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건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건육군은 청나라 말기에 서구식 군사 훈련과 장비를 도입하여 창설된 신식 군대이다. 청나라 군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군사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정무군을 모체로 위안스카이의 지휘 하에 신건육군으로 개칭되었다. 신건육군은 의화단 운동 진압에 기여하고 북양군벌의 기반이 되었으나, 신해혁명 이후 위안스카이의 배신과 군벌 분열로 이어지면서 중국 근대화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미쳤다. 신건육군은 군사적 지배를 강화하고 군국주의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20세기 중국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사사 - 화창
화창은 화약을 사용하여 불꽃이나 폭발을 일으키는 무기로, 흑색화약의 낮은 폭발력으로 위협용으로 사용되다가 금속 화약총통의 등장으로 소총의 전신이 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최무선에 의해 개발되어 화차와 신기전으로 개량되었다. - 중국의 군사사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신해혁명 - 호국 전쟁
호국 전쟁은 1915년부터 1916년까지 중화민국에서 위안스카이의 제제국 선포에 반발하여 남부 지역에서 일어난 내전으로, 위안스카이의 퇴위와 사망으로 종결되었지만 군벌 시대가 도래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 신해혁명 - 화흥회
화흥회는 황흥이 1904년에 창립한 중국의 혁명 단체로, 만주족 축출과 중화 부흥을 목표로 반청 활동을 전개했으며, 이후 중국 동맹회와 합병하여 중국 혁명 운동에 기여했다.
신건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신건육군(新建陸軍) |
로마자 표기 | Xīnjiàn Lùjūn (신젠루쥔) |
존속 기간 | 1895년 – 1912년 |
소속 국가 | 청나라 |
충성 대상 | 청 황제 |
군종 | 육군 |
역할 | 지상전 |
규모 | 군단 |
상위 부대 | 청군 |
주둔지 | 베이징 |
군가 | 연병조련가(練兵操練歌)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원세개 인창 장지동 철량 |
명목상 지휘관 | 영록 (1895년-1903년) |
전투 및 작전 | |
주요 전투 | 의화단 운동 신해혁명 |
해체 | |
해체 시기 | 1912년 |
2. 역사적 배경
이전 개혁이 불충분하다고 여겨졌고, 러일 전쟁을 겪으면서 황제는 육군 재편 위원회를 결성했다. 개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성과가 거의 없자 황제는 개혁을 중앙 집권화하여 시행할 필요성을 느꼈다. 경친왕이 위원장, 위안스카이와 티에량이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청일 전쟁 패배는 청나라 지식인과 관료들에게 군사 개혁의 시급함을 일깨웠다.[10] 이들은 서구 열강에 대항하기 위해 현대적인 군사 기술과 조직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광서제의 백일 개혁은 군사 문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정은 부풀려진 병적부로 인한 부패, 군사력 팽창, 녹영 해체 실패를 지적하며 지방 개혁의 부족함을 언급했다.
전국적인 군사 훈련 제안이 황제에 의해 승인되었으나, 조정은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않고 총독과 지사에게 프로그램을 위임하여 실패 가능성이 높았다.
로버트 하트 청 제국 해관 총세무사는 중앙 정부 통제의 낮은 세율의 통일된 토지세를 제안하여 왕조에 4억 냥을 귀속시키려 했다. 이 돈은 군대 창설, 전함 편대 확보, 무기고 설립, 군사 학교 조직 등에 사용될 수 있었다.
이 보고서는 중국에 서구식과 일본식 군사 시스템을 도입하고 과도한 지출과 부족한 지출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할 것을 요구했다. 전반적인 목적은 조직, 급여, 훈련, 장비 등 육군의 모든 분야를 표준화하고 현대화하는 것이었다. 위원회는 팔기군을 제외한 군대의 다양한 약점과 이를 시정할 방법을 상세히 설명했다. 각 지방은 지방 참모와 신건육군 병력을 1개 여단 규모로 소집하도록 명령받았다.
