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지와라노 야스히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와라노 야스히라는 오슈 후지와라 씨의 3대 당주 후지와라노 히데히라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가독을 이어받았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압박에 굴복하여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를 살해하고, 요리토모의 오슈 침공으로 가문이 멸망하는 과정을 겪었다. 그는 요리토모에게 항복하려 했으나 거부당하고 가신에게 배신당해 죽임을 당했다. 야스히라의 목은 주손지에 안치되었으며, 그의 묘에서 발견된 연꽃 씨앗이 발아하여 현재 주손지 경내에 연꽃으로 피어 있다. 야스히라는 아버지의 유언을 어기고 요시쓰네를 죽인 행적 등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그의 가신은 그를 옹호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슈 후지와라씨 - 불타오르다 (드라마)
    다카하시 가쓰히코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NHK 대하드라마 《불타오르다》는 11세기 무쓰 지역을 배경으로 아베 일족과 오슈 후지와라 씨의 흥망성쇠, 권력 투쟁, 가문 간 갈등, 인간 군상을 그린 드라마로, 오픈 세트장은 '에사시 후지와라노 사토'로 활용되고 평균 시청률 17.7%를 기록했다.
  • 오슈 후지와라씨 - 후지와라노 히데히라
    후지와라노 히데히라는 12세기 오슈 후지와라 씨의 3대 당주로, 17만 기병을 거느리고 겐지의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를 보호하며 가마쿠라 막부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대립하다가 사후 그의 유해가 미라 형태로 주손지 곤지키도에 안치되었다.
  • 1189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는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이복형과의 갈등으로 자결한 비극적인 무장으로, 일본 대중문화에서 영웅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1189년 사망 - 헨리 2세
    헨리 2세는 1154년 잉글랜드 왕위에 올라 앙주 제국을 건설하고 법률 및 사법 제도를 개혁했으나, 토마스 베켓과의 갈등과 아들들과의 상속 문제로 갈등을 겪다가 사망했다.
  • 가마쿠라 시대의 무사 - 구스노키 마사시게
    구스노키 마사시게는 가마쿠라 막부 말기부터 겐무 신정기에 활약한 무장으로, 고다이고 천황을 지지하여 막부에 맞섰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와의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충절은 높이 평가받고 출신 배경과 생애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 가마쿠라 시대의 무사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아버지 요리토모 사후 쇼군에 올랐으나 고케닌들의 반발과 권력 다툼으로 물러난 뒤 암살당해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후지와라노 야스히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족오슈 후지와라 씨
시대헤이안 시대 말기 - 가마쿠라 시대 초기
출생1155년?
사망1189년 10월 14일
묘소이와테현 히라이즈미정 주손지 곤지키도
관위데와국 무쓰국 압령사
별명다로, 이다테 고지로
계명불명
가계
아버지후지와라노 히데히라
어머니후지와라노 모토나리의 딸
의붓아버지후지와라노 구니히라(실제는 이복형)
형제구니히라
야스히라
다다히라
다카히라
미치히라
요리히라?
스에히라?
딸?
배우자불명
자녀요리히라?
도키히라?
히데야스?
야스타카(고우코, 주만, 만주, 만주마루)?
기타 정보
다른 이름다로
이다테 고지로
이다테 지로
야스히라
고히라
이즈미 간자?

