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9월 총파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월 총파업은 1946년 9월, 미군정의 좌익 탄압에 반발하여 조선공산당과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주도로 일어난 대규모 파업이다. 배경에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으로 인한 미군정의 좌익 탄압 심화, 조선공산당의 '신전술' 채택 등이 있었다. 부산 철도 노동자 파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쌀 배급, 임금 인상, 노동 운동의 자유 등을 요구했다. 미군정은 강경 진압으로 대응했고, 특히 대구에서 경찰의 발포로 대구 10.1 사건이 발생하며 1946년 가을 항쟁으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좌우 진영의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노동쟁의 - 전태일
    전태일은 1948년 대구 출생으로,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노동 운동을 펼치다 1970년 분신 자살하며 노동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 한국의 노동쟁의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1989년 설립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한국교원노동조합의 효시를 이어받아 교원노조 설립 움직임 속에 창립되었으며, 해직 사태를 겪었으나 합법화 후 '참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교원 권익 향상과 교육 개혁을 추구하며 민주노총, 국제교육연맹에 가입, 정부와 갈등 속에서도 법외노조 통보 후 대법원 판결로 노조 지위를 회복한 교원 노동조합이다.
  • 한국의 폭동 - 만보산 사건
    만보산 사건은 1931년 만주 만보산 지역에서 조선인 이주민과 중국인 농민 간에 발생한 수로 공사 관련 충돌로, 일본의 과장 보도로 조선 내 반중국인 감정을 격화시키고 만주사변의 원인이 되었다.
  • 한국의 폭동 -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는 이명박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결정과 교육 정책 변화에 대한 국민적 반발로 시작되어 수십만 명이 참여, 정부 정책 비판 및 퇴진 요구를 펼치며 사회적 논쟁과 갈등을 야기한 대규모 시위 운동이다.
9월 총파업
개요
총파업에 관한 신문
1946년 9월 25일 동아일보: "식량과 대우 문제로 전 직원 파업. 해운 사무소에서 긴급 회의 개최. 한국 철도 총파업. '파업은 불법' - 군정 장관"
사건 정보
발생일1946년 9월 23일 시작
발생 위치부산, 미군정 점령 남한 지역
원인정부의 정치적 경쟁자 탄압
목표불명
방법불명
결과불명
교전 세력
관련 세력 1불명
관련 세력 2불명
관련 세력 3불명
관련 세력 4불명
지휘관 1불명
지휘관 2불명
지휘관 3불명
지휘관 4불명
병력 규모 1불명
병력 규모 2불명
병력 규모 3불명
병력 규모 4불명
피해 규모
사망자불명
부상자100명 이상
체포불명
피해불명
건물 피해불명
구금불명
기소불명
벌금불명
영향
영향불명
결과 레이블불명
추가 정보
참고 사항불명

2. 배경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으로 미군정의 좌익 계열 탄압이 심해졌다. 조선공산당 당수 박헌영6월 23일 합작 5원칙을 발표하며 토지개혁과 정부 기능의 인민위원회 이양을 주장했지만, 이는 미군정과 좌우합작 세력을 거부하는 것이었다.[1]

미군정은 1946년 9월 6일, 조선인민보, 현대일보, 중앙신문 등 좌파 성향의 신문들을 폐쇄하고 간부들을 체포했으며, 조선공산당 지도부에 대한 체포령을 내렸다.

2. 1. 해방 직후의 정치, 사회적 상황

1945년 8월 15일, 태평양 전쟁이 끝나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면서 한반도는 38선을 기준으로 남과 북으로 나뉘어 분단되었다. 소련은 북쪽을, 미국은 남쪽을 각각 관리하게 되었다. 1948년에는 남과 북에 각각 주권 국가가 수립되었는데, 북쪽에는 김일성의 지도 아래 공산주의 국가가, 남쪽에는 이승만권위주의적 지도 아래 자본주의 국가가 들어섰다. 남북한 정부는 모두 한반도 전체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주장하며 38선을 영구적인 경계로 인정하지 않았다.[1]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을 계기로 미군정은 좌익 계열에 대한 탄압과 공격을 강화했다. 조선공산당 당수 박헌영1946년 6월 23일에 합작 5원칙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토지의 무상 몰수 및 무상 분배, 즉 토지개혁과 정부 기능을 미군정에서 인민위원회로 즉각 이양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는 사실상 미군정과 좌우합작 세력을 전면 거부하는 것이었다.

많은 한국인들은 독립을 원했지만, 미군정은 통제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공산주의 동조자로 간주했다.[1]

1946년 9월 6일, 미군정은 조선인민보, 현대일보, 중앙신문 등 좌파에 우호적인 3대 진보 신문을 강제로 폐쇄하고 10여 명의 신문사 간부들을 체포했다. 더불어 미군정 군정 경찰은 박헌영, 이주하, 이강국 등 조선공산당 최고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령을 내렸다. 박헌영은 이때 경찰의 체포를 피하기 위해 서울에서 1개월여 동안 숨어 있다가, 9월 말에 영구차를 이용하여 비밀리에 북으로 넘어갔다.