위원회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권고 사항 |
---|
참모와 야전 장교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장교단을 육성하며, 사관학교 출신 장교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더 높은 급여를 지급한다. |
보다 강력한 검열 시스템을 도입한다. |
장교의 책임과 의무를 상세히 설명하고 부대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상세한 규정집을 발간하며, 사관학교 출신 장교가 충원되면 훈련 교관에 대한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줄인다. |
부사관이 될 수 있는 엄격한 신병 모집 기준을 적용한다. (20% 이상의 문맹률 요구) |
사망 또는 장애 발생 시 연금 제도와 퇴역 군인을 위한 연금 제도를 마련하여 군인 정신을 고취한다. |
응급 처치에서 군 병원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물류 및 의료 서비스와 내륙 보급 기지에서 전투 부대에 이르기까지 운영 가능한 물류 체인을 구축한다. |
장비 표준화 (동복은 흑색, 하복은 카키색으로 통일). |
육군(陸軍, Lu-Jun)은 상비군(常備軍, Changbei jun), 1급 예비군(續備軍, Xubei jun), 2급 예비군(後備軍, Houbei jun)의 3가지 범주로 나뉜다. |
표준 명명법: 군(大軍, Dajun), 군단(軍, jun), 사단(鎮, Zhen), 연대(標, biao), 대대(營, ying)(또는 기병대), 중대(隊, dui), 소대(排, pai). |
2. 1. 청나라 군대의 문제점
청나라 군대는 여러 종류의 군대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들은 훈련 부족, 장비 노후화, 부패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아편 전쟁과 청일 전쟁에서의 패배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명하게 드러냈다.[1]- 팔기군(八旗軍)의 문제: 팔기군은 만주족으로 구성된 청나라의 핵심 군사력이었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점차 전투력이 약화되었다. 한족 관리들은 팔기군 개혁에 대한 제안을 하지 않았고, 만주족은 여전히 팔기군을 엄격하게 지켰다.[1] 이는 팔기군이 시대에 뒤떨어진 군사 제도로 남아있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 녹영(綠營)의 문제: 녹영은 한족으로 구성된 군대로, 청나라 군대의 다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녹영 역시 훈련 부족과 장비 노후화로 인해 전투력이 약했다. 성쉬안화이는 녹영과 용영을 해산하고 서구식 군대를 창설할 것을 제안했지만, 총리야먼은 대규모 군대 해산의 어려움을 이유로 반대했다.[1]
- 향용(鄕勇)의 문제: 향용은 비정규군으로, 필요에 따라 모집되어 전투에 투입되었다. 이들은 훈련 수준이 낮고 장비도 제대로 갖추지 못해 정규군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웠다.
- 장교단의 문제: 장교들의 무능함과 군대의 기술적 결함은 황실 검열관에 의해 일상적으로 비판받았다.[1] 황제는 육군부에 장교단의 현대화 문제를 심의하도록 명령했지만, 군사 시험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몇 년 동안 해결되지 않았다.[1]
- 부패와 개혁 지연: 개혁의 속도와 범위는 관료주의의 부패, 편애, 일반적인 과실로 인해 희석되고 늦춰졌다.[1] 황제는 종종 칙령을 발표하고 관료들에게 낡고 무능하며 약한 자들을 해고하고 형벌부에 보고하도록 요구했지만, 관료들은 그렇게 하는 대신 서로를 보호했다.[1] 특히 고위층에서는 개혁에 도움이 되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았다.[1]
- 장비 부족: 헤이룽장성(黑龍江省)의 만주족 장군은 도적을 상대로 싸우는 자신의 부대의 능력과 개혁 부족을 칭찬하면서 동시에 실제 전투에서는 쓸모가 없을 것이라고 인정했다.[1] 또한 창과 활이 여전히 흔했고, 헤이룽장성 장군은 자신의 부대 전체에 소총을 장비하는 것은 너무 비싸다고 불평하며 대신 비용이 비슷한 징갈을 만들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다.[1]
- 군의 재정 문제: 중앙 정부의 예상 수입 중 약 절반()이 해군 및 육군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군사 지출에 사용되었다.[1] 지방 육군, 해군 및 요새의 비용은 으로 추산되었으며, 그 중 은 북양 함대에, 은 요새와 대포에 사용되었다.[1] 병부(兵部)와 호부(戶部)는 민병대, 국방군, 훈련된 병력 및 신식 군대의 비용이 이 넘는다고 공동으로 보고했다.[1] 훈련된 병력을 포함한 녹영(근대화된 녹영)은 연간 , 팔기군은 과 쌀 100만 석(60,000,000kg)의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1]
2. 2. 군사 개혁의 필요성
청일 전쟁에서의 패배는 청나라 지식인들과 관료들에게 군사 개혁의 시급함을 일깨워 주었다.[10] 이들은 서구 열강의 군사력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현대적인 군사 기술과 조직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진보적인 관리였던 후유펀은 북양 지역에 5만 명, 남양 지역에 3만 명, 광둥과 후베이에 각 2만 명, 나머지 성에 각 1만 명을 배치하여 총 25만 명의 병력으로 훈련된 새로운 군대를 창설할 것을 주장했다. 독일 고문인 콘스탄틴 폰 하네켄은 10만 명의 병력을 증강할 것을 제안했고, 이는 전쟁 중에 소집된 독판군무처의 지지를 받았다.
