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32개 팀이 참가하여 7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그리고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조 추첨은 1983년 12월 7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진행되었으며, 예선 결과 폴란드, 서독, 잉글랜드, 프랑스, 헝가리, 덴마크, 스페인, 벨기에, 포르투갈,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소련, 스코틀랜드가 본선에 진출했다. 덴마크의 프레벤 엘키에르 라르센이 8골로 득점 순위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두 자리를 놓고 총 4라운드로 경쟁한 대회로, 모로코와 알제리가 본선에 진출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 2위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진출팀을 가려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2003년 12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개최국 독일을 제외한 51개 팀이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적으로 1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이름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연도1986년
주최 국가해당 없음 (예선)
기간미상
참가 팀 수32개국
대륙 연맹1개
경기 수미상
득점미상
관중미상
최고 득점자미상
이전 대회1982년
다음 대회1990년
본선 진출 국가

2. 예선 형식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는 32개 팀이 참가하여 7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2, 3, 4, 6조는 5개 팀으로 구성되어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1, 5, 7조는 4개 팀으로 구성되어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1, 5조 2위 팀은 UEFA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7조 2위 팀은 UEFA/OFC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UEFA 플레이오프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승리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3. 조 추첨

1983년 12월 7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예선 출전국은 5개의 포트로 나누어 추첨되었으며, 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트 A포트 B포트 C포트 D포트 E
서독/FRGde북아일랜드/NIR영어아일랜드/IRLga불가리아/BULbg노르웨이/NORno


3. 1. 시드 배정

시드는 추첨 10일 전에 발표되었다. 조 추첨은 1983년 12월 7일에 진행되었다.


4. 조별 리그

그리스스웨덴/Swedensv
체코슬로바키아/Czechoslovakiacs
몰타/Malta몰타어루마니아/Româniaro
핀란드
튀르키예동독
유고슬라비아
룩셈부르크오스트리아
키프로스스위스
아일랜드
노르웨이웨일스
아이슬란드


4. 1. 1조

{

승점경기득실차
폴란드86321106+4
벨기에8632173+4
알바니아4612369-3
그리스46123510-5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조에서는 폴란드벨기에가 각각 3승 2무 1패, 승점 8점으로 동률을 이뤘으나, 득실차에서 앞선 폴란드가 조 1위로 본선에 직행했고, 벨기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알바니아그리스는 각각 1승 2무 3패, 승점 4점으로 탈락했다.

폴란드와 벨기에는 1985년 9월 11일 호주프에서 열린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4. 2. 2조

2조에서는 서독포르투갈이 각각 5승 2무 1패(승점 12점), 5승 3패(승점 10점)를 기록, 본선에 진출했다. 스웨덴은 4승 1무 3패(승점 9점)로 3위, 체코슬로바키아는 3승 2무 3패(승점 8점)로 4위, 몰타는 1무 7패(승점 1점)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서독/West Germanyde128521229+13
포르투갈/Portugalpt1085031210+2
스웨덴/Swedensv98413149+5
체코슬로바키아/Czechoslovakiacs883231112−1
몰타/Malta몰타어18017625−19



 
서독/West Germanyde0-12-02-26-0
포르투갈/Portugalpt1-21-32-13-2
스웨덴/Swedensv2-20-12-04-0
체코슬로바키아/Czechoslovakiacs1-51-02-14-0
몰타/Malta몰타어2-31-31-20-0

4. 3. 3조

{{|

|-

|

승점경기득실차
잉글랜드128440212+19
북아일랜드10842285+3
루마니아/Româniaro98332127+5
핀란드88323712−5
튀르키예18017224−22



|}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3조는 잉글랜드, 북아일랜드, 루마니아/Româniaro, 핀란드, 튀르키예가 속해 있었다.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가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4. 4. 4조

