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V1은 HEVC 코덱의 특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로열티 프리 웹 비디오 형식이다. 2015년 Alliance for Open Media(AOMedia)가 아마존, 시스코, 구글,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모질라, 넷플릭스를 포함한 여러 기업의 협력으로 설립되었고, AV1은 VP9를 기반으로 Daala, Thor 등 기존 기술을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2018년 3월에 AV1 비트스트림 사양이 출시되었으며, 이후 여러 버전의 사양이 발표되었다. AV1은 파티셔닝, 예측, 데이터 변환, 양자화, 필터, 엔트로피 코딩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며, HEVC 및 VP9보다 압축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AV1은 메인, 하이, 프로페셔널 프로파일과 여러 레벨을 정의하며, ISO 기본 미디어 파일 형식, Matroska 컨테이너를 지원한다. 유튜브, 넷플릭스, 페이스북 등 여러 콘텐츠 제공업체에서 AV1을 채택하고 있으며, 파이어폭스, 크롬, 엣지, 사파리 등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VLC, FFmpeg, HandBrake 등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한다. AV1은 또한 AVIF라는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상 코덱 - VP9
VP9는 구글이 개발한 오픈 소스 비디오 코덱으로, VP8보다 압축 효율을 높이고 HEVC보다 나은 성능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WebM 형식으로 사용되고 주요 웹 브라우저와 넷플릭스, 유튜브 등에서 지원했으나 AV1의 등장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 영상 코덱 - H.262/MPEG-2 파트 2
H.262/MPEG-2 파트 2는 디지털 TV 및 DVD 등에 사용되는 영상 압축 표준으로, HDTV 카메라의 비압축 영상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다양한 화면 샘플링 기술을 활용하며, DVD-Video, HDV, XDCAM 등에서 활용된다. - 화상 통화 - 시스코 시스템즈
시스코 시스템즈는 1984년 설립되어 네트워킹 장비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국적 기업으로, 라우팅 기술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사업 다변화를 추진하며 여러 논란에 직면해 있다. - 화상 통화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 기업으로, 가전제품 생산에서 시작하여 반도체, 스마트폰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메모리 반도체 및 TV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AV1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개발사 | 얼라이언스 포 오픈 미디어 |
| 발표일 | 2018년 3월 28일 |
| 최신 버전 발표일 | 2019년 1월 8일 |
| 종류 | 비디오 코덱 |
| 확장 | VP9/VP10 달라 토르 |
| 포함 형식 | ISOBMFF (MP4) 마트로시카 웹엠 RTP (WebRTC) |
| 표준 | AOM AV1 |
| 오픈 소스 | 예 |
| 라이선스 | 특허 관련 사항은 본문 참조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libaom | |
![]() | |
| 개발사 | 얼라이언스 포 오픈 미디어 |
| 프로그래밍 언어 | C 언어, 어셈블리어 |
| 지원 플랫폼 | 모든 플랫폼 |
| 종류 | 비디오 코덱 |
| 라이선스 | BSD 라이선스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AV1은 로열티가 없는 최첨단 웹용 비디오 형식을 목표로 한다. 오픈 미디어 연합(AOMedia)의 사명은 WebM 프로젝트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AV1은 VP9을 기반으로 더 많은 코딩 옵션을 제공하는 새로운 기술들을 통합한 전통적인 블록 기반 주파수 변환 형식이다. AV1은 더 높은 정밀도(샘플당 10 또는 12비트)로 내부 처리를 수행하여 품질을 향상시킨다.
AV1은 MPEG이 설계한 코덱으로 AVC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HEVC의 특허 라이선스와 관련된 높은 비용 및 불확실성 때문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2015년 9월 1일, 아마존, 시스코, 구글,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모질라, 넷플릭스 등 7개 회사가 Alliance for Open Media를 결성하면서 AV1의 개발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이들은 비디오 형식의 초기 초점을 고품질 웹 비디오 제공에 둘 것이라고 발표했다.
HEVC Advance의 초기 라이선스 제안은 이전 AVC의 로열티 수수료보다 인상될 예정이었다. HEVC의 라이선스 프로세스는 이전 MPEG 표준에 비해 복잡해졌는데, 여러 특허 풀이 형성되고 일부 특허 보유자들이 라이선스를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불확실성이 커졌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이안 르그로우에 따르면, 오픈 소스, 로열티 프리 기술이 이러한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여겨졌다.
무료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허 라이선스의 부정적인 영향도 AV1 개발의 이유 중 하나였다. 예를 들어, H.264 구현을 파이어폭스에 구축하면 MPEG-LA에 라이선스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무료 배포가 불가능했다.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은 FRAND 특허 라이선스 관행이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와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표준의 자유 소프트웨어 구현을 불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했다.
AV1 프로젝트의 많은 구성 요소는 연합 회원들의 이전 연구 노력에서 비롯되었다. Xiph/모질라의 Daala는 2010년에 코드를 공개했고, 구글의 실험적인 VP9 진화 프로젝트 VP10은 2014년 9월 12일에 발표되었으며, 시스코의 Thor는 2015년 8월 11일에 공개되었다. AV1은 VP9의 코드 베이스를 기반으로 이러한 실험적 형식에서 개발된 여러 기술을 통합했다.
삼성, 비메오,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 모질라, AMD, 엔비디아, 인텔, ARM, 구글, 페이스북, 시스코, 아마존, 훌루, VideoLAN, 어도비, 애플 등 여러 회사들이 Alliance for Open Media에 참여하고 있다. 애플은 AOMedia의 운영 멤버이지만, 설립 이후에 참여했다.
