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대한민국 인천, 고양, 안산, 화성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은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라크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이후 28년 만에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경기는 대한민국 인천 등에서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에서 일본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대한민국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2014년 아시안 게임에 관한 - 2014년 아시안 게임 배구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배구는 송림체육관과 안산상록수체육관에서 여러 국가 대표팀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여자 배구 금메달, 남자 배구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아시안 게임에 관한 - 2014년 아시안 게임 체조
2014년 아시안 게임 체조는 기계 체조, 리듬 체조, 트램폴린으로 구성되어 인천에서 개최되었으며, 손연재의 리듬체조 금메달 획득과 심판 판정 논란이 있었다.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정보 | |
| 대회 명칭 | 2014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
| 원어 명칭 | Men's Football Tournament at the 2014 Asian Games |
| 개최 연도 | 2014년 |
| 개최국 | 대한민국 |
| 개최 기간 | 9월 14일 – 10월 2일 |
| 참가 팀 수 | 29 |
| 참가 대륙 연맹 | 1 |
| 경기장 수 | 5 |
| 개최 도시 | 2 |
| 관련 행사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 결과 | |
| 우승 횟수 | 1 |
| 통계 | |
| 총 경기 수 | 56 |
| 총 득점 | 179 |
| 최다 득점자 | 페르디난트 시나가 (6골) |
| 대회 연혁 | |
| 이전 대회 | 2010 |
| 다음 대회 | 2018 |
2. 경기장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는 인천과 고양, 안산, 화성 등지의 여러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 도시 | 경기장 | 원어명 | 로마자 | 수용 인원 | 경기 | 주석 |
|---|---|---|---|---|---|---|
| 인천 | 인천문학경기장 | 인천문학경기장 | Incheon Munhak Stadium | 49,084 | 조별리그, 토너먼트, 결승전 | |
| 인천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Incheon Football Stadium | 20,891 | 조별리그, 토너먼트, 동메달결정전 | |
| 고양 | 고양종합운동장 | 고양종합운동장 | Goyang Stadium | 41,311 | 조별리그, 토너먼트 | |
| 안산 | 안산와스타디움 | 안산와스타디움 | Ansan Wa~ Stadium | 35,000 | 조별리그, 토너먼트 | |
| 화성 | 화성종합경기타운 | 화성종합경기타운 | Hwaseong Stadium | 35,270 | 조별리그, 토너먼트 |

2. 1. 경기장 목록
wikitable| 인천 | 인천 | 고양 |
|---|---|---|
| 문학경기장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 수용 인원: 49,084 | 수용 인원: 20,891 | 수용 인원: 41,311 |
| 안산 | 화성 | |
| 와~ 스타디움 | 화성종합경기타운 | |
| 수용 인원: 35,000 | 수용 인원: 35,270 | |
모든 시간은 한국 표준시(UTC+09:00) 기준이다.
3. 조별 리그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A조 조별 리그는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라오스로 구성되었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16강에 진출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1 3 3 0 0 6 0 +6 9 2 3 2 0 1 6 1 +5 6 3 3 1 0 2 4 6 -2 3 4 3 0 0 3 0 9 -9 0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보였다. 특히, 당시 포항 스틸러스 소속이었던 김승대는 사우디아라비아전 결승골을 포함해 3골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9월 14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의 첫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임창우, 김신욱, 김승대의 연속골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9월 17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는 전반 12분 김승대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9월 21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라오스와의 경기에서는 이종호와 김승대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는 9월 14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라오스와의 첫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했다. 9월 17일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는 0-1로 패배했지만, 9월 21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의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며 조 2위를 기록했다.
B조에서는 우즈베키스탄과 홍콩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우즈베키스탄은 2승 1무, 홍콩은 2승 1무로 두 팀 모두 무패를 기록했다.
2014년 9월 15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방글라데시가 마무눌 이슬람의 골로 아프가니스탄을 1-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과 홍콩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18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홍콩은 천시우관과 람혹헤이의 골로 아프가니스탄에 2-1 승리를 거두었다. 우즈베키스탄은 보키드 쇼디예프의 두 골과 사르도르 라시도프의 골로 방글라데시를 3-0으로 완파했다.