2.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신전술'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으로 미군정의 좌익계열 탄압과 공격은 갈수록 심해졌다. 조선공산당 당수 박헌영1946년 6월 23일 합작 5원칙을 발표했는데, 토지의 무상몰수, 무상분배 곧 토지개혁과 정부기능을 미군정에서 인민위원회로 즉각 이양할 것 등을 주장했다. 이는 박헌영이 사실상 미군정을 비롯해 좌우합작세력 등 전면 거부한 내용들이었다.[1]

미군정은 1946년 9월 6일, 조선인민보, 현대일보, 중앙신문 등 좌파에 우호적이던 3대 진보신문을 강제로 폐쇄하고 10여 명의 신문사 간부들을 체포했다. 여기에 미군정 군정 경찰은 박헌영, 이주하, 이강국 등 조선공산당 최고지도자들에 대한 체포령을 발령했다. 박헌영은 이 무렵 경찰의 체포령을 피하기 위해 서울에서 1개월여 간 숨어있었고, 9월 말에 영구차를 타고 비밀리에 월북하게 된다.

2. 3. 좌익 계열 신문 폐간과 체포령

1946년 9월 6일, 미군정은 조선인민보, 현대일보, 중앙신문 등 좌파에 우호적이던 3대 진보 신문을 강제로 폐쇄하고 10여 명의 신문사 간부들을 체포했다.[1] 미군정 경찰은 박헌영, 이주하, 이강국 등 조선공산당 최고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령을 발령했다. 박헌영은 경찰의 체포령을 피해 서울에서 1개월여 동안 숨어 있다가 9월 말에 영구차를 타고 비밀리에 월북했다.

3. 전개

조선공산당은 '신전술'이라는 전략을 통해 대중 투쟁을 선동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5] 파업은 조선노동자전국평의회(전평)가 주도했다.

이들은 '쌀 배급', '임금 인상', '해고 반대', '노동운동 자유', '민주인사 석방' 등을 요구했다. 9월 27일에는 서울의 중학교와 전문학교 학생 1만 5천 명이 학원의 자유와 식민지 노예 교육 철폐를 요구하며 파업에 동참했다. 남조선 국방경비대(대한민국 육군) 해상경비대(대한민국 해군) 일부[7]도 파업에 동참했으며, 서울에서는 주한 미군미국 공산당 당원 수십 명이 '한국에서 미군을 철수하라!'며 시위를 벌였다.

조선공산당박헌영은 총파업을 독단적으로 벌인 것이 아니었다. 공산당의 지령은 총파업에 국한되었고, 미국과의 항쟁을 결의했지만 노동계급 파업 외에 폭력 투쟁은 상정하지 않았다. 9월 27일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는 남한 노동자 파업을 지지하며 정당성을 옹호하는 선언문을 채택했다.

3. 1. 부산 철도 노동자 파업

조선공산당이 '신전술'이라는 전략을 통해 대중 투쟁을 선동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조선노동자전국평의회(전평) 주도로 9월 23일 부산 지역 7천여 명의 철도 노동자들이 첫 파업을 시작했다.[7] 이 파업은 전국으로 확산되어 4만여 명의 철도 노동자가 참여했으며, 금속, 화학 등 전 산업 분야에서도 15만 명의 노동자가 파업을 벌였다.[3][4]

3. 2. 전국적인 파업 확산

조선공산당은 '신전술'이라는 전략을 통해 대중 투쟁을 선동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5] 조선노동자전국평의회(전평)가 주도한 파업은 9월 23일 부산 지역 7천여 명의 철도 노동자들이 시작했다. 곧 전국으로 확산된 철도 파업에는 4만여 명의 철도 노동자가 참가했다. 금속, 화학 등 전 산업 분야에서도 15만 명에서 30만 명 사이의 노동자들이 파업을 벌였다.[3][4] 이들은 '쌀 배급', '임금 인상', '해고 반대', '노동운동 자유', '민주인사 석방' 등을 요구했다. 9월 27일에는 서울의 중학교와 전문학교 학생 1만 5천 명도 파업에 동참하여 학원의 자유, 식민지 노예 교육 철폐 등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다. 남조선 국방경비대(현재 대한민국 육군) 해상경비대(현 대한민국 해군) 일부[7]도 파업에 동참했으며, 서울에서는 주한 미군미국 공산당 당원 수십 명이 '한국에서 미군을 철수하라!'며 시위를 벌였다.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는 남한 노동자들의 파업을 적극 지지하며 그 정당성을 옹호하는 선언문을 채택했지만, 폭력 투쟁은 상정하지 않았다.