AV1 참조 코덱의 첫 번째 버전 0.1.0은 2016년 4월 7일에 게시되었다. 2017년 10월 말에 소프트 기능 고정이 발효되었지만, 여러 기능에 대한 개발은 계속되었다. 비트스트림 형식은 2018년 1월에 고정될 예정이었으나, 버그 수정 및 추가 변경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2018년 3월 28일, AV1 비트스트림 사양이 참조 소프트웨어 기반 인코더 및 디코더와 함께 출시되었다. 2018년 6월 25일에는 검증된 버전 1.0.0의 사양이 출시되었다. 2019년 1월 8일에는 검증된 ''오류 1이 포함된 버전 1.0.0'' 사양이 출시되었다.
AOM 멤버인 Bitmovin의 마틴 스몰은 비트스트림 형식이 고정된 후 계산 효율성이 가장 큰 과제라고 언급했다. 초기 AV1 버전은 기존 HEVC 인코더보다 훨씬 느렸지만, 2019년 3월에는 참조 인코더의 속도가 크게 향상되어 다른 일반 형식의 인코더와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고 보고되었다.
2021년 1월 21일, AV1의 MIME 유형은 video/AV1로 정의되었다. 이 MIME 유형을 사용하는 AV1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목적에만 제한된다.[2]
3. 목적
로열티 없는 멀티미디어 형식 개발에서 반복되는 문제는 표준 작성자와 사용자가 알지 못했던 특허를 실수로 침해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AV1, VP8, VP9, Theora, IVC와 관련하여 제기되었다. 이 문제는 로열티가 없는 형식에만 국한되지 않지만, 로열티가 없는 형식의 지위를 위협하는 요소이다.특허 라이선스 AV1, VP9, Theora, MPEG-5 기본 프로필 VVC, HEVC, AVC, MPEG-5 메인 프로필 GIF, MP3, MPEG-1, MPEG-2, MPEG-4 Part 2 알려진 특허 보유자 특허 만료 알 수 없는 특허 소유자 형식의 특허가 만료될 정도로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알 수 없음 (최소한 WTO 국가에서 20년)
로열티 없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 과정에서는 두 당사자가 독립적으로 경쟁 회사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확인하기 전에는 어떤 기능도 채택할 수 없다. 특허 보호 기술에 대한 대안이 없는 경우, 관련 특허 소유자를 AOMedia에 가입하도록 초대한다(이미 다른 특허 풀의 구성원인 경우에도 마찬가지). 예를 들어, AOMedia 회원사인 애플, 시스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는 H.264에 대한 MPEG-LA의 특허 풀에서도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AV1의 로열티 없는 상태에 대한 추가 보호로서 AOMedia는 소규모 회원사나 AV1 라이선스 사용자가 특허 침해 혐의로 소송을 당할 경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법적 방어 기금을 보유하고 있다.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채택한 특허 규칙에 따라 기술 기여자는 상호주의에 기반하여(즉, 사용자가 특허 소송을 제기하지 않는 한) 언제 어디서나 AV1 관련 특허에 대한 라이선스를 누구에게나 부여한다. 방어적 조건으로 특허 소송을 제기하는 사람은 "모든" 특허 소유자의 특허에 대한 권리를 잃게 된다.[3]
지적 재산권(IPR)에 대한 이러한 처리와 개발 중의 절대적인 우선 순위는 AVC 및 HEVC와 같은 기존 MPEG 형식과는 반대된다. 이들은 ITU-T의 오픈 표준 정의에 명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 기구에서 IPR 비관여 정책 하에 개발되었다.
AV1은 알고리즘의 복잡성을 피하면서 압축 효율을 높이는 최첨단 코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성능상 목표로 HEVC 및 VP9에 대해 약 50%의 효율 상승을 내걸었다.
4. 기술
프레임 내용은 매크로블록과 유사하게 슈퍼블록이라고 하는 인접한 동일 크기의 블록으로 분리된다. 슈퍼블록은 정사각형이며 크기는 128×128 또는 64×64 픽셀일 수 있다. 슈퍼블록은 서로 다른 분할 패턴에 따라 더 작은 블록으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T자형" 분할 패턴과 가로 또는 세로 4:1 및 1:4 종횡비 분할 기능이 도입되었다.
블록 내 예측은 쐐기 분할 예측을 포함하여 더 발전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양방향 예측에서 더 많은 유연성을 가지며, 8개의 프레임 버퍼 중 6개를 시간적 예측에 참조할 수 있다. 모션 벡터의 ''와핑 모션'' 및 ''글로벌 모션'' 도구는 카메라 모션으로 인한 패턴을 인식하여 중복 정보를 줄인다. 적응형 비트 전송률 스트리밍에서 낮은 해상도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인터 프레임 유형인 ''스위치 프레임''(S-프레임)도 사용된다.
AV1은 C 언어와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된 참조 구현을 2-절 BSD 라이선스 하에 자유 소프트웨어로 공개하고 있다.
4. 1. 파티셔닝 (Partitioning)
매크로블록과 유사하게, 프레임 내용은 슈퍼블록이라고 하는 인접한 동일 크기의 블록으로 분리된다. 슈퍼블록은 정사각형이며 크기는 128×128 또는 64×64 픽셀일 수 있다. 슈퍼블록은 서로 다른 분할 패턴에 따라 더 작은 블록으로 나눌 수 있는데, 4분할 패턴은 파티션이 재귀적으로 세분화될 수 있는 유일한 패턴이다. 이를 통해 슈퍼블록을 4×4 픽셀만큼 작은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다.
VP10을 위해 개발된 기능인 "T자형" 분할 패턴과 가로 또는 세로로 4:1 및 1:4 종횡비의 4개의 스트라이프로 분할하는 기능이 도입되었다. 사용 가능한 분할 패턴은 블록 크기에 따라 다르며, 128×128 및 8×8 블록은 4:1 및 1:4 분할을 사용할 수 없고, 8×8 블록은 T자형 분할을 사용할 수 없다.
