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원래 리비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개최지가 변경되어 2013년 1월 19일부터 2월 10일까지 개최되었다. 나이지리아가 부르키나파소를 꺾고 우승했으며, 가나, 말리, 코트디부아르 등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조 추첨을 통해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예선에서 승리한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0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은 아프리카 대륙 최초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어 스페인이 우승했으나, 부패 의혹과 개최국의 조별 리그 탈락, 자불라니와 부부젤라 소리 등 여러 화제를 낳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이미지 제고와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대회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2010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개최되어 각 대륙별 우승팀 8개국이 참가하여 경쟁한 국제 축구 대회로, 브라질이 우승했다.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 | |
개최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 |
개최 기간 | 2013년 1월 19일 – 2월 10일 |
참가 팀 수 | 16 |
경기장 수 | 5 |
도시 수 | 5 |
우승팀 | 나이지리아 |
우승 횟수 | 3 |
준우승팀 | 부르키나파소 |
3위팀 | 말리 |
4위팀 | 가나 |
총 경기 수 | 32 |
총 득점 수 | 69 |
총 관중 수 | 530000 |
득점왕 | 에마누엘 에메니케 (4골) 무바라크 와카소 (4골) |
최우수 선수 | 조나탕 피트로이파 |
이전 대회 | 2012 |
다음 대회 | 2015 |
2. 개최국 선정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어 있었다.
개최지 입찰에는 앙골라, 가봉/적도 기니, 리비아, 나이지리아가 참여했다. 베냉/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보츠와나, 모잠비크, 나미비아, 세네갈, 짐바브웨는 유치 경쟁에서 탈락했다.
2006년 9월 4일,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 경쟁 국가들 간의 타협안을 승인했다. CAF는 2010년, 2012년, 2013년 대회를 각각 앙골라, 적도 기니와 가봉, 리비아에 배정하기로 합의했다.
198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후 리비아가 다시 한번 개최권을 얻게 되었다. 나이지리아는 개최국이 CAF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한 예비 개최국이었다.
2014년 대회는 FIFA 월드컵과의 연도 충돌을 피하기 위해 2013년으로 앞당겨졌다.[2]
2. 1. 개최국 변경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원래 리비아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2013년 대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하게 되었다.[4] 리비아는 2017년 대회를 대신 개최하는 것으로 합의하였다.[4]3. 예선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개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제외한 46개 팀이 참가하여 3라운드에 걸친 토너먼트 방식(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44][45] 이전 대회(2012년)와의 기간이 짧아 조별 리그 없이 토너먼트 방식으로만 진행되었다.[45] 카보베르데는 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출전국 | 예선 | 출전 횟수 |
---|---|---|
가나 | 말라위전 승리 | 4회 연속 19번째 |
말리 | 보츠와나전 승리 | 4회 연속 8번째 |
잠비아 | 우간다전 승리 | 5회 연속 16번째 |
나이지리아 | 라이베리아전 승리 | 2회 만에 17번째 |
튀니지 | 시에라리온전 승리 | 11회 연속 16번째 |
코트디부아르 | 세네갈전 승리 | 5회 연속 20번째 |
모로코 | 모잠비크전 승리 | 2회 연속 15번째 |
에티오피아 | 수단전 승리 | 16회 만에 10번째 |
카보베르데 | 카메룬전 승리 | 첫 출전 |
앙골라 | 짐바브웨전 승리 | 5회 연속 7번째 |
니제르 | 기니전 승리 | 2회 연속 2번째 |
토고 | 가봉전 승리 | 4회 만에 7번째 |
콩고 민주 공화국 | 적도 기니전 승리 | 4회 만에 16번째 |
부르키나파소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전 승리 | 3회 연속 9번째 |
알제리 | 리비아전 승리 | 2회 만에 15번째 |
3. 1. 본선 진출 팀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다음과 같이 16개 팀이 진출했다.
