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85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52년은 연호, 기년, 사건, 문화, 탄생, 사망 등 다양한 내용이 기록된 해이다. 당나라, 일본, 발해, 신라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주요 사건으로는 각국에서 농업을 장려하기 위해 저수지 및 저수둑 축조를 장려한 것, 간더스하임 수도원 건립, 바이킹의 활동 등이 있었다. 또한, 압바스 이븐 피르나스의 비행 시도와 같은 문화적 사건과, 전유, 주전충 등의 인물들이 탄생했으며, 김안, 압드 알라흐만 2세 등의 사망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852년
852년
달력
종류율리우스력
연대
9세기840년대 850년대 860년대
해당연도
852년 (음력)해당
간지
임신(흑원숭이)
주요 사건
동해발해일본에 사신을 파견함

2. 연호

3. 기년

나라왕호연호(元號)재위 기간
선종대중 6년6년
신라문성왕14년
발해대이진함화 22년23년
일본인수 2년, 황기 1512년
남조천계 13년

4. 사건


  • 3월 4일 - 트르피미로비치 왕조의 창시자인 트르피미르 1세가 슬라브 민족을 위한 최초의 국가 문서를 발표하였다.
  • 프레시안 1세 (제1 불가리아 제국의 통치자)가 23년간의 통치 후 사망하고, 아들인 보리스 1세에게 군주 자리를 물려주었다.
  • 로타르 1세 황제와 샤를 대제가 연합하여 센 강의 바이킹들을 몰아내려 했으나 실패하고, 샤를 대제는 조공을 바쳤다.
  • 350척의 바이킹 함대가 템스강 하구에 진입하여 머시아 군과 교전, 비어흐트울프 왕이 이끄는 머시아 군은 패배하였다. 바이킹들은 서리주에서 웨섹스의 에텔울프 왕과 에텔발드가 이끄는 군대에게 애클레 전투에서 학살당하였다.[1]
  • 에텔울프의 장남 에텔스탄 왕이 바이킹에게 살해당하고, 동생 에텔베르흐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 12년간 통치한 비어흐트울프가 사망하고 아들 버그레드가 머시아 왕이 되었다.
  • 압드 알라흐만 2세 (우마이야 왕조 코르도바 에미르)가 30년간 통치 후 사망하고, 아들 무함마드 1세가 계승하였다.
  • 안달루시아 발명가 압바스 이븐 피르나스가 코르도바에서 비행 시도를 했으나 실패하고 경상을 입었다.
  • 간더스하임 수도원이 작센주(독일)에 리우돌프에 의해 세워졌다.
  • 3월 - 각국의 국사(國司)와 군사(郡司)에게 저수지와 둑을 축조하고 농업을 장려하도록 하였다.[1]

4. 1. 한국

3월, 각 지방의 국사(國司)와 군사(郡司)에게 저수지와 저수둑을 만들고 농업을 장려하도록 하였다.[1]

4. 2. 동아시아

3월, 각국의 국사(國司)와 군사(郡司)에게 저수지와 둑을 축조하고 농업을 장려하도록 하였다.

4. 3. 유럽


  • 3월 4일트르피미로비치 왕조의 창시자인 트르피미르 1세가 비야치(Bijaći)에서 모든 슬라브 민족을 위한 최초의 국가 문서를 발표하였다. 이 라틴어 문서에서 트르피미르 1세는 자신을 "크로아티아인들의 공작"(dux Chroatorum)이라고 칭하고, 그의 국가를 "크로아티아인들의 왕국"(regnum Chroatorum)이라고 언급하였다.
  • 프레시안 1세 (제1 불가리아 제국의 통치자(Khan))가 23년간의 통치 후 사망하였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불가리아인들은 상마케도니아와 세르비아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그는 아들인 보리스 1세에게 불가리아의 군주 자리를 물려주었다.
  • 로타르 1세 황제와 그의 이복형제인 샤를 대제가 연합하여 센 강(River Seine)의 오세유(Oissel) 섬에서 바이킹들을 몰아내려 하지만 실패하고, 샤를 대제는 다시 그들에게 조공(Danegeld)을 바쳤다.
  • 350척의 바이킹 함대가 템스강 하구에 진입하여 북쪽으로 방향을 틀고, 비어흐트울프 왕이 이끄는 머시아 군과 교전하였다. 머시아 군은 패배하여 정착지로 후퇴하였다. 바이킹들은 그 후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서리주 어딘가에서 강을 건너는데, 그곳에서 웨섹스의 에텔울프 왕과 그의 아들 에텔발드가 이끄는 웨섹스 군대에게 오크 필드(애클레 전투)에서 학살당하였다.[1]
  • 에텔울프의 장남인 에텔스탄 왕이 바이킹 약탈대에게 살해당하였다. 그는 그의 동생 에텔베르흐트에게 왕위를 계승하며, 후자는 켄트 왕국, 에섹스 왕국, 서리주, 그리고 서섹스 왕국의 부왕이 되었다. (대략적인 연도).
  • 12년간의 통치 후 비어흐트울프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버그레드가 머시아 왕으로 계승하였다.