4. 2. 예측 (Prediction)
AV1은 블록 내 예측을 더 발전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부드럽고 날카로운 전환 기울기(쐐기 분할 예측)뿐만 아니라 두 예측자 간의 차이에 기반한 암시적 마스크도 포함된다. 이를 통해 두 개의 인터 예측 또는 인터 예측과 인트라 예측을 동일한 블록에서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은 양방향 예측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면서 8개의 사용 가능한 프레임 버퍼 중 6개를 시간적(인터) 예측에 참조할 수 있다.
AV1의 ''와핑 모션''(warped_motion) 및 ''글로벌 모션''(global_motion) 도구는 모션 벡터에서 카메라 모션으로 인한 패턴을 인식하여 중복 정보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MPEG-4 ASP와 같은 이전 형식에서 시도되었던 아이디어를 구현하지만 3차원에서 작동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비트스트림에서 전체 프레임에 대한 일련의 와핑 매개변수를 제공하거나 블록은 주변 블록을 기반으로 계산되는 일련의 암시적 로컬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 프레임''(S-프레임)은 적응형 비트 전송률 스트리밍 사용 사례에서 비디오 세그먼트 시작 부분에 전체 키프레임 없이 낮은 해상도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동일한 비디오의 더 높은 해상도 버전에서 이미 디코딩된 참조 프레임을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인터 프레임 유형이다.
4. 2. 1. 인트라 예측 (Intra prediction)
인트라 예측은 현재 프레임에서 사용 가능한 정보만을 사용하여 주어진 블록의 픽셀을 예측한다. 대부분 인트라 예측은 예측된 블록의 위와 왼쪽에 있는 인접 픽셀로부터 구성된다. DC 예측기는 블록의 위와 왼쪽에 있는 픽셀을 평균하여 예측을 구성한다.
방향 예측기는 지정된 각도에 따라 이러한 인접 픽셀을 외삽한다. AV1에서는 8개의 주요 방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는 45도 각도에서 시작하여 203도까지 22.5도씩 증가한다. 또한, 각 방향 모드에 대해 더 큰 블록에 대해 3도의 6개 오프셋(주 각도보다 위로 3개, 아래로 3개)을 신호로 보낼 수 있으며, 총 56개의 각도가(ext_intra) 있다.
"TrueMotion" 예측기는 Paeth 예측기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왼쪽 상단 모서리의 알려진 픽셀과 새 픽셀의 바로 위 및 바로 왼쪽 픽셀의 차이를 살펴본 다음, 더 작은 기울기 방향에 있는 픽셀을 예측기로 선택한다. 일부 컴퓨터 화면 콘텐츠와 같이 최대 8개의 지배적인 색상을 가진 블록에 대해 팔레트 예측기가 사용 가능하며, 휘도와 색상 정보 간의 상관 관계는 이제 루마 평면의 샘플을 기반으로 하는 크로마 블록용 예측기(cfl)를 사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인터 예측 블록 경계를 따라 보이는 경계를 줄이기 위해 중첩 블록 모션 보상(OBMC)이라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블록의 크기를 확장하여 인접 블록과 2~32픽셀 겹치도록 하고, 겹치는 부분을 함께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4. 3. 데이터 변환 (Data transformation)
AV1은 정사각형, 2:1/1:2, 4:1/1:4 직사각형 DCT, 비대칭 DST, 항등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 수평 및 수직 차원에 대해 다른 변환을 사용하기 위해 두 개의 1차원 변환을 결합할 수 있다.
4. 4. 양자화 (Quantization)
AV1은 새롭게 최적화된 양자화 행렬(`aom_qm`)을 가지고 있다.[7] 각 프레임에 대해 8개의 양자화 매개변수 세트를 선택 및 신호 전송할 수 있으며, 이 세트는 두 개의 크로마 평면에 대한 개별 매개변수를 가지고 공간적 예측을 사용할 수 있다. 새로운 슈퍼블록마다 양자화 매개변수는 오프셋을 신호 전송하여 조정할 수 있다.
4. 5. 필터 (Filters)
링잉 아티팩트를 제거하는 에지 방향 조건부 대체 필터인 ''제한된 방향성 향상 필터''(cdef)가 있다.[8] 이는 주요 에지의 방향을 따라 블록을 부드럽게 하여 링잉 아티팩트를 제거한다.
또한 블록 처리에 의한 블러 아티팩트를 제거하기 위해 Wiener 필터와 자체 가이드 복원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루프 복원 필터''(loop_restoration)가 있다.
''필름 그레인 합성''(film_grain)은 파라메트릭 비디오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노이즈가 있는 신호의 코딩을 향상시킨다. 필름 그레인 노이즈에 내재된 무작위성으로 인해 이 신호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코딩 비용이 매우 많이 들거나 손상되거나 손실되기 쉬우며, 심각한 코딩 아티팩트를 잔류물로 남길 수 있다. 이 도구는 분석과 합성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객관적인 유사성이 아닌 주관적인 시각적 인상만을 기반으로 신호의 일부를 시각적으로 유사한 합성 텍스처로 대체한다. 신호에서 그레인 구성 요소를 제거하고, 무작위가 아닌 특성을 분석한 다음, 원본 구성 요소를 따라 모양이 지정된 합성, 의사 난수 노이즈 신호를 다시 추가하는 디코더에 설명적 매개변수만 전송한다. 이는 AC3, AAC, Vorbis 및 Opus 오디오 코덱에서 사용되는 지각적 노이즈 대체 기술과 시각적으로 동일하다.