4조에서는 프랑스불가리아가 각각 5승 1무 2패(승점 11점)를 기록, 동률을 이루었으나 프랑스가 득실차에서 +11, 불가리아가 +8로 앞서면서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동독은 5승 3패(승점 10점)로 아쉽게 탈락했고, 유고슬라비아는 3승 2무 3패(승점 8점)로 탈락했다. 룩셈부르크는 8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득실차
프랑스118512154+11
불가리아118512135+8
동독108503169+7
유고슬라비아8832378−1
룩셈부르크08008227−25



 
프랑스1-02-02-06-0
불가리아2-01-02-14-0
동독2-02-12-33-1
유고슬라비아0-00-01-21-0
룩셈부르크0-41-30-50-1

4. 5. 5조

헝가리는 1984년 9월 26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오스트리아와의 경기에서 3-1로 승리했고, 1984년 11월 17일 리마솔에서 열린 키프로스와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1985년 4월 3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키프로스와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헝가리는 오스트리아와의 1985년 4월 17일 빈 원정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했지만, 조 1위를 유지했다.

네덜란드는 1984년 10월 17일 로테르담에서 열린 헝가리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배했고, 1984년 12월 23일 니코시아에서 열린 키프로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1985년 2월 27일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키프로스와의 홈 경기에서 7-1 대승을 거두었다. 1985년 5월 1일 로테르담에서 열린 오스트리아와의 홈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1985년 5월 14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헝가리와의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며, UEFA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오스트리아는 1984년 5월 2일 니코시아에서 열린 키프로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2-1로 승리했고, 1984년 11월 14일 빈에서 열린 네덜란드와의 홈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1985년 5월 7일 그라츠에서 열린 키프로스와의 홈 경기에서 4-0 대승을 거두었지만, 헝가리와 네덜란드에 밀려 탈락했다.

키프로스는 1984년 11월 17일 헝가리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배하며 탈락이 확정되었다. 이후 모든 경기에서 패배하며 6전 전패로 예선을 마감했다.

승점경기득실차
헝가리106501124+8
네덜란드76312115+6
오스트리아7631298+1
키프로스06006318−15



 25x20px25x20px25x20px25x20px
헝가리0-13-12-0
네덜란드1-21-17-1
오스트리아0-31-04-0
키프로스1-20-11-2


4. 6. 6조

6조에서는 덴마크와 소련이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스위스, 아일랜드, 노르웨이는 탈락했다.

승점경기득실차
덴마크118512176+11
소련108422138+5
스위스88242510−5
아일랜드68224510−5
노르웨이58134410−6



 
덴마크/Danmarkda4-20-03-01-0
소련/СССРru1-04-02-01-0
스위스/Schweizde1-02-20-01-1
아일랜드/Éirega1-41-03-00-0
노르웨이/Norgeno1-51-10-11-0



1984년 9월 12일, 아일랜드는 더블린에서 열린 소련과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노르웨이는 오슬로에서 스위스에게 0-1로 패했다. 9월 26일, 덴마크는 코펜하겐에서 노르웨이를 1-0으로 꺾었다.

1984년 10월 10일, 노르웨이는 오슬로에서 소련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10월 17일, 스위스는 베른에서 덴마크를 1-0으로 이겼고, 같은 날 노르웨이는 오슬로에서 아일랜드를 1-0으로 제압했다. 11월 14일, 덴마크는 코펜하겐에서 아일랜드를 3-0으로 완파했다.

1985년 4월 17일, 스위스는 베른에서 소련과 2-2로 비겼다. 5월 1일, 아일랜드는 더블린에서 노르웨이와 0-0으로 득점 없이 비겼다. 5월 2일, 소련은 모스크바에서 스위스를 4-0으로 대파했다.

1985년 6월 2일, 아일랜드는 더블린에서 스위스를 3-0으로 이겼다. 6월 5일, 덴마크는 코펜하겐에서 소련을 4-2로 꺾었다. 9월 11일, 스위스는 베른에서 아일랜드와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9월 25일, 소련은 모스크바에서 덴마크에 1-0 승리를 거두었다.

