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92년은 당나라, 신라, 발해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견훤이 완산주를 도읍으로 삼고 후백제를 건국했으며, 일본에서는 일본삼대실록 편찬이 시작되었다. 주요 인물들의 탄생과 사망도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92년 | |
|---|---|
| 기본 정보 | |
| 연도 | 892년 |
| 간지 | 임자년(壬子年) |
| 892년 세계 달력 | |
![]() | |
| 주요 사건 | |
| 발생 | 일본에서 간표 시대가 시작되다(889년 ~ 898년). 압바스 왕조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다. 시칠리아에서 아글라브 왕조가 멸망하다. 불가리아의 블라디미르 라사테가 기독교를 이교로 대체하려고 시도하다. 동프랑크 왕국의 아르눌프가 모라비아를 침공하다. |
| 탄생 | |
| 날짜 미상 | 기 융기 (사망: 949년) |
| 사망 | |
| 날짜 미상 | 알무타지드 사파리 왕조의 암르 이븐 알라이스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9월 30일 - 교황 요한 9세가 사망하였다.
- 알프레드 대왕은 잉글랜드의 체스터를 재건하였다.
- 주전충이 중국에서 후량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다.
- 불가리아 제1제국과 세르비아 사이에 불가리아-세르비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 가나의 사산 왕조가 멸망하였다.
- 아바스 칼리파조의 알 무타디드가 칼리프가 되어 수도를 사마라에서 바그다드로 되돌렸다.[1]
- 견훤이 완산주를 도읍으로 삼았다.
4. 1. 한국
4. 2. 동아시아
- 신라 진성여왕 6년[4]
- 후백제 견훤 원년[4]
- 견훤이 전주와 광주를 점령하여 백제 영토를 차지하고, 완산주를 도읍으로 삼았다. 그는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 스스로 왕을 칭했다.[4]
- 발해 대현석 22년
- 당나라 경복 원년
- 일본
- 간페이 4년
- 5월 - 일본삼대실록 편찬이 시작되었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루이쥬코쿠시를 지었다.
4. 3. 서유럽
- 여름 – 포포 2세는 튀링겐 공작 (중앙 독일)에서 카린티아의 아르누프에 의해 폐위된다. 동 프랑크 군대와 마자르 (헝가리) 동맹군은 대모라비아를 침공한다.
- 불가리아의 블라디미르는 불가리아 제1제국의 통치자(''크냐즈'')로서 동프랑크 왕국의 카린티아의 아르누프와 군사 동맹을 맺는다. 이 동맹은 그의 아버지의 친비잔틴 정책에 반하는 것이다.
- 가을 – 250척의 롱쉽으로 구성된 바이킹 함대가 동 켄트의 림프니 정착촌 강어귀에 도착한다. 그들은 작은 요새(Eorpeburnan이라고 불림)를 공격한다.[1]
- 하스테인 휘하의 바이킹 약탈자들(80척의 배)이 템스강 하구에 도착하여 미들턴에 캠프를 설치한다. 알프레드 대왕은 그의 군대를 위얼드 숲에 배치하기로 결정한다.[2]
4. 4. 동유럽
- 여름 – 포포 2세는 카린티아의 아르누프에 의해 튀링겐 공작(중앙 독일)에서 폐위되었다. 동프랑크 군대와 마자르족(헝가리) 동맹군은 대모라비아를 침공했다.[1][2]
- 불가리아의 블라디미르 (불가리아 제1제국의 통치자(''크냐즈''))는 동프랑크 왕국의 카린티아의 아르누프와 군사 동맹을 맺었다. 이 동맹은 그의 아버지의 친비잔틴 정책에 반하는 것이었다.
4. 5. 아랍 제국
- 4월 - 알 무타디드가 아바스 칼리파조의 사실상 섭정으로서 사촌 알 무파와드를 계승자 자리에서 해임했다. 그는 알 무타미드가 사망한 후 스스로 칼리프가 되어 수도를 사마라에서 바그다드로 되돌렸다.[1]
- 5월 - 이프리키야의 아글라브 아미르인 이브라힘 2세는 카이루안으로부터 아랍의 권위를 부과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팔레르모로 보냈다. 반란 이후, 시칠리아인들은 독립을 시도했다.[2]
- 여름 - 페르시아 귀족들은 형제 나스르 1세가 사망한 후, 전 트란스옥시아나의 총독 이스마일 이븐 아흐마드를 사만 왕조의 통치자(아미르)로 임명했다.[3]
4. 6. 아시아 기타
5. 탄생
- 3월 30일 - 석경당, 후진의 창시자 (942년 사망)[1]
- 애제 ('''이주'''), 당나라 황제 (꼭두각시 군주) (908년 사망)[2]
- 알리 이븐 부야, 부야 왕조의 창시자 (또는 891년)[3]
- 두진고, 중국 관료이자 재상 (969년 사망)[4]
- 기베르, 젬블루 수도원의 창립자 (962년 사망)[5]
- 경언광, 중국 장군이자 지사 (947년 사망)
- 사디아 가온, 유대교 철학자이자 주석가 (또는 882년)
- 왕사통, 중국 장군이자 지사 (934년 사망)
- 왕원영, 전촉의 태자 (913년 사망)
- 장씨, 주유전의 황후 (915년 사망)
- 후지와라노 아리히라, 헤이안 시대의 공경 (970년 사망)
6. 사망
- 8월 29일 - 테살로니키의 테오도라, 비잔틴 제국의 수녀이자 성녀 (812년 출생)[5]
- 10월 9일 - 알-티르미디, 페르시아의 학자이자 하디스 편찬자 (824년 출생)
- 10월 15일 - 알-무타미드, 아바스 왕조의 무슬림 칼리프
- 베렌가두스, 프랑크족 베네딕토회 수도사 (840년 출생)
- 베르나르, 뚱보 카를의 사생아 (또는 891년)
- 브라니미르, 크로아티아 공국의 통치자 (''크냐즈'') (대략적인 날짜)
- 나스르 1세, 사만 왕조의 무슬림 아미르
- 시구르드 에이스테인손, 오크니의 노르드 백작
- 쑨루, 중국 군벌이자 총독
- 양서량, 중국 군벌이자 총독
- 자오더인, 중국 군벌이자 재상
- 시마다노 타다오미, 헤이안 시대의 귀족, 시인 (828년 출생)
참조
[1]
서적
The Viking Wars of Alfred the Great
2009
[2]
서적
The Viking Wars of Alfred the Great
2009
[3]
서적
1854
[4]
서적
New History of Korea
Jimoondang
2005
[5]
서적
Holy Women of Byzantium: Ten Saints' Lives in English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Dumbarton Oaks
2024-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