4. 6. 엔트로피 코딩 (Entropy coding)
Daala의 엔트로피 코더는 VP9의 이진 엔트로피 코더를 대체하는 비이진 산술 코더이다. 비이진 산술 부호화를 사용하면 특허 회피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직렬 프로세스인 비트 레벨 병렬 처리를 추가하여 하드웨어 구현 시 클록 속도 요구 사항을 줄일 수 있다. 이는 CABAC와 같은 최신 이진 산술 부호화의 효율성이 이진보다 더 큰 알파벳을 사용하여 접근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허프만 코드와 같이 속도가 빨라진다(그러나 허프만 코드만큼 간단하고 빠르지는 않다). AV1은 프레임당이 아닌 부호화된 심볼당 산술 코더에서 심볼 확률을 적응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5. 품질 및 효율성
2017년 넷플릭스의 테스트에서는 720p 해상도에서 최대 신호 대 잡음비(PSNR) 및 비디오 다중 방법 평가 융합(VMAF) 측정 결과, AV1이 VP9(libvpx)보다 약 25%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페이스북의 PSNR 기반 테스트에서는 AV1 참조 인코더가 libvpx-VP9, x264 High 프로파일, x264 Main 프로파일보다 각각 34%, 46.2%, 50.3% 더 높은 데이터 압축을 달성했다.[10]
2017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테스트에서는 VP9가 비슷한 수준의 품질을 위해 AV1보다 31%, HEVC는 22% 더 많은 비트 전송률이 필요했다. 당시 AV1 인코더는 최적화 부족으로 인해 경쟁 인코더보다 2,500~3,500배 느리게 작동했다.
2020년 워털루 대학교 테스트에서는 2160p(4K) 비디오에서 평균 의견 점수(MOS)를 사용했을 때 AV1이 HEVC보다 9.5%, VP9보다 16.4%의 비트 전송률 절감 효과를 보였다.[11][12] 또한, 연구 당시 2160p에서 AV1 비디오 인코딩은 AVC 인코딩보다 평균 590배 더 오래 걸렸고, HEVC는 AVC보다 평균 4.2배, VP9는 AVC보다 평균 5.2배 더 오래 걸렸다.[11][12]
2020년 9월 스트리밍 미디어 매거진의 비교에서는 오픈 소스 libaom 및 SVT-AV1 인코더가 "veryslow" 프리셋의 x265보다 인코딩 시간이 약 2배 더 걸리지만, 비트 전송률은 15-20% 더 낮았다.
6. 프로파일과 레벨
AV1은 메인, 하이, 프로페셔널의 세 가지 프로파일과 2.0에서 6.3까지 다양한 레벨을 정의한다.[15] 프로파일은 비트 심도 및 크로마 서브샘플링 지원 범위를, 레벨은 최대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 영상 처리 성능과 관련된 제원을 정의한다. 구현 가능한 레벨은 하드웨어 성능에 따라 달라진다.[16]
| colspan="2" | | Main (0) | High (1) | Professional (2) | |
|---|---|---|---|---|
| 비트 심도 | 8 또는 10비트 | 8 또는 10비트 | 8, 10, 12비트 | |
| 크로마 서브샘플링 | 4:0:0 | 예 | 예 | 예 |
| 4:2:0 | 예 | 예 | 예 | |
| 4:2:2 | 아니요 | 아니요 | 예 | |
| 4:4:4 | 아니요 | 예 | 예 | |
| 레벨 | 최대 픽처 크기 (샘플) | 최대 수평 크기 (샘플) | 최대 수직 크기 (샘플) | 최대 디스플레이 속도 (샘플/초) | 최대 디코딩 속도 (샘플/초) | 최대 헤더 속도(초당) | MainMbps (Mbit/s) | HighMbps (Mbit/s) | 최소 컴프 베이시스 | 최대 타일 수 | 최대 타일 열 수 | 예시 |
|---|---|---|---|---|---|---|---|---|---|---|---|---|
| 2.0 | 147456 | 2048 | 1152 | 4,423,680 | 5,529,600 | 150 | 1.5 | - | 2 | 8 | 4 | 426×240@30fps |
| 2.1 | 278784 | 2816 | 1584 | 8,363,520 | 10,454,400 | 150 | 3.0 | - | 2 | 8 | 4 | 640×360@30fps |
| 3.0 | 665856 | 4352 | 2448 | 19,975,680 | 24,969,600 | 150 | 6.0 | - | 2 | 16 | 6 | 854×480@30fps |
| 3.1 | 1065024 | 5504 | 3096 | 31,950,720 | 39,938,400 | 150 | 10.0 | - | 2 | 16 | 6 | 1280×720@30fps |
| 4.0 | 2359296 | 6144 | 3456 | 70,778,880 | 77,856,768 | 300 | 12.0 | 30.0 | 4 | 32 | 8 | 1920×1080@30fps |
| 4.1 | 2359296 | 6144 | 3456 | 141,557,760 | 155,713,536 | 300 | 20.0 | 50.0 | 4 | 32 | 8 | 1920×1080@60fps |
| 5.0 | 8912896 | 8192 | 4352 | 267,386,880 | 273,715,200 | 300 | 30.0 | 100.0 | 6 | 64 | 8 | 3840×2160@30fps |
| 5.1 | 8912896 | 8192 | 4352 | 534,773,760 | 547,430,400 | 300 | 40.0 | 160.0 | 8 | 64 | 8 | 3840×2160@60fps |
| 5.2 | 8912896 | 8192 | 4352 | 1,069,547,520 | 1,094,860,800 | 300 | 60.0 | 240.0 | 8 | 64 | 8 | 3840×2160@120fps |
| 5.3 | 8912896 | 8192 | 4352 | 1,069,547,520 | 1,176,502,272 | 300 | 60.0 | 240.0 | 8 | 64 | 8 | 3840×2160@120fps |