성쉬안화이는 매년 2천만 냥 이상 소요되는 녹영과 용영을 해산하고, 30만 명의 서구식 군대를 창설하는 것이 더 낫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총리야먼은 그렇게 큰 군대를 해산하는 것은 극도로 어려울 것이라고 반박하며, 기존 병력에 현대화를 확대하는 보다 점진적인 개혁 프로그램을 지지했다.
어좌는 2개의 독일식 여단을 창설하는 것을 승인했는데, 이는 이전의 개혁과는 달리 독일식 조직, 훈련 및 전술을 따랐다. 장지동은 황제에게 올린 상소에서 독일 군대의 우월성이 장교단의 보편적인 교육에 있다고 밝히고, 난징에 사관학교와 철도학교를 설립할 것을 요청했다.
개혁의 속도와 범위는 관료주의의 부패, 편애 등으로 인해 늦춰졌다. 황제는 종종 칙령을 발표하고 관료들에게 낡고 무능한 자들을 해고하도록 요구했지만, 관료들은 서로를 보호했다.
의화단 운동까지 현대화된 병력의 수는 약간 증가했을 뿐이었고, 개혁에 대한 지지는 만주족 장군들 사이에서도 거의 보편적이었지만, 실제 개혁의 정도는 미미했다.
광서제가 시작한 백일 개혁은 군사 문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정은 부풀려진 병적부로 인한 지속적인 부패와 군사력 팽창, 녹영의 해체 실패를 지적하며 지방에서 시행된 개혁의 부족함을 지적했다.
전국적인 군사 훈련에 대한 제안이 황제에 의해 제안되고 승인되었으며, 이는 군대의 전통적인 조직에서 가장 크게 벗어난 조치였다. 그러나 조정은 이 개혁 프로그램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않고, 과거 수십 년 동안 성과를 내지 못했던 총독과 지사에게 프로그램을 위임했기에, 이 프로그램 역시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높았다.
로버트 하트 청 제국의 해관 총세무사는 중앙 정부가 통제하는 낮은 세율의 통일된 토지세를 제안하여 왕조에 4억 냥을 귀속시키려 했다. 이 돈은 군대 창설, 전함 편대 확보, 무기고 설립, 군사 학교 조직 등에 사용될 수 있었다.
이 보고서는 중국에 서구식과 일본식 군사 시스템을 도입하고 과도한 지출과 부족한 지출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할 것을 요구했다. 전반적인 목적은 조직, 급여, 훈련, 장비 등 육군의 모든 분야를 표준화하고 현대화하는 것이었다. 위원회는 팔기군을 제외하고 군대의 다양한 약점과 이를 시정할 방법을 상세히 설명했다. 각 지방은 지방 참모와 신건육군 병력을 1개 여단 규모로 소집하도록 명령받았다.
위원회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권고 사항 |
---|
참모와 야전 장교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장교단을 육성하며, 사관학교 출신 장교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더 높은 급여를 지급한다. |
보다 강력한 검열 시스템을 도입한다. |
장교의 책임과 의무를 상세히 설명하고 부대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상세한 규정집을 발간하며, 사관학교 출신 장교가 충원되면 훈련 교관에 대한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줄인다. |
부사관이 될 수 있는 엄격한 신병 모집 기준을 적용한다. (20% 이상의 문맹률 요구) |
사망 또는 장애 발생 시 연금 제도와 퇴역 군인을 위한 연금 제도를 마련하여 군인 정신을 고취한다. |
응급 처치에서 군 병원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물류 및 의료 서비스와 내륙 보급 기지에서 전투 부대에 이르기까지 운영 가능한 물류 체인을 구축한다. |
장비 표준화 (동복은 흑색, 하복은 카키색으로 통일). |
육군(陸軍, Lu-Jun)은 상비군(常備軍, Changbei jun), 1급 예비군(續備軍, Xubei jun), 2급 예비군(後備軍, Houbei jun)의 3가지 범주로 나뉜다. |
표준 명명법: 군(大軍, Dajun), 군단(軍, jun), 사단(鎮, Zhen), 연대(標, biao), 대대(營, ying)(또는 기병대), 중대(隊, dui), 소대(排, pai). |
1894년 (광서 20년) 청일 전쟁이 발발하자, 광서 연간에 안찰사 후이위펀(胡燏棻)은 청나라 정부의 명령에 따라 톈진 주둔지에서 보병 3000명, 포병 1000명, 기병 250명, 공병 500명 등 총 4750명 규모의 부대를 서양식 편제로 개편하고 이라 칭했다. 1895년 후이위펀이 핑한 철도 독판으로 임명되면서 원세개가 후임으로 지명되었다. 원세개는 '''신건육군'''(新建陸軍)으로 이름을 바꾸고, 독일 군제를 참고하여 독일 군사 고문을 초빙하는 한편, 규모를 7000명으로 확장했다. 이후 신건육군은 수차례 개편을 거쳤으며, 원세개가 산둥성에서 의화단을 진압하는 데 참여하면서 원세개의 지위가 확고해졌다.
