 3월 9일 북한이 공개한 KN-08 핵탄두는 직경 50∼63cm, 무게 200∼300kg, 폭발력 40∼80kt 정도로 추정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KN-08 핵탄두가 무수단에 탑재 가능할 정도의 크기와 무게를 가질 것으로 분석했다.[79] 북한은 리비아에서 발견된 중국 DF-2 핵미사일의 핵탄두 설계도를 입수했을 가능성이 있다.[79]
2016년 9월 5차 핵실험에서는 핵출력 200kt에 해당하는 진도 5.5가 관측되었다. 참고로, 무수단의 개발 원형인 러시아 R-27U는 200kt 핵탄두 3발을 탑재한다.
북한은 2016년 6월 발사 실험을 통해 "대기권 재진입 시 탄두부 내열성과 비행 안정성이 검증되었다"며 탄두 재진입 기술 검증에 성공했음을 발표했다.[58] 탄두는 탑재량에 맞춰 고성능 폭약, 핵, 생물, 화학 무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다탄두 MIRV 기술은 무수단의 원형인 R-27의 기술 이전을 통해 획득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단탄두보다 소형화가 더 필요하며, 강화 원자 폭탄 또는 수소 폭탄 기술이 필요하다. 2013년 현재로는 아직 미완성으로 추정되어 MIRV는 선택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강화 원자 폭탄 개발 성공을 시사하는 분석도 있다.[65]
5. 요격 가능성 및 사드 배치 논쟁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사드의 요격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73]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사드 배치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있었다.[74] 한미일은 남한의 사드 배치를 지지했지만, 북중러는 남한의 사드 배치가 군비 경쟁을 심화시키고 북한의 핵무장을 더욱 부추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6자 회담 당사국 중 남한과 북한만이 사드나 SM-3(해군형 사드)를 보유하지 않았으며, 남한은 수소폭탄도 보유하지 않은 유일한 국가였다.
2016년 7월 8일, 남한과 미국은 한반도 사드 배치를 결정했으나, 배치 지역은 결정되지 않았다.
5. 1. 요격 가능성
대한민국 국군은 무수단의 대기권 재진입 속도를 마하 15~16(초속 5.1~5.4km)으로 추정하며, 이는 패트리어트 PAC-3 미사일로 요격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한다. 고도 40km 상공에서는 마하 8~9(초속 2.7~3.0km)로 낙하할 것으로 예상되어 요격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72]한편, 대한민국은 러시아 S-400 트리움프를 국산화한 천궁 미사일 방어체제를 구축했다. 천궁의 정확한 제원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러시아 S-400은 최대 속도 초속 4.8km(마하 14)로 비행하는 목표물을 요격할 수 있어, 천궁의 요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5. 2. 사드 배치 논쟁
한민구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은 "요격탄이 갖는 속도와 내려오는 미사일 속도에 대한 여러 가지 이견들이 있지만 대체로 사드 같은 것으로 (요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73] 많은 전문가가 사드 배치를 주장하며, 또한 상당수 전문가는 사드 배치를 반대하고 있다.[74] 한미일은 남한의 사드 배치를 주장하지만, 북중러는 미일중러에 현재 배치된 사드나 SM-3(해군형 사드)는 괜찮아도, 남한에 사드를 신규 배치하는 것은 군비경쟁을 부추기는 일로서, 더욱 북한 핵무장을 촉진하게 될 것이라고 위협한다. 현재 6자 중에 남한과 북한만 사드(THAAD)나 SM-3가 없으며, 수소폭탄도 없고, 사드도 모두 없는 나라는 남한뿐이다.2016년 7월 8일, 남한과 미국은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하기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어디에 배치할지는 정하지 않았다.
6. 실전 배치 및 운용
북한은 2007년과 2010년 열병식에서 무수단을 공개했다.[76][75] 대한민국 군 당국은 무수단이 50기 가량 실전 배치된 것으로 추정하는 반면, 미군은 100기 배치로 판단하고 있다.
