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모스크바를 비롯한 소련의 5개 도시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미국 주도의 보이콧으로 인해 여러 국가가 불참하고 베네수엘라, 잠비아 등이 참가하여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체코슬로바키아가 동독을 꺾고 금메달을, 동독이 은메달,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소련의 세르게이 안드레예프가 5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2. 경기장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는 모스크바레닌 중앙 경기장과 디나모 경기장, 레닌그라드의 키로프 경기장, 키이우공화국 경기장, 민스크의 디나모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모스크바
레닌 중앙 경기장디나모 경기장
수용 인원: 91,251수용 인원: 50,475
레닌 중앙 경기장
디나모 경기장
민스크레닌그라드키이우
디나모 경기장키로프 경기장공화국 경기장
수용 인원: 50,125수용 인원: 74,000수용 인원: 100,169
민스크 디나모 경기장
키로프 경기장
공화국 경기장



축구는 1980년 하계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관중이 동원된 종목으로, 총 32개의 경기에 1,821,624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3. 예선

미국 주도의 보이콧으로 인해 아르헨티나, 이집트, 가나, 이란, 말레이시아, 노르웨이, 미국이 불참하였다. 이들을 대신하여 베네수엘라, 잠비아, 나이지리아, 이라크, 시리아, 핀란드, 쿠바가 참가하였다. 스페인은 올림픽 위원회기를 앞세워 참가했다.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는 다음 16개국이 참가했다.

아프리카 (CAF)아시아 (AFC)북중미 (CONCACAF)남아메리카 (CONMEBOL)유럽 (UEFA)개최국


4. 참가국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총 16개국이 참가했다. 아프리카에서는 알제리, 나이지리아, 잠비아가 참가했고, 아시아에서는 이라크, 쿠웨이트, 시리아가 참가했다. 북중미에서는 코스타리카와 쿠바, 남아메리카에서는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가 참가했다. 유럽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 핀란드, 동독, 스페인, 유고슬라비아가 참가했으며, 개최국인 소련도 본선에 참가했다.

5. 심판진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서는 벨라이드 라카른(알제리), 버시 에요-어니스티 (나이지리아), 니렌다 차유 (잠비아)가 심판으로 참가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에서는 살림 나지 알-하샤미 (이라크), 알리 압둘와하브 알 반나이 (쿠웨이트), 마르완 아라파트 (시리아)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에서는 루이스 파울리노 실레스 (코스타리카), 라몬 칼데론 카스트로 (쿠바), 마리오 루비오 바스케스 (멕시코)가 심판을 맡았다.

남미 축구 연맹에서는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 (브라질), 기예르모 벨라스케스 (콜롬비아), 엔리케 라보 레보레도 (페루), 호세 카스트로 로사다 (베네수엘라)가, 유럽 축구 연맹에서는 프란츠 뵈러 (오스트리아), 보이테흐 흐리스토프 (체코슬로바키아), 안데르스 마트손 (핀란드), 리카르도 라탄치 (이탈리아), 클라우스 쇼이렐 (동독), 밥 밸런타인 (스코틀랜드), 에밀리오 구루세타-무로 (스페인), 울프 에릭손 (스웨덴), 안드레 다이나 (스위스), 마랸 라우스 (유고슬라비아), 엘다르 아짐자데 (소련)가 심판으로 배정되었다.

6. 선수 명단

각 참가국은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 출전할 선수 명단을 제출하였다.

7. 조별 리그

참가국에 변동이 있었지만, 참가국 수 자체는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16개국을 4개 조로 나누어 조별 리그를 실시하고, 각 조 상위 2개국이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A조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 소련300151+146
2 쿠바20139-64
3 베네수엘라10237-42
4 잠비아00326-40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A조에는 소련, 쿠바, 베네수엘라, 잠비아가 편성되었다. 소련과 쿠바는 각각 3승(승점 6점)과 2승 1패(승점 4점)를 기록하여 8강에 진출하였다. 베네수엘라는 1승 2패(승점 2점), 잠비아는 3패(승점 0점)로 탈락했다.

A조 경기 중 소련과 쿠바의 경기는 1980년 7월 24일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안드레예프의 해트트릭을 포함하여 소련이 8-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B조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B조에는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쿠웨이트/الكويت‎ar, 콜롬비아/Colombiaes, 나이지리아/Nigeria영어가 편성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와 쿠웨이트가 8강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체코슬로바키아12041+34
2.쿠웨이트12042+24
3.콜롬비아11124-23
4.나이지리아01225-31



B조의 경기는 1980년 7월 21일, 1980년 7월 23일, 1980년 7월 25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1980년 7월 21일, 레닌그라드 키로프 경기장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 콜롬비아의 경기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가 포클루다, 베르게르, 비체크의 득점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쿠웨이트가 알-다킬의 해트트릭으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1980년 7월 23일,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콜롬비아는 몰리나레스가, 쿠웨이트는 야쿠브가 득점했다. 같은 날 레닌그라드 키로프 경기장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 나이지리아의 경기는 비체크와 은워수가 각각 한 골씩을 기록하며 1-1로 비겼다.

