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가지 성격 특성 요소는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모델이다. 이 모델은 1950년대에 시작되어 여러 연구를 거쳐 정립되었으며, 경험에 대한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성 등 다섯 가지 주요 요인으로 구성된다. 각 요인은 다양한 하위 특성을 포함하며, 개인의 행동과 성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이 모델은 학업, 직업, 연애 관계, 정치적 성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지만, 모델의 범위, 방법론적 문제, 이론적 근거 부족 등 여러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격 - 인격장애
    성격장애는 사고방식, 감정, 대인관계, 행동 양식의 지속적인 패턴이 사회적 기대에서 벗어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1과 미국정신의학회(APA)의 DSM-5는 정의와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정신치료(변증법적 행동치료, 정신화 기반 치료, 스키마 치료 등)가 중심적인 치료 방법이다.
  • 성격 - 성실성
    성실성은 책임감, 조직성, 근면성, 자기 훈련을 포함하는 성격 심리학의 주요 차원으로, 개인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지만 지나치면 융통성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 사회심리학 - 여성에 대한 폭력
    여성에 대한 폭력은 신체적, 성적, 심리적,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는 모든 형태의 폭력으로, 다양한 주체에 의해 자행되며 유엔 등 국제기구는 이를 인권 침해 및 성별 불평등의 결과로 규정하고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포괄적인 정의에 대한 논쟁은 지속되고 있다.
  • 사회심리학 - 공감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정서적 공감(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공감(관점 이해)으로 나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뇌의 거울 뉴런 시스템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판단, 정신 질환과 관련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동물 연구 및 허구 매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개요
정의성격의 광범위한 차원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성격 모델
다른 이름5요인 모델(Five-Factor Model, FFM)
글로벌 5요인 모델(Global Five-Factor Model, GFFM)
빅 파이브(Big Five)
5가지 요인 모델
측정자기 보고 설문지
타인 평가
구성 요소개방성(O)
성실성(C)
외향성(E)
호감성(A)
신경성(N)
성격 특성 요소
개방성 (Openness)새로운 경험에 대한 수용성, 지적 호기심, 상상력, 심미안 등을 포함한다.
성실성 (Conscientiousness)체계성, 책임감, 계획성, 자기 훈련 등을 포함한다.
외향성 (Extraversion)사교성, 활동성, 외향적인 에너지, 긍정적인 감정 등을 포함한다.
호감성 (Agreeableness)타인에 대한 공감, 협조성, 신뢰성, 관대함 등을 포함한다.
신경성 (Neuroticism)불안정, 슬픔, 걱정,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 등을 포함한다.
특징
설명각 성격 특성은 연속선상에 존재하며, 개인은 각 특성에서 높은 점수나 낮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빅 파이브 모델은 다양한 문화와 연령대에 걸쳐 일관성을 보인다.
성격 특성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장점성격 연구 및 평가를 위한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다양한 삶의 결과 (예: 직업적 성공, 관계 만족도, 건강)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자기 이해 및 개인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단점지나치게 단순화된 모델이라는 비판이 있다.
문화적 편향이 있을 수 있다.
상황적 요인의 영향을 간과할 수 있다.
활용
분야심리 평가
인사 선발
직업 상담
임상 심리학
소비자 행동 연구
참고 자료
관련 논문McCrae, R. R. & Costa, P. T. (1997). Personality trait structure as a human universal. American Psychologist, 52(2), 509–516.
Ozer, D. & Benet-Martinez, V. (2006). Personality and the prediction of consequential outcom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7, 401-421.
관련 서적村上宣寛, 村上千恵子 (2017). 主要5因子性格検査ハンドブック : 性格測定の基礎から主要5因子の世界へ. 筑摩書房.

2. 역사

5요인 모델은 여러 심리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다. 초기 모델은 1958년 어니스트 튜페스와 레이먼드 크리스탈에 의해 제시되었으나,[13] 1980년대까지 학계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1990년 J.M. 디그먼은 5요인 성격 모델을 제시했고, 루이스 골드버그는 이를 더욱 발전시켰다.[13]

여러 연구팀이 어휘 가설을 바탕으로 성격 특성을 연구하여 5가지 요인을 확인했다. 튜페스와 크리스탈, 오레곤 연구소의 골드버그,[15][16][17][18][19] 일리노이 대학교의 캐틀,[10][20][21][22] 폴 코스타 주니어와 로버트 R. 맥크레이가 대표적이다.[23][24][25][26] 이들은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모두 5가지 요인과 강하게 연관되는 결과를 얻었다.[27][28][29][30][31]

한스 아이젠크는 1947년 그의 저서 "성격의 차원"에서 "외향성"과 "신경증"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성격 차원을 제시했다.[40]

1968년에 출시된 16PF 설문지 제4판에서는 16개 요인에서 도출된 5개의 "전반적인 요인", 즉 "외향성", "독립성", "불안", "자기 통제", "강인함"이 확인되었다.[56] 16PF 옹호자들은 이후 이것을 "원래의 빅 5"라고 불렀다.[57]

빅 파이브(Big Five)는 단어 간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하지만, 신경심리학자들도 사용한다.[285]

2. 1. 초기 연구

프랜시스 골턴은 1884년에 어휘 가설을 처음으로 연구하여 인간의 성격 특성에 대한 포괄적인 분류 체계를 탐색했다.[8] 1936년, 고든 올포트와 헨리 오드버트는 프랜시스 골턴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웹스터 신국제 사전 등을 참고하여 4,504개의 형용사를 추출했다.[35]

1940년대 레이먼드 캐틀은 성격 특성 용어를 171개로 정리하고,[36] 요인 분석을 통해 35개 용어로 축소, 16PF 설문지를 개발했다.[42][43][44][45][46]

1949년, 도널드 W. 피스크는 캐틀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 적응성", "정서 조절", "순응", "탐구적인 지성", "자신감 있는 자기 표현"의 5가지 요인을 도출했다.[41]

1957년, 미국 공군의 어니스트 튜프스는 미국 공군 장교에 대한 성격 특성 연구를 수행했다.[48][49] 1958년, 어니스트 튜프스와 레이먼드 크리스탈은 요인 분석을 통해 "활동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문화"라고 명명한 다섯 가지 요인을 도출했다.[51][52] 1961년 논문에서 1958년 연구를 더욱 검증하고 설명했다.[53][11]

미시간 대학교의 워렌 노먼은 1963년에 튜프스와 크리스털의 연구를 복제했다. 그는 "활동성"을 "외향성 또는 활동성"으로, "성실성"을 "성실성"으로 이름을 바꿨다.[12]

2. 2. 연구 중단

1968년 월터 미셸은 저서 ''Personality and Assessment''에서 성격 척도가 0.3보다 높은 상관관계로 행동을 예측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 사회심리학자들은 태도와 행동이 안정적이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했다.[1] 성격 척도로 행동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다.[1]

2. 3. 새로운 주목

1980년 호놀룰루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루이스 골드버그는 당시 사용 가능했던 성격 검사 도구들을 검토하면서 빅 파이브(Big Five) 모델을 다시 강조했다.[61] 1984년 피터 사빌과 그의 연구팀은 직업 성격 설문지(OPQ)에 5요소 "펜타곤(Pentagon)" 모델을 포함시켰는데,[63] 이는 최초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빅 파이브 검사였다.[63] 1985년 코스타와 맥크레이는 NEO PI-R 5요인 성격 척도를 출판했다.[65]

3. 5가지 성격 요인



5가지 성격 요인은 성격 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요소들로, 각 요인은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연관되어 개인의 성격을 구성한다. 각 요인과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상상력, 호기심, 모험심, 예술적 감각 등으로 보수주의에 반대되는 성향을 나타낸다. 지능, 상상력, 고정관념 타파, 심미적인 것에 대한 관심, 다양성에 대한 욕구, 품위 등과 관련된 특질을 포함한다.
  • '''성실성(Conscientiousness)''':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성실하게 노력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심사숙고, 규준이나 규칙 준수, 계획 세우기, 조직화, 과제 준비 등과 같은 특질을 포함한다.
  • '''외향성(Extraversion)''': 다른 사람과의 사교, 자극과 활력을 추구하는 성향을 뜻한다. 사회성, 활동성, 적극성과 같은 특질을 포함한다.
  • '''우호성(Agreeableness)''': 타인에게 반항적이지 않고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성향을 의미한다. 이타심, 애정, 신뢰, 배려, 겸손 등과 같은 특질을 포함한다.
  • '''신경성(Neuroticism)''': 분노, 우울함, 불안감과 같은 불쾌한 정서를 쉽게 느끼는 성향을 말한다. 걱정, 두려움, 슬픔, 긴장 등과 같은 특질을 포함하며, 정서적 안정성은 이와 반대되는 특징이다.


이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모델은 영문 스펠링의 첫 글자를 따서 '''OCEAN 모델'''이라고도 불린다. 각 요소는 50%를 기준으로 측정된다. 예를 들어 성실성 수치가 80%라면 책임감과 질서 정연함을 중시한다는 의미이고, 외향성 수치가 5%라면 타인과의 교류보다는 고독함과 평정심을 즐긴다는 것을 뜻한다.

5가지 요인은 일상적인 용어를 통해 분류되며, 각 요인들은 생물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즉, 개인의 유전적 요인에 의해 5가지 요인을 모두 가지게 되며, 특정 요인의 강약은 유전적으로 정해지지만 심리적 발달 과정에서 개인차가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생물학적인 경향성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성격은 타고나지만, 발달 환경이 유전자의 발현 여부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조선 시대 여성의 경우 유전적으로 외향성이 높게 타고났더라도 억압적인 사회 환경에서 성장하면 외향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유전적인 면을 강조하기 때문에 5가지 요인과 관련된 요소들의 차이는 유전적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1990년대, 흐로닝언 대학교의 윔 호프스테(Wim Hofstee)는 네덜란드어를 사용한 어휘 가설 접근 방식을 통해 이후 국제 성격 항목 풀(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이 된 것을 개발했다. 독일과 미국에서의 추가 개발을 통해 세 가지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풀이 만들어졌으며, 그 질문과 결과는 다양한 빅 파이브 성격 유형 모델에 매핑되었다.[68][69]

키봄 리(Kibeom Lee)와 마이클 애쉬턴(Michael Ashton)은 2004년 HEXACO 모델을 설명하는 책을 출판했다.[70] 이 모델은 5가지 요소("정서성(Emotionality)", "외향성(Extraversion)", "친화성(Agreeable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에 여섯 번째 요소인 "정직-겸손(Honesty-Humility)"을 추가하며, 각 요소는 네 가지 측면을 가진다.

2007년, 콜린 드영, 레나 C. 퀼티(Lena C. Quilty) 그리고 조던 피터슨은 빅 파이브의 10가지 측면이 고유한 생물학적 기질을 가질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34] 이는 국제 성격 항목 풀을 사용한 두 개의 데이터 샘플에 대한 요인 분석과, 개정된 NEO 성격 목록 측면들 간의 공유 분산을 기반으로 식별된 10가지 유전적 요인으로부터 도출된 점수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71]

2009년까지, 성격 및 사회 심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인간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변수와 상황적 변수 모두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72]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Cambridge Analytica)는 FFM 관련 검사를 사용했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심리적 프로파일링"[73] 논란의 일부였다.[74][75]

3. 1.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중 하나로, 상상력, 호기심, 모험심, 예술적 감각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보수주의에 반대되는 성향을 나타낸다. 이 특성은 개인의 심리 및 경험의 다양성과 관련이 깊으며, 지능, 상상력, 고정관념 타파, 심미적인 것에 대한 관심, 다양성에 대한 욕구, 품위 등과 관련된 특질을 포함한다.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은 지적 호기심이 많고, 감정에 개방적이며, 아름다움에 민감하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는 의욕이 강하다. 반면, 개방성이 낮은 사람들은 끈기를 통해 성취감을 얻으려 하며, 실용적이고 데이터 중심적인 경향을 보인다. 때로는 독단적이고 폐쇄적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개방성은 다른 4가지 특성과는 달리 뇌의 특정 영역과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아, 이 요인을 해석하고 맥락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80]

3. 1. 1. 하위 특성

개방성은 예술, 감정, 모험, 특이한 아이디어, 상상력, 호기심, 다양한 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감사를 의미한다. 개방적인 사람들은 지적으로 호기심이 많고, 감정에 개방적이며, 아름다움에 민감하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는 의향이 있다. 폐쇄적인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그들은 더 창의적이고 자신의 감정을 더 잘 알고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전통적인 신념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다.[79]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은 예측할 수 없거나 집중력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위험한 행동이나 약물 남용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79][300] 또한, 개방성이 높은 개인은 특히 자아실현을 추구하기 위해 강렬하고 황홀한 경험을 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개방성이 낮은 사람들은 끈기 있게 노력함으로써 만족을 얻고자 하며, 실용적이고 데이터 중심적이며 때로는 독단적이고 폐쇄적인 것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개방성 요인을 해석하고 맥락화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여전히 남아있는데, 그 이유는 이 특성에 대한 생물학적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다른 네 가지 특성과 달리, 개방성은 각 특성과 관련된 부피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뇌 영상을 사용했을 때 어떤 뇌 영역과도 상당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80]

개방성과 관련된 하위 특성은 다음과 같다:

  • 풍부한 어휘력
  • 생생한 상상력
  • 훌륭한 아이디어
  • 사물에 대한 빠른 이해
  • 어려운 단어 사용
  • 사물에 대해 숙고하는 시간
  • 풍부한 아이디어
  •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낌 (역순)[81]
  • 추상적인 개념에 관심 없음 (역순)[81]
  • 상상력 부족 (역순)[81]


개방성은 창의성, 즉 문제 해결의 성공[303]과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으며,[304][305][306][307][308] 더 큰 행복과도 관련이 있다.[309] 개방성은 훈련 숙련도와도 상관관계가 있다.[310]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지적 겸손함과도 상관관계가 있다.[311]

3. 2. 성실성(Conscientiousness)

성실성은 과제 및 목적 지향성을 촉진하는 속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심사숙고, 규준이나 규칙 준수, 계획 세우기, 조직화, 과제 준비 등과 같은 특질을 포함한다. 이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성실하게 노력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5가지 성격 요소 모델에서 성실성 수치가 높다는 것은 책임감과 질서 정연함을 중시 여긴다는 뜻이다. 평균적인 성실성 수준은 젊은 성인기에 상승한 후 고령기에 감소한다.[316]

폴 사켓(Paul Sackett)과 필립 웜슬리(Philip Wanmsley)는 성실성이 높은 것과 협조성이 높은 것이 "다양한 직무에서 성공하는 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310][317][318][319] 또한, 창의성이 성실성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20][321][322]

성실성은 양심성[282], 통제성[282](C), 근면성[281], 진지성, 규율성으로도 불린다.