| 6.0 | 35651584 | 16384 | 8704 | 1,069,547,520 | 1,176,502,272 | 300 | 60.0 | 240.0 | 8 | 128 | 16 | 7680×4320@30fps |
| 6.1 | 35651584 | 16384 | 8704 | 2,139,095,040 | 2,189,721,600 | 300 | 100.0 | 480.0 | 8 | 128 | 16 | 7680×4320@60fps |
| 6.2 | 35651584 | 16384 | 8704 | 4,278,190,080 | 4,379,443,200 | 300 | 160.0 | 800.0 | 8 | 128 | 16 | 7680×4320@120fps |
| 6.3 | 35651584 | 16384 | 8704 | 4,278,190,080 | 4,706,009,088 | 300 | 160.0 | 800.0 | 8 | 128 | 16 | 7680×4320@120fps |
6. 1. 프로파일 (Profiles)
AV1은 메인, 하이, 프로페셔널의 세 가지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메인 프로파일은 4:0:0(흑백) 및 4:2:0(쿼터) 크로마 서브샘플링을 사용하여 샘플당 8 또는 10 비트의 비트 심도를 허용한다. 하이 프로파일은 4:4:4 크로마 샘플링(서브샘플링 없음)에 대한 지원을 추가한다. 프로페셔널 프로파일은 8, 10 및 12 비트 색상 심도로 4:0:0, 4:2:0, 4:2:2(하프) 및 4:4:4 크로마 서브샘플링에 대한 전체 지원으로 기능을 확장한다.| colspan="2" | | 메인 (0) | 하이 (1) | 프로페셔널 (2) | |
|---|---|---|---|---|
| 비트 심도 | 8 또는 10 | 8 또는 10 | 8, 10 및 12 | |
| 크로마 서브샘플링 | 4:0:0 | 예 | 예 | 예 |
| 4:2:0 | 예 | 예 | 예 | |
| 4:2:2 | 아니요 | 아니요 | 예 | |
| 4:4:4 | 아니요 | 예 | 예 | |
6. 2. 레벨 (Levels)
AV1은 디코더를 위한 레벨을 정의하며, 레벨별 최대 변수는 2.0에서 6.3까지이다.[15] 구현할 수 있는 레벨은 하드웨어 성능에 따라 달라진다.예시 해상도로는 레벨 2.0 (426×240@30fps), 레벨 3.0 (854×480@30fps), 레벨 4.0 (1920×1080@30fps), 레벨 5.1 (3840×2160@60fps), 레벨 5.2 (3840×2160@120fps), 레벨 6.2 (7680×4320@120fps)가 있다. 레벨 7은 아직 정의되지 않았다.[16]
| 레벨 | 최대 픽처 크기 (샘플) | 최대 수평 크기 (샘플) | 최대 수직 크기 (샘플) | 최대 디스플레이 속도 (샘플/초) | 최대 디코딩 속도 (샘플/초) | 최대 헤더 속도(초당) | MainMbps (Mbit/s) | HighMbps (Mbit/s) | 최소 컴프 베이시스 | 최대 타일 수 | 최대 타일 열 수 | 예시 |
|---|---|---|---|---|---|---|---|---|---|---|---|---|
| 2.0 | 147456 | 2048 | 1152 | 4,423,680 | 5,529,600 | 150 | 1.5 | - | 2 | 8 | 4 | 426×240@30fps |
| 2.1 | 278784 | 2816 | 1584 | 8,363,520 | 10,454,400 | 150 | 3.0 | - | 2 | 8 | 4 | 640×360@30fps |
| 3.0 | 665856 | 4352 | 2448 | 19,975,680 | 24,969,600 | 150 | 6.0 | - | 2 | 16 | 6 | 854×480@30fps |
| 3.1 | 1065024 | 5504 | 3096 | 31,950,720 | 39,938,400 | 150 | 10.0 | - | 2 | 16 | 6 | 1280×720@30fps |
| 4.0 | 2359296 | 6144 | 3456 | 70,778,880 | 77,856,768 | 300 | 12.0 | 30.0 | 4 | 32 | 8 | 1920×1080@30fps |
| 4.1 | 2359296 | 6144 | 3456 | 141,557,760 | 155,713,536 | 300 | 20.0 | 50.0 | 4 | 32 | 8 | 1920×1080@60fps |
| 5.0 | 8912896 | 8192 | 4352 | 267,386,880 | 273,715,200 | 300 | 30.0 | 100.0 | 6 | 64 | 8 | 3840×2160@30fps |
| 5.1 | 8912896 | 8192 | 4352 | 534,773,760 | 547,430,400 | 300 | 40.0 | 160.0 | 8 | 64 | 8 | 3840×2160@60fps |
| 5.2 | 8912896 | 8192 | 4352 | 1,069,547,520 | 1,094,860,800 | 300 | 60.0 | 240.0 | 8 | 64 | 8 | 3840×2160@120fps |
| 5.3 | 8912896 | 8192 | 4352 | 1,069,547,520 | 1,176,502,272 | 300 | 60.0 | 240.0 | 8 | 64 | 8 | 3840×2160@120fps |
| 6.0 | 35651584 | 16384 | 8704 | 1,069,547,520 | 1,176,502,272 | 300 | 60.0 | 240.0 | 8 | 128 | 16 | 7680×4320@30fps |
| 6.1 | 35651584 | 16384 | 8704 | 2,139,095,040 | 2,189,721,600 | 300 | 100.0 | 480.0 | 8 | 128 | 16 | 7680×4320@60fps |
| 6.2 | 35651584 | 16384 | 8704 | 4,278,190,080 | 4,379,443,200 | 300 | 160.0 | 800.0 | 8 | 128 | 16 | 7680×4320@120fps |