9월 22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우즈베키스탄은 예고르 크리메츠, 보키드 쇼디예프(2골), 파루크 사이피예프, 이고리 세르게예프의 연속골로 아프가니스탄을 5-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홍콩과 방글라데시의 경기는 홍콩이 크리스찬 아난과 람혹헤이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1 3 2 1 0 9 1 +8 7 2 3 2 1 0 5 3 +2 7 3 3 1 0 2 2 5 -3 3 4 3 0 0 3 1 8 -7 0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C조에서는 팔레스타인과 타지키스탄이 16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는 9월 14일부터 9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D조에서는 이라크와 일본이 16강에 진출했다. 이라크는 3승(승점 9점)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일본은 2승 1패(승점 6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쿠웨이트는 1승 2패(승점 3점)로 3위, 네팔은 3패(승점 0점)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9월 14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이라크는 네팔을 4-0으로 완파했다. 같은 날 일본은 쿠웨이트를 4-1로 꺾었다.
9월 17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쿠웨이트는 네팔을 5-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일본은 이라크에 1-3으로 패배했다.
9월 21일, 일본은 고양종합운동장에서 네팔을 4-0으로 꺾었다. 같은 날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경기에서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3-0으로 제압했다.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1 | 3 | 3 | 0 | 0 | 10 | 1 | +9 | 9 | |
| 2 | 3 | 2 | 0 | 1 | 9 | 4 | +5 | 6 | |
| 3 | 3 | 1 | 0 | 2 | 6 | 7 | -1 | 3 | |
| 4 | 3 | 0 | 0 | 3 | 0 | 13 | -13 | 0 |
E조에서는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16강에 진출했다.
|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 1 | 9 | 3 | 3 | 0 | 0 | 11 | 0 | +11 | |
| 2 | 6 | 3 | 2 | 0 | 1 | 11 | 6 | +5 | |
| 3 | 3 | 3 | 1 | 0 | 2 | 3 | 8 | -5 | |
| 4 | 0 | 3 | 0 | 0 | 3 | 2 | 13 | -11 |
2014년 9월 15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인도네시아는 시나가의 해트트릭과 투아살라모니, 우토모의 골을 묶어 동티모르를 7-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태국은 위라왓노돔과 크라이손의 골로 몰디브를 2-0으로 꺾었다.
9월 18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인도네시아는 레스탈루후와 시나가, 가트라의 골로 몰디브를 4-0으로 이겼다. 같은 날 태국은 송끄라신, 타위칸, 인피닛의 연속 골로 동티모르를 3-0으로 제압했다.
9월 22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태국은 폼붑파, 크라이손, 송끄라신, 타위칸, 인피닛의 릴레이 골로 인도네시아를 6-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몰디브와 동티모르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몰디브가 알리, 야민, 이루판의 골로 한제우와 마리아가 골을 넣은 동티모르를 3-2로 이겼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4년 9월 15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의 경기에서 심현진, 서경진, 리혁철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3-0 완승을 거두었다. 9월 18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는 서경진의 페널티킥 득점과 정일관의 추가골로 2-0 승리를 기록했다.
중국은 9월 22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창페이야의 득점으로 1-0 승리를 거두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16강에 진출했다. 당시 보수 언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이 정치적인 이유로 경기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것이 아닌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G조에서는 요르단과 아랍에미리트가 16강에 진출했다. 요르단은 2승(승점 6점)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아랍에미리트는 1승 1패(승점 3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인도는 2패(승점 0점)로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9월 15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인도의 경기에서는 아랍에미리트가 알카티리의 해트트릭과 알아흐바비의 골, 진간의 자책골을 묶어 5-0 대승을 거두었다. 9월 18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요르단과 아랍에미리트의 경기에서는 요르단이 모함메드의 자책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9월 22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인도와 요르단의 경기에서는 요르단이 알바시타위와 탈지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 1 | 2 | 2 | 0 | 0 | 3 | 0 | +3 | 6 | 16강 진출 | |
| 2 | 2 | 1 | 0 | 1 | 5 | 1 | +4 | 3 | 16강 진출 | |
| 3 | 2 | 0 | 0 | 2 | 0 | 7 | -7 | 0 | 탈락 |
H조에서는 베트남과 키르기스스탄이 16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서 베트남은 2승, 키르기스스탄은 1무 1패, 이란은 1무 1패를 기록했다.