3. 2. 1. 하위 특성

성실성은 자기절제를 하고, 성실하게 행동하며, 측정 기준이나 외부 기대치에 맞춰 성취를 추구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사람들의 충동 조절, 규제 및 방향 설정 수준과 관련이 있다. 높은 성실성은 종종 완고하고 집중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낮은 성실성은 유연성과 자발성과 관련이 있지만, 조잡함과 신뢰성 부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82] 높은 성실성은 자발적인 행동보다는 계획적인 행동을 선호하는 것을 나타낸다.[83]

  • 나는 항상 준비되어 있다.
  • 나는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인다.
  • 나는 잡일을 바로 처리한다.
  • 나는 일정을 따른다.
  • 나는 내 일에 정확하다.
  • 나는 질서를 좋아하지 않는다. (반대)
  • 나는 내 물건을 여기저기 놓아둔다. (반대)
  • 나는 일을 엉망으로 만든다. (반대)
  • 나는 종종 물건을 제자리에 두는 것을 잊는다. (반대)
  • 나는 내 의무를 회피한다. (반대)[81]


개방성의 측면은 다음과 같다.[313]

낮은 값을 가진 사람의 설명높은 값을 가진 사람의 설명
설명단어측면단어설명
익숙한 일상에 편안함을 느끼며,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착실모험심모험적새로운 경험을 갈망한다.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예술 활동이나 창작 활동에 대한 관심이 적다.예술에 무관심예술적 관심예술적 안목이 있다아름다운 것을 좋아하고, 창작 경험을 추구한다.
자신의 감정에 대해 생각하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일이 거의 없다.냉정정서성감정에 깨어있다자신의 감정을 알고 있으며, 감정 표현 방법을 알고 있다.
상상보다는 사실을 우선한다.현실적인상상력몽상적인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있다.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좋아하며, 추상적인 생각을 하는 일은 거의 없다.구체적인지능철학적인새로운 생각에 대해 열려 있으며, 흥미를 느끼고, 더 알고 싶어한다.
전통을 따라 안정을 유지하는 것을 좋아한다.권위를 존중하는자유주의적권위에 도전하는권위나 전통적인 가치에 도전하여 변화를 가져오고 싶어한다.


3. 3. 외향성(Extraversion)

외향성은 사회와 현실 세계에 대해 의욕적으로 접근하는 속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사회성, 활동성, 적극성 같은 특질을 포함한다.[84] 이는 깊이보다는 활동의 폭, 외부 활동 및 상황으로부터의 활동성, 그리고 외부 수단으로부터 에너지를 창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84]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즐기고, 활기차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집단에서 돋보이고, 이야기하기를 좋아하며, 자신을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85]

반면, 외향성이 낮은 사람은 내향적인 경향을 보이며, 조용하고, 신중하며, 사회적 활동에 덜 참여한다. 이들은 사회적 참여가 부족하다고 해서 수줍음이 많거나 우울하다고 해석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사회적 세계로부터 독립적이라고 해석해야 한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더 적은 자극과 더 많은 혼자만의 시간을 필요로 하며, 사회적 상황에서 예의바른 태도를 유지한다.[86]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외향성과 내향성의 조합을 가지며, 성격 심리학자 한스 아이젠크는 뇌의 차이가 이러한 특성을 만들어낸다는 모델을 제시했다.[85]

3. 3. 1. 하위 특성

외향성은 활동의 폭, 외부 활동 및 상황으로부터의 활동성, 그리고 외부 수단으로부터 에너지를 창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84] 이 특성은 외부 세계와의 두드러진 참여를 특징으로 한다. 외향적인 사람들은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즐기며, 종종 활기차다고 여겨진다. 그들은 열정적이고 행동 지향적인 경향이 있다. 그들은 높은 집단 가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고, 자신을 주장한다. 외향적인 사람들은 내향적인 사람들과 달리 사회적 환경에서 더 우세해 보일 수 있다.[85]

내향적인 사람들은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사회적 참여와 에너지 수준이 낮다. 그들은 조용하고, 신중하며, 사회 세계에 덜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의 사회적 참여 부족은 수줍음이나 우울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사회 세계에 대한 더 큰 독립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더 적은 자극과 더 많은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것은 그들이 불친절하거나 반사회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무관심하고 예의바르다.[86]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외향성과 내향성의 조합이며, 성격 심리학자 한스 아이젠크는 그들의 뇌의 차이가 이러한 특성을 만들어낸다는 모델을 제시했다.[85]

외향성-내향성 관련 특성
외향성내향성



성실성 관련 특성
성실성성실성 (역)


3. 4. 우호성(Agreeableness)

'''우호성'''(Agreeableness)은 타인에게 반항적이지 않고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성향이다.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중 하나로, 사회적 적응성과 타인에 대한 공동체적 속성을 나타내며, 이타심, 애정, 신뢰, 배려, 겸손 등과 같은 특질을 포함한다.[86]

우호성이 높은 사람은 대체로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사려 깊고, 친절하며, 관대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남을 잘 돕고, 타인과의 이해관계를 타협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인간성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에도 도움이 된다.[87]

반면, 우호성이 낮은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는 것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안녕에 무관심하며, 자신을 희생할 가능성이 적다. 때로는 다른 사람들의 동기에 대한 회의론 때문에 의심스럽고, 비우호적이며,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88] 종종 경쟁적이거나 도전적인 모습을 보이며, 이는 논쟁적이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82]

3. 4. 1. 하위 특성

친화성은 사회적 조화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을 나타낸다. 친화적인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며, 일반적으로 사려 깊고, 친절하며, 관대하고, 신뢰하며, 남을 잘 돕고, 타인과의 이해관계를 타협하려는 의향이 있다.[86] 이들은 인간성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에도 도움이 된다.[87]

반면, 비친화적인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는 것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한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안녕에 무관심하며, 다른 사람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할 가능성이 적다. 때로는 다른 사람들의 동기에 대한 회의론 때문에 의심스럽고, 비우호적이며,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88] 이들은 종종 경쟁적이거나 도전적이며, 이는 논쟁적이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82]

친화성은 팀 구성원과의 관계의 질과 긍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으며, 변혁적 리더십 기술을 예측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친화적인 리더는 거래적 리더보다 변혁적인 리더로 간주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89]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리더의 직속 상사가 평가한 리더십 효과성을 예측할 수는 없었다.

반대로, 친화성은 군대에서 거래적 리더십과 부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군 부대에 대한 연구에서는 친화적인 사람들이 거래적 리더로서 부족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90]

다음은 친화성과 관련된 하위 특성들이다.[81]

  • 나는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다.
  • 나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공감한다.
  • 나는 마음이 따뜻하다.
  • 나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시간을 낸다.
  • 나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느낀다.
  • 나는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 준다.
  •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별로 관심이 없다. (반대)
  • 나는 사람들을 모욕한다. (반대)
  • 나는 다른 사람들의 문제에 관심이 없다. (반대)
  •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거의 무관심하다. (반대)


외향성[281][282]은 활력, 흥분, 자기주장, 사교성, 타인과의 교류에서 자극을 추구하는 것, 말하기를 좋아하는 것을 나타낸다. 외향성이 과도하면 종종 주의를 끌고, 위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반면 외향성이 낮으면 내성적이고 내적인 성격이 나타나며, 쌀쌀맞거나 자기중심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289] 외향적인 사람은 사회적 상황에서 내향적인 사람보다 더 우세해 보일 수 있다.[301]

외향성은 외부 활동 및 상황에서 에너지를 얻고, 외부 세계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한다.[323] 외향적인 사람들은 사람들과의 교류를 즐기고, 에너지가 넘친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으며, 열정적이고 행동 지향적인 경향이 있다. 또한 말하기를 좋아하고, 자신을 주장하는 것을 좋아하며, 집단 속에서 특히 눈에 띈다.[324]

하지만 외향성에도 단점이 있는데, 자기 파괴적인 행동은 외향성에 의해 매개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25] 일반적으로 인간은 외향성과 내향성의 조합을 가지며, 인격 심리학자 아이젠크(Eysenck)는 이러한 특성이 어떤 형태로든 우리의 중추 신경계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301]

내향적인 사람은 외향적인 사람보다 사회적 참여와 에너지 수준이 낮다. 이들은 조용하고, 소극적이며, 신중하고, 사회에 별로 참여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참여의 부족을 내성적이거나 우울한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들은 외향적이라기보다는 사회로부터 독립적인 것처럼 보인다. 내향적인 사람은 외향적인 사람보다 자극이 적어도 되고, 혼자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아진다. 이것이 그들이 비우호적이고 반사회적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사회적 상황에서는 소극적이다.[326]

내향적이고 소극적인 사람이 비교적 창의적이라는 주장이 있었지만,[327] 최근 여러 통계적 문헌 분석(메타 분석)에 의해 외향적인 사람이 더 창의적임이 입증되었다.[328][329][330] 또한, 외향적인 사람일수록 업무 성과가 높은 경향이 있지만, 이것은 훈련 숙련도나 사회적 상호 작용 기술의 참여 때문이다.[310]

3. 5. 신경성(Neuroticism)

신경성(Neuroticism)은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중 하나로, 분노, 우울함, 불안감과 같은 불쾌한 정서를 쉽게 느끼는 경향을 의미한다.[92] 걱정, 부정적 감정 등과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과 관련되어 있으며, 걱정, 두려움, 슬픔, 긴장 등의 특질을 포함한다. 정서적 안정성은 신경성과 반대되는 특징이다.

신경성이 높은 사람은 스트레스에 취약하고, 주변의 상황을 위협적으로 해석하며, 사소한 좌절에도 크게 좌절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부정적인 감정 반응이 오래 지속되어 우울증과 같은 임상적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95]

반면, 신경성이 낮은 사람은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지 않는다.

3. 5. 1. 하위 특성

신경증적 경향(신경증)은 분노, 불안, 우울증과 같은 강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경향을 말한다.[92] 때로는 정서적 불안정으로 불리기도 하며, 반대로 정서적 안정성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한스 아이젠크의 성격 이론에 따르면, 신경증적 경향은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낮거나 변화를 싫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93] 신경증적 경향은 기질 연구에서 수십 년 동안 연구되어 온 고전적인 기질 특성으로, 5요소 모델에 적용되기 전부터 연구되어 왔다.[94]

신경증적인 사람들은 정서적으로 반응적이며 스트레스에 취약하다. 그들은 평범한 상황을 위협적인 것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사소한 좌절감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렵게 인지할 수 있다. 그들의 부정적 감정 반응은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어, 종종 기분이 좋지 않다. 예를 들어, 신경증적 경향은 직장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 직장이 개인적인 관계를 방해한다는 확신, 그리고 직장의 압박으로 인한 높은 수준의 불안감과 관련이 있다.[95] 또한, 신경증적인 사람들은 차분하고 침착한 사람들보다 더 높은 피부 전도도 반응을 보일 수 있다.[93][96] 이러한 정서 조절의 문제는 신경증적인 사람이 명확하게 생각하지 못하고, 더 나쁜 결정을 내리고, 스트레스에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자신의 삶의 성취에 대해 실망하는 것은 더 신경증적으로 만들고 임상적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신경증적인 개인은 더 부정적인 삶의 사건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지만,[92][97] 신경증적 경향은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삶의 경험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92][97] 또한, 신경증적인 사람들은 심리적 안녕감이 더 낮은 경향이 있다.[98]

반면, 신경증적 경향이 낮은 개인들은 쉽게 화가 나지 않고 정서적으로 덜 반응적이다. 그들은 차분하고, 정서적으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부정적인 감정이 없다. 부정적인 감정이 없다는 것은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이 많은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외향성과 관련이 있다.[99]

신경증적 경향은 프로이트적 의미에서의 신경증(즉, 신경증)과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직업 적성 검사에서 신경증이라는 용어와 구분하기 위해 신경증적 경향을 정서적 불안정이라는 용어로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

다음은 신경증적 경향성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항목의 예시이다.

  • 나는 쉽게 스트레스를 받는다.
  • 나는 여러 가지 일들을 걱정한다.
  • 나는 쉽게 불안해한다.
  • 나는 쉽게 화가 난다.
  • 나는 기분이 자주 변한다.
  • 나는 기분 변화가 잦다.
  • 나는 쉽게 짜증을 낸다.
  • 나는 종종 우울하다.
  • 나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편안하다. (역순)[81]
  • 나는 거의 우울하지 않다. (역순)[81]


외향성의 측면은 다음과 같다.[313]

낮은 값을 가진 사람의 설명높은 값을 가진 사람의 설명
설명단어측면단어설명
느긋한 속도의 삶을 좋아합니다.느긋한활동성활기찬스케줄에 많은 계획이 차 있고 바쁜 상태를 좋아합니다.
특히 그룹 안에서는 듣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소극적인자기주장강한 자기주장의견을 분명히 말하고, 분위기를 주도합니다. 그룹을 이끄는 것에 만족감을 느낍니다.
항상 진지하고, 농담을 잘 하지 않습니다.엄격한명랑성쾌활한즐거운 사람이며, 그 즐거움을 다른 사람과 나눕니다.
조용하고, 온화하며, 안전한 것을 좋아합니다.평온을 추구하는자극 추구성자극을 추구하는위험을 감수하는 것에 흥분을 느끼고, 다양한 일이 일어나지 않으면 지루함을 느낍니다.
내성적이고,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소극적인친밀감외향적인금방 친구가 되고,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만족합니다.
자신에게 시간을 쓰고 싶다고 강하게 생각합니다.독립심이 강한사교성사교적인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즐깁니다.


4. 발달 요인

5가지 성격 특성의 발달에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친다. 1996년 행동 유전학적 쌍둥이 연구에서는 유전력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다섯 가지 요인에 동일한 정도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107] 2003년에 조사된 네 가지 쌍둥이 연구에서는 각 성격에 대한 유전력의 평균 백분율을 계산하여, 유전력이 다섯 가지 요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보고 척도에 따르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57%, 외향성은 54%, 성실성은 49%, 신경증은 48%, 우호성은 42%의 유전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08]

성격 연구는 쌍둥이 연구를 사용하여 빅 파이브 성격 특성에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얼마나 기여하는지 결정한다.


성격 및 사회 심리학자들은 인간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변수와 상황적 변수가 모두 필요하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한다.[72]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성격 결정 요인이라고 하며, 이러한 요인들은 사람이 아동기 발달 과정에서 어떤 특성을 발달시키는지를 결정한다.

