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조별 리그
3. 1. A조
도하에서 2019년 3월 22일부터 3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 3 | 2 | 1 | 0 | 9 | 2 | +7 | 7 | 본선 진출 |
2 | | 3 | 2 | 1 | 0 | 5 | 3 | +2 | 7 | |
3 | | 3 | 1 | 0 | 2 | 3 | 6 | -3 | 3 | |
4 | | 3 | 0 | 0 | 3 | 1 | 6 | -5 | 0 | |
- 2019년 3월 22일, 는 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 같은 날, 는 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 3월 24일, 는 에 2-1로 패배했다.
- 같은 날, 는 에 5-0으로 크게 패했다.
- 3월 26일, 와 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 같은 날, 는 에 0-2로 패배했다.
3. 2. B조
이사타운에서 2019년 3월 22일부터 3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 바레인이 3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 3 | 3 | 0 | 0 | 12 | 0 | +12 | 9 | 본선 진출 |
2 | | 3 | 2 | 0 | 1 | 10 | 2 | +8 | 6 | |
3 | | 3 | 1 | 0 | 2 | 2 | 2 | 0 | 3 | |
4 | | 3 | 0 | 0 | 3 | 0 | 20 | -20 | 0 | |
2019년 3월 22일, 팔레스타인은 스리랑카를 상대로 9-0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바레인은 방글라데시를 1-0으로 꺾었다.
3월 24일, 방글라데시는 팔레스타인에 0-1로 패배하였다. 같은 날, 스리랑카는 바레인에 0-9로 대패하였다.
3월 26일, 방글라데시는 스리랑카를 2-0으로 이겼다. 같은 날, 팔레스타인은 바레인에 0-2로 패배하며 바레인이 조 1위를 확정지었다.
3. 3. C조
이란 테헤란에서 UTC+4:30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이라크 | 3 | 2 | 1 | 0 | 7 | 0 | +7 | 7 | 본선 진출 |
2 | 이란 | 3 | 2 | 1 | 0 | 6 | 1 | +5 | 7 |
3 | 투르크메니스탄 | 3 | 0 | 1 | 2 | 1 | 5 | -4 | 1 | |
4 | 예멘 | 3 | 0 | 1 | 2 | 0 | 8 | -8 | 1 | |
2019년 3월 22일, 이라크는 예멘을 상대로 5-0 승리를 거두었다. 푸아드가 16분과 44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였고, H.자바르가 35분에, 수베가 65분과 79분에 각각 득점하였다. 같은 날 이란은 투르크메니스탄을 3-1로 이겼다. 바시모프가 35분에 자책골을 기록하였고, 누라프칸이 54분에, 자비레가 90+2분에 득점하였다. 투르크메니스탄은 구르게노프가 75분에 득점하였다.
3월 24일, 투르크메니스탄은 이라크에 0-2로 패배했다. 수베가 17분, S.자베르가 88분에 득점하였다. 같은 날 예멘은 이란에 0-3으로 패배했다. 셰카리가 55분, 자비레가 67분, 메디카니가 75분에 득점하였다.
3월 26일, 투르크메니스탄과 예멘은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이라크와 이란 또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3. 4. D조
D조 예선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UTC+3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아랍에미리트/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ar | 3 | 2 | 1 | 0 | 10 | 2 | +8 | 7 | 본선 진출 |
2 | 사우디아라비아/السعوديةar | 3 | 2 | 1 | 0 | 9 | 1 | +8 | 7 |
3 | 레바논/لبنانar | 3 | 1 | 0 | 2 | 7 | 8 | -1 | 3 | |
4 | 몰디브/ދިވެހިރާއްޖެ디베히어 | 2 | 0 | 0 | 2 | 0 | 15 | -15 | 0 | |
2019년 3월 22일, 아랍에미리트는 레바논을 상대로 6-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사우디아라비아는 몰디브를 6-0으로 이겼다. 3월 24일, 몰디브는 아랍에미리트에 0-3으로 패배했고, 레바논은 사우디아라비아에 0-2로 졌다. 3월 26일, 레바논은 몰디브를 6-0으로 이겼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경기 결과,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승점 7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아랍에미리트가 골득실에서 앞서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조 2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레바논은 3위, 몰디브는 4위를 기록했다. 모든 경기는 리야드의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경기장에서 열렸다.
3. 5. E조
E조 예선은 쿠웨이트 시티에서 UTC+3 시간으로 진행되었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요르단/الأردنar | 3 | 2 | 1 | 0 | 6 | 2 | +4 | 7 | 본선 진출 |
2 | 시리아/سورياar | 3 | 2 | 1 | 0 | 5 | 1 | +4 | 7 |
3 | 쿠웨이트/الكويتar | 3 | 1 | 0 | 2 | 4 | 6 | -2 | 3 | |
4 | 키르기스스탄/Кыргызстанky | 3 | 0 | 0 | 3 | 2 | 8 | -6 | 0 | |
2019년 3월 22일, 시리아는 바라카트와 달리의 득점으로 키르기스스탄을 2-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요르단은 알바리와 아티에의 득점으로 쿠웨이트에 2-1 승리를 거두었다. 쿠웨이트는 알오타이비가 득점하였다.