9월 15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이란과 베트남의 경기에서는 베트남이 4-1로 승리했다. 보후이토안, 마크홍쿠안, 트랑피손, 은고후앙틴이 득점했고, 이란은 모흐센 모살만의 페널티킥 득점으로 한 골을 만회했다.
9월 18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키르기스스탄과 이란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모르테자 푸랄리간지가 이란의 선제골을, 아바즈벡 오트키프가 키르기스스탄의 동점골을 기록했다.
9월 22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베트남과 키르기스스탄의 경기에서는 베트남이 1-0으로 승리했다. 부민투안이 페널티킥 결승골을 기록했다.
3. 1. A조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라오스)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A조 조별 리그는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라오스로 구성되었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16강에 진출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1 | 3 | 3 | 0 | 0 | 6 | 0 | +6 | 9 | |
| 2 | 3 | 2 | 0 | 1 | 6 | 1 | +5 | 6 | |
| 3 | 3 | 1 | 0 | 2 | 4 | 6 | -2 | 3 | |
| 4 | 3 | 0 | 0 | 3 | 0 | 9 | -9 | 0 |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보였다. 특히, 당시 포항 스틸러스 소속이었던 김승대는 사우디아라비아전 결승골을 포함해 3골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9월 14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의 첫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임창우, 김신욱, 김승대의 연속골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9월 17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는 전반 12분 김승대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9월 21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라오스와의 경기에서는 이종호와 김승대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는 9월 14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라오스와의 첫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했다. 9월 17일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는 0-1로 패배했지만, 9월 21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의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며 조 2위를 기록했다.
3. 2. B조 (우즈베키스탄, 홍콩,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
B조에서는 우즈베키스탄과 홍콩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우즈베키스탄은 2승 1무, 홍콩은 2승 1무로 두 팀 모두 무패를 기록했다.2014년 9월 15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방글라데시가 마무눌 이슬람의 골로 아프가니스탄을 1-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과 홍콩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18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홍콩은 천시우관과 람혹헤이의 골로 아프가니스탄에 2-1 승리를 거두었다. 우즈베키스탄은 보키드 쇼디예프의 두 골과 사르도르 라시도프의 골로 방글라데시를 3-0으로 완파했다.
9월 22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우즈베키스탄은 예고르 크리메츠, 보키드 쇼디예프(2골), 파루크 사이피예프, 이고리 세르게예프의 연속골로 아프가니스탄을 5-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홍콩과 방글라데시의 경기는 홍콩이 크리스찬 아난과 람혹헤이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1 | 3 | 2 | 1 | 0 | 9 | 1 | +8 | 7 | |
| 2 | 3 | 2 | 1 | 0 | 5 | 3 | +2 | 7 | |
| 3 | 3 | 1 | 0 | 2 | 2 | 5 | -3 | 3 | |
| 4 | 3 | 0 | 0 | 3 | 1 | 8 | -7 | 0 |
{{#tag:ref|ko=경기 결과는 대회 공식 웹사이트 및 RSSSF의 결과를 참고했다./The results of the table is referenced from the official website of the Games, and also the results are from RSSSF.영어
3. 3. C조 (팔레스타인, 타지키스탄, 싱가포르, 오만)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C조에서는 팔레스타인과 타지키스탄이 16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는 9월 14일부터 9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2014년 9월 14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싱가포르는 타지키스탄에 0-1로 패배했다. 아스로로프가 후반 42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오만은 팔레스타인에 0-2로 패했다. 리다트와 마라아바가 각각 전반 40분과 후반 11분에 득점했다.
- 9월 17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경기에서 팔레스타인은 타지키스탄을 2-1로 꺾었다. 아스로로프가 전반 30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마라아바와 무사가 각각 전반 34분과 37분에 연속골을 넣어 팔레스타인이 역전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오만과 싱가포르는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알하마니, 사이드, 알파르시가 오만을 위해 득점했고, 수하이미, 람리, 바하루딘이 싱가포르를 위해 득점했다.