종단적 데이터와 횡단 연구 데이터는 성인기 동안 성격 특성의 높은 안정성을 보여준다.[143] 취업 연령 개인의 경우 성격은 취업 시작 후 약 4년 이내에 안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리한 삶의 사건이 개인의 성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144] 그러나 최근 연구와 이전 연구의 메타 분석은 수명의 여러 시점에서 다섯 가지 특성 모두에 변화가 발생함을 나타낸다. 새로운 연구는 성숙 효과에 대한 증거를 보여준다. 평균적으로 우호성과 성실성 수준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외향성, 신경증 및 개방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145] 연구에 따르면 빅 파이브 성격 특성의 변화는 개인의 현재 발달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우호성과 성실성 수준은 아동기와 청소년기 초기에 음의 추세를 보인 후 청소년기 후기와 성인기에 이르러 상승 추세를 보인다.[146] 이러한 집단 효과 외에도 개인차가 존재하며, 서로 다른 사람들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고유한 변화 패턴을 보인다.[147]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빅 파이브의 구조, 표현 및 발달은 부모 및 교사 평정,[117][118][119] 사춘기 전 아동 및 청소년의 자기 및 또래 평정,[120][121][122] 부모-자녀 상호 작용 관찰[114]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간 수명 전반에 걸쳐, 적어도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성격 특성의 상대적 안정성을 뒷받침한다.[113][114][123][124]

4. 1. 기질과 성격

기질 연구자들과 성격 연구자들 사이에는 생물학적 차이가 기질 개념을 정의하는지, 아니면 성격의 일부를 정의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성격은 사회문화적 개념이기 때문에, 문화 이전의 개체(예: 동물이나 유아)에서 이러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이러한 차이가 기질에 속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12] 이러한 이유로 발달 심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아동의 개인차를 성격보다는 기질의 표현으로 해석한다.[112] 일부 연구자들은 기질과 성격 특성이 사실상 동일한 내적 특성을 나타내는 연령 특이적 표현이라고 주장한다.[113][100] 어떤 연구자들은 초기 아동기의 기질이 개인의 기본적인 유전적 특성이 변화하는 환경과 다양한 정도로 상호작용함에 따라 청소년기 및 성인기의 성격 특성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112][113][114]

성인 기질 연구자들은 기질은 생화학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반면, 성격은 이러한 특징을 가진 개인의 사회화의 산물이라고 지적한다. 기질은 사회문화적 요인과 상호 작용하지만, 이러한 요인에 의해 통제되거나 쉽게 바뀌지는 않는다.[101][102][103][104] 따라서 기질(신경화학적으로 기반한 개인차)은 추가 연구를 위한 독립적인 개념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성격(문화적으로 기반한 개인차)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제안된다.[264][105]

기질은 행동의 역동적인 특징(활력, 속도, 민감성 및 감정 관련)을 의미하는 반면, 성격은 인간 행동의 내용적 특성(가치관, 태도, 습관, 선호도, 개인적 역사, 자아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심리사회적 구성으로 간주된다.[102][103][104] 기질 연구자들은 빅 파이브 모델의 창시자들이 기존의 기질 연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결과, 그 차원과 훨씬 이전에 여러 기질 모델에서 설명된 차원이 중복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예를 들어, 신경증은 1960년대부터 Jerome Kagan의 그룹이 연구한 전통적인 기질 차원인 감정성을 반영한다. 외향성 또한 1920년대 Carl Jung에 의해 처음으로 기질 유형으로 소개되었다.[104][106]

4. 2. 유전



1996년에 수행된 행동 유전학적 쌍둥이 연구는 유전력(특정 집단 내에서 표현형 형질의 변이 중 유전적 변이에 기인하는 정도)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다섯 가지 요인에 동일한 정도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했다.[107] 2003년에 조사된 네 가지 쌍둥이 연구에서는 각 성격에 대한 유전력의 평균 백분율을 계산하여, 유전력이 다섯 가지 요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자기 보고 척도에 따르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57%, 외향성은 54%, 성실성은 49%, 신경증은 48%, 친화성은 42%의 유전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08]

4. 3. 아동기 및 청소년기 발달

빅 파이브 모델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성격 발달 연구에도 적용된다.[146] 외향성, 신경증, 성실성, 친화성은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 걸쳐 성격 차이를 설명한다.[113][114][123][124] 일부 연구에서는 개방성이 아동기 성격의 부분이 아닐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한다.[113][114]

최근 연구는 평생에 걸쳐 특성이 어떻게 발달하고 변화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아동 및 청소년기의 성격 특성 발달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146]

많은 연구자들은 성격과 기질을 구분하려고 노력해왔다.[115] 기질은 종종 유전자에 의해 주로 유발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초기 행동 및 정서적 특성을 의미한다.[115] 기질 모델에는 종종 활기/사교성, 부정적 정서, 끈기/노력적 통제, 활동 수준의 네 가지 특성 차원이 포함된다.[115] 이러한 기질의 차이 중 일부는 출생 시 또는 그 이전에 이미 나타난다.[112][113] 예를 들어, 부모와 연구자 모두 일부 신생아는 평화롭고 쉽게 달래지만 다른 신생아는 비교적 까다롭고 진정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한다.[113] 그러나 기질과 달리 많은 연구자들은 성격 발달이 아동기 전반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본다.[115]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빅 파이브의 구조, 표현 및 발달은 부모 및 교사 평정,[117][118][119] 사춘기 전 아동 및 청소년의 자기 및 또래 평정,[120][121][122] 부모-자녀 상호 작용 관찰[114]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간 수명 전반에 걸쳐, 적어도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성격 특성의 상대적 안정성을 뒷받침한다.[113][114][123][124]

일부 연구자들은 청소년기 성격 특성이 신경증,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그리고 활동성이라는 여섯 가지 특성 차원으로 가장 잘 설명된다고 제안했다.[127]

4. 4. 성인기 발달

성격 및 사회 심리학자들은 인간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변수와 상황적 변수가 모두 필요하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한다.[72]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성격 결정 요인이라고 하며, 이러한 요인들은 사람이 아동기 발달 과정에서 어떤 특성을 발달시키는지를 결정한다.

성인 기질 연구자들은 기질은 생화학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반면, 성격은 이러한 특징을 가진 개인의 사회화의 산물이라고 지적한다. 기질은 사회문화적 요인과 상호 작용하지만, 이러한 요인에 의해 통제되거나 쉽게 바뀌지는 않는다.[101][102][103][104] 따라서 기질은 추가 연구를 위한 독립적인 개념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성격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264][105]

기질 연구자들은 빅 파이브 모델의 창시자들이 기존의 기질 연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그 차원과 훨씬 이전에 여러 기질 모델에서 설명된 차원이 중복되었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신경증은 1960년대부터 Jerome Kagan의 그룹이 연구한 전통적인 기질 차원인 감정성을 반영하고, 외향성은 1920년대 Carl Jung에 의해 처음으로 기질 유형으로 소개되었다.[104][106]

종단적 데이터와 횡단 연구 데이터는 성인기 동안 성격 특성의 높은 안정성을 보여준다.[143] 취업 연령 개인의 경우 성격은 취업 시작 후 약 4년 이내에 안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리한 삶의 사건이 개인의 성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144] 그러나 최근 연구와 이전 연구의 메타 분석은 수명의 여러 시점에서 다섯 가지 특성 모두에 변화가 발생함을 나타낸다. 새로운 연구는 성숙 효과에 대한 증거를 보여준다. 평균적으로 친화성과 성실성 수준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외향성, 신경증 및 개방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145] 연구에 따르면 빅 파이브 성격 특성의 변화는 개인의 현재 발달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친화성과 성실성 수준은 아동기와 청소년기 초기에 음의 추세를 보인 후 청소년기 후기와 성인기에 이르러 상승 추세를 보인다.[146] 이러한 집단 효과 외에도 개인차가 존재하며, 서로 다른 사람들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고유한 변화 패턴을 보인다.[147]

5. 집단 차이

여러 문화권 간 연구에서 빅 파이브 성격 특성에 대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다.


  • 성별 차이: 여성은 신경성, 친화성 등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남성은 단호함 등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성 평등이 높은 국가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293],[596],[597],[598],[599],[600]
  • 출생 순서 차이: 프랭크 설로웨이는 출생 순서에 따라 성격 특성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지만, 대규모 연구에서는 그 영향이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문화적 차이: 빅 파이브 모델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연구되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요인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아시아 국가에서는 개방성 요인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국가의 평균 성격 특성 수준은 정치 체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5. 1. 성별 차이

여러 문화 간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성격 특성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여성은 신경성, 친화성, 따뜻함, 감정에 대한 개방성이 더 높고, 남성은 단호함과 아이디어에 대한 개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격 특성의 성별 차이는 번영하고 건강하며 성 평등이 더 높은 국가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5. 2. 출생 순서 차이

프랭크 설로웨이는 첫째가 더 성실하고, 사회적으로 더 우세하며, 동의성이 낮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개방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대규모 연구에서는 출생 순서에 따른 성격 차이가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3. 문화적 차이

빅 파이브 성격 모델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에서 연구되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아시아 국가에서 개방성 요인이 지지되지 않고 다른 요인이 확인된다고 제안한다. 국가의 평균 성격 특성 수준은 정치 체제와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6. 건강

5가지 성격 특성 요소와 건강 간의 관계는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신경증은 부정적인 감정을 자주 경험하게 만들어 주관적인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반면, 낙관적인 태도와 자기 통제 능력은 더 나은 주관적인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64] 성실성이 높은 사람들은 더 오래 살고, 비만 위험이 감소하는 등 긍정적인 건강 결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73]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성실성이 감소하고 신경증적 경향은 증가하며,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364][375]

6. 1. 성격과 치매

일부 질병은 성격 변화를 유발하기도 하는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성실성이 감소하고 신경증적 경향은 증가하며,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364][375] 빅 파이브 성격 특성은 치매 환자의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6. 2. 성격 장애

5요소 모델은 성격 장애 증상을 예측하고, DSM 성격 장애에 대한 이해를 뒷받침한다.

6. 3. 일반적인 정신 질환

일반적인 정신 질환은 5가지 성격 특성, 특히 신경증적 경향과 관련이 있다. 낮은 성실성은 모든 일반적인 정신 질환에 대해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364][375]

6. 3. 1. 성격-정신병리학 모델

성격-정신병리학 모델(Personality-pathology models)은 성격과 정신 질환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모델이다. 여기에는 취약성/위험 모델, 병리 형성 모델, 공통 원인 모델, 스펙트럼 모델, 흉터 모델이 있다.[364][375]

  • 취약성/위험 모델 (Vulnerability/risk model): 특정 성격 특성이 정신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높은 신경증적 경향을 가진 사람은 스트레스에 취약하여 우울증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병리 형성 모델 (Pathoplasty model): 성격이 정신 질환의 발병 이후 경과, 발현 양상, 치료 반응 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높은 외향성을 가진 우울증 환자는 외향적인 성격으로 인해 증상이 덜 심각하게 보일 수 있다.
  • 공통 원인 모델 (Common cause model): 성격 특성과 정신 질환이 공통된 원인(예: 유전적 요인, 어린 시절 경험)에 의해 발생한다.
  • 스펙트럼 모델 (Spectrum model): 성격 특성과 정신 질환은 연속적인 스펙트럼 상에 위치하며, 극단적인 성격 특성은 정신 질환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개방성이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 환각, 망상 등의 증상을 보이는 조현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 흉터 모델 (Scar model): 정신 질환의 발병 및 경과가 성격에 영구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심각한 우울증을 겪은 후 신경증적 경향이 높아질 수 있다.

6. 4. 신체 건강

신경증은 부정적인 감정을 더 자주 경험하게 하여 주관적인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 반면, 낙관적인 태도와 자기 통제 능력은 더 나은 주관적인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다.[364] 성실성이 높은 사람은 더 오래 살고, 비만 위험이 감소하는 등 긍정적인 건강 결과를 보인다.[373]

7. 생애를 통한 성격 특성의 영향

1990년대, 흐로닝언 대학교의 윔 호프스테는 네덜란드어 어휘 가설 접근 방식을 통해 국제 성격 항목 풀(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개발에 기여했다.[68][69] 키봄 리와 마이클 애쉬턴은 2004년 HEXACO 모델을 발표하며, 기존 5가지 요소에 '정직-겸손' 요소를 추가했다.[70] 2007년 콜린 드영, 레나 C. 퀼티, 조던 피터슨은 빅 파이브의 10가지 측면이 고유한 생물학적 기질을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4]

2009년까지 성격 및 사회 심리학자들은 인간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변수와 상황적 변수 모두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72]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Cambridge Analytica)는 FFM 관련 검사를 사용했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심리적 프로파일링"[73]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74][75]

5가지 성격 특성 요소는 교육, 고용, 연애 관계, 정치, 종교 등 생애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1. 교육

빅 파이브 모델은 성격과 학업 행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6] 여러 독립적인 연구팀이 사람들의 행동을 묘사하는 단어들을 분석하여 정의하였다.[7] 이 연구자들은 성격 특성과 관련된 많은 단어들 간의 관계를 연구한 후, 단어 목록을 5~10배 정도 줄이고 요인 분석을 사용하여 남은 특성들을 그룹화하였다. 이 과정은 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와 동료 평가를 통해 사람들의 추정치에 기반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8][9][10][11][12]

1958년 텍사스주 랙랜드 공군기지의 연구 심리학자였던 어니스트 튜페스(Ernest Tupes)와 레이먼드 크리스탈(Raymond Christal)에 의해 초기 모델이 제시되었지만, 1980년대까지 학계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1990년 J.M. 디그먼(J.M. Digman)은 자신의 5요인 성격 모델을 제시했고, 루이스 골드버그(Lewis Goldberg)는 이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직화하였다.[13]

수십 년 동안 적어도 네 개의 연구팀이 독립적으로 언어에 반영된 성격 특성을 연구하여 대체로 동일한 다섯 가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튜페스와 크리스탈이 최초였으며, 오레곤 연구소(Oregon Research Institute)의 골드버그,[15][16][17][18][19] 일리노이 대학교의 캐틀(Cattell),[10][20][21][22] 코스타와 맥크레이가 그 뒤를 이었다.[23][24][25][26]

빅 파이브 성격 특성의 각 영역에는 여러 측면 척도가 존재하며, 그 아래 두 가지의 상관된 측면을 포함한다.[34]

  • 신경성(Neuroticism): 변동성(Volatility)과 회피(Withdrawal)
  • 외향성(Extraversion): 열정(Enthusiasm)과 단정성(Assertiveness)
  •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지능(Intellect)과 개방성(Openness)
  • 성실성(Conscientiousness): 성실성(Industriousness)과 질서정연함(Orderliness)
  • 친화성(Agreeableness): 동정심(Compassion)과 예의 바름(Politeness)[34]

7. 1. 1. 학업 성취도

성격은 학업 성취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0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5요소 성격 척도(Five Factor Inventory Processes)를 작성하고 자신의 평균평점(GPA)을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성실성과 친화성은 모든 유형의 학습 스타일(종합-분석, 체계적인 학습, 사실 암기, 정교화 처리)과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고, 신경증은 부정적인 관계를 보였다.[204] 외향성과 개방성은 정교화 처리와 비례했다.[204] 5대 성격 특성은 GPA 분산의 14%를 설명하여, 성격 특성이 학업 성취도에 어느 정도 기여함을 시사한다.[204] 반추적 학습 스타일(종합-분석 및 정교화 처리)은 개방성과 GPA 사이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었다.[204] 이러한 결과는 학문적 관심과 사려 깊은 정보 처리를 결합하는 학생들의 경우 지적 호기심이 학업 성취도를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204]

최근 이스라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영재 프로그램에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개방성 점수가 체계적으로 높고 신경증 점수가 낮았다.[205] 영재 학생들은 5대 성격 요인 척도는 아니지만, 영재 프로그램에 없는 학생들보다 상태 불안(state anxiety)을 덜 경험했다고 보고했다.[205] 특정 5대 성격 특성은 학업 성공 외에도 학습 스타일을 예측한다.

  • 평균평점(GPA)과 시험 성적은 모두 성실성에 의해 예측된다.
  • 신경증은 학업 성공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다.
  • 개방성은 종합-분석 및 정교화 처리 학습 스타일의 활용을 예측한다.
  • 신경증은 일반적으로 학습 스타일과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
  • 개방성과 외향성은 모두 네 가지 학습 스타일을 모두 예측한다.[1]

7. 1. 2. 학습 스타일

학습 스타일은 "지속적인 사고 방식과 정보 처리 방식"으로 설명된다.[1] 2008년 미국심리과학협회(APS)는 학습 유형 평가가 교육 시스템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결론 내렸다.[208] 따라서 빅 파이브와 학습 스타일, 또는 학습 스타일과 학습 자체를 연결하는 증거가 있다고 보기에는 이르다.