북한은 이 미사일의 변형을 BM-25라는 명칭으로 이란에 판매했다.[11][12][6][13] 이란의 명칭은 호라람샤르이며, 2017년 9월에 공개 및 시험 발사되었다.[14][15][16] 이란은 여러 개의 탄두, 즉 자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2]
7. 전략적 영향
무수단 개발은 북한의 핵 억지력 강화와 더불어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보 불안을 야기했다. 북한은 무수단 외에도 KN-08, KN-14 등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급 미사일과 북극성 1호 (KN-11)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39] 북한의 미사일 개발은 대한민국과 일본 등 주변국의 군비 경쟁을 촉진하고, 미국의 확장 억제 정책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
8. 이란과의 관계
북한은 화성-10형을 이란에 BM-25라는 명칭으로 판매했는데, 숫자 25는 미사일 사거리(2500 km)를 나타낸다.[11][12][6][13] 이란은 이 미사일을 호람샤르라고 명명했으며, 2017년 9월에 공개 및 시험 발사했다.[14][15][16] 2017년 1월에도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17] 국제 전략 문제 연구소(IISS) 전문가 뎀프시에 따르면, 이 미사일은 화성-10형과 매우 유사해 보인다.[18][19]
이란은 호람샤르 미사일이 1800 kg의 탄두를 2000 km 이상 운반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20] 이란은 초기 버전보다 미사일 크기를 줄여 추진체 질량과 사거리를 줄였다고 주장한다.[21] 이러한 사거리는 이스라엘,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뿐만 아니라 서부 이란에서 발사될 경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인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까지 포함한다.[21] 이란은 또한, 여러 개의 탄두, 즉 자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2]
9. 관련 기록
- 2005년 12월: 이란이 무수단 미사일 완제품 18개를 북조선으로부터 구입했다는 보도가 있었다.[80]
- 2006년: 이란이 무수단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 2016년 4월 15일: 태양절에 화성-10형의 첫 발사 실험을 실시했으나 실패했다.[81]
- 2016년 4월 28일: 두 차례 발사 실험을 실시했으나 실패했다.[82]
- 2016년 5월 31일: 발사 실험을 실시했으나 실패했다.
- 2016년 6월 22일: 두 차례 발사 실험 중 첫 번째는 실패했으나,[83] 두 번째 발사는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참관했으며, 최대 정점 고도 1413.6km까지 상승 비행해 400km 전방의 목표 수역에 정확히 낙탄되었다고 보도했다.[84]
- 2016년 10월 15일: 방현비행장 인근에서 발사 실험을 실시했으나 실패했다.[88]
참조
[1]
Youtube
KCTV (Kim Jong Un Guides Test-fire of Ballistic Rocket Hwasong-10)
https://www.youtube.[...]
YouTube, courtesy of KCNA
[2]
PDF
http://www.nasic.af.[...]
2022-03
[3]
웹사이트
Ракеты средней дальности КНДР | MilitaryRussia.Ru —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енная техника (после 1945г.)
http://military.toms[...]
2017-11-06
[4]
웹사이트
Musudan (BM-25) - Missile Threat
https://missilethrea[...]
2017-08-18
[5]
보고서
Characterizing the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2013-01-19
[6]
PDF
https://csis-prod.s3[...]
2022-03
[7]
보고서
Ballistic and Cruise Missile Threat
http://www.nasic.af.[...]
Defense Intelligence Ballistic Missile Analysis Committee
2017-06
[8]
웹사이트
2nd 3rd Right Side
http://www.globalsec[...]
2017-08-18
[9]
보고서
Explaining the Musudan
http://lewis.armscon[...]
Schmucker Technologie
2012-05-31
[10]
웹사이트
Michael Elleman: North Korea's Musudan missile effort advances
https://www.iiss.org[...]
IISS Voices
2016-06-27
[11]
웹사이트
Janes | Latest defence and security news
http://www.janes.com[...]
[12]
웹사이트
Iran's New Missile That Has Donald Trump Steaming Mad: Born in North Korea?
http://nationalinter[...]
2017-02-02
[13]
뉴스
Iran's Missile Test: Getting the Facts Straight on North Korea's Cooperation
http://www.38north.o[...]
2017-02-03
[14]
웹사이트
https://www.nbcnews.[...]
[15]
웹사이트
Iran Unveils New Multiple Warhead Ballistic Missile
https://www.tasnimne[...]
[16]
웹사이트
Iran ballistic missile Khorramshahr unveiled
http://www.irna.ir/e[...]
2017-09-22
[17]
웹사이트
Iran Tests Khorramshahr Medium Range Ballistic Missile - Missile Threat
https://missilethrea[...]
2017-01-31
[18]
웹사이트
Iran's New Ballistic Missile Looks a Lot Like a Modified North Korean One
http://www.thedrive.[...]
2017-09-23
[19]
웹사이트
Could #Iran Khorramshahr tapered end be consistent with distinct (submerged within fuel tank) Soviet 4D10 engine design used by #NorthKorea?pic.twitter.com/6zi2Q3ZtUO
https://twitter.com/[...]
[20]
웹사이트
Video of Iran's {{sic|Succe|ssfull|nolink=y}} Test of New Long-Range Ballistic Missile
https://www.tasnimne[...]
[21]
웹사이트
Iran tests new ballistic missile hours after showing it off
http://edition.cnn.c[...]