- 9월 21일, 타지키스탄은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오만을 1-0으로 꺾었다. 예르가셰프가 후반 추가 시간에 결승골을 넣었다. 같은 날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팔레스타인은 싱가포르에 1-2로 패했다. 리다트가 후반 38분에 팔레스타인의 골을 기록했지만, 가니가 전반 2분과 18분에 두 골을 넣어 싱가포르가 승리했다.
3. 4. D조 (이라크, 일본, 쿠웨이트, 네팔)
D조에서는 이라크와 일본이 16강에 진출했다. 이라크는 3승(승점 9점)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일본은 2승 1패(승점 6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쿠웨이트는 1승 2패(승점 3점)로 3위, 네팔은 3패(승점 0점)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9월 14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이라크는 네팔을 4-0으로 완파했다. 같은 날 일본은 쿠웨이트를 4-1로 꺾었다.
9월 17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쿠웨이트는 네팔을 5-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일본은 이라크에 1-3으로 패배했다.
9월 21일, 일본은 고양종합운동장에서 네팔을 4-0으로 꺾었다. 같은 날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경기에서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3-0으로 제압했다.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1 | 3 | 3 | 0 | 0 | 10 | 1 | +9 | 9 | |
| 2 | 3 | 2 | 0 | 1 | 9 | 4 | +5 | 6 | |
| 3 | 3 | 1 | 0 | 2 | 6 | 7 | -1 | 3 | |
| 4 | 3 | 0 | 0 | 3 | 0 | 13 | -13 | 0 |
3. 5. E조 (태국, 인도네시아, 몰디브, 동티모르)
E조에서는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16강에 진출했다.|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 1 | 9 | 3 | 3 | 0 | 0 | 11 | 0 | +11 | |
| 2 | 6 | 3 | 2 | 0 | 1 | 11 | 6 | +5 | |
| 3 | 3 | 3 | 1 | 0 | 2 | 3 | 8 | -5 | |
| 4 | 0 | 3 | 0 | 0 | 3 | 2 | 13 | -11 |
2014년 9월 15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인도네시아는 시나가의 해트트릭과 투아살라모니, 우토모의 골을 묶어 동티모르를 7-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태국은 위라왓노돔과 크라이손의 골로 몰디브를 2-0으로 꺾었다.
9월 18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인도네시아는 레스탈루후와 시나가, 가트라의 골로 몰디브를 4-0으로 이겼다. 같은 날 태국은 송끄라신, 타위칸, 인피닛의 연속 골로 동티모르를 3-0으로 제압했다.
9월 22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태국은 폼붑파, 크라이손, 송끄라신, 타위칸, 인피닛의 릴레이 골로 인도네시아를 6-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몰디브와 동티모르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몰디브가 알리, 야민, 이루판의 골로 한제우와 마리아가 골을 넣은 동티모르를 3-2로 이겼다.
3. 6. F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파키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4년 9월 15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의 경기에서 심현진, 서경진, 리혁철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3-0 완승을 거두었다. 9월 18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는 서경진의 페널티킥 득점과 정일관의 추가골로 2-0 승리를 기록했다.
중국은 9월 22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창페이야의 득점으로 1-0 승리를 거두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16강에 진출했다. 당시 보수 언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이 정치적인 이유로 경기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것이 아닌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3. 7. G조 (요르단, 아랍에미리트, 인도)
G조에서는 요르단과 아랍에미리트가 16강에 진출했다. 요르단은 2승(승점 6점)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아랍에미리트는 1승 1패(승점 3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인도는 2패(승점 0점)로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9월 15일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인도의 경기에서는 아랍에미리트가 알카티리의 해트트릭과 알아흐바비의 골, 진간의 자책골을 묶어 5-0 대승을 거두었다. 9월 18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요르단과 아랍에미리트의 경기에서는 요르단이 모함메드의 자책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9월 22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인도와 요르단의 경기에서는 요르단이 알바시타위와 탈지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 1 | 2 | 2 | 0 | 0 | 3 | 0 | +3 | 6 | 16강 진출 | |
| 2 | 2 | 1 | 0 | 1 | 5 | 1 | +4 | 3 | 16강 진출 | |
| 3 | 2 | 0 | 0 | 2 | 0 | 7 | -7 | 0 | 탈락 |
3. 8. H조 (베트남, 키르기스스탄, 이란)
H조에서는 베트남과 키르기스스탄이 16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서 베트남은 2승, 키르기스스탄은 1무 1패, 이란은 1무 1패를 기록했다.9월 15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이란과 베트남의 경기에서는 베트남이 4-1로 승리했다. 보후이토안, 마크홍쿠안, 트랑피손, 은고후앙틴이 득점했고, 이란은 모흐센 모살만의 페널티킥 득점으로 한 골을 만회했다.
