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가시쿠니 모리히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가시쿠니 모리히로는 일본의 황족 출신 군인으로, 메이지 천황의 외손자이자 쇼와 천황의 사촌이자 사위였다.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군 복무를 하였으며, 할힌골 전투에 참전했으나 명령 없이 철수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1943년 쇼와 천황의 장녀인 테루노미야 시게코 내친왕과 결혼했으며, 1947년 신적강하로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 이후 사업가로 활동하며, 홋카이도 탄광 기선 감사 등을 역임했다. 1969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가시쿠니노미야 -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는 육군 대장으로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고 내각총리대신으로 종전 절차를 주도했으며 102세로 사망했다.
  • 히가시쿠니노미야 - 히가시쿠니 시게코
    히가시쿠니 시게코는 쇼와 천황의 장녀로 태어나 히가시쿠니 모리히로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평민이 되어 잡지에 기고하다가 위암으로 사망했다.
  •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자녀 - 오부치 유코
    오부치 유코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으로, 아버지 오부치 게이조의 딸이며, 와세다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경제산업대신을 역임했으나 정치자금 오용 의혹으로 사임했다.
  •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자녀 - 고이즈미 신지로
    고이즈미 신지로는 전 총리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아들이자 일본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주요 직책, 환경대신을 역임하며 활동했고 신자유주의적 경제관과 환경·젠더 문제에 대한 입장을 보였으며, 2024년 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다.
  • 일본의 왕 - 모치히토 왕
    고시라카와 천황의 아들인 모치히토 왕은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와 함께 헤이케 타도를 계획하고 겐지들에게 영지를 내려 거병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살해당했고, 그의 거병은 실패했지만 각지의 겐지들이 헤이케 멸망의 계기가 되었다.
  • 일본의 왕 - 아사카 야스히코
    아사카 야스히코는 일본 황족 출신 군인으로 아사카노미야를 창설하고 육군 중장까지 진급했으나, 난징 대학살 연루 의혹과 전후 평민으로 강등된 후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여생을 보낸 인물이다.
히가시쿠니 모리히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히가시쿠니 모리히로
작위히가시쿠니노미야 왕세자
출생일1916년 5월 6일
사망일1969년 2월 1일
사망 장소성 누가 국제 병원, 도쿄, 일본
가족히가시쿠니노미야 가문
가계
아버지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어머니야스히메 도시코
배우자테루히메 시게코 (1943년 결혼, 1961년 사별)
데라오 요시코 (1964년 결혼)
자녀히가시쿠니 노부히코
히가시쿠니 후미코
히가시쿠니 나오히코
히가시쿠니 히데히코
히가시 유코
데라오 아쓰히코
히가시쿠니 모리히코
군사 경력
소속일본 제국 육군
복무 기간1937년–1945년
계급소좌
부대관동군
지휘제1중포병연대 제1포대, 관동군
참전 전투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훈장기리쿠동화대수장
금치훈장 (4등)

2. 생애

1917년(다이쇼 5년) 5월 6일 도쿄부에서 황족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과 메이지 천황의 딸 히가시쿠니 도시코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1][12][13] 가쿠슈인과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장교로 복무하며 할힌골 전투에도 참전했다. 1943년(쇼와 18년)에는 쇼와 천황의 장녀 시게코 내친왕과 결혼했다. 1945년 종전 시 계급은 육군 소좌였다.

1947년(쇼와 22년) 신적강하로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 '''히가시쿠니 모리히로'''(東久邇 盛厚|히가시쿠니 모리히로일본어)가 되었다.[11][12][13][5] 이후 홋카이도 탄광 기선 등에서 근무하고 제도고속도교통영단 감사 등을 역임했다.[11][12][13] 1961년 첫 부인 시게코와 사별 후 1964년 데라오 요시코와 재혼했다.[11][12][13]

1969년(쇼와 44년) 2월 1일 폐암으로 사망했다.[11][12][13]

2. 1. 출생과 성장

1917년(다이쇼 5년) 5월 6일 도쿄부에서 태어났다.[11][12][13] 아버지는 황족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이며, 그는 훗날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어머니는 메이지 천황의 아홉 번째 딸인 히가시쿠니 도시코(야스 공주)이다. 이에 따라 모리히로는 메이지 천황의 외손자이자, 쇼와 천황(히로히토)과는 사촌 관계가 된다.

