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효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효창은 대한민국의 미술가로, 춘천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지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했다.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에스프리를 창립했으며, 평창비엔날레 이사장, 강원민예총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70년대부터 개인전과 단체전을 통해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강원민족예술인상과 민족예술인 대상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 세계는 다양한 언론 기사를 통해 조명받고 있다.

2. 학력

학교명졸업 연도
춘천고등학교1964년
홍익대학교 회화과1972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1986년


3. 경력

에스프리(Esprit) 창립
평창비엔날레 이사장 역임
강원민예총 회장 역임
산과함께 회장
춘천공연예술제 텐스푼 이사장 역임


4. 주요 활동

황효창은 에스프리(Esprit)를 창립했고, 평창비엔날레 이사장, 강원민예총 회장, 산과함께 회장, 춘천공연예술제 텐스푼 이사장을 역임했다.

4. 1. 개인전

연도전시명장소
1979《태인 화랑 초대전》태인 화랑, 서울
1981《태인 화랑 초대전》태인 화랑, 서울
1985《한강 미술관 초대전》한강 미술관, 서울
1990《선 갤러리 초대전》선갤러리, 춘천
1995《갤러리 아침못 개인전》갤러리아침못, 춘천
1998《춘천미술관 개인전》춘천미술관, 춘천
2000《춘천 국제마임축제 초대전》춘천미술관, 춘천
2001《갤러리 고도 초대전》갤러리고도, 서울
2008《동화를 그리다, 리앤박 갤러리 초대전》리앤박갤러리, 파주
2011《삐에로의 꿈, 샘터 갤러리 초대전》샘터갤러리, 서울
2012《춘천 인물전》춘천문화원 금병전시실, 춘천
2014《나는 인형이다》춘천문화예술회관, 춘천
2014《나는 인형이다》갤러리 고도, 서울
2016《갤러리 오 초대전》갤러리오, 서울
2018《오월》명동집, 춘천
2022《할말하않-개나리미술관 초대전》개나리미술관, 춘천
2023《인형의 노래》아트스페이스 감, 서울


4. 2. 단체전

황효창은 1971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한국미술대상전》을 시작으로, 《앙데팡당전》, 《서울비엔날레》 등 국내 주요 전시에 참여하며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1] 1983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1984년 일본 오사카부립현대미술센터에서 개최된 《한국 11인의 표정》 등 국제적인 전시에도 참여하여 한국 현대미술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1]

특히,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시기에는 '반고문전', '해방 40년 역사전' 등 시대정신을 반영한 전시에 적극 참여하며 민중미술 1세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1]

다음은 황효창이 참여한 단체전 목록이다.[1]

연도전시명장소도시
1971《한국미술대상전》국립현대미술관서울
1971~1974《Esprit동인전》명동화랑서울
1972《제1회 앙데팡당전》국립현대미술관서울
1974《제1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미술회관서울
1974《제1회 서울비엔날레》국립현대미술관서울
1975《제2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탑미술관부산
1977《서울11인 방법전》문예진흥원 미술회관서울
1978《서울29인의 방법전》문예진흥원 미술회관서울
1979《서울39인의 방법전》문예진흥원 미술회관서울
1981《Salon de Figuration Critque》프랑스 파리
1982《Art Korea, 아부다비 인터콘호텔》아랍에미리트
1982《한국현대미술 ’80년대 조망전》미술회관서울
1983《한불미술협회전》동덕갤러리서울
1983《상파울루 비엔날레》브라질
1984《한국 11인의 표정》오사카부립현대미술센터일본
1984《해방 40년 역사전》광주·대구·서울 순회전
1985《서울-빠리 방법전》문예진흥원 미술회관서울
1986《40대 22인전》그림마당민서울
1987《반고문전》그림마당민서울
1990《서울국제방법전-‘90》문예진흥원 미술회관서울
1993《구상미술의오늘, 꿈과 현실의 대결》현대미술관서울
1994《아침못 동인전》춘천종합문예회관춘천
1996《인간과 예술의 가치-한강미술관 그 10년 이후》덕원갤러리서울
1997《서울방법전: 한국현대미술 새로운 위상》조형갤러리서울
2003박수근 미술관 기획전, 강원의 자연, 그리고 삶》박수근미술관양구
2005《월간 미술세계 신년기획 이형아트센터 개관기념전》이형아트센터서울
2005《강원매거진 창간2주년 기념-강원작가 초대전》춘천
2005《힘있는 강원전》국립춘천박물관춘천
2006《강원민족미술인협회 창립전》춘천문화예술회관춘천
2006《춘천민족미술인협회 창립전》갤러리 소나무춘천
2006《문화지구 4주년 기념 인사동현대미술축제》인사아트센터서울
2006《세방아트센터 개관기념 초대전》춘천
2006《제6회 한국현대미술제, 예술의 전당》서울
2007김유정추모특별전-내 고향은 증리》실레마을, 갤러리소나무춘천
2007《옛 향기의 발견-곡운구곡전》갤러리 소나무춘천
2009《평화미술제》제주현대미술관제주
2009《미고전》어우재미술관경기도 여주
2009《춘천의 인물전》갤러리 스페이스 공춘천
2009《오래된 풍경전》갤러리 스페이스 공춘천
2010《현대미술춘천작가전》함섭 한지 아트스튜디오춘천
2011《제11회 한국현대미술제》예술의 전당서울
2011《춘천구상작가 오늘전》함섭 한지 아트스튜디오춘천
2011《강원의 표현전》원주지헌갤러리원주
2011《갤러리 아르숲 개관기념 초대전》아르숲갤러리춘천
2012《강원도 예총.민예총연합전-가을에 만나다》국립춘천박물관춘천
2013홍익대학교 서양화과 ’64 입학동기전 : 르▪누보》리서울갤러리서울
2013《강원의 인물전》아르숲갤러리춘천
2014《한국형상미술 강원대표작가전》원주시창작스튜디오전시장원주
2015《1964보릿고개로부터!》청주 스페이스 몸 미술관서울
2015《1980년대와 한국미술》전북도립미술관서울
2015《산과 함께 70-미술에 담은 우리 강원》춘천문화예술회관춘천
2016《강렬하게, 리얼하게-바이칼에서 강원 춘천까지》춘천문화예술회관춘천
2017《평창비엔날레2017–높새바람 : 강원의 맥》강릉 녹색도시체험센터강릉
2017《강원미술시장축제-미로》춘천문화예술회관춘천
2018《오월전 30회기념 특별전-촛불이여, 오월을 노래하라》유.스퀘어문화관 금호갤러리광주
2018《길위의 리얼리즘》춘천문화예술회관춘천
2019《산과 함께 : 대한민국 만세》원주 치악예술관원주
2020《산과 함께 : 리얼리즘 오늘!》춘천문화예술회관춘천
2020《변화의 물결을 주도하다》춘천문화예술회관춘천
2021《역발상전-춘천시 문화도시 선정기념 특별교류전》문화공간 역춘천
2021《백두대간 한라산을 품다》국립춘천박물관춘천
2021《김윤수선생 3주기 추모전 -현실주의 미학 정신전》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서울
2022《광야에서》춘천문화예술회관춘천
2023《춘천민미협 기획교류전-어제와 오늘》문화공간 역춘천


