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W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IWS(Close-In Weapon System)는 근접 방어 무기 체계로, 함정에 접근하는 대함 미사일이나 항공기를 요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트기의 등장으로 기관포의 효용성이 감소하고, 소형 대함 미사일의 위협이 증가하면서 CIWS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CIWS는 기관포, 미사일, 레이저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며, 자동화된 사격 통제 시스템을 통해 짧은 시간 안에 표적을 요격한다. 기관포 기반 CIWS는 20mm~40mm 구경의 기관포를 사용하며, 미사일 기반 CIWS는 단거리 대공 미사일을, 복합형 CIWS는 기관포와 미사일을 함께 사용한다. 레이저 기반 CIWS는 연구 개발 단계에 있으며, 지상에서도 C-RAM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IWS - 기관포
기관포는 19세기 개틀링 기관총에서 시작되어 20mm 이상의 구경을 가진 자동화된 화포를 의미하며, 1, 2차 세계 대전에서 널리 사용된 후 현대에는 육상, 해상, 공중에서 다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 CIWS - 팰렁스 CIWS
팰렁스 CIWS는 함정의 최종 방어선 역할을 하는 근접 방어 무기 체계로, M61 벌컨포와 사격 통제 레이더 시스템을 연동하여 표적을 자동 탐색, 추적, 교전하며 통합 표적 시스템이 없는 함정에서도 운용 가능하다. - 해군 -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은 1965년 독립 후 창설되어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충원하며,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통신군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해군 - 대제독
대제독은 여러 국가 해군의 최고 계급 중 하나로, 국가별 역사, 임명 기준, 역할이 다양하며, 독일 해군에서는 해군 원수에 상당하는 계급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대중 문화 속 픽션 작품에도 등장한다.
| CIWS | |
|---|---|
| 개요 | |
![]() | |
![]() | |
| 일반 정보 | |
| 명칭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lose-in weapon system, CIWS) |
| 발음 | 씨위즈 (sea-whiz) |
| 역할 | 최후의 방어선 |
| 개발 국가 |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트기의 등장으로 항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관포는 단거리 방공에서 그 가치가 떨어졌다. 근접 신관과 사격 통제 레이더와 연동되는 약 7.62cm ~ 약 12.70cm 구경의 속사포가 대공 무기의 주류가 되었고, 더 긴 사거리를 방어하기 위한 함대공 미사일 (SAM)도 배치되었다.[6] 특히 미국 해군은 항공모함 전력이 강력했기 때문에 소비에트 연방의 대함 미사일 위협을 발사 전에 제거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큰 위협으로 여기지 않았다.[6]
하지만 1967년 10월 소모 전쟁 중 에일라트 사건으로 구축함이 P-15 (SS-N-2) 함대함 미사일에 피격되면서, 저공으로 비행하는 대함 미사일의 위협에 대해 기존의 함포나 SAM으로는 방어가 어렵다는 것이 드러났다.[7] 미국 해군은 대함 미사일 방어(ASMD)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68년부터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7]
그 결과 팰렁스 CIWS가 개발되었고, 이후 "CIWS"는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을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6] 팰렁스는 기관포와 사격 지휘 시스템을 통합하여 자동적, 자기 완결적으로 대공전을 수행하여 반응 시간을 단축했다. 화기 관제 레이더 등을 기관포와 분리하여 원격 운용하는 시스템도 기능적으로는 근접 방공에 해당하므로 CIWS에 포함된다.[7] 에르리콘 밀레니엄과 같이 ABM탄을 사용하여 탄막을 형성하는 CIWS도 개발되었다.[13] 또한, 기관포와 소형 근접 방공 미사일을 결합한 형태도 등장하였다.[7]