2. 생애

오슈 후지와라 씨 3대 당주 후지와라노 히데히라의 차남이자 적자로 태어나, 아버지 사후 가독을 이어 4대 당주가 되었다.[1] 당시 히라이즈미에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대립하여 도망쳐 온 미나모토노 요시쓰네가 히데히라의 비호 아래 머물고 있었다.[1] 히데히라는 요시쓰네를 받들고 요리토모에 맞서 싸우라는 유언을 남겼으나,[1][2] 야스히라는 요리토모의 계속된 압박에 굴복하여 결국 요시쓰네를 공격, 자결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는 요리토모에게 오슈 정벌의 명분을 주는 결과를 낳았다. 1189년 오슈 전투에서 가마쿠라 막부 군에게 패배한 야스히라는 도주하던 중 부하였던 카와타 지로에게 배신당하여 살해당했다.[10] 그의 죽음으로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도호쿠 지방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던 오슈 후지와라 씨는 멸망했으며, 야스히라의 목은 주손지 곤지키도에 안치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오슈 후지와라 씨 3대 당주 후지와라노 히데히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무쓰노카미 후지와라노 모토나리의 딸이었다. 이복 형인 후지와라노 구니히라는 "도노 타로(父太郎)" 또는 "다른 배의 적남(他腹之嫡男)"이라고 불린 데 반해, 정실 소생인 야스히라는 "가노 타로(母太郎)" 또는 "도후쿠 타로(当腹太郎)"라고 불리며 적자로 취급받았다. 이는 『구칸쇼』에 기록되어 있다. 『교쿠요』 분지 4년(1188년) 1월 9일 조항에는 히데히라의 차남임에도 불구하고 "타로(太郎)"라고 기술되어 있다. 히데히라에게 정실 소생의 자식이 몇 명 있었는지, 혹은 야스히라뿐이었는지는 정확히 불분명하지만, 히데히라의 6명의 아들 중에서 야스히라가 정실의 장남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2. 히데히라의 죽음과 유언

분지 3년(1187년) 10월 29일, 아버지 히데히라가 사망하면서 야스히라가 가독(家督)을 상속받았다.[1] 히데히라는 죽기 직전, 도고쿠(東国)에서 무가 정권(武家政権)으로 세력을 넓히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의 대립에 대비했다. 당시 요시쓰네는 지쇼-주에이의 난 이후 요리토모와 대립하여 히라이즈미로 도망쳐 히데히라의 비호를 받고 있었는데,[1] 히데히라는 요시쓰네를 대장군(大将軍)으로 삼아 요리토모에 맞서 싸우라는 유언을 남겼다.[1][2]

교토 조정의 구교였던 구조 가네자네의 일기인 ''교쿠요''(玉葉) 분지(文治) 4년(1188년) 정월 9일조에 따르면, 히데히라는 아들인 구니히라와 야스히라 형제의 화합을 위해, 구니히라에게 자신의 정실 부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1][2] 또한 각자 다른 마음을 품지 않도록 구니히라, 야스히라, 요시쓰네 세 사람에게 기청문(起請文)을 쓰게 했다.[1][2] 이는 요시쓰네를 주군으로 받들고 형제가 힘을 합쳐 요리토모의 공격에 맞서라는 내용이었다.[1] 히데히라의 이러한 조치는 사이가 좋지 않던 구니히라와 야스히라 형제를 의제상의 부자 관계로 설정하고, 자신의 후처이자 후지와라노 모토나리의 딸을 구니히라에게 주어 그의 입지를 강화하고 형제간의 충돌을 막으려 한 의도로 해석된다.[1][2] 이는 역설적으로 두 형제 사이의 갈등이 매우 심각했음을 시사한다.[1]

2. 3. 요리토모의 압력과 갈등

문치 4년(1188년) 2월과 10월(혹은 11월), 요리토모는 조정에 선지(宣旨)를 내려 야스히라와 모토나리에게 요시쓰네 추토를 요청했다. 『존비분맥(尊卑分脈)』에 따르면, 같은 해 12월 야스히라가 자신의 할머니(히데히라의 어머니)를 살해한 것으로 보이는 기록이 있다. 다음 해인 문치 5년(1189년) 1월에는 요시쓰네가 교토 복귀 의사를 담은 편지를 가진 히에이 산의 승려가 체포되는 등 재기를 도모하는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같은 해 2월 15일, 야스히라는 막내 동생인 요리히라를 살해했다(『존비분맥』). 2월 22일, 가마쿠라 측에서는 야스히라가 요시쓰네의 반역에 동조하고 있다는 의심을 굳히고, 직접 토벌하기 위해 조정에 더욱 강하게 추토 선지를 요청했다. 앞서 2월 9일, 모토나리와 야스히라로부터 "요시쓰네의 소재가 밝혀지면 즉시 소환하겠다"는 회신이 있었지만, 요리토모는 이를 무시하고 2월, 3월, 4월에 걸쳐 끈질기게 오슈 추토의 선지를 요구했다. 윤달 4월에는 고시라카와 법황의 원(院)에서 야스히라 추토의 선지를 내리는 것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결국 압박에 굴복한 야스히라는 윤달 4월 30일, 수백 기의 병력을 이끌고 요시쓰네가 머물던 고로모가와 관(衣川館)을 습격했다. 이 공격으로 요시쓰네와 그의 처자, 주종들은 자결로 내몰렸다. 같은 해 6월 13일, 야스히라는 요시쓰네의 목을 술에 담가 가마쿠라로 보내며 항복의 뜻을 보였다. 그러나 요리토모는 야스히라가 지금까지 요시쓰네를 숨겨준 죄가 반역 이상이라며, 야스히라 추토의 선지를 재차 요구하는 동시에 전국에 동원령을 내렸다.