4. 3. 수상

연도상 이름
2008년강원민족예술인상
2009년민족예술인 대상


5. 지역 사회 기여

황효창은 춘천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지역 문화예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강원민예총 회장[1], 평창비엔날레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 문화예술의 위상을 높이는 데 힘썼다. 춘천공연예술제 텐스푼 이사장으로 활동하며 지역 공연예술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6. 관련 기사


  • 중앙일보, 1974.12.14, 「1회 서울·비엔날레」한국어[1]
  • 매일경제, 1977.10.28, 「77서울11인방법전」한국어
  • 동아일보, 1979.12.22, 「황효창 작품전」한국어
  • 매일경제, 1981.08.28, 「황효창人形(인형)그림展(전)」한국어
  • 매일경제, 1985.01.24, 「한국화가 자주·전통모색작품 한자리에-황효창 개인 작품전」한국어
  • 매일경제, 1987.07.07, 「삶의현실·사물세계 그린 형상미술제 열려」한국어
  • 동아일보, 1990.04.02, 「서양화 황효창 작품전」한국어
  • 강원도민일보, 2011.06.08, 「인형에 담은 현대인의 삶과 인생. 황효창 화백 개인전… 10∼26일 서울 샘터갤러리」한국어
  • 강원일보, 2011.06.07, 「서양화가 황효창 열한번째 개인전 '삐에로의 꿈'」한국어
  • 강원도민일보, 2014.11.01, 「사람은 누군가를 사랑하는 人形. 황효창 그림 하창수 소설가 해설붙여」한국어
  • 강원도민일보, 2014.11.06, 「황효창은 인형이다」한국어
  • 내일신문, 2015.07.22, 「[내일신문이 만난 사람_강원민예총 회장 황효창 화백]인형에 이야기와 시대를 담다」한국어
  • 강원일보, 2016.06.21, 「인형이 꿈꾸는 사람사는 세상」한국어
  • 강원도민일보, 2017.11.25, 「[최형순의 미술평론] 인형을 그린 작가, 역사를 말하다」한국어
  • 강원일보, 2018.05.23, 「평화와 폭력 '오월'의 두얼굴.황효창 서양화가 작품전 '오월'」한국어
  • 강원도민일보, 2018.06.09, 「[최형순의 미술평론] 신학철이 달군 황효창의 전시회」한국어
  • 강원도민일보, 2021.04.09, 「[최돈선의 예술인 탐방지도] 오월리의 인형화가 부부가 사는 법」한국어
  • 강원일보, 2022.08.24, 「황효창 개인전 ‘할말하않’ 인형의 미세한 표정 변화가 주는 임팩트 여전히 폭발적」한국어
  • 춘천사람들, 2022.09.05, 「[문예비평] 행복한 왕자 - 황효창의 비애미」한국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