하지만 APS는 기존의 모든 학습 유형이 소진된 것은 아니며, 교육 실천에 포함될 가치가 있는 학습 유형이 존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208] 성격과 사고 유형이 서로 얽혀 있을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209]

Schmeck, Ribich, Ramanaiah (1997)는 네 가지 학습 유형을 제시했다:[210]

이름기능
종합 분석(Synthesis analysis)정보 처리, 범주 형성 및 계층 구조 구성. 학업 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학습 유형.
체계적인 학습(Methodical study)학업 과제 완료 중 체계적인 행동
사실 암기(Fact retention)논리 이해보다 실제 결과에 집중
심화 처리(Elaborative processing)새로운 아이디어를 기존 지식과 연결 및 적용



이 네 가지 학습 유형이 모두 교실에서 작용하면 학업 성취도가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1] 심층 처리 학습자는 피상적 처리 학습자보다 성실성, 지적 개방성, 외향성이 높은 경향이 있다. 심층 처리는 체계적인 학습과 정보 분석 능력(종합 분석)과 관련이 깊고, 피상적 처리 학습자는 구조화된 사실 암기 학습 유형을 선호하며 심화 처리에 적합하다.

개방성은 종합 분석, 체계적인 학습과 같이 학업 성취도와 높은 성적을 이끄는 학습 유형과 관련이 있다. 성실성과 개방성이 네 가지 학습 유형 모두를 예측하므로, 규율, 결단력, 호기심을 가진 사람이 모든 학습 유형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Komarraju, Karau, Schmeck & Avdic (2011)의 연구에 따르면, 성실성과 친화성은 네 가지 학습 유형 모두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신경증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향성과 개방성은 심화 처리와만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개방성 자체는 더 높은 학업 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1]

Mikael Jensen의 연구는 신경증을 제외한 모든 성격 특성이 학습 목표 및 동기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개방성과 성실성은 높은 수준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외향성과 친화성도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212] 성실성신경증은 보상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 앞에서 잘 수행하도록 영향을 미치고, 친화성은 이러한 학습 전략을 피하게 한다.[212] 친화성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 앞에서 잘 수행하기 위해서만 학습할 가능성이 높다.[212]

개방성 외에도 모든 빅 파이브 성격 특성은 학생들의 교육적 정체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빅 파이브 특성이 학업 동기에 큰 영향을 미쳐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다.[213]

일부 학자들은 빅 파이브 성격 특성과 학습 유형을 결합하면 개인의 학업 성취도와 학업 동기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214] 성실성은 학습 지연을 덜 경험하게 하므로 시험 성적의 안정적인 예측 변수이다.[213] 성실성이 높은 학생들은 집중적인 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더 규율 있고 성취 지향적이기 때문에 네 가지 학습 유형 모두와 양의 연관성을 보인다.

7. 1. 3. 원격 교육

원격 교육 환경에서 5가지 성격 특성 요소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방성 성격 특성이 학업 성취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215][216][217] 새로운 아이디어와 경험에 대해 열린 태도를 가진 학생일수록 원격 교육 환경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자기절제를 잘하고, 외향적이며,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하는 (적응성) 성격 특성 또한 원격 교육에서 학업 성취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반면, 신경증 성격 특성은 학업 성취도와 부정적인 관계를 보였는데, 불안감과 스트레스에 취약한 학생일수록 원격 교육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215][216][217]

종합하면, 원격 교육 환경에서는 조직적이고 계획적이며, 결단력이 있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독립적인 사고에 열린 성향을 가진 학생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불안감을 자주 느끼고 스트레스에 민감한 학생은 학업 성취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215][216][217]

7. 2. 고용

5가지 성격 특성 요소와 직무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이지만, 몇 가지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성실성과 친화성이 모든 유형의 학습 스타일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반면, 신경증은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또한, 외향성과 개방성은 정교화 처리와 비례했다.[204] 이러한 결과는 성격 특성이 학업 성취도에 어느 정도 기여함을 시사한다.

직장 내 성공과 빅5 성격 특성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반적으로 리더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신경증적 특성이 낮고, 개방성이 높으며, 성실성과 외향성이 균형을 이루는 경향을 보인다.[226][227][228] 그러나 이러한 예측 연구들은 성격과 직무 수행 간의 상관 계수가 낮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22]

7. 2. 1. 직업과 성격의 적합성

개인과 직업 간의 일치는 직무 만족도와 사회적 이익에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와 과학자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고, 심리학자와 사회학자는 친화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다.

7. 2. 2. 직장 내 성공

빅 파이브 성격 특성은 미래의 직무 성과를 예측하는 지표로 여겨진다. 직무 성과 척도에는 직무 및 훈련 숙련도와 인사 데이터가 포함된다.[221] 일반적으로 리더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신경증적 특성이 낮고, 개방성이 높고, 성실성과 외향성이 균형을 이루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26][227][228]

그러나 이러한 예측을 보여주는 연구는 성격과 직무 수행 간의 관계를 특징짓는 상관 계수가 명백히 낮다는 점을 이유로 비판받았다. 2007년 한 논문에서는 "성격 검사의 문제점은… 직무 수행 예측 변수로서의 성격 측정의 타당성이 종종 실망스럽게 낮다는 것이다. 성격 검사를 사용하여 성과를 예측한다는 주장은 처음부터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언급되었다.[222]

7. 3. 연애 관계

성격의 빅 파이브 모델은 연애 관계의 만족도, 데이트, 약혼, 결혼한 커플의 관계 질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었다.[237]

7. 4. 정치적 정체성

빅 파이브 성격 모델은 정치 심리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여러 연구를 통해 빅 파이브 성격 특성과 정치적 정체성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성실성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우익 정치 성향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38][239][240] 반면, 경험에 대한 개방성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좌익 이념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238][241][242]

친화성, 외향성, 신경증은 보수 또는 진보 이념과 일관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아 연구 결과가 엇갈린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들은 개인이 속한 정당에 대한 정체성의 강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241][242]

빅 파이브 성격 특성과 정치적 신념 사이의 상관관계는 일반적으로 크지 않은 편이며, 한 연구에서는 0.14에서 0.24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고했다.[243]

7. 5. 예측력의 범위

빅 파이브 성격 특성의 예측 효과는 주로 사회적 기능과 규칙 기반 행동과 관련되어 있다.

7. 6. 종교성

효과 크기는 작지만, 빅파이브 성격 특성 중 높은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은 일반적인 종교성과 관련이 있으며, 개방성종교 근본주의와는 반대되는 상관관계를, 영성과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245] 높은 신경증은 외재적 종교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반면, 내재적 종교성과 영성은 정서적 안정성을 반영한다.[245]

8. 측정

다섯 가지 성격 특성 요소를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국제 성격 항목 풀(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IPIP)[246]
  • NEO-PI-R
  • 10가지 항목 성격 목록(TIPI)과 5가지 항목 성격 목록(FIPI)은 다섯 가지 성격 특성의 매우 간략한 등급 양식이다.[247]
  • 자기 기술 문장 설문지[171]
  • 어휘 설문지[248]
  • 자기 보고 설문지[249]
  • 상대적 점수를 매기는 다섯 가지 요소 측정법[250]


다섯 가지 요소를 측정하는 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법은 자기 기술 문장[171]이나 어휘 측정의 경우 단일 형용사[248]를 항목으로 포함한다. 문장 기반 및 일부 어휘 측정의 길이 때문에, 설문지 공간과 응답자 시간이 제한적인 응용 연구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40개 항목의 ''국제 영어 다섯 가지 요소 소형 마커(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162] 또는 매우 간결한(10개 항목) 다섯 가지 요소 영역 측정법[251]과 같은 간략한 형태가 개발되고 검증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일부 성격 검사 방법론은 길이가 부족하여 성격을 진정으로 평가하기에 충분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더 길고 자세한 질문이 성격을 더 정확하게 묘사한다.[252] 그러나 질문을 신중하게 선택하고 통계적 대입을 사용하면, 더 짧은 설문지로도 다섯 가지 요소 성격 점수를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253] 5요소 구조는 동료 보고에서도 복제되었지만,[254] 많은 연구 결과는 자기 보고에 의존한다.

다섯 가지 요소 측정에 대한 많은 증거는 자기 보고 설문지에 의존하는데, 이는 자기 보고 편향과 응답의 허위 진술을 처리하고 설명하기 어렵게 만든다.[249] 다섯 가지 요소 검사가 제시된 응답이 모든 경우에 사실이 아니고 위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성격 프로필을 만들지 못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55] 예를 들어, 잠재적인 직원은 자신을 가장 좋은 면으로 보이도록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256]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가 똑같이 바람직한 성격 기술자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상대적 점수 측정법은 특히 거짓말이나 편향된 응답이 있을 때 성격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있어 기존 측정법의 잠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250] 상대적 점수 측정법은 정상 및 "좋게 위장" 편향 응답 조건 모두에서 GPA와 창의적 성취를 예측하는 능력에 대해 기존의 다섯 가지 요소 측정법과 비교했을 때, 두 조건 모두에서 이러한 결과를 일관되게 유의미하게 예측했지만, 리커트 설문지는 위장 조건에서 예측 능력을 잃었다. 따라서 상대적 점수 측정법은 리커트 측정법보다 편향된 응답의 영향을 덜 받는다.

Andrew H. Schwartz는 표준 성격 검사를 실시한 75,000명의 자원봉사자의 페이스북 메시지에서 수집된 7억 개의 단어, 구절 및 주제 인스턴스를 분석하여 성격, 성별, 연령에 따른 언어의 놀라운 변화를 발견했다.[257]

빅파이브(Big Five)는 단어 간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하지만, 신경심리학자들도 사용한다.[285] 요인 분석(통계적 방법)을 성격 검사 데이터에 적용하면, 성격의 특정 측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여러 단어가 종종 동일인에게 적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성실한"이라는 형용사가 적용되는 사람은 "어수선한"이 아닌 "준비된"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이 이론은 공통 언어의 기술자를 사용하므로, 인간의 성격과 정신을 묘사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가지 광범위한 차원을 시사한다.[286][287] 다섯 가지 차원은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적 경향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차원 아래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더 구체적인 측면 요인(facet)이 많다. 예를 들어 외향성에는 활동성, 자기주장, 명랑성, 자극 추구, 친화력, 사교성 등의 특성이 포함된다.[288] 이는 어휘 가설과 일치한다.

각 성격 측면에서 단일 요인에 명확한 소인을 보이지 않는 사람들은 적응력이 있고, 성격 특성이 중간 정도이며, 합리적이라고 생각되지만, 무절제하고, 불가해하며, 계산적이라고도 생각될 수 있다.[289] 각 특성의 정도에 따라 특정 활동에 참여하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다.

가정 생활과 양육 방식은 이러한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쌍둥이 연구 등에 따르면 개인 간 차이의 약 절반은 유전적 요인, 나머지 절반은 환경적 요인이다. 연구자들은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신경증적 경향이 유년기부터 성인기까지 비교적 안정적인 것을 발견했다.

빅파이브는 성격 심리학에서 가장 유력한 기술 모델이며, 기본적인 틀로 자리 잡고 있지만, 모든 연구자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283]

8. 1. 측정 방법

1990년대, 흐로닝언 대학교의 윔 호프스테는 네덜란드어 어휘 가설 접근 방식을 통해 국제 성격 항목 풀(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을 개발했다.[68][69] 이후 독일과 미국에서의 추가 개발을 통해 세 가지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풀이 만들어졌으며, 그 질문과 결과는 다양한 빅 파이브 성격 유형 모델에 사용되었다.[68][69]

2004년, 키봄 리와 마이클 애쉬턴은 HEXACO 모델을 발표했다.[70] 이 모델은 5가지 요소에 "정직-겸손(Honesty-Humility)" 요소를 추가하여, 각 요소는 네 가지 측면을 가진다.

2007년, 콜린 드영, 레나 C. 퀼티, 조던 피터슨은 빅 파이브의 10가지 측면이 고유한 생물학적 기질을 가질 수 있다고 제안했다.[34] 이는 국제 성격 항목 풀을 사용한 데이터 샘플 분석과 개정된 NEO 성격 목록 측면들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도출되었다.[71]

2009년, 성격 및 사회 심리학자들은 인간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변수와 상황적 변수 모두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72]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Cambridge Analytica)는 FFM 관련 검사를 사용했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심리적 프로파일링"[73]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74][75]

빅파이브의 조합은 분포상 다양하지만, 전 세계 150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4가지 주요 클러스터가 발견되었다.[291]

유형특징
평균형
보수형
저신경증형
자기중심형


9. 비판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모델(빅 파이브 모델)은 여러 연구에서 비판을 받아왔다.[258][259][260][261][262][272][1][263][264]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잭 블록(Jack Block)은 이 모델의 대표적인 비판 학자이며, 블록의 비판에 대해 코스타(Costa)와 맥크레이(McCrae)는 빅 파이브 모델을 옹호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265]

빅 파이브 모델은 예측 이론으로서 범위에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5][263] 측정치가 정상적인 성격 특성 영역의 56%만을 설명할 뿐이며,[65] 정적인 5대 요인[269]은 이론에 기반하지 않고, 단순히 자주 함께 묶이는 특정 기술어에 대한 통계적 조사이며, 최적이 아닌 요인 분석 절차를 기반으로 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264]

어휘 가설(개인 차이를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에 기반)을 바탕으로 한 빅 파이브 모델은 특히 외향성, 신경증과 관련하여 방법론적 결함을 가진다는 지적이 있다. 사람들의 언어적 평가에는 친사회적 편향이 존재하며, 정서에는 부정성 편향(대부분의 감정이 부정적 정서를 가짐)이 있어 긍정적 감정보다 부정적 감정을 묘사하는 단어가 더 많다. 어휘 가설 실험 결과, 언어의 사회성 편향과 정서의 부정성 편향에 따라 결과 차원이 왜곡되어 모든 평가가 이 두 차원을 중심으로 그룹화된다는 것이 밝혀졌다.[262] 즉, 빅 파이브 모델의 가장 큰 두 차원은 어휘 접근 방식 때문에 발생한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여러 언어에 걸친 연구에서 5가지가 아닌 6가지 큰 그룹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제시되기도 한다.[70] 키봄 리와 마이클 애쉬턴은 2004년에 HEXACO 모델을 발표하며, 5가지 요소에 "정직-겸손"을 추가하였다.[70]

9. 1. 제한된 범위

빅 파이브 모델은 인간의 모든 성격을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종교성(종교성), 조종성/마키아벨리즘(조종성/마키아벨리즘), 정직성(정직성)과 같은 성격 특성들을 간과한다는 지적이 있다.[272][273] 댄 맥아담스(Dan P. McAdams)는 빅 파이브를 "낯선 사람의 심리학"이라고 칭하며, 이는 낯선 사람에게서 쉽게 관찰 가능한 특성만을 다루고, 개인적이고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성격 측면은 제외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274] 블록은 모델에 포함되지 않은 성격의 측면을 명시하기 위한 덜 알려졌지만 성공적인 노력을 여러 가지 지적했다.[5]

9. 2. 방법론적 문제

요인 분석은 관찰된 변수의 차원 구조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이지만, 서로 다른 요인 개수를 가진 해법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기준이 부족하다.[278] 5요인 해법은 분석가의 해석에 어느 정도 의존하며, 이 5요인 아래에는 더 많은 수의 요인이 존재할 수 있어 "진정한" 요인의 수에 대한 논쟁이 발생했다. 빅파이브 지지자들은 다른 해법이 단일 데이터 집합에서 실행 가능할 수 있지만, 5요인 구조만이 서로 다른 연구에서 일관되게 재현된다고 반박한다.[279]

연구 설문 조사는 종종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 조사이기 때문에 (WEIRD 편향 참조), 다른 모집단이나 다른 언어로 실행될 때 결과가 항상 재현되는 것은 아니다.[280] 서로 다른 설문 조사가 동일한 5요인을 측정하는지 여부도 명확하지 않다.[5]

9. 3. 이론적 지위

빅 파이브는 기초가 되는 이론에 기반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65][263][264][1] 5대 요인 모형은 설명적 또는 예측적 이론으로서 범위에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또한 5대 요인의 측정치는 정상적인 성격 특성 영역의 56%만을 설명할 뿐이며(비정상적인 성격 특성 영역은 고려하지도 않음),[65] 정적인 5대 요인[269]은 이론에 기반하지 않고, 단순히 자주 함께 묶이는 특정 기술에 대한 통계적으로 주도된 조사이며, 최적이 아닌 요인 분석 절차를 기반으로 한다.[1][264]

5대 요인 모형이 어휘 가설(즉, 개인 차이의 언어적 기술에 기반)을 바탕으로 했다는 사실은, 특히 외향성과 신경증과 같은 주요 요인과 관련하여 이 모형의 심각한 방법론적 결함을 보여준다. 첫째, 사람들의 언어적 평가에는 자연스러운 친사회적 편향이 존재한다. 둘째, 정서에는 부정성 편향(즉,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 정서를 가짐)이 있으며, 긍정적인 감정보다 부정적인 감정을 묘사하는 단어가 더 많다. 어휘 가설 접근 방식을 사용한 실험은 실제로 어휘 자료의 사용이 언어의 사회성 편향과 정서의 부정성 편향에 따라 결과적인 차원을 왜곡하여 이 두 차원을 중심으로 모든 평가를 그룹화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62] 즉, 5대 요인 모형의 두 가지 가장 큰 차원은 이 모형이 사용한 어휘 접근 방식의 인공물일 수 있다.