3. 초기 신군 (1895-1900)
같은 시기 양강 총독 장지동 또한 자강군을 창설했다. 자강군은 서양식 훈련 및 편제를 참고하여 보병, 포병, 기병, 공병을 합쳐 2000명 정도의 규모를 갖추었다. 이후 유곤일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원세개의 손에 넘어가 신건육군에 흡수되었다.
1898년 시점에서 신건육군은 동복상의 감군, 섭사성의 무의군과 함께 '''북양삼군'''(北洋三軍)으로 불렸다.[14]
3. 1. 정무군과 신건육군
1894년 청일 전쟁이 발발하자, 광서 연간에 안찰사 후이위펀(胡燏棻)은 청나라 정부의 명령에 따라 톈진 주둔지에서 보병 3000명, 포병 1000명, 기병 250명, 공병 500명 등 총 4750명 규모의 부대를 서양식 편제로 개편하고 정무군(定武軍)이라 칭했다.[4] 1895년 후이위펀이 핑한 철도 독판으로 임명되면서 원세개가 정무군의 후임으로 지명되었다. 원세개는 정무군의 이름을 '''신건육군'''(新建陸軍)으로 바꾸고, 독일 군제를 참고하여 독일 군사 고문을 초빙하는 한편, 신건육군의 규모를 7000명으로 확장했다.[3][8] 이후 신건육군은 수차례 개편을 거쳤으며, 원세개가 산둥성에서 의화단을 진압하는 데 참여하면서 원세개의 지위가 확고해졌다.
같은 시기 양강 총독 장지동 또한 자강군을 창설했다. 자강군은 서양식 훈련 및 편제를 참고하여 보병, 포병, 기병, 공병을 합쳐 2000명 정도의 규모를 갖추었다. 이후 유곤일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원세개의 손에 넘어가 신건육군에 흡수되었다.
1898년 시점에서 신건육군은 동복상의 감군, 섭사성의 무의군과 함께 '''북양삼군'''(北洋三軍)으로 불렸다.[14]
3. 2. 자강군
장지동은 양강 지역에서 자강군을 창설했다.[13] 자강군은 서구식 훈련과 편제를 도입했지만, 결국 신건육군에 흡수되었다.[13]
3. 3. 북양삼군
1898년 시점에서 신건육군은 둥푸샹의 감군, 녜스청의 무의군과 함께 '''북양삼군'''이라고 칭해질 정도였다.[14]
3. 4. 무위군 재편
1899년, 영록의 건의에 따라 북양 각 군은 무위군으로 재편되었다. 신건육군은 '''무위우군'''으로 개편되었고, 정원은 7천 명에서 1만 명으로 확대되었다.[15] 의화단의 난이 발발하자 무위우군은 산둥성에 가서 진압에 힘썼다. 다른 4군과는 달리 열강과의 전쟁에 직접 참여하지 않아 거의 피해를 보지 않았기 때문에, 무위우군은 곧 무위군의 주력이 되었고, 같은 해 보병대, 기병대, 포병대 20영을 확충했다.[16]
4. 광서신정 시기 신군 개혁 (1901-1907)
광서제의 백일 개혁은 군사 문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정은 부풀려진 병적부로 인한 부패, 군사력 팽창, 녹영 해체 실패 등을 지적하며 지방 개혁의 부족함을 비판했다. 증국번이 사용했던 방식처럼 지방 민병대와 의용군을 모집하여 녹영을 대체하려 했으나, 이는 부패와 침체로 이어질 수 있었다. 호유분의 건의로 1900년까지 무과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베이징 야전군에게 서양식 훈련을 받도록 했다. 공친왕 사망 후 개혁은 가속화되었고, 옹동화 해임으로 어전회의는 개혁파가 장악했지만, 영록을 직례총독으로 유지한 것은 훗날 후회할 실수가 되었다.[15] 황제는 팔기군에게 다른 직업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각 지방은 군사력 감축에 반대했고, 결국 광서제는 짧은 개혁 기간 동안 군사 개혁을 거의 시행하지 못했다.[15]
황제는 전국적인 군사 훈련을 제안하고 승인했지만, 조정은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않고 총독과 지사에게 프로그램을 위임하여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높았다. 황제는 현대식 훈련 채택, 전통 무기 폐기를 명령했지만, 서태후와 함께 신식 군대를 사열한 것은 쿠데타를 막지 못했다.[15]
러일 전쟁을 겪으면서 이전 개혁이 불충분하다고 여긴 황제는 육군 재편 위원회를 결성했다. 경친왕이 위원장, 위안스카이와 티에량이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15]