팀 | 예선 결과 | 본선 진출 결정일 | 과거 본선 기록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개최국 | 2011년 8월 25일 | 7회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
말리 | 최종 예선 1조 승자 | 2012년 10월 13일 | 7회 (1972, 1994, 2002, 2004, 2008, 2010, 2012) |
앙골라 | 최종 예선 2조 승자 | 2012년 10월 14일 | 6회 (1996, 1998, 2006, 2008, 2010, 2012) |
가나 | 최종 예선 3조 승자 | 2012년 10월 13일 | 18회 (1963, 1965, 1968, 1970, 1978,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
나이지리아 | 최종 예선 4조 승자 | 2012년 10월 13일 | 16회 (1963, 1976, 1978, 1980, 1982, 1984, 1988,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
잠비아 | 최종 예선 5조 승자 | 2012년 10월 13일 | 15회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
카보베르데 | 최종 예선 6조 승자 | 2012년 10월 14일 | 첫 출전 |
모로코 | 최종 예선 7조 승자 | 2012년 10월 13일 | 14회 (1972, 1976, 1978, 1980, 1986, 1988, 1992,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2) |
튀니지 | 최종 예선 8조 승자 | 2012년 10월 13일 | 15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
니제르 | 최종 예선 9조 승자 | 2012년 10월 14일 | 1회 (2012) |
에티오피아 | 최종 예선 10조 승자 | 2012년 10월 14일 | 9회 (1957, 1959, 1962, 1963, 1965, 1968, 1970, 1976, 1982) |
알제리 | 최종 예선 11조 승자 | 2012년 10월 14일 | 14회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
코트디부아르 | 최종 예선 12조 승자 | 2012년 10월 13일 | 19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
콩고 민주 공화국 | 최종 예선 13조 승자 | 2012년 10월 14일 | 15회 (1965, 1968, 1970, 1972, 1974, 1976, 1988,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
토고 | 최종 예선 14조 승자 | 2012년 10월 14일 | 6회 (1972, 1984, 1998, 2000, 2002, 2006) |
부르키나파소 | 최종 예선 15조 승자 | 2012년 10월 14일 | 8회 (1978,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2) |
-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의미한다.
에티오피아는 31년 만에 본선에 진출하였고, 콩고 민주 공화국과 토고는 7년 만에 본선에 진출하였다. 토고는 2010년에 본선에 진출하였으나 총기 난사 사건으로 인해 기권하였다. 카보베르데는 첫 출전이다.
2012년에 본선에 진출하였으나 이번 대회에 진출하지 못한 팀은 공동 개최국이었던 적도 기니와 가봉을 비롯해, 기니, 보츠와나, 리비아, 수단, 세네갈이다. 나이지리아와 알제리는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진출에 실패하였지만 이번 대회에 진출하였다.
4. 조 추첨 및 시드 배정
조 추첨은 2012년 10월 2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진행되었다.[48] 개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전 대회 우승팀 잠비아는 최상위 시드에 배정되었다. 나머지 팀들은 지난 3개 대회(2008년, 2010년, 2012년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시드를 배정받았다.
시드 점수 부여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전적 | 점수 |
---|---|
우승 | 7 |
준우승 | 5 |
준결승에서 탈락 | 3 |
준준결승에서 탈락 | 2 |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 | 1 |
지역 예선 탈락 / 불참 | 0 |
2012년 대회의 전적에는 3배, 2010년 대회의 전적에는 2배의 가중치를 적용했고, 2008년 대회의 전적은 그대로 적용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7년 만에 본선에 진출한 콩고 민주 공화국, 토고, 31년 만에 진출한 에티오피아, 첫 출전한 카보베르데는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
4. 1. 시드 배정 결과
시드는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디펜딩 챔피언 잠비아를 최상위 시드에 두고, 나머지 팀은 지난 3개 대회(2008년, 2010년, 2012년)의 전적을 근거로 점수를 부여해 배정했다. 7년 만에 본선에 진출한 콩고 민주 공화국, 토고, 31년 만에 진출한 에티오피아, 첫 출전한 카보베르데는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시드 점수는 다음과 같이 부여되었다.
전적 | 점수 |
---|---|
우승 | 7 |
준우승 | 5 |
준결승에서 탈락 | 3 |
준준결승에서 탈락 | 2 |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 | 1 |
지역 예선 탈락 / 불참 | 0 |
2012년 대회 전적에는 3배, 2010년 대회 전적에는 2배, 2008년 대회 전적에는 1배의 가중치가 적용되었다.