3. 3. 북한의 지지

북조선인민위원회는 중앙위원회 여섯 번째 회의에서 9월 총파업이 정당하다고 확인하고, 남한 파업 노동자들을 지지하는 선언문을 채택했다. 그러나 폭력 투쟁은 용납하지 않았다.[5]

4. 미군정의 대응

미군정은 9월 총파업에 강경하게 대응했다. 미군정 경찰은 9월 30일 총파업의 중심지였던 서울철도에 탱크와 기관총으로 무장한 경관 2천여 명을 투입했다. 대한노총(현 한국노총), 대한민청, 독촉 등 반공 우파 청년단 1천여 명도 이에 가세했다. 김두한이 이끄는 대한민청을 필두로 8시간에 걸쳐 시가전이 벌어졌고, 3명의 간부가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총 1,700여 명이 연행되어 우파 세력에게 점거되었다.[8]

대구에서 10월 1일 파업 노동자들이 시위를 벌이자 경찰이 발포하여 철도 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다음 날, 수천 명의 시위대(학생 포함)가 경찰의 저지 시도에도 불구하고 사망한 노동자의 시신을 시내 거리로 운반했다. 이는 파업이 더 광범위한 가을 항쟁으로 발전하여 계엄령이 선포되는 결과로 이어졌다.[3][4]

4. 1. 강경 진압

미군정 경찰은 9월 30일 총파업의 거점인 서울철도 파업단에 탱크와 기관총으로 무장한 경관 2천여 명을 투입했다. 대한노총(현 한국노총), 대한민청, 독촉 등 반공 우파 청년단 1천여 명도 이에 가세했고, 김두한이 이끄는 대한민청을 필두로 8시간에 걸쳐 시가전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3명의 간부가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총 1,700여 명이 연행되어 우파 세력에게 점거되었다.[8]

4. 2. 대구 10.1 사건으로의 확산

미군정과 반공 우파 청년단의 진압으로 총파업이 끝날 기미를 보이던 중, 대구 지역 노동자들의 파업 시위에 경찰이 발포하자 민중항쟁으로 발전하는 의외의 사태가 발생했다. 이는 9월 총파업이 대구 10.1 사건으로 번져나가는 계기가 된다.[3]

대구에서 10월 1일 파업 노동자들이 시위를 벌이자 경찰이 발포하여 철도 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다음 날, 수천 명의 시위대(학생 포함)가 경찰의 저지 시도에도 불구하고 사망한 노동자의 시신을 시내 거리로 운반했다. 이후 파업은 더 광범위한 가을 항쟁으로 발전하여 수십 명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체포되었으며, 계엄령이 선포되었다.[3][4]

5. 결과 및 영향

9월 총파업은 미군정과 반공 우파 청년단의 진압으로 끝날 것처럼 보였으나, 대구 지역 노동자들의 파업 시위에 경찰이 발포하면서 민중 항쟁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대구 10.1 사건으로 번져나가는 계기가 되었다.[3][4]

5. 1. 대구 10.1 사건과 민중항쟁의 확산

9월 총파업은 미군정과 반공 우파 청년단의 진압으로 끝날 것처럼 보였으나, 대구 지역 노동자들의 파업 시위에 경찰이 발포하면서 민중 항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는 9월 총파업이 대구 10.1 사건으로 번져나가는 계기가 된다.[3][4]

대구에서 10월 1일 파업 노동자들이 시위를 벌이자 경찰이 발포하여 철도 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다음 날, 수천 명의 시위대(학생 포함)는 경찰의 저지 시도에도 불구하고 사망한 노동자의 시신을 시내 거리로 운반했다. 이후 파업은 더 광범위한 가을 항쟁으로 발전하여 수십 명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체포되었으며 계엄령이 선포되었다.[3][4]

6. 평가 및 재조명

9월 총파업과 대구 10.1사건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국 전쟁 이후 반공주의적 시각에서 이 사건들은 왜곡되거나 축소되어 평가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이러한 사건들에 대한 재조명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재조명은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7. 관련 인물

대구 10.1사건과 관련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The war for Korea, 1945–1950 : A house burning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5
[2] 웹사이트 "[Editorial] We must properly understand and define the 1946 Daegu uprising" http://english.hani.[...]
[3] 간행물 U.S. policy in Korea 1945–1948: A Neo-colonial model takes shape http://dx.doi.org/10[...] 1973
[4] 간행물 Colonial Legacies and the Struggle for Social Membership in a National Community: The 1946 People's Uprisings in Korea http://dx.doi.org/10[...] 2011
[5] 뉴스 Strike in Korea http://www.laborplus[...] Laborplus news
[6] 서적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역비한국학연구총서 1) 역사비평사 1997-03-01
[7] 문서
[8] 서적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역비한국학연구총서 1) 역사비평사 1997-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