2. 1. 개발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항공기가 제트기로 전환되면서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관포는 단거리 방공에서 그 가치가 하락했다. 근접 신관 (VT 신관)과 사격 통제 레이더와 연동되는 약 7.62cm ~ 약 12.70cm 구경의 속사포가 대공 무기의 주류가 되었고, 더 긴 사거리를 방어하기 위한 함대공 미사일 (SAM)도 배치되었다.[6] 특히 미국 해군은 압도적인 항공모함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비에트 연방의 대함 미사일 위협을 발사 전에 제거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큰 위협으로 인식하지 않았다.[6]하지만 1967년 10월 소모 전쟁 중에 발생한 에일라트 사건은 서방 국가 해군의 인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6] 이 사건에서 구축함이 P-15 (SS-N-2) 함대함 미사일에 피격되면서, 저공으로 비행하는 대함 미사일의 위협에 대해 기존의 함포나 SAM으로는 방어가 어렵다는 것이 드러났다.[7] 미국 해군은 대함 미사일 방어(ASMD)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함정 장비와 인원, 교육 훈련 등 모든 면에서 대개혁을 실시했다.[6] 그 일환으로 1968년부터 대함 미사일을 확실하게 방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 검토가 시작되었다.[7]
이를 통해 개발된 것이 팰렁스 CIWS이며, 이후 "CIWS"는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을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6] 팰렁스는 기관포와 사격 지휘 시스템을 통합하여 자동적, 자기 완결적으로 대공전을 수행하여 반응 시간을 단축했다. 화기 관제 레이더 등을 기관포와 분리하여 원격 운용하는 시스템도 기능적으로는 근접 방공에 해당하므로 CIWS에 포함된다.[7] 에르리콘 밀레니엄과 같이 ABM탄으로 탄막을 형성하는 방식도 있다.[13] 또한, 기관포와 함께 소형 근접 방공 미사일을 사용하는 시스템도 등장했다.[7]
2. 2. 발전 과정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트기의 등장으로 공격기가 고속화되면서 기관포의 가치는 하락했고, 근접 신관과 사격 통제 레이더에 연동된 약 7.62cm 구경의 속사포가 대공 무기의 주류가 되었다. 함대공 미사일 (SAM)의 배치도 진행되었으며, 특히 미국 해군은 소비에트 연방의 대함 미사일 개발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항공모함의 항공 전력을 통해 미사일 발사 이전에 대부분의 위협을 제거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큰 위협으로 인식하지 않았다.[1]하지만 1967년 10월 소모 전쟁 중 발생한 에일라트 사건은 서방 국가 해군의 인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1] 이 사건으로 인해 구축함이 P-15 함대함 미사일에 피격되면서, 저공으로 비행하는 대함 미사일의 위협과 기존 방어 시스템의 한계가 드러났다.[2] 미국 해군은 대함 미사일 방어(ASMD)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68년부터 짧은 리액션 타임으로 대함 미사일을 확실하게 방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 검토를 시작했다.[2]
이를 통해 팰렁스 CIWS가 개발되었고, 이후 "CIWS"는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을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1] 팰렁스는 기관포와 사격 지휘 시스템을 통합하여 자동화된 대공전을 가능하게 했고, 다른 CIWS는 화기 관제 레이더를 분리 설치하여 원격 운용하기도 한다.[2] 초기 CIWS는 기관포를 주로 사용했지만, 이후 에르리콘 밀레니엄과 같이 ABM탄을 사용하여 탄막을 형성하는 CIWS도 개발되었다.[3] 또한, 기관포와 소형 근접 방공 미사일을 결합한 형태도 등장하였다.[2]
3. 구성 및 종류
CIWS는 크게 기관포 기반과 미사일 기반으로 나뉘며, 기관포와 미사일을 함께 운용하는 복합형도 있다.
기관포 기반 CIWS는 레이더, 컴퓨터, 회전식 또는 리볼버식 기관포를 조합하여 자동 조준되는 회전식 포좌에 장착한 것이다. 그러나 기관포 시스템은 최대 유효 사거리가 짧고(약 5000m), 대함 미사일의 예상 격추 거리는 이보다 훨씬 가까운 500m 이하[4]여서 함선의 센서나 통신 장비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미사일을 완전히 파괴하지 못하거나 궤도를 변경시키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5]도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 CIWS는 근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함께 장착하여 전술적 유연성을 높이기도 한다.