9. 4. 6가지 요인에 대한 근거

여러 언어를 아우르는 연구에서 5가지가 아닌 6가지 큰 그룹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제시되고 있다.[70] 키봄 리와 마이클 애쉬턴은 2004년에 HEXACO 모델을 설명하는 책을 출판했는데, 이 모델은 5가지 요소("정서성",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 여섯 번째 요소인 "정직-겸손"을 추가한다.[70] 이 각 요소는 네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ersonal Values https://journals.sag[...]
[2] 논문 A hierarchical analysis of 1,710 English personality-descriptive adjectives https://archive.org/[...] 2004-11-01
[3] 논문 The HEXACO Honesty-Humility, Agreeableness, and Emotionality factors: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 2014-05-01
[4] 논문 Concise survey measures for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2021-06-01
[5] 논문 The five-factor framing of personality and beyond: Some ruminations
[6]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https://archive.org/[...] 2009-03-01
[7] 논문 Personality structure: Emergence of the five-factor model https://archive.org/[...]
[8] 서적 Personality research, methods, and theory Psychology Press
[9] 논문 Trait names: A psycholexical study https://archive.org/[...]
[10] 논문 Dimensional personality traits and the prediction of DSM-IV personality disorder symptom counts in a nonclinical sample https://archive.org/[...] 2005-02-01
[11] 논문 Recurrent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trait ratings. 1961-01-01
[12] 논문 Toward an adequate taxonomy of personality attributes: replicated factors structure in peer nomination personality ratings 1963-06-01
[13] 논문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https://archive.org/[...] 1993-01-01
[14] 논문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five-factor model in relation to popular personality inventories https://archive.org/[...] 2002-06-01
[15] 서적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Erlbaum
[16] 논문 Raters, ratees, and randomness in personality structure https://archive.org/[...]
[17] 논문 Some determinants of factor structures from personality-trait descriptors https://archive.org/[...] 1989-09-01
[18] 서적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Theoretical perspectives. Guilford
[19] 논문 Five robust trait dimensions: development, stability, and utility 1989-06-01
[20] 보고서 A guide to the clinical use of the 16PF Institute for Personality & Ability Testing 1976-01-01
[21] 논문 A large scale cross-validation of second-order personality structure defined by the 16PF
[22]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testing, Volume 2: Personality measurement and assessment. Sage
[23] 논문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structure: a cluster analytic approach https://archive.org/[...] 1976-09-01
[24] 서적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5] 논문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https://archive.org/[...] 1987-01-01
[26]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five-factor model and its applications 1992-06-01
[27] 웹사이트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IPIP) http://sjdm.org/dmid[...]
[28]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2006-02-01
[29] 서적 The 16PF Fifth Edition technical manual. Institute for Personality & Ability Testing
[30] 논문 The original big five: A historical perspective
[31] 논문 The comparative validity of 11 modern personality inventories: predictions of behavioral acts, informant reports, and clinical indicators https://archive.org/[...] 2007-10-01
[32] 논문 Number of factors in the personality sphere: does increase in factors increase predictability of real-life criteria?
[33] 논문 Big Five factors and facets and the prediction of behavior
[34] 논문 Between Facets and Domains: 10 Aspects of the Big Five
[35] 논문 Trait names: A psycholexical study https://archive.org/[...]
[36] 논문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basic traits resolved into clusters. http://doi.apa.org/g[...] 1943-10-01
[37] 논문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Principles and Findings in a Factor Analysis 1945-01-01
[38] 논문 Confirmation and clarification of primary personality factors 1947-09-01
[39] 논문 The primary personality factors in women compared with those in men 1948-07-01
[40] 서적 dimensions of personality http://archive.org/d[...] routledge & kegan paul limited 1950-01-01
[41] 논문 Consistency of the factorial structures of personality ratings from different sources. http://doi.apa.org/g[...] 1949-07-01
[42] 서적 Personality and mood by questionnaire San Francisco: Jossey-Bass. 1973-01-01
[43] 서적 Personality and motivation structure and measurement New York: World Book 1957-01-01
[44] 서적 The 16PF: Personality In Depth Champaign, IL: Institute for Personality and Ability Testing, Inc. 1989-01-01
[45] 논문 In Memoriam: Maurice M. Tatsuoka (1922-1996) https://www.jstor.or[...] 1996-01-01
[46] 웹사이트 https://www.legis.ga[...]
[47] 논문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Measurements in Terms of Rotated Factors Institute of Educational Sciences 1953-03-01
[48]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behavior trait ratings by peers and later officer performance of USAF Officer Candidate School graduates https://doi.apa.org/[...] 2023-02-10
[49] 서적 AFPTRC-TN. https://books.google[...] Air Force Personnel & Training Research Center, Lackland Air Force Base 1957-01-01
[50] 논문 A Memorium to Raymond E. Christal https://psycnet.apa.[...] 2023-02-10
[51] 서적 Stability of Personality Trait Rating Factors Obtained Under Diverse Conditions https://books.google[...] Personnel Laboratory, Wright Air Development Center, Air Research and Development Command, United States Air Force 1958-01-01
[52] 논문 Author's Note on "Recurrent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Trait Ratings" https://onlinelibrar[...] 1992-06-01
[53] 논문 Recurrent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Trait Ratings https://books.google[...] 1961-05-01
[54] 논문 Warren T. Norman (1930–1998): An Appreciation https://www.scienced[...] 1998-12-01
[55] 웹사이트 Finding Scales to Measure Particular Personality Constructs https://ipip.ori.org[...] 2023-02-11
[56] 웹사이트 Richard Miller https://people.wku.e[...]
[57]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psycnet.apa.[...] 2023-02-12
[58] 서적 The Clinical Psychology of Aging Springer US 1978-01-01
[59] 논문 Openness to experience and ego level in Loevinger's Sentence Completion Test: Dispositional contributions to developmental models of personality. http://doi.apa.org/g[...] 1980-12-01
[60] 논문 A critical analysis of Cattell's model of personality http://bura.brunel.a[...] Brunel University School of Sport and Education PhD Theses 1978-01-01
[61] 보고서 Some ruminations about the structure of individual differences: Developing a common lexicon for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human personality 1980-05-01
[62] 논문 Factors In The Natural Language Of Personality: Re-Analysis, Comparison, And Interpretation Of Six Major Studies 1981-04-01
[63] 웹사이트 Society, August 2012 https://www.bps.org.[...] 2023-02-11
[64] 논문 The Opq and the Big Five 1991-01-01
[65]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1995-01-01
[66] 논문 The person-situation debate in historical and current perspective https://archive.org/[...] 1985-11-01
[67] 논문 Profiting from controversy. Lessons from the person-situation debate https://archive.org/[...] 1988-01-01
[6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PIP https://ipip.ori.org[...] 2023-02-11
[69]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https://ipip.ori.org[...]
[70] 웹사이트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 Revised https://hexaco.org/h[...] 2023-02-11
[71] 논문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https://www.research[...] 2002
[72] 논문 If the person-situation debate is really over, why does it still generate so much negative affect?
[73] 웹사이트 From Mad Men to Math Men https://freud.online[...] 2017-03-03
[74] 웹사이트 About Us https://cambridgeana[...] Cambridge Analytica
[75] 뉴스 Cruz campaign paid $750,000 to 'psychographic profiling' company https://www.washingt[...] 2015-10-19
[76] 논문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https://archive.org/[...] 1993-01-01
[77] 서적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78] 서적 http://elib.fk.uw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서적 Psy-Q: You know your IQ – now test your psychological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Profile
[80] 논문 Testing Predictions From Personality Neuroscience: Brain Structure and the Big Five 2010
[81] 웹사이트 The 50-item IPIP representation of the Goldberg (1992) markers for the Big-Five structure https://ipip.ori.org[...]
[82] 논문 How to become a better leader http://sloanreview.m[...]
[83] 서적 Neo PI-R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84] 서적 The Introvert Advantage https://archive.org/[...] Thomas Allen & Son Limited
[85] 서적 Personality: Classic Theories and Modern Research Pearson Education Inc 2016
[86]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2003-10-24
[87] 논문 Mother phubbing and adolescent academic burnout: The mediating role of mental health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20-03-01
[88] 웹사이트 "Daisy, daisy, give me your answer do!" switching off a robot https://ieeexplore.i[...] Dept. of Ind. Design, Eindhoven Univ. of Technol. 2007-03-01
[89] 논문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ttps://archive.org/[...] 2000-10-01
[90] 논문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lations to the five-factor model and team performance in typical and maximum contexts https://archive.org/[...] 2004-08-01
[91] 논문 Which Personality Attributes Are Most Important in the Workplace?
[92] 논문 Mutual reinforcement between neuroticism and life experiences: a five-wave, 16-year study to test reciprocal causation https://archive.org/[...] 2014-10-01
[93] 논문 Neuroticism is associated with larger and more prolonged electrodermal responses to emotionally evocative pictures http://apsychoserver[...] 2007-09-01
[94] 서적 The Long Shadow of Tempera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95] 서적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Wiley
[96] 논문 Neuroticism modifies psycho physiological responses to fearful films
[97] 논문 Negative and positive life events are associated with small but lasting change in neuroticism https://archive.org/[...] 2013-11-01
[98]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ing stroke: a systematic review
[99] 서적 Stress, Self-Esteem, Health and Work 2006
[100] 논문 Nature over nurture: temperament, personality, and life span development https://archive.org/[...] 2000-01-01
[101] 논문 Motor and communicative aspects of human temperament: a new questionnaire of the structure of temperament. https://archive.org/[...]
[102] 서적 Temperamen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Plenum
[103] 서적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Its Measurement Psychological Services Press
[104] 서적 Temperaments: Individual Differences, Soci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Nova Science Publishers
[105] 논문 What's next for the neurobiology of temperament,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https://bura.brunel.[...]
[106] 논문 An investigation into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https://archive.org/[...]
[107] 논문 Heritability of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their facets: a twin study https://archive.org/[...] 1996-09
[108]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human psychological differences 2003-01
[109] 논문 A cross-setting study of chimpanzee (Pan troglodytes) personality structure and development: zoological parks and Yerkes National Primate Research Center 2007-11
[110] 논문 Personality Dimensions in Nonhuman Animals: A Cross-Species Review http://www.subjectpo[...] 2016-12-05
[111] 논문 Personality structure in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truncatus) https://hull-reposit[...]
[112] 논문 Temperament and personality: Origins and outcomes https://archive.org/[...]
[113] 논문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2003-01
[114] 논문 Children's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https://archive.org/[...] 2004-04
[115] 논문 The Little Six Personality Dimensions From Early Childhood to Early Adulthood: Mean-Level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Parents' Reports 2016-08
[116] 논문 Issues in the study of personality development
[117] 논문 Analyses of Digman's child- personality data: Derivation of Big Five Factor Scores from each of six samples https://archive.org/[...]
[118] 서적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Proceedings of the Eighth European Conference on Personality Tilburg University Press 1999
[119] 논문 Measuring personality traits in the classroom https://research.vu.[...]
[120] 논문 A preliminary validation of preadolescents' self-reports using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121] 논문 Adolescent personality factors in self-ratings and peer nominations and their prediction of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https://archive.org/[...] 1997-12
[122] 서적 The developing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personality from infancy to adulthood https://archive.org/[...] Erlbaum 1994
[123] 서적 The developing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personality from infancy to adulthood. https://archive.org/[...] Erlbaum 1994
[124] 서적 Parental descriptions of child personality: Developmental antecedents of the Big Five? Psychology Press 1998
[125] 서적 Parental descriptions of child personality: Developmental antecedents of the Big Five. https://archive.org/[...] Erlbaum 1998-05
[126]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1999
[127] 논문 Personality Trait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tructure, Development, and Outcomes http://www.colby.edu[...] 2015
[128] 논문 Patterns of mean-level change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the life course: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2006-01
[129] 논문 The rank-order consistency of personality traits from childhood to old age: a quantitative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http://jenni.uchicag[...] 2000-01
[130] 논문 Developmental models of infant and childhood temperament https://archive.org/[...] 1999-01
[131] 서적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 Erlbaum 1984
[132] 논문 Investigations of temperament at three to seven years: th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2001
[133] 논문 The "little five": exploring the nomological network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in adolescent boys https://archive.org/[...] 1994-02
[134] 서적 The developing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personality from infancy to adulthood Erlbaum 1994
[135] 논문 The ontogenesis of social dominance: A strategy-based evolutionary perspective
[136] 논문 On winning some and losing some: A social relations approach to social dominance in toddlers https://archive.org/[...]
[137] 서적 Intergroup conflict and cooperation: The robbers' cave experiment. https://www.free-ebo[...]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38] 논문 Dominance and deception in children and adults: Are leaders the best misleaders? https://archive.org/[...]
[139] 논문 Development of inhibition during childhood: Evidence for situational specificity and a two-factor model https://archive.org/[...]
[140] 논문 Personality effects on children's speech in everyday life: Sociability-mediated exposure and shyness-mediated re-activity to social situations https://archive.org/[...]
[141] 논문 Subtypes of social withdrawal in early childhood: sociometric status and social-cognitive differences across four years https://archive.org/[...] 1997-04-01
[142] 논문 The EAS temperament questionnaire – factor structure, age trends,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a Norwegian sample 1999-03-01
[143] 서적 Personality in adulthood. The Guildford Press 1990-01-01
[144] 논문 The stability of big-five personality traits http://melbourneinst[...]
[145] 논문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early and middle adulthood: set like plaster or persistent change? https://archive.org/[...] 2003-05-01
[146] 논문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from 10 to 65: Big Five domains and facets in a large cross-sectional sample https://archive.org/[...] 2011-02-01
[147] 논문 Personality Trait Change in Adulthood 2008-02-01
[148] 논문 Towards a structure- and process-integrated view of personality: Traits as density distributions of states https://archive.org/[...]
[149] 논문 Correlates of personality trait levels and their changes in very old age: The Lothian Birth Cohort 1921 https://www.pure.ed.[...] 2012-06-01
[150] 논문 Personality and gender in swimmers in indoor practice at leisure level.
[151] 논문 Relationship of gender differences in preferences to economic development and gender equality 2018-10-19
[152]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cultures: robust and surprising findings https://archive.org/[...] 2001-08-01
[153] 논문 Why can't a man be more like a woman? Sex differences i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cross 55 cultures https://archive.org/[...] 2008-01-01
[154] 서적 No two alike: Human nature and human individuality WW Norton & Company 2006-01-01
[155] 논문 Associations between birth order and personality traits: Evidence from self-reports and observer ratings https://zenodo.org/r[...]
[156] 논문 The associations of birth order with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U.S. high school students 2015-10-01