로버트 하트는 청나라의 약세가 재정적 약세 때문이라고 판단하여, 중앙 정부가 통제하는 낮은 세율의 통일된 토지세를 제안했다. 이 재원으로 4개 군대, 3개 현대식 전함 편대, 4개 현대식 무기고, 4개 군사 학교를 설립하고, 관리들에게 충분한 급여를 지급하여 부패를 줄이려 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지방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위원회는 중국에 서구식과 일본식 군사 제도를 도입하고, 육군의 모든 분야를 표준화 및 현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전시 동원이 가능한 지방 자치 군대 기본 시스템은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편성과 중앙 집중식 물류 시스템을 지원했다. 위원회는 8기군을 제외한 군대의 약점을 설명하고, 각 지방에 지방 참모와 신건육군 병력을 1개 여단 규모로 소집하도록 명령했다.[15]
위원회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다.[15]
- 참모와 야전 장교를 위한 전문 교육을 받은 장교단을 육성하고, 사관학교 출신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며, 급여를 인상하여 부패를 근절한다.
- 강력한 검열 시스템을 구축한다.
- 장교의 책임과 의무를 상세히 설명하고 부대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규정집을 발간하며, 사관학교 출신 장교 충원 시 훈련 교관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줄인다.
- 엄격한 신병 모집 기준(문맹률 20% 이상, 신장, 건강, 아편 중독 여부 등)을 적용한다.
- 사망 또는 장애 발생 시 연금 제도와 퇴역 군인을 위한 연금 제도를 마련한다.
- 적절한 물류, 의료 서비스와 운영 가능한 물류 체인을 구축한다.
- 장비 표준화를 강조하고, 현대적이고 단순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무기를 사용한다. 동복은 흑색, 하복은 카키색으로 통일한다.
- 육군(陸軍, Lu-Jun)은 상비군(常備軍, Changbei jun), 1급 예비군(續備軍, Xubei jun), 2급 예비군(後備軍, Houbei jun)으로 구분한다.
- 12,512명 규모의 사단으로 조직을 구성한다.
- 표준 명명법(군(大軍, Dajun), 군단(軍, jun), 사단(鎮, Zhen), 연대(標, biao), 대대(營, ying)(또는 기병대), 중대(隊, dui), 소대(排, pai))을 제정한다.
- 위원회는 1개 사단과 군단의 비용을 추산했다.
- 1922년까지 총 36개 사단을 편성할 예정이었다. (이후 1913년으로 수정)
4. 1. 개혁의 배경
의화단 운동 이후 청 조정은 군제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1903년 10월, 각 성에 총리 훈련소 및 독련공소를 설치하여 신군 훈련을 감독하고, 기존의 방군, 련군, 녹영 등 구식 군대를 대폭 감축하여 남은 병력을 후비나 헌병 등으로 개편했다.[17] 청조는 위안스카이 관할의 북양 신군을 중앙군, 각 성의 신군을 지방군으로 할 계획이었다.4. 2. 개혁의 내용
1903년 10월, 청 조정은 각 성에 총리 훈련소 및 독련공소를 설치하여 신군 훈련을 감독하게 했다. 또한 기존 청나라 정규군인 "방군", "련군", 녹영 등 구식 군대를 대폭 삭감하고, 남은 병력은 후비나 헌병 등으로 개편했다.[17] 청 조정은 위안스카이 관할의 북양 신군을 중앙군, 각 성의 신군을 지방군으로 편성하고자 했다. 청나라 멸망 시점까지 전국에 16개 진과 16개 혼성 협(진·협은 작전 단위)을 설치하려 했으나, 그중 위안스카이가 관할하는 북양 6진(직례, 산둥, 만주 관할)은 훈련과 장비 면에서 가장 우수했다.[17]1909년에는 황제와 왕족을 경호하는 근위 사단인 "금위군"을 편성했다.[17] 금위군은 일반 군대와 다른 독자적인 군복을 착용했으며, 신군 중에서도 특히 정예 부대로 여겨졌다.