이 기준에 따른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50]
조 추첨식은 2012년 10월 2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렸다.[48]
4. 2. 조 추첨 결과
시드는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디펜딩 챔피언 잠비아를 최상위 시드에 두고 나머지 팀을 지난 3개 대회의 전적을 근거로 하여 점수를 부여해 배정했다. 그 결과, 7년 만에 본선에 진출한 콩고 민주 공화국, 토고, 31년 만에 진출한 에티오피아, 첫 출전한 카보베르데는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시드 점수 부여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전적 | 점수 |
---|---|
우승 | 7 |
준우승 | 5 |
준결승에서 탈락 | 3 |
준준결승에서 탈락 | 2 |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 | 1 |
지역 예선 탈락 / 불참 | 0 |
2012년 대회 전적은 3배, 2010년 대회 전적은 2배, 2008년 대회 전적은 그대로 가중치를 적용한다.
이 기준에 근거한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시드 | 2시드 | 3시드 | 4시드 | ||||||||||||||||||||
---|---|---|---|---|---|---|---|---|---|---|---|---|---|---|---|---|---|---|---|---|---|---|---|
# | 팀 | '12 | '10 | '08 | 총점 | # | 팀 | '12 | '10 | '08 | 총점 | # | 팀 | '12 | '10 | '08 | 총점 | # | 팀 | '12 | '10 | '08 | 총점 |
- | style="text-align:left;"| | 개최국 (A조 배정) | 3 | style="text-align:left;"| | SF | 1R | 1R | 12 | 7 | style="text-align:left;"| | SF | 6 | 11 | style="text-align:left;"| | QW1 | 2 | |||||||
- | style="text-align:left;"| | 지난 대회 우승국 (C조 배정) | 4 | style="text-align:left;"| | QF | 1R | QF | 10 | 8 | style="text-align:left;"| | 1R | 1R | 5 | 12 | style="text-align:left;"| | 0 | |||||||
1 | style="text-align:left;"| | SF | 2위 | SF | 22 | 5 | style="text-align:left;"| | 1R | QF | QF | 9 | 9 | style="text-align:left;"| | 1R | 1R | 4 | 12 | style="text-align:left;"| | 0 | ||||
1 | style="text-align:left;"| | 2위 | QF | SF | 22 | 6 | style="text-align:left;"| | SF | QF | 8 | 10 | style="text-align:left;"| | 1R | 3 | 12 | style="text-align:left;"| | 0 |
- 1: 토고는 2010년 대회에서 기권하였으나,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한 것으로 처리되어 2점을 받았다.
조 추첨은 2012년 10월 2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렸다.
조 | 1시드 | 2시드 | 3시드 | 4시드 |
---|---|---|---|---|
A | ||||
B | ||||
C | ||||
D |
5. 경기장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협회는 2010년 FIFA 월드컵의 개최 도시에서 이 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 결과 요하네스버그의 사커 시티에서 개막전과 결승전이 치러지고, 그 외의 경기는 다음 5개의 경기장에서 돌아가면서 치러질 예정이다.
요하네스버그1 | 더반1 | 포트엘리자베스1 | 넬스프루이트 | 루스텐버그1 |
---|---|---|---|---|
FNB 경기장2 | 모세스 마비다 경기장 | 넬슨만델라베이 경기장 | 음봄벨라 경기장 | 로열 바포켕 경기장 |
수용인원: 84,490명 | 수용인원: 62,760명3 | 수용인원: 42,486명 | 수용인원: 40,929명 | 수용인원: 38,646명 |
![]() |
- 1: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 도시.
- 2: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사용된 경기장.
- 3: 확장 가능.