대일본 제국 시대의 다른 황족 남성들처럼 모리히로도 어린 시절부터 군사 경력을 쌓도록 교육받았다. 그는 가쿠슈인과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군인으로 복무하였다. 1939년(쇼와 14년)에는 할힌골 전투에 장교 신분으로 참전하였다.

1943년(쇼와 18년)에는 쇼와 천황고준 황후의 장녀인 시게코 내친왕과 결혼하여 쇼와 천황의 사위가 되었다. 이로써 그는 쇼와 천황의 사촌이자 사위라는 독특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1945년(쇼와 20년) 태평양 전쟁 종전 시에는 육군 소좌 계급이었다.

전후인 1947년(쇼와 22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시에 따라 부인 시게코, 장남 등과 함께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신적강하). 이때부터 이름은 '''히가시쿠니 모리히로'''로 바뀌었다.

2. 2. 군 복무

가쿠슈인과 육군사관학교 예과, 귀족원을 거쳐 1937년(쇼와 12년) 6월 일본 육군사관학교 본과를 49기로 졸업하였다. 같은 해 8월 육군 포병 소위로 임관하여 야전중포 제1연대에 배속되어 육군 장교로 복무를 시작했다. 1938년(쇼와 13년) 3월에는 중위로 진급하여 만주국에 주둔 중이던 육군 제1 포병 연대에서 근무했다.

1939년(쇼와 14년) 여름, 할힌골 전투(노몬한 사건)에 동 연대의 제1중대장(다른 기록에는 제1중야전포병연대 제1포병대대장) 신분으로 참전하였다. 7월 18일 전장에 도착했으나, 전황이 악화되고 궁내성 소속 관리가 전사하는 등 상황이 불리해지자, 7월 27일(다른 기록에는 8월 2일) 정기 이동을 기다리지 않고 명령 없이 부대를 이끌고 전장에서 이탈하였다.[3] 이 사건은 일본 군 당국에 의해 은폐되었지만, 소련군에게는 좋은 선전 소재가 되었다.

이러한 복무 기록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1941년(쇼와 16년) 3월 포병 대위로 진급하였다. 이후 육군포공학교를 거쳐 1942년(쇼와 17년) 12월부터 1943년(쇼와 18년) 12월까지 일본 육군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육군대학교 졸업 후 소좌로 진급하여 제36군 정보 참모를 맡았으며, 임무 수행 중이던 1945년(쇼와 20년) 육군 소좌 신분으로 종전을 맞이하였다.

2. 3. 쇼와 천황과의 관계

히가시쿠니 모리히로는 쇼와 천황과는 사촌이자 사위 관계였다. 그의 어머니 히가시쿠니 도시코메이지 천황의 아홉 번째 딸이었고,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였으므로 두 사람은 사촌 지간이었다.[11][12][13]

또한 1943년(쇼와 18년) 10월 13일, 쇼와 천황과 고준 황후의 장녀인 데루노미야 시게코 내친왕과 결혼하여 쇼와 천황의 사위가 되었다.[11][12][13][3] 이 결혼으로 히가시쿠니 가문과 황실의 혈연 관계는 더욱 가까워졌다.

2. 4. 황족 이탈과 평민 생활

1947년(쇼와 22년) 10월 14일, 연합군 점령하에서 다른 황족들과 함께 신적강하하여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11][12][13][5] 이 조치로 인해 이름은 '''히가시쿠니 모리히로'''(東久邇 盛厚|히가시쿠니 모리히로일본어)로 바뀌었으며, 황족으로서 누리던 작위와 특권 역시 박탈당했다. 황적 이탈 직후에는 공직 추방 처분을 받았다.[5]

평민이 된 후,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했다. 1946년(쇼와 21년)에는 일반 수험생들과 함께 도쿄 대학 입학 시험에 응시했으나 불합격했는데, 이를 두고 "과거 황족 신분이었다면 무시험으로 입학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세간에 퍼지기도 했다.[4] 이후 도쿄 대학 경제학부에서 3년간 청강생으로 공부하며[4] 민간인으로서의 새로운 삶을 준비했다. 몇 차례 사업을 시도했으나 실패를 겪기도 했으며, 이후 홋카이도 탄광 기선의 사장실 및 연구부 책임자로 근무했다.[11][12][13] 1963년(쇼와 38년)에는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의 감사로 임명되었다.[11][12][13] 이외에도 라틴아메리카협회 이사, 일본도미니카협회 회장, 해외일본인협회 평의원 등을 역임했으며, 1959년(쇼와 34년)에는 일본 친(Chin) 클럽 회장에 취임하는 등 다양한 사회 활동에 참여했다.[11][12][13]