9월 18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키르기스스탄과 이란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모르테자 푸랄리간지가 이란의 선제골을, 아바즈벡 오트키프가 키르기스스탄의 동점골을 기록했다.
9월 22일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베트남과 키르기스스탄의 경기에서는 베트남이 1-0으로 승리했다. 부민투안이 페널티킥 결승골을 기록했다.
4. 결선 토너먼트
9월 25일 - 고양에서 '''대한민국'''이 홍콩을 3-0으로 꺾었다. 같은 날 화성에서는 일본이 팔레스타인을 4-0으로 대파했다. 안산에서는 '''태국'''이 중국을 2-0으로 이겼다. 인천에서는 '''요르단'''이 키르기스스탄을 연장 접전 끝에 2-0으로 눌렀다.
9월 26일 - 고양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우즈베키스탄을 3-2로 제압했다. 인천에서는 '''이라크'''가 타지키스탄을 4-2로 이겼다. 안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인도네시아를 4-1로 대파하고 8강에 합류했다. 화성에서는 '''아랍에미리트'''가 베트남을 3-1로 꺾었다.
9월 28일 - 인천에서 열린 8강전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화성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아랍에미리트를 1-0으로 제압했다.
같은 날 인천에서는 '''태국'''이 요르단을 2-0으로 이겼다. 고양에서는 '''이라크'''가 사우디아라비아를 3-0으로 완파했다.
9월 30일 - 인천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태국을 2-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인천에서는 이라크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연장 접전 끝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
10월 2일 - 인천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이라크'''가 태국을 1-0으로 꺾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같은 날 인천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차지하며,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이후 28년 만에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정상에 등극했다.
4. 1. 16강전
2014년 9월 25일, 대한민국은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홍콩과의 16강전에서 3-0으로 승리했다. 이용재 (V-바렌 나가사키)가 후반 59분 선제골을, 박주호 (마인츠 05)가 후반 76분 추가골을, 김진수 (TSG 1899 호펜하임)가 후반 추가시간 3분에 쐐기골을 넣었다. 같은 날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일본과 팔레스타인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4-0으로 승리했다. 엔도 와타루(17분), 스즈키 무사시(27분), 아라노 다쿠마(75분), 하라카와 리키(82분)가 득점했다.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린 태국과 중국의 경기에서는 태국이 2-0으로 승리했으며, 크라이손이 두 골을 넣었다. 인천문학경기장에서는 요르단이 키르기스스탄을 연장전 끝에 2-0으로 꺾었다. 알에사위(110분)와 알마르디(115분)가 득점했다.9월 26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3-2로 승리했다.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는 이라크가 타지키스탄을 4-2로 꺾었다. 안산와스타디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인도네시아를 4-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박광룡(19분), 조광(40분), 정일관(41분, 66분)이 득점했고, 인도네시아는 우토모가 60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는 아랍에미리트가 베트남을 3-1로 이겼다.
4. 2. 8강전
9월 28일에 8강전 경기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후반 43분 장현수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1-0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렸으며, 43,221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아랍에미리트를 상대로 후반 추가시간에 터진 정일관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같은 날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는 태국이 요르단을 2-0으로 꺾었다. 태국의 송끄라신과 타위칸이 각각 득점했다. 고양종합운동장에서는 이라크가 사우디아라비아를 3-0으로 완파했다. 이라크의 마무드가 두 골을 넣었고,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샤메크는 자책골을 기록했다.