6. 조별 리그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별 리그는 2013년 1월 19일부터 1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각 조 상위 2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조 추첨은 2012년 10월 24일 더반에서 진행되었다.[17][18]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A1)과 전 대회 우승팀인 잠비아 (C1)는 자동 배정되었다.[19] 나머지 14개 팀은 2008년, 2010년,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성적을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순위를 매겼다.[20]
순위 산정 방식
순위 | 가산점 |
---|---|
우승 | 7 |
준우승 | 5 |
준결승 진출팀 | 3 |
8강 진출팀 | 2 |
1라운드 탈락팀 | 1 |
가중치
- 2012년 대회: 점수 × 3
- 2010년 대회: 점수 × 2
- 2008년 대회: 점수 × 1
포트 배정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남아프리카 공화국 (개최국) 잠비아 (우승팀) 가나 (22점) 코트디부아르 (22점) | 말리 (12점) 튀니지 (10점) 앙골라 (9점) 나이지리아 (8점) | 알제리 (6점) 부르키나파소 (5점) 모로코 (4점) 니제르 (3점) | 토고 (2점) 카보베르데 (0점) 콩고 민주 공화국 (0점) 에티오피아 (0점) |
심판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다음과 같은 심판들이 선정되었다.[21]
; 주심
- 모하메드 베누자
- 자멜 하이무디
- 시디 알리움
- 누만디에즈 두에
- 게하드 그리샤
- 에릭 오토고-카스탄
- 바카리 가사마
- 실베스터 키르와
- 하마다 남피안드라자
- 코만 쿨리발리
- 알리 렘가이프리
- 라진드라파르사드 시추른
- 부샤이브 엘 아흐라흐
- 바다라 디아타
- 버나드 카밀
- 다니엘 베넷
- 슬림 제디디
- 재니 시카즈웨
; 부심
- 알브델하크 에트샬리
- 제르손 에밀리아누 도스 산토스
- 장-클로드 비룸샤후
- 에바리스트 멩쿠안데
- 야누사 무사
- 예오 송귀폴로
- 안게솜 오그바마리암
- 테오필 빙가
- 말릭 알리두 살리푸
- 마르와 레인지
- 발라 디아라
- 레두안 아치크
- 아르세니오 샤드레크 마렝굴라
- 피터 에디베
- 펠리시앙 카반다
- 지브릴 카마라
- 엘 하지 말릭 삼바
- 자켈레 시웰라
- 알리 왈리드 아흐메드
- 베시르 하사니
- 아누아르 흐밀라
각 팀은 23명의 선수 명단을 등록했다.[19]
동률 해결 기준[19]
두 팀 이상이 조별 리그에서 같은 승점으로 끝나는 경우,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
1. 해당 팀 간 경기에서 획득한 승점
2. 해당 팀 간 경기의 골득실
3. 해당 팀 간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4. 모든 조별 리그 경기의 골득실
5.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6. 페어플레이 점수 (옐로 카드, 레드 카드 수)
7. 조직위원회 추첨
'''모든 시간은 남아프리카 표준시(UTC+2) 기준'''
6. 1. A조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조는 2013년 1월 19일부터 1월 27일까지 사커 시티, 모세스 마비다 경기장, 넬슨만델라베이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카보베르데는 각각 승점 5점으로 8강에 진출했고, 모로코(승점 3점)와 앙골라(승점 1점)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 2013년 1월 19일, 요하네스버그 사커 시티: 남아프리카 공화국 0 - 0 카보베르데
- 2013년 1월 19일, 요하네스버그 사커 시티: 앙골라 0 - 0 모로코
- 2013년 1월 23일, 더반 모세스 마비다 경기장: 남아프리카 공화국 2 - 0 앙골라 (득점: 상웨니, 마조로)
- 2013년 1월 23일, 더반 모세스 마비다 경기장: 모로코 1 - 1 카보베르데 (모로코 득점: 엘아라비, 카보베르데 득점: 플라티니)
- 2013년 1월 27일, 더반 모세스 마비다 경기장: 모로코 2 - 2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로코 득점: 엘 아두아, 하피디, 남아프리카 공화국 득점: 마랑구, 상웨니)
- 2013년 1월 27일, 포트엘리자베스 넬슨만델라베이 경기장: 카보베르데 2 - 1 앙골라 (카보베르데 득점: 바렐라, 헬돈, 앙골라 득점: 난도 자책골)
6. 2. B조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B조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전
- * 2013년 1월 20일 17:00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포트엘리자베스), 7,000명): 가나 2 - 2 콩고 민주 공화국
- 득점: 아디예만-바두 , 아사모아 (이상 가나), 음푸투 , 음보카니 (이상 콩고 민주 공화국)
- * 2013년 1월 20일 20:00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포트엘리자베스), 20,000명): 말리 1 - 0 니제르
- 득점: 케이타 (말리)
- 2차전
- * 2013년 1월 24일 17:00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포트엘리자베스), 8,000명): 가나 1 - 0 말리
- 득점: 와카소 (가나)
- * 2013년 1월 24일 20:00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포트엘리자베스), 12,000명): 니제르 0 - 0 콩고 민주 공화국
- 3차전
- * 2013년 1월 28일 19:00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포트엘리자베스), 10,000명): 니제르 0 - 3 가나
- 득점: 갼 , 아츠 , 보예 (이상 가나)
- * 2013년 1월 28일 19:00 (모세스 마히다 스타디움(더반), 8,000명): 콩고 민주 공화국 1 - 1 말리
- 득점: 음보카니 (콩고 민주 공화국), M. 사마사 (말리)
가나와 말리가 8강에 진출했다.