CNN
2017-09-23
[22]
웹사이트
Iran Displays Khorramshahr Missile - Missile Threat
https://missilethrea[...]
2017-09-22
[23]
웹사이트
North Korea deploys missile for possible launch
https://www.nknews.o[...]
North Korea News
2016-04-14
[24]
웹사이트
North Korea's missile launch has failed, South's military says
https://www.washingt[...]
Washingtonpost.com
2016-04-15
[25]
웹사이트
South Korea: Suspected midrange North Korean missiles fail
http://www.airforcet[...]
Airforcetimes.com
2016-04-28
[26]
웹사이트
North Korea launches two midrange missiles; both tests fail
http://edition.cnn.c[...]
CNN
2016-04-29
[27]
뉴스
North Korean Musudan IRBM Failed - Again
http://defense-updat[...]
Defense Update
2016-05-31
[28]
웹사이트
(3rd LD) N. Korea botches fifth Musudan missile test-launch
http://english.yonha[...]
[29]
뉴스
North Korean missiles fall in Sea of Japan- Pentagon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6-22
[30]
웹사이트
N. Korea's fifth Musudan test might not have been failure: US expert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6-06-29
[31]
웹사이트
North Korea's Musudan Missile Test Actually Succeeded. What Now?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6-06-23
[32]
웹사이트
Kim Jong-un boasts of North Korea's Musudan missiles launch
http://www.ibtimes.c[...]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6-06-23
[33]
웹사이트
North Korea conducted failed ballistic missile test, US military say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10-15
[34]
웹사이트
US military detects 'failed ballistic missile launch' in North Korea after state media vows revenge for 'hostile act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6-10-15
[35]
웹사이트
Did North Korea just test missiles capable of hitting the U.S.? Maybe.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6-10-26
[36]
뉴스
(LEAD) N. Korea's failed missile tests could have involved KN-08: U.S. expert
http://english.yonha[...]
Yonhap
2016-10-27
[37]
뉴스
美专家:朝鲜本月试射的并非“舞水端”而是洲际弹道导弹
http://news.cri.cn/2[...]
CRI Online
2016-10-27
[38]
뉴스
(LEAD) N. Korea's launch of Musudan missile ends in failure again: military
http://english.yonha[...]
Yonhap
2016-10-20
[39]
뉴스
(2nd LD) N.K. leader calls SLBM launch success, boasts of nuke attack capacity
http://english.yonha[...]
Yonhap
2016-08-25
[40]
뉴스
North Korea's Latest Missile Test: Advancing towards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While Avoiding US Military Action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7-05-15
[41]
뉴스
North Korea's New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the Hwasong-12: First Takeaways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7-05-15
[42]
뉴스
North Korea's Army Day Military Parade: One New Missile System Unveiled
https://www.38north.[...]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8-02-09
[43]
뉴스
How potent are North Korea's threats?
https://www.bbc.co.u[...]
2015-09-15
[44]
뉴스
Facts about North Korea's Musudan missile
http://www.globalpos[...]
GlobalPost
2013-04-10
[45]
뉴스
North's Missiles Raise Concerns
http://www.rfa.org/e[...]
Radio Free Asia
2010-10-13
[46]
뉴스
North Korea Rolls Out Ballistic Missiles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 Newswire
2010-10-13
[47]
뉴스
Experts question North Korea-Iran missile link from WikiLeaks document release
https://www.washingt[...]
2012-06-13
[48]
뉴스
Iran Fortifies Its Arsenal With the Aid of North Korea
https://www.nytimes.[...]
2010-11-28
[49]
웹사이트
U.S.-Russia Joint Threat Assessment Talks - December 2009
http://www.win.tue.n[...]
2016-06-23
[50]
뉴스
Iran Shows Off Khorramshahr Ballistic Missile After Trump Speech
https://www.nbcnews.[...]
NBC News
2017-09-22
[51]
뉴스
【解説】北朝鮮のミサイル開発計画 歴史と現状
https://www.bbc.com/[...]
BBCニュース
2017-03-13
[52]
웹사이트
ムスダンの名称は「火星10」北朝鮮が初言及
https://megalodon.jp[...]
朝鮮日報
2016-06-23
[53]
웹사이트
北の新型弾道ミサイル「ムスダン」、射程3200キロ以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05-19
[54]
웹사이트
北朝鮮 初の「ムスダン」発射実験に失敗=韓国軍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6-04-15
[55]
웹사이트
北朝鮮22日にムスダンミサイル2発連続発射…今年に入って6回目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6-06-22
[56]
웹사이트
2発目は400キロ飛行か 1発目は150キロ推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6-22
[57]
웹사이트
北が中距離弾道ミサイル発射成功、グアムの米軍基地も射程圏に
https://megalodon.jp[...]