3월 24일, 요르단은 알타마리, 알잡디에, 아티에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키르기스스탄을 3-0으로 완파했다. 같은 날, 쿠웨이트는 시리아에 0-2로 패배했는데, 시리아는 코아에와 바라카트가 득점하였다.
3월 26일, 요르단과 시리아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요르단은 아티에가, 시리아는 바라캇이 득점했다. 같은 날, 키르기스스탄은 바틔르카노프가 두 골을 넣었지만, 쿠웨이트의 알-하디야, 알-아지미, 압둘라흐만에게 실점하며 2-3으로 패했다.
결국 요르단과 시리아가 승점 7점으로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에 진출했다.
3. 6. F조
개최지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이며, 시간은 UTC+5이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 | 2 | 1 | 1 | 0 | 3 | 0 | +3 | 4 | 본선 진출 |
2 | 타지키스탄/Тоҷикистонtg | 2 | 1 | 1 | 0 | 2 | 0 | +2 | 4 | |
3 | 인도/भारत गणराज्यhi | 2 | 0 | 0 | 2 | 0 | 5 | -5 | 0 | |
4 | 파키스탄/پاکستانur | 기권 |
2019년 3월 22일, 인도는 우즈베키스탄에 0-3으로 패배하였다. 코빌로프가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였고, 압디솔리코프가 2골을 추가 득점하였다.
2019년 3월 24일, 타지키스탄은 인도에 2-0으로 승리하였다. 요드고로프와 솔레호프가 득점하였다.
2019년 3월 26일,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은 0-0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3. 7. G조
G조의 경기는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2019년 3월 22일부터 3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 경기는 UTC+8 기준이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 3 | 2 | 1 | 0 | 4 | 1 | +3 | 7 | 본선 진출 |
2 | | 3 | 1 | 2 | 0 | 5 | 3 | +2 | 5 | |
3 | | 3 | 1 | 1 | 1 | 2 | 3 | -1 | 4 | |
4 | | 3 | 0 | 0 | 3 | 1 | 5 | -4 | 0 | |
2019년 3월 22일, 홍콩과 싱가포르의 경기에서 쩌이왕킷(쩌이웡킷/蔡宏傑중국어)이 골을 넣고, 리오넬 탄이 득점하여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금성의 골로 몽골을 1-0으로 이겼다.
3월 24일, 싱가포르는 판디의 골과 박광훈의 골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몽골은 웨체남의 골로 홍콩에게 0-1로 패배했다.
3월 26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국철과 서정혁의 골로 홍콩을 2-0으로 이겼다. 싱가포르는 아미룰딘, 이르판, 하미의 골로 하시-에르데네가 득점한 몽골을 3-1로 이겼다.
3. 8. H조
대한민국은 2019년 3월 22일에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의 첫 경기에서 이동준의 페널티킥 골과 서경주, 이시헌, 조영욱, 이동경의 연속골로 8-0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 캄보디아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오닐, 챔프니스, 맥그리, 윌슨, 와링의 골로 6-0 승리를 거두었다.
3월 24일, 중화 타이베이는 오스트레일리아에게 마족, 뎅, 무어두쿠타스, 와링에게 골을 허용하며 0-6으로 패배했다. 캄보디아는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한찬희, 장민규, 김보섭에게 골을 내주고, 소반의 자책골까지 나오면서 1-6으로 졌다. 캄보디아는 카카다가 한 골을 만회했다.
3월 26일, 대한민국은 오스트레일리아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조영욱과 이동경이 골을 넣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의 다고스티노에게 두 골을 허용했다. 같은 날 캄보디아와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캄보디아는 카카다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중화 타이베이의 폰더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
3. 9. I조
I조 예선은 미얀마 양곤에서 2019년 3월 22일부터 3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 UTC+6:30 기준.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 3 | 3 | 0 | 0 | 21 | 0 | +21 | 9 | 본선 진출 |
2 | | 3 | 2 | 0 | 1 | 11 | 7 | +4 | 6 | |
3 | | 3 | 1 | 0 | 2 | 5 | 16 | -11 | 3 | |
4 | | 3 | 0 | 0 | 3 | 3 | 17 | -14 | 0 | |
- 2019년 3월 22일, 일본은 마카오를 상대로 8-0 승리를 거두었다. 마에다 고키의 득점과 우에다 아야세의 해트트릭, 엔도 게이타와 마에다 다이젠의 추가 득점, 이타쿠라 고의 경기 막판 득점으로 대승을 이끌었다.
- 같은 날, 미얀마는 동티모르를 7-0으로 대파했다. 헤인텟아웅의 멀티골, 미앗카웅칸트, 윈나잉툰의 멀티골, 자야르나잉, 예민투의 득점으로 홈 팬들에게 큰 기쁨을 선사했다.