[157] 논문 Five-factor model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universal-diverse orientation in counselor trainees https://archive.org/[...] 2002-09-01
[158] 서적 Sprache und Persoenlichkeitsstruktur: Zur Validitaet des Funf-Factoren-Modells der Persoenlichkeit S. Roderer Verlag 1990-01-01
[159] 논문 Comparison of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across samples of Chinese and American adults https://archive.org/[...] 1997-10-01
[160] 서적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cultures Kluwer Academic Publisher 2002-01-01
[161] 서적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cultures Kluwer Academic Publisher 2002-01-01
[162]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https://archive.org/[...]
[163] 논문 Toward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personality in culture http://arno.uvt.nl/s[...] 2013-01-16
[164] 논문 Culture and Personality Among European American and Asian American Men 2008-09-01
[165] 논문 The Interplay Of Cultural Syndromes And Personality In Predicting Life Satisfaction: Comparing Asian Americans and European Americans http://journals.sage[...] 2003-01-01
[166] 논문 Personality profiles of cultures: aggregate personality traits http://idiprints.knj[...] 2005-09-01
[167] 논문 Hofstede's Culture Dimensions: An Independent Validation Using Rokeach's Value Survey http://journals.sage[...] 1984-01-01
[168] 논문 Personality-and-culture: The case of national extraversion and word-of-mouth https://www.scienced[...] 2006-06-01
[169] 논문 National Personality Traits and Regime Type: A Cross-National Study of 47 Countries 2017-01-01
[170] 논문 Taxonomy and structure of Hungarian personality traits https://archive.org/[...]
[171] 논문 The Five-factor Personality Inventory as a measure of the Five-factor Model: Belgian, American, and Hungarian comparisons with the NEO-PI-R https://archive.org/[...] 2004-09-01
[172] 논문 Personality changes in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2011-10-01
[173] 논문 The associations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with life, and well-being over time in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findings from the IDEAL programme 2023-06-01
[174]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01-01
[175] 서적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Building bridges. Guilford 2006-01-01
[176] 논문 Assessment and diagnosis of personality disorder: perennial issues and an emerging reconceptualization https://zenodo.org/r[...]
[177] 논문 Temperament and arousal systems: A new synthesis of differential psychology and functional neurochemistry https://www.reposito[...] 2016-05-01
[178] 논문 Benefits of Distinguishing between Physical and Social-Verbal Aspects of Behavior: An Example of Generalized Anxiety
[179] 논문 Coupling of Temperament with Mental Illness in Four Age Groups 2016-04-01
[180] 서적 Handbook of Temperament Guilford Publications 2012-01-01
[181] 논문 Predicting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personality disorders with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the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2008-04-01
[182] 논문 The five-factor model and personality disorder empirical literature: A meta-analytic review. Elsevier Science
[183] 논문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evaluation of drug consumption risk 2015-01-01
[184] 논문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2005-06-01
[185]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and comorbidity of DSM-IV antisocial personality syndromes and alcohol and specific drug use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05-06-01
[186] 논문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ism and Related Conditions 2005-10-01
[187] 서적 Personality Traits and Drug Consumption. A Story Told by Data Springer, Cham 2019-01-01
[188] 논문 Personality and comorbidity of common psychiatric disorders 2005-03-01
[189] 논문 Economic costs of neuroticism: a population-based study 2010-10-01
[190] 논문 Linking "big" personality traits to anxiety, depressive,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 meta-analysis https://www.research[...] 2010-09-01
[191] 논문 Conscientiousnes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 meta-analysis of the leading behavioral contributors to mortality https://archive.org/[...] 2004-11-01
[192] 논문 The Power of Personality: The Comparative Validity of Personality Traits, Socioeconomic Status, and Cognitive Ability for Predicting Important Life Outcomes http://jenni.uchicag[...] 2007-12-01
[193] 논문 Neuroticism's prospective association with mental disorders halves after adjustment for baseline symptoms and psychiatric history, but the adjusted association hardly decays with time: a meta-analysis on 59 longitudinal/prospective studies with 443 313 participants https://zenodo.org/r[...] 2016-10-01
[194]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Disorders https://archive.org/[...] The Guildford Press
[195] 논문 Neuroticism and common mental disorders: meaning and utility of a complex relationship 2013-07-01
[196] 서적 Guilford Press
[197] 서적 Guilford Press
[198] 논문 General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in referred and nonreferr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 investigation of continuity, pathoplasty, and complication models https://biblio.ugent[...] 2012-11-01
[199] 논문 Five-factor personality dimensions and 3 health-related personality constructs as predictors of health 2009-08-01
[200]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reporting of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ur in old age https://bpspsychub.o[...] 1999-01-01
[201]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reporting of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ur in old age https://bpspsychub.o[...] 2010-12-16
[202] 논문 Personality and all-cause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dwelling in a Japanese community: a five-year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2008-05-01
[203] 논문 Association of personality with the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obesity: a meta-analysis based on individual-participant data 2013-04-01
[204]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https://archive.org/[...] 2011-09-01
[205] 논문 Do academ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differ on the Big-Five and adaptive status? Some recent data and conclusions https://archive.org/[...] 2011-10-11
[206] 논문 The role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in predicting hopelessness 2010-01-01
[207] 논문 Does trait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students of professional courses?.
[208] 논문 Learning Styles: Concepts and Evidence 2008-12-01
[209] 논문 Measuring thinking styles in addition to measuring personality traits? 2001-09-06
[210] 논문 Development of a Self-Report inventory for asses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Processes http://purl.umn.edu/[...] 1977-01-01
[211]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https://www.scienced[...] 2011-09-01
[212] 논문 Personality Traits,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s
[213] 논문 Personality traits and educational identity formation in late adolescents: longitudinal associations and academic progress https://pure.uvt.nl/[...] 2012-03-01
[214] 논문 Unraveling the impac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n academic performanc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https://lirias.kuleu[...] 2012-03-22
[215] 논문 The Big Five and tertiary academic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pure.au.dk/w[...]
[216] 논문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and academic success at university
[217] 논문 Investing in On-line Learning: Potential Benefits and Limitations
[218] 서적 The Psychology of Vocational Choice: A Theory of Personality Types and Model Environments Blaisdell 1966
[219] 웹사이트 Scientists are curious and passionate and ready to argue https://www.naturein[...] 2020-02-12
[220] 논문 Big Five personality group differences across academic majors: A systematic review http://dx.doi.org/10[...]
[221] 논문 Five reasons why the "big five" article has been frequently cited https://archive.org/[...]
[222] 논문 Reconsidering the use of personality tests in personnel selection contexts https://archive.org/[...]
[223] 서적 Personality and assessment https://archive.org/[...] Wiley 1968
[224] 논문 How are we doing in soft psychology? https://archive.org/[...]
[225] 논문 Individual differences in output variability as a function of job complexity https://archive.org/[...]
[226] 논문 Personality and leader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https://archive.org/[...] 2002-08-01
[227] 논문 Who Earns More and Why? A Multiple Mediation Model from Personality to Salary https://boris.unibe.[...] 2010-06-16
[228] 논문 Non-Cognitive Skills: How Much Do They Matter for Earnings in Canada? https://articlegatew[...] 2019-12-04
[229] 논문 Personality as a predictor of burnout among manager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230] 논문 Personality, nations, and innovation: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national innovation scores https://archive.org/[...]
[231] 논문 The relation between supervisor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employees' experiences of abusive supervision 2016-02-01
[232] 논문 Abusive supervision in work organizations: Review, synthesis, and research agenda. 2007-06-01
[233] 논문 Bright and Dark Sides…
[234] 논문 Which Personality Attributes are Important in the Workplace? 2014-09-01
[235] 논문 Do nice guys--and gals--really finish last? The joint effects of sex and agreeableness on income https://archive.org/[...] 2012-02-01
[236] 논문 Predicting the Form and Direction of Work Role Performance From the Big 5 Model of Personality Traits 2011-01-26
[237] 논문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relationship quality: Self-reported, observational, and physiological evidence http://www.news.illi[...] 2008-10-01
[238] 논문 Personality and Political Attitudes: Relationships across Issue Domains and Political Contexts
[239] 논문 Partisan Personality: The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Democrats and Republicans, and Independents Somewhere in Between
[240] 논문 Personality Traits and Political Ideology: A First Global Assessment
[241] 논문 Personality Traits and Party Identification over Time https://dare.uva.nl/[...]
[242] 논문 Personality and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Partisan Identification
[243] 논문 Is Politics Downstream from Personality? The Five Factor Model's Effect on Political Orientation in Sweden http://lup.lub.lu.se[...]
[244] 문서
[245] 논문 Religion and the five-factors of personality: A meta-analytic review.
[246] 웹사이트 IPIP Home http://ipip.ori.org/ 2017-07-01
[247] 논문 A very brief measure of the Big-Five personality domains
[248] 논문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https://archive.org/[...]
[249] 논문 Understanding self-report bias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250] 논문 Predicting creativity and academic success with a 'Fake-Proof' measure of the Big Five 2008-10-01
[251] 논문 A very brief measure of the Big-Five personality domains
[252] 논문 An evaluation of the consequences of using short measure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http://digitalcommon[...] 2012-04-01
[253] 논문 Reining in Long Consumer Questionnaires with Self-Supervised Deep Reinforcement Learning https://marketing.wh[...]
[254] 논문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https://archive.org/[...] 1990-12-01
[255] 논문 Variance in faking across noncognitive measures. 2000-01-01
[256] 뉴스 Big Five Personality Tests, traits and background http://www.personali[...] 2017-07-01
[257] 논문 Personality, gender, and age in the language of social media: the open-vocabulary approach
[258] 논문 A contrarian view of the five-factor approach to personality description 1995-03-01
[259] 논문 Dimensions of personality: 16, 5, 3? https://archive.org/[...]
[260] 논문 Four ways five factors are not basic https://archive.org/[...]
[261] 논문 The fallacy of five factors in the personality sphere. 1995-05-01
[262] 논문 Observer bias: an interaction of temperament traits with biases in the semantic perception of lexical material https://creativecomm[...]
[263] 서적 The Sage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assessment, Vol. 1 – Personality theories and models Sage 2008-01-01
[264] 논문 Taxonomies of psychological individual differences: biological perspectives on millennia-long challenges 2018-04-01
[265] 논문 Solid ground in the wetlands of personality: A reply to Block https://archive.org/[...]
[266] 논문 Going beyond the five factors given: Rejoinder to Costa and McCrae and Goldberg and Saucier
[267] 논문 Millennial contrarianism
[268] 논문 The Five-Factor framing of personality and beyond: Some ruminations
[269] 논문 The enriched behavioral prediction equation and its impact on structured learning and the dynamic calculus http://epublications[...] 2018-10-25
[270] 서적 Psychology https://archive.org/[...] Worth
[271] 논문 Traits across cultures: A neo-Allportian perspective
[272] 논문 What Is Beyond the Big Five? Plenty! http://www.subjectpo[...] 2012-01-15
[273] 논문 Broad versus Narrow Personality Measures and the Prediction of Behaviour Across Cultures
[274] 논문 What do we know when we know a person? https://archive.org/[...]
[275] 서적 What makes a good structural model of personality? Evaluating the big five and alternatives. https://psycnet.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1-01-03
[276] 논문 A general factor of personality: Evidence for the Big One in the five-factor model
[277] 논문 The General Factor of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Big Five intercorrelations and a criterion-related validity study http://www.beanmanag[...] 2012-06-17
[278] 논문 Four ways five factors are not basic http://web.sls.hw.ac[...] 2012-06-17
[279] 논문 Reply to Eysenck https://archive.org/[...]
[280] 논문 APA PsycNet
[281] 논문 主要5因子性格検査の世代別標準化 https://doi.org/10.2[...] 日本パーソナリティ心理学会
[282] 웹사이트 成人愛着スタイルとBigFive性格特性との関係性 http://www.shizuoka-[...] 2024-08
[283] 서적 主要5因子性格検査ハンドブック : 性格測定の基礎から主要5因子の世界へ 筑摩書房
[284] 웹사이트 「学力は教育によって無限に開発できる」というのはフェイクニュース一般知能は77%という高い遺伝率を誇る「遺伝的な宝くじ」である https://diamond.jp/a[...] 2019-01-31
[285] 웹사이트 Optional Interview with Dr. Robert Bilder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 What is Learning? https://www.coursera[...]
[286] 논문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1993-01
[287] 서적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288] 서적 Personality Trai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9] 논문 How to become a better leader http://sloanreview.m[...]
[290] 서적 Spent : sex, evolution, and consumer behavior http://worldcat.org/[...] Penguin Books 2014
[291] 논문 A robust data-driven approach identifies four personality types across four large data sets https://doi.org/10.1[...] 2018-09-17
[292] 웹사이트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High- and Low-Value Combinations of Dimensions https://web.archive.[...] 2018-11-26
[293] 논문 Metatraits of the Big Five Differentially Predict Engagement and Restraint of Behavior https://onlinelibrar[...] 2009
[294] 논문 Personality: what makes you the way you are https://doi.org/10.5[...] 2008-03-01
[295] 서적 Personality and the Foundations of Political Behavior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6] 서적 Spent : sex, evolution, and consumer behavior http://worldcat.org/[...] Penguin Books 2014
[297] 논문 Psychology of Criminal Conduct https://doi.org/10.4[...] SAGE Publications, Inc.
[298] 논문 The Online Social Self https://doi.org/10.1[...] 2013-12-08
[299] 웹사이트 Optional Interview with Dr. Robert Bilder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 What is Learning? https://www.coursera[...]
[300] 서적 Psy-Q: You know your IQ - now test your psychological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Profile 2014-07-31
[301] 서적 Personality: Classic Theories and Modern Research Pearson Education Inc 2016
[302] 논문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ERSONALITY TRAITS ON INDIVIDUALS' TURNOVER DECISIONS: A META‐ANALYTIC PATH MODEL https://onlinelibrar[...] 2008-06
[303] 논문 Problem Solving As a Sufficient Condition of the Creative Process: A Case for Closer Cooperation of Creativity Research and Problem Solving Research https://www.frontier[...] 2016
[304] 논문 Personal factors of creativity: A second order meta-analysis http://journals.copm[...] 2015-12
[305] 논문 Arts and crafts as adjuncts to STEM education to foster creativity in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http://link.springer[...] 2015-06
[306] 논문 Voice, creativity, an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 meta-analysis https://www.tandfonl[...] 2019-01
[307] 논문 A Meta-Analysis of Personality i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http://journals.sage[...] 1998-11
[308] 웹사이트 Optional Interview with Dr. Robert Bilder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 What is Learning? https://www.coursera[...]
[309] 웹사이트 Health and happiness go hand in hand https://www.health.h[...] 2021-11-01
[310]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https://onlinelibrar[...] 1991-03
[311] 웹사이트 Intellectual Humility: Science https://www.coursera[...]
[312] 웹사이트 IPIP Home http://ipip.ori.org/
[313] 웹사이트 Big Five Personality Facets: Descriptions of High and Low Values https://web.archive.[...] 2018-11-26
[314] 웹사이트 IBM Cloud Docs https://cloud.ibm.co[...]