1980년 7월 25일,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콜롬비아가 카르도나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레닌그라드 키로프 경기장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C조 동독, 알제리, 스페인, 시리아가 C조에 편성되었다. 동독과 알제리가 8강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 (동독)21071+65
2 (알제리)11142+23
3 (스페인)0302203
4 (시리아)01208-81


  • 1980년 7월 20일, 키이우 공화국 경기장에서 열린 동독과 스페인의 경기는 퀸과 마르코스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 1980년 7월 20일,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알제리와 시리아의 경기는 벨루미, 마제르, 메르제칸의 득점으로 알제리가 3-0 승리를 거두었다.
  • 1980년 7월 22일, 키이우 공화국 경기장에서 열린 동독과 알제리의 경기는 텔레츠키의 득점으로 동독이 1-0 승리를 거두었다.
  • 1980년 7월 22일,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스페인과 시리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 1980년 7월 24일,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스페인과 알제리의 경기는 링콘과 벨루미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 1980년 7월 24일, 키이우 공화국 경기장에서 열린 동독과 시리아의 경기는 하우제, 네츠(2골), 페터, 텔레츠키의 득점으로 동독이 5-0 승리를 거두었다.

D조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21063+35
212041+34
311132+13
400329-70

결선 토너먼트 진출

|}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D조에는 유고슬라비아, 이라크, 핀란드, 코스타리카가 편성되었다. 유고슬라비아와 이라크가 8강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7. 1. A조

{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 소련300151+146
2 쿠바20139-64
3 베네수엘라10237-42
4 잠비아00326-40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A조에는 소련, 쿠바, 베네수엘라, 잠비아가 편성되었다. 소련과 쿠바는 각각 3승(승점 6점)과 2승 1패(승점 4점)를 기록하여 8강에 진출하였다. 베네수엘라는 1승 2패(승점 2점), 잠비아는 3패(승점 0점)로 탈락했다.

A조 경기 중 소련과 쿠바의 경기는 1980년 7월 24일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안드레예프의 해트트릭을 포함하여 소련이 8-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7. 2. B조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B조에는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쿠웨이트/الكويت‎ar, 콜롬비아/Colombiaes, 나이지리아/Nigeria영어가 편성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와 쿠웨이트가 8강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체코슬로바키아12041+34
2.쿠웨이트12042+24
3.콜롬비아11124-23
4.나이지리아01225-31



B조의 경기는 1980년 7월 21일, 7월 23일, 7월 25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7월 21일, 레닌그라드 키로프 경기장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 콜롬비아의 경기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가 포클루다, 베르게르, 비체크의 득점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쿠웨이트가 알-다킬의 해트트릭으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7월 23일,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콜롬비아는 몰리나레스가, 쿠웨이트는 야쿠브가 득점했다. 같은 날 레닌그라드 키로프 경기장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 나이지리아의 경기는 비체크와 은워수가 각각 한 골씩을 기록하며 1-1로 비겼다.

7월 25일,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콜롬비아가 카르도나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레닌그라드 키로프 경기장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7. 3. C조

동독, 알제리, 스페인, 시리아가 C조에 편성되었다. 동독과 알제리가 8강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 (동독)21071+65
2 (알제리)11142+23
3 (스페인)0302203
4 (시리아)01208-81


  • 1980년 7월 20일, 키이우 공화국 경기장에서 열린 동독과 스페인의 경기는 퀸과 마르코스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 1980년 7월 20일,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알제리와 시리아의 경기는 벨루미, 마제르, 메르제칸의 득점으로 알제리가 3-0 승리를 거두었다.
  • 1980년 7월 22일, 키이우 공화국 경기장에서 열린 동독과 알제리의 경기는 텔레츠키의 득점으로 동독이 1-0 승리를 거두었다.
  • 1980년 7월 22일,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스페인과 시리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 1980년 7월 24일,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스페인과 알제리의 경기는 링콘과 벨루미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 1980년 7월 24일, 키이우 공화국 경기장에서 열린 동독과 시리아의 경기는 하우제, 네츠(2골), 페터, 텔레츠키의 득점으로 동독이 5-0 승리를 거두었다.

7. 4. D조

{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21063+35
212041+34
311132+13
400329-70

결선 토너먼트 진출

|}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D조에는 유고슬라비아, 이라크, 핀란드, 코스타리카가 편성되었다. 유고슬라비아와 이라크가 8강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8. 결선 토너먼트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의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

1980년 7월 27일에 8강전 4경기가 진행되었다. 소련,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가 각각 쿠웨이트, 이라크, 쿠바, 알제리를 꺾고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

1980년 7월 29일, 동독모스크바 레닌 중앙 경기장에서 열린 소련과의 준결승전에서 네츠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유고슬라비아의 준결승전에서는 리츠카와 슈레이너의 득점으로 체코슬로바키아가 2-0 승리를 거두었다.