4. 3. 준결승전
2014년 9월 30일 20시에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태국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이종호(당시 전남 드래곤즈, 현 성남 FC)의 전반 41분 득점과 장현수의 전반 45+1분 페널티킥 득점으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17시에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이라크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정일관의 96분 득점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4. 4. 동메달 결정전
2014년 10월 2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이라크가 태국을 1-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마무드가 후반 62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대한민국의 고형진이 맡았다.4. 5. 결승전
2014년 10월 2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연장 후반 종료 직전 임창우가 결승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카타르의 압둘라 발리데흐가 맡았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이후 28년 만에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5. 메달리스트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이라크 |
대한민국은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라크는 3-4위전에서 태국을 1-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6. 최종 순위
|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결승전 진출 | |||||||||
| 1 | 대한민국 | 7 | 7 | 0 | 0 | 13 | 0 | +13 | 21 |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5 | 0 | 1 | 11 | 2 | +9 | 15 |
| 준결승전 진출 | |||||||||
| 3 | 이라크 | 7 | 6 | 0 | 1 | 18 | 4 | +14 | 18 |
| 4 | 태국 | 7 | 5 | 0 | 2 | 15 | 3 | +12 | 15 |
| 8강전 진출 | |||||||||
| 5 | 일본 | 5 | 3 | 0 | 2 | 13 | 5 | +8 | 9 |
| 6 | 사우디아라비아 | 5 | 3 | 0 | 2 | 9 | 6 | +3 | 9 |
| 7 | 요르단 | 4 | 3 | 0 | 1 | 5 | 2 | +3 | 9 |
| 8 | 아랍에미리트 | 4 | 2 | 0 | 2 | 8 | 3 | +5 | 6 |
| 16강전 진출 | |||||||||
| 9 | 우즈베키스탄 | 4 | 2 | 1 | 1 | 11 | 4 | +7 | 7 |
| 10 | 홍콩 | 4 | 2 | 1 | 1 | 5 | 6 | −1 | 7 |
| 11 | 인도네시아 | 4 | 2 | 0 | 2 | 12 | 10 | +2 | 6 |
| 12 | 베트남 | 3 | 2 | 0 | 1 | 6 | 4 | +2 | 6 |
| 13 | 타지키스탄 | 4 | 2 | 0 | 2 | 5 | 6 | −1 | 6 |
| 14 | 팔레스타인 | 4 | 2 | 0 | 2 | 5 | 7 | −2 | 6 |
| 15 | 싱가포르 | 3 | 1 | 1 | 1 | 5 | 5 | 0 | 4 |
| 16 | 쿠웨이트 | 3 | 1 | 0 | 2 | 6 | 7 | −1 | 3 |
| 조별리그 탈락 | |||||||||
| 17 | 말레이시아 | 3 | 1 | 0 | 2 | 4 | 6 | −2 | 3 |
| 18 | 방글라데시 | 3 | 1 | 0 | 2 | 2 | 5 | −3 | 3 |
| 19 | 중국 | 3 | 1 | 0 | 2 | 1 | 5 | −4 | 3 |
| 20 | 몰디브 | 3 | 1 | 0 | 2 | 3 | 8 | −5 | 3 |
| 21 | 오만 | 3 | 0 | 1 | 2 | 3 | 6 | −3 | 1 |
| 22 | 이란 | 2 | 0 | 1 | 1 | 2 | 5 | −3 | 1 |
| 23 | 키르기스스탄 | 3 | 0 | 1 | 2 | 1 | 4 | −3 | 1 |
| 24 | 파키스탄 | 2 | 0 | 1 | 1 | 0 | 3 | −3 | 0 |
| 25 | 아프가니스탄 | 3 | 0 | 0 | 3 | 1 | 8 | −7 | 0 |
| 26 | 인도 | 2 | 0 | 0 | 2 | 0 | 7 | −7 | 0 |
| 27 | 라오스 | 3 | 0 | 0 | 3 | 0 | 9 | −9 | 0 |
| 28 | 동티모르 | 3 | 0 | 0 | 3 | 2 | 13 | −11 | 0 |
| 29 | 네팔 | 3 | 0 | 0 | 3 | 0 | 13 | −13 | 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