[315] 서적 Neo PI-R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316] 웹사이트 Research Reports on Science from Michigan State University Provide New Insights http://ic.galegroup.[...] Gale Student Resource in Context 2012-04-04
[317] 논문 Which Personality Attributes Are Most Important in the Workplace? 2014-09-17
[318] 웹사이트 The Science of Success: What Researchers Know that You Should Know https://www.coursera[...] 2023-03-12
[319] 웹사이트 What is Conscientiousness, and Why Are Conscientiousness People More Likely to Succeed in School, at Work, and in Life? https://www.futurele[...] 2023-03-14
[320] 논문 Voice, creativity, an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 meta-analysis https://www.tandfonl[...] 2019-01
[321] 논문 Creativity at Workplace: Proposing Some Contributors 2015-05-31
[322] 논문 Climate for Creativity: A Quantitative Review http://www.tandfonli[...] 2007-05
[323] 서적 The Introvert Advantage Thomas Allen & Son Limited
[324] 웹사이트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Selected Personality Traits on the Innovative Behaviour of Entrepreneurs in Nigeria http://50.22.92.12/i[...] Canadian Research & Development Center of Sciences and Cultures 2012-11-14
[325] 논문 Examining the Relations Among Narcissism, Impulsivity, and Self‐Defeating Behaviors https://onlinelibrar[...] 2009-06
[326]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http://www.sajip.co.[...] 2013-06-27
[327] 웹사이트 1: Race Cars, Hikers, and Intellectual Humility - Week 3: Intellectual Humility, Critical Thinking, and Bias https://www.coursera[...] 2022-06-05
[328] 논문 Personal factors of creativity: A second order meta-analysis http://journals.copm[...] 2015-12
[329] 논문 Voice, creativity, an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 meta-analysis https://www.tandfonl[...] 2019-01
[330] 논문 Creativity at Workplace: Proposing Some Contributors 2015-05-31
[331] 논문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000-10
[332] 논문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lations to the five-factor model and team performance in typical and maximum contexts 2004-08
[333] 논문 Motivational Basis of Personality Traits: A Meta‐Analysis of Value‐Personality Correlations https://onlinelibrar[...] 2015-10
[334] 논문 Does rater personality matter? A meta‐analysis of rater Big Five–performance rating relationships https://bpspsychub.o[...] 2015-06
[335] 논문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performance: A quantitative synthesis of 50+ meta‐analyses https://onlinelibrar[...] 2022-08
[336] 논문 Predicting Expatriate Job Performance for Selection Purposes: A Quantitative Review http://journals.sage[...] 2005-09
[337] 논문 The Stressful Personality: A Meta-Analytical Review of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Stress http://journals.sage[...] 2023-05
[338] 논문 Personality and Coping https://www.annualre[...] 2010
[339] 논문 Personality and change in physical activity across 3–10 years https://www.tandfonl[...] 2022-06-29
[340] 논문 Personality traits and health care use: A coordinated analysis of 15 international samples. https://doi.apa.org/[...] 2023-09
[341] 논문 The role of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in the perceptions of negative and positive forms of work–nonwork spillover: A meta-analytic review https://www.scienced[...] 2011-08-01
[342] 논문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Performance in Jobs Involving Interpersonal Interactions http://www.tandfonli[...] 1998-06
[343] 논문 Big Five personality and academic dishonesty: A meta-analytic review https://doi.org/10.1[...] 2015-01
[344] 논문 Perfectionism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 Meta-Analytic Review http://journals.sage[...] 2019-11
[345] 논문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 Meta–Analysis http://journals.sage[...] 2019-03
[346] 웹사이트 OSF https://osf.io/prepr[...] 2024-03-17
[347] 논문 Associations of Personality Traits with Internet Addiction: A Cross-Cultural Meta-Analysis with a Multilingual Approach https://www.liebertp[...] 2021-12-01
[348] 논문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music in secondary schools: The role of personality and self-theories of musicality http://journals.sage[...] 2022-11
[349] 논문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in the European Community. https://doi.org/10.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7
[350] 논문 Protégés’ Personality Traits, Expectations, the Quality of the Mentoring Relationship and Adjustment: A Big Five Analysis https://doi.org/10.1[...] 2016-02-01
[351] 논문 The Psychology of Nice People: Nice People https://onlinelibrar[...] 2010-11-01
[352] 논문 Brief report: How short is too short? An ultra-brief measure of the big-five personality domains implicates “agreeableness” as a risk for all-cause mortality http://journals.sage[...] 2019-09-01
[353] 논문 The Belief in a Just World and Personality: A Meta-analysis https://doi.org/10.1[...] 2013-06-01
[354] 웹사이트 Optional Interview with Dr. Robert Bilder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 What is Learning? https://www.coursera[...] 2021-11-25
[355] 논문 Voice, creativity, an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 meta-analysis https://www.tandfonl[...] 2019-01-01
[356] 논문 Personal factors of creativity: A second order meta-analysis http://journals.copm[...] 2015-12-01
[357] 논문 Examining the Relations Among Narcissism, Impulsivity, and Self‐Defeating Behaviors https://onlinelibrar[...] 2009-06-01
[358] 논문 Personality traits, empathy and bullying behavior: A meta-analytic approach https://doi.org/10.1[...] 2015-03-01
[359] 논문 IT TAKES TWO TO CARE: LESSONS LEARNED WHILE ENGAGING WITH EARLY-STAGE DEMENTIA DYADS https://doi.org/10.1[...] 2017-07-01
[360] 논문 Predicting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A meta-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and situational factors https://www.hrp-jour[...] 2010-04-26
[361] 논문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ERSONALITY TRAITS ON INDIVIDUALS' TURNOVER DECISIONS: A META‐ANALYTIC PATH MODEL https://onlinelibrar[...] 2008-06-01
[362] 웹사이트 "Daisy, daisy, give me your answer do!" switching off a robot http://ieeexplore.ie[...] Dept. of Ind. Design, Eindhoven Univ. of Technol. 2013-02-06
[363] 논문 How to become a better leader http://sloanreview.m[...] 2012-01-01
[364] 논문 Mutual reinforcement between neuroticism and life experiences: a five-wave, 16-year study to test reciprocal causation 2014-10-01
[365]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ing stroke: a systematic review 2017-12-01
[366] 논문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http://doi.apa.org/g[...] 2005-11-01
[367] 논문 Will Happiness-Trainings Make Us Happier? A Research Synthesis Using an Online Findings-Archive https://www.frontier[...] 2020-11-17
[368] 서적 The Rewards of Happines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1-01
[369] 논문 Does Happiness Promote Career Success? http://journals.sage[...] 2008-02-01
[370] 논문 Does Happiness Promote Career Success? Revisiting the Evidence http://journals.sage[...] 2018-05-01
[371] 논문 Neuroticism is associated with larger and more prolonged electrodermal responses to emotionally evocative pictures http://apsychoserver[...] 2007-09-01
[372] 서적 The Long Shadow of Tempera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1-01
[373] 서적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Wiley 2009-01-01
[374] 논문 Neuroticism modifies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 fearful films http://www.plosone.o[...] 2012-01-01
[375] 논문 Negative and positive life events are associated with small but lasting change in neuroticism 2013-11-01
[376] 서적 Differentiating Normal and Abnormal Personality: Second Edition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6-01-01
[377]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2009-03-01
[378] 논문 Personality structure: Emergence of the five-factor model 1990-01-01
[379] 서적 Personality research, methods, and theory Psychology Press 1995-01-01
[380] 논문 Trait names: A psycholexical study 1936-01-01
[381] 논문 Dimensional personality traits and the prediction of DSM-IV personality disorder symptom counts in a nonclinical sample 2005-02-01
[382] 논문 Recurrent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trait ratings. 1961-01-01
[383] 논문 Toward an adequate taxonomy of personality attributes: replicated factors structure in peer nomination personality ratings 1963-06-01
[384] 논문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1993-01-01
[385] 논문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five-factor model in relation to popular personality inventories http://asm.sagepub.c[...] 2002-06-01
[386] 서적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Erlbaum
[387] 논문 Raters, ratees, and randomness in personality structure
[388] 논문 Some determinants of factor structures from personality-trait descriptors 1989-09
[389] 서적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Theoretical perspectives. Guilford 2014-11
[390] 논문 Five robust trait dimensions: development, stability, and utility 1989-06
[391] 보고서 A guide to the clinical use of the 16PF Institute for Personality & Ability Testing 1976
[392] 논문 A large scale cross-validation of second-order personality structure defined by the 16PF
[393]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testing Sage 2014-11
[394] 논문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structure: a cluster analytic approach 1976-09
[395] 서적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5
[396] 논문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1987-01
[397]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five-factor model and its applications 1992-06
[398] 웹사이트 Decision Making Individual Differences Inventory -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http://sjdm.org/dmid[...] 2019-11-25
[399]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2006-02
[400] 서적 The 16PF Fifth Edition technical manual. Institute for Personality & Ability Testing 1994
[401] 논문 The original big five: A historical perspective
[402] 논문 The comparative validity of 11 modern personality inventories: predictions of behavioral acts, informant reports, and clinical indicators 2007-10
[403] 논문 Number of factors in the personality sphere: does increase in factors increase predictability of real-life criteria?
[404] 논문 Big Five factors and facets and the prediction of behavior
[405] 웹사이트 About Us https://cambridgeana[...] Cambridge Analytica 2015-12-27
[406] 뉴스 Cruz campaign paid $750,000 to 'psychographic profiling' company https://www.washingt[...] 2016-02-07
[407] 논문 Between facets and domains: 10 aspects of the Big Five 2007-11
[408] 서적 The General Factor of Personality Academic Press
[409] 서적 Personality research, methods, and theory Psychology Press 1995
[410] 논문 Trait names: A psycholexical study
[411] 논문 Dimensional personality traits and the prediction of DSM-IV personality disorder symptom counts in a nonclinical sample 2005-02
[412] 논문 Recurrent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trait ratings. 1961
[413] 논문 Toward an adequate taxonomy of personality attributes: replicated factors structure in peer nomination personality ratings 1963-06
[414] 논문 Effects on academic learning of manipulating emotional states and motivational dynamics 1983-11
[415] 논문 The person-situation debate in historical and current perspective 1985-11
[416] 논문 Profiting from controversy. Lessons from the person-situation debate 1988-01
[417] 논문 If the person-situation debate is really over, why does it still generate so much negative affect?
[418] 논문 Mischel and the concept of personality
[419] 서적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Sage 1981
[420] 보고서 Some ruminations about the structure of individual differences: Developing a common lexicon for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human personality. 1980-05
[421] 서적 Occupat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s manual Saville & Holdsworth Ltd. 1984
[422]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1995
[423] 학술지 Ten aspects of the Big Five in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2016-04
[424] 학술지 Temperament and personality: Origins and outcomes
[425] 학술지 Nature over nurture: temperament, personality, and life span development 2000-01
[426] 학술지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2003-01
[427] 학술지 Children's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2004-04
[428] 서적 Temperaments: Individual Differences, Soci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Nova Science Publishers
[429] 서적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Its Measurement Psychological Services Press 2017-12
[430] 서적 Temperamen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Plenum
[431] 학술지 Motor and communicative aspects of human temperament: a new questionnaire of the structure of temperament.
[432] 학술지 Taxonomies of psychological individual differences: biological perspectives on millennia-long challenges 2018-04
[433] 학술지 An investigation into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434] 학술지 Heritability of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their facets: a twin study 1996-09
[435] 서적 遺伝と環境の心理学―人間行動遺伝学入門 培風館 2014
[436] 학술지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human psychological differences 2003-01
[437] 학술지 A cross-setting study of chimpanzee (Pan troglodytes) personality structure and development: zoological parks and Yerkes National Primate Research Center 2007-11
[438] 학술지 Personality Dimensions in Nonhuman Animals: A Cross-Species Review http://www.subjectpo[...]
[439] 학술지 Temperament and personality: Origins and outcomes
[440] 학술지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2003-01
[441] 학술지 Children's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2004-04
[442] 학술지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from 10 to 65: Big Five domains and facets in a large cross-sectional sample 2011-02
[443] 학술지 The Little Six Personality Dimensions From Early Childhood to Early Adulthood: Mean-Level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Parents' Reports 2016-08
[444] 학술지 Issues in the study of personality development
[445] 학술지 Analyses of Digman's child- personality data: Derivation of Big Five Factor Scores from each of six samples
[446] 서적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Proceedings of the Eighth European Conference on Personality Tilburg University Press 1999
[447] 학술지 Measuring personality traits in the classroom
[448] 학술지 A preliminary validation of preadolescents' self-reports using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449] 학술지 Adolescent personality factors in self-ratings and peer nominations and their prediction of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1997-12
[450] 서적 The developing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personality from infancy to adulthood Erlbaum 1994
[451] 학술지 Children's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2004-04
[452] 학술지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2003-01
[453] 서적 The developing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personality from infancy to adulthood. Erlbaum 1994
[454] 서적 Parental descriptions of child personality: Developmental antecedents of the Big Five? Psychology Press 1998
[455] 서적 Parental descriptions of child personality: Developmental antecedents of the Big Five. Erlbaum 1998-05
[456]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1999
[457] 학술지 Personality Trait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tructure, Development, and Outcomes http://www.colby.edu[...] 2015
[458] 학술지 The Little Six Personality Dimensions From Early Childhood to Early Adulthood: Mean-Level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Parents' Reports 2016-08-00
[459] 학술지 Patterns of mean-level change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the life course: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2006-01-00
[460] 학술지 Nature over nurture: temperament, personality, and life span development 2000-01-00
[461] 학술지 The rank-order consistency of personality traits from childhood to old age: a quantitative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http://jenni.uchicag[...] 2000-01-00
[462] 학술지 Temperament and personality: Origins and outcomes
[463] 학술지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2003-01-00
[464] 학술지 Children's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2004-04-00
[465] 학술지 Developmental models of infant and childhood temperament 1999-01-00
[466] 서적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 Erlbaum 1984
[467] 서적 The Long Shadow of Tempera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468] 학술지 Analyses of Digman's child- personality data: Derivation of Big Five Factor Scores from each of six samples
[469] 학술지 Investigations of temperament at three to seven years: th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2001-00-00
[470] 학술지 The "little five": exploring the nomological network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in adolescent boys 1994-02-00
[471] 서적 The developing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personality from infancy to adulthood Erlbaum 1994
[472] 학술지 The ontogenesis of social dominance: A strategy-based evolutionary perspective
[473] 학술지 On winning some and losing some: A social relations approach to social dominance in toddlers
[474] 서적 Intergroup conflict and cooperation: The robbers' cave experiment. https://www.free-ebo[...]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475] 학술지 Dominance and deception in children and adults: Are leaders the best misleaders?