- 3월 24일, 일본은 동티모르를 6-0으로 꺾었다. 다가와 교스케, 구보 다케후사의 멀티골, 다쓰타 유고, 이타쿠라 고, 우에다 아야세의 득점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 같은 날, 미얀마는 마카오를 4-0으로 제압했다. 예민투, 윈나잉툰의 페널티킥 포함 멀티골, 르윈머아웅의 득점으로 승리했다.
- 3월 26일, 동티모르는 마카오를 5-3으로 이겼다. 완틴야오의 자책골, 가마, 아라우주의 멀티골, 크루스의 득점으로 승리했다. 마카오는 제로니무, 렁치셍, 렁호우인이 득점했다.
- 같은 날, 일본은 미얀마를 7-0으로 대파하며 3전 전승으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마에다 다이젠의 해트트릭, 이와사키 유토의 멀티골, 나카야마 유타의 멀티골로 압승을 거두었다.
3. 10. J조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중국 | 3 | 2 | 1 | 0 | 15 | 2 | +13 | 7 | 본선 진출 |
2 | 말레이시아 | 3 | 2 | 1 | 0 | 6 | 2 | +4 | 7 | |
3 | 라오스 | 3 | 1 | 0 | 2 | 3 | 8 | -5 | 3 | |
4 | 필리핀 | 3 | 0 | 0 | 3 | 2 | 14 | -12 | 0 | |
2019년 3월 22일, 중국은 샤알람 스타디움에서 열린 라오스와의 경기에서 5-0으로 승리했다. 양리위가 페널티킥을 포함해 2골, 샨후안후안, 린량밍, 차오용징이 각각 1골씩을 추가했다. 같은 날 말레이시아는 필리핀을 3-0으로 꺾었다. 아키아르가 2골, 파이살이 1골을 기록했다.
3월 24일, 필리핀은 중국에 8-0으로 대패했다. 샨후안후안과 장위닝이 각각 2골, 후징항, 황총, 린량밍이 1골씩을 기록했다. 말레이시아는 라오스를 1-0으로 이겼다. 사파위가 결승골을 넣었다.
3월 26일, 라오스는 필리핀을 3-2로 꺾었다. 랏타착, 두앙마이티, 분꽁이 골을 넣었고, 필리핀은 가요소가 2골을 넣었다.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장위닝과 쟝성롱이 중국의 골을, 주천졔의 자책골과 다니알이 말레이시아의 골을 기록했다.
J조의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샤알람에서 UTC+8 시간대에 진행되었다.
3. 11. K조
K조 예선은 베트남/Việt Namvi 하노이에서 UTC+7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 3 | 3 | 0 | 0 | 11 | 0 | +11 | 9 | 본선 진출 |
2 | | 3 | 2 | 0 | 1 | 12 | 4 | +8 | 6 | 대회 개최국 |
3 | | 3 | 1 | 0 | 2 | 2 | 6 | -4 | 3 | |
4 | | 3 | 0 | 0 | 3 | 1 | 16 | -15 | 0 | |
2019년 3월 22일 17시(현지 시각)에 열린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과 인도네시아/Indonesiaid의 경기에서는 태국이 4-0으로 승리했다. 신나팟의 선제골을 시작으로, 수파차이가 페널티킥을 포함해 두 골을 추가하고, 수파촉이 한 골을 더 넣어 태국이 완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20시(현지 시각)에 열린 베트남/Việt Namvi과 브루나이/Bruneims의 경기에서는 베트남이 6-0 대승을 거두었다. 하득친의 선제골, 응우옌타인충, 딘타인빈, 츄비엣흥, 후인떤신(페널티킥), 응우옌꽝하이(페널티킥)가 연속으로 득점하며 베트남이 홈에서 압도적인 경기를 펼쳤다.
3월 24일 17시(현지 시각)에는 브루나이/Bruneims와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의 경기가 열렸고, 태국이 8-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수파촉의 선제골과 수파차이의 해트트릭, 수파낫, 아논, 사링깐의 득점, 그리고 헤이미의 자책골까지 더해져 태국이 큰 점수 차로 승리했다. 같은 날 20시(현지 시각) 인도네시아/Indonesiaid와 베트남/Việt Namvi의 경기에서는 츄비엣흥이 후반 추가시간에 극적인 결승골을 넣어 베트남이 1-0으로 승리했다.
3월 26일 17시(현지 시각) 인도네시아/Indonesiaid와 브루나이/Bruneims의 경기에서는 인도네시아가 2-1로 승리했다. 디마스와 라피가 득점하고, 브루나이는 아짐이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20시(현지 시각) 베트남/Việt Namvi과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의 경기에서는 베트남이 4-0으로 크게 이겼다. 하득친, 응우옌호앙득, 응우옌타인충, 쩐타인선이 득점하며 베트남이 조 1위를 확정지었다.
최종 결과, 베트남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고, 태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