4. 3. 신군의 편제
신군은 청나라 말기에 서구식 군사 제도를 도입하여 창설된 새로운 군대로, 그 편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기본 작전 단위는 진(鎭, 사단)이었다. 각 진은 2개의 보병 여단(협(協))으로 구성되었고, 각 여단은 다시 2개의 연대(표(標))로 나뉘었다. 연대는 3개의 대대(영(營))로 구성되었으며, 대대는 4개의 중대(隊)로, 중대는 다시 3개의 소대(排)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편제는 보병, 기병, 포병, 공병, 군수병 등 다양한 병과를 포함했다.[18]
- 진(鎭): 사단급 부대. 12,000명 규모로 보병, 기병, 포병, 공병, 군수병으로 구성.
- 협(協): 여단급 부대.
- 표(標): 연대급 부대.
- 영(營): 대대급 부대.
- 대(隊): 중대급 부대.
- 배(排): 소대급 부대.
- 붕(棚): 분대급 부대.
장교는 해외 유학생이나 국내 무비학당(사관학교) 졸업생으로 충원되었다. 병력은 지원제를 통해 엄격한 기준으로 선발되었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았다.[18]
기준 | 내용 |
---|---|
연령 | 20세 ~ 25세 |
신장 | 4척 8촌 이상, 건강하고 오체 만족, 시력이 양호하고 신체·지적 장애가 없는 자 |
악력 | 100근 이상 |
가문 | 대대로 토착이며, 세금 미납이 없는 자 |
품행 | 품행이 방정하고 전과가 없는 자 |
4. 4. 개혁의 한계
의화단의 난으로 인한 패배를 계기로 청조는 정치 개혁에 나섰고, 군제 개혁도 그 일환이었다. 1903년 10월, 각 성에 총리 훈련소 및 독련공소를 설치하여 신군 훈련을 감독하게 했다. 한편, 기존 청조 정규군인 "방군", "련군", 녹영 등 구 군대는 대폭 삭감하고 남은 병력을 후비나 헌병 등으로 개편했다. 청조 정부는 위안스카이(袁世凱) 관할의 북양 신군을 중앙군, 각 성의 신군을 지방군으로 삼으려 했다. 청조 멸망 시점까지 전국에 신군 16진과 16개 혼성 협(진·협은 작전 단위)을 설치했지만, 그중 위안스카이가 관할하는 북양 6진(직례, 산둥, 만주 관할)은 연도와 장비가 가장 뛰어났다.[17]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중앙 정부의 통제력 약화와 지방 군벌 발호로 인해 한계를 보였다. 특히 위안스카이의 북양군은 중앙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했다.
5. 신군과 신해혁명 (1907-1911)
위안스카이의 신군은 1902년 6월 25일 위안이 공식적으로 "북양 대신"으로 승진한 후 북양군으로 개명되었다. 1911년 청나라 말기에 대부분의 지방에서 상당한 규모의 신군이 창설되었지만, 위안의 군대는 여전히 가장 강력하여 6개 집단으로 구성되었고 75,000명 이상에 달했다. 청나라는 중국의 모든 군대를 "중국군"이라는 하나의 군대로 통합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여전히 신군이라고 불렸다. 중국군의 3분의 2는 위안의 북양군이었다.
신해혁명 동안 중국군 내 비북양군 대부분과 일부 북양 부대가 청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위안스카이는 북양군을 이끌고 혁명에 반대하는 동시에 청나라의 항복과 새로운 공화국의 대통령으로의 등극을 협상했다.[12]
정양문(Chien Men)은 정양문을 가리킨다.