6월 26일, 야스히라는 또 다른 동생인 타다히라를 요시쓰네에게 동조했다는 이유로 살해했다. 『존비분맥』에 따르면, 타다히라의 이복동생으로 추정되는 미치히라도 이때 함께 살해된 것으로 보인다. 야스히라는 요시쓰네의 목을 바쳐 히라이즈미의 평화를 유지하려 했지만, 요리토모는 오히려 자신의 허락 없이 가신인 요시쓰네를 토벌했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결국 요리토모는 7월 19일 직접 가마쿠라를 출발하여 대군을 이끌고 오슈 정벌(오슈 전투)에 나섰다.

2. 4. 오슈 합전과 패배

야스히라는 가마쿠라군에 맞서기 위해 총수로서 고쿠분하라(国分原) 구라타테(鞭楯, 현재의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 구 고쿠분 정 부근)에 본영을 두었다.[8] 그러나 1189년 8월 11일, 아쓰카시 산 전투에서 총대장 구니히라가 패배하자, 야스히라는 히라이즈미를 포기했다. 그는 중심 기관이었던 히라이즈미 관과 저택, 보물 창고 등을 모두 불태우고 8월 21일 북쪽으로 도망쳤다. 화려했던 히라이즈미의 저택들과 막대한 보물들은 잿더미로 변했다. 오슈 후지와라 군은 불과 사흘 정도의 전투 끝에 패주했고, 이후 제대로 된 항전 한번 해보지 못했다. 8월 22일 저녁, 요리토모가 히라이즈미에 들어섰을 때는 주인을 잃고 불타버린 폐허에 가을바람만 불고 있었다. 유일하게 불타지 않은 창고에는 막대한 재보와 수입품이 남아 있었고, 이는 요리토모와 그의 부하들이 나누어 가졌다.

8월 26일, 요리토모의 숙소에 야스히라가 보낸 편지가 도착했다. 《아즈마카가미》(吾妻鏡)에 따르면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요시쓰네의 일은 아버지 히데히라 공이 보호하신 것이지 저와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귀하신 명령을 받들어 요시쓰네를 토벌했는데, 이것이 공훈이 아니라면 무엇이겠습니까? 그런데 지금 죄도 없이 정벌을 당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선대로부터 살아온 터전을 떠나 숲 속을 떠돌며 매우 곤란한 처지에 놓였습니다. 무쓰데와 두 지방을 차지하신 지금, 저를 용서하시어 고케닌(御家人)으로 삼아 주십시오. 그렇지 않다면 사형만은 면하게 하여 먼 곳으로 유배 보내 주십시오. 자비로운 답변을 히나이 군 근처에서 기다리겠습니다. 시비를 가리기 위해 돌아가 곧 뵙고자 합니다."