'''동메달 결정전'''

1980년 8월 1일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소련유고슬라비아를 2-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오가네샨안드레예프가 득점하였다. 심판은 밥 밸런타인(스코틀랜드)이 담당하였으며, 4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였다.

'''결승전'''

1980년 8월 2일, 모스크바 레닌 중앙 경기장에서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이 경기에서 체코슬로바키아동독을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경기는 70,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엘다르 아짐자데(소련)가 주심을 맡았다.

스보보다가 후반 77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양 팀은 각각 얀 베르거와 볼프강 슈타인바흐가 퇴장당하여, 58분 이후에는 10명의 선수로 경기를 치렀다.

이 결승전은 올림픽 3회 연속으로 폭우 속에서 진행되었다.

8. 1. 8강전

1980년 7월 27일에 8강전 4경기가 진행되었다. 소련,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가 각각 쿠웨이트, 이라크, 쿠바, 알제리를 꺾고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8. 2. 준결승전

1980년 7월 29일, 동독모스크바 레닌 중앙 경기장에서 열린 소련과의 준결승전에서 네츠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유고슬라비아의 준결승전에서는 리츠카와 슈레이너의 득점으로 체코슬로바키아가 2-0 승리를 거두었다.

8. 3. 동메달 결정전

1980년 8월 1일 모스크바 디나모 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소련유고슬라비아를 2-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오가네샨안드레예프가 득점하였다. 심판은 밥 밸런타인(스코틀랜드)이 담당하였으며, 4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였다.

8. 4. 결승전

1980년 8월 2일, 모스크바 레닌 중앙 경기장에서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이 경기에서 체코슬로바키아동독을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경기는 70,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엘다르 아짐자데(소련)가 주심을 맡았다.

스보보다가 후반 77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양 팀은 각각 얀 베르거와 볼프강 슈타인바흐가 퇴장당하여, 58분 이후에는 10명의 선수로 경기를 치렀다.

이 결승전은 올림픽 3회 연속으로 폭우 속에서 진행되었다.

9. 최종 순위



1980년 올림픽 축구 핀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7][3]

순위국가득점실점
1체코슬로바키아420101
2동독411122
3소련501193
4유고슬라비아31297
5쿠웨이트12154
6이라크12145
7쿠바202312
8알제리11245
9핀란드11132
10스페인03022
11콜롬비아11124
12베네수엘라10237
13나이지리아01225
14시리아01208
15잠비아00326
16코스타리카00329



금메달:은메달:동메달:




10. 득점 순위

소련의 세르게이 안드레예프가 5골로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득점왕을 차지하였다. 총 52명의 선수가 도합 82골을 기록했는데, 이 중 1골은 자책골이었다.
5골


4골

  • 라디슬라프 비체크
  • 볼프-뤼디거 네츠
  • 표도르 체렌코프

3골
2골
1골

  • 라바 마제르
  • 샤반 메르제칸
  • 벤하민 카르도나
  • 카를로스 몰리나레스
  • 오마르 아로요
  • 호르헤 위테
  • 루이스 에르난데스
  • 라몬 누녜스
  • 안드레스 롤단
  • 얀 베르게르
  • 베어너 리츠카
  • 즈데네크 슈레이너
  • 인드리히 스보보다
  • 요우코 알릴라
  • 요우코 소이니
  • 아리 티사리
  • 로타어 하우제
  • 디터 퀸
  • 베어너 페터
  • 뤼디거 슈누파제
  • 볼프강 슈타인바흐
  • 하디 아흐메드
  • 후세인 사에드
  • 헨리 은워수
  • 20px
    마르코스 알론소
  • 이폴리토 링콘
  • 올레크 로만체프
  • 세르히 샤울로
  • 볼로디미르 베즈소노우
  • 로베르트 엘리에
  • 제바드 셰체르베고비치
  • 보로 프리모라츠
  • 안테 미로체비치

자책골

  • 마부브 무바라크 (나이지리아전)

11. 메달 집계

순위국가/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계
1체코슬로바키아1001
2동독0101
3소련0011



1980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가 금메달, 동독이 은메달,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체코슬로바키아
동독
소련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at the 1980 Moscow Summer Games https://www.sports-r[...] 2018-10-27
[2] 웹사이트 FIFA Technical Report - 1980 Olympics Football Tournament https://www.fifa.com[...] FIFA 2014-02-26
[3] 웹사이트 Football Tournament 1980 Olympiad https://www.rsssf.or[...]
[4] 서적 サッカーマルチ大事典改訂版 2006-04-14
[5] 웹인용 Football at the 1980 Moscow Summer Games https://www.sports-r[...] 2018-10-27
[6] 웹인용 FIFA Technical Report - 1980 Olympics Football Tournament https://www.fifa.com[...] FIFA 2014-02-26
[7] 웹인용 Football Tournament 1980 Olympiad http://www.rsssf.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