| 6.3 | 35651584 | 16384 | 8704 | 4,278,190,080 | 4,706,009,088 | 300 | 160.0 | 800.0 | 8 | 128 | 16 | 7680×4320@120fps |
7. 컨테이너 포맷 지원
8. 채택
AV1 개발 연합의 동기에는 AVC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MPEG 설계 코덱인 HEVC의 특허 라이선스와 관련된 높은 비용과 불확실성이 포함되었다. 또한 연합의 7개 창립 멤버인 아마존, 시스코, 구글,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모질라, 넷플릭스는 비디오 형식의 초기 초점이 고품질 웹 비디오 제공에 맞춰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AV1의 공식 발표는 2015년 9월 1일 Alliance for Open Media의 설립에 대한 보도 자료와 함께 이루어졌다. 불과 42일 전인 2015년 7월 21일, HEVC Advance의 초기 라이선스 제안은 전작인 AVC의 로열티 수수료보다 인상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HEVC의 라이선싱 프로세스는 MPEG LA와 같은 단일 주체로부터 표준 기술의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었던 이전 MPEG 표준과 달리, HEVC 표준이 완성되었을 때 두 개의 특허 풀이 형성되었고 세 번째 풀이 곧 등장할 예정이었으며, 다양한 특허 보유자들이 두 풀을 통해 특허 라이선스를 거부하여 HEVC의 라이선싱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는 점에서 복잡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이안 르그로우에 따르면, 오픈 소스, 로열티 프리 기술이 이러한 라이선싱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무료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허 라이선싱의 부정적인 영향도 AV1 개발의 이유로 언급되었다. 예를 들어, H.264 구현을 파이어폭스에 구축하면 MPEG-LA에 라이선스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무료로 배포할 수 없게 된다.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은 FRAND 특허 라이선싱 관행이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와의 다양한 호환성 문제로 인해 표준의 자유 소프트웨어 구현을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AV1 프로젝트의 많은 구성 요소는 연합 멤버들의 이전 연구 노력을 통해 공급되었다. 개별 기여자들이 수년 전에 실험적인 기술 플랫폼을 시작했다: Xiph/모질라의 Daala는 2010년에 코드를 게시했고, 구글의 실험적인 VP9 진화 프로젝트 VP10은 2014년 9월 12일에 발표되었으며, 시스코의 Thor는 2015년 8월 11일에 게시되었다. VP9의 코드 베이스를 기반으로 AV1은 이러한 실험적 형식에서 개발된 여러 기술을 통합했다.
삼성, 비메오,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 모질라, AMD, 엔비디아, 인텔, ARM, 구글, 페이스북, 시스코, 아마존, 훌루, VideoLAN, 어도비, 애플(Apple Inc.)을 포함한 많은 회사들이 Alliance for Open Media에 참여하고 있다. 애플은 AOMedia의 운영 멤버이지만, 설립 이후에 참여했다. AV1 스트림의 관리는 Coremedia에서 관리할 수 있는 유형별 비디오에 공식적으로 포함되었다.[1]
AV1 참조 코덱의 첫 번째 버전 0.1.0은 2016년 4월 7일에 게시되었다. 2017년 10월 말에 소프트 기능 고정이 발효되었지만, 여러 중요한 기능에 대한 개발이 계속되었다. 비트스트림 형식은 2018년 1월에 고정될 예정이었지만, 해결되지 않은 치명적인 버그와 변환, 구문, 움직임 벡터 예측의 추가 변경, 법적 분석 완료 등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연합은 2018년 3월 28일에 AV1 비트스트림 사양을 참조 소프트웨어 기반 인코더 및 디코더와 함께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2018년 6월 25일에는 검증된 버전 1.0.0의 사양이 출시되었다.
2019년 1월 8일에는 검증된 ''오류 1이 포함된 버전 1.0.0'' 사양이 출시되었다.
AOM 멤버인 Bitmovin의 마틴 스몰은 비트스트림 형식이 고정된 후 가장 큰 과제는 계산 효율성이라고 말했다. 형식 작업 중에 인코더는 생산 사용을 목표로 하지 않았으며 속도 최적화는 우선 순위가 아니었다. 결과적으로 AV1의 초기 버전은 기존 HEVC 인코더보다 수십 배 느렸다.
결과적으로 개발 노력의 상당 부분이 참조 인코더의 성숙으로 전환되었다. 2019년 3월, 참조 인코더의 속도가 크게 향상되어 다른 일반 형식의 인코더와 동일한 수준이 되었다고 보고되었다.
2021년 1월 21일, AV1의 MIME 유형은 `video/AV1`로 정의되었다. 이 MIME 유형을 사용하는 AV1의 사용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목적에만 제한된다.[2]
소프트웨어 인코딩이 현실적이지 않을 정도로 느리기 때문에 (SVT-AV1은 예외[111]), 막대한 인코딩 시간을 들여 파일 크기를 줄이고 트래픽 비용을 낮추는 것이 이익으로 이어지는 동영상 배급 사업자가 채용을 표명하고 있다.