그러나 요리토모는 야스히라의 애원을 무시하고 그의 목을 베어 오라는 명령을 내렸다. 야스히라는 다시 에조시마(夷狄島)를 향해 북쪽으로 도망쳤다. 그는 대대로 오슈 후지와라 씨를 섬겨온 노토(郎党) 가와타 지로(河田次郎)가 있는 히나이 군의 니에 요새(贄柵, 현재의 아키타현 오다테시)로 피신했지만, 9월 3일 가와타 지로에게 배신당해 살해되었다. 향년 25세(또는 35세)였다.[10]

9월 6일, 가와타 지로는 야스히라의 목을 가지고 요리토모 앞에 나아가 항복했다. 하지만 요리토모는 옛 주군을 배신한 그를 비난하며 처형했다. 야스히라의 목은 전9년의 역 당시 미나모토노 요리요시가 아베노 사다토의 목을 효수한 전례에 따라, 눈썹 사이에 여덟 치 길이의 쇠못을 박아 기둥에 걸렸다. 얼마 후 야스히라의 목은 히라이즈미로 옮겨져 검은 옻칠을 한 상자에 담겨 아버지 히데히라와 선대 조상들이 잠든 주손지 곤지키도(金色堂)의 금관 옆에 안치되었다.

2. 5. 최후

요리토모는 야스히라의 구명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그의 목을 가져오도록 수색을 명했다. 야스히라는 에조치로 도망치기 위해 북쪽으로 향했고, 여러 대에 걸쳐 가신으로 섬겼던 카와타 지로에게 의지하여 그의 본거지인 히나이군 니에노 사쿠 (현재 아키타현 오다테시)로 피신했다. 하지만 1189년 9월 3일, 가와타 지로에게 배신당하여 살해당했다. 향년 35세였다.

6일, 가와타 지로는 야스히라의 목을 요리토모에게 바쳤지만, 요리토모는 "부다이(譜代, 대대로 섬겨온 주군)의 은혜를 잊은 행위는 팔악죄에 해당한다"며 가와타 지로를 참수했다. 야스히라의 목은 전구년의 역의 고례에 따라 눈썹 사이에 8치(약 24cm) 길이의 쇠못이 박힌 채 기둥에 걸렸다. 야스히라의 목은 곧 히라이즈미로 반환되어 친족의 손으로 검은 옻칠을 한 목통에 넣어 아버지 히데히라가 잠든 주손지 곤지키도의 금관 옆에 안치되었다.

덧붙여, 요리토모는 오슈 후지와라 씨나 요시츠네의 원념을 달래기 위해 가마쿠라에 에이후쿠지를 건립했지만, 현재는 폐사되어 남아있지 않다. 이 절과 관련하여 『아즈마카가미호지 2년(1248년) 2월 5일 조에는, 호조 토키요리가 "요리토모는 자신의 숙원으로 요시츠네와 야스히라를 토벌한 것이며 그들은 조정의 적이 아니다"라는 영몽을 꾸고 에이후쿠지의 수선을 재촉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아즈마카가미』가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에이닌 연간부터 가겐 연간(1293년~1306년)의 집권 호조 사다토키 무렵에는 야스히라(또는 요시츠네)의 명예가 회복되었음을 나타낸다.

3. 야스히라의 목과 주손지 연꽃

주손지 경내의 주손지 연꽃 (2008년 6월 촬영)


주손지 곤지키도(金色堂)에 안치된 목은 오랫동안 야스히라의 동생인 다다히라(忠衡)의 것으로 여겨져 왔다. 목이 담겨 있던 나무 상자에도 "타다히라 공(公)"이라고 적혀 있었다. 그러나 1950년 학술 조사 결과, 이 목의 주인은 야스히라로 밝혀졌다. 조사 과정에서 목의 미간과 후두부를 관통하는 직경 약 1.5cm, 길이 18cm의 구멍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즈마카가미》에 기록된 야스히라의 목에 여덟 치(24cm) 길이의 못을 박았다는 내용과 일치하는 증거였다. 이 외에도 오른쪽 측두부에 칼로 베인 깊은 상처를 포함하여 머리와 얼굴 전체에 16곳 이상의 크고 작은 상처(절창, 자창)가 남아 있었다. 코와 귀가 잘려나갔고, 미간에서 콧대를 지나 윗입술까지 찢어진 흔적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처들을 통해 목을 베기 위해 여러 차례 칼을 휘둘렀으며, 못 박는 형벌을 당한 후 효수(梟首,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는 형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목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했으며, 얼굴은 둥근 편이고 이마가 넓으며, 아버지 히데히라를 닮아 콧날이 오똑하고 다부진 인상이었다. 혈액형은 B형으로 밝혀졌다. 치아 상태는 양호했으며, X선 검사 결과 제3대구치의 뿌리가 형성 중인 것으로 나타나 사망 당시 나이는 20대에서 30대 사이, 대략 25세 정도로 추정되었다. 다만, 치아 마모 상태나 두개골의 특징을 고려할 때 30세 전후 또는 30대 중반일 가능성도 제기되어, 《아즈마카가미》의 여러 판본에 기록된 25세 사망설과 35세 사망설 모두 확증되지 않았다. 목 부분에는 봉합된 흔적이 남아 있어, 사후에 근친자에 의해 정중하게 수습되어 봉납된 것으로 보인다.

