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87년은 서진 태강 8년으로, 여러 국가의 연호와 기년이 사용되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갈레리우스의 공동 황제 선언, 서진의 고구려 침공, 로마 제국 내 혼란 등이 있었으며, 로마 제국에서는 알레마니 격퇴, 게르만족 왕 격파, 사산 제국과의 평화 조약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기독교 순교자들의 사망이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87년 | |
---|---|
287년 | |
달력 | |
로마력 | ab Urbe condita DCCCXL |
간지 | 정미년(丁未年), 육십간지 44번째 |
일본 | 고우넨 8년(弘仁8年) |
중국 | 태강(太康) 8년 |
발해 | 건흥(建興) 12년 |
신라 | 조분 이사금(助賁泥師今) 11년 |
2. 연호
- 서진(西晉) 태강(太康) 8년
- 간지 정미
- 일본
- * 응신 천황 18년
- * 황기 947년
- 중국
- * 서진 태강 8년
- 고구려 서천왕 18년
- 신라 유례왕 4년
- 백제 책계왕 2년
- 단기 2620년
- 불멸기원 830년
- 유대력 4047년 - 4048년
3. 기년
4. 사건
- 갈레리우스 황제가 동방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공동 황제로 선언되다.
- 중국의 서진 왕조가 고구려를 침공하였으나, 이는 고구려의 국력을 과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 로마 제국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의 아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누메리아누스가 페르시아 제국 원정에서 사망하는 등 제국 내 혼란이 지속되었다.
4. 1. 로마 제국
- 막시미아누스는 집정관에 임명된 같은 날, 알레마니의 갈리아 침공을 격퇴하고 상 라인강을 건너 상 도나우강을 통해 로마 영토로 돌아왔다.
- 미래의 황제 콘스탄티우스 1세는 로마군에 대한 매복을 준비한 게르만족 왕을 격파하고 사로잡았다.
-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사산 제국의 바흐람 2세 왕과 평화 조약을 맺고, 친로마 아르사케스 왕조의 아르메니아의 티리다테스 3세를 아르메니아 서부 지역의 왕으로 임명했다.
-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메소포타미아 변경을 재편성하고, 유프라테스강의 키르케시움(현대 부사이라)을 포함한 여러 지역을 요새화했다. 이 무렵, 그는 스트라타 디오클레티아나의 건설을 시작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국경 너머와 경계 안팎으로 요새를 건설하거나 복원하는 등, 다른 국경에서도 이와 유사한 요새화 노력이 이루어졌다. 징병과 군단의 수는 증가했지만, 군단 자체는 더 작고 유연한 부대로 개편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또한 코미타텐세스(야전군 부대)와 리미타네이(국경 부대)로 구성된 후기 로마 군사 시스템을 구축했을 수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발전이 콘스탄티누스 1세 (재위 306–337) 시대에 이루어졌다고 본다.
- 9월 - 첫 번째 인딕션이 시작된다.
4. 2. 중국
287년 당시 중국은 서진 시대로, 여러 사건이 있었다.5. 문화
287년에는 내용이 비어있으니 문서를 추가해야 한다.
6. 탄생
287년에 태어난 사람에 대한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7. 사망
- 유스타와 루피나, 기독교 순교자
- 마우리티우스(혹은 '''모리츠'''), 기독교 순교자
- 캉탱, 기독교 선교사이자 순교자
- 발레리우스와 루피누스, 기독교 순교자
- 빅토리쿠스, 푸스키안, 젠티안, 기독교 순교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