개인적인 삶에서는 1961년(쇼와 36년) 7월 23일, 첫 번째 부인이자 쇼와 천황의 장녀였던 히가시쿠니 시게코와 사별하는 아픔을 겪었다.[11][12][13] 시게코와의 사이에는 3남 2녀를 두었다. 이후 1964년(쇼와 39년), 오랜 친구였던 데라오 요시코(寺尾佳子|데라오 요시코일본어)와 재혼하여 슬하에 2남을 더 얻었다.[11][12][13]

1969년(쇼와 44년) 2월 1일, 도쿄 세인트 루크 국제병원에서 폐암으로 인해 향년 53세(만 51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1][12][13]

2. 5. 사망

1969년 2월 1일, 도쿄도 주오구에 위치한 세이로카 국제병원에서 폐암으로 사망했다.[11][12][13] 향년 53세(만 51세)였다.

3. 가족 관계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東久邇稔彦|히가시쿠니 나루히코일본어, 1887~1990) 왕자와 그의 아내 히가시쿠니 도시코( 東久邇聡子|히가시쿠니 도시코일본어, 1896~1978) 왕자비의 첫째 아들로 1916년 5월 6일 도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1945년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어머니 도시코 왕자비는 메이지 천황의 아홉 번째 딸이다. 따라서 모리히로 왕자는 메이지 천황의 외손자이다.

또한, 쇼와 천황( 昭和天皇|쇼와 덴노일본어, 1901~1989)의 장녀 히가시쿠니 시게코와 결혼하여 쇼와 천황의 사위가 되었다. 모리히로 왕자의 어머니 도시코 왕자비와 장모인 고준 황후( 香淳皇后|고준 고고일본어, 1903~2000)는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손녀들로 서로 사촌 관계였으므로, 모리히로 왕자는 쇼와 천황과도 사촌 관계에 해당한다. 즉, 쇼와 천황의 사촌이자 사위라는 독특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가족 관계'''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아버지히가시쿠니 나루히코 (東久邇稔彦|히가시쿠니 나루히코일본어)1887~1990일본 제50대 내각총리대신
어머니히가시쿠니 도시코 (東久邇聡子|히가시쿠니 도시코일본어)1896~1978메이지 천황의 9녀, 야스노미야 도시코 내친왕
동생모로마사 왕 (師正王|모로마사 오일본어)1918~1923
동생아와타 아키쓰네 (粟田彰常|아와타 아키쓰네일본어)1920~2006
동생다라마 도시히코 (多羅間俊彦|다라마 도시히코일본어)1929~2015
장인(외사촌)쇼와 천황 (昭和天皇|쇼와 덴노일본어)1901~1989일본 제124대 천황
장모(친사촌)고준 황후 (香淳皇后|고준 고고일본어)1903~2000쇼와 천황의 황후, 나가코 여왕



모리히로 왕자는 두 번 결혼하여 슬하에 총 7명의 자녀를 두었다. 첫 번째 부인은 쇼와 천황의 장녀인 히가시쿠니 시게코( 東久邇成子|히가시쿠니 시게코일본어, 1925~1961)이며, 두 번째 부인은 테라오 요시코( 寺尾 佳子|테라오 요시코일본어, 1927~2011)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조한다.

3. 1. 첫 번째 부인: 히가시쿠니 시게코 (1925-1961)

1943년 10월 10일, 히가시쿠니 모리히로 왕자는 시게코 여왕( 東久邇成子일본어, 1925년 12월 9일 – 1961년 7월 23일)과 결혼했다. 시게코는 쇼와 천황고준 황후의 장녀였으며, 어린 시절의 칭호인 '데루노미야( 照宮일본어)'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신랑과 신부는 메이지 천황구니 아사히코 왕자(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왕자의 아버지이자 고준 황후의 할아버지)를 공통 조상으로 두어 여러 계통으로 혈연 관계가 있었다.