야스히라의 목이 다다히라의 것으로 오랫동안 잘못 알려진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에 대한 동정적인 시각(判官贔屓)의 영향으로, 요시쓰네를 지지했던 다다히라를 진정한 후계자로 여기려는 심리가 작용했을 수 있다. 또한, 역적으로 몰린 야스히라가 가마쿠라 막부의 관리하에 있던 주손지 금색당에 안치될 리 없다는 오랜 통념이나, 야스히라의 장례를 치르려던 근친자(히즈메 토시히라·스에히라 형제로 추정)가 이를 숨기기 위해 일부러 목의 주인을 다다히라라고 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이 목이 야스히라의 고조부인 후지와라노 츠네키요의 것이라는 전승도 있었다.

후쿠시마현 구니미정 아쓰카시 천년 공원의 주손지 연못 (2021년 8월 촬영)


1950년 조사 당시, 야스히라의 목이 담겨 있던 상자 안에서 100여 개의 연꽃 씨앗이 함께 발견되었다. 이 씨앗들은 당시 일본 연꽃 연구의 권위자였던 오가 이치로(大賀一郎, 1883년 ~ 1965년) 박사에게 맡겨졌으나, 당시 기술로는 발아에 성공하지 못했다. 세월이 흘러 1995년, 오가 박사의 제자였던 나가시마 도키코(長島時子)가 이 씨앗들을 발아시키는 데 성공했다. 마침내 야스히라가 사망한 지 811년, 씨앗이 발견된 지 50년 만인 2000년에 연꽃이 아름다운 꽃을 피웠다.

이 연꽃은 "주손지 연꽃"(中尊寺蓮)이라 불리며, 현재 주손지 경내의 산코조(讃衡蔵)에 보존되어 있고 경내 연못에서 재배되고 있다. 또한, 야스히라와 연관이 있는 후쿠시마현 다테군 구니미정에서도 주손지 연꽃을 분양받아 니시오에다 지구에 연꽃 연못을 조성했다. 이 연못 주변은 2021년 공원으로 정비되어 "아쓰카시 천년 공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장했다.[9]

4. 평가

후지와라노 야스히라에 대한 평가는 그의 행동과 그 결과로 인해 엇갈린다. 아버지 히데히라의 유언을 어기고 요시쓰네를 살해한 점, 요리토모의 압력에 굴복하여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결국 가신에게 배신당해 죽음을 맞이하며 오슈 후지와라 씨의 멸망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주로 비판받는다. 특히 '위대한 아버지에 못난 자식'이라는 평가와 함께, 가마쿠라 막부의 공식 역사서인 《아즈마카가미》에서도 그의 나약하고 결단력 없는 모습을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관점도 존재한다. 야스히라의 가신이었던 유리 하치로는 요리토모 앞에서 야스히라를 변호한 일화가 전해진다. 유리 하치로는 요리토모의 아버지 요시토모[11] 역시 헤이지의 난 당시 더 큰 세력을 가지고도 패배하고 부하에게 살해당했음을[12] 상기시키며, 야스히라가 처했던 상황의 어려움을 강조했다. 이는 야스히라의 실패가 단순히 개인적인 무능함 때문만이 아니라, 강력한 중앙 권력으로 부상하던 가마쿠라 막부와의 힘겨루기 속에서 발생한 시대적 비극의 측면도 있음을 시사한다.