1985년 10월 9일, 덴마크는 코펜하겐에서 스위스와 0-0으로 비겼다. 10월 16일, 노르웨이는 오슬로에서 덴마크에 1-5로 크게 졌고, 같은 날 소련은 모스크바에서 아일랜드를 2-0으로 제압했다. 10월 30일, 소련은 모스크바에서 노르웨이를 1-0으로 꺾었다.

1985년 11월 13일, 스위스는 루체른에서 노르웨이와 1-1로 비겼고, 같은 날 아일랜드는 더블린에서 덴마크에 1-4로 패했다.

4. 7. 7조

7조에서는 스페인이 4승 2패, 승점 8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스코틀랜드는 3승 1무 2패, 승점 7점으로 조 2위를 기록,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웨일스아이슬란드는 각각 3승 1무 2패(승점 7점), 1승 5패(승점 2점)를 기록하여 탈락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승점경기득실차
스페인8640298+1
스코틀랜드7631284+4
웨일스7631276+1
아이슬란드26105410−6



 
1-03-02-1
3-10-13-0
3-01-12-1
1-20-11-0



1985년 9월 10일, 카디프에서 열린 웨일스스코틀랜드의 경기에서 스코틀랜드의 족 스테인 감독이 경기 직후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3]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3]

5. 플레이오프

5. 1. 조 2위 간 순위 비교

1, 5, 7조 2위 팀 간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승점경기득실차
1벨기에8632173+4
5네덜란드76312115+6
7스코틀랜드7631284+4



벨기에와 네덜란드가 유럽 지역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며, 스코틀랜드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5. 2. 유럽 지역 플레이오프

벨기에와 네덜란드가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맞붙었다.[1][2] 1985년 10월 16일 브뤼셀의 콩스탕 반덴 스톡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페르코테렌이 득점하여 벨기에가 1-0으로 승리하였다.[1][2] 1985년 11월 20일 로테르담의 데 카위프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네덜란드가 하우트만과 데 비트의 득점으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룬이 한 골을 만회한 벨기에가 합계 2-2,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본선에 진출하였다.[1][2]

5. 3. 대륙간 플레이오프

스코틀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를 합계 2-0으로 꺾고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1차전은 스코틀랜드의 홈에서 2-0 승리로, 2차전은 오스트레일리아의 홈에서 0-0 무승부로 끝났다.

6. 최종 결과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통해 총 14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각 조 1위를 차지한 폴란드, 서독, 잉글랜드, 프랑스, 헝가리, 덴마크, 스페인과 각 조 2위를 차지한 벨기에, 포르투갈,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1971년), 소련이 본선에 직행했다. 스코틀랜드는 7조 2위를 차지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특히, 이번 월드컵 본선에는 대한민국이 진출하여 32년 만에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게 되었다.

1조2조3조4조5조6조7조
폴란드서독잉글랜드프랑스헝가리덴마크스페인
벨기에포르투갈북아일랜드불가리아 (1971년)네덜란드소련스코틀랜드
알바니아 (1946년), 그리스스웨덴, 체코슬로바키아, 몰타루마니아 (1965년), 핀란드, 터키동독, 유고슬라비아, 룩셈부르크오스트리아, 키프로스스위스, 아일랜드, 노르웨이웨일스, 아이슬란드


7. 득점 순위

198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8골을 기록한 프레벤 엘키에르 라르센을 필두로, 6골을 기록한 라이너 에른스트, 5골을 기록한 브라이언 롭슨, 페르난두 고메스, 올레크 프로타소프가 그 뒤를 이었다. 미카엘 라우드루프, 랄프 민지, 마크 헤이틀리, 미셸 플라티니, 빔 키프트, 게오르게 하지, 로베르트 프리츠, 카를하인츠 루메니게는 4골을 기록했다.

참조

[1] 기타 Netherlands vs. Belgium 2022-06-06
[2] 웹사이트 Netherlands vs. Beligium https://match.uefa.c[...] 欧州サッカー連盟 2022-06-06
[3] 뉴스 86멕시코 월드컵蹴球(축구) 앞으로6개월"本選(본선)티킷을 따라"예선전熱氣(열기) http://newslibrary.n[...] 1985-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