朝鮮日報
2016-06-23
[58]
웹사이트
北朝鮮、ムスダン発射「成功」再突入検証と報道
https://megalodon.jp[...]
東京新聞
2016-06-23
[59]
웹사이트
中距離ミサイル発射成功 金正恩氏も見守る=北メディア
https://megalodon.jp[...]
聯合ニュース
2016-07-01
[60]
웹사이트
ムスダン、頂点高度1413.6キロ・飛翔400キロ
https://megalodon.jp[...]
ハンギョレ
2016-07-01
[61]
뉴스
北朝鮮がミサイル発射失敗 新型中距離「ムスダン」空中爆発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6-10-17
[62]
뉴스
N. Korea's failed missile tests could have involved KN-08: U.S. expert
http://english.yonha[...]
聯合ニュース
2016-10-27
[63]
뉴스
北朝鮮、ミサイル発射にまた失敗…韓国軍発表 読売新聞 2016年10月20日
http://www.yomiuri.c[...]
2016-10-20
[64]
뉴스
北朝鮮が新型中距離弾道ミサイル「ムスダン」公開か 産経新聞 2010年10月10日
http://sankei.jp.msn[...]
2010-10-10
[65]
뉴스
北朝鮮の核威力は広島原子爆弾の3倍=独研究所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3-02-14
[66]
뉴스
軍 "北무수단, PAC-3로 요격 제한"…'사드배치' 주장일듯(종합)
연합뉴스
2016-06-24
[67]
뉴스
北 최선희 "무수단 성공적 발사, 대단히 기쁘다"
이데일리
2016-06-23
[68]
뉴스
北,중거리 미사일 동해안으로 이동
아시아뉴스통신
2013-04-04
[69]
뉴스
軍 "北무수단, PAC-3로 요격 제한"…'사드배치' 주장일듯(종합)
연합뉴스
2016-06-24
[70]
뉴스
북한, 무수단 6번째 발사 '진전' 평가…'고체연료 사용' 주장 제기
VOA
2016-06-22
[71]
웹인용
North Korea’s New Long-Range Missile – Fact or Fiction
http://38north.org/2[...]
2012-05-04
[72]
뉴스
軍 "北무수단, PAC-3로 요격 제한"…'사드배치' 주장일듯(종합)
연합뉴스
2016-06-24
[73]
뉴스
'[종합]불붙는 사드배치론..北무수단 성공에 한미 배치 목소리↑'
뉴스1
2016-06-24
[74]
뉴스
軍, 사드로 무수단 잡겠다? 전문가들 "말도 안돼" 일축
뉴시스
2016-06-24
[75]
뉴스
北 열병식에 등장한 무기 체계는
연합뉴스
2010-10-10
[76]
뉴스
북 열병식에 "무수단" 추정 미사일 등장
YTN
2010-10-10
[77]
뉴스
북, 수입플루토늄으로 핵무기 제조
연합뉴스
2005-03-02
[78]
뉴스
북한,중국서 다탄두미사일 실험/사정 8백km 중거리용
서울신문
1991-12-07
[79]
뉴스
'[조갑제 칼럼]모든게 명백해졌다, 中-北 짜고치는 사기쇼!'
뉴데일리
2010-11-29
[80]
뉴스
'[신성택 칼럼]구소련제 R-27을 ‘신형 IRBM’으로 개조한 북한'
한국일보
2010-03-24
[81]
뉴스
김정은 무수단 발사 또 실패…중거리미사일 기술 '불완전'(종합)
연합뉴스
2016-04-28
[82]
뉴스
北, 28일 두차례 무수단 발사… 모두 실패
동아일보
2016-04-29
[83]
웹인용
北, 원산 일대에서 무수단 추정 미사일 1발 발사…軍 "실패로 추정"
http://news.chosun.c[...]
2016-06-22
[84]
뉴스
北,중장거리 미사일 '화성-10' 시험발사 성공 선언…김정은 참관(종합)
연합뉴스
2016-06-23
[85]
뉴스
北 탄도미사일 '재진입 기술' 검증했나…軍 '부정적' 시각
연합뉴스
2016-06-23
[86]
뉴스
北, 무수단 발사로 대기권 재진입 기술 검증했나?
뉴시스
2016-06-22
[87]
뉴스
북한, 무수단 6번째 발사 '진전' 평가…'고체연료 사용' 주장 제기
VOA
2016-06-22
[88]
뉴스
北 '무수단' 수초 만에 폭발 실패, 내륙서 발사한 이유는?
MBC
2016-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