4. 1. 부정적 평가

요리토모에게 굴복하여 아버지 히데히라의 유언을 어기고 요시쓰네를 살해하였으며, 요리토모의 토벌군에 제대로 맞서 싸우지도 못한 채 결국 가신에게 배신당해 죽음을 맞이한 점 때문에 야스히라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이러한 행동은 결국 오슈 후지와라 씨를 멸망으로 이끌었기에, '위대한 아버지에 못난 자식'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역사서 《아즈마카가미》에는 야스히라에 대해 "아쓰카시 산의 진(陣)이 크게 패했다는 소식에 당황해 넋을 잃고 어쩔 줄 몰랐다", "한때의 목숨을 아껴 숨는 것은 쥐와 같았고, 달아나는 것은 사자 닮은 강아지 같다"고 기록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다만, 야스히라의 가신이었던 유리 하치로가 요리토모에게 붙잡혔을 때의 일화는 다른 관점을 보여준다. 요리토모는 "야스히라는 오쿠 6군의 주군으로 두 개의 구니(國)와 17만 기(騎)를 거느렸으나, 변변한 가신 하나 두지 못해 20일 만에 내게 패하고 가와다 지로 한 사람의 손에 죽었으니, 이는 더 말할 것도 없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유리 하치로는 "돌아가신 사바노카미(左馬頭)[11](요리토모의 아버지 미나모토노 요시토모)께서는 가이도(海道) 15개 구니를 거느리셨으나 헤이지 역난(平治逆亂)이 일어나자 하루 만에 패하셨고, 수십만 기를 거느리고도 오사다 쇼지(長田庄司)[12] 한 사람 손에 죽으셨습니다"라고 반박하며, "야스히라는 두 주(州)의 용사만 거느리면서도 (수십 개 구니를 동원한) 공(요리토모)을 며칠이나 고민하게 했으니, 야스히라가 공의 아버님보다 못하지는 않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요리토모는 이 말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4. 2. 긍정적 평가

야스히라는 아버지 히데히라의 유언을 어기고 요시쓰네를 죽였으며, 요리토모의 공격에 제대로 맞서 싸우지도 못하고 결국 가신에게 배신당해 죽음을 맞이하면서 오슈 후지와라 씨를 멸망으로 이끌었다. 이 때문에 위대한 아버지에 비해 부족한 아들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역사서 《아즈마카가미》 역시 야스히라에 대해 "아쓰카시 산의 진영이 크게 패했다는 소식에 당황하여 넋을 잃고 어쩔 줄 몰랐다", "잠시 목숨을 아껴 숨는 것은 쥐와 같았고, 달아나는 것은 사자를 닮은 강아지 같다"고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다른 평가도 존재한다. 야스히라의 가신이었던 유리 하치로는 요리토모에게 붙잡혔을 때, 야스히라를 변호했다. 요리토모가 "야스히라는 오쿠 6군의 주군이라 두 개의 구니와 17만 기(騎)를 거느렸으나 변변한 노토(郎党, 가신)를 두지 못해 20일 만에 내게 패하고 가와다 지로 한 사람의 손에 죽었으니, 이는 더 말할 것도 없는 일이다."라고 말하자, 유리 하치로는 요리토모의 아버지 요시토모의 예를 들어 반박했다. 그는 "돌아가신 사바노카미(左馬頭)[11]께서는 가이도(海道)의 15개 구니를 거느리셨으나 헤이지 역난(平治逆亂)이 일어나자 하루만에 패하셨고, 수십만 기를 거느리고도 오사다 쇼지(長田庄司)[12] 한 사람 손에 죽었다"고 지적하며, "야스히라는 두 주(州)의 용사만 거느리면서도 (수십 개 구니를 동원한) 공(요리토모)을 며칠이나 고민하게 했으니, 야스히라가 공의 아버님보다 못하진 않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요리토모는 이 말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4. 3. 중도진보적 관점에서의 평가