부부는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마지막 세 자녀는 1947년 신적강하로 히가시쿠니 가문이 황족 신분을 잃은 후에 태어났다.[1]

# 노부히코 왕자( 信彦王일본어, 1945년 3월 10일 – 2019년 3월 20일): 1972년 시마다 요시코와 결혼하여 아들 히가시쿠니 마사히코( 東久邇 征彦일본어, 1973년 출생)를 두었다.

# 후미코 여왕( 文子女王일본어, 1946년 12월 23일 출생): 오무라 카즈토시와 결혼 후 다카기 다이키치와 재혼했다.

# 히가시쿠니 히데히코( 東久邇 秀彦일본어, 1949년 6월 30일 출생): 미부 가문에 입양되어 "미부 모토히로"( 壬生 基博일본어)가 되었다.[14]

# 히가시쿠니 나오히코( 東久邇 真彦일본어, 1953년 출생): 사토 카즈코와 결혼하여 두 아들 테루히코( 東久邇 照彦일본어)와 무츠히코( 東久邇 睦彦일본어)를 두었다.

# 히가시쿠니 유코( 東久邇 優子일본어, 1954년 출생): 아즈마 나오오키와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이었던 시게코는 1961년 7월 으로 사망했다.

3. 2. 두 번째 부인: 히가시쿠니 요시코 (1927-2011)

첫 부인 히가시쿠니 시게코가 1961년 7월 으로 사망한 후, 1964년 모리히로 히가시쿠니는 테라오 요시코(寺尾 佳子|테라오 요시코일본어, 1927년–2011년)와 재혼했다. 두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두 명의 자녀를 두었다.

  • 히가시쿠니 아쓰히코(東久邇 厚彦|히가시쿠니 아쓰히코일본어, 1966년 출생)[15][16]
  • 히가시쿠니 모리히코(東久邇 盛彦|히가시쿠니 모리히코일본어, 1967년 출생)

4. 가계도


  • 아버지 :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東久邇稔彦일본어, 1887~1990)
  • 어머니 : 히가시쿠니 도시코 (東久邇聡子일본어, 1896~1978) - 메이지 천황의 9녀
  • * 동생 : 모로마사 왕 (師正王일본어, 1918~1923)
  • * 동생 : 아와타 아키쓰네 (粟田彰常일본어, 1920~2006)
  • * 동생 : 다라마 도시히코 (多羅間俊彦일본어, 1929~2015)
  • 장인 : 쇼와 천황 (昭和天皇일본어, 1901~1989, 재위:1926~1989) - 외사촌
  • 장모 : 고준 황후 (香淳皇后일본어, 1903~2000) - 친사촌


1943년 10월 10일, 히가시쿠니 모리히로 왕자는 시게코(데루노미야 시게코 내친왕) (東久邇成子일본어, 1925년 12월 9일 – 1961년 7월 23일)와 결혼했다. 시게코는 쇼와 천황고준 황후의 장녀였다. 신랑과 신부는 메이지 천황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을 공통 조상으로 두어 여러 계통으로 혈연 관계였다.

  • '''첫 번째 부인 : 히가시쿠니 시게코''' (東久邇成子일본어, 1925~1961)
  • * 장남 : 히가시쿠니 노부히코 (東久邇信彦일본어, 1945년 3월 10일 – 2019년 3월 20일) - 1972년 시마다 요시코와 결혼하여 아들 히가시쿠니 마사히코(東久邇 雅彦일본어, 1973년 출생)를 둠.
  • * 장녀 : 히가시쿠니 후미코 (文子女王일본어, 1946년 12월 23일 출생) - 오무라 카즈토시와 결혼 후 다카기 다이키치와 재혼.
  • * 차남 : 히가시쿠니 히데히코 (東久邇 秀彦일본어, 1949년 6월 30일 출생) - 미부 가문에 입양되어 "미부 모토히로"(壬生基博일본어)가 됨.[14]
  • * 3남 : 히가시쿠니 나오히코 (東久邇 真彦일본어, 1953년 출생) - 사토 카즈코와 결혼하여 두 아들 테루히코(東久邇 照彦일본어)와 무츠히코(東久邇 睦彦일본어)를 둠.
  • * 차녀 : 히가시쿠니 유코 (東久邇 優子일본어, 1954년 출생) - 아즈마 나오오키와 결혼.