4. 4. 서아시아

우마이야 왕조코르도바(Córdoba) 에미르(emir)였던 압드 알라흐만 2세는 30년간 통치하면서 메스키타를 증축했다. 그가 사망하고 아들 무함마드 1세가 에미르(emir) 자리를 계승했는데, 무함마드 1세는 알안달루스(al-Andalus)(현재 스페인)의 무슬림 통치 지역에서 무왈라드(Muwallad)와 모자랍(Mozarabs)의 여러 반란을 진압하게 된다.

5. 문화


  • 17세기 기록에 따르면, 안달루시아의 발명가 압바스 이븐 피르나스가 코르도바에서 탑에서 뛰어내렸다. 그는 독수리 깃털로 자신을 감싸고 양팔에 두 개의 날개를 부착했다. 비행 시도는 초기 자료에는 기록되지 않았고 궁극적으로 실패했지만, 옷이 그의 추락 속도를 늦춰서 경상만 입었다.[1]
  • 리우돌프가 작센주(현재 독일)에 간더스하임 수도원을 세웠다.

6. 탄생


  • 3월 10일 - 전류, 중국 오대십국 시대 오월의 초대 국왕
  • 보지보이 1세, 보헤미아 공작 (추정)
  • 니콜라스 1세 미스티코스,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 에르멩가르드, 프로방스의 섭정 왕비
  • 장촨이, 중국 군벌
  • 12월 5일 - 주전충, 오대 후량의 초대 황제
  • 양행미, 십국 오의 건국자
  • 마인, 십국 초의 초대 군주
  • 회리, 헤이안 시대진언종 승려, 조각가, 화가

6. 1. 동아시아

6. 2. 유럽


  • 3월 10일 - 전류, 중국 군벌이자 왕 (932년 사망)
  • 보지보이 1세, 보헤미아 공작 (추정)
  • 니콜라스 1세 미스티코스,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925년 사망)
  • 양행미, 중국 절도사 (905년 사망)
  • 에르멩가르드, 프로방스의 섭정 왕비 (896년 사망)
  • 장촨이, 중국 군벌 (926년 사망)
  • 주원, 후량의 황제 (912년 사망)

7. 사망


  • 신라 상대등 김안
  • 3월 29일 - 원행, 헤이안 시대진언종 승려 (* 799년)
  • 6월 13일 - 도정계, 헤이안 시대의 관인 (* 791년)
  • 두목 - 당나라의 시인이자 관리 (* 803년)
  • 리 줘 - 당나라의 재상
  • 압드 알라흐만 2세, 코르도바 칼리파국의 제4대 아미르 (* 790년)
  • 에셀스탄(Æthelstan of Kent), 켄트 왕국의 왕 (추정 연도)
  • 알레랑(Aleran), 프랑크족 백작 겸 변경백
  • 아우렐리우스와 나탈리아(Aurelius and Natalia), 기독교 순교자
  • 베오르트울프(Beorhtwulf of Mercia) ('''밝은 늑대'''), 머시아 왕
  • 프레델로(Fredelo, Count of Toulouse), 프랑크족 백작 (추정 연도)
  • 하랄드 클락(Harald Klak), 덴마크 왕 (추정 연도)
  • 이니고 아리스타(Íñigo Arista of Pamplona), 팜플로나 왕국의 왕 (또는 851년)
  • 랑베르 2세(Lambert II of Nantes), 프랑크족 백작 겸 태수
  • 프레시안 1세(Presian I of Bulgaria), 제1 불가리아 제국의 통치자(칸)
  • 이삭 이븐 라흐와이(Ishaq Ibn Rahwayh), 무슬림 이맘 (또는 853년)

7. 1. 한국

신라 상대등 김안

7. 2. 동아시아

7. 3. 유럽


  • 압드 알라흐만 2세, 코르도바 에미르국의 무슬림 에미르 (792년 출생)
  • 에셀스탄(Æthelstan of Kent), 켄트 왕국의 왕 (추정 연도)
  • 알레랑, 프랑크족 백작 겸 변경백
  • 아우렐리우스와 나탈리아(Aurelius and Natalia), 기독교 순교자
  • 베오르트울프(Beorhtwulf of Mercia) ('''밝은 늑대'''), 머시아 왕
  • 프레델로(Fredelo, Count of Toulouse), 프랑크족 백작 (추정 연도)
  • 하랄드 클락(Harald Klak), 덴마크 왕 (추정 연도)
  • 이니고 아리스타(Íñigo Arista of Pamplona), 팜플로나 왕국의 왕 (또는 851년)
  • 랑베르 2세(Lambert II of Nantes), 프랑크족 백작 겸 태수
  • 프레시안 1세(Presian I of Bulgaria), 제1 불가리아 제국의 통치자(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