5. 1. 신해혁명 발발
신군, 특히 위안스카이(袁世凱)의 북양군은 다른 군대에 비해 군사력이 압도적이었으며, 이는 후에 위안스카이가 기반으로 삼은 북양군벌의 근원이 되었다. 신해혁명 발발 후, 위안스카이는 북양군의 군사력을 배경으로 선통제를 퇴위시키고, 쑨원(孫文)과의 거래를 통해 중화민국 대총통에 취임했지만, 원래 사상이 달랐던 쑨원과 양립할 수 없었고, 중국은 북양군벌 중심의 베이징 정부와 쑨원의 혁명파 사이의 장기간에 걸친 내전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5. 2. 위안스카이의 배신
신해혁명 당시 원세개는 북양군을 이끌고 혁명에 반대하는 척하면서도, 실제로는 청 황실을 압박하여 선통제를 퇴위시키고 자신이 중화민국의 대총통이 되었다.[12] 이는 군사력이 다른 군대에 비해 압도적이었던 북양군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훗날 북양군벌의 근원이 된다.5. 3. 군벌 시대의 도래
위안스카이(袁世凱)는 신건육군의 지휘권을 확고히 유지하기 위해 자신이 임명한 충성스러운 관리들만을 배치했다. 그러나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신건육군은 주둔지의 위치에 따라 전투적인 군벌의 4대 주요 세력으로 빠르게 분열되었다. 이 군벌 집단과 장군들은 중화민국 정치에서 중국 공산당의 중국 내전 승리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될 때까지 다양한 역할을 했다.[12]신건육군의 가장 중요한 유산 중 하나는 군대의 전문화였으며, 아마도 중국에 군국주의를 도입한 것이었을 것이다. 이전에는 거의 모든 남성이 입대할 수 있었고, 병사들은 대부분 가난하고 토지가 없으며 문맹인 농민이었다. 신건육군은 증국번과 좌종당이 19세기 중반의 봉기에서 성공적이었지만 일본과 서방의 현대적인 군대 앞에서 신뢰를 잃은 개인적인 모집과 후원 방식을 넘어섰다. 신건육군은 지원자를 선별하기 시작했고, 장교를 훈련시키기 위해 현대적인 군사 학교를 설립했다. 신건육군의 근대화와 전문화는 향신 계급의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들의 참여를 이끌었다. 예를 들어, 젊은 장제스는 잠시 위안스카이의 보정군관학교에 다녔으며, 이로 인해 그는 다음 세대의 군인을 훈련시키는 자신의 황포군관학교를 설립하는 데 영향을 받았다. 위안스카이와 그의 후계자들은 정치 분야에서 군사적 지배가 국가의 생존과 동일하다고 여겼다. 정치 군대는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중국에서 지배적인 세력이 될 것이다.
신군, 특히 위안스카이(袁世凱)의 북양군은 군사력이 다른 군대에 비해 압도적이었으며, 이는 후에 위안스카이가 기반으로 삼은 북양군벌의 근원이 되었다. 신해혁명 발발 후, 위안스카이는 북양군의 군사력을 배경으로 선통제를 퇴위시키고, 쑨원(孫文)과의 거래를 통해 중화민국 대총통에 취임했지만, 원래 사상이 달랐던 쑨원과 양립할 수 없었고, 중국은 북양군벌 중심의 베이징 정부와 쑨원의 혁명파 사이의 장기간에 걸친 내전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6. 신군의 군사 제도
신건육군의 계급 체계는 청나라 군대의 계급을 바탕으로 한다. 군좌는 군의 특무 사관으로, 계급명은 "동~"으로 하였으나 평판이 좋지 않아, 후에 "마의협군교" 등으로 개칭되었다. 준위에 상당하는 "액외"는 액진|ejen중국어 , 즉 사관이 아니라는 의미로, 준사관을 의미한다.