6. 3. C조
- ---
- ---
- ---
- ---
- ---
- ---
C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잠비아'''는 3경기에서 1승 2무를 기록하며 승점 5점으로 조 1위를 차지했다. 5득점 3실점으로 골득실은 +2였다.
- '''나이지리아'''는 3경기에서 1승 2무를 기록하며 승점 5점으로 조 2위를 차지했다. 4득점 2실점으로 골득실은 +2였다.
- '''부르키나파소'''는 3경기에서 1승 2무를 기록하며 승점 5점으로 조 3위를 차지했다. 5득점 2실점으로 골득실은 +3이었다.
- '''에티오피아'''는 3경기에서 3패를 기록하며 승점 0점으로 조 4위를 차지했다. 1득점 8실점으로 골득실은 -7이었다.
잠비아와 나이지리아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까지 모두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잠비아가 조 1위, 나이지리아가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부르키나파소는 조 3위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6. 4. D조
'''D조'''는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조별 리그 중 하나였다. 코트디부아르, 토고, 알제리, 튀니지가 D조에 속했으며, 2013년 1월 22일부터 1월 30일까지 경기를 치렀다. 모든 경기는 루스텐버그의 로열 바포켕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코트디부아르와 토고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고, 알제리와 튀니지는 탈락하였다.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7. 결선 토너먼트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토너먼트 단계에서는 정규 시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각 15분씩 두 차례)을 실시하고, 그래도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 단, 3·4위전에서는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를 실시했다.[19]
8강전에서는 가나가 카보베르데를 2-0으로 이겼고, 말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1로 승리했다. 나이지리아는 코트디부아르를 2-1로 꺾었고, 부르키나파소는 토고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이겼다.
준결승전에서는 나이지리아가 말리를 4-1로 크게 이겼고, 부르키나파소는 가나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2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말리가 가나를 3-1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7. 1. 8강전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8강전은 2013년 2월 2일과 3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네 경기가 열렸다.경기 일자 | 경기 결과 | 경기장 | 비고 |
---|---|---|---|
2013년 2월 2일 | 가나 2 : 0 카보베르데 |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 포트엘리자베스 | 와카소 페널티킥 포함 두 골 |
2013년 2월 2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1 : 1 말리 | 모세스 마비다 경기장, 더반 | 연장전 1:1, 승부차기에서 말리가 3:1로 승리. 남아프리카 공화국 란티 선제골, 말리 케이타 동점골 |
2013년 2월 3일 | 코트디부아르 1 : 2 나이지리아 | 로열 바포켄 스타디움, 루스텐부르크 | 나이지리아 에메니케, 음바 골, 코트디부아르 티오테 골 |
2013년 2월 3일 | 부르키나파소 1 : 0 토고 | 엠붐벨라 스타디움, 넬스프루이트 | 연장전에서 부르키나파소 피트로이파 결승골 |
7. 2. 준결승전
이데예 ({{lang 30)에메니케 ({{lang 44)
무사 ({{lang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