Alliance for Open Media에 속하는 반도체 사업자(AMD, ARM, 엔비디아, 인텔)는 AV1의 하드웨어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회사 | 제품 | 디코딩 | 인코딩 | 프로필 | 처리량 (싱글 코어) | 처리량 (최대) | 참고 |
|---|---|---|---|---|---|---|---|
| AMD | RDNA 2 (Navi 24 제외) | 지원 | 미지원 | Main (0) | 8K30 10비트 | [55][56][57][58] | |
| RDNA 3 | 지원 | 지원 | 8K60 (10비트 인코딩, 12비트 디코딩) | [59][60] | |||
| RDNA 3.5 | 지원 | 지원 | 4K60 | ||||
| Alveo MA35D | 지원 | 지원 | [61][62] | ||||
| Amlogic | S905X4 | 지원 | 미지원 | 4K120 | 8K | ||
| S908X | 지원 | 미지원 | 8K60 | ||||
| S805X2 | 지원 | 미지원 | 1080p | ||||
| 애플(Apple Inc.) | A17 Pro | 지원 | 지원 | 4K60 | [63] | ||
| A18 / A18 Pro | 지원 | 지원 | |||||
| M3 시리즈 | 지원 | 지원 | |||||
| M4 시리즈 | 지원 | 지원 | |||||
| 브로드컴(Broadcom Corporation) | BCM7218X | 지원 | 미지원 | 4K | |||
| 칩스앤미디어(Chips&Media) | WAVE510A WAVE627[64] | 지원 | 지원 | Main (0) | 4K60 | 4K120 | |
| 구글 | Tensor Original / Tensor G2 | 지원 | 미지원 | 4K60 | [65] | ||
| Tensor G3 | 지원 | 지원 | 4K60 | [66] | |||
| 인텔 | Xe | 지원 | 지원 | Main (0) | 8K 10비트[67] | [68][69][56][70] | |
| Xe 2 | 지원 | 지원 | 8K 10비트 | 8K 10비트 | |||
| 아크(Intel Arc) | 지원 | 지원 | 8K60 | [71][72] | |||
| Data Center GPU Flex Series | 지원 | 지원 | [73][74] | ||||
| 미디어텍 | Dimensity 1000 시리즈 | 지원 | 미지원 | 4K60 | 4K60 | [75][76][77] | |
| Dimensity 8000 시리즈 | 지원 | 미지원 | [78] | ||||
| Dimensity 9000 시리즈 | 지원 | 지원 | 8K30 | [79][80] | |||
| MT96XX 시리즈 | 지원 | 미지원 | 4K60 10비트 | 4K60 10비트 | [81] | ||
| MT9950 | 지원 | 미지원 | 8K30 | [82] | |||
| Pentonic 시리즈 | 지원 | 지원 | |||||
| NETINT | Quadra T1 (1x Codensity G5 ASIC) | 지원 | 4x 4K60 10비트 스트림 | 4x 4K60 10비트 스트림 | [83][84] | ||
| Quadra T2 (2x Codensity G5 ASICs) | 지원 | 4x 4K60 10비트 스트림 | 8x 4K60 10비트 스트림 | [83][84] | |||
| Quadra T4 (4x Codensity G5 ASICs) | 지원 | 4x 4K60 10비트 스트림 | 16x 4K60 10비트 스트림 | [83][84] | |||
| 엔비디아 | GeForce 30 | 지원 | 미지원 | Main (0) | 8K60 10비트 | [85][56][86] | |
| GeForce 40 | 지원 | 지원 | Main (0) | 8K60 10비트 | 2x 8K60 10비트 | [87][88][89][90] | |
| 퀄컴 | Snapdragon 8 Gen 2 | 지원 | 미지원 | 8K60 | [91] | ||
| Snapdragon 8/8s Gen 3 | 지원 | 미지원 | |||||
| Snapdragon X Plus/Elite | 지원 | 미지원 | Main (0) | 4K120 10비트 | [92] | ||
| 리얼텍 | RTD1311 | 지원 | 미지원 | 4K | |||
| RTD2893 | 지원 | 미지원 | 8K | ||||
| 록칩 | RK3588 | 지원 | 미지원 | 4K60 10비트 | |||
| 삼성 | Exynos 2000 시리즈 | 지원 | 지원 | 8K30 | [93][94] |
8. 1. 콘텐츠 제공자 (Content providers)
유튜브(YouTube)는 2018년에 AV1 베타 출시 재생 목록을 공개하며 AV1 배포를 시작했다.[19] 2020년에는 Android TV용 유튜브 앱에서 AV1 재생을 지원하고, 8K 해상도 비디오를 AV1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19]넷플릭스(Netflix)는 2020년 2월 안드로이드 앱에서 특정 타이틀 스트리밍에 AV1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2021년 11월에는 AV1 디코더가 탑재된 TV 및 PlayStation 4 Pro로 AV1 콘텐츠 스트리밍을 시작했다.
페이스북(Facebook)은 2019년 2월에 AV1 코덱을 점진적으로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2022년 11월에는 인스타그램 릴스(Instagram Reels)에 AV1 코덱을 적용했다.[23][24]
비메오(Vimeo)는 2019년 6월 "스태프 픽" 채널 비디오에 AV1 및 Opus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아이치이(iQIYI)는 2020년 4월 PC 웹 브라우저 및 안드로이드 장치에서 AV1 지원을 발표했다.[27]
트위치(Twitch)는 2022년 또는 2023년에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에 AV1을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빌리빌리(Bilibili)는 2022년 1월 높은 조회수를 가진 비디오에 H.265 HEVC 및 AV1 인코딩을 출시했다.[32]
DMM.com은 2024년 7월 DMM.TV 서비스에 AV1을 배포하여 일본 최초의 기업이 되었다.[33]
8. 2. 소프트웨어 구현 (Software implementations)
- Libaom은 참조 소프트웨어이다. 인코더(aomenc)와 디코더(aomdec)를 포함한다. 이전 연구 코덱으로서 모든 기능을 정당하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인코딩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기능이 고정되었을 때 인코더는 문제가 될 정도로 느려졌지만, 그 후 효율성에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획기적인 속도 최적화가 이루어졌다.
- SVT-AV1은 주로 인텔과 넷플릭스가 협력하여 개발한 오픈 소스 인코더와 디코더를 포함하며, 특히 스레딩 성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20년 8월, Alliance for Open Media Software Implementation Working Group은 SVT-AV1을 자체 제작 인코더로 채택했다.[34] SVT-AV1 1.0.0은 2022년 4월 22일에 출시되었다. SVT-AV1 2.0.0은 2024년 3월 13일에 출시되었다.