6. 1. 계급
신건육군의 계급 체계는 청나라 군대의 계급을 바탕으로 한다. 다음은 신건육군의 계급 체계이다.관위 | 등급 | 군관 | 군좌 | 경찰 | 상당 계급 |
---|---|---|---|---|---|
초품 | 제1등 제1급 | 대장군 | 원수 | ||
정1품 | 제1등 제2급 | 장군 | |||
종1품 | 상등 제1급 | 정도통 | 정승 | 장관 | |
정2품 | 상등 제2급 | 부도통 | 총무처 회의 | ||
종2품 | 상등 제3급 | 협도통 | 회지사 | ||
정3품 | 중등 제1급 | 정참령 | 동정참령 | 5품 경관 | 좌관 |
종3품 | 중등 제2급 | 부참령 | 동부참령 | 6품 경관 | |
정4품 | 중등 제3급 | 협참령 | 동협참령 | 7품 경관 | |
정5품 | 차등 제1급 | 정군교 | 동정군교 | 8품 경관 | 위관 |
정6품 | 차등 제2급 | 부군교 | 동부군교 | 9품 경관 | |
정7품 | 차등 제3급 | 협군교 | 동협군교 | 1, 2, 3등 순관 | |
액외 | 액외군관 | 액외군좌 | 준위 | ||
군사 | 상사 | 순장 | 하사관 | ||
중사 | |||||
하사 | |||||
병졸 | 정병 | 순경 | |||
1등병 | |||||
2등병 |
군좌는 군의 특무 사관으로, 계급명은 "동~"으로 하였다. 그러나 평판이 좋지 않아, 후에 "마의협군교" 등으로 개칭되었다. 준위에 상당하는 "액외"는 액진|ejen중국어 , 즉 사관이 아니라는 의미로, 준사관을 의미한다.
7. 신군의 의의와 한계
신군은 중국 군대의 현대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이전에는 대부분 가난하고 문맹인 농민들이 군대에 입대했지만, 신건육군은 지원자를 선별하고 현대적인 군사 학교를 설립하여 장교를 훈련시키는 등 군사 전문화를 추구했다. 이러한 변화는 향신 계급의 참여를 이끌어냈으며, 장제스와 같은 인물에게도 영향을 주었다.[1]
그러나 신군은 군국주의를 도입하고 군벌 세력의 기반이 되어, 결과적으로 중국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고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1] 위안스카이와 그의 후계자들은 군사적 지배를 국가 생존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20세기 대부분 기간 동안 중국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1]
7. 1. 긍정적 측면
신군은 중국 군대의 현대화에 기여했다. 이전에는 거의 모든 남성이 입대할 수 있었고, 병사들은 대부분 가난하고 토지가 없으며 문맹인 농민이었다. 그러나 신건육군은 지원자를 선별하기 시작했고, 장교를 훈련시키기 위해 현대적인 군사 학교를 설립했다. 신건육군의 근대화와 전문화는 향신 계급의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들의 참여를 이끌었다.[1] 예를 들어, 젊은 장제스는 잠시 위안스카이의 보정군관학교에 다녔으며, 이로 인해 그는 다음 세대의 군인을 훈련시키는 자신의 황포군관학교를 설립하는 데 영향을 받았다.[1]7. 2. 부정적 측면
신건육군은 군벌 세력의 기반이 되어 중국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고,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었다.[1]신건육군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군대의 전문화와 함께 중국에 군국주의를 도입한 것이었다. 이전에는 거의 모든 남성이 군대에 들어갈 수 있었고, 병사들은 대부분 가난하고 땅이 없으며 글을 모르는 농민이었다. 그러나 신건육군은 지원자를 선별하고 장교 훈련을 위한 현대식 군사 학교를 설립하는 등 군사 전문화를 추구했다.
위안스카이와 그의 후계자들은 정치 분야에서 군사적 지배가 국가의 생존과 동일하다고 여겼다. 이러한 정치 군대는 20세기 대부분 기간 동안 중국에서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1]
참조
[1]
ZH
新建陸軍
[2]
Harvnb
Newly Established Army
[3]
Harvnb
[4]
Harvnb
[5]
문서
On December 8, 1895, [[Empress Dowager Cixi]] passed down the edict
[6]
문서
Yuan was at this time the {{Interlanguage link|taotai{{!}}''taotai''|2=zh|3=道台|preserve=1}} or intendant of several provinces.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간행물
Toward Sovereignty: Zhang Zhidong's Military Strengthening of China, 1884-1901
WWU Graduate School Collection
2016
[11]
서적
The rise of modern China: = Zhong guo jin dai shi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2]
서적
To-morrow in the East
https://archive.org/[...]
G. Bell & Sons
2013-04-01
[13]
간행물
Toward Sovereignty: Zhang Zhidong's Military Strengthening of China, 1884-1901
WWU Graduate School Collection
2016
[14]
문서
来(1989)、p.10
[15]
문서
来(1989)、p.11
[16]
문서
来(1989)、p.13
[17]
문서
文(1962)、p.53
[18]
문서
文(1962)、p.46
[19]
학술지
《论清末新军向革命转化》
https://www.ixueshu.[...]
厦门大学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