아버지 히데히라의 유언을 어기고 요시쓰네를 제거했음에도, 결국 요리토모의 압박과 토벌을 이겨내지 못하고 부하에게 배신당해 죽음을 맞이하며 오슈 후지와라 씨의 멸망을 초래한 야스히라는 흔히 '위대한 아버지에 미치지 못한 아들'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가마쿠라 막부의 공식 기록인 《아즈마카가미》에서도 야스히라에 대해 "아쓰카시 산 전투에서의 패배 소식에 당황하여 어쩔 줄 몰랐다"거나 "목숨을 부지하려 숨는 모습이 쥐와 같고, 달아나는 모습은 사자를 닮은 강아지 같다"는 등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승리자인 요리토모 측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야스히라의 가신이었던 유리 하치로는 요리토모 앞에서 야스히라를 변호한 일화가 전해진다. 요리토모가 야스히라의 무능함을 지적하며 "많은 군사를 거느렸음에도 변변한 가신 하나 없어 내게 패하고 부하 한 명에게 죽었다"고 말하자, 유리 하치로는 요리토모의 아버지인 미나모토노 요시토모[11] 역시 헤이지의 난 당시 더 큰 세력을 가졌음에도 하루 만에 패배하고 부하 오사다 쇼지[12] 한 사람에게 살해당했음을 상기시키며, "야스히라는 당신의 아버지보다 적은 힘으로도 당신(요리토모)을 며칠이나 고민하게 만들었으니, 결코 당신의 아버지보다 못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에 요리토모는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처럼 야스히라는 강력한 중앙 권력으로 부상하던 가마쿠라 막부와 요리토모의 압력 속에서 가문의 생존을 위해 고뇌했으나, 결국 권력 투쟁의 희생양이 되어 몰락을 피하지 못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을 읽고 주체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기보다는 기존의 봉건적 질서에 굴복하며 가문의 멸망을 막지 못한 점은 역사적 아쉬움으로 남는다.

5. 관련 작품


  • '''소설'''
  • * 오노데라 코지, 《헤이세이 낙일》(고분샤 시대 소설 문고)
  • * 다카하시 가쓰히코, 《불타오르다》(일본방송출판협회, 고단샤 문고)
  • * 다카하시 나오키, 〈오우의 풍진〉(《령귀 요리토모》분슌 문고 수록)

  • '''텔레비전 드라마'''
  • * 겐지 (1966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가타야마 아키히코
  • * 무사시보 벤케이 (1986년, NHK) - 배우: 쓰카야마 마사네
  • * 불타오르다 (1993년 ~ 1994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와타나베 켄
  • * 요시쓰네 (2005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와타나베 잇케이
  • * 가마쿠라도노의 13인 (2022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야마모토 고지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Legends of the Samurai Overlook Duckworth
[3] 문서 玉葉 文治 1188-01-09
[4] 문서 柳之御所遺跡で出土した人々給絹日記
[5] 문서 父秀衡は死去する直前、異母兄弟である国衡と泰衡の融和を図る目的で、自分の正室・藤原基成の娘(泰衡の実母)を娶らせ、各々異心無きよう、国衡・泰衡・義経の三人に起請文を書かせた。義経を主君として給仕し、三人一味の結束をもって、頼朝の攻撃に備えよ、と遺言したという。
[6] 문서 平泉志
[7] 문서 吾妻鏡 1189-12-01 #文治5年11月8日를 서기년도로 변경 (1189년)
[8] 간행물 仙台市史 仙台市史編さん委員会
[9] 뉴스 【福島県国見町】今が見頃!800年の眠りから醒めた蓮の花が咲き誇る「あつかし千年公園」 https://creators.yah[...] CREATORS 2021-07-29
[10] 문서 《아즈마카가미》 깃카와본(吉川本)에는 25세, 호조본(北条本)에는 35세로 되어 있다.
[11] 문서 요리토모의 아버지인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말한다.
[12] 문서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죽인 오사다 다다무네(長田忠致)를 말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