- rav1e는 Xiph.Org 재단에서 Rust와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된 인코더이다. rav1e는 aomenc와 반대되는 개발 방식을 취한다. 즉, 가장 단순하고 (따라서 가장 빠르며) 호환되는 인코더로 시작하여 속도를 유지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율성을 개선한다.
- dav1d는 어셈블리와 C99로 작성된 디코더로, 속도와 이식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VideoLAN과 관련되어 있다. 첫 번째 공식 버전(0.1)은 2018년 12월에 출시되었다. 버전 0.3은 2019년 5월에 발표되었으며 aomdec보다 2~5배 빠른 성능을 보여주는 추가 최적화가 이루어졌다. 버전 0.5는 2019년 10월에 출시되었다. 파이어폭스 67은 2019년 5월에 기본 디코더를 Libaom에서 dav1d로 전환했다. 2019년에 dav1d v0.5는 libgav1 및 libaom과 비교하여 최고의 디코더로 평가받았다.[35]
- 시스코 AV1(Cisco AV1)은 시스코가 자체 Webex 화상 회의 제품을 위해 개발한 독점 라이브 인코더이다. 이 인코더는 지연 시간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일반 노트북"과 같은 사용 가능한 CPU 사용 공간에 제약이 있다. 시스코는 고속, 저지연이라는 작동 지점에서 AV1의 광범위한 도구 세트가 낮은 인코딩 복잡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모든 프로필에서 화면 콘텐츠 및 확장성을 위한 도구의 가용성 덕분에 HEVC보다 더 나은 압축 대 속도 트레이드 오프를 찾을 수 있었다. 이전에 배포한 H.264 인코더와 비교했을 때 특히 개선된 부분은 고해상도 화면 공유였다.
- libgav1은 구글에서 출시한 C++11로 작성된 디코더이다.[36]
8. 3. 소프트웨어 지원 (Software support)
다음은 AV1 코덱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목록이다.| 소프트웨어 종류 | 소프트웨어 이름 | 지원 버전 및 내용 |
|---|---|---|
| 웹 브라우저 | 파이어폭스 | 67.0부터 소프트웨어 디코딩 지원 (32/64비트, Windows, macOS, Linux), 100.0부터 하드웨어 디코딩 지원[37][38] |
| 구글 크롬 | 70부터 디코딩 지원, 90부터 인코딩 지원[39] | |
| 오페라 | 57부터 | |
|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 2018년 10월 업데이트 (1809)부터 AV1 비디오 확장 추가 기능 설치 시, 121부터 기본 지원[40] | |
| 비발디 | 2018년 10월부터[41] | |
| 브레이브 | 해당 사항 없음 | |
| 씨몽키 | 2.53.5부터[42] | |
| 사파리 | 17.0부터 (아이폰 15 프로, 아이폰 15 프로 맥스, 아이폰 16, 애플 M3 SoC 탑재 Mac 컴퓨터에서 지원)[43][44][45] | |
| 비디오 플레이어 | VLC 미디어 플레이어 | 3.0부터 |
| mpv | 0.29.0부터[46] | |
| Xine-lib | 1.2.10부터 | |
| IINA | 1.1.0 베타 1부터 (2020년 9월 2일) 디코딩 지원[47] | |
| 팟플레이어 | 1.7.14804부터 (2018년 10월 16일) | |
| K-Lite 코덱 팩 | 14.4.5부터 (2018년 9월 13일) | |
| 미디어 플레이어 클래식 | 1.8.1부터 (2018년 9월 14일)[48] | |
| MX 플레이어 | 1.24.1부터 (2020년 5월 7일) | |
| 인코더 프런트엔드 | FFmpeg | 4.0부터 libaom 지원, 4.3부터 rav1e 지원, 4.4부터 SVT-AV1 지원 |
| HandBrake | 1.3.0부터 디코딩 지원, 1.6.0부터 SVT-AV1 및 QSV AV1 인코딩 지원[49] | |
| 비트무빈 인코딩 | 1.50.0부터 (2018년 7월 4일) | |
| 비디오 편집기 | 다빈치 리졸브 | 17.2부터 디코딩 지원, 17.4.6부터 Intel Arc 하드웨어 인코딩 지원, 18.1부터 Nvidia 하드웨어 인코딩 지원, 18.5부터 AMD 하드웨어 인코딩 지원[50] |
| 기타 | GStreamer | 1.14부터 |
| OBS 스튜디오 | 27.2 Beta 1부터 libaom 및 SVT-AV1 지원, 29.1 Beta 1부터 GPU(QSV, NVENC, VCN 4.0) 인코딩 및 YouTube와 RTMP를 통한 AV1 스트리밍 전송 지원 | |
| MKVToolNix | 28부터 최종 av1-in-mkv 사양 채택 | |
| MediaInfo | 18.03부터 | |
| 구글 듀오 | 2020년 4월부터 | |
| 어도비 오디션 | 디코딩 지원 (비디오 미리보기) | |
| 아비데먹스 | 2.76부터 디코딩 지원 (2020년 7월 7일) | |
| VDPAU | 1.5부터 디코딩 지원 (2022년 3월 7일) |
8. 4. 운영체제 지원
| scope="col" | | Microsoft Windows | macOS | BSD / 리눅스 | 크롬OS | 안드로이드 | iOS |
|---|---|---|---|---|---|---|
| 코덱 지원 | ||||||
| 컨테이너 지원 | ||||||
| 비고 | ChromeOS 70 이상부터 디코딩 지원 | 안드로이드 10부터 지원 | AV1 하드웨어 디코더가 탑재된 A17 애플 실리콘 이상의 기기에서만 재생 지원.[52][43] |
8. 5. 하드웨어
(싱글 코어)(최대)
WAVE627[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