첫 부인 시게코는 1961년 7월 으로 사망했다.[1]

  • '''두 번째 부인 : 히가시쿠니 요시코''' (東久邇佳子일본어, 1927–2011) - 1964년 재혼.
  • * 4남 : 히가시쿠니 아쓰히코 (東久邇 厚彦일본어, 1966년 출생)[15][16]
  • * 5남 : 히가시쿠니 모리히코 (東久邇 盛彦일본어, 1967년 출생)

5. 연표

wikitext

1916년 5월 6일도쿄에서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왕자와 히가시쿠니 토시코 왕자비의 장남으로 출생.
1936년 (쇼와 11년) 5월 5일귀족원 의원 (황족 의원)으로 임명됨.[9]
1937년 (쇼와 12년) 6월육군사관학교 졸업 (49기).
1937년 (쇼와 12년) 8월 12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수훈.[6]
1937년 (쇼와 12년) 8월 21일육군 포병 소위 임관, 야전 중포 제1연대 부속.
1938년 (쇼와 13년) 3월육군 포병 중위 진급. 만주국 주둔 제1포병연대 복무.
1939년 (쇼와 14년) 7월야전 중포 제1연대 제1중대장 대리로 노몬한 사건 참전. 전투 중 명령 없이 철수하여 문책성 인사 조치됨.[3]
1939년 (쇼와 14년) 8월아성(亞城) 중포 연대 중대장으로 전보.
1939년 (쇼와 14년) 12월육군포공학교 보통과 입교.
1940년 (쇼와 15년) 7월육군포공학교 보통과 졸업.
1940년 (쇼와 15년) 2월육군야전포병학교 부속.
1940년 (쇼와 15년) 4월 29일공4급 금치훈장 수훈.
1940년 (쇼와 15년) 8월 15일기원 2600년 축전 기념장 수훈.[7]
1941년 (쇼와 16년) 3월육군 대위 진급.
1942년 (쇼와 17년) 12월육군대학교 입교.
1943년 (쇼와 18년) 10월 13일쇼와 천황의 장녀 데루노미야 시게코 내친왕과 결혼.
1943년 (쇼와 18년) 12월육군 소좌 진급.
1944년 (쇼와 19년) 7월육군대학교 졸업 (58기).
1944년 (쇼와 19년) 7월제36군 정보 참모 부임.
1945년 (쇼와 20년) 10월육군성 부속.
1945년 (쇼와 20년) 12월예비역 편입.
1946년 (쇼와 21년)도쿄 대학 입학 시험에 응시했으나 불합격.[4]
1946년 (쇼와 21년) 5월 23일귀족원 의원직 사퇴.[10]
1947년 (쇼와 22년) 10월 14일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령에 따라 신적강하로 황족 신분 상실, 히가시쿠니 모리히로(東久邇 盛厚)로 개명. 직후 공직 추방됨.[5]
1947년 ~ 1950년도쿄 대학 경제학부 청강생으로 수학.[4]
1950년대 이후홋카이도 탄광 기선 사장실 근무, 제도고속도교통영단 감사 등 역임.
1959년 (쇼와 34년)일본 친(Chin) 클럽 회장 취임.
1961년 (쇼와 36년) 7월 23일첫 부인 히가시쿠니 시게코와 사별.
1964년 (쇼와 39년)테라오 요시코(寺尾佳子)와 재혼.
1969년 (쇼와 44년) 2월 1일폐암으로 세인트 루크 국제병원에서 사망 (향년 52세).


참조

[1] 웹사이트 東久邇宮家 http://reichsarchiv.[...] nekhet 2011-09-30
[2] 뉴스 多摩陵に御結婚を御奉告 東久邇若宮同妃両殿下 読売新聞 1943-12-22
[3] 서적 ノモンハンの夏 文春文庫 2001
[4] 서적 天皇家の50年
[5] 뉴스 朝日新聞 1947-10-17
[6] 간행물 官報 1937-08-24
[7] 간행물 官報 1941-10-23
[8] 문서 梨本宮2代目
[9] 서적 貴族院要覧(丙) 貴族院事務局 1947-12
[10] 간행물 官報 1946-06-13
[11] 웹인용 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 TOP-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東久邇宮家のご紹介 http://www.higashiku[...] 2017-04-26
[12] 웹인용 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 TOP-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の由来-東久邇宮盛厚殿下について http://higashikunipr[...] 2017-04-26
[13] 웹사이트 《20世紀日本人名事典》〈東久邇盛厚〉항목 https://kotobank.jp/[...]
[14] 문서 미부(壬生) 가문에 양자로 들어가 [[미부 모토히로]](壬生基博)로 개명하였다.
[15] 문서 데라오(寺尾) 가문에 양자로 들어갔다.
[16] 웹인용 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 TOP - 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の由来 - 東久邇宮盛厚殿下について - 家系図 http://higashikunipr[...] 2017-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