[476] 학술지 Development of inhibition during childhood: Evidence for situational specificity and a two-factor model
[477] 학술지 Personality effects on children's speech in everyday life: Sociability-mediated exposure and shyness-mediated re- activity to social situations
[478] 학술지 Subtypes of social withdrawal in early childhood: sociometric status and social-cognitive differences across four years 1997-04-00
[479] 학술지 The EAS temperament questionnaire--factor structure, age trends,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a Norwegian sample 1999-03-00
[480] 서적 Personality in adulthood. The Guildford Press 1990
[481] 서적 The Long Shadow of Tempera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482] 학술지 The stability of big-five personality traits
[483] 학술지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early and middle adulthood: set like plaster or persistent change? 2003-05-00
[484] 학술지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from 10 to 65: Big Five domains and facets in a large cross-sectional sample 2011-02-00
[485] 학술지 Personality Trait Change in Adulthood 2008-02-00
[486] 학술지 Towards a structure- and process-integrated view of personality: Traits as density distributions of states
[487] 학술지 Correlates of personality trait levels and their changes in very old age: The Lothian Birth Cohort 1921 2012-06-00
[488] 학술지 The stability of big-five personality traits 2012-04-00
[489] 학술지 Personality changes in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2011-10-00
[490] 학술지 Personality and gender in swimmers in indoor practice at leisure level.
[491]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cultures: robust and surprising findings 2001-08
[492] 논문 Why can't a man be more like a woman? Sex differences i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cross 55 cultures 2008-01
[493] 논문 Associations between birth order and personality traits: Evidence from self-reports and observer ratings
[494] 서적 No two alike: Human nature and human individuality WW Norton & Company
[495] 논문 The associations of birth order with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U.S. high school students 2015-10
[496] 논문 Five-factor model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universal-diverse orientation in counselor trainees 2002-09
[497] 서적 Sprache und Persoenlichkeitsstruktur: Zur Validitaet des Funf-Factoren-Modells der Persoenlichkeit S. Roderer Verlag 2014-11
[498] 논문 Comparison of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across samples of Chinese and American adults 1997-10
[499] 서적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cultures Kluwer Academic Publisher 2002
[500] 서적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cultures Kluwer Academic Publisher 2002
[501]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502] 논문 Toward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personality in culture. https://doi.org/10.1[...] 2011
[503] 논문 Personality profiles of cultures: aggregate personality traits 2005-09
[504] 논문 National Personality Traits and Regime Type: A Cross-National Study of 47 Countries 2017
[505]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body mass index in Japan https://www.jstage.j[...] 2020
[506] 논문 Taxonomy and structure of Hungarian personality traits
[507] 논문 The Five-factor Personality Inventory as a measure of the Five-factor Model: Belgian, American, and Hungarian comparisons with the NEO-PI-R 2004-09
[508] 서적 Personality: Classic Theories and Modern Research Pearson Education Inc 2016
[509] 논문 Five-Factor model personality disorder researc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10] 서적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Building bridges. Guilford 2006
[511] 논문 Assessment and diagnosis of personality disorder: perennial issues and an emerging reconceptualization
[512] 서적 Temperaments: Individual Differences, Soci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Nova Science Publishers
[513] 논문 Temperament and arousal systems: A new synthesis of differential psychology and functional neurochemistry 2016-05
[514] 논문 Benefits of Distinguishing between Physical and Social-Verbal Aspects of Behavior: An Example of Generalized Anxiety
[515] 논문 Coupling of Temperament with Mental Illness in Four Age Groups 2016-04
[516] 서적 Handbook of Temperament Guilford Publications 2012
[517] 논문 Predicting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personality disorders with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the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2008-04
[518] 논문 The five-factor model and personality disorder empirical literature: A meta-analytic review Elsevier Science
[519] 논문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evaluation of drug consumption risk 2015
[520] 논문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2005-06
[521]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and comorbidity of DSM-IV antisocial personality syndromes and alcohol and specific drug use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05-06
[522] 논문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ism and Related Conditions 2005-10
[523] 논문 Personality and comorbidity of common psychiatric disorders http://bjp.rcpsych.o[...] 2005-03
[524] 논문 Economic costs of neuroticism: a population-based study http://archpsyc.jama[...] 2010-10
[525] 논문 Linking "big" personality traits to anxiety, depressive,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 meta-analysis https://www.research[...] 2010-09
[526] 논문 Conscientiousnes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 meta-analysis of the leading behavioral contributors to mortality 2004-11-00
[527] 논문 The Power of Personality: The Comparative Validity of Personality Traits, Socioeconomic Status, and Cognitive Ability for Predicting Important Life Outcomes http://jenni.uchicag[...] 2007-12-00
[528] 논문 Neuroticism's prospective association with mental disorders halves after adjustment for baseline symptoms and psychiatric history, but the adjusted association hardly decays with time: a meta-analysis on 59 longitudinal/prospective studies with 443 313 participants 2016-10-00
[529] 논문 Neuroticism's prospective association with mental disorders halves after adjustment for baseline symptoms and psychiatric history, but the adjusted association hardly decays with time: a meta-analysis on 59 longitudinal/prospective studies with 443 313 participants 2016-10-00
[530]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Disorders The Guildford Press
[531] 논문 Linking "big" personality traits to anxiety, depressive,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 meta-analysis https://www.research[...] 2010-09-00
[532] 논문 Neuroticism and common mental disorders: meaning and utility of a complex relationship 2013-07-00
[533] 서적 Contemporary Directions in Psychopathology: Scientific Foundations of the DSM-IV and ICD-11 Guilford Press
[534] 서적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Guilford Press
[535] 논문 General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in referred and nonreferr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 investigation of continuity, pathoplasty, and complication models 2012-11-00
[536] 논문 Five-factor personality dimensions and 3 health-related personality constructs as predictors of health 2009-08-00
[537] 논문 The Power of Personality: The Comparative Validity of Personality Traits, Socioeconomic Status, and Cognitive Ability for Predicting Important Life Outcomes http://jenni.uchicag[...] 2007-12-00
[538] 논문 Personality and all-cause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dwelling in a Japanese community: a five-year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2008-05-00
[539] 논문 Association of personality with the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obesity: a meta-analysis based on individual-participant data 2013-04-00
[540]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2011-09-00
[541] 논문 Do academ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differ on the Big-Five and adaptive status? Some recent data and conclusions http://www.sciencedi[...] 2011-10-01
[542] 논문 Does trait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students of professional courses?.
[543] 논문 Personality traits and educational identity formation in late adolescents: longitudinal associations and academic progress 2012-03-00
[544]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2011-09-00
[545] 논문 Learning Styles: Concepts and Evidence 2008-12-00
[546] 논문 Measuring thinking styles in addition to measuring personality traits? 2001-09-06
[547] 논문 Development of a Self-Report inventory for asses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Processes 1997-00-00
[548]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2011-09-00
[549] 논문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2011-09-00
[550] 논문 Personality Traits,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s
[551] 논문 Personality traits and educational identity formation in late adolescents: longitudinal associations and academic progress 2012-03-00
[552] 논문 Unraveling the impac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n academic performanc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012-03-22
[553] 웹사이트 TechnoFunc - Five-Factor Personality Model of Leadership http://www.technofun[...] 2019-11-19
[554] 웹사이트 The Five Factor Theory of Personality {{!}} Mind Forums https://web.archive.[...] 2018-02-02
[555] 논문 40 years of storming: a historical review of Tuckman's model of small group development 2010-02-00
[556] 논문 Five reasons why the "big five" article has been frequently cited
[557] 논문 Reconsidering the use of personality tests in personnel selection contexts
[558] 서적 Personality and assessment Wiley 1968
[559] 논문 How are we doing in soft psychology?
[560] 논문 Individual differences in output variability as a function of job complexity
[561] 논문 Personality, nations, and innovation: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national innovation scores
[562] 논문 Personality and leader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2002-08-00
[563] 논문 Personality as a predictor of burnout among manager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564] 논문 Do nice guys--and gals--really finish last? The joint effects of sex and agreeableness on income 2012-02-00
[565] 논문 Who Earns More and Why? A Multiple Mediation Model from Personality to Salary 2010-06-16
[566] 논문 The relation between supervisor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employees’ experiences of abusive supervision. 2016-02-00
[567] 논문 Abusive supervision in work organizations: Review, synthesis, and research agenda. 2007-06-00
[568] 논문 Predicting the Form and Direction of Work Role Performance From the Big 5 Model of Personality Traits 2011-01-26
[569] 논문 Predicting the Form and Direction of Work Role Performance From the Big 5 Model of Personality Traits 2011-01-26
[570] 논문 Predicting the Form and Direction of Work Role Performance From the Big 5 Model of Personality Traits 2011-01-26
[571] 논문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relationship quality: Self-reported, observational, and physiological evidence https://doi.org/10.1[...] 2008-10-00
[572] 논문 Neuroticism's prospective association with mental disorders halves after adjustment for baseline symptoms and psychiatric history, but the adjusted association hardly decays with time: a meta-analysis on 59 longitudinal/prospective studies with 443 313 participants 2016-10-00
[573] 논문 Taxonomies of psychological individual differences: biological perspectives on millennia-long challenges 2018-04-00
[574] 서적 Roberts
[575] 웹사이트 IPIP Home http://ipip.ori.org/ 2017-07-01
[576] 논문 A very brief measure of the Big-Five personality domains
[577] 논문 The Five-factor Personality Inventory as a measure of the Five-factor Model: Belgian, American, and Hungarian comparisons with the NEO-PI-R 2004-09-00
[578] 논문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579] 논문 Understanding self-report bias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580] 논문 Predicting creativity and academic success with a 'Fake-Proof' measure of the Big Five 2008-10-00
[581]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582] 논문 A very brief measure of the Big-Five personality domains
[583] 논문 An evaluation of the consequences of using short measure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2012-04-00
[584] 논문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1990-12-00
[585] 뉴스 Big Five Personality Tests, traits and background http://www.personali[...] 2017-07-01
[586] 논문 Personality, gender, and age in the language of social media: the open-vocabulary approach
[587] 논문 基本的な性格表現用語の収集 https://doi.org/10.2[...] 2002-00-00
[588] 웹사이트 主要5因子性格検査 http://www.saccess55[...] 2019-11-25
[589] 웹사이트 主要5因子性格検査(BigFive,デモ版)の詳細情報 : Vector ソフトを探す! https://www.vector.c[...] 2019-11-25
[590] 논문 【原著】日本語版Ten Item Personality Inventory(TIPI-J)作成の試み https://doi.org/10.2[...] 2012-00-00
[591] 서적 心理学の研究法―実験法・測定法・統計法 https://www.worldcat[...] 北樹出版 2008-00-00
[592] 웹사이트 TIPI日本語版 http://www.f.waseda.[...] 早稲田大学パーソナリティ心理学研究室 2014-11-28
[593] 웹사이트 IBM Watson Personality Insights https://www.ibm.com/[...] 2019-06-20
[594] 웹사이트 “文章を解析し、書いた人の性格を推定 「IBM Watson Personality Insights」の可能性” https://www.ibm.com/[...] IBM 2019-12-03
[595] 웹사이트 最強のチームはAIが作る!? Watsonの性格分析ツール開発秘話 https://www.mugendai[...] 2017-11-14
[596] 논문 Personality as manifest in word use: correlations with self-report, acquaintance report, and behavior https://www.ncbi.nlm[...] 2008-02-01
[597] 간행물 What Are They Blogging About? Personality, Topic and Motivation in Blogs http://kanagawa.lti.[...] AAAI Publications 2009-01-01
[598] 보고서 Predicting Personality from Twitter https://www.research[...] 2011-10-01
[599] 논문 Personality and Language Use in Self-Narratives https://www.research[...] 2009-12-30
[600] 논문 Personality in 100,000 Words: A large-scale analysis of personality and word use among bloggers https://www.ncbi.nlm[...] 2010-06-01
[601] 논문 25 Tweets to Know You: A New Model to Predict Personality with Social Media https://arxiv.org/ab[...] 2017-04-18
[602] 논문 Personality, Gender, and Age in the Language of Social Media: The Open-Vocabulary Approach https://journals.plo[...] 2013-09-25
[603] 간행물 Personality Traits on Twitter -or- How to Get 1,500 Personality Tests in a Week https://www.aclweb.o[...] 2015-09-01
[604] 논문 A contrarian view of the five-factor approach to personality description 1995-03-01
[605] 논문 Dimensions of personality: 16, 5, 3? 1991-01-01
[606] 논문 Four ways five factors are not basic 1992-01-01
[607] 논문 The fallacy of five factors in the personality sphere. 1995-05-01
[608] 논문 Observer bias: an interaction of temperament traits with biases in the semantic perception of lexical material 2014-01-01
[609] 논문 What Is Beyond the Big Five? Plenty! http://www.subjectpo[...] 2000-10-01
[610]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1995-01-01
[611] 서적 The SAGE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assessment SAGE 2008-01-01
[612] 논문 Taxonomies of psychological individual differences: biological perspectives on millennia-long challenges 2018-04-01
[613] 논문 Solid ground in the wetlands of personality: A reply to Block 1995-01-01
[614] 논문 Going beyond the five factors given: Rejoinder to Costa and McCrae and Goldberg and Saucier 1995-01-01
[615] 논문 Millennial contrarianism 2001-01-01
[616] 논문 The Five-Factor framing of personality and beyond: Some ruminations 2010-01-01
[617]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1995-01-01
[618] 서적 The SAGE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assessment SAGE 2008-01-01
[619] 논문 The enriched behavioral prediction equation and its impact on structured learning and the dynamic calculus http://epublications[...] 2002-01-01
[620] 논문 Taxonomies of psychological individual differences: biological perspectives on millennia-long challenges 2018-04-01
[621] 서적 Psychology Worth 2011-01-01
[622] 논문 Traits across cultures: A neo-Allportian perspective 2011-01-01
[623] 논문 Observer bias: an interaction of temperament traits with biases in the semantic perception of lexical material 2014-01-01
[624] 논문 What Is Beyond the Big Five? Plenty! http://www.subjectpo[...] 2000-10-01
[625] 논문 Broad versus Narrow Personality Measures and the Prediction of Behaviour Across Cultures 2003-01-01
[626] 논문 What do we know when we know a person? 1995-01-01
[627] 논문 A general factor of personality: Evidence for the Big One in the five-factor model 2007-01-01
[628] 논문 The General Factor of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Big Five intercorrelations and a criterion-related validity study http://www.sciencedi[...] 2010-06-01
[629] 논문 Four ways five factors are not basic http://www.sciencedi[...] 1992-06-01
[630] 논문 Reply to Eysenck 1992-01-01
[631] 논문 The five-factor framing of personality and beyond: Some ruminations
[632] 논문 A hierarchical analysis of 1,710 English personality-descriptive adjectives 2004-11-00
[633] 논문 The HEXACO Honesty-Humility, Agreeableness, and Emotionality factors: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 2014-05-00
[634] 논문 Personality trait structure as a human universal. 1997-05-00
[635] 서적 Paradigm Shift to the Integrative Big-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Conceptual Issues http://books.google.[...] Guilford Press
[636] 논문 Personality and the Prediction of Consequential Outcomes http://biculturalism[...] 2019-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