3. 1. 기관포 기반 CIWS
레이더, 컴퓨터, 그리고 회전식 또는 리볼버식 기관포를 조합하여 자동 조준되는 회전식 포좌에 장착한다. 대표적인 기관포 기반 CIWS는 다음과 같다.| 국가 | 명칭 및 구경 | 비고 |
|---|---|---|
| 러시아 | AK-630, 630M, 306, 630M1-2, 630M2 (30×165mm) | |
| 튀르키예 | 아셀산 GOKDENIZ 및 GOKDENIZ ER (35×228mm) | |
| 이탈리아 | DARDO 및 Fast Forty (40×365mmR)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데넬 35mm 다목적포 (35×228mm) | |
| 네덜란드 | 골키퍼 CIWS (30×173mm) | |
| 러시아 | 카쉬탄 CIWS 및 M형 (30×165mm) | |
| 독일 | 마우저 BK-27 (27×145mm) | |
| 스페인 | 메로카 CIWS (20×128mm) | |
| 미국 | 미리아드 CIWS (25×184mm) | |
| 폴란드 | PIT-Radwar OSU-35K (35×228mm) | |
| 독일 | 라인메탈 외를리콘 밀레니엄 건[2][3] (35×228mm) | |
| 독일 | 라인메탈 씨 스네이크 30 mm (30×173mm) | |
| 미국 | 팰렁스 CIWS 블록 0, 1, 1A, 그리고 1B (20×102mm) | |
| 미국 | 씨 제니스 (25×184mm) | |
| 중국 | H/PJ-76A (37×240mm) | |
| 중국 | 730식 및 1130식 CIWS (30×165mm) | |
| 러시아 | 판치르-M (30×165mm) |
기관포 기반 CIWS의 한계:
- 근접 거리: 기관포 시스템의 최대 유효 사거리는 약 5000m이며, 가벼운 발사체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사거리가 더 짧다. 대함 미사일의 예상 격추 거리는 약 500m 이하인데,[4] 이는 함선의 센서나 통신 장비에 피해를 주거나, 노출된 인원을 부상 또는 사망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 제한된 격추 확률: 미사일이 피격되어 손상되더라도 완전히 파괴되거나 궤도를 변경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운동 에너지탄을 사용하는 경우, 직접 명중해도 미사일 또는 파편이 의도된 표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 CIWS는 전술적 유연성을 높이고자 근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함께 장착하기도 한다. 러시아의 카쉬탄 CIWS와 판치르-M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3. 2. 미사일 기반 CIWS
- 9M337 소스나-R
- HQ-10 / FL-3000N
- 판치르-M 미사일 시스템
- RIM-116 롤링 에어프레임 미사일
- 시 오릭스
- 토르 미사일 시스템
3. 3. 복합형 CIWS
카쉬탄 CIWS은 기관포와 미사일을 함께 운용하여 전술적 유연성을 높인 복합형 CIWS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러시아
- * 카쉬탄 - 30mm 구경의 개틀링포 (AO-18K) 2문과 9M311 근접 방공 미사일 8발을 일체화한 시스템이다.[2]
- * 팔마 - 30mm 구경 개틀링포 (AO-18K) 2문과 9M337 Sosna-R영어 근접 방공 미사일 8발을 일체화한 시스템이다.[2]
- * 판츠리-M - 30mm 구경의 개틀링포 (AO-18KD) 2문과 57E6 근접 방공 미사일 8발을 일체화한 시스템이다.[2]
참조
[1]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world naval weapons systems, 1991/92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1991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 Rm-general-news-2008
http://www.rheinmeta[...]
2008-08-16
[3]
웹사이트
Millennium, 35 mm Naval Gun System (GDM-008)
http://www.rheinmeta[...]
2007-09-27
[4]
간행물
Limitations of Guns as a Defence against Manoeuvring Air Weapons
http://dspace.dsto.d[...]
DSTO Systems Sciences Laboratory
2004-06
[5]
Discovery Channel
Discovery Channel Science Top 10 Weapon: Fire Power
[6]
웹사이트
Italy 40 mm/70 (1.57") Breda
http://www.navweaps.[...]
Navweaps.com
2013-05-18
[7]
웹사이트
Kashtan Kashtan-M Kashtan Кортик экспортное наименование "Каштан" CADS-N-1 Palma Palash Пальма close in weapon system CIWS Russian Navy Technology datasheet pictures photos video specifications
http://www.navyrecog[...]
2020-07-10
[8]
웹사이트
The US Navy - Fact File
http://www.navy.mil/[...]
Navy.mil
2013-05-18
[9]
웹사이트
http://www.fyjs.cn/v[...]
2011-05-18
[10]
웹사이트
GOKDENIZ CIWS
https://www.aselsan.[...]
[11]
웹사이트
Presidency of Defence Industries
https://www.ssb.gov.[...]
2022-07-08
[12]
웹사이트
ATOM 35mm Airbusrt Ammunition
https://aselsan.com.[...]
[13]
웹사이트
Home - a Service-Disabled Veteran-Owned Small Business (SDVOSB)
http://www.usi-inc.n[...]
2009-12-02
[14]
Bloomberg.com
U.S. Navy Deploys Its First Laser Weapon in the Persian Gulf
https://www.bloomber[...]
2014-11-14
[15]
뉴스
turkey-laser-weapon-indigenous-tubitak-test
http://www.defensene[...]
Defensenews.com
2015-02-14
[16]
뉴스
Turkey creates laser weapon
http://times.am/?p=1[...]
Times.am
2015-01-19
[17]
뉴스
Turkey aims to second US in using laser as military weapon | General | Worldbulletin News
http://www.worldbull[...]
Worldbulletin.net
2015-01-19
[18]
웹사이트
IDEF 2019: Aselsan reveals Gökdeniz naval close-in weapon system
